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206B1 -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 Google Patents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206B1
KR102199206B1 KR1020140135798A KR20140135798A KR102199206B1 KR 102199206 B1 KR102199206 B1 KR 102199206B1 KR 1020140135798 A KR1020140135798 A KR 1020140135798A KR 20140135798 A KR20140135798 A KR 20140135798A KR 102199206 B1 KR102199206 B1 KR 10219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ell
geofencing
location log
cent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1577A (en
Inventor
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3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206B1/en
Publication of KR2016004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Geo-Fencing)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cell)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The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includes dividing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periodically collecting the user's location log, and based on the location log, the unit Designating a unit region that meets a preset designation condition among the regions as a center cell, designating a unit region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and designating a region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 cell as the geo And setting it as a fencing area.

Description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본 발명은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지오펜싱(Geo-fencing)은 지오그래픽(Geographic)과 펜싱(Fencing)의 합성어로 지리적으로 울타리를 설정하여 이 울타리 안에 사용자가 드나드는 것을 감지하는 기술을 말한다. 지오펜싱 기술을 활용하면 설정된 지오펜싱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현황을 체크한다든지 구역 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문자 알림 또는 특정 정보를 보내는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오펜싱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들은 지오펜싱 구역을 효율적이고 스마트하게 설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Geo-fencing is a compound word of geographic and fencing, and refers to a technology that detects a user entering or leaving the fence by geographically setting a fence. Geo-fencing technology can be used to check the access status of users in the set geo-fencing area, to send text notifications or specific information to users in the area. In connection with this geofencing technology, the prior art deals with a method of efficiently and smartly setting a geofencing area.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05-0089349호는 영역 분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 시간에 따라 경보 존 내에서의 소정 거리에 따른 가입자 이동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존 정보를 기초로 경보 지역에 해당하는 경보 존을 설정하고, 현재 존과 경보 존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거리 차에 따른 시간 단위로 위치추적 대상 단말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0089349, which is a prior art,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rea division, which monitors the moving position of a subscri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alarm zone according to the moving time, and stores A configuration that sets an alarm zone corresponding to the alarm area based on the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alarm zone,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zone and the alarm zone, and performs location tracking on the target terminal for location tracking in units of time according to the distance difference. Is being disclosed.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화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단위 영역 중 중심셀과 이웃셀을 지정함으로써 지오펜싱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personalized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of a user terminal.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 geofencing area by dividing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nd designating a center cell and a neighboring cell among the unit areas using the location log of the user terminal. I want to provid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Geo-Fencing)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cell)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the step of dividing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 Periodically collecting the user's location log, designating a unit area that meets a predetermined specified condition among the unit areas as a center cell based on the location log, a unit adjacent to the center ce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a geofencing area, including designating an area as a neighboring cell and setting an area formed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uting device for setting a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comprising a memory and a processing unit arranged to interface with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entire areas. The unit area of the unit area that meets a preset specified condition among the unit areas is designated as a center cell, based on the stored location log, and periodically collects and stores the user's location log in the memo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ing device configured to designate a unit area adjacent to a center cell as a neighboring cell, and set an area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온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setting a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a user terminal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location log, and a geofencing server that sets a geofencing area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wherein the geofencing server divides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periodically collects and stores a user's location log in the memory, and based on the stored location log, a preset designation among the unit areas Provides a system configured to designate a unit area meeting the condition as a center cell, designate a unit area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and set an area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can do.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 may b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하여 개인화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체 영역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기초로 중심셀과 이웃셀으 지정함으로써 지오펜싱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capable of setting a personalized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of a user terminal.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a method, and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 geofencing area by dividing the entire area into unit areas and designating a center cell and a neighboring cell based on a location log of a user terminal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영역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로그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 간의 간격이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by a geofenc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viding an entire area into unit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llecting a location lo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cente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neighbo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geofencing area is not connected due to a distance between two cente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new center cell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wo cente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cing between two cente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the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bove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유닛(unit)'이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및 지오펜싱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 및 지오펜싱 서버(200)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1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nd a geofencing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geo-fencing server 200 illustrated in FIG. 1 exemplarily show components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1.

도 1의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Each component of the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1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Wi-Fi, Bluetooth, Internet, and Local Area (LAN). Network),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Personal Area Network (PAN), 3G, 4G, LTE,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단말(100)은 지오펜싱 서버(200)로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말로서, 사용자 단말(100)의 일 예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that periodically transmits a location log to the geofencing server 200, and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00 i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which portability and mobility are guaranteed.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mart phone).

지오펜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로그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서버로서, 지오펜싱 서버(200)의 동작은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e geofencing server 200 is a server that sets a geofencing area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log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operation of the geofencing server 200 is hereinafter referred to FIGS. 2 to 11. Let me explain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200)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 설정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서버(200)에 의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에도 적용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by a geofenc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setting a geofencing area by the geofenc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ncludes steps processed in a time series in the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contents alread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geofencing area sett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re geo-fencing by the geofencing server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It also applies to the method of setting the fencing area.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한다. 단계 S200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in step S200, the geofencing server 200 divides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Step S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영역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한다. 이 때 단위 영역의 모양을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배제 및 전체포괄)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단위 영역에서 제외되는 부분 없이 전체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단위 영역의 모양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모양일 수 있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viding an entire area into unit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geofencing server 200 divides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t this time, by setting the shape of the unit area to be MECE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the entire area can be divided without being excluded from the unit area.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unit area may b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a square, or a hexagon.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2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위치로그를 수집한다. 단계 S22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2 again, in step S220, the geofencing server 200 collects a location log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Step S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로그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전체 영역에서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는 수집 주기를 5분으로 하여 위치 로그를 수집한 결과를 보여준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llecting a location lo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geofencing server 200 may periodically collect a location log of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entire area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FIG. 4 shows the result of collecting the location log with a collection period of 5 minutes.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4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수집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중심셀을 지정한다. 단계 S24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2 again, in step S240, the geofencing server 200 designates a center cell based on the collected location log. Step S2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분할된 각각의 단위 영역에 셀 ID (C_1, C_2, C_3 등)를 부여하고, 수집된 위치 로그와, 각 위치 로그가 속하는 단위 영역의 셀 ID를 연계시킨다. 그 다음, 셀 ID 별로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빈도수를 기초로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도 6은, 분할된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들을 중심셀로 지정한 것을 나타낸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cente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geofencing server 200 assigns cell IDs (C_1, C_2, C_3, etc.) to each divided unit area, and a collected location log and a cell ID of a unit area to which each location log belongs. Connect. Then, the frequency of the location log may be measured for each cell ID, and the center cell may be designated based on the measured frequency. 6 shows that unit areas meeting a preset designation condition among divided unit areas are designated as center cells.

지오펜싱 서버(200)는 중심셀 지정 시, 수집된 위치 로그 중 기 지정된 수집 기간 내에 수집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 기간이 1일로 지정된 경우, 1일 동안 수집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고, 수집 기간이 1주일로 지정된 경우, 1주일 동안 수집된 위치 로그를 이용하여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When designating the center cell, the geofencing server 200 may designate the center cell by using the location log collected within a predetermined collection period among the collected location logs. For example, when the collection period is designated as 1 day, the location log collected for 1 day may be used, and when the collection period is designated as 1 week, the center cell may be designated by using the location log collected for 1 week.

지오펜싱 서버(200)는 지정된 수집 기간에 따라, 중심셀을 지정하는 지정 조건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수집 기간이 1일인 경우,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활패턴이 1일 단위임을 감안하면 1일치 위치 로그로는 매일 반복되는 패턴을 확인하기는 어려우므로, 심야 시간대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단위 영역을 주거지로 추정하여 중심셀로 지정하거나,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단위 영역들을 중심셀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수집 기간이 n일 (n은 2 이상)인 경우에는 반복되는 패턴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단위 영역에 머무르는 빈도수가 일정 횟수 이상, 예컨대 n번 이상인 경우, 평균적으로 매일 해당 단위 영역에 1회 이상 머물렀다는 의미이므로 패턴으로 간주하여 해당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할 수 있다. The geofencing server 200 may change a designation condition for designating a center cell according to a designated collection period. For example, when the collection period is 1 day,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repeating pattern every day with the 1-day location log, considering that the life pattern of general people is in units of 1 day. It can be estimated and designated as the center cell, or unit areas that stay for a certain time or longer can be designated as the center cell. On the other hand, if the collection period is n days (n is 2 or more), a repeating pattern can be estimated, so if the frequency of staying in the unit area i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for example, n times or more, on average, once per day in the unit area Since it means that it has stayed longer, it can be regarded as a pattern and the unit area can be designated as the center cell.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6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한다. 단계 S26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2 again, in step S260, the geofencing server 200 designates a unit area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Step S2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오펜싱 서버(200)는 단계 S240에서 지정된 중심셀에 이웃하는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중심셀에 직접적으로 이웃하는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정 거리로 이웃하는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neighbo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fencing server 200 may designate a unit area adjacent to the center cell designated in step S240 as a neighbor cell. Referring to FIG. 7, a unit area directly adjacent to each center cell is designated as a neighboring cel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unit area adjacent to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esignated as a neighboring cell.

다시 도 2로 돌아가면, 단계 S280에서 지오펜싱 서버(200)는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한다. 단계 S280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Returning to FIG. 2 again, in step S280, the geo-fencing server 200 sets an area composed of a center cell and a neighboring cell as a geo-fencing area. Step S2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오펜싱 서버(200)는 단계 S240에서 지정된 중심셀과 단계 S260에서 지정된 주변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geofencing server 200 may set an area composed of a center cell designated in step S240 and a peripheral cell designated in step S260 as a geofencing area.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 간의 간격이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 시,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지오펜싱 영역을 적절하게 연결시켜주는 방법이 문제된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a geofencing area is not connected due to a distance between two cente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when a geofencing area is set, when the geofencing area is not connected due to a distance between two center cells, a method of properly connecting the geofencing area is problematic.

지오펜싱 영역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는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하는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고,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고, 새롭게 지정된 중심셀과 이웃셀을 추가하여 지오펜싱 영역을 연결시킬 수 있다.As a method of connecting the geofencing area, the unit area located between two center cells that are far apart is designated as a new center cell, the unit area adjacent to the new center cell is designated as a new neighboring cell, and the newly designated center cell Geofencing areas can be connected by adding and neighboring cell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두 중심셀 사이에서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 시,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할 수 있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signating a new center cell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wo cente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when designating a unit area located between two center cells as a new center cell, a unit area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wo center cells may be designated as a new center cell.

그러나, 두 중심셀의 간격이 상당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지오펜싱 영역을 연결하면 실제 사용자 단말의 이동 경로와의 오차가 커질 수 있다.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is greater than a considerable distance, connecting the geofencing area using the method of designating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two center cells as a new center cell may increase the error with the actual user terminal's moving path. have.

따라서, 두 중심셀의 간격이 상당거리 이상으로 먼 경우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하고, 추정된 이동 수단을 기초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is far more than a considerable distance, for example, the user's moving means is estimated by collecting the user's mo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and the user's moving means is The movement path may be checked, and a new center cell may be designated based on the confirmed movement path of the user and the radius of the unit area.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등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4 Km/h 이하인 경우에는 도보, 4 Km/h ~ 15 Km/h인 경우에는 자전거, 15 Km/h 이상인 경우 차량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동 수단이 추정되면, 예컨대, 도보인 경우는 인도를 따라서 이동하고, 자전거의 경우 자전거 도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차량의 경우 차도를 따라서 이동하므로, 추정된 이동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 moving speed and a moving direction of a user terminal may be collected through a navigation program, and the user's moving means may be estimated based on the collected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user's moving speed is 4 Km/h or less, it can be estimated as walking, if it is 4 Km/h to 15 Km/h, it is a bicycle, and if it is 15 Km/h or more, it can be estimated as a vehicle. Wh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is estimated, for example, when walking, it moves along the sidewalk, in the case of a bicycle, it moves along a bicycle road, and in the case of a vehicle, it moves along the roadway. I can.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정되면,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이동 경로 상에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위치 로그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으로 나눈 지점들에 생성할 수 있다. 으로 나누는 이유는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user's moving path is estimated, a new location log may be generated on the moving path based on the radius of the unit area, and a new center cell may be designated based on the generated location log. For example, a new location log can be created at points divided by the user's moving path. The reason for dividing b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below.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중심셀 간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두 중심셀이, 중심셀에 직접 이웃하는 이웃셀에 의해 하나의 지오펜싱 영역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중심셀의 중심간의 간격이 이내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으로 나눈 지점에 새로운 위치 로그를 지정하고, 새로운 위치 로그를 기초로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면, 새로운 중심셀들은 이웃셀들에 의하여 하나의 지오펜싱 영역으로 연결될 수 있다.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acing between two center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in order for two center cells to be connected to one geofencing area by a neighboring cell directly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shown in FIG. 11, the interval between the centers of the two center cells must be within. . Therefore, if a new location log is designated at a point divided by the user's movement path by and a new center cell is designated based on the new location log, the new center cells can be connected to one geofencing area by neighboring cells.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0 내지 S28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200 to S28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메모리(1100) 및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1120)을 포함할 수 있다.1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a computing device may include a memory 1100 and a processing unit 1120 arranged to interface with the memory.

프로세싱 유닛(1120)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다각형 또는 MECE 모양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메모리(1100)에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여,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unit 1120 divides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polygonal or MECE-shaped unit areas, periodically collects the user's location log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100, and based on the stored location log, the unit area By designating a unit area meeting a set specified condition as a center cell, and designating a unit area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an area composed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may be set as the geofencing area.

프로세싱 유닛(1120)은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고,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여, 새로운 중심셀 및 새로운 이웃셀로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영역을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If the geofencing area is not connect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the processing unit 1120 designates a unit area located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as a new center cell, and designates a unit area adjacent to the new center cell as a new neighbor. By designating a cell, an area formed by additionally including a new center cell and a new neighboring cell may be set as a geofencing area.

도 2에서 설명한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described in FIG. 2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mission mechanism,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사용자 단말
200: 지오펜싱 서버
100: user terminal
200: geofencing server

Claims (20)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Geo-Fencing)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상기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cell)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마다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대한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In a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of a user terminal,
Dividing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Periodically collecting a location log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llection time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esignating, as a center cell, a unit area meeting a preset designation condition among the unit areas based on the location log;
Designating a unit region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And
Setting an area composed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Including,
The step of designating the center cell,
Measuring a frequency of the location lo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And
And designating a center cell for the geofencing area based on the frequency nu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의 모양을 MECE(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배제 및 전체포괄)하도록 설정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o set the shape of the unit area to be MECE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은 다각형 모양인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area is a polygonal shape,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단위 영역에 셀 ID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위치 로그를 상기 셀 ID와 연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셀 ID 별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signating the center cell,
Assigning a cell ID to each unit area;
Associating the collected location log with the cell ID; And
Measuring the frequency of the location log for each cell ID;
Containing,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로그 중 기 지정된 수집 기간 내에 수집된 위치 로그를 사용하여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signating the center cell,
To designate the center cell using the location log collected within a predetermined collection period of the location log,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조건은 상기 지정된 수집 기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designation condition i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collection period,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심셀, 상기 이웃셀, 상기 새로운 중심셀, 상기 새로운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setting the geofencing area,
Designating a unit area located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as a new center cell when the geofencing area is not connect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Designating a unit area adjacent to the new center cell as a new neighboring cell; And
Setting an area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the neighboring cell, the new center cell, and the new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That includes,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designating the new center cell,
The method of setting a geofencing area to designate a unit area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as a new center ce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 및 상기 추정된 이동 수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로그 및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designating the new center cell,
Collect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ement speed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Estimating a means of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Confirming a movement path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movement means;
Generating a new location log for the movement path based on a radius of the unit area; And
Designating the new center cell based on the location log and the new location log
That includes, geofencing area setting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경로를 길이로 나누어 생성하는 것인, 지오펜싱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generating of the new location log comprises generating the moving path by dividing the length by the length.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마다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상기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대한 중심셀을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In a computing device for setting a geofencing area based on a location log of a user terminal,
Memory; And
A processing unit arranged to interface with the memory
Including,
The processing unit,
Dividing the entire area into multiple unit areas
Periodically collecting the location log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llection time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Based on the stored location log, a unit area meeting a preset designation condition among the unit areas is designated as a center cell,
Designate a unit area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It is configured to set the area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The processing unit,
Measuring the frequency of the location lo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The computing device, configured to designate a center cell for the geofencing area based on the frequency numb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영역의 모양을 MECE하도록 설정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Setting the shape of the unit area to ME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각각의 단위 영역에 셀 ID를 부여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 로그를 상기 셀 ID와 연계시키고,
상기 셀 ID 별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ing unit,
Assign a cell ID to each of the unit areas,
Associate the collected location log with the cell ID,
The computing device, further configured to measure the frequency of the location log for each cell I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로그 중 기 지정된 수집 기간 내에 수집된 위치 로그를 사용하여 상기 중심셀을 지정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o designate the center cell by using the location log collected within a predetermined collection period of the location lo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조건은 상기 지정된 수집 기간에 따라 변경되는 것인,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esignated cond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collection perio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두 중심셀 간의 거리가 멀어 상기 지오펜싱 영역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두 중심셀 사이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새로운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 상기 이웃셀, 상기 새로운 중심셀, 상기 새로운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cessing unit,
When the geofencing area is not connecte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a unit area located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is designated as a new center cell,
Designating a unit area adjacent to the new center cell as a new neighboring cell,
The computing device, further configured to set an area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the neighboring cell, the new center cell, and the new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중심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단위 영역을 새로운 중심셀로 지정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The computing device, wherein a unit area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two center cells is designated as a new center cel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추정하고,
상기 사용자 이동 정보 및 상기 추정된 이동 수단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상기 단위 영역의 반경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새로운 위치 로그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로그 및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새로운 중심셀을 지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6,
Collecting user mov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movement speed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user,
Estimating the means of movement of the user using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Check the movement path of the user based on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movement means,
Create a new location log for the movement path based on the radius of the unit area,
The computing device, further configured to designate the new center cell based on the location log and the new location log.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위치 로그는 상기 이동 경로를 길이로 나누어 생성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new location log is generated by dividing the movement path by a length.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그를 기반으로 지온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지오펜싱 영역을 설정하는 지오펜싱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전체 영역을 복수의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로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위치 로그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영역 중 기 설정된 지정 조건에 부합하는 단위 영역을 중심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한 단위 영역을 이웃셀로 지정하고,
상기 중심셀과 이웃셀로 이루어진 영역을 상기 지오펜싱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오펜싱 서버는,
상기 복수의 단위 영역 각각마다 상기 위치 로그의 빈도수를 측정하고,
상기 빈도수에 기초하여 상기 지오펜싱 영역에 대한 중심셀을 지정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In the system for setting the Zeon fencing area based on the location log of the user terminal,
A user terminal periodically transmitting a location log; And
Including a geofencing server for setting a geofencing area of the user terminal,
The geofencing server,
Divide the entire are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Periodically collecting the location log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llection time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ing it in a memory,
Based on the stored location log, a unit area meeting a preset designation condition among the unit areas is designated as a center cell,
Designate a unit area adjacent to the center cell as a neighbor cell,
It is configured to set the area consisting of the center cell and the neighboring cell as the geofencing area,
The geofencing server,
Measuring the frequency of the location lo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And configured to designate a center cell for the geofencing area based on the frequency.

KR1020140135798A 2014-10-08 2014-10-08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KR102199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98A KR102199206B1 (en) 2014-10-08 2014-10-08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98A KR102199206B1 (en) 2014-10-08 2014-10-08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77A KR20160041577A (en) 2016-04-18
KR102199206B1 true KR102199206B1 (en) 2021-01-06

Family

ID=5591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98A KR102199206B1 (en) 2014-10-08 2014-10-08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2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58B1 (en) * 2016-04-27 2018-07-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onitoring position using gps
KR102592208B1 (en) * 2018-07-10 2023-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VEHICLE LOCATION
KR102595887B1 (en) * 2023-08-03 2023-10-30 주식회사 티미 Parking guidan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based on optical sens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10B1 (en) * 2008-12-15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ocation logging and location and time based filte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9984B2 (en) * 2011-06-03 2015-04-28 Apple Inc. Selecting wireless access points for geofence monitoring
US8897803B2 (en) * 2012-01-13 2014-11-25 Apple Inc. Finding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610B1 (en) * 2008-12-15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ocation logging and location and time based fil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77A (en)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58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services related to geographic location
US960300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dio network scanning using geo-tagged information from wireless client devices of heterogeneous wide area networks
ES2671061T3 (en) Procedure, central st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location of data points
Menon et al. Ensuring reliable communication in disaster recovery operations with reliable routing technique
EA201501154A1 (en) CHOICE OF A SOTE IN A DYNAMIC ARBITRATION SPECTRUM SYSTEM
US8989701B2 (en) Identifying a wireless device of a target user for communication interception based on individual usage pattern(S)
CN105307111A (en) Position privacy protection method based on incremental neighbour inquiry
US10278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computing of origin-destination matrices relating to attendees at a public happening through analysi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ata
Gupta et al. DirMove: direction of movement based routing in DTN architecture for post-disaster scenario
US9756665B2 (en) Network assisted automatic disaster trigger to enable device-to-device (D2D) ad hoc communication
KR102199206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ing device for determining geo-fencing area.
Yan et al. TSearch: Target-oriented low-delay node searching in DTNs with social network properties
El Fissaoui et al. Mobile agent protocol based energy aware data aggrega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US9794750B1 (en) Venue-specific wireless access point location information creation and distribution
RU2016102321A (en) WLAN NETWORK SELECTION
Das Mobility management—A personal perspective
KR101448944B1 (en) A routing method for Vehicular Ad-Hoc Network and an apparutus using the same
CN111050398A (en) Pag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433059B2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positioning mobile terminal based on communication record
RU2015138937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IORITY BLOCKING ACCESS TO SERVICES
KR102108292B1 (en) Unmanned vehicle base station deployment and management for extending the network coverage
Das et al. Hm2Sc: Human movement model for post disaster scenario in smart city
Jung et al. MQry: Elastic validity region for querying mobile point-of-interests in infrastructure-less networks
US11870638B1 (en) Network resiliency and impact coordination
US202400898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sted cellular conne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