KR101765766B1 -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5766B1
KR101765766B1 KR1020170010170A KR20170010170A KR101765766B1 KR 101765766 B1 KR101765766 B1 KR 101765766B1 KR 1020170010170 A KR1020170010170 A KR 1020170010170A KR 20170010170 A KR20170010170 A KR 20170010170A KR 101765766 B1 KR101765766 B1 KR 101765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portable terminal
guide groove
c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1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창기
Original Assignee
(주) 우성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성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 우성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7001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7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a holder, consisting of a terminal case, guide grooves, a strap and a strap raised spot. Accordingly, through the protection case having a finger holder to hang and insert a finger as needed on the rear surface, a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held. Also, through the finger holde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t on a flat table or the like at regular angles so watching a video or the like can be performed in an easy manner.

Description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holder,

본 발명은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거나 테이블과 같은 평판에 휴대용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는 홀더가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ective case for protect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which can hold a finger on a flat plate such as a t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provided with a holder that can stably hold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휴대용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PMP, 전자사전 및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인터넷, 전화 통화, 영화 감상 및 정보 확인 등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r a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a PMP, an electronic dictionary, a game machine, etc., and 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ogram stored therein to access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verification.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단말기의 일종인 셀룰러폰(cellular phone)은 이동 중에도 음성통화 및 무선통신이 가능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강력한 프로세서, 풍부한 메모리, 큰 화면, 개방형 운영 체제를 갖춘 스마트폰, 태블릿 폰, 태블릿 PC 등의 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한 고급 휴대 전자기기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In other words, a cellular phone, which is a kind of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as one of personal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on the move. In recent years, with the advancement of wireless network technology, demand for advance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pable of wireless networking such as smart phones, tablets, and tablet PCs with powerful processors, rich memory, large screen, and open operating system is increasing significantly.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단말기 중에서 최근에 출시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은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의 수발신 기능 뿐만 아니라 문서 작업와 인터넷 사용 및 이메일 수발신 등과 같이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단말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 없이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which are among the portable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have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a telephone call and a function of receiving and sending a text message as well as a document operation, an internet use and an e-mail sending and receiving. As a result, the number of people using the portable terminal regardless of place or time is increasing.

그러나, 전술한 휴대용단말기가 주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정보를 입력받고 표출하게 되므로, 휴대용단말기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은 상태로 나머지 손으로 스크린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제약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from falling down,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mainly inputs and displays information by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and restrictive to operate the screen with the remaining hand while holding the terminal with one hand have.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단말기는 큰 화면으로 인해 폭이 넓은 편이기 때문에 손이 작은 사용자는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쥐고 조작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실제로, 휴대용단말기를 쥐고 사용할 때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자칫하여 타인과 부딪혀 휴대용단말기를 떨어뜨릴 경우 파손 또는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용단말기를 잡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Since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above has a large width due to its large screen, it is inconvenient for a user with a small hand to grasp the portable terminal with one hand. In fac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and used, it may be damaged or broken if it is slipped or slammed in the hand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dropped by colliding with the other pers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for more conveniently operating the screen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more stably.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할 경우 장시간의 시청을 위해서는 휴대용단말기를 지면에 내려놓게 되는데, 휴대용단말기가 지면에 놓일 경우 시청각이 확보되지 않아 시청에 불편함이 많고, 스피커가 단말기의 배면에 있는 경우 소리가 제대로 들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단말기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요구된다.In addition, when a user watches a moving picture or the lik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ground for long time viewing.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the ground, an audiovisual angle is not secur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ound is not heard properly when it is on the back. Accordingly, a mounting means capable of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at an angle to the ground at an angle is required.

아울러, 최근의 휴대용단말기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시청하거나 청취하기 위해 이어폰을 휴대하여야 한다. 이때, 이어폰을 휴대용단말기에 항상 결합시킨 상태로 휴대할수 없으므로 이어폰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since a portable terminal implements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a user must carry an earphone to view or listen to a moving picture or music. At this time, since the earphone can not be carried in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always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it is troublesome to carry the earphone separatel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8765호(2013.04.18.자 공개)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0038765 (published on April 18,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5358호(2012.09.21.자 공고)Korean Patent No. 10-1185358 (issued on September 21, 201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008호(2014.04.01.자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008 of the Republic of Korea (Notice of April 1, 201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4145호(2013.07.08.자 공개)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13-0004145 (Released on July 31, 201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1879호(2013.03.19.자 공개)Korea's public utility model 2013.0001879 (published on March 19, 2013)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lder for holding a portable terminal stably through a protective case provided on a back surfa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보호하여 파손이나 스크래치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damage or scratches by protecting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a protective case provided on the back side, It is in the cag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테이블과 같은 평판에 일정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동영상 등의 시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mounted on a flat plate such as a 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a protective case provided on the back 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viewing of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고리수단의 스트랩 면상에 네일 폴리셔를 구성함으로써 손톱을 관리할 수 있는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il polisher on a strap surface of a ring means for allowing fingers to be inserted into the nail polisher when necessary, so that the nail polisher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managing fingernails.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허리띠나 기타의 고리 등에 매달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rtable terminal to be hung on a waistband or other ring through a protective case provided on the back of a ring means for forming a ring so that a finger can be inserted when necessary.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는 전면을 통해 내측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테두리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단말기케이스; 단말기케이스의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횡방향의 가이드 라인 상하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하부 가이드홈; 상부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 라인 전면을 경유하되 하부 가이드홈 하부측의 단말기케이스 배면에 하단이 리벳을 통해 고정되어 상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부 가이드홈에 위치된 부분이 단말기케이스의 배면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손가락 홀더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가요성 재질의 스트랩; 및 상부 가이드홈의 상단 중심부 상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랩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손가락 홀더가 형성되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스트랩 상단이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스트랩 걸림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ase which covers and protects the back face and the rim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seated inward through the front fac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terminal case and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bove and below the lateral guide lines;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guide groove and passe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guide line, but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guide groove through the rivet, A strap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is operated to form a finger holder which is arranged in a side-by-side manner or in a rearward convex shape with the finger holder; And a strap catching jaw which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upper guide groove and pushes the upper end of the strap downward to move the finger holder so as to form the strap.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상부 가이드홈과 하부 가이드홈의 좌우 너비는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upper guide groove and the lower guide groove may be the sam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하부 가이드홈은 상부 가이드홈에 비해 상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Further,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guide groove has a longer length than the upper guide groo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스트랩의 길이는 상·하부 가이드홈이 이루는 상하의 전체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됨이 보다 양호하다.Further,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trap is preferably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이외에 스트랩 하단을 고정시키는 리벳 전면으로 부착되어 단말기케이스에 안착되는 휴대용단말기 배면에 리벳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보호융이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ivet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trap,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protection ribs for preventing scratches due to rivet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는 스트랩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우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랩 상단은 상부 가이드홈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스트랩 확장면이 일체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is pushed downward, the upper end of the strap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rap extension surfac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guide groov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guide groove .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스트랩의 배면 또는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부착 구성되어 인체의 손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일 폴리셔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ail polisher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to manage the nails of the human body may be further comprised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스트랩의 배면 또는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부착 구성되어 어두운 곳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광테이프 또는 축광테이프가 더 부착 구성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luminous tape or a phosphorescent tape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rap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in a dark pl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부착되어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mirror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so as to be able to see the face.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스트랩 하단을 하부 가이드홈 하부측 단말기케이스 배면에 체결 고정시키되 일정 길이의 로드 상단에 단면적이 큰 헤드가 형성된 리벳 구조의 걸림고리; 및 헤드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헤드 삽입홀과 헤드 삽입홀의 상하에 연통 형성되어 로드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로드홀 구조의 고리걸림홀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strap is fastened to the back side of the lower case of the terminal case, and the lower end of the strap is fastened to the lower case. And a hooking means formed of a head insertion hole in which the head is inserted and a hooking hole in the rod hole structur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ead insertion hole to engage the rod.

전술한 바와 같은 걸이수단은 스트랩의 상단을 걸림고리로 절곡시켜 고리걸림홀의 헤드 삽입홀에 헤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로드홀에 로드가 위치되도록 스트랩의 상단을 이동시킴으로써 단말기케이스를 허리벨트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벨트홈을 형성하는 구성이다.The hooking means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is bent by a hook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is moved so that the rod is positioned in the rod hole while the head is inserted into the head insertion hole of the hooking hole, The belt groove is form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걸이수단에는 후면에 접착제가 구성되어지되 중심부에는 전면으로 리벳팅되어 고리걸림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리벳고리가 구비된 부착패드가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hooking means may further include an attachment pad having a rear portion formed with an adhesive, and a center portion having a rivet hook that is riveted to the front to engage the hooking hole.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휴대용단말기의 파손이나 스크래치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portable terminal by providing the protective case with the ring means formed on the back face to form a ring so that the user can insert his or her fingers if necessary, Scratches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테이블과 같은 평판에 일정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의 시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a flat plate such as a 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a protective case provided on a back surf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viewing of moving pictures and the lik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고리수단의 스트랩 면상에 폴리셔를 구성함으로써 손톱을 관리할 수 있는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managing fingernails by constructing a polisher on a strap surface of a ring means for fitting a finger when necessary.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필요시 손가락을 걸어 끼울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수단이 배면에 구비된 보호케이스를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허리띠나 기타의 고리 등에 매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한 보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the portable terminal by hanging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belt or other ring through the protective case provided on the back side,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손가락 홀더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손가락 홀더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손가락 홀더를 통해 평평한 곳에 휴대용단말기를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스트랩의 배면에 야광테이프나 축광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7 의 결합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7 의 종단면 구성도.
도 10 은 도 7 의 구성을 통해 벨트홈의 형성을 보인 종단면 구성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부착패드를 통해 스트랩을 걸어 매달리게 하는 구성을 보인 사시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holder and a finger hold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inserted and held in a finger holder in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upported on a flat surface through a finger holder.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uminous tape or a phosphorescent tape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strap in the structure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irror is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a strap extension surface in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strap in FIG. 7; FIG.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7;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formation of a belt groove through the structure of FIG. 7.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uspended from a strap through a pad.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손가락 홀더를 형성한 상태를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손가락 홀더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파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손가락 홀더를 통해 평평한 곳에 휴대용단말기를 지지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FIG.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nger is inserted into and held by a finger holder in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upported on a flat surface through a finger hold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otective case.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는 전면을 통해 내측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테두리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단말기케이스(110), 단말기케이스(110)의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횡방향의 가이드 라인(122) 상하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 상부 가이드홈(120a)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 라인(122) 전면을 경유하되 하부 가이드홈(120b) 하부측의 단말기케이스(110) 배면에 하단이 리벳(132)을 통해 고정되어 상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부 가이드홈(120a)에 위치된 부분이 단말기케이스(110)의 배면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가요성 재질의 스트랩(130) 및 상부 가이드홈(120a)의 상단 중심부 상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되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스트랩(130) 상단이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스트랩 걸림턱(140)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4, a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ase 110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back and the rim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seated inward through a front surfac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which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terminal case 110 and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bove and below the lateral guide lines 122 and are inserted through the upper guide grooves 120a, The upper end of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110 through the rivet 132 and moves up and down. A strap 130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is operated to form a portion of the finger holder 200 that is fol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or in a rearward convex shape, And a strap latch 140 for latching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ushed downward to move the finger holder 200 so as to be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는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에 휴대용단말기을 안착 고정시켜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테두리를 커버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를 보호하여 지면으로 떨어뜨리거나 물체와의 부딪힘으로 인한 파손 및 스크레치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다.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at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to cover the back surface and the rim of the portable terminal to protect the portable terminal, This is a technique to prevent breakage or scratching due to dropping or collision with an objec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휴대용단말기를 보호하고자 함은 물론, 가이드홈(120a, 120b)과 스트랩(130) 및 스트랩 걸림턱(140)의 구성을 통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하여 손가락 홀더(200) 상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함으로써 지면에 떨어뜨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기술이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tects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but also includes guide grooves 120a and 120b, a strap 130 and a strap jaw 140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by holding the finger on the finger holder 20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ropped on the ground.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는 가이드홈(120a, 120b)과 스트랩(130) 및 스트랩 걸림턱(140)의 구성을 통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하여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홀더(200) 상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guide grooves 120a and 120b, the strap 130 and the strap latch 140 As shown in FIG. 3,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gripped more stably by holding the finger on the finger holder 2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는 가이드홈(120a, 120b)과 스트랩(130) 및 스트랩 걸림턱(140)의 구성을 통해 후방측으로 볼록한 형태의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함으로써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과 같은 평판에 휴대용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동영상 등의 시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e protective cas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groove 120a and 120b and a strap 130 and a strap stop 140. The finger holder 20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on a flat plate such as a table at a certain angle as shown in FIG. 4, thereby making it easier to view the moving picture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를 통해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홀더(200)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에 휴대용단말기를 안착 고정시키게 되면 스트랩(130)은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가이드 라인(122) 전면 사이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forming the finger holders 200 to hold the fingers through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holder will be described. 1,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nd fix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constituting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13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guide line 122).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에 휴대용단말기를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단 방향으로 밀게 되면 하부 가이드홈(120a) 상에 위치되는 스트랩(130)의 일부분이 밀리면서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는 가운데 손가락을 삽입하여 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랩(130)의 상단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손가락 홀더(200)의 상태가 유지된다.2,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ushed in the lower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ositioned on the lower guide groove 120a, A finger holder 200 is formed which allows a portion of the strap 130 to be bent and convexly bent backward while inserting and inserting a finger. In this state,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hooked on the strap catching jaw 140, the state of the finger holder 200 is maintained.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하여 스트랩(130)의 상단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어 손가락 홀더(20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나 장지 또는 약지를 손가락 홀더(200)에 삽입한 후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으로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면 휴대용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손가락 홀더(200)가 손가락에 의해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파지된 손으로부터 휴대용단말기가 떨어지지 않게 된다.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hooked on the strap holding jaw 140 so that the state of the finger holder 200 is maintained. Or the finger ring is inserted into the finger holder 200 and then the portable terminal is held by the thumb and the remaining fingers,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gripped. Accordingly, since the finger holder 200 is held by the fingers,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detached from the hand held by the finger.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하여 스트랩(130)의 상단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어 손가락 홀더(20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과 같은 평평한 곳에 휴대용단말기를 올려 놓게 되면 후방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손가락 홀더(200)의 하단이 평평한 부분에 지지되어 휴대용단말기가 일정 각도로 거치되어진다. 이처럼 휴대용단말기를 일정 각도로 평평한 곳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동영상 등을 시청하게 되면 보다 편안하게 서청할 수가 있게 된다.4,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hooked on the strap latching jaw 140 so that the state of the finger holder 200 is maintained, The lower end of the finger holder 200 protruding rearward is supported on a flat portion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a flat place at a certain angle and a moving picture is viewed, the user can comfortably listen to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홈(120b) 하부측의 단말기케이스(110) 배면에 스트랩(130) 하단을 고정시키는 리벳(132)의 전면에 보호융(150)이 더 부착 구성되기 때문에 보호융(150)으로 인하여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으로 안착되는 휴대용단말기 배면이 리벳(132)으로부터 보호되어 리벳(132)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7 and 8, the rivet 132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trap 130 to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guide groove 120b,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se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due to the protection fins 150 is protected from the rivets 132 to prevent scratches due to the rivets 132. [ .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보호융(150)은 스트랩(130) 하단을 고정시키는 리벳(132) 전면으로 부착되어 리벳(132) 전면을 커버함으로써 전면을 통해 단말기케이스(110)에 안착되는 휴대용단말기 배면과 리벳(132)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리벳(132)으로 인한 휴대용단말기 배면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rotective fins 150 as described above ar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ivet 132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trap 130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rivet 132, The back surface and the rivet 132 are prevented from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scratching of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due to the rivet 132. [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30)의 상단에 스트랩 확장면(160)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스트랩 확장면(160)은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우 상부 가이드홈(120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트랩 확장면(160)은 상부 가이드홈(120a)의 너비에 비해 큰 크기로 스트랩(130) 상단에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is furthe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as shown in FIGS. 1 to 6.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prevents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upper guide groove 120a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ushed downward.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홈(120a)의 너비에 비해 큰 크기로 스트랩(130) 상단에 형성되는 스트랩 확장면(160)은 상부 가이드홈(120a)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우 스트랩(130)의 상단부가 상부 가이드홈(120a) 양단에 걸리게 되어 상부 가이드홈(120a)의 내측으로 들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Since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in the siz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hooked to both ends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to prevent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guide groove 120a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guide groove 120a.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스트랩 확장면(160)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어 스트랩(130)의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는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한 상태에서 스트랩 확장면(160)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리도록 하면 스트랩 확장면(160) 상단은 상부 가이드홈(120a) 상단의 스트랩 걸림턱(140)과 단말기케이스(110)에 안착된 휴대용단말기의 배면 사이에 위치되고, 좌우 부분은 상부 가이드홈(120a) 양측의 단말기케이스(110) 배면 상에 위치되어 스트랩(130)의 상단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holding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on the strap holding jaw 140 to hold the strap 130 in a fixed state will be described. That is,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ushed downward and 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is hooked on the strap hook 140, And the right and left portions are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on both sides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The latching state of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maintained.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130) 상단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스트랩 확장면(160)은 상부 가이드홈(120a) 상단의 스트랩 걸림턱(140)과 상부 가이드홈(120a) 양측에 3점 지지를 통해 걸림 상태가 유지되어 하부 가이드홈(120b) 상에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형성되는 손가락 홀더(200)가 유지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engaged with the strap fastening protrusion 140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and the upper guide groove 120a through the three- So that the finger holder 200 protruding rearward on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hel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을 관리할 수 있는 네일 폴리셔(170)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네일 폴리셔(170)는 스트랩(130)의 배면 또는 스트랩 확장면(160)의 배면에 부착 구성되어 손톱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네일 폴리셔(170) 상에 손톱을 갈아 소재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nail polisher 170 capable of managing the fingernail as shown in FIGS. 1 to 4 is further included i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ail polisher 17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130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to allow the nail polisher 170 to nail the nail polisher 170 when the nail polisher is to be managed.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말기케이스(110)는 휴대용단말기를 안착 고정시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단말기케이스(11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을 통해 내측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테두리를 커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1 to 4, the terminal cas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securely hold and secure a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ase 110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And covers the back surface and the rim of the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단말기케이스(110)는 대체적으로 전면을 통해 휴대용단말기를 안착시켜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단말기케이스(110) 상에 휴대용단말기를 안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는 덮개가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al case 1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generally mounts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terminal case 110 in such a manner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to fix the fra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cover for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such a portable terminal may be construct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은 스트랩(130)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케이스(110)의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횡방향의 가이드 라인(122) 상하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진다.Next,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guiding the strap 130.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are formed as shown in FIGS. 1 to 4 And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le above and below the lateral guide lines 122. In this case,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케이스(110)의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홈(120a)과 하부 가이드홈(120b)은 상호의 동일 선상에 가이드 라인(122)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홈(120a)과 하부측에 인접되어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홈(120b)에 의해 상부 가이드홈(120a)과 하부 가이드홈(120b) 사이에는 가이드 라인(122)이 형성된다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as described above include upper guide grooves 120a and lower guide grooves 120b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of the terminal case 110 as shown in FIGS. Are vertically formed with the guide line 122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same line as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 guide line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guide groove 120a and the lower guide groove 120b by the upper guide groove 120a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guide groove 120b form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122 will be form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의 구성에서 상부 가이드홈(120a)과 하부 가이드홈(120b)의 좌우 너비는 동일한 너비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가이드홈(120a)을 통해 하부 가이드홈(120b)으로 삽입 결합되는 스트랩(130)의 좌우 너비는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의 너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and the lower guide groove 120b are formed to be the same width.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traps 130 inserted into the lower guide grooves 120b through the upper guide grooves 120a correspond to the width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의 구성에서 하부 가이드홈(120b)은 상부 가이드홈(120a)에 비해 상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처럼 하부 가이드홈(120b)의 상하 길이를 상부 가이드홈(120a)의 상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하는 것은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우 하부 가이드홈(120b) 상에 위치되는 스트랩(130)의 부분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손가락 홀더(200)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upper guide groove 120a is longer than the upper guide groove 120a in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guide groove 120b is longer than the upper guide groove 120a so that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longer than the upper guide groove 120a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ushed downward. So that the finger holder 200 can be formed more easily so that a portion of the finger holder 130 is convexly rearwar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트랩(130)은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트랩(130)은 도 1 내지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홈(120a)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 라인(122) 전면을 경유하되 하부 가이드홈(120b) 하부측의 단말기케이스(110) 배면에 하단이 리벳(132)을 통해 고정되어 상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부 가이드홈(120b)에 위치된 부분이 단말기케이스(110)의 배면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Next, the strap 1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orming the finger holder 200. The strap 13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guide groove 120a as shown in FIGS. 1 to 4, The upper end of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via the rivet 132. The upper end of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vertically moved to the lower guide groove 120b And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operated to form a finger holder 200 in a shape of being folded back or convex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130)은 상부 가이드홈(120a)을 통해 삽입되어 가이드 라인(122) 전면을 경유하되 하부 가이드홈(120b) 하부측의 단말기케이스(110) 배면에 하단이 리벳(132)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가이드 라인(122) 사이에 위치되어진다. The strap 13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guide groove 120a and passe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guide line 12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trap 130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guide groove 120b,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guide line 122 which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130)은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가이드 라인(122) 사이에 위치되어지기 때문에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지 않게 되면 상하 일자로 펼쳐진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Since the strap 1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osition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seated and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and the guide line 122,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not pushed downward It will be laid out in an up and down dat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트랩(130)은 단말기케이스(110)의 전면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가이드 라인(122) 사이에 위치되어진 상태에서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면 하단이 리벳(132)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가이드홈(120b)에 위치된 스트랩(130) 부분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면서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된다.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pushe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strap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guide line 122 that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110, The portion of the strap 130 positioned in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bent back convexly to form the finger holder 200. [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홈(120b)에 위치된 스트랩(130) 부분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면서 형성되는 손가락 홀더(200)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에서 나머지 손가락으로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finger holder 200 formed by bending the portion of the strap 130 located in the lower guide groove 120b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held more stably by holding the terminal.

또한,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홈(120b)에 위치된 스트랩(130) 부분이 후방으로 볼록하게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한 상태에서 평평한 테이블과 같은 곳에 손가락 홀더(200)를 지지하게 되면 휴대용단말기의 각도를 일정 기울기로 놓이게 할 수가 있어 동영상 등의 시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2 to 4, a portion of the strap 130 positioned in the lower guide groove 120b is formed with a finger holder 200 protruding rearward, and the finger holder 200 The angl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et at a predetermined slope, so that it becomes easier to view the moving picture and the lik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스트랩(130)의 길이는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이 이루는 상하의 전체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다. 이처럼 스트랩(130)의 길이를 상·하부 가이드홈(120a, 120b)의 전체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스트랩(130)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손가락 홀더(200)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rap 130 as described above is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The length of the strap 130 is lon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120a and 120b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can be pushed downward. Can be 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스트랩 걸림턱(140)은 스트랩(130)의 상단을 걸림 유지시켜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트랩 걸림턱(140)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홈(120a)의 상단 중심부 상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손가락 홀더(200)가 형성되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스트랩(130) 상단이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strap holding jaw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holding a state where 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by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4,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downwardly protruded downward o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upper guide groove 120a to move the finger holder 200 so as to form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So as to be retained.

전술한 스트랩 걸림턱(140)은 스트랩(130)의 상단을 하단 방향으로 밀어 하부 가이드홈(120a) 상에 위치되는 스트랩(130)의 일부분이 밀리면서 후방측으로 볼록하게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한 상태에서 스트랩(130)의 상단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홀더(200)의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The strap holding jaw 140 may be formed by pushing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n the lower end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strap 130 positioned on the lower guide groove 120a is pushed to form the finger holder 200 convexly rearward The state of the finger holder 200 is maintained by engaging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with the strap catching jaw 140. [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하여 스트랩(130)의 상단을 스트랩 걸림턱(140)에 걸어 손가락 홀더(200)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손가락 홀더(200)에 삽입한 후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면 휴대용단말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어지간해서는 떨어지지 않게 된다.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hooked on the strap hook 140 to hold the finger holder 200 in a state where the finger is held in the finger holder 200 If the portable terminal is gripped after insert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stably grips the portab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이외에 스트랩(130)의 배면 또는 스트랩 확장면(160)의 배면에 네일 폴리셔(17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네일 폴리셔(17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 소유자가 손톱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네일 폴리셔(170) 상에 손톱을 갈아 소재할 수 있도록 한다.The nail polisher 17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130 or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to 4, the nail polisher 170 may allow the owne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change nails on the nail polisher 170 in order to manage the nails.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스트랩의 배면에 야광테이프나 축광테이프가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uminous tape or a phosphorescent tape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strap in the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스트랩(130)의 배면 또는 스트랩 확장면(160)의 배면에 네일 폴리셔(170)를 대신하여 야광테이프나 축광테이프(172)를 부착하여 어두운 곳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야광테이프나 축광테이프(172)는 어두운 공연장 등에서 야광봉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5, a luminous tape or a luminous tape 172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trap 130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in place of the nail polisher 170. In this case,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in a dark place. The luminous tape or luminous tape 172 may be used in place of a luminous bar in a dark concert hall or the lik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야광테이프나 축광테이프(172)를 스트랩(130)의 배면 또는 스트랩 확장면(160)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어두운 공연장 등에서 야광봉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어두운 골목길이나 야간에 라이트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the luminous tape or luminous tape 172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130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as described above, the luminous rods can be used instead of the luminous rods in dark venues or the like, It can also be used as a light substitute at night.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에서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거울이 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irror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for protecting a portable terminal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스트랩 확장면(160)의 배면에 부착되어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174)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거울(174)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유리 재질의 거울(174)은 특성상 깨질 위험성이 많기 때문에 다른 재질의 거울(174)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irror 174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160 so as to illuminate the face. The mirror 174 may be made of a glass material. However, since the mirror 174 made of glass has a high risk of breaking due to its nature, a mirror 174 made of another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mirror 174.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배면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7 의 결합 사시 구성도, 도 9 는 도 7 의 종단면 구성도, 도 10 은 도 7 의 구성을 통해 벨트홈의 형성을 보인 종단면 구성도이다.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strap of FIG. 7,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ormation of a belt groove through the structure of Fig. 7. Fig.

도 7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는 단말기케이스(110) 상에 휴대용단말기를 안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리벨트에 걸기 위한 걸이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수단은 스트랩(130) 하단을 하부 가이드홈(120b) 하부측 단말기케이스(110) 배면에 체결 고정시키되 일정 길이의 로드(180-1) 상단에 단면적이 큰 헤드(180-2)가 형성된 리벳 구조의 걸림고리(180) 및 헤드(180-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헤드 삽입홀(182-1)과 헤드 삽입홀(182-1)의 상부측에 연통 형성되어 로드(180-1)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로드홀(182-2) 구조의 고리걸림홀(182)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S. 7 to 10, i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oking means for hooking a waist belt on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on the terminal case 110 may be further constructed. The hooking means is formed by fastening the lower end of the strap 130 to the back surface of the lower case 120b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se 120b and the head 180-2 having a large cross- The head insertion hole 182-1 in which the engagement ring 180 of the rivet structure and the head 180-2 are inserted and the upper side of the head insertion hole 182-1, And a hooking hole 182 having a structure of a rod hole 182-2 in which a hook is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은 걸이수단은 스트랩(130)의 상단을 걸림고리(180)로 절곡시켜 고리걸림홀(182)의 헤드 삽입홀(182-1)에 헤드(180-2)를 삽입한 상태에서 로드홀(182-2)에 로드(180-1)가 위치되도록 스트랩(130)의 상단을 이동시킴으로써 단말기케이스(100)를 허리벨트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벨트홈(184)을 형성하게 된다. The hook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bent by the latching ring 180 so that the head 180-2 is inserted into the head insertion hole 182-1 of the hooking hole 182,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moved so that the rod 180-1 is positioned in the hole 182-2 so that the belt groove 184 is formed so that the terminal case 100 can be hooked to the waist bel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30)의 상단을 잡아 배면의 하향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고리걸림홀(182)의 헤드 삽입홀(182-1)에 걸림고리(180)의 헤드(180-2)를 삽입한다. 이때, 스트랩(130)이 하향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로드홀(182-1)은 하향으로 향하게 된다.10,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130 is gripped and bent downward, the hook 180 is inserted into the head insertion hole 182-1 of the hooking hole 182, The head 180-2 is inserted. At this time, since the strap 130 is bent downward, the rod hole 182-1 is directed downward.

따라서, 전술한 고리걸림홀(182) 상에 걸림고리(180)의 헤드(180-2)가 걸리기 위해서는 로드(180-1)가 로드홀(182-2)로 이동하여 헤드(180-2)의 걸림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구부러져 하향으로 이루어진 스트랩(130)의 상단을 상향으로 이동시켜 헤드 삽입홀(182-1)에 위치된 로드(180-1) 부분이 로드홀(182-2)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로드홀(182-2) 상에 걸림고리(180)의 헤드(180-2)가 걸릴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in order for the head 180-2 of the latching ring 180 to be caught on the above-described hooking hole 182, the rod 180-1 moves to the rod hole 182-2, The upper end of the bent strap 130 is moved upward so that the portion of the rod 180-1 positioned in the head insertion hole 182-1 is positioned in the rod hole 182-2 So that the head 180-2 of the retaining ring 180 can be caught on the rod hole 182-2.

전술한 바와 같이 로드홀(182-2) 상에 걸림고리(180)의 헤드(180-2)가 걸리게 된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130)은 상단과 하단이 걸이수단에 의해 벨트홈(184)이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벨트홈(184)을 통해 벨트에 휴대용단말기를 거치하여 인체의 허리에 걸고 다닐 수가 있게 된다. 10, when the head 180-2 of the latching ring 180 is hooked on the rod hole 182-2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rap 1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the hooking means, (184) are formed. The belt can be mounted on the belt through the belt groove 184 so that the belt can be hung around the waist of the human body.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를 부착패드를 통해 스트랩을 걸어 매달리게 하는 구성을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spended from a strap through a pad. FIG.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스트랩(130)을 걸어 자동차의 대쉬패널이나 기타의 패널 등에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부착패드(190)가 더 구성되어진다.As shown in FIG. 11,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ttachment pad 190 for hanging the strap 130 constituting the protective case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hang it on a dash panel or other panel of a car .

전술한 바와 같은 부착패드(190)는 후면에 접착제가 구성되어지되 중심부에는 전면으로 리벳팅되어 고리걸림홀(182)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리벳고리(192)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리벳고리(192)는 걸이수단의 걸림고리(18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attachment pad 19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with an adhesive agent on its rear surface and has a rivet hook 192 which is rive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portion to engage the hook hole 182. At this time, the rivet hook 192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hook 180 of the hooking mean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착패드(190)를 통해 자동차의 대쉬패널이나 기타의 패널 등에 걸어 놓고자 하는 경우 부착패드(190) 후면의 접착제 부분을 패널에 부착시켜 고정시킨 후, 부착패드(190) 전면의 리벳고리(192)에 고리걸림홀(182)을 걸게 되면 패널 등에 휴대용단말기를 거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hang the dash panel or other panel of the automobile through the attachment pad 19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portion on the back surface of the attachment pad 190 is attached to the panel and fixed, The user can place the portable terminal on the panel or the like by hooking the hooking hole 182 on the rivet hook 192 on the front si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단말기케이스(110), 가이드홈(120a, 120b), 스트랩(130) 및 스트랩 걸림턱(140)의 구성을 통해 손가락 홀더(200)를 형성함으로써 손가락 홀더(200) 상에 손가락을 걸어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함으로써 지면에 떨어뜨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휴대용단말기를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holder 200 is form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case 110, the guide grooves 120a and 120b, the strap 130, and the strap jaw 140,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ropped on the ground by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by holding the finger on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tably held.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앞서와 같이 형성되는 손가락 홀더(200)를 평평한 테이블 등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를 평평한 곳에 일정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동영상 등의 시청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 holder 200, which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s supported on a flat table or the like,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on a flat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110. 단말기케이스
120a. 상부 가이드홈 120b. 하부 가이드홈
122. 가이드 라인 130. 스트랩
132. 리벳 140. 스트랩 걸림턱
150. 보호융 160. 스트랩 확장면
170. 네일 폴리셔
172. 야광테이프 또는 축광테이프
174. 거울 180. 걸림고리
180-1. 로드 180-2. 헤드
182. 고리걸림홀 182-1. 헤드 삽입홀
182-2. 로드홀 190. 부착패드
192. 리벳고리 200. 손가락 홀더
100.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110. Terminal case
120a. Upper guide groove 120b. Lower guide groove
122. Guideline 130. Strap
132. Rivet 140. Strap closure jaw
150. Protective Flap 160. Strap Extension Face
170. Nail Polisher
172. Luminous or phosphorescent tape
174. Mirror 180. Retaining ring
180-1. Load 180-2. head
182. Ring Hole Hall 182-1. Head insertion hole
182-2. Rod hole 190. Attachment pads
192. Rivet ring 200. Finger holder

Claims (12)

전면을 통해 내측으로 안착 고정되는 휴대용단말기의 배면과 테두리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단말기케이스;
상기 단말기케이스의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횡방향의 가이드 라인 상하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상·하부 가이드홈;
상기 상부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라인 전면을 경유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홈 하부측의 상기 단말기케이스 배면에 하단이 리벳을 통해 고정되어 상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하부 가이드홈에 위치된 부분이 상기 단말기케이스의 배면과 나란하게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손가락 홀더가 형성되도록 동작하는 가요성 재질의 스트랩; 및
상기 상부 가이드홈의 상단 중심부 상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상기 손가락 홀더가 형성되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스트랩 상단이 걸림 유지되도록 하는 스트랩 걸림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A terminal case which covers and protects the back surface and the rim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fixed inward through the front surfac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terminal case and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bove and below the lateral guide lines;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guide groove and passe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guide line,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guide groove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through the rivet. A strap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is operated to form a finger holder which is spread or rearwardly convex in parallel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And
And a strap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upper guide groove and to hold the upper end of the strap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is downwardly moved to form the finger holder,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홈과 하부 가이드홈의 좌우 너비는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protective case of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upper guide groove and the lower guide groove are the s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홈은 상기 상부 가이드홈에 비해 상하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protective case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guide groove is longer than the upper gu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길이는 상기 상·하부 가이드홈이 이루는 상하의 전체 길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protective case of claim 1, wherein a length of the strap is longer than an entir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groove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하단을 고정시키는 상기 리벳 전면으로 부착되어 상기 단말기케이스에 안착되는 상기 휴대용단말기 배면에 리벳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보호융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on fringe attached to the rivet front surface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trap to prevent scratches due to rivets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holder for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상단을 하향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스트랩 상단은 상기 상부 가이드홈의 너비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스트랩 확장면이 일체로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6. 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strap is formed so as to be larger than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groove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guide groove when the upper end of the strap is pushed downward. And a holder for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배면 또는 상기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부착 구성되어 인체의 손톱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네일 폴리셔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7] The protective case of claim 6, wherein the nail polisher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to allow the user to manage the nails of the human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배면 또는 상기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부착 구성되어 어두운 곳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야광테이프 또는 축광테이프가 더 부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The portable terminal as set forth in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luminous tape or a luminous tape attached to the back of the strap or the back surface of the strap expansion surface so that light can be emitted in a dark place. Protective cas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확장면의 배면에 부착되어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하는 거울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7] The protective case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mirror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strap extension surface so as to illuminate the fac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하단을 상기 하부 가이드홈 하부측 상기 단말기케이스 배면에 체결 고정시키되 일정 길이의 로드 상단에 단면적이 큰 헤드가 형성된 리벳 구조의 걸림고리; 및
상기 헤드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헤드 삽입홀과 상기 헤드 삽입홀의 상부측에 연통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로드홀 구조의 고리걸림홀로 이루어진 걸이수단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lower end of the strap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guide groove and has a rivet structure having a head having a large cross-sectional area at the upper end of the rod. And
And a hooking hole formed in the head insertion hole for insertion of the head and the ro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head insertion hole to engage the rod. cas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상기 스트랩의 상단을 상기 걸림고리로 절곡시켜 상기 고리걸림홀의 헤드 삽입홀에 상기 헤드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로드홀에 상기 로드가 위치되도록 스트랩의 상단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단말기케이스를 허리벨트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벨트홈을 형성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hooking means bends the upper end of the strap with the hook so as to move the upper end of the strap so that the rod is positioned in the rod hole in a state where the head is inserted into the head insertion hole of the hook- And a belt groove is formed to allow the terminal case to be hooked on the waist bel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에는 후면에 접착제가 구성되어지되 중심부에는 전면으로 리벳팅되어 상기 고리걸림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리벳고리가 구비된 부착패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가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보호케이스.[1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the hooking means comprises an adhesive pad on the rear surface, and a center pad having a rivet hook for engaging the hooking hole by riveting the front surface thereof. Terminal protection case.
KR1020170010170A 2017-01-23 2017-01-23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KR101765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70A KR101765766B1 (en) 2017-01-23 2017-01-23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170A KR101765766B1 (en) 2017-01-23 2017-01-23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766B1 true KR101765766B1 (en) 2017-08-08

Family

ID=5965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170A KR101765766B1 (en) 2017-01-23 2017-01-23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76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2509A (en) * 2017-09-26 2019-02-01 柳贤珠 Intelligent terminal finger ring set
WO2019143681A1 (en) * 2017-11-06 2019-07-25 Britt David Wayne Phone case
US10561228B2 (en) 2018-03-16 2020-02-18 Securegrip, Llc Phone grip attachment
KR102090540B1 (en) * 2020-01-07 2020-05-15 여창기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102199563B1 (en) 2020-01-20 2021-01-07 이상국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USD938949S1 (en) 2019-03-18 2021-12-21 Securegrip, Llc Phone attachment
KR102428713B1 (en) * 2021-04-12 2022-08-04 오관석 Protect case for mobile phone with finger hol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919Y1 (en) 2003-05-07 2003-11-12 김구환 Buffer mobile a string
KR101191867B1 (en) 2012-07-04 2012-10-16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Case of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919Y1 (en) 2003-05-07 2003-11-12 김구환 Buffer mobile a string
KR101191867B1 (en) 2012-07-04 2012-10-16 유한회사 유지피디자인 Case of mobile phon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2509A (en) * 2017-09-26 2019-02-01 柳贤珠 Intelligent terminal finger ring set
WO2019066243A1 (en) * 2017-09-26 2019-04-04 유현주 Finger grip for smart terminal
EP3691232A4 (en) * 2017-09-26 2021-06-16 Momostick Co., Ltd. Finger grip for smart terminal
WO2019143681A1 (en) * 2017-11-06 2019-07-25 Britt David Wayne Phone case
US10554798B2 (en) 2017-11-06 2020-02-04 Securegrip, Llc Phone case
US11178266B2 (en) 2017-11-06 2021-11-16 Securegrip, Llc Phone case
USD952623S1 (en) 2017-11-06 2022-05-24 Securegrip, Llc Phone case
US10561228B2 (en) 2018-03-16 2020-02-18 Securegrip, Llc Phone grip attachment
USD938949S1 (en) 2019-03-18 2021-12-21 Securegrip, Llc Phone attachment
KR102090540B1 (en) * 2020-01-07 2020-05-15 여창기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102199563B1 (en) 2020-01-20 2021-01-07 이상국 Strap for mobile terminal with mounting function
KR102428713B1 (en) * 2021-04-12 2022-08-04 오관석 Protect case for mobile phone with finger hol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766B1 (e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KR101979629B1 (en) Multipurpose holder
KR101453889B1 (en) Two rings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8616422B2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US930661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DK1971894T3 (en) Biological custom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s
US9585449B2 (en) Mobile phone enclosures
US9723116B2 (en) Restraining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130299365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20090120980A1 (en) Accessory Cas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705550B2 (en) Electronic device cover
KR200457185Y1 (en) Case for Mobile Handset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KR20110007366U (en) A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70332Y1 (en) Mobile apparatus case
US20130313252A1 (en) Protective shell
JP3204680U (en) Mobile device protection
KR101939354B1 (en) Portable terminal protection case with holder
KR200487851Y1 (en) Stand for a smart phone
KR20160018306A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50003379U (en) Suction type stands for electronic instrument
KR20120047576A (en) Protective case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s
US20170119118A1 (en) Convertible Lanyard Case for Personal Electronics
US20150270862A1 (en) Mobile phone enclosures
KR101468850B1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835677B1 (en) Case for protecting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