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270B1 -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270B1
KR102198270B1 KR1020180137038A KR20180137038A KR102198270B1 KR 102198270 B1 KR102198270 B1 KR 102198270B1 KR 1020180137038 A KR1020180137038 A KR 1020180137038A KR 20180137038 A KR20180137038 A KR 20180137038A KR 102198270 B1 KR102198270 B1 KR 102198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implant
protrusion
repair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390A (ko
Inventor
백정환
송동률
유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커스메디
백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커스메디, 백정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커스메디
Priority to KR102018013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2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2Modelling of surgical devices, implants or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75Skull or cranium
    • A61F2002/2882Malar or zygoma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94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30942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 A61F2002/30948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e.g. using templates, CT or NMR scans, finite-element analysis or CAD-CAM techniques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e. CT sc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는, 스크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수복 대상 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Cortical Bone)에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메쉬(mesh) 구조의 유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Implant for Restoring and Fixing Maxillofacial defects}
본 출원은 안면골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악안면(Maxillofacial)이란 안면, 턱, 구강을 구성하는 상, 하악골, 치아 등의 경조직이나 구순, 잇몸, 혀 등의 연조직과 이들의 주변에 있는 구강 기관을 일컫는다.
특히, 교통사고 등의 외상으로 인한 골손실, 광대축소술 등의 성형수술 부작용, 반안면 왜소증 등의 선천적 기형 등의 광대뼈 소실이 발생한 경우 이를 재건하기 위한 임플란트를 이식하는 방법이 이루어져 왔다.
악안면부의 안면골(Maxillofacial & Cranial Bone) 재건을 위한 성형용 임플란트로서, 절단된 뼈 조각이 신생뼈에 의해 고정되기 전까지 단기 고정하는 용도로써 초기 골이 유합(Fusion)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플레이트 및 스크류를 이용하는 방식과, 각종 보형물을 삽입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조직과의 단차가 발생하여 수술 후 얇은 피부를 통해 임플란트가 비치거나 만져지는 단점이 존재하고, 수술 현장에서 환자의 외관에 상응하게 보형물 등을 수작업으로 가공하므로 온전한 외형 복원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보형물을 이식할 때 잔여 뼈 조직으로 인해 수술이 어려운 경우 기존 조직을 과도하게 제거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63956호 (2018.06.29) 일본등록특허문헌 제2992535호 (1997.07.08)
본 출원은 기존 조직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결손뼈 조직을 재건할 수 있는 임플란트로, 이식 후 기존 조직과의 단차 없이 외관을 회복하는 재건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스크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수복 대상 뼈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Cortical Bone)에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메쉬(mesh) 구조의 유합부를 포함하는,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광대뼈, 관자뼈 및 아래턱뼈를 포함하는 안면골의 결손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내측 프로파일은 상기 수복 대상 뼈 또는 상기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위치하는 잔존 뼈 조각에 밀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복 대상 뼈를 갖는 대상의 CT 영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위상최적화를 위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프레임 내부의 공간을 채우는 메쉬 구조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 유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유합부는 각각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 프레임의 높이와 상응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은 상기 유합부만을 관통하여 더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유합부에는 봉합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봉합홈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스크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통해 상기 수복 대상 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합부 및 상기 돌출부 유합부의 메쉬 내 그물간격은 1.5mm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임플란트와 수복 대상 뼈 사이의 유합력이 향상되어 이식되는 임플란트가 이탈하지 않고 삽입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장하는 뼈가 침투하는 메쉬 구조의 유합부의 면적이 극대화하고, 프레임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임플란트와 수복 대상 뼈의 유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하중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임플란트의 형상이 수복 대상 뼈에 밀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기존의 안면골 결손 수복용 임플란트에 비해 수복 대상 뼈에 접촉하는 면적이 최대화되어 보다 단단한 유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식 후 기존 조직과의 단차 없이 외관을 회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크류를 통해 수복 대상 뼈와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주변 연부 조직과 봉합사를 통해 더 고정되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단순 결손의 경우, 결손부에 조각난 뼈가 위치한 경우, 뼈가 소실되어 결손부가 비어 있는 공간인 경우 다양한 경우에 적용 가능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순히 결손부를 커버하는 것이 아닌, 돌출부 구성을 통해 결손부를 메꾸어줌에 따라 이식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도 오랜 시간 동안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의 임플란트는 위상최적화를 통해 디자인되어 임플란트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화되며 및 그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가 적용되는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평면도이며, 도 4는 저면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정면도이고, 도 6은 후면도이며, 도 7은 실제 임상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정면도이고, 도 9는 후면도이며, 도 10은 실제 임상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13은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1은 정면도이고, 도 12는 후면도이며, 도 13은 실제 임상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15는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4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용어 "결손부"는 골절 또는 수술 등으로 해당 뼈가 존재하지 않거나(즉, 본래 존재해야 할 뼈가 완전히 소실됨), 본래 연결되어야 할 뼈가 분리되어 있는 등 정상 상태가 아닌 부위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 "수복 대상 뼈"는 결손부가 발생한 부위를 포함하는 뼈를 의미하는 것으로, 결손부를 수복하기 위해 모든 종류의 뼈가 여기에 해당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광대뼈 및 관자뼈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용어 "위상최적화"는 임플란트에 하중을 가한 후, 변형 또는 응력 결과가 크게 변화되는 부분은 더 보강하고, 변화가 적은 부분은 삭제하는 등으로 임플란트 형성 재료의 최소화 및 하중 분산의 최적화(즉, 비용과 성능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는 개념을 의미한다. 균질화 기법, 밀도 방법에 기초한 위상최적화가 대표적으로 이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00)는 몸체(110, 210, 310, 410, 510) 및 돌출부(120, 220, 320, 420, 520)를 포함한다.
몸체(110, 210, 310, 410, 510)는 임플란트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이며, 돌출부(120, 220, 320, 420, 520)는 몸체(110, 210, 310, 410, 510)로부터 돌출하여 수복 대상 뼈에 배치 및 연결되어 결손부를 수복하는 구성이다.
몸체(110, 210, 310, 410, 510)에는 스크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되며, 스크류가 체결홈을 통과하여 수복 대상 뼈에 삽입됨으로써 임플란트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10, 210, 310, 410, 510)는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Cortical Bone)에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111, 211, 311, 411, 511) 및 프레임(111, 211, 311, 411, 511)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3차원 메쉬(mesh) 구조의 유합부(112, 212, 312, 412, 512)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메쉬 구조란 그물망, 철망의 격자 구조와 같이 일정한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를 의미한다.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사각 형상의 구조가 반복되는 메쉬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메쉬 구조가 3차원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111, 211, 311, 411, 511)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유합부(112, 212, 312, 412, 512)는 3차원 구조의 메쉬로 구성되어, 그 내부의 다수의 기공(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을 통해 수복 대상 뼈가 생장하면서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00)와 수복 대상 뼈간 골유합이 단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근육, 인대, 근막 등과 같은 연부조직과의 친화력이 향상된다.
유합부(112, 212, 312, 412, 512)의 메쉬 구조 내 그물간격(즉, 어느 하나의 격자와 인접한 격자 사이의 간격)은 1.5m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유합부(112, 212, 312, 412, 512)에 형성된 그물의 모서리의 길이를 의미하며, 1.5mm보다 큰 경우 생장하는 뼈가 유합부(112, 212, 312, 412, 512) 내부 공간에 침투하기는 용이해지나 그와 반대로 수복 대상 뼈와의 골유합력이 약해져 임플란트와의 고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쉬 구조 내 그물간격은 1.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00)의 수복 대상 뼈와 맞닿는 면(즉, 몸체(110, 210, 310, 410, 510)와 돌출부(120, 220, 320, 420, 520)의 내측 프로파일)은 수복 대상 뼈 또는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위치하는 잔존 뼈 조각에 밀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수복 대상 뼈와 맞닿는 면이 수복 대상 뼈 또는 결손부에 위치하는 잔존 뼈 조각에 밀착되도록 굴곡과 형상이 서로 상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임플란트가 이식되더라도 본래 뼈의 형상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하여 온전한 원형 복원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몸체(110, 210, 310, 410, 510)와 돌출부(120, 220, 320, 420, 520)의 내측 프로파일은, 임플란트 이식 전 이식 대상 환자의 의료 영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의료 영상은 X-ray 영상, CT 영상 등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보다 정밀한 프로파일 결정을 위해 CT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20, 220, 320, 420, 520)는 몸체(110, 210, 310, 410, 510)로부터 돌출하여 수복 대상 뼈에 연결되거나,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결손부는 본래 있어야 할 뼈가 소실되거나 골절 등으로 인하여 온전치 못한 부분(즉, 수복 대상 뼈에 틈이 존재함)이므로, 이러한 틈에 삽입되거나 소실된 부분을 메꿔주는 역할을 하여 결손부를 보완하게 되는 것이다.
돌출부(120, 220, 320, 420, 520) 역시 몸체(110, 210, 310, 410, 510)와 마찬가지로, 수복 대상 뼈 또는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위치하는 잔존 뼈 조각에 밀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수복 대상 뼈와 맞닿는 면이 수복 대상 뼈 또는 결손부에 위치하는 잔존 뼈 조각에 밀착되도록 굴곡과 형상이 서로 상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임플란트가 이식되더라도 본래 뼈의 형상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하여 온전한 원형 복원을 이룰 수 있다.
체결홈(130, 230, 330, 430, 530)은 각각 몸체(110, 210, 310, 410, 510)을 관통하여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체결홈(130, 230, 330, 430, 530)을 통해 스크류가 수복 대상 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플란트가 수복 대상 뼈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홈(130, 230, 330, 430, 530)은 프레임(111, 211, 311, 411, 511)이 형성된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유합부(112, 212, 312, 412, 512)가 형성된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도 7).
임플란트는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이식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몸체(110, 210, 310, 410, 51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111, 211, 311, 411, 511)을 관통하여 체결홈(130, 230, 330, 430, 530)이 형성되나,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중간 부분이 수복 대상 뼈와 고정될 수 있다면 보다 단단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기에, 유합부(112, 212, 312, 412, 512)에도 체결홈(130, 230, 330, 430 530)이 형성되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500)의 몸체(510)에는 수복 대상 뼈와 인접한 연부 조직(근육, 인대 및 근막 등)과의 봉합을 위해 봉합사가 통과하는 봉합홈(540)이 돌출부 유합부(522)를 관통하여 더 형성될 수 있는데, 그 크기는 스크류가 통과하는 체결홈(130, 230, 330, 430, 530)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봉합홈(540)을 통해 주변의 연부 조직과 더 고정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100, 200, 300, 400, 5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100)는 몸체(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에 맞닿는 부분에는 프레임(111)이 형성되며, 길이 방향 양측 말단에는 각각 1개의 체결홈(130a, 130b)이 프레임(11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홈(130a, 130b)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111)의 내부 공간에는 메쉬 구조의 유합부(112)가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몸체(110)로부터 돌출되어 뼈 결손틈에 꼭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돌출부(120) 역시 각 모서리가 프레임(121)으로 형성되되, 그 내부 공간은 메쉬 구조의 유합부(122)가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100)의 경우, 안면골에 발생한 결손부의 수복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의 결손부의 수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2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200)는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조각난 뼈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뼈를 제거하지 않고 임플란트를 이식하여 재건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200)는 몸체(210) 및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몸체(210)의 형상은 결손이 발생한 수복 대상 뼈의 원형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데, 도 7의 경우 광대뼈와 관자뼈 사이의 결손이 발생하였으되, 노란색으로 도시된 조각난 뼈가 존재하는 경우로서, 조각난 뼈를 커버하면서도 결손이 발생한 부분의 뼈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몸체(210)의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과 맞닿는 부분에는 프레임(211)이 형성되며, 그렇지 않은 부분에는 메쉬 구조의 유합부(212)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꿔주는 돌출부(220)는 위상최적화를 위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 프레임(221) 및 그 내부 공간을 채우는 메쉬 구조의 돌출부 유합부(222)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부 유합부(222)의 높이는 돌출부 프레임(221)이 몸체(210)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220)가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꾸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변 조직과의 유합력이 향상된다.
상기한, 몸체(210) 및 돌출부(220),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210)의 프레임(211) 및 유합부(212) 그리고 돌출부(220)의 돌출부 프레임(221) 및 돌출부유합부(222)의 내측 프로파일은 수복 대상 뼈 또는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홈(230a, 230b, 230c, 230d, 230e, 230f, 230g, 230h)이 관통 형성되어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300)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300)는 뼈가 소실되어 결손부가 큰 경우 제1 실시예 임플란트(100)와 같은 단순 고정용 임플란트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300)는 몸체(310) 및 돌출부(320)를 포함한다.
몸체(310)의 형상은 결손이 발생한 수복 대상 뼈의 원형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데, 도 10의 경우 광대뼈와 관자뼈 사이의 결손이 발생하였으되, 결손이 발생한 부분의 뼈가 완전히 소실되어 빈 공간으로 존재하는 경우로서, 결손이 발생한 부분의 뼈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몸체(310)의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과 맞닿는 부분에는 프레임(311)이 형성되며, 그렇지 않은 부분에는 메쉬 구조의 유합부(312)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꿔지는 돌출부(320)는 위상최적화를 위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 프레임(321) 및 그 내부 공간을 채우는 메쉬 구조의 돌출부 유합부(322)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부 유합부(322)의 높이는 돌출부 프레임(321)이 몸체(310)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320)가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꾸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변 조직과의 유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몸체(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의 체결홈(330a, 330b, 330d, 330e, 330f, 330g, 330h, 330i)이 관통 형성되어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유합부(312)를 관통하는 체결홈(330c)이 더 형성되어 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400)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400)는 몸체(410) 및 돌출부(420)를 포함한다.
몸체(410)의 형상은 결손이 발생한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를 커버하면서도, 주변 뼈와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몸체(410)의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과 맞닿는 부분에는 프레임(411)이 형성되며, 그렇지 않은 부분에는 메쉬 구조의 유합부(412)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상최적화를 위한 돌출부(420)의 돌출부 프레임(421)은 몸체(410)의 프레임(411) 내측에 결손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몸체(410)로부터 돌출되고, 메쉬 구조의 돌출부 유합부(422)는 돌출부(420)의 돌출부 프레임(421) 내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돌출부 유합부(422)의 높이는 돌출부 프레임(421)이 몸체(410)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420)가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꾸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변 조직과의 유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몸체(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몸체(410)의 프레임(411) 및 돌출부(420)의 돌출부 프레임(421) 사이에 하나 이상의 체결홈(430a, 430b, 430c, 430d, 430e)이 관통 형성되어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 도 14 및 15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500)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500)는 몸체(510) 및 돌출부(520)를 포함한다.
몸체(510)의 형상은 결손이 발생한 수복 대상 뼈의 원형과 상응한 형상을 가진다.
몸체(510)의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과 맞닿는 부분에는 프레임(511)이 형성되며, 그렇지 않은 부분에는 메쉬 구조의 유합부(512)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꿔주는 돌출부(520)는 위상최적화를 위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 프레임(521) 및 그 내부 공간을 채우는 메쉬 구조의 돌출부 유합부(522)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돌출부 유합부(522)의 높이는 돌출부 프레임(521)이 몸체(510)로부터 돌출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520)가 결손이 발생한 부분을 메꾸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변 조직과의 유합력이 향상된다.
제5 실시예 임플란트(500)는 다른 임플란트와 다르게 봉합홈(540a, 540b, 540c, 540d, 540e)를 더 포함하게 된다. 봉합홈(540a, 540b, 540c, 540d, 540e)은 돌출부 유합부(52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봉합홈(540a, 540b, 540c, 540d, 540e)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 배열될 수 있고, 봉합홈(540a, 540b, 540c, 540d, 540e)을 형성하는 프레임은 돌출부(520)와 연결된다.
봉합사는 봉합홈(540a, 540b, 540c, 540d, 540e)을 통과하여 주변 연부 조직(근육, 인대 및 근막 등)과 더 봉합됨으로써 스크류를 통해 체결홈(530a, 530b, 530c, 530d, 530e)을 통해 수복 대상 뼈에만 고정되는 것보다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출원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임플란트
110, 210, 310, 410, 510: 몸체
111, 211, 311, 411, 511: 프레임
112, 212, 312, 412, 512: 유합부
120, 220, 320, 420, 520: 돌출부
121, 221, 321, 421, 521: 돌출부 프레임
122, 222, 322, 422, 522: 돌출부 유합부
130, 230, 330, 430, 530: 체결홈
540: 봉합홈

Claims (10)

  1. 스크류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홈이 관통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기 수복 대상 뼈의 피질골(Cortical Bone)에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메쉬(mesh) 구조의 유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위상최적화를 위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 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프레임 내부의 공간을 채우는 메쉬 구조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 유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유합부는 각각 그에 대응하는 돌출부 프레임의 높이와 상응한 높이를 가지고,
    상기 몸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내측 프로파일은 상기 수복 대상 뼈 또는 상기 수복 대상 뼈의 결손부에 위치하는 잔존 뼈 조각에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광대뼈, 관자뼈 및 아래턱뼈를 포함하는 안면골의 결손부에 배치되는,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프로파일은 상기 수복 대상 뼈를 갖는 대상의 CT 영상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은 상기 유합부만을 관통하여 더 형성되는 것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유합부에는 봉합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봉합홈이 관통 형성되는,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스크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홈을 통해 상기 수복 대상 뼈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합부 및 상기 돌출부 유합부의 메쉬 내 그물간격은 1.5mm이하인,
    안면골 결손부 수복용 임플란트.
KR1020180137038A 2018-11-09 2018-11-09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KR102198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38A KR102198270B1 (ko) 2018-11-09 2018-11-09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038A KR102198270B1 (ko) 2018-11-09 2018-11-09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390A KR20200054390A (ko) 2020-05-20
KR102198270B1 true KR102198270B1 (ko) 2021-01-06

Family

ID=7091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038A KR102198270B1 (ko) 2018-11-09 2018-11-09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1538A (zh) * 2020-09-25 2021-04-13 重庆工港致慧增材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个性化网状植入体及其制作方法
CN113384380B (zh) * 2021-06-22 2023-08-18 深圳市艾科赛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颅骨修复体及颅骨修复体的制作方法
KR102602265B1 (ko) * 2021-10-27 2023-11-17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연골 봉합사용 고정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60B1 (ko) 2012-12-26 2013-05-21 김일환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골고정구 및 이를 구비하는 골고정장치
JP2014046025A (ja) 2012-08-31 2014-03-17 Piolax Medical Device:Kk 骨固定用メッシュプレート
WO2017089973A1 (en) 2015-11-24 2017-06-01 Ossdsign Ab Bone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9305A (en) 1994-10-03 1996-02-06 Timesh, Inc. Mandibular prostheses
US9066733B2 (en) * 2010-04-29 2015-06-30 DePuy Synthes Products, Inc. Orthognathic implant and methods of use
PT2668967E (pt) * 2012-05-30 2014-07-30 Skulle Implants Oy Um implante
JP6600680B2 (ja) * 2014-08-14 2019-10-30 オスディーサイン アーベー 骨欠損修正用の骨インプラント
CN107624059A (zh) * 2015-05-08 2018-01-23 瑞欧斯股份有限公司 用于覆盖和/或重建骨缺损部位的装置和骨缺损部位的覆盖装置的套接件的制造方法
GB201609448D0 (en) * 2015-09-10 2016-07-13 Obl S A Medical device
KR101863956B1 (ko) 2017-01-25 2018-06-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두개악안면 결손 보철 모델 생성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두개악안면 결손 보철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6025A (ja) 2012-08-31 2014-03-17 Piolax Medical Device:Kk 骨固定用メッシュプレート
KR101264060B1 (ko) 2012-12-26 2013-05-21 김일환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골고정구 및 이를 구비하는 골고정장치
WO2017089973A1 (en) 2015-11-24 2017-06-01 Ossdsign Ab Bone implants and methods for correcting bone defects
JP2018535025A (ja) 2015-11-24 2018-11-29 オスディーサイン アーベー 骨欠損修正用の骨インプラント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390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270B1 (ko) 악안면 결손부를 수복하고 고정하는 임플란트
US10918485B2 (en) Patient-specific craniofacial implants
Lundgren et al. Guided bone regeneration of cranial defects, using biodegradable barriers: an experimental pilot study in the rabbit
US9289241B2 (en) Craniotomy closures
US8241336B2 (en) Craniotomy closure systems
CONVERSE Reconstruction of the auricle–part 1
EP0518278B1 (en) Prosthetic implant
US7662155B2 (en) Implant for use as replacement of an orbita bottom
US20220054272A1 (en) Implant for bone and cartilage reconstruction
US20080154314A1 (en) Composite interference screw for attaching a graft ligament to a bone, and other apparatus for making attachments to bone
BRPI0712583A2 (pt) implante cirúrgico composto, processo de produção de um implante cirúrgico, método de reconstrução de um defeito ósseo e kit para reparo de um defeito ósseo
KR102014195B1 (ko) 다공성 오그먼트
US20120083882A1 (en) Spinal impla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304808B2 (en) Patient-specific craniofacial implants
AU2010303525A1 (en) Methods for sternal closure
EP2305176A1 (en) Bone-tendon assembly
US20220061993A1 (en) Three-dimensional implant used in cranioplas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014166B1 (ko) 솔리드 면이 형성된 다공성 오그먼트
CN107624059A (zh) 用于覆盖和/或重建骨缺损部位的装置和骨缺损部位的覆盖装置的套接件的制造方法
KR102203493B1 (ko) 환자 맞춤형 3d 프린팅 하이브리드 플레이트
DE102021201278A1 (de) Verfahren zum Entwerfen einer Kiefergelenksprothese und entsprechendes Herstellungsverfahren
KR20190093762A (ko) 안와골절 치료용 안와삽입물, 상기 안와삽입물을 가공하는 맞춤형 형틀, 상기 맞춤형 형틀의 제작 방법 및 상기 안와삽입물의 제작방법
US2024003308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vering Device for a Bone Defect; Covering Device for a Bone Defect;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Covering a Bone Defect by Means of a Bone Defect Covering Device Brought for this Purpose to an Insertion Position
DE202023100431U1 (de) Endoprothese und Endoprothesen-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