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581B1 -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581B1
KR102195581B1 KR1020190021171A KR20190021171A KR102195581B1 KR 102195581 B1 KR102195581 B1 KR 102195581B1 KR 1020190021171 A KR1020190021171 A KR 1020190021171A KR 20190021171 A KR20190021171 A KR 20190021171A KR 102195581 B1 KR102195581 B1 KR 102195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module
frame module
support plates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772A (ko
Inventor
장기홍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 모듈을 메인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베이스 프레임 모듈을 일방향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유지 보수 작업시 구동 모듈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이 일체로 분리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고,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랙 창고를 향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공간에 대한 공간 제약이 없어 작업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Compact Type Lift System}
본 발명은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모듈을 메인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베이스 프레임 모듈을 일방향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유지 보수 작업시 구동 모듈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이 일체로 분리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고,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랙 창고를 향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공간에 대한 공간 제약이 없어 작업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근대기업에서는 상적 유통활동, 즉 거래의 부분만이 아니라, 제품을 소비자의 손에까지 정확하고 신속하게 배달할 물류 활동이 중요한 부분으로서 부각되었다. 즉 경제발전과 함께, 생산비용의 인하만을 추구하다가는 격심한 기업경쟁에서 이길 수가 없으며, 유통비도 가능한 한 절감되도록 해야 한다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현재, 물류 합리화의 수단으로서, 대도시 주변에 배달 센터, 트럭 터미널, 창고단지 등을 집중적으로 들어서게 하는 유통 센터의 건설, 컨테이너나 팔레트를 이용하여 수송의 일관화를 꾀하는 유닛 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의 추진, 각 수송기관의 유기적 결합으로 수송의 효율화를 지향하는 협동일관수송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조성하고 있는 곳도 있다.
물류 창고는 신속한 화물의 입고와 출고가 생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은 랙 창고 사이를 주행하며 물품을 승하강 및 수평 이동시켜 랙 창고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장치이고, 셔틀은 다단 랙 창고의 각 단과 동일 높이로 이송 대차가 수평 주행하며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장치이며, 리프트는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과 같은 물품 이송 장치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랙 창고의 전방 및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 등의 발달로 인해 다품종 소량 주문 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 창고 시스템 또한 신속한 처리와 효율성 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랙 창고의 효율적인 공간 배치는 물론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컴팩트한 구조 또한 설계시 중요 고려 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리프트의 경우, 랙 창고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랙 창고의 효율적인 공간 배치를 위해서는 리프트의 컴팩트한 구조가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이 경우, 리프트의 설치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 유지 보수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9467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모듈을 메인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베이스 프레임 모듈을 일방향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유지 보수 작업시 구동 모듈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이 일체로 분리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랙 창고를 향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공간에 대한 공간 제약이 없어 작업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랙 창고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별도의 물품 이송 장치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랙 창고의 전방 또는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로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모듈;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 물품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캐리어가 결합되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로부터 랙 창고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은, 지면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부에서 동일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랙 창고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과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사이에 수직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중간 지지판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중간 지지판 중 적어도 일부는 랙 창고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 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개방 슬롯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지지판 중 상기 개방 슬롯이 형성된 중간 지지판에는 상기 개방 슬롯의 개방된 끝단 부위에 별도의 보강 지지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은 상기 랙 창고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2개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 벨트는 2개의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벨트가 권취되는 구동 풀리; 축 방향이 상기 랙 창고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 풀리에 관통 결합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구동 풀리를 중심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에 각각 볼트 결합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기 구동 풀리, 베어링 하우징 및 구동 모터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개방 슬롯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시 상기 구동 모터에 작용하는 반력 토크에 대항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고정시키는 토크암 브래킷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일측에는 상기 캐리어가 최하층으로 이동시 상기 캐리어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 관통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모듈을 메인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베이스 프레임 모듈을 일방향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유지 보수 작업시 구동 모듈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이 일체로 분리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랙 창고를 향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공간에 대한 공간 제약이 없어 작업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분리 결합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분리 결합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는 랙 창고(10)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별도의 물품 이송 장치(미도시)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랙 창고(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과,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200)과, 물품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직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캐리어(300)와, 수직 가이드 레일(20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측에 캐리어(300)가 결합되는 구동 벨트(400)와, 구동 벨트(400)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구동 모듈(500)은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일체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데,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로부터 랙 창고(10)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은 전체 장치의 하부 지지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데, 여기서, 지면은 자동 창고의 바닥면이거나 또는 별도의 지지대 등을 의미한다.
수직 가이드 레일(200)은 캐리어(300)의 상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랙 창고(10)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2개 설치된다.
구동 벨트(400)는 2개의 수직 가이드 레일(200)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구동 풀리(510)에 권취되고 상단부는 종동 풀리(511)에 권취되어 무한 궤도 방식으로 상하 이동한다.
캐리어(300)는 구동 벨트(400)에 결합되어 구동 벨트(400)와 함께 상하 이동하며, 별도의 물품 이송 장치로부터 물품을 전달받거나 또는 물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별도의 물품 전송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 모듈(500)은 구동 벨트(400)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랙 창고(10)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일체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지면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110)과, 하부 지지판(110)의 상부에서 동일 수평면을 이루며 랙 창고(10)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과, 하부 지지판(110)과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 사이에 수직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중간 지지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개의 수직 가이드 레일(200)은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구동 벨트(400)는 2개의 수직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이때, 구동 풀리(510)는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 사이 공간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의 상면에는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구동 벨트(40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 조절 모듈(600)이 장착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의 일측에는 캐리어(300)가 최하층으로 이동시 캐리어(300)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 관통 슬롯(121,1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리어(300)를 지면에 최대한 가까운 높이까지 하향 이동시킬 수 있어 공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캐리어(300)를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상면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하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 공간을 축소하지 않더라도 캐리어(300)의 이동 범위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공간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복수개의 중간 지지판(140) 중 적어도 일부는 랙 창고(10)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 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슬롯(141)이 형성되고, 개방 슬롯(141)이 형성된 중간 지지판(140)에는 개방 슬롯(141)에 의해 개방된 끝단 부위에 별도의 보강 지지판(150)이 분리 가능하게 볼트 결합된다.
구동 모듈(500)은 이러한 개방 슬롯(141)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에 볼트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지지판(140)의 보강 지지판(150)을 분리 제거하여 개방 슬롯(141)을 개방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듈(500)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로부터 인출 분리할 수 있다.
구동 모듈(500)은,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구동 벨트(400)가 권취되는 구동 풀리(510)와, 축 방향이 랙 창고(10)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 풀리(510)에 관통 결합되는 메인 샤프트(520)와, 구동 풀리(510)를 중심으로 메인 샤프트(52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에 각각 볼트 결합되는 내부에 베어링(미도시)이 장착된 베어링 하우징(530)과, 메인 샤프트(520)를 회전 구동하도록 메인 샤프트(520)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구동 모듈(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520)의 축방향을 따라 베어링 하우징(530), 구동 풀리(510), 베어링 하우징(530) 및 구동 모터(54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구동 모듈(500)은 이와 같이 메인 샤프트(520)에 구동 풀리(510), 베어링 하우징(530) 및 구동 모터(540)가 결합된 상태로 중간 지지판(140)의 개방 슬롯(141)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인입된 상태에서 베어링 하우징(530)이 각각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에 볼트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중간 지지판(140)은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에 대한 상향 지지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구동 모듈(500)의 구동 풀리(510), 베어링 하우징(530)의 위치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간 지지판(140)은 구동 모듈(500)을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구동 모듈(500)의 인입 위치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중간 지지판(140)의 일측에 구동 모듈(500)의 인입 방향에 대한 수평 직각 방향으로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별도의 좌우 가이드 판(미도시)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하부 지지판(110)에는 구동 모듈(500)의 인입 방향에 대한 수직 직각 방향으로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는 별도의 상하 가이드 판(미도시)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 모듈(500)의 구동 모터(540)는 메인 샤프트(520)의 일단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외부에 배치되는데, 구동 모터(540)의 작동시 구동 모터(540)에는 작동 토크에 대한 저항력으로 반력 토크가 작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반력 토크에 대항하여 구동 모터(54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일측에는 별도의 토크암 브래킷(160)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는 구동 모듈(500)이 메인 샤프트(5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렬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이 일방향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구동 모듈(500)이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에 일체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유지 보수 작업시 구동 모듈(500)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다. 특히, 랙 창고(10)를 향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 공간에 대한 공간 제약이 없어 작업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에 대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의 텐션 조절 모듈(600)은 구동 벨트(400)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구동 벨트(400)에 대한 텐션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벨트(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위치한 종동 풀리(511) 및 구동 풀리(510)에 권취되어 상하 회전 이동하게 되는데, 구동 풀리(510)는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내부 공간인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텐션 조절 모듈(600)은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 상면에 장착되어 구동 풀리(510)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양측 구간의 구동 벨트(400)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텐션 조절 모듈(600)은,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동 벨트(4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동 풀리(510)의 중심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텐션 롤러(61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텐션 롤러(610)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텐셜 롤러 이동 수단(620,630,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텐션 롤러(610)는 구동 풀리(510)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양측 구간의 구동 벨트(400)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2개 구비된다.
이때, 텐션 롤러(610)는 텐션 롤러 이동 수단에 의해 구동 벨트(400)에 대한 가압 해제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수평 측면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2개의 텐션 롤러(610)가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수평 측면 외측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더라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텐션 롤러(610)의 최외곽 사이 간격(X1)이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수평 측면 사이의 폭(X2)보다 더 작거나 같도록 텐션 롤러(610)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는 구동 벨트(400)의 텐션 조절 모듈(600) 또한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수평 영역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전체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텐션 롤러(610)는 그 중심축(611)이 구동 풀리(510)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중심축(611)의 양단부가 텐션 롤러 이동 수단에 각각 결합되며, 텐션 롤러 이동 수단은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의 상면에 각각 결합되어 텐션 롤러(610)의 중심축(611)을 중심축(611)에 대한 수평 직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텐션 롤러 이동 수단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120,130)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며 텐션 롤러(610)의 중심축(611)이 관통 삽입되도록 중심부에 슬롯홀(621)이 형성되는 메인 지지 바디(620)와, 텐션 롤러(610)의 중심축(611)과 일체로 직선 이동하도록 중심축(611)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이동 바디(630)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동 바디(630)를 가압하도록 메인 지지 바디(620)에 관통 결합되는 조절 볼트(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조절 볼트(640)의 일방향 회전 조작에 의해 이동 바디(630)가 이동하여 텐션 롤러(610)가 구동 벨트(400)를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볼트(640)를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조작하면, 텐션 롤러(610)가 이동 바디(630)와 함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여 구동 벨트(400)를 더 강하게 가압하여 텐션을 강화하게 되고, 조절 볼트(640)를 베이스 프레임 모듈(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 조작하면, 텐션 롤러(610)가 구동 벨트(400)의 기본 탄성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이동 바디(630) 또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구동 벨트(400)의 텐션은 약화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이동 바디(630) 및 텐션 롤러(610)의 외측 방향 이동시 구동 벨트(400)의 기본 탄성력을 통해 외측 방향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동 바디(630) 및 텐션 롤러(610)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 부재 등이 불필요하여 구성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
이때, 조절 볼트(640)를 외측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시키더라도 텐션 롤러(610)가 구동 벨트(400)를 일정 정도 가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동 벨트(400)의 양측 구간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구동 벨트(400)가 구동 풀리(510)를 감싸는 영역이 증가하게 되므로, 즉, 구동 벨트(400)가 구동 풀리(510)에 권취되는 권취 영역이 증가하게 되므로, 구동 벨트(400)에 대한 회전 구동을 슬립이나 궤도 이탈 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랙 창고
100: 베이스 프레임 모듈
110: 하부 지지판
120: 제 1 상부 지지판
130: 제 2 상부 지지판
140: 중간 지지판
141: 개방 슬롯
150: 보강 지지판
160: 토크암 브래킷
200: 수직 가이드 레일
300: 캐리어
400: 구동 벨트
500: 구동 모듈
510: 구동 풀리
520: 메인 샤프트
530: 베어링 하우징
540: 구동 모터
600: 텐션 조절 모듈
610: 텐션 롤러
620: 메인 지지 바디
630: 이동 바디
640: 조절 볼트

Claims (7)

  1. 삭제
  2. 랙 창고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별도의 물품 이송 장치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랙 창고의 전방 또는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로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모듈;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가이드 레일;
    물품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캐리어;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측에 상기 캐리어가 결합되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벨트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일체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로부터 랙 창고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은
    지면에 고정 결합되는 하부 지지판;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부에서 동일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랙 창고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및
    상기 하부 지지판과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사이에 수직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중간 지지판
    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중간 지지판 중 적어도 일부는 랙 창고를 향하는 방향의 직각 방향 측면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개방 슬롯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지지판 중 상기 개방 슬롯이 형성된 중간 지지판에는 상기 개방 슬롯의 개방된 끝단 부위에 별도의 보강 지지판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은 상기 랙 창고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2개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 벨트는 2개의 상기 수직 가이드 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벨트가 권취되는 구동 풀리;
    축 방향이 상기 랙 창고를 향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 풀리에 관통 결합되는 메인 샤프트;
    상기 구동 풀리를 중심으로 상기 메인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에 각각 볼트 결합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메인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메인 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의 외부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샤프트에 상기 구동 풀리, 베어링 하우징 및 구동 모터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개방 슬롯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모듈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시 상기 구동 모터에 작용하는 반력 토크에 대항하여 상기 구동 모터를 고정시키는 토크암 브래킷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 지지판 일측에는 상기 캐리어가 최하층으로 이동시 상기 캐리어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캐리어 관통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KR1020190021171A 2019-02-22 2019-02-22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KR102195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71A KR102195581B1 (ko) 2019-02-22 2019-02-22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71A KR102195581B1 (ko) 2019-02-22 2019-02-22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72A KR20200102772A (ko) 2020-09-01
KR102195581B1 true KR102195581B1 (ko) 2020-12-29

Family

ID=7245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171A KR102195581B1 (ko) 2019-02-22 2019-02-22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5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137A (ja) * 2002-08-30 2004-03-25 Murata Mach Ltd 搬送装置
JP2009132510A (ja) * 2007-11-30 2009-06-18 Itoki Corp 荷台昇降式移載装置
KR101131772B1 (ko) 2011-07-04 2012-04-05 (주)위파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KR101363637B1 (ko) 2013-11-22 2014-02-17 신한테크(주) 다차종 이송장치
KR101794571B1 (ko) 2016-04-29 2017-11-07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676A (ko) 2008-03-03 2009-09-08 (주)와이티에스 물류창고용 리프트 장치
US9834422B2 (en) * 2012-09-05 2017-12-05 Murata Machinery, Ltd Stacker crane
KR20180036087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화물 반출입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1137A (ja) * 2002-08-30 2004-03-25 Murata Mach Ltd 搬送装置
JP2009132510A (ja) * 2007-11-30 2009-06-18 Itoki Corp 荷台昇降式移載装置
KR101131772B1 (ko) 2011-07-04 2012-04-05 (주)위파 포장박스용 스태커 장치
KR101363637B1 (ko) 2013-11-22 2014-02-17 신한테크(주) 다차종 이송장치
KR101794571B1 (ko) 2016-04-29 2017-11-07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파렛트 분리 및 박스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72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406B1 (ko) 화물보관설비
US11027917B2 (en) Rail-bound transport robot with lifting platform
KR101982031B1 (ko) 자동창고
KR101395752B1 (ko) 저장 장치, 보관 랙 및 특히 저장 장치용 하역 기계
JP4076567B2 (ja) 非パレット方式の貨物保管システムの入出庫用積載台
KR101733544B1 (ko) 화물 비상 반출이 가능한 물류 자동창고 시스템
CN104169196A (zh) 货架仓储***和用于运行货架仓储***的方法
CN205367593U (zh) 一种多功能堆垛机
JP2008266011A (ja) 微小昇降積載台を具えたドーリと立体収納棚
KR20140097648A (ko) 화물 이송장치
KR102124814B1 (ko) 스태커 크레인의 메인 구동 장치
KR102195581B1 (ko)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CN208932200U (zh) 轮胎智能云库中的轮胎取放模块
KR102195582B1 (ko) 컴팩트형 리프트 장치
JP653162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02114314A (ja) 立体自動倉庫
EP3950157A1 (en) Sorter
JP3902893B2 (ja) 車両方向転換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
KR20240014680A (ko) 자동창고 시스템
CN103708327A (zh) 一种双托板循环式垂直输送机及输送方法
CN214355702U (zh) 一种传送装置及车辆
KR101586695B1 (ko) 이송대차
KR102270328B1 (ko) 스태커 크레인
CN211366805U (zh) 料框升降机构
KR20240080780A (ko) 셔틀 운반 ag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