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598B1 -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 Google Patents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598B1
KR102191598B1 KR1020200020971A KR20200020971A KR102191598B1 KR 102191598 B1 KR102191598 B1 KR 102191598B1 KR 1020200020971 A KR1020200020971 A KR 1020200020971A KR 20200020971 A KR20200020971 A KR 20200020971A KR 102191598 B1 KR102191598 B1 KR 10219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r
support
holder
prefor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홍
Original Assignee
신우코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코스텍(주) filed Critical 신우코스텍(주)
Priority to KR102020002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598B1/ko
Priority to PCT/KR2021/002200 priority patent/WO20211674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29C2049/563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프리폼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밀착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프리폼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과; 상기 금형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수지 재료를 금형 내부로 안내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리폼의 내부 프리폼 캐비티 형상의 돌출바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멀어지게 하여 프리폼 성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거나, 또는 성형된 프리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제2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돌출바가 금형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2지지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클램핑 모듈과;상기 가이드바 또는 가이드바와 연결된 요소들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클램핑 모듈과 가이드바를 밀착시키는 밀착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A pre-form forming module for a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프리폼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밀착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한국 특허 등록 10-1585153에서는 본 발명자가 2015년에 출원하여 등록받은 용기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서는 빈 립플레이트가 들오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같이 립플레이트 방향으로 움직여서 프리폼을 형성할 수 있는 상부 금형의 캐비티를 밀폐시키고, 상부 금형 캐비 내부에 액상의 수지 재료를 주입하여 프리폼을 제작할 수 있는 모듈이 개시된다.
그런데, 본 선행문헌의 기술의 경우, 하부 금형이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위아래의 스트로크를 위한 공간이 많이 확보되어야 하고, 다수의 기계적 구성요소를 구비함으로써, 그 배치가 복잡하고, 설비 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구성을 간명하게 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고, 안정적으로 프리폼을 제작할 수 있는 프리폼 제작 모듈 성형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기의 프리폼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과; 상기 금형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수지 재료를 금형 내부로 안내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리폼의 내부 프리폼 캐비티 형상의 돌출바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멀어지게 하여 프리폼 성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거나, 또는 성형된 프리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제2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돌출바가 금형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2지지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클램핑 모듈과; 상기 가이드바 또는 가이드바와 연결된 요소들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클램핑 모듈과 가이드바를 밀착시키는 밀착 유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측 및 제1지지부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대에 밀착 유도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밀착 유도 지지모듈은; 밀착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밀착용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 부재와; 수직 이동 부재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 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좌우 이동을 수행하는 수평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지지대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 영역에 고정되며 가이드바와 같이 움직이면서 가이드바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 이동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의 하부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수평 이동 부재의 좌우 이동시 안내 부재 및 가이드바가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는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마련되며, 관통공의 길이는 가이드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상면과 이동 부재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상면에는 보강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 모듈은 양 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을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홀더의 파지 동작 또는 파지 해제 동작을 유발하는 클램핑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양 측의 홀더는 클램핑 액츄에이터 동작시 동시에 파지 동작을 수행하거나 파지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각의 홀더는 외측 홀더와, 외측 홀더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내측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액츄에이터는 2 개의 내측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내측 홀더에는 액츄에이터 로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2 개의 내측 홀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 구조는 두 개의 내측 홀더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 바와, 각각의 링크바를 연결하며 하부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개의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각각의 홀더에 그 양단이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내측 홀더는 제1내측 홀더와, 제2내측 홀더를 포함하고, 외측 홀더는 제1외측 홀더와, 제2외측 홀더를 포함하며, 가이드 로드는; 제2내측 홀더와 제1외측 홀더를 연결하여 이들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가이드 로드와, 제1내측 홀더와 제2외측 홀더를 연결하여 이들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2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내부에는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마련되되, 상기 홀더가 관통하는 가이드바의 영역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의 관통부 내면에는 가이드바의 요철부에 대응되는 대응 요철부가 마련되어 홀더가 가이드바를 파지하는 경우, 가이드바의 요철부와 홀더 요철부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 유도 모듈 동작시, 상기 가이드 바가 위로 들어올려져서 요철부와 홀더의 대응 요철부가 상하 방향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착 유도 모듈은 유압식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밀착용 액츄에이터와;밀착용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연결 호스와; 연결 호스와 연결되어 작동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가이드바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 하우징을 포함하며, 밀착용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작동유가 수용 하우징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 유압에 의하여 가이드바가 상승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 모듈이 도입됨으로써, 수지 재료가 주입될 때 발생하는 하강 압력에도 불구하고, 하부지지대 및 제2지지부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여 금형의 아랫부분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형이 움직이는 공간을 최소화 하고, 구성을 간명하게 함으로써 원가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더 나아가, 밀착 유도 모듈에 의하여, 클램핑 모듈이 물려 있는 가이드바를 약간 들어올릴 수 있음으로써, 가이드바에 있는 요철부와, 클램핑 모듈의 홀더에 있는 대응 요철부 간에 상하 간격을 없앰으로써, 금형과 립플레이트 간의 밀착상태를 더 개선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금형과 제2지지부가 이격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금형과 제2지지부가 이격된 상태 정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금형과 제2지지부가 이격된 상태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금형과 제2지지부가 근접한 상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금형과 제2지지부가 근접한 상태 정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금형과 제2지지부가 근접한 상태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내측 홀더와 외측 홀더가 좁혀진 경우 상하 부분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내측 홀더와 외측 홀더가 넓혀진 경우 상하 부분 사시도이다.
도10(a)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내측 홀더와 외측 홀더가 넓혀진 경우 평면도이다.
도10(b)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내측 홀더와 외측 홀더가 좁혀진 경우 평면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내측 홀더와 외측 홀더가 넓혀진 경우 저면도이다.
도11(b)는 본 발명에서 클램핑 모듈의 내측 홀더와 외측 홀더가 좁혀진 경우 저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서 밀착 유도 모듈의 제1실시예가 동작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13는 본 발명에서 밀착 유도 모듈의 제1실시예가 동작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서 수평 이동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서 수평 이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6(a)는 본 발명에서 밀착 유도 모듈이 동작하기 전에 요철부와 대응 요철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16(b)는 본 발명에서 밀착 유도 모듈이 동작한 후에 요철부와 대응 요철부의 밀착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밀착 유도 모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밀착 유도 모듈의 제2실시예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19(a)는 본 발명의 밀착 유도 모듈이 동작하기 전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19(b)는 본 발명의 밀착 유도 모듈이 동작한 경우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이하 ' 성형 모듈' 이라고 한다)은(1)은 프리폼(pre-form)을 제작하기 위하여 프리폼의 외관 형상을 모사한 프리폼 캐비티(C)을 구비하는 금형(100)을 구비한다.
여기서 프리폼은 부피가 팽창되어 제작되는 용기가 팽창되기 전의 손가락이나 작은 시험관만한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플라스틱 제조물을 의미한다.
금형(100)의 상부에는 금형(100)을 지지하며, 프리폼의 원재료가 되는 수지가 유입되는 유로를 구비한 제1지지부(110)가 마련된다. 제1지지부(110)는 그 위의 상부 지지대(210)와 연결된다.
제1지지부(110) 내부에는 사출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공(110a)이 마련된다. 연결공(110a)에서 액상의 수지 재료가 유입되며, 유입된 수지 재료는 제1지지부(110) 내부에 마련되는 안내 유로(111)를 따라서 금형(110) 내부의 프리폼 캐비티(C)으로 이동한다.
금형(100) 내부의 프리폼 캐비티(C)는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폼의 형상에 대응된다.
제1지지부(110)의 상부에는 상부 지지대(21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지지대(210)는 제1지지부(110)를 지지하고, 제1지지부(1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 지지대(210) 내부에는 후술할 밀착 유도 모듈(300)이 마련된다. 밀착 유도 모듈(300)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서술하기로 하겠다.
상부 지지대(210)의 양 옆에는 다수의 가이드바(400)가 마련된다. 상부 지지대(210)의 양 옆에 배열되는 가이드바(400) 들의 배치 상태는 좌우가 동일하며, 대칭된다.
어느 한쪽에 배열되는 가이드바(400)의 그룹은 복수개의 가이드 바들로 구성되며, 가이드바(400)의 그룹은 그 중간에 설치되는 중간 가이드바(410)와, 중간 가이드 바(410)의 앞뒤 또는 주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바(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간 가이드바(410)의 상부와 보조 가이드바(420)의 상부는 상부 지지대(210)에 연결된다. 보조 가이드바(420)의 상부는 상부 지지대(210)에 고정되고, 중간 가이드바(410)는 상부 지지대(210)를 관통하여 배열되나, 완전하게 고정되지는 않고, 밀착 유도 모듈(300)의 동작에 따라서 상하로 약간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중간 가이드바(410) 및 보조 가이드바(420)에는 하부 지지대(22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중간 가이드바(410) 및 보조 가이드바(420)가 하부 지지대(220)의 양 옆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하부 지지대(220)의 위에는 제2지지부(120)가 설치되며, 제2지지부(120)에는 복수의 돌출부(130)가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설치된다. 돌출부(130)는 핑거부라고도 불리울 수 있으며, 돌출부(130)가 금형(100) 내부의 프리폼 캐비티(C)에 삽입되어 금형(1000) 내부의 프리폼 캐비티(C)과 함께 프리폼을 성형할 수 있는 제작 환경을 제공한다.
돌출부(130)는 제2지지부(120) 위에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돌출부(130)의 위치 및 배열 상태는 금형 내부에 있는 프리폼 캐비티(C)의 위치 및 배열 상태와 대응된다.
하부 지지대(120)는 구동부(500)의 동작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제2지지부(120)가 금형(100)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고, 또는 제2지지부(120)가 금형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0)가 금형(100) 하면에 밀착되면, 제2지지부(120)의 상부에 위치한 다수의 돌출부(130)가 금형(100) 내부의 프리폼 캐비티(C)에 삽입되어 프리폼을 성형할 수 있는 프리폼 성형 공간 환경을 제공한다. 이 상태에서 제1지지부(110)의 안내 유로(111)를 통해서 액상의 수지 재료가 유입되면 프리폼이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폼 성형 모듈(1)의 최하면에는 베이스판(610)이 마련되고, 베이스판(610)에 구동부(500)가 위치한다. 구동부(500)는 액츄에이터(510)와, 액츄에이터(510)에 연결되는 구동력 전달수단(예, 벨트 또는 체인 또는 기어(미도시))(520)과, 구동력 전달 수단(520)과 연결되는 회전수단(530)과, 회전 수단(5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선운동 변환부(540)를 포함한다.
직선 운동 변환부(540)는 회전 수단(530)에 연결되어 회전 수단(53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수나사봉(541)과, 수나사봉(541)에 나사결합되고, 하부 지지대(220)에 연결되는 암나사블럭(542)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510)가 동작하면, 구동력 전달수단(520)이 회전수단(530)을 회전시키고, 회전 수단(530)의 회전에 따라서 수나사봉(541)이 회전하며, 이에 맞물린 암나사 블럭(542)이 상부 방향이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하부 지지대(220) 및 제2지지부(120)가 상부 방향이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하 운동의 안정성과 균형을 위해서, 구동부(500)가 베이스부(610)의 앞과 뒤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수량의 배치방향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가이드바(420)의 하단부와 중간 가이드 바(410)의 하단부는 모두 베이스부(610)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한편, 중간 가이드바(410)의 중간 부분(또는 중간보다 위쪽 또는 아래쪽)의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부(411)가 마련된다. 이 요철부(411)는 하부 지지대(220)의 아래에 있는 클램핑(700) 모듈의 동작에 의하여 클램핑 모듈(700)에 의하여 파지되거나, 파지 해제되는 부분이다.
하부 지지대(220)가 상승 이동하여, 돌출부(130)가 금형(100) 내부의 프리폼 캐비티(C)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위치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하부 지지대(220) 및 제2지지대(120)가 하강이동을 하면 안된다.
다만, 사출 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액상의 사출 재료의 공급 압력이 강한 경우, 그 압력에 의하여 금형(100)과 제2지지부(120) 간의 간격이 벌어져서, 프리폼 캐비티(C) 내부의 밀폐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 금형(100) 내부 프리폼 캐비티(C)에 돌출부(130)가 삽입되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하부 지지대 (220)아래에 마련되는 클램핑 모듈(700)이 중간 가이드바(410)의 요철부(411)를 파지하여 하부 지지대(220) 및 제2지지부(120)의 하강을 방지한다.
그리고, 금형(100)의 프리폼 캐비티(C) 내부에 수지 재료가 충만되어 프리폼을 형성할 시간이 완료되면, 클램핑 모듈(700)의 파지 상태가 해제되고, 이후 하부 지지대(220) 및 제2지지부(120)가 하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부(120)와 금형(100) 사이에는 립플레이트(미도시)가 배치되고, 돌출부(130)는 립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금형(100) 내부로 삽입된다. 그 상태에서 수지재료가 프리폼 캐비티(C) 내부로 유입되어 프리폼이 성형되면, 프리폼의 입구가 하향 배치된 상태에서 립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프리폼을 탑재한 립 플레이트는 블로윙 하기 위한 장치로 이동하여 용기가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립플레이트의 동작 및 지지 상태는 종래 기술에도 나타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4 내지 도6은 구동부(500)에 의하여 하부 지지대(220) 및 제2지지부(120)가 상승하여, 돌출부(130)가 금형(100)의 프리폼 캐비티(C)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금형(100)과 제2지지부(120) 사이에는 빈 립플레이트가 위치하고, 각 립플레이트의 돌출된 지지부가 금형(100)의 프리폼 캐비티(C) 하부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5에서 박스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411)가 클램핑 모듈(700)의 일 구성요소인 홀더(710) 내면에 있는 대응 요철부(711c, 712c)와 맞물린다.
클램핑모듈(700)은 하부 지지대(22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부(411)와 대응 요철부(711c, 712c)가 맞물리면, 액상의 사출 재료가 프리폼 캐비티(C) 내부에 유입되어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여도, 제2지지대(120)와 하부 지지대(220)가 하강하지 않는다.
클램핑모듈(700)에 관한 구조는 도7 내지 도11에 개시된다.
클램핑 모듈(700)은 양 측에 마련되며 상기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에 있는 요철부(411)를 파지하거나 파지 해제하는 홀더(710) 및 홀더(710)와 연결되어 홀더(710)의 파지 동작 또는 파지 해제 동작을 유발하는 클램핑 액츄에이터(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양 측의 홀더(710; 711, 712)는 링크 구조에 의하여 연결되어 클램핑 액츄에이터(710) 동작시 동시에 파지 동작을 수행하거나 파지 해제 동작을 수행한다.
클램핑 액츄에이터(720)는 그 동작에 따라서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액츄에이터 로드(721)와 연결된다.
각각의 홀더(711, 712)는 외측 홀더(711a, 712a)와, 외측 홀더(711a, 712b)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내측 홀더(711b, 712b)를 포함하고, 클램핑 액츄에이터(720)는 2 개의 내측 홀더(711b, 712b) 중 어느 하나(본 도면에서는 제1 내측 홀더(711b)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내측 홀더(본 도면에서는 712b)에는 액츄에이터 로드(721)가 연결된다.
따라서, 클램핑 액츄에이터(720)가 제1내측 홀더(711b)에 고정되고, 액츄에이터 로드(721)의 끝단부가 제2내측 홀더(712b)에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핑 액츄에이터(720) 자체가 동작되면, 제1내측 홀더(711b)와 제2내측 홀더(712b) 간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진다.
한편, 제1,2내측 홀더(711a, 712a) 간의 간격 조절의 안정성은 링크 구조(730)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링크 구조(730)는 제1,2내측 홀더(711b, 712b)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 바(731,732)와, 각각의 링크바(731,732)를 연결하는 회동 부재(733)를 포함한다.
회동 부재(733)의 중앙에는 관통공(733a)이 마련되는데, 관통공(733a)에 체결부재(734)가 설치되고, 그 체결부재(734)가 하부 지지대(220)의 하면에 소정의 고정부재(735)에 의하여 장착되어 회동부재(733)를 하부 지지대(220)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회동 부재(733)의 양 단에는 링크바(731,73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는 설치홈(733b)이 마련된다. 각 설치홈(733b)에는 제1링크바(731)와, 제2링크바(73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내측 홀더(711b)에는 제1상부 연결구(741a), 제1중앙 연결구(741b)와, 제1하부 연결구(741c)가 설치된다.
또한, 제2내측 홀더(712b)에는 제2상부 연결구(742a), 제2중앙 연결구(742b)와, 제2하부 연결구(742c)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상부 연결구(741a)와 상기 제1중앙 연결구(741b)는 상호 상하로 이격되고, 그 이격된 공간에 제1링크바(731)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중앙 연결구(741b)과 제2하부 연결구(741c)도 상하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는 클램핑 액츄에이터(720)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1관통 체결 부재(741d)가 제1하부 연결구(741c), 클램핑 액츄에이터(720)의 단부, 제1중앙 연결구(741b), 제1링크바(731)의 단부, 제1상부 연결구(741a)를 관통하여 이들을 한꺼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한편, 제1관통 체결 부재(741d)의 헤드부에는 미세 체결부(741e)가 마련되어 헤드부를 제1하부 연결구(741c)에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내측 홀더(712b)에는 제2상부 연결구(742a), 제2중앙 연결구(742b)와, 제2하부 연결구(742c)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상부 연결구(742a)와 상기 제2중앙 연결구(742b)는 상호 상하로 이격되고, 그 이격된 공간에 제2링크바(732)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중앙 연결구(742b)과 제2하부 연결구(742c)도 상하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는 액츄에이터 로드(721)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2관통 체결 부재(742d)가 제2하부 연결구(742c), 액츄에이터 로드(721)의 단부, 제2중앙 연결구(742b), 제2링크바(732)의 단부, 제2상부 연결구(742a)를 관통하여 이들을 한꺼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한편, 제2관통 체결 부재(742d)의 헤드부에는 미세 체결부(742e)가 마련되어 헤드부를 제2하부 연결구(742c)에 결합시킨다.
제1홀더(711)와 제2홀더(712)의 내부에는 각각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파지홈(711d, 712d)이 마련되며, 파지홈(711d, 712d) 내면에는 가이드바(410)에 형성되는 요철부(411)에 대응되어 맞물릴 수 있는 대응 요철부(711c, 712c)가 마련된다.
제1홀더(711)는 제1외측 홀더(711a)와 제1내측 홀더(711b)를 포함하고, 제2홀더(712)는 제2외측 홀더(712a)와 제2내측 홀더(712b)를 포함한다.
대응 요철부(711c, 712c)는 제1외측 홀더(711a)의 내면의 반원형의 파지홈(711d) 표면과, 제1내측 홀더(711b)의 내면의 반원형의 파지홈(711d) 표면과, 제2외측 홀더(712a)의 내면의 반원형의 파지홈(712d) 표면과, 제2내측 홀더(712b)의 반원형의 파지홈(712d) 표면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1내측 홀더(711b), 제2내측 홀더(712b)의 양 옆에는 터널 형태의 제1가이드 홀(711b-1)과 제2가이드홀(712b-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 홀(711b-1)과 제2가이드홀(712b-1)에는 제1가이드 로드(751)와, 제2가이드 로드(752)가 삽입된다.
여기서 제1가이드 로드(751)는 제2내측 홀더(712b)와 제1외측 홀더(711a)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데, 제1가이드 로드(751)의 일단부는 제1내측 홀더(711b)의 제1가이드홀(711b-1)을 관통하여, 제1외측 홀더(711a)의 측벽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내측 홀더(712b) 내부의 제2가이드홀(712b-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타단부는 제2가이드홀(712b-1)를 관통하지도 않고, 따라서, 제2외측 홀더(712a)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가이드 로드(751)는 제2내측 홀더(712b)가 클램핑 액츄에이터(720)의 동작에 의하여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1외측 홀더(711a)가 같이 동조화하여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제2가이드 로드(752)는 제1내측 홀더(711b)와 제2외측 홀더(712a)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데, 제2가이드 로드(752)의 일단부는 제2내측 홀더(712b)의 제2가이드홀(712b-1)을 관통하여, 제2외측 홀더(712a)의 측벽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내측 홀더(711b) 내부의 제1가이드홀(711b-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타단부는 제1가이드홀(711b-1)를 관통하지도 않고, 따라서, 제1외측 홀더(711a)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가이드 로드(752)는 제1내측 홀더(711b)가 클램핑 액츄에이터(720)의 동작에 의하여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제2외측 홀더(712a)가 같이 동조화하여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제1,2가이드 홀(711b-1, 712b-1)은 이러한 제1,2가이드 로드(751,752)가 삽입되어 그 이동을 안내하면서, 제1,2가이드 로드(751, 752)의 움직임이 운동과 무관한 다른 내측 홀더(711b, 712b)에 의하여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며, 제1,2가이드 로드(751,752)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제1가이드 로드(751)는 클램핑 모듈(700)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전후방으로 교차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힘의 균형을 위함이다.
따라서, 도7(a) 및 도8을 기준으로, 전방의 하단과, 후방의 상단에는 제1가이드 로드(751)가 배치된다.
또한, 제2가이드 로드(752)는 클램핑 모듈(700)의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전후방으로 교차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힘의 균형을 위함이다.
따라서, 도7(a) 및 도8을 기준으로, 전방의 상단과, 후방의 하단에는 제1가이드 로드(751)가 배치된다.
따라서, 클램핑 액츄에이터(720)가 동작하여, 액츄에이터 로드(721)를 잡아당기면, 제1내측 홀더(711b)와 제2내측 홀더(712b)의 간격이 가까워진다. 즉, 제1내측 홀더(711b)는 제2내측 홀더(712b)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내측 홀더(712b)는 제1내측 홀더(711b)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제1내측 홀더(711b)는 제2 가이드 로드(752)에 의하여 제2 외측 홀더(712a)와 연결되는데, 제1내측 홀더(711b)가 제2 내측 홀더(712b)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외측 홀더(712a)는 제2내측 홀더(712b)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 사이가 벌어진다.
또한, 제2내측 홀더(712b)는 제1 가이드 로드(751)에 의하여 제1 외측 홀더(711a)와 연결되는데, 제2내측 홀더(712b)가 제1 내측 홀더(711b)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1 외측 홀더(711a)는 제1내측 홀더(711b)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 사이가 벌어진다.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 사이가 벌어지고,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 사이가 벌어지는 모습이 도9 및 도10(a), 도11(a)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 사이의 파지홈(711d)이 벌어져서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것이 해제되고,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 사이의 파지홈(712d)이 벌어져서 다른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것이 해제된다.
반대로, 클램핑 액츄에이터(720)가 동작하여, 액츄에이터 로드(721)를 밀어내면, 제1내측 홀더(711b)와 제2내측 홀더(712b)의 간격이 멀어진다. 즉, 제1내측 홀더(711b)는 제2내측 홀더(712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내측 홀더(712b)는 제1내측 홀더(71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제1내측 홀더(711b)는 제2 가이드 로드(752)에 의하여 제2 외측 홀더(712a)와 연결되는데, 제1내측 홀더(711b)가 제2 내측 홀더(712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2 외측 홀더(712a)는 제2내측 홀더(712b)와 가까워지게 이동하여,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 사이가 좁아져서 궁극적으로 제2내측 홀더(712b)의 측벽과 제2회측홀더(712a)의 측벽이 밀착된다.
또한, 제2내측 홀더(712b)는 제1 가이드 로드(751)에 의하여 제1 외측 홀더(711a)와 연결되는데, 제2내측 홀더(712b)가 제1 내측 홀더(711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제1 외측 홀더(711a)는 제1내측 홀더(711b)와 가까워지게 이동하여,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 사이가 좁아져서 궁극적으로 제1내측 홀더(711b)의 측벽과 제1외측 홀더(711a)의 측벽이 밀착된다.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 사이가 가까워져서 밀착되는 한편,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 사이가 가까워져서 밀착되는 모습이 도7 및 도10(b), 도11(b)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 사이의 파지홈(711d)이 좁아져서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을 파지하고,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 사이의 파지홈(712d)이 좁아져서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을 파지한다.
이 경우, 중간 가이드바(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부(411)와 각 홀더의 파지홈(711d, 712d) 내부면에 형성된 대응 요철부(711c, 712c)가 결합되어 맞물린다. 그 맞물린 도면이 도16(a)에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는 중간 가이드바(410)와 제1,2홀더(711, 712)간에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하부지지대(220)가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도, 하방으로 이동이 억제된다.
한편,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의 외면에는 제1가이드 레일(761)이 결합된다.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의 외면에는 제1가이드 레일(761)이 결합되는 제1레일홈(711a-2, 711b-2)이 마련되어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운동을 하는 경우, 제1레일홈(711a-2, 711b-2)이 제1가이드 레일(761)을 타고 이동을 한다.
그리고, 제1가이드 레일(761)의 상면은 하부 지지대(220) 하면에 복수의 고정 부재(763)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제1가이드 레일(761)이 하부 지지대(220) 하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운동을 할 경우에, 그 이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서, 제1가이드 레일(761)은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제1 레일홈(711a-2, 711b-2)도 제1내측 홀더(711b)와 제1외측 홀더(711a)의 외측 전면과 외측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의 외면에는 제2가이드 레일(762)이 결합된다.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의 외면에는 제1가이드 레일(762)이 결합되는 제2레일홈(712a-2, 712b-2)이 마련되어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가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운동을 하는 경우, 제2레일홈(712a-2, 712b-2)이 제2가이드 레일(762)을 타고 이동을 한다.
그리고, 제2가이드 레일(762)의 상면은 하부 지지대(220) 하면에 복수의 고정 부재(764)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 레일(762)이 하부 지지대(220) 하면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운동을 할 경우에, 그 이동이 안정적으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서, 제2가이드 레일(762)은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제2 레일홈(712a-2, 712b-2)도 제2내측 홀더(712b)와 제2외측 홀더(712a)의 외측 전면과 외측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16(a)와 같이 요철부(411)와 대응 요철부(711c(712c))가 맞물렸으나 약간의 미세한 간격(G)이 존재하는 상태를 좀더 개선시켜서, 요철부(411)와 대응 요철부(711c(712c)) 간의 미세한 간격(G)을 아예 없애서, 도16(b)와 같이, 완전하게 요철부(411)와 대응 요철부(711c(712c))를 밀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프리폼 성형 과정에서 고압으로 수지 재료가 주입되어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금형(100)과 그 아래에 배치되는 립플레이트 간에 틈새를 없애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밀착 유도 모듈(300)이 제공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 유도 모듈(300)은 상부 지지대(210)의 위쪽에 배치된다.
밀착 유도 모듈(300)은 상부 지지대(210) 상부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밀착용 액츄에이터(310)와, 밀착용 액츄에이터(310)와 연결되어 밀착용 액츄에이터(310)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수직 이동 부재(320)와, 수직 이동 부재(3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321)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321)는 수직 이동 부재(320)에 삽입되는 봉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 이동 부재(320)의 양 단에 연결되는 링크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링크부재(330)의 내단부는 수직 이동 부재(320)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 수직 이동 부재(320)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도12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직 이동부재(320)가 완전히 하강한 상태에서는 도13과 같이, 상부 지지대(210)의 바닥면에 대해서 평평하게 배치된다.
링크부재(330)의 외단부에는 상면이 경사지게(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 형성되는 수평 이동 부재(340)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 이동 부재(340)에는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 형태의 관통공(3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341a)을 중간 가이드바(410)가 관통한다.
따라서, 중간 가이드바(410)가 관통공(341a)을 관통하여, 수평 이동 부재(340)가 중간 가이드바(41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밀착용 액츄에이터(310)의 동작에 의하여 수평 이동 부재(340)가 좌우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수평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수평 이동 부재(340)의 상부에는 안내 부재(350)가 마련되며, 안내 부재(350)는 중간 가이드바(4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중간 가이드바(410)의 상부에는 중간 가이드바(410)와 안내 부재(350)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60)가 마련된다
안내 부재(350)와 중간 가이드바(410)는 상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부재(350)가 살짝 들어올려지는 경우 중간 가이드바(410)도 안내 부재(350)가 들어올려지는 만큼 들어올려진다.
안내부재(350)의 하면은 수평 이동부재(340)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대응 경사면(351)이 형성되며, 그 대응 경사면(351)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마련된다.
도14 및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이동 부재(340)의 상면, 하면, 전, 후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고 마찰을 저감하는 보강판(342,343,344,345)이 마련되며, 수평 이동 부재(340)의 몸체부(341)의 상하면에는 보강판(342,343)이 설치될 수 있는 단차진 설치홈(341b,341c)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판(342,343,344,345)의 표면에는 강도 보강 및 마찰 저감을 위한 보강홈(342b,343b,344b,345b)도 마련된다.
수평 이동 부재(340)의 몸체부(341) 및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보강판(342,343)에는 상술한 관통공(341a, 342a, 34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매칭된다.
그리고, 수평 이동 부재(340)의 일측면에는 링크 부재(330)와 회동 연결될 수 있는 회동 연결부(341c)가 마련된다.
도12에서는 밀착용 액츄에이터(310)의 로드(310a)가 상승한 위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서 수직 이동 블록(320)도 상승 위치에 있다. 그리고, 링크 부재(330)는 경사지게 배열되어, 수평 이동부재(340)를 내측으로 잡아당기고 있다.
이에 따라서, 수평 이동 부재(340)에 마련되는 관통공(341a)의 외측 내면과, 내측 내면은 중간 가이드바(340)와 이격되어 있고, 수평 이동부재(340)의 외측단부는 상부 지지대(210)의 측벽과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16(a)와 같이, 홀더(711,712)의 대응 요철부(711c(712c))와, 중간 가이드바(410)의 요철부(411)가 미세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G로 표시).
이 상태에서, 수지 재료가 금형 내부에 주입되기 직전에, 중간 가이드바(410)와 홀더(711, 712) 간의 결합력을 높여서 금형(100)과 립플레이트 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도13과 같이, 밀착용 액츄에이터(310)가 동작하여, 밀착용 액츄에이터(310)의 로드(310a) 및 이에 연결된 수직 이동블록(320)이 완전히 하강한다.
그러면, 링크 부재(330)가 내려가면서, 수평 상태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서, 링크 부재(330)의 외단부가 수평 이동 부재(340)를 바깥쪽으로 밀고, 이에 따라서 수평 이동부재(340)의 경사면과 안내 부재(350)의 대응 경사면(351)간에 상대 슬라이드 이동이 일어나며, 수평 이동부재(340)가 안내 부재(350)를 살짝 들어올린다.
이에 따라서, 안내부재(350)에 연결된 중간 가이드바(410)도 살짝 위로 올라간다.
이 경우, 수평 이동 부재(340)의 외측 단부는 상부 지지대(210)의 측벽에 닿고, 수평 이동 부재(340)의 관통공(341a)의 내측 내면이 중간 가이드바(410)의 표면에 접촉하여, 더 이상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중간 가이드바(410)가 살짝 들어올려지면, 도16(b)와 같이, 중간 가이드바(410)에 마련되는 요철부(411)가 대응 요철부(711c(712c))를 들어올린다. 즉, 요철부(411)를 구성하는 각 철부의 상면이, 대응 요철부(711c(712c))의 철부의 하면을 세게 가압하여 밀착 상태가 더 공고해지고 도16(a)에서 G로 표시된 미세한 간극이 사라진다.
이에 의하여, 수지 재료가 금형(100)에 주입되어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립플레이트 및 립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120)와 하부 지지대(220)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고, 금형(100)과 립플레이트 간의 틈새 발생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7 내지 도19는 밀착 유도 모듈의 제2실시예(1310)에 대한 것이다.
도17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생략하였고, 아래에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겠다.
상부 지지대(1210)의 중앙에는 유압으로 동작하는 밀착용 액츄에이터(1310)가 배치되며, 상부 지지대(1310)의 양 옆에는 중간 가이드바(1410)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밀착용 액츄에이터(1310)와 유압 호스(1320)에 의하여 연결되는 수용 하우징(1330)이 마련된다.
수용 하우징(1330)의 옆에 유압 호스(1320)가 연결되는 연결공(1331)이 마련되어, 연결공(1331)을 통해서 유압호스(1330)로부터 작동유가 수용 하우징(1330) 내부로 유입되거나, 수용 하우징(1330) 내부의 작동유가 유압호스(1320)로 인출될 수 있다.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하우징(1330) 내부 공간에는 중간 가이드바(1410) 상단부가 수용되고, 중간 가이드바(1410) 외주면에는 유압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중간 가이드바(14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1350)가 결합된다
중간 가이드바(1410)와 안내 부재(1350)는 서로 결합되어 있어서, 안내 부재(1350)가 상하 방향으로 살짝 움직이면, 중간 가이드바(1410)도 상하 방향으로 살짝 움직일 수 있다.
중간 가이드바(1410)와 안내 부재(1350)의 결합을 위해서 중간 가이드바(1410)의 상단부 외주면과 안내 부재(1350)의 내주면에는 단차가 각각 마련되어 단차면이 결합된다.
한편, 안내 부재(1350)와 중간 가이드바(1410)의 상면에는 내부 커버(1352)가 배치된다. 내부 커버(1352)는 중간 가이드바(1410)의 상면을 덮은 상태에서 안내 부재(1350)의 상면에 별도의 체결부재(1353)에 의하여, 결합되어, 중간 가이드바(1410)가 안내 부재(1350) 위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 커버(1352) 중간에는 관통공(1352a)이 형성되고, 관통공(1352a)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355)가 설치된다.
탄성부재(1355)의 상단부는 하우징 커버(1332)의 하면에 설치된 설치홈(1332a)에 설치되고, 하단부는 중간 가이드바(1410)의 상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중간 가이드바(1410) 및 안내 부재(1350)가 유압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유압이 낮아지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중간 가이드바(1410)를 아래로 밀어서 들어올려지기 전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한편 미설명 부호 1360은 수용 하우징(1310) 하부 영역과 중간 가이드바(1410) 외주면간의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이며, 이는 작동유가 아래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1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수용 하우징(1310) 내부로 유입되기 전에는 안내 부재(1350)의 하면이 수용 하우징(1310) 내부 바닥면에 닿아 있고, 내부 커버(1352) 및 안내 부재(1350)의 상부 테두리는 하우징 커버(1332) 하면과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16(a)와 같이, 홀더(711,712)의 대응 요철부(711c(712c)와, 중간 가이드바의 요철부(411)가 미세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수지 재료가 금형 내부에 주입되기 직전에, 중간 가이드바(1410)와 홀더(711,712) 간의 결합력을 높여서 금형(100)과 립플레이트 간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밀착용 액츄에이터(1310)가 작동유를 수용 하우징(1330) 내부로 공급한다.
작동유는 수용 하우징(1330) 하부에 형성되는 안내 유로(1333)를 타고 공급된 후, 상승하여, 안내 부재(1350) 및 이와 연결되어 있는 중간 가이드바(1410)를 들어올린다.
이 경우, 도19(b)같이, 안내 부재(1350) 및 중간 가이드바(1410)가 상승하고, 내부 커버(1352) 및 안내 부재(1350)의 상부 테두리는 하우징 커버(1332) 하면과 밀착되며, 탄성부재(1355)는 압축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중간 가이드바(1410)이 살짝 들어올려지면, 도16(b)와 같이, 중간 가이드바에 마련되는 요철부(411)가 대응 요철부(711c(712c))를 들어올린다.
즉, 요철부(411)와 대응 요철부(711c(712c))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요철부(411)를 구성하는 각 철부의 상면이, 대응 요철부(711c(712c))를 구성하는 각 철부의 하면을 세게 가압하여 밀착 상태가 더 단단해진다.
이에 의하여, 수지 재료가 금형에 주입되어 하방으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립플레이트 및 립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하부 지지대(1220)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고, 금형과 립플레이트 간의 틈새 발생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금형 110: 제1지지부
120: 제2지지부 210: 상부 지지대
220: 하부 지지대 300, 1300: 밀착 유도 모듈
400: 가이드바 410: 중간 가이드바
411: 요철부 500: 구동부
700: 클램핑 모듈 711: 제1홀더
712: 제2홀더 720: 클램핑 액츄에이터
721: 액츄에이터 로드 751: 제1가이드 로드
752: 제2가이드 로드

Claims (13)

  1. 용기의 프리폼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과;
    상기 금형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수지 재료를 금형 내부로 안내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리폼의 내부 프리폼 캐비티 형상의 돌출바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 및 제2지지부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멀어지게 하여 프리폼 성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거나, 또는 성형된 프리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제2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 지지대까지 연결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돌출바가 금형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2지지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클램핑 모듈과;
    상기 가이드바를 위로 끌어올리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클램핑 모듈과 가이드바를 밀착시키는 밀착 유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지지대는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측 및 제1지지부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지지대에 밀착 유도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밀착 유도 모듈은; 밀착용 액츄에이터와, 상기 밀착용 액츄에이터와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이동 부재와; 수직 이동 부재의 양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수직 이동 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좌우 이동을 수행하는 수평 이동 부재를 포함하되,
    상부 지지대에는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 영역에 고정되며 가이드바와 같이 움직이면서 가이드바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 이동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의 하부에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수평 이동 부재의 좌우 이동시 안내 부재 및 가이드바가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부재에는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이 마련되며,
    관통공의 길이는 가이드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상면과 이동 부재의 하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부재의 상면에는 보강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모듈은 양 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외주면을 파지하거나 파지해제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와 연결되어 홀더의 파지 동작 또는 파지 해제 동작을 유발하는 클램핑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양 측의 홀더는 클램핑 액츄에이터 동작시 동시에 파지 동작을 수행하거나 파지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홀더는 외측 홀더와, 외측 홀더와 이격되거나 밀착되는 내측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액츄에이터는 2 개의 내측 홀더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내측 홀더에는 액츄에이터 로드에 의하여 연결되어, 2 개의 내측 홀더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두 개의 내측 홀더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 바와,
    각각의 링크바를 연결하며 하부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두 개의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각각의 홀더에 그 양단이 삽입되는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내측 홀더는 제1내측 홀더와, 제2내측 홀더를 포함하고,
    외측 홀더는 제1외측 홀더와, 제2외측 홀더를 포함하며,
    가이드 로드는;
    제2내측 홀더와 제1외측 홀더를 연결하여 이들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1가이드 로드와,
    제1내측 홀더와 제2외측 홀더를 연결하여 이들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제2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내부에는 가이드바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마련되되,
    상기 홀더가 관통하는 가이드바의 영역에는 복수의 요철부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의 관통부 내면에는 가이드바의 요철부에 대응되는 대응 요철부가 마련되어 홀더가 가이드바를 파지하는 경우, 가이드바의 요철부와 홀더 요철부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도 모듈 동작시, 상기 가이드 바가 위로 들어올려져서 요철부와 홀더의 대응 요철부가 상하 방향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13. 용기의 프리폼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는 금형과;
    상기 금형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된 수지 재료를 금형 내부로 안내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프리폼의 내부 프리폼 캐비티 형상의 돌출바가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 및 제2지지부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멀어지게 하여 프리폼 성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거나, 또는 성형된 프리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제2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 지지대까지 연결 배치되는 중간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 간의 간격이 좁아져서 돌출바가 금형 내부로 삽입된 경우에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제2지지부에 마련되어 가이드바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클램핑 모듈과;
    상기 가이드바를 위로 끌어올리는 외력을 가하여 상기 가이드바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클램핑 모듈과 가이드바를 밀착시키는 밀착 유도 모듈을 포함하되
    밀착 유도 모듈은 유압식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밀착용 액츄에이터와;
    밀착용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연결 호스와;
    연결 호스와 연결되어 작동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가이드바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 하우징을 포함하며,
    밀착용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작동유가 수용 하우징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 유압에 의하여 가이드바가 상승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KR1020200020971A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KR10219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71A KR102191598B1 (ko)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PCT/KR2021/002200 WO2021167425A1 (ko) 2020-02-20 2021-02-22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71A KR102191598B1 (ko)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598B1 true KR102191598B1 (ko) 2020-12-15

Family

ID=7378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71A KR102191598B1 (ko) 2020-02-20 2020-02-20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1598B1 (ko)
WO (1) WO20211674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425A1 (ko) * 2020-02-20 2021-08-26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14A (ko) * 1992-08-14 1994-03-12 윤양중 고무코팅 직물코드(fabric cord)의 접합(joint)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45976A (ko) * 2007-06-26 2010-05-04 첸 송 에셋 매니지먼트 리미티드 사출성형기계
KR100998768B1 (ko) * 2010-04-08 2010-12-07 우리마이크론(주)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KR101534426B1 (ko) * 2012-02-03 2015-07-06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가황기
KR101585153B1 (ko) *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7066B2 (ja) * 2002-04-25 2007-06-06 株式会社名機製作所 型締装置
KR101325813B1 (ko) * 2011-12-16 2013-11-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기구
KR102191598B1 (ko) * 2020-02-20 2020-12-15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714A (ko) * 1992-08-14 1994-03-12 윤양중 고무코팅 직물코드(fabric cord)의 접합(joint)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45976A (ko) * 2007-06-26 2010-05-04 첸 송 에셋 매니지먼트 리미티드 사출성형기계
KR100998768B1 (ko) * 2010-04-08 2010-12-07 우리마이크론(주) 플런져 유닛이 구비된 몰딩장치
KR101534426B1 (ko) * 2012-02-03 2015-07-06 미츠비시 쥬우고오 마시나리 테크노로지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가황기
KR101585153B1 (ko) * 2015-06-26 2016-01-14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7425A1 (ko) * 2020-02-20 2021-08-26 신우코스텍(주)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425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0209A (en) Vulcanizing method for a tire press
EP0115431B1 (en) Mold clamping mechanism for a tire curing press
KR102191598B1 (ko) 용기 제조 장치용 프리폼 성형 모듈
US20180318985A1 (en) Leveling device and easy-to-level display screen
JP5798444B2 (ja) ブロー型ユニット、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型ユニットの交換方法
KR20090076185A (ko) 금속제 캔의 밀봉립 가공장치
CN201009398Y (zh) 柱式液压硫化机
US40887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losure inserts
CN104742248B (zh) 一种带底座的混凝土筒形制品生产方法
CN201261185Y (zh) 存胎装置
CN206765244U (zh) 一种保温瓶瓶盖模具
CN112895389A (zh) 一种带吹制槽的注吹一体机
KR101986501B1 (ko) 반응고 단조성형장치
WO2020013463A1 (ko)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성형 방법과, 용기 및, 용기를 이용한 즉석식품 포장방법
CN206856108U (zh) 一种纸杯杯口成型模具
CN113696455A (zh) 一种注吹一体机
CN115071084A (zh) 一种瓶盖制造用密封面自检式注塑成型设备
CN113021918B (zh) 一种带法兰的悬置制品的组装方法
CN212532262U (zh) 一种硅酮结构胶成品分装机构
JP2017140742A (ja) ブロー成形装置
CN117601400B (zh) 基于自调节的注吹成型机辅助脱模机构
CN213443454U (zh) 一种胶囊整平装置
CN218111601U (zh) 一种塑胶模具顶出机构
CN214177236U (zh) 一种具有安装支架的单晶组件
CN218505196U (zh) 一种吹塑设备吹针协同升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