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42B1 -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242B1
KR102194242B1 KR1020200080397A KR20200080397A KR102194242B1 KR 102194242 B1 KR102194242 B1 KR 102194242B1 KR 1020200080397 A KR1020200080397 A KR 1020200080397A KR 20200080397 A KR20200080397 A KR 20200080397A KR 102194242 B1 KR102194242 B1 KR 10219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urification
module
hole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최재원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원,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원
Priority to KR102020008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242B1/ko
Priority to KR1020200175413A priority patent/KR102479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가구와 조화를 이루면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실내의 환경 조건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로 공기정화기가 동작됨에 따라 공기정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물함형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가구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모듈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에는 모듈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제1흡기홀이 관통 형성되는 정화기본체와, 모듈설치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정화기본체에 결합되되 모듈설치공간과 연통되는 제2흡기홀과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개폐도어 및 모듈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제1흡기홀과 제2흡기홀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정화배출홀에 전달하는 정화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LOCKER TYPE AIR PURIFIER AND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AND INDOOR AIR CLEANING METHOD}
본 발명은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의 가구와 조화를 이루면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실내의 환경 조건에 따라 선택된 동작모드로 공기정화기가 동작됨에 따라 공기정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고, 정화 매개체를 통해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일정 면적을 갖는 교실, 공연장, 사무실, 공공장소, 공장, 축사 등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기계적 또는 화학적 구성으로 마련되는 기계식 또는 화학식 필터로는 미세먼지를 완벽히 여과하기 어렵고, 비용상의 문제, 범용상의 문제 등으로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계식 또는 화학식 필터와 비교하여, 비용상의 문제, 범용상의 문제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교실 밖 기상상황 및 교실 내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공기 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제한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0707호 (발명의 명칭 :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2019. 07. 1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의 가구와 조화를 이루면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실내의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공기정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가구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모듈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정화기본체; 상기 모듈설치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정화기본체에 결합되되,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기본체의 적어도 실내의 가구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1흡기홀과, 상기 모듈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배출홀과 구획되어 상기 개폐도어에 관통 형성되는 제2흡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정화배출홀에 전달하는 정화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간의 바닥에 구비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상기 모듈설치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홀이 관통 형성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장착브라켓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팬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홀과 상기 팬안착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홀이 관통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팬안착공간과 상기 정화배출홀을 연통시키는 정화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덕트모듈; 상기 팬안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흡기팬의 흡입력으로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정화배출홀에 인접하여 상기 덕트모듈에 결합되고,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배출팬; 및 실내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흡기팬의 팬속도를 조절하는 팬컨트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정화필터를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시에 연통되는 필터링 영역과 상기 필터링 영역을 제외한 버퍼 영역으로 구획하는 필터분할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분할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간에서 상기 필터링 영역과 상기 버퍼 영역의 구획을 위해 상기 모듈설치공간에 구비되는 차단격벽; 상기 정화필터가 상기 필터링 영역과 상기 버퍼 영역으로 양분되도록 상기 정화필터에 결합되는 필터격벽; 및 상기 정화필터가 상기 장착브라켓에 끼움 결함됨에 따라 상기 차단격벽과 상기 필터격벽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격벽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정화필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상기 정화필터가 끼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정화필터를 지지하는 가이드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는, 상기 정화필터가 밀착 지지되는 밀착부재;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덕트모듈이 결합되는 브라켓에는, 상기 덕트모듈에서 상기 정화유로가 형성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덕트지지날개;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모듈은, 덕트브라켓; 상기 덕트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홀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브라켓; 및 상기 정화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덕트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정화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팬안착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정화유로는, 상기 팬안착공간으로부터 단면적이 작아지는 병목부; 및 상기 병목부로부터 단면적이 커지면서 상기 정화배출홀과 연통되는 확장배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장착브라켓에서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 결합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는, 탄성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간에 구비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정화필터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탄성모듈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브라켓에 밀착 지지된다.
특히,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바닥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장착브라켓에서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 결합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 적층 결합되고, 상기 정화필터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탄성모듈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브라켓에 밀착 지지된다.
특히,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바닥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은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다음, 다시 실내로 배출시키는 공기정화기; 적어도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실내환경센서; 및 적어도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정화기의 팬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실내환경센서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현재 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타이머; 실내에서의 수업 상태,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세팅하고, 해당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따라 해당 동작모드에서 상기 공기정화기의 팬속도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 및 상기 서버제어부에서 결정된 상기 팬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공기정화기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팬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공기정화기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모드는,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실내에서 수업이 진행되는 시간이 해당된느 수업시간으로 설정하는 제1모드;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실내의 수업시간을 제외하 나머지 시간이 해당되는 수업외시간으로 설정하는 제2모드; 및 당일 하교부터 다음날 등교까지의 시간이 해당되는 등하교시간과 일주일 중 실내에서 수업하지 않는 날이 해당되는 휴식시간으로 설정하는 제3모드;로 구분한다.
특히,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가 기설정된 측정범위를 초과하더라도 방해금지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팬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긴급정화속도부터 최대속도까지 상기 팬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모드에서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최소속도부터 최대속도까지 상기 팬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환경센서는, 실내의 소음도를 획득하는 데시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제어부는, 특정시간 간격에 따라 특정시간 동안 측정된 소음의 평균 데시벨을 계산하여 평균 데시벨과 기준 데시벨을 비교하며, 상기 동작모드는,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평균 데시벨이 기준 데시벨보다 작을 때의 시간이 해당되는 비소음시간으로 설정하는 제1모드;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평균 데시벨이 기준 데시벨과 같거나 클 때의 시간이 해당되는 소음시간으로 설정하는 제2모드; 및 당일 하교부터 다음날 등교까지의 시간이 해당되는 등하교시간과 일주일 중 실내에서 수업하지 않는 날이 해당되는 휴식시간으로 설정하는 제3모드;로 구분한다.
특히,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가 기설정된 측정범위를 초과하더라도 방해금지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팬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긴급정화속도부터 최대속도까지 상기 팬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제3모드에서 상기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최소속도부터 최대속도까지 상기 팬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실내환경센서 또는 상기 공기청정기에는, 상기 데시벨센서로의 잡음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은 적어도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여 실외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실외환경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를 비교하며, 상기 서버제어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내의 환기 여부를 선택한다.
특히,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서버제어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내의 환기 여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전파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이고, 실내에서의 수업 상태,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따라 세팅되는 동작모드의 세팅 상태를 점검하는 모드세팅단계; 적어도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상기 정보획득단계를 거쳐 획득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미세먼지의 제어농도를 확인하는 제1농도비교단계;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제1시간비교단계; 및 상기 제1시간비교단계의 결과, 현재 시간에 대응되는 동작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제1농도비교단계의 결과, 상기 동작모드에 따른 미세먼지의 제어농도가 선택되면,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 따라 상기 공기정화기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공기청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공기청정단계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 상기 팬속도에 대응하여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단계는, 상기 동작모드 중 제1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제1청정단계; 상기 동작모드 중 제2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제2청정단계; 및 상기 동작모드 중 제3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제3청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방법은 상기 모드세팅단계의 결과, 상기 동작모드별 시간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상기 동작모드별 시간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상기 동작모드별 시간을 세팅하는 시간세팅단계; 및 상기 모드세팅단계의 결과, 상기 동작모드별 시간이 세팅된 경우,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방법은 상기 정보획득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정보획득단계를 거쳐 획득된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를 비교하는 제2농도비교단계; 및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제2시간비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농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및 상기 제2시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내의 환기 여부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방법은 상기 제2농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 이상인 경우, 실내를 폐쇄하도록 알림을 발생시키는 경고알림단계; 상기 제2농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보다 작고, 상기 제2시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모드 중 제2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 환기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키는 환기알림단계; 및 상기 제2농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보다 작고, 상기 제2시간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모드 중 제1모드가 선택되거나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모드 중 제3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1농도비교단계 또는 상기 제1시간비교단계를 실시하는 실내정화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따르면, 실내의 가구와 조화를 이루면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실내의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공기정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모듈의 상세 결합 관계를 통해 장착브라켓에 정화필터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정화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안전하게 이송하여 실내에 다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의 세부 구성에서 지지프레임을 통해 정화필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정화필터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의 세부 구성에서 가이드리브를 통해 장착브라켓에서 정화필터를 정위치에 안착시켜 실내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의 세부 구성에서 탄성턱을 통해 탄성모듈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제한된 모듈설치공간에서 장착브라켓과 탄성모듈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의 세부 구성에서 밀착부재를 통해 장착브라켓에 정화필터를 밀착시키고, 정화되지 않은 실내 공기가 덕트모듈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브라켓의 세부 구성에서 덕트지지날개를 통해 장착브라켓에서 덕트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장착브라켓에서 덕트모듈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배출 경로를 안정되게 확보하고, 팬안착공간이 개폐되므로, 정화된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기팬의 결합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모듈의 세부 구성에서 모듈지지부를 통해 모듈설치공간에서 정화기본체를 기준으로 덕트모듈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정화기본체에서 덕트모듈의 움직임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덕트모듈의 세부 구성에서 정화유로의 세부 구성을 통해 덕트모듈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일시 정체되도록 유도하고, 정화된 공기를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팬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때, 정화된 공기의 흐름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모듈의 제1세부 구성을 통해 장착브라켓의 외측으로 탄성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장착브라켓에 정화필터가 결합될 때, 장착브라켓에서 정화필터가 지지되는 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모듈의 제2세부 구성을 통해 장착브라켓과 정화필터 사이에 탄성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장착브라켓에서 정화필터를 안정되게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장착브라켓의 탄성홀을 생략하므로, 탄성력에 의한 지지부재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모듈의 세부 구성에서 배출팬의 부가 구성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모듈의 세부 구성에서 팬컨트롤러를 통해 해당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흡기팬과 배출팬의 팬속도를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모듈의 세부 구성에서 필터분할모듈을 통해 모듈설치공간에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 제한적이므로, 제한적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정화필터를 구분하여 정화필터의 사용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분할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모듈설치공간을 필터링 영역과 버퍼 영역으로 구획하여 상호 차단시킬 수 있고, 정화필터에서 필터링 영역에 노출된 부분에서 실내공기가 필터링되며, 정화필터에서 버퍼 영역에 노출된 부분은 추후에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격벽결합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정화필터의 결합 또는 교체 또는 유지보수 또는 정화필터의 영역 전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실에서의 수업 상태에 따라 구분된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므로, 공기정화기가 학생들의 수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모드를 구체화하므로, 공기정화기의 팬속도 제어를 명확하게 하고, 제1모드에는 공기정화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고, 제2모드에는 공기정화기의 팬속도를 상승시켜 실내공기의 정화 속도를 증가시키며, 제3모드에는 실내공기의 정화 효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한 환기 여부를 확인하여 실외환경이 허락하는 범위에서는 학생이나 교사에게 환기할 것을 전파하고, 실외환경이 허락하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학생이나 교사에게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여 차단할 것을 전파할 수 있으며, 실외환경에 의해 실내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이 교실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에서 제어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에서 사물함형 공기정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에서 정화필터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에서 정화필터의 변형된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은 실내인 교실(C)에서 실내의 가구인 사물함(L)과 매칭되는 공기정화기(1)를 적용함으로써, 교실(C)에서 공기정화기(1)의 동작이 학생들의 수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공기정화기(1)에서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키는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실(C)의 정면에는 칠판(B)과 교탁(D)이 설치된다. 칠판(B)은 교사가 필기 가능하도록 보드 형태이거나 터치형 디스플레이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교실(C)의 후면에는 학생들의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실내의 가구인 사물함(L)이 설치된다. 사물함(L)은 교실(C)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교실(C)에서 칠판(B)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학생들이 착석하기 위한 좌석배치부(S)가 마련된다. 교실(C)의 일측에는 실외를 확인할 수 있는 창문(W)이 설치된다. 교실(C)의 타측에는 교실(C)의 정면 쪽에 편향 설치된 제1출입구(E1)와 교실(C)의 후면 쪽에 편향 설치된 제2출입구(E2)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은 공기정화기(1)와, 실내환경센서(2)와, 제어서버(4)를 포함한다.
공기정화기(1)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시킨 다음, 다시 실내로 배출시킨다. 공기정화기(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가 적용되므로, 사물함(L)과의 매칭을 통해 실내의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는 실내에 배치된 단위 사물함(L)의 외관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사물함(L)의 설치 위치에서 실내의 경관을 해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형 공기정화기는 정화기본체(10)와, 개폐도어(20)와, 정화모듈(30)을 포함한다.
정화기본체(10)는 실내의 가구인 사물함(L)에 대응하여 실내의 가구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다. 적어도 실내의 가구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정화기본체(10)의 일측면)에는 제1흡기홀(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정화기본체(10)의 정면에는 개폐도어(20)가 결합되고, 정화기본체(10)의 일측면은 실내의 가구 측면에 지지되며, 정화기본체(10)의 후면은 실내의 벽면에 지지되므로, 실내공기의 유입을 간편하게 하고, 실내공기의 유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정화기본체(10)의 내부에는 정화모듈(30)이 설치되는 모듈설치공간(12)이 형성된다. 제1흡기홀(11)은 단위 모듈설치공간(12)과 연통되어 실내공기가 모듈설치공간(12)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한다. 모듈설치공간(12)은 정화모듈(30)의 개수에 대응하여 하나가 구비되거나 둘 이상이 실내의 가구의 높이를 따라 상호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정화기본체(10)의 일측부와 정화기본체(10)의 상부와 정화기본체(10)의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위 사물함(L)이 구비될 수 있다.
개폐도어(20)는 모듈설치공간(12)이 개폐 가능하도록 정화기본체(10)에 결합된다. 개폐도어(20)에는 모듈설치공간(12)과 연통되는 제2흡기홀(21)과,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홀(22)이 관통 형성된다. 정화배출홀(22)은 제2흡기홀(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정화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화모듈(30)은 모듈설치공간(12)에 설치된다. 정화모듈(30)은 정화기본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실내공간과 구획되도록 한다. 정화모듈(30)은 제1흡기홀(11)과 제2흡기홀(21)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정화배출홀(22)에 전달한다.
정화모듈(30)은 장착브라켓(40)과, 덕트모듈(50)과, 흡기팬(60)과, 정화필터(90)를 포함하고, 배출팬(70)과, 탄성모듈(80)과, 팬컨트롤러(100)와, 필터분할모듈(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브라켓(40)은 정화필터(9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모듈설치공간(12)에 결합된다. 장착브라켓(40)은 모듈설치공간(12)의 바닥에 구비되는 하부브라켓(41)과, 정화필터(90)의 크기에 대응하여 하부브라켓(41)에서 이격되어 모듈설치공간(12)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브라켓(42)을 포함한다. 장착브라켓(40)은 정화필터(90)의 크기에 대응하여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43)을 더 포함하므로, 상부브라켓(42)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덕트모듈(50)은 상부브라켓(4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브라켓(41)에 덕트모듈(50)이 결합될 수 있다.
하부브라켓(41)에는 후술하는 제1예에 따른 탄성모듈(80)의 지지부재(83)가 노출되도록 탄성홀(411)이 관통 형성된다. 탄성홀(411)은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후술하는 제1홀(421)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하부브라켓(41))에 관통 형성된다.
하부브라켓(41)에는 정화필터(90)가 끼움 결합되는 위치에서 정화필터(90)를 지지하는 가이드리브(412)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리브(412)는 정화필터(90)가 정화브라켓(53)에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면 충분하다.
하부브라켓(41)에는 후술하는 제1예에 따른 탄성모듈(80)의 설치를 위해 탄성턱이 상부브라켓(42)을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하부브라켓(41)과 모듈설치공간(12)의 바닥 사이에 탄성모듈(8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고, 하부브라켓(41)을 모듈설치공간(12)의 바닥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어느 하나에는 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홀(421)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화된 공기의 실내 확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폐도어(20)의 상부에 형성된 정화배출홀(22)에 대응하여 상부브라켓(42)에 제1홀(421)이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개폐도어(20)의 하부에 정화배출홀(22)이 형성되는 경우, 제1홀(421)은 하부브라켓(41)에 형성된다.
장착브라켓(40)에서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는 정화필터(90)가 밀착 지지되는 밀착부재(422)가 포함되므로, 정화필터(90)의 필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실내공기가 정화필터(9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브라켓(40)에서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덕트모듈(50)이 결합되는 브라켓(상부브라켓(42))에는 덕트모듈(50)에서 정화유로(531)가 형성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덕트지지날개(423)가 포함되어 덕트모듈(5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덕트모듈(50)은 장착브라켓(40)에서 상부브라켓(42)에 결합된다. 덕트모듈(50)의 내부에는 흡기팬(60)이 설치되는 팬안착공간(5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1홀(421)과 팬안착공간(511)을 연통시키는 제2홀(521)이 관통 형성되며, 타측에는 팬안착공간(511)과 정화배출홀(22)을 연통시키는 정화유로(531)가 관통 형성된다.
좀더 자세하게, 덕트모듈(50)은 덕트브라켓(51)과, 덕트브라켓(5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홀(521)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브라켓(52)과, 정화유로(531)가 형성되도록 덕트브라켓(51)과 결합브라켓(52)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정화브라켓(53)을 포함한다. 여기서, 덕트브라켓(51)과 결합브라켓(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흡기팬(60)의 설치를 위한 팬안착공간(511)이 형성된다.
덕트브라켓(51)에는 모듈지지부(512)가 구비되므로, 모듈설치공간(12)에서 덕트모듈(5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정화유로(531)는 팬안착공간(511)으로부터 단면적이 작아지는 병목부와, 병목부로부터 단면적이 커지면서 정화배출홀(22)과 연통되는 확장배출부를 포함하므로, 정화된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흡기팬(60)은 덕트모듈(50)의 팬안착공간(511)에 설치되어 정화모듈(30)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흡기팬(60)은 덕트모듈(50)의 제2홀(521)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흡기팬(60)은 후술하는 팬컨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팬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배출팬(70)은 정화배출홀(22)에 인접하여 덕트모듈(50)에 결합된다. 배출팬(70)은 정화유로(531)에 전달되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킨다. 배출팬(70)은 실내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배출팬(70)은 후술하는 팬컨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라 팬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탄성모듈(80)은 탄성을 갖는다. 탄성모듈(80)은 장착브라켓(40)에서 제1홀(421)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하부브라켓(4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모듈(80)은 장착브라켓(40)의 하부브라켓(4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예에 따른 탄성모듈(80)은 모듈설치공간(12)의 바닥에 구비되는 바닥부재(81)와, 바닥부재(8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탄성홀(41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정화필터(90)가 지지되는 지지부재(83)와, 바닥부재(81)에서 지지부재(83)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8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필터(90)는 탄성모듈(80)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브라켓(40)에 밀착 지지되어 정화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83)에는 상술한 밀착부재(422)가 구비되어 지지부재(83)에서 정화모듈(30)이 밀착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예에 따른 탄성모듈(80)은 바닥부재(81)를 기준으로 지지부재(83)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탄성부재(85)를 지지하는 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결합부는 바닥부재(81)와 지지부재(83)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85)와 끼움 결합되는 지지돌부(82)와, 바닥부재(81)와 지지부재(83)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탄성부재(85) 및 지지돌부(82)와 끼움 결합되는 지지홈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예에 따른 탄성모듈(80)은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제1홀(421)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하부브라켓(41))에 적층 결합되고 정화필터(90)가 지지되는 지지부재(83)와,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 중 제1홀(421)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하부브라켓(41))에서 지지부재(83)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8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정화필터(90)는 탄성모듈(80)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브라켓(40)에 밀착 지지되어 정화된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83)에는 상술한 밀착부재(422)가 구비되어 지지부재(83)에서 정화모듈(30)이 밀착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예에 따른 탄성모듈(80)은 바닥부재(81)를 기준으로 지지부재(83)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편 탄성부재(85)를 지지하는 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결합부는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제1홀(421)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하부브라켓(41))과 지지부재(83)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재(85)와 끼움 결합되는 지지돌부(82)와,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중 제1홀(421)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하부브라켓(41))과 지지부재(83)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탄성부재(85) 및 지지돌부(82)와 끼움 결합되는 지지홈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필터(90)는 장착브라켓(4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부브라켓(41)과 상부브라켓(42)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정화필터(90)는 흡기팬(60)의 흡입력으로 제1흡기홀(11)과 제2흡기홀(21)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한다. 정화필터(90)는 둘레에 필터부재가 구비된 중공의 통 형상을 나타낸다. 정화필터(90)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1홀(421)과 연통되는 필터홀이 개구되므로, 정화된 공기가 덕트모듈(50)에 안정되게 유입될 수 있다.
팬컨트롤러(100)는 실내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적어도 흡기팬(60)의 팬속도를 조절한다. 팬컨트롤러(100)는 제어서버(4)의 팬제어부(44)에서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모드별 현재 시간에 따라 적어도 흡기팬(60)의 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팬컨트롤러(100)에는 흡기팬(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01)가 구비된다. 전원스위치(101)는 개폐도어(20)에서 노출되고, 정화기본체(10) 또는 개폐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팬컨트롤러(100)는 실내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배출팬(70)의 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팬컨트롤러(100)는 제어서버(4)의 팬제어부(44)에서 변환된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모드별 현재 시간에 따라 적어도 배출팬(70)의 팬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101)는 배출팬(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필터분할모듈(110)은 필터링 영역과 버퍼 영역으로 구획한다. 필터링 영역은 모듈설치공간(12)에서 제1흡기홀(11)과 제2흡기홀(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정화필터(90)를 제1흡기홀(11)과 제2흡기홀(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시에 연통된다. 버퍼 영역은 모듈설치공간(12)에서 필터링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다.
필터분할모듈(110)은 모듈설치공간(12)에서 필터링 영역과 버퍼 영역의 구획을 위해 모듈설치공간(12)에 구비되는 차단격벽(111)과, 정화필터(90)가 필터링 영역과 버퍼 영역으로 양분되도록 정화필터(90)에 결합되는 필터격벽(113)과, 정화필터(90)가 장착브라켓(40)에 끼움 결함됨에 따라 차단격벽(111)과 필터격벽(113)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격벽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격벽(113)은 중공의 통 형상인 정화필터(90)를 양분하도록 정화필터(90)에 일체로 결합된다.
격벽결합부는 차단격벽(111)과 필터격벽(113)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제1탈착부(112)와, 제1탈착부(112)와 끼움 결합되도록 차단격벽(111)과 필터격벽(113)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탈착부(114)를 포함한다. 장착브라켓(40)에 정화필터(90)가 끼움 결합됨에 따라 차단격벽(111)을 기준으로 필터격벽(113)이 결합되어야 하므로, 제1탈착부(112)와 제2탈착부(114)는 끼움 결합이 바람직하다.
실내환경센서(2)는 실내에 설치된다. 실내환경센서(2)는 실내에서 적어도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는 일반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실내의 환경정보는 실내의 온도, 실내의 습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환경센서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술한 공기정화기(1)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초미세먼지(PM2.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먼지의 수치 비율을 적용하므로, 일반미세먼지(PM10)를 기준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어서버(4)는 적어도 실내환경센서(2)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를 제어한다. 제어서버(4)는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본체(4a)와,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가 제어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서버(4)의 제어본체(4a)에는 실내환경센서(2)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통신부(41)와, 현재 시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타이머(42)와, 실내에서의 수업 상태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세팅하고 해당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실내환경센서(2)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따라 해당 동작모드에서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43)와, 서버제어부(43)에서 결정된 팬속도에 대한 정보를 공기정화기(1)에 전달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시키는 팬제어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실내의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서버제어부(43) 또는 후술하는 저장부(46)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41)는 실외환경센서(3)와도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므로, 실외의 환경정보를 서버제어부(43)와 후술하는 저장부(46)에 전달할 수 있다.
타이머(4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현재 시간 측정유닛을 적용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43)의 제어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방법에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팬제어부(44)는 팬속도에 대한 정보를 공기정화기(1)의 팬컨트롤러(100)에서 해석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고, 통신부(41)는 변환된 신호를 공기정화기(1)의 팬컨트롤러(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동작모드를 세팅함에 있어서, 서버제어부(43)는 실내에서의 수업 상태,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세팅한다.
일예에 따른 동작모드는 실내에서의 수업 여부에 따라 제1모드와, 제2모드와, 제3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모드는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실내에서 수업이 진행되는 시간이 해당되는 수업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모드는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실내의 수업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이 해당되는 수업외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모드는 당일 하교부터 다음날 등교까지의 시간이 해당되는 등하교시간과 일주일 중 실내에서 수업하지 않는 날이 해당되는 휴식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작모드를 세팅함에 있어서, 서버제어부(43)는 실내에서의 수업 상태,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세팅한다.
이때, 상술한 수업시간이 연장되는 경우, 수업시간이 단축되는 경우, 수업시간 중 음악시간이나 시청각 관람시간 등과 같은 실내환경변수를 고려하면, 당일 수업의 종류, 수업 방식 등에 따라 실내환경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환경센서(2)는 실내의 소음도를 획득하는 데시벨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제어부(43)는 특정시간 간격(예를 들어, 3초 또는 5초 등)에 따라 특정시간(예를 들어, 10초 또는 20초 또는 30초 등) 동안 측정된 실내 소음의 평균 데시벨을 계산하여 평균 데시벨과 기준 데시벨을 비교하므로, 서버제어부(43)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동작모드를 세팅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동작모드는 평균 데시벨과 기준 데시벨의 비교에 따라 제1모드와, 제2모드와, 제3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모드는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평균 데시벨이 기준 데시벨보다 작을 때의 시간이 해당되는 비소음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모드는 등교부터 하교까지의 시간 중 평균 데시벨이 기준 데시벨과 같거나 클 때의 시간이 해당되는 소음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모드는 당일 하교부터 다음날 등교까지의 시간이 해당되는 등하교시간과 일주일 중 실내에서 수업하지 않는 날이 해당되는 휴식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실내환경센서(2) 또는 공기정화기(1)에는 데시벨센서로의 잡음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포함되므로, 데시벨센서가 팬소음 또는 실내의 소음 또는 충격에 의한 소음 등과 같은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거나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데시벨센서의 소리입력부의 시선 방향을 특정시키므로, 데시벨센서에 입력되는 소리를 필터링하고, 잡음의 직접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면, 서버제어부(43)는 각 모드에 따라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흡기팬(60)을 기준으로 팬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 하지만, 서버제어부(43)가 제어하는 팬속도는 흡기팬(60)과 배출팬(70)을 모두 제어하기도 하고, 배출팬(70)만 제어하기도 하며, 흡기팬(60)의 팬속도를 제어하고 이에 대응하여 배출팬(70)의 속도를 제어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흡기팬(60)의 제어팬속도는 흡기팬(60)의 최대 팬속도를 기준으로 0% ~ 100%로 설정하고, 미세먼지의 제어농도는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그대로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환경부의 미세먼지 예보 등급에 따르면, 일반미세먼지(PM10)는 좋음(0~30㎍/㎥), 보통(31~80㎍/㎥), 약간나쁨(81~120㎍/㎥), 나쁨(121~200㎍/㎥) 등으로 구분하고, 초미세먼지(PM2.5)는 좋음 0∼15㎍/㎥, 보통 16∼50㎍/㎥, 나쁨 51∼100㎍/㎥, 매우 나쁨 101㎍/m³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제1모드에서는 실내환경센서(2)가 획득한 환경정보가 기설정된 측정범위를 초과하더라도 방해금지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나쁨 이상의 미세먼지 농도가 획득되더라도 제어팬속도는 방해금지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수업시간에 미세먼지를 정화함은 물론 공기정화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소음이 수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방해금지속도는 수업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소음 발생 수준으로 팬의 최대속도의 50%로 설정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내 환경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모드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별 제어팬속도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농도 0~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100 101~
속도 5 15 25 35 45 50 50 50 50 50 50
둘째, 제2모드에서는 실내환경센서(2)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긴급정화속도부터 최대속도까지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미세먼지의 농도 범위별 긴급정화속도를 설정하여 수업외시간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급속하게 흡입하여 빠른 시간에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긴급정화속도는 미세먼지 농도의 범위별 가동 가능한 최대속도이고, 긴급정화속도의 최소값은 팬의 최대속도의 50%로 설정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내 환경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모드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별 제어팬속도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먼지 0~20 21~40 41~60 61~80 81~100 101~
속도 50 60 70 80 90 100
셋째, 제3모드에서는 실내환경센서가 획득한 환경정보에 대응하여 최소속도부터 최대속도까지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미세먼지의 농도 범위별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한 기준속도를 설정하여 등하교시간에 오염된 실내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3모드에서의 미세먼지 농도별 제어팬속도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농도 0~10 11~20 21~30 31~40 41~50 51~60 61~70 71~80 81~90 91~100 101~
속도 5 15 25 35 45 55 65 75 85 95 100
제어서버(4)는 수신되는 정보를 시계열 순으로 저장하는 저장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6)에는 서버제어부(43)의 처리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6)에 저장된 정보들은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은 실외환경센서(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환경센서(3)는 실외에 설치된다. 실외환경센서(3)는 실외에서 적어도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여 실외의 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는 일반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다. 실외의 환경정보에는 실외의 온도, 실외의 습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의 환경정보에는 실외의 소음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서버(4)는 서버제어부(43)의 제어에 따라 생성되는 알람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전파하는 알람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제어부(43)는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를 비교한다. 서버제어부(43)에서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 이상인 경우, 서버제어부(43)는 알람부(45)를 동작시켜 알림을 발생하므로, 학생 또는 교사가 개방된 실내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43)에서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보다 작고,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모드 중 제2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서버제어부(43)는 알람부(45)를 동작시켜 알림을 발생하므로, 학생 또는 교사가 폐쇄된 실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공기를 빠르게 환기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의 동작을 구현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모드세팅단계(S2)와, 정보획득단계(S3)와, 제1농도비교단계(S5)와, 제1시간비교단계(S7)와, 공기청정단계를 포함하고, 초기화단계(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단계(S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정화시스템을 디폴트 상태롤 초기화한다.
모드세팅단계(S2)는 실내에서의 수업 상태, 수업 방식을 고려하여 해당 시간에 따라 세팅되는 동작모드의 세팅 상태를 점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모드세팅단계(S2)의 결과 동작모드별 시간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동작모드별 시간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동작모드별 시간을 세팅하는 시간세팅단계(S21)와, 모드세팅단계(S2)의 결과 동작모드별 시간이 세팅된 경우 현재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획득단계(S3)는 적어도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포함하여 실내의 환경정보를 획득한다.
정보획득단계(S3)는 실내의 온도와 실외의 온도 중 적어도 실내의 온도를 획득하는 온도획득단계(S31)와, 실내의 습도와 실외의 습도 중 적어도 실내의 온도를 획득하는 습도획득단계(S32)와,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획득하는 제1농도획득단계(S33)와,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를 획득하는 제2농도획득단계(S34) 중 적어도 제1농도획득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농도비교단계(S5)는 정보획득단계(S3)를 거쳐 획득한 실내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응하여 동작모드에 따른 미세먼지의 제어농도를 확인한다.
제1시간비교단계(S7)는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한다.
공기청정단계는 제1시간비교단계(S7)의 결과, 현재 시간에 대응되는 동작모드가 선택되고, 제1농도비교단계(S5)의 결과, 동작모드에 따른 미세먼지의 제어농도가 선택되면,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 따라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를 결정한다.
그러면, 팬제어부(44)는 공기청정단계를 통해 결정된 팬속도에 대한 정보를 공기정화기(1)의 팬컨트롤러(100)에서 해석 가능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고, 통신부(41)는 변환된 신호를 공기정화기(1)의 팬컨트롤러(100)에 전송하므로, 공기정화기(1)는 공기청정단계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 팬속도에 대응하여 동작된다.
공기청정단계는 동작모드 중 제1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서 공기조화기(5)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제1청정단계(S71)와, 동작모드 중 제2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서 공기조화기(5)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제2청정단계(S72)와, 동작모드 중 제3모드에 대응하여 해당 미세먼지의 제어농도에서 공기조화기(5)의 팬속도를 결정하는 제3청정단계(S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공기정화기(1)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하는 활성화단계(S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단계(S6)의 결과, 공기정화기(1)가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제1농도비교단계(S5)의 결과와 제1시간비교단계)(의 결과에 따라 공기청정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활성화단계(S6)의 결과, 공기정화기(1)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공기정화기(1)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칭단계(S61)를 거친 다음, 제1농도비교단계(S5)의 결과와 제1시간비교단계(S7)의 결과에 따라 공기청정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정보획득단계(S3)를 거친 다음 정보획득단계(S3)를 거쳐 획득된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를 비교하는 제2농도비교단계(S8)와,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현재 시간을 확인하는 제2시간비교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농도비교단계(S8)의 비교 결과 및 제2시간비교단계(S9)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내의 환기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제2농도비교단계(S8)의 비교 결과 및 제2시간비교단계(S9)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경고알림단계(S81)와, 환기알림단계(S91)와, 실내정화단계로 구분하여 동작될 수 있다.
경고알림단계(S81)는 제2농도비교단계(S8)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 이상인 경우, 실내를 폐쇄하도록 알림을 발생시킨다. 경고알림단계(S81)를 거친 다음에는 모드세팅단계(S2)로 복귀하거나, 제1농도비교단계(S5)와 제1시간비교단계(S7)를 거치도록 한다.
환기알림단계(S91)는 제2농도비교단계(S8)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보다 작고, 제2시간비교단계(S9)의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모드 중 제2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실내 환기를 위한 알림을 발생시킨다. 환기알림단계(S91)를 거친 다음에는 모드세팅단계(S2)로 복귀하거나, 제1농도비교단계(S5)와 제1시간비교단계(S7)를 거치도록 한다.
실내정화단계는 제2농도비교단계(S8)의 비교 결과, 실외의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환기기준농도보다 작고, 제2시간비교단계(S9)의 비교 결과,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모드 중 제1모드가 선택되거나 현재 시간에 대응하여 동작모드 중 제3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1농도비교단계(S5) 또는 제1시간비교단계(S7)를 실시하도록 한다.
정보획득단계(S3)에서는 실내의 온도와 실내의 습도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공조제어단계(S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조제어단계(S4)는 획득한 온도와 습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4)는 공기조화기(5)에 동작신호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공기조화기(5)를 제어하거나, 공기조화기(5)의 동작을 위한 알림을 발생시켜 학생이나 교사가 수동으로 공기조화기(5)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획득단계(S3)에서는 실내의 소음도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의 정화방법은 소음비교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비교단계(미도시)는 특정시간 간격(예를 들어, 3초 또는 5초 등)에 따라 특정시간(예를 들어, 10초 또는 20초 또는 30초 등) 동안 측정된 실내 소음의 평균 데시벨을 계산하여 평균 데시벨과 기준 데시벨을 비교할 수 있다. 그러면, 비교 결과에 따라,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동작모드에서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에 따르면, 실내의 가구와 조화를 이루면서 실내공기를 정화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실내의 환경 조건에 따라 동작모드를 선택하여 공기정화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정화모듈(30)의 상세 결합 관계를 통해 장착브라켓(40)에 정화필터(90)를 안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정화필터(9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안전하게 이송하여 실내에 다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40)의 세부 구성에서 지지프레임(43)을 통해 정화필터(9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정화필터(9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40)의 세부 구성에서 가이드리브(412)를 통해 장착브라켓(40)에서 정화필터(90)를 정위치에 안착시켜 실내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40)의 세부 구성에서 탄성턱(413)을 통해 탄성모듈(8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고, 제한된 모듈설치공간(12)에서 장착브라켓(40)과 탄성모듈(80)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40)의 세부 구성에서 밀착부재(422)를 통해 장착브라켓(40)에 정화필터(90)를 밀착시키고, 정화되지 않은 실내 공기가 덕트모듈(5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브라켓(40)의 세부 구성에서 덕트지지날개(423)를 통해 장착브라켓(40)에서 덕트모듈(50)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장착브라켓(40)에서 덕트모듈(5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덕트모듈(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배출 경로를 안정되게 확보하고, 팬안착공간(511)이 개폐되므로, 정화된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기팬(60)의 결합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덕트모듈(50)의 세부 구성에서 모듈지지부(512)를 통해 모듈설치공간(12)에서 정화기본체(10)를 기준으로 덕트모듈(50)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정화기본체(10)에서 덕트모듈(50)의 움직임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덕트모듈(50)의 세부 구성에서 정화유로(531)의 세부 구성을 통해 덕트모듈(50)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일시 정체되도록 유도하고, 정화된 공기를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팬(7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배출할 때, 정화된 공기의 흐름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모듈(80)의 제1세부 구성을 통해 장착브라켓(40)의 외측으로 탄성모듈(80)을 설치할 수 있고, 장착브라켓(40)에 정화필터(90)가 결합될 때, 장착브라켓(40)에서 정화필터(90)가 지지되는 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모듈(80)의 제2세부 구성을 통해 장착브라켓(40)과 정화필터(90) 사이에 탄성모듈(80)을 설치할 수 있고, 장착브라켓(40)에서 정화필터(90)를 안정되게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장착브라켓(40)의 탄성홀(411)을 생략하므로, 탄성력에 의한 지지부재(83)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화모듈(30)의 세부 구성에서 배출팬(7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안정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정화모듈(30)의 세부 구성에서 팬컨트롤러(100)를 통해 해당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흡기팬(60)과 배출팬(70)의 팬속도를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정화모듈(30)의 세부 구성에서 필터분할모듈(110)을 통해 모듈설치공간(12)에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 제한적이므로, 제한적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정화필터(90)를 구분하여 정화필터(90)의 사용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분할모듈(11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모듈설치공간(12)을 필터링 영역과 버퍼 영역으로 구획하여 상호 차단시킬 수 있고, 정화필터(90)에서 필터링 영역에 노출된 부분에서 실내공기가 필터링되며, 정화필터(90)에서 버퍼 영역에 노출된 부분은 추후에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격벽결합부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정화필터(90)의 결합 또는 교체 또는 유지보수 또는 정화필터(90)의 영역 전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교실에서의 수업 상태에 따라 구분된 동작모드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공기정화기(1)를 제어하므로, 공기정화기(1)가 학생들의 수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동작모드를 구체화하므로,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 제어를 명확하게 하고, 제1모드에는 공기정화기(1)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키고, 제2모드에는 공기정화기(1)의 팬속도를 상승시켜 실내공기의 정화 속도를 증가시키며, 제3모드에는 실내공기의 정화 효율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의 정화를 위한 환기 여부를 확인하여 실외환경이 허락하는 범위에서는 학생이나 교사에게 환기할 것을 전파하고, 실외환경이 허락하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학생이나 교사에게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여 차단할 것을 전파할 수 있으며, 실외환경에 의해 실내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C: 교실 B: 칠판 D: 교탁
W: 창문 E1: 제1출입구 E2: 제2출입구
S: 좌석배치부 L: 사물함
1: 공기정화기 10: 정화본체 11: 제1흡기홀
12: 모듈설치공간 20: 개폐도어 21: 제2흡기홀
22: 정화배출홀 30: 정화모듈 40: 장착브라켓
41: 하부브라켓 411: 탄성홀 412: 가이드리브
413: 탄성턱 42: 상부브라켓 421: 제1홀
422: 밀착부재 423: 덕트지지날개 43: 지지프레임
50: 덕트모듈 51: 덕트브라켓 511: 팬안착공간
512: 모듈지지부 52: 결합브라켓 521: 제2홀
53: 정화브라켓 531: 정화유로 60: 흡기팬
70: 배출팬 80: 탄성모듈 81: 바닥부재
82: 지지돌부 83: 지지부재 84: 지지홈부
85: 탄성부재 90: 정화필터 100: 팬컨트롤러
101: 전원스위치 110: 필터분할모듈 111: 차단격벽
112: 제1탈착부 113: 필터격벽 114: 제2탈착부
2: 실내환경센서 3: 실외환경센서 4: 제어서버
4a: 제어본체 4b: 디스플레이 41: 통신부
42: 타이머 43: 세버제어부 44: 팬제어부
45: 알람부 46: 저장부 5: 공기조화기
S1: 초기화단계 S2: 모드세팅단계 S21: 시간세팅단계
S22: 카운트단계 S3: 정보획득단계 S31: 온도획득단계
S32: 습도획득단계 S33: 제1농도획득단계 S34: 제2농도획득단계
S4: 공조제어단계 S5: 제1농도비교단계 S6: 활성화단계
S61: 스위칭단계 S7: 제1시간비교단계 S71: 제1청정단계
S72: 제2청정단계 S73: 제3청정단계 S8: 제2농도비교단계
S81: 경고알림단계 S9: 제2시간비교단계 S91: 환기알림단계

Claims (20)

  1. 실내의 가구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모듈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정화기본체;
    상기 모듈설치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정화기본체에 결합되되,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홀이 관통 형성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기본체의 적어도 실내의 가구 외측으로 노출되는 측면에 관통 형성되는 제1흡기홀과, 상기 모듈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정화배출홀과 구획되어 상기 개폐도어에 관통 형성되는 제2흡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정화배출홀에 전달하는 정화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간의 바닥에 구비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상기 모듈설치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는 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1홀이 관통 형성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장착브라켓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팬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제1홀과 상기 팬안착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홀이 관통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팬안착공간과 상기 정화배출홀을 연통시키는 정화유로가 관통 형성되는 덕트모듈;
    상기 팬안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2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기팬; 및
    상기 장착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흡기팬의 흡입력으로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을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정화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상기 정화필터를 상기 제1흡기홀과 상기 제2흡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시에 연통되는 필터링 영역과 상기 필터링 영역을 제외한 버퍼 영역으로 구획하는 필터분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분할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간에서 상기 필터링 영역과 상기 버퍼 영역의 구획을 위해 상기 모듈설치공간에 구비되는 차단격벽;
    상기 정화필터가 상기 필터링 영역과 상기 버퍼 영역으로 양분되도록 상기 정화필터에 결합되는 필터격벽; 및
    상기 정화필터가 상기 장착브라켓에 끼움 결함됨에 따라 상기 차단격벽과 상기 필터격벽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격벽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정화필터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을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상기 정화필터가 끼움 결합되는 위치에서 상기 정화필터를 지지하는 가이드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는, 상기 정화필터가 밀착 지지되는 밀착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덕트모듈이 결합되는 브라켓에는, 상기 덕트모듈에서 상기 정화유로가 형성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덕트지지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모듈은,
    덕트브라켓;
    상기 덕트브라켓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홀이 관통 형성되는 결합브라켓; 및
    상기 정화유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덕트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는 정화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브라켓과 상기 결합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팬안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장착브라켓에서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 결합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는, 탄성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모듈설치공간에 구비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탄성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정화필터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탄성모듈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브라켓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장착브라켓에서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 결합되되, 탄성을 갖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 적층 결합되고, 상기 정화필터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브라켓과 상기 상부브라켓 중 상기 제1홀이 형성된 브라켓과 마주보는 브라켓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정화필터는,
    상기 탄성모듈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장착브라켓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형 공기정화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080397A 2020-06-30 2020-06-30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219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97A KR102194242B1 (ko) 2020-06-30 2020-06-30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20200175413A KR102479877B1 (ko) 2020-06-30 2020-12-15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97A KR102194242B1 (ko) 2020-06-30 2020-06-30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13A Division KR102479877B1 (ko) 2020-06-30 2020-12-15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242B1 true KR102194242B1 (ko) 2020-12-24

Family

ID=740873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397A KR102194242B1 (ko) 2020-06-30 2020-06-30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KR1020200175413A KR102479877B1 (ko) 2020-06-30 2020-12-15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13A KR102479877B1 (ko) 2020-06-30 2020-12-15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94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142B1 (ko) * 2021-06-30 2021-09-17 서경아 원통형 공기 청정기
CN116066942A (zh) * 2022-07-04 2023-05-05 劦太科技(珠海)有限公司 核酸检测点采样处专用空气净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24B1 (ko) * 2013-12-11 2015-05-07 김보곤 환기형 공기정화장치
KR102000707B1 (ko) 2018-10-29 2019-07-16 주식회사 애니텍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2035741B1 (ko) * 2019-08-01 2019-10-23 김정식 전열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2081593B1 (ko)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235B1 (ko) 1998-06-03 2001-05-02 장인순 큐브구조를 갖는 이종접합 금속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9293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휴대용 음이온 가습기
KR102576035B1 (ko) * 2017-09-05 2023-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정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24B1 (ko) * 2013-12-11 2015-05-07 김보곤 환기형 공기정화장치
KR102000707B1 (ko) 2018-10-29 2019-07-16 주식회사 애니텍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102081593B1 (ko) * 2019-07-25 2020-02-26 주식회사 이루미 중공 흡입식 관형 필터를 이용한 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2035741B1 (ko) * 2019-08-01 2019-10-23 김정식 전열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142B1 (ko) * 2021-06-30 2021-09-17 서경아 원통형 공기 청정기
CN116066942A (zh) * 2022-07-04 2023-05-05 劦太科技(珠海)有限公司 核酸检测点采样处专用空气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49A (ko) 2022-01-06
KR102479877B1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242B1 (ko)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US7332006B2 (en) Ventilating and air purifying device
US5778607A (en) Portable smoker's booth
KR102074612B1 (ko) 환기형 시스템 공기정화기
WO2007073477A3 (en) Occupancy based ventilation system
CN106338101A (zh) 用于净化室内空气的空气净化***及其运行方法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KR20180138262A (ko) 공기 청정 장치
US11712494B2 (en) Enhanced exhaled air collector and air purification unit and system
KR100905083B1 (ko) 공기정화시스템
KR102260436B1 (ko) 공기청정기능과 살균기능이 내장된 전자 교탁
KR20190068869A (ko) 공기질에 따른 가변형 환기 장치
JPH0573133A (ja) 環境制御装置
JP5327602B2 (ja) 喫煙ブース
US20210386902A1 (en) Enhanced Exhaled Air Collector and Air Purification Unit and System
RU2600896C1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с удалением продуктов выдоха
EP1674114A1 (en) Air sterilizing unit for ventilation convectors and the like
KR100719955B1 (ko) 산소발생 기능이 구비된 시스템 공기조화장치
WO2022132243A1 (en) Enhanced exhaled air collector and air purification unit and system
KR20200121541A (ko) 사용자 개인화 공간 및 효과적인 광고 노출면을 갖는 부스를 활용한 공중 컴퓨터
CN106091157A (zh) 一种室内用空气净化装置
KR101759169B1 (ko) 휴대용 방음 헬멧
JPH0842910A (ja) 空調パネル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KR20230052876A (ko) 개선된 날숨 포집기와 날숨 정화 유닛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