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19B1 -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19B1
KR102190019B1 KR1020180126875A KR20180126875A KR102190019B1 KR 102190019 B1 KR102190019 B1 KR 102190019B1 KR 1020180126875 A KR1020180126875 A KR 1020180126875A KR 20180126875 A KR20180126875 A KR 20180126875A KR 102190019 B1 KR102190019 B1 KR 10219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alkyl
oxo
propionate
chlorobenzoyl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6226A (ko
Inventor
신희종
기민효
김현태
이정록
이종환
손영남
Original Assignee
삼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8012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1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80069731.2A priority patent/CN112969464A/zh
Priority to US17/286,967 priority patent/US20210393642A1/en
Priority to CA3117118A priority patent/CA3117118A1/en
Priority to BR112021007631-0A priority patent/BR112021007631A2/pt
Priority to AU2019364114A priority patent/AU2019364114A1/en
Priority to PCT/KR2019/013885 priority patent/WO2020085760A1/ko
Priority to EP19877003.4A priority patent/EP3871675A4/en
Priority to JP2021521979A priority patent/JP2022505588A/ja
Publication of KR2020004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19B1/ko
Priority to IL282557A priority patent/IL2825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42-Quinolinones, e.g. carbosty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특정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본 발명은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쇼그렌 증후군 (Sjogren's syndrome)은 외분비선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특히 침샘과 눈물샘의 정상 조직이 파괴되어 눈물과 침의 생성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질환은 1888년에 Johann Mikulicz에 의해 처음 보고 되었으며, 1933년에 스웨덴의 안과의사인 Henrik Sjogren이 류마티스 관절염이 있는 환자에서 본 질환을 기술하여 이와 같이 명명되었다.
이 질환은 주로 눈과 침이 마르는 것이 주 증상이지만 침샘과 눈물샘의 침범 외에 피부 및 기관지, 여성의 질의 점막과 폐와 신장도 침범하여 여러 증상을 야기할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이나 피부근염 같은 다른 류마티스 질환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이차성 쇼그렌 증후군이라 한다. 한편 특정한 류마티스 질환이 없이 쇼그렌 증후군의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일차성 쇼그렌 증후군이라고 한다. 이차성 쇼그렌 증후군을 동반하는 가장 흔한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15%정도에서 쇼그렌 증후군이 동반된다.
쇼그렌 증후군은 남자보다 여자에서 9배정도 높게 발생되고, 중년 여성에서 잘 발생되며, 발생율은 여성 인구 만 명당 8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 질환의 원인은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며, 가족력과 같은 유전적 요인과 바이러스, 사이토카인, 자가면역 항체들이 그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이 질환을 완치하는 방법은 없으며, 치료의 주 목적은 증상의 완화와 합병증의 방지에 있다. 구체적인 치료 방법은 일차성 또는 이차성 등 증상의 중등도에 따라 다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4153호는 BTK 억제 활성을 갖는 피리미딘 및 피리딘 화합물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들의 치료용 용도로 암, 루푸스, 알레르기 질환, 쇼그렌 질환(Sjogren's disease) 및 류마티스 관절염을 포함하는 과증식성 질환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9144호는 매우 높은 피부 및 막 침투율을 가지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A) 약물전구체 및 이들의 새로운 의약적 용도를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415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91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기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기술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1
상기 식에서,
X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중 어느 하나이고;
Y는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1-C3알킬옥시)C1-C6알킬, (C2-C6알켄일옥시)C1-C6알킬, (C1-C6알킬카르보닐옥시)C1-C6알킬, (C1-C6알킬설판일)C1-C6알킬, (아릴설판일)C1-C6 알킬, (아릴설폰일)C1-C6 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C1-C3알킬)(아릴)아미노]C1-C6알킬, [(C1-C3알킬)(아릴)C1-C3알킬]아미노C1-C6알킬, [(C1-C3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C1-C6알킬, (아릴카르보닐아미노)C1-C6알킬,C2-C6알켄일, C2-C6알카인일, C2-C6옥소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3-C8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켄일)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아릴)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1-C6알킬옥시카르보닐)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1-C3알킬옥시카르보닐)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켄일,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켄일]C1-C6알킬, (아릴)C1-C6알킬, [(C1-C3알킬)아릴]C1-C6알킬, [(C1-C3알킬옥시)아릴]C1-C6알킬, [(아릴옥시)아릴]C1-C6알킬, [(C1-C3알킬설판일)아릴]C1-C6알킬, [(C1-C3알킬옥시카르보닐)아릴]C1-C6알킬, [(아릴옥시카르보닐)아릴]C1-C6알킬, (아릴)C3-C6알켄일, (헤테로아릴)C1-C6알킬, [(알킬옥시카르보닐)헤테로아릴]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아릴]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 [(아릴)헤테로아릴]C1-C6알킬, [(C1-C3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 [(아릴)C1-C3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 (C1-C6알킬옥시카르보닐)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옥시카르보닐]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옥시]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옥시]C1-C6알킬, (유레이도)C1-C6알킬, (아릴유레이도)C1-C6알킬, [(아릴)(C1-C3알킬유레이도]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1-C3알킬옥시)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또는 (옥소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이고,
이 때, 상기 C1-C6알킬, C2-C6알켄일, C2-C6알카인일, C2-C6옥소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3-C8사이클로알켄일, C3-C8헤테로사이클로알켄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C1-C3알킬,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기, 옥소,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아디프산, 아스코브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글루콘산, 설폰산, 메탄설폰산, 카프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르본산, 신남산, 사이클람산, 도데실설폰산, 에탄-1,2-다이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갈락타르산, 겐티스산, 글루타르산, 2-옥소글루타르산, 글리세로포스포르산, 히푸르산, 올레산, 오로트산, 팔미트산, 파모산, 파이로글루탐산, 세바스산, 스테아르산, 티오시안산, 운데실렌산, 아이소부티르산, 라우르산, 만델산, 나프탈렌-1,5-다이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토산, 니코틴산, 글리콜산, 석신산, 4-톨루엔설폰산, 캠퍼설폰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말론산, 말산 및 벤조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무기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하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1)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리콜레이트;
2)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락테이트;
3)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4)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옥살레이트;
5)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
6)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레이트;
7)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타르타레이트;
8)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레에이트;
9)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푸마레이트;
10)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시트레이트;
11)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12)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토실레이트;
13)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클로레이트;
14)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설페이트;
15)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포스포레이트;
1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세테이트;
1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다이클로로아세테이트;
1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디페이트;
1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스코베이트;
2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벤조에이트;
2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4-아세트아미도벤조에이트;
2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프레이트;
2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프로네이트;
2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프릴레이트;
2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르보네이트;
2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신나메이트;
2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사이클라메이트;
2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설포네이트;
2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에탄-1,2-다이설포네이트;
3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3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3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포르메이트;
3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갈락타레이트;
3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겐티세이트;
3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루타메이트;
3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루타레이트;
3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2-옥소글루타레이트;
3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로포스포레이트;
3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히푸레이트;
4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올레에이트;
4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오로테이트
4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팔미테이트;
4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파모에이트;
4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4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파이로글루타메이트;
4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4-아미노살리실레이트;
4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세바세이트;
4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4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5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운데실레네이트;
5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브로메이트;
5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이소부티레이트;
5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라우레이트;
5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DL-만델레이트;
5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5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나프탈렌-1,5-다이설포네이트;
5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5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2-나프토에이트;
5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니코티네이트;
6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니트레이트;
6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석시네이트의 제조
6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설퍼레이트; 및
6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L-아스파르테이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희석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또는 멸균 분말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눈물량 및 침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눈물샘 및 침샘 조직 내 면역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주화성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침샘과 눈물샘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생존 및 생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눈물량과 침(saliva)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눈물샘, 침샘 조직 내 면역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주화성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침샘과 눈물샘 조직 내의 사이토카인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완화하며, 세포의 생장 증가 등 조직 재생 능력이 있어 쇼그렌 증후군의 발병을 늦출 수 있어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쇼그렌 증후군 질환 모델의 눈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쇼그렌 증후군 질환 모델의 침 분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IL-17A와 p-AKT의 단백질 발현과 이를 정량한 결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염증성 및 주화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tactic cytokines)들의 mRNA를 정량한 결과이다.
도 5는 혈장(plasma) 내 IL-17A와 autoantibodies(anti-SSA/Ro, anti-SSB/La) 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도 6은 질환동물모델의 염증도 표현형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표현형 변화를 점수화하여 disease score로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켄일"은 포화탄소 대신에 질소, 산소, 또는 황 중 어느 하나로 치환되거나, 같은 원자 또는 서로 다른 원자가 단일, 둘 또는 셋이 이웃하거나 또는 건너뛰어 치환됨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켄일의 예로는 아지리딘, 옥시란, 아제티딘, 옥세탄, 피롤리딘, 피롤린, 피라졸리딘, 피라졸린, 이미다졸리딘, 이미다졸린, 트리아졸리딘, 옥사졸리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 티아졸리딘, 다이옥솔란, 다이옥솔, 옥사티올란, 모폴린. 티오모폴린, 다이티안, 피페리딘, 피페라진, 피란, 다이옥산 또는 아제판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젠, 나프탈렌, 안트라센, 또는 페난트렌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나아가, 본원에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또는 황 중 어느 하나가 치환되거나, 같은 원자 또는 서로 다른 원자가 단일, 둘 또는 셋이 이웃하거나 또는 건너뛰어 치환된 아릴을 의미한다. 상기 헤테로아릴의 구체적인 예로는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트리아졸, 퓨란, 티오펜, 옥사졸, 아이소옥사졸, 티아졸, 아이소티아졸, 옥사다이아졸, 티아다이아졸, 피리딘, 피리미딘, 피라진, 피리다진, 트리아진, 아제핀, 인돌, 벤즈이미다졸, 인다졸, 벤조옥사졸, 벤조아이소옥사졸, 벤조티아졸, 벤조트리아졸, 벤조퓨란, 벤조티오펜, 퀴놀린, 아이소퀴놀린, 퀴녹살린, 퀴나졸린, 시놀린, 나프티리딘, 프탈라진, 벤조피란, 벤즈옥사진, 벤조트리아진, 크로만, 크로멘, 벤조다이옥산 아트리딘, 페노티아진, 페노옥사진 또는 카바졸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쇼그렌 증후군은 눈물샘과 침샘 등에 염증세포가 침윤되어 원인불명의 만성염증이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이 질환은 우리 몸의 신체 방어 시스템인 면역체계의 조절이 상실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몸의 습도를 유지하는 분비선인 눈물샘, 침샘 등에 염증세포가 침윤되어 정상세포가 파괴되면서 더 이상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눈물량과 침(saliva)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눈물샘, 침샘 조직 내 면역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주화성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침샘과 눈물샘 조직 내의 사이토카인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완화하며, 세포의 생장 증가 등 조직 재생 능력이 있어 쇼그렌 증후군의 발병을 늦출 수 있어 쇼그렌 증후군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성분 및 특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2
상기 식에서,
X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중 어느 하나이고;
Y는 C1-C6알킬, C1-C6할로알킬, (C1-C3알킬옥시)C1-C6알킬, (C2-C6알켄일옥시)C1-C6알킬, (C1-C6알킬카르보닐옥시)C1-C6알킬, (C1-C6알킬설판일)C1-C6알킬, (아릴설판일)C1-C6 알킬, (아릴설폰일)C1-C6 알킬, (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C1-C6알킬)(C1-C6알킬)아미노]C1-C6알킬, [(C1-C3알킬)(아릴)아미노]C1-C6알킬, [(C1-C3알킬)(아릴)C1-C3알킬]아미노C1-C6알킬, [(C1-C3알킬)(헤테로아릴)아미노]C1-C6알킬, (아릴카르보닐아미노)C1-C6알킬,C2-C6알켄일, C2-C6알카인일, C2-C6옥소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3-C8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켄일)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아릴)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1-C6알킬옥시카르보닐)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1-C3알킬옥시카르보닐)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켄일,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켄일]C1-C6알킬, (아릴)C1-C6알킬, [(C1-C3알킬)아릴]C1-C6알킬, [(C1-C3알킬옥시)아릴]C1-C6알킬, [(아릴옥시)아릴]C1-C6알킬, [(C1-C3알킬설판일)아릴]C1-C6알킬, [(C1-C3알킬옥시카르보닐)아릴]C1-C6알킬, [(아릴옥시카르보닐)아릴]C1-C6알킬, (아릴)C3-C6알켄일, (헤테로아릴)C1-C6알킬, [(알킬옥시카르보닐)헤테로아릴]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아릴]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 [(아릴)헤테로아릴]C1-C6알킬, [(C1-C3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 [(아릴)C1-C3알킬]헤테로아릴C1-C6알킬, (C1-C6알킬옥시카르보닐)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옥시카르보닐]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C1-C6알킬, [(C3-C8사이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옥시]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옥시카르보닐옥시]C1-C6알킬, (유레이도)C1-C6알킬, (아릴유레이도)C1-C6알킬, [(아릴)(C1-C3알킬유레이도]C1-C6알킬, (C1-C6알킬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C1-C3알킬)(C1-C3알킬옥시)아미노카르보닐]C1-C6알킬 또는 (옥소C3-C8헤테로사이클로알킬)C1-C6알킬일 수 있다.
상기 C1-C6알킬, C2-C6알켄일, C2-C6알카인일, C2-C6옥소알킬, C3-C8사이클로알킬, C3-C8사이클로알켄일, C3-C8헤테로사이클로알켄일,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은 C1-C3알킬,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기, 옥소, 니트로기 및 시아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X-Y는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 (C1-C3알킬)에스테르를 나타낸다. 아미노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글라이신, 류신, 메티오닌, 발린, 알라닌, 아이소류신, 프롤린,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라이신, 히스티딘, 또는 타이로신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함으로써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레바미피드 전구체(rebamipide prodrug)로 레바미피드(rebamipide)에 비하여 체내 흡수율이 뛰어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타르타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아디프산, 아스코브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글루콘산, 설폰산, 메탄설폰산, 카프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르본산, 신남산, 사이클람산, 도데실설폰산, 에탄-1,2-다이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갈락타르산, 겐티스산, 글루타르산, 2-옥소글루타르산, 글리세로포스포르산, 히푸르산, 올레산, 오로트산, 팔미트산, 파모산, 파이로글루탐산, 세바스산, 스테아르산, 티오시안산, 운데실렌산, 아이소부티르산, 라우르산, 만델산, 나프탈렌-1,5-다이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토산, 니코틴산, 글리콜산, 석신산, 4-톨루엔설폰산, 캠퍼설폰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말론산, 말산 및 벤조설폰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요오드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레바미피드 전구체의 염 화합물로는 하기를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리콜레이트;
2)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락테이트;
3)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살리실레이트;
4)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옥살레이트;
5)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
6)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레이트;
7)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타르타레이트;
8)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레에이트;
9)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푸마레이트;
10)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시트레이트;
11)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12)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토실레이트;
13)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클로레이트;
14)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설페이트;
15)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포스포레이트;
1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세테이트;
1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다이클로로아세테이트;
1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디페이트;
1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스코베이트;
2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벤조에이트;
2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4-아세트아미도벤조에이트;
2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프레이트;
2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프로네이트;
2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프릴레이트;
2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카르보네이트;
2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신나메이트;
2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사이클라메이트;
2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도데실설포네이트;
2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에탄-1,2-다이설포네이트;
3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3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3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포르메이트;
3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갈락타레이트;
3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겐티세이트;
3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루타메이트;
3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루타레이트;
3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2-옥소글루타레이트;
3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로포스포레이트;
3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히푸레이트;
4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올레에이트;
4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오로테이트
4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팔미테이트;
4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파모에이트;
4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4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파이로글루타메이트;
4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4-아미노살리실레이트;
4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세바세이트;
4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4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티오시아네이트;
5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운데실레네이트;
5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브로메이트;
5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아이소부티레이트;
5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라우레이트;
54)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DL-만델레이트;
55)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56)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나프탈렌-1,5-다이설포네이트;
57)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58)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2-나프토에이트;
59)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니코티네이트;
60)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니트레이트;
61)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석시네이트의 제조
62)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설퍼레이트; 및
63) 2-모폴린-4-일-에틸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L-아스파르테이트.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3
[화학식 1-2]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4
[화학식 1-3]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5
[화학식 1-4]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6
[화학식 1-5]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7
[화학식 1-6]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8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104722368-pat00009
[화학식 3]
Y-Z
상기 식에서,
X 및 Y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Z는 하이드록시, 아미노, 아민, 할로겐 또는 이탈기(Leaving group)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Z는 하이드록시, -NH2, Cl, Br, 알킬설포닐 또는 아릴설포닐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는 하기 [반응식 1]에 표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화학식 1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식 1]
Figure 112018104722368-pat00010
(상기 식에서, X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반응식 1]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된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미국 특허 제4,578,381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1]에 표기한 무기염은 소디움바이카보네이트, 소디움카보네이트, 포타슘바이카보네이트, 포타슘카보네이트 또는 세슘카보네이트와 같은 무기 염기일 수 있으며, 용매는 아세톤,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일 수 있고, 반응은 10 내지 10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DCC는 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마이드; DMAP는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HOBT는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및 EDCI는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 염산을 의미하며, Y-OMs 또는 Y-OTs은 설포닐기로서 메탄설포닐기와 같은 알킬설포닐기; 또는 파라톨루엔설포닐, 벤젠설포닐 또는 4-니트로벤젠설포닐기와 같은 아릴설포닐기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식 1]에서 X가 황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2]의 과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8104722368-pat00011
상기 [반응식 2]에서 소디움하이드로설파이드는 1 내지 10 당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당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고, 소디움설파이드는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당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 2]에서 용매로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이 사용될 수 있고, 반응은 10 내지 100℃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NCS는 N-클로로석시니이마이드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환자의 체중 1kg 당 0.5 ~ 100 mg/day, 구체적으로 1~30 mg/day일 수 있다. 그러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치료하고자 하는 질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질환에 예방 또는 치료 용도가 있다고 공지되어 있는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쇼그렌 증후군의 질환모델 (Nfkbiz -/- or IkB-ξ-deficient mice, C57BL/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조성물의 경구 투여에 따른 항염 효능 및 조직 재생 등의 효능 확인실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실험준비
1.1 실험동물 및 조건
7-12주령의 쇼그렌 증후군 자가면역질환모델(Nfkbiz -/- or IkB-ξ-deficient male mice, C57BL/6)를 서울아산병원으로부터 분양 받아 수행하였다. 동물 실험실의 환경은 온도 25±5℃, 습도 55-70%, 조명 12시간 밝게/12시간 어둡게 하였다. 멸균된 깔짚, 실험동물용 펠렛(pellet)형 고형사료 Teklad 2018S (Envigo, sterilizable), 그리고 멸균 정제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분양 즉시 무게를 측정하여 주령, 그리고 쇼그렌증후군 표현형을 고려하여 군을 분리 선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모든 동물실험은 삼진제약(주) 자체 동물실험 윤리 위원회의 승인(승인번호; SJ-2016-001)하에 표준작업순서(Standard Operation Procedures)에 따라 수행됨.
1.2 실험도구 및 시약
- 실험도구: 멸균 cages, 멸균수, 가습기, 제습기, 항온 항습계, 1cc syringe, marker, balance, 20ml vial, sonde (feeding needle), 수술도구, e-tube, 해부 현미경, clean bench, micro pipet
- 시약 및 재료: phenol red thread (Zone-Quick; Oasis Glendora, CA), iQ SYBR Green Supermix (Bio-rad), cDNA conversion kit (BR170-8891, Bio-rad), 알팍산(마취제), phospho-Akt (S473) antibody (Cell signaling, #4060), IL-17A antibody (Santacruz, #sc-374218), beta-actin antibody (sigma aldrich, #A5316), pilocarpine hydrochloride(sigma, P6503), heparin (㈜녹십자)
- RIPA lysis buffer(50mM Tris-Cl pH7.4, 150mM NaCl, 1mM EDTA, 1% Triton X-100, 0.1% SDS, 1% Sodium deoxicolate, 0.5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2ug/ml leupeptin, 2ug/ml aprotinin, 10mM NaF, and 1mM sodium orthovanadate)
- ELISA kit: IL-17A(Signosis, #EA-2516), anti-SSA(Signosis, #EA-5202), anti-SSB(Signosis, #EA-5204)
1.3. 실험군 및 부형제 조성
Figure 112018104722368-pat00012
상기 SA001은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말로네이트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04722368-pat00013
2-모폴린-4-일에틸 2-(4-클로로벤조일아미노)-3-(2-옥소-1,2-다이하이드로퀴놀린-4-일)프로피오네이트 1 g(2.07 mmol) 및 말론산 0.22 g(2.07 mmol)을 반응시켜 백색 고체의 표제화합물(1.1 g)을 얻었다.
1H NMR (400MHz, DMSO-d6): 11.71(s, 1H), 9.06(d, 1H), 7.83(t, 3H), 7.59(s, 1H), 7.56(s, 1H), 7.52(t, 1H), 7.32(d, 1H), 7.24(t, 1H), 6.46(s, 1H), 4.77(m, 1H), 4.24(m, 2H), 3.51-3.46(m, 5H), 3.29(q, 1H), 3.19(s, 2H), 2.70-2.61(m, 2H), 2.51(t, 2H), 2.47(br-s, 4H)
2. 실험방법
2.1 투여방법 및 투여기간
: 경구투여 (oral administration, P.O), twice a day (10h, 16h), 5주간 (35 days) 투여
2.2 마취 (I.V)
: 알팍산 (13mg/kg ; PBS diluted)
2.3 눈물량 측정(Schirmer test)
눈물량은 동물 마취 1분 후 phenol red thread (Zone-Quick; Oasis,Glendora, CA)를 사용하였다. 한쪽 끝을 동물 눈의 외안각 하안검에 대고 60초 동안 방치, 모세관 현상으로 눈물이 적셔진 후 색이 변한 실의 길이 (mm)를 측정하였다. 눈물 분비량이 감소할 경우 쇼그렌 증후군 증상에 의한 안구건조가 촉진되기 때문에 분비량이 많을수록 시험물질의 효과가 큰 것으로 판정하였다.
2.4 침 분비량 측정 (Saliva Flow Rate)
Pilocarpine hydrochloride (Sigma, P6503, 1mg/ml in PBS 농도로 만든 후, 4℃ 보관)을 100ul/마리로 복강투여 (I.P. injection) 2분 후 마취, 3분 동안 micro pipet 으로 saliva를 collecting하여 침 분비량 측정하였다.
* Saliva flow rate in μL / minute = saliva (μL) / 3
2.5 눈물샘 및 침샘조직의 분리와 단백질 발현 정량 (Immuno Blotting analysis)
시험동물의 눈물샘과 침샘조직을 분리하여 PBS을 넣고 homogenizing 실시하였다(on ice). 분쇄된 조직을 RIPA lysis buffer (50mM Tris-Cl pH7.4, 150mM NaCl, 1mM EDTA, 1% Triton X-100, 0.1% SDS, 1% Sodium deoxicolate, 0.5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2ug/ml leupeptin, 2ug/ml aprotinin, 10mM NaF, and 1mM sodium orthovanadate) 각 1ml씩 넣고 5분간 반응하였다(on ice). 원심 분리(13000rpm, 20mins)하여 상등액만 취한 후 단백질 보정하였다. Samples을 anti-Akt(1 : 400)와 anti-Interleukin 17A(1 : 200) antibodies를 넣고 immunoprecipitation (IP) (for overnight) 후 sampling하였다. 각 samples을 SDS-PAGE 실시하여 polyvinylidene fluride (PVDF) membrane으로 transfer 한 후, Akt-IP-samples는 phospho-Akt (S473), IL-17A-IP-samples는 IL-17A primary antibody를 blocking buffer (TBS+Tween20) + 0.1% Skim milk에 1:100,000 비율로 4℃에서 overnight 반응시키고,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를 반응 처리 후 최종적으로 암실에서 ECL 용액으로 발광 시켜 X-ray film에 노출하여 정량하였다.
2.6 눈물샘 및 침샘조직 내 total mRNA의 분리와 정량 (quantitative RT-PCR)
PBS로 분쇄한 조직의 절반을 TRIzol을 사용한 manufacturer's protocol을 통해 total RNA를 분리하여 역전사 반응(reverse transcription system)을 이용한 cDNA로 변환 (iScript cDNA synthesis BR170-8891, Bio-Rad, U.S). 이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mRNA를 정량. PCR에 사용한 primers는 전문제조회사인 (주)바이오닉스 (Seoul, Korea)에 주문 및 합성하였다. 주문한 primers는 mouse cytokines; IL-2 (forward 5'- TTG AGT GCC AAT TCG ATG AT-3' and reverse 5'- TTG AGG GCT TGT TGA GAT GA-3'), IL-17A(forward 5'- TGT CTC TGA TGC TGT TGC TG-3' and reverse 5'- AGT CCT TGG CCT CAG TGT TT -3'), IFN -g (forward 5'-AGC TCT TCC TCA TGG CTG TT-3' and reverse 5'- TTT GCC AGT TCC TCC AGA TA -3'), BAFF (forward 5'- GGT GAC CCT GTT CCG ATG TA -3' and reverse 5'- CTC CGT TGC GTG AAA TCT GT -3'), FLT3L (forward 5'- TGG CAG GGT CTA AGA TGC AA-3' and reverse 5'- AGG TGG GAG ATG TTG GTC TG-3'), IL-1 (forward 5'-AGC TTC AAA TCT CGC AGC AG-3' and reverse 5'- TCT CCA CAG CCA CAA TGA GT -3'), IL-6 (forward 5'- GAC TGA TGC TGG TGA CAA CC-3' and reverse 5'- AGA CAG GTC TGT TGG GAG TG-3'), IL-12A (forward 5'- CCT GCA CTG CTG AAG ACA TC -3' and reverse 5'- CCA GGC AAC TCT CGT TCT TG-3'), IL-18 (forward 5'- GCT GCC ATG TCA GAA GAC TC -3' and reverse 5'-ACT GCG GTT GTA CAG TGA AG-3'), IL-21 (forward 5'- AGT GGC CCA TAA ATC AAG CC -3' and reverse 5'-AAA GCT GCA TGC TCA CAG T-3'), IL-22 (forward 5'- AAT CAG CTC AGC TCC TGT CA-3' and reverse 5'- TCG CCT TGA TCT CTC CAC TC -3'), TNF - (forward 5'- TCT CTT CAA GGG ACA AGG CT-3' and reverse 5'- GGC AGA GAG GAG GTT GAC TT -3'), IFN - (forward 5'- GCT CTG TGC TTT CCT GAT GG -3' and reverse 5'- GTA CCA GGA GTG TCA AGG CT-3'), chemokines ; CXCL13 (forward 5'-ATG AGG CTC AGC ACA GCA A-3' and reverse 5'- GAA TAC CGT GGC CTG GAG AG-3'), CXCR5 (forward 5'- CTC AAC CGA GAC CTT CCT GT -3' and reverse 5'- GTG CAG AGC GAT CAC AGT TT -3'), and GAPDH (forward 5'- TGG AGA AAC CTG TAT GTA TGG G-3' and reverse 5'- GGC CTG ATA AGA ACA AAC CC-3'). PCR (CFX connect, Bio-Rad, U.S)장비를 이용하여 SsoAdvanced?? Universal SYBR® Green Supermix (Bio-rad)와 primer(0.5pmole), template cDNA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95℃에서 3min 초기변성, denaturation 95℃ 10sec, annealing 55℃ 30sec로 39cycles, and extension 65℃ 5sec.
2.7 Plasma 내의 autoantibodies 및 cytokine (IL-17A) 정량 (ELISA)
쇼그렌 증후군의 marker로서 RNP particles 계열의 autoantibodies인 anti-SSA/Ro (Signosis, #EA-5202, US)와 anti-SSB/La (Signosis, #EA-5204, US) 그리고 자가면역질환의 발병에 관여하는 interleukin-17A cytokine (Signosis, #EA-2516, US)의 serum내 분비 및 생성을 확인하기 위해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2.8 동물의 염증도 표현형 분석 (Disease Score)
동물모델의 염증 정도를 점수화 하여 분석하였다.
1: periorbital swelling (과부종)
2: eyes with discharge that were difficult to open (눈을 뜰 수 없는 정도)
3: periocular skin erosion (눈 주위 피부 침식)
4: inflammation reaching perioral skin (피부 주변의 염증)
5: erosion and loss of hair in whole face (얼굴 전체의 침식과 심한 탈모).
2.9 통계
실험결과는 mean±standard error (SE)으로 나타냈으며 IBM SPSS Statics 21 (IBM Corporation, Poughkeepsie, NY, USA)를 이용하여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후 Dunnett's t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probability (p)-value<0.05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정의하였다.
3. 실험결과
3.1 눈물 분비 효과.
도 1은 쇼그렌 증후군 질환 모델의 눈물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쇼그렌 증후군 질환 모델의 눈물량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투여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mean±SE., N=11). *p<0.05 versus the control (Ctrl) group
3.2 침 분비 효과.
도 2는 쇼그렌 증후군 질환 모델의 침 분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투여 한 경우 침의 분비량(1.00.2)은 control군(0.750.05)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mean±SE., N=11). *p<0.05 versus the control (Ctrl) group
3.3 침샘과 눈물샘에서의 사이토카인 (IL-17A)과 phospho-Akt 단백질 발현 효과.
도 3은 IL-17A와 p-AKT의 단백질 발현과 이를 정량한 결과이다.
자가면역질환 (autoimmune diseases)은 helper 17 T cell (Th17)의 분화 및 활성화로 인해 주로 발병하며 이 T cell에 의해 생성되는 pro-inflammatory cytokine interleukin-17A(IL-17A)의 발현의 증가를 정량함으로서 자가면역질환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00mg/kg로 투여한 군의 눈물샘 (lacrimal glands)과 침샘 (salivary glands) 조직내의 IL-17A의 단백질 발현을 정량한 결과 control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생장 및 성장에 관여하는 Akt의 활성화 형태인 p-AKT를 정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 되었다(mean±SE., N=3). *p<0.05 versus the control (Ctrl) group.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완화 작용 및 조직의 재생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4 침샘과 눈물샘에서의 다양한 염증성 및 주화성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 효과.
도 4a 및 도 4b는 염증성 및 주화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tactic cytokines)들의 mRNA를 정량한 결과이다.
눈물샘과 침샘조직내의 자가면역질환과 관련한 면역세포(T cell and B lymphocytes) 유래 염증성 및 주화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tactic cytokines)들의 mRNA를 정량한 결과를 control 군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IL-2 (salivary glands ; 1.3 fold, lacrimal glands ; 4.5 fold), interferon-g (salivary glands ; 1.3 fold, lacrimal glands ; 1.3 fold), IL-17A (salivary glands ; 3.3 fold, lacrimal glands ; 2.8 fold), BAFF (salivary glands ; 유의성 없음, lacrimal glands ; 1.6 fold), CXCL13 (salivary glands ; 5 fold, lacrimal glands ; 2.5 fold), CXCR5 (salivary glands ; 2.5 fold, lacrimal glands ; 유의성 없음), FLT3L (salivary glands ; 13 fold, lacrimal glands ; 2.5 fold), IL-1β (salivary glands ; 10 fold, lacrimal glands ; 2 fold), IL-6 (salivary glands ; 2.5 fold, lacrimal glands ; 2 fold), IL-12 (salivary glands ; 유의성 없음, lacrimal glands ; 10 fold), IL-18 (salivary glands ; 1.6 fold, lacrimal glands ; 유의성 없음), IL-21 (salivary glands ; 20 fold, lacrimal glands ; 1.6 fold), IL-22 (salivary glands ; 1.6 fold, lacrimal glands ; 1.7 fold), TNF-α(salivary glands ; 2.2 fold, lacrimal glands ; 1.6 fold), IFN-α(salivary glands ; 40 fold, lacrimal glands ; 1.6 fold)로 대부분 유의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mean±SE., N=6). *p<0.05, #p<0.01 versus the control (Ctrl) group.
3.5 질환동물모델 Plasma내의 autoantibodies (anti-SSA/Ro, anti-SSB/La)와 사이토카인 (IL-17A) 분비량 변화 효과.
도 5는 혈장(plasma) 내 IL-17A와 autoantibodies(anti-SSA/Ro, anti-SSB/La) 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쇼그렌 증후군이 발병함에 따라서 체내 자가항원인 SSA/Ro, SSB/La가 증가한다. 이를 통해 면역체계의 B cell은 autoantibodies를 생산한다. 이 autoantibodies(anti-SSA/Ro, anti-SSB/La)의 존재여부를 측정 함으로서 쇼그렌 증후군의 발병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하기 표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SA001) 투여군에서 plasma 내 anti-SSA (40%)와 anti-SSB (30%) 모두 (Table 1) control에 비해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IL-17A 역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mean±SE., N=3). *p<0.05 versus the control (Ctrl) group
IkB-ξ-deficient male mice,
No.(%) vehicle
n=3
No.(%) SA001(80mg/kg)
n=3
SSA/Ro 100.0±2.0 61.0±8.7
SSB/La 100.0±0.9 67.9±12.4
3.6 질환동물모델의 염증도 표현형 변화 (disease score)
도 6은 질환동물모델의 염증도 표현형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7은 표현형 변화를 점수화하여 disease score로 평가한 결과이다.
쇼그렌 증후군이 발병함에 따라서 외관적으로 각질이 증가하고, 안구에 심한 건조와 침 마름 증상이 발생하여 염증이 생긴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현형을 통해 5 단계로 점수화 하여 disease score로 평가하였다. Score가 높을수록 염증도는 증가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투여 2주 후부터 control군에 비해 SA001 투여 군은 유의성 있게 발병 늦춤 현상이 관찰 되었다 (mean±SE., N=11). *p<0.05 versus the control (Ctrl) group
상기와 같이, 본 실험에서는 눈물양(tear production)과 침샘분비(salivary scan), 다양한 조직(lacrimal glands, salivary glands)내의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그리고 혈장(plasma)내의 autoantibodies (anti-SSA/Ro, anti-SSB/La)와 IL-17A 차이를 비교하였다.
눈물량과 침 (saliva) 분비량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눈물샘, 침샘조직 내 면역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주화성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은 약물 투여 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침샘과 눈물샘 조직 내의 IL-17A cytokine 단백질 발현량의 감소와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생존 및 생장을 확인하는 활성화된 Akt (phosphor-Akt)의 증가를 통해 염증의 완화와 조직재생의 가능성도 확인되었다. 쇼그렌 증후군의 발병으로 증가하는 혈장 내 쇼그렌증후군 markers인 autoantibodies(anti-SSA, anti-SSB)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IL-17A 사이토카인 분비는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외관의 표현형의 관찰을 통해 염증도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발병을 늦추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모델의 발병을 늦춤이 확인되었고, 직접적으로 관련한 눈물샘과 침샘 조직 내의 염증 완화와 구성 세포들의 생장 증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쇼그렌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1 내지 1-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고, 침 마름 증상을 동반하는 쇼그렌 증후군에 대하여 침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그렌 증후군 예방/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화학식 1-1]
    Figure 112020099402842-pat00035

    [화학식 1-2]
    Figure 112020099402842-pat00036

    [화학식 1-3]
    Figure 112020099402842-pat00037

    [화학식 1-4]
    Figure 112020099402842-pat00038

    [화학식 1-5]
    Figure 112020099402842-pat00039

    [화학식 1-6]
    Figure 112020099402842-pat00040
    .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산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인,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다이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아디프산, 아스코브산, 벤조산, 4-아세트아미도벤조산, 글루콘산, 설폰산, 메탄설폰산, 카프르산, 카프론산, 카프릴산, 카르본산, 신남산, 사이클람산, 도데실설폰산, 에탄-1,2-다이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갈락타르산, 겐티스산, 글루타르산, 2-옥소글루타르산, 글리세로포스포르산, 히푸르산, 올레산, 오로트산, 팔미트산, 파모산, 파이로글루탐산, 세바스산, 스테아르산, 티오시안산, 운데실렌산, 아이소부티르산, 라우르산, 만델산, 나프탈렌-1,5-다이설폰산, 나프탈렌-2-설폰산, 나프토산, 니코틴산, 글리콜산, 석신산, 4-톨루엔설폰산, 캠퍼설폰산,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살리실산, 4-아미노살리실산, 말론산, 말산 및 벤조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무기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희석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또는 멸균 분말의 형태로 제형화된,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눈물량 및 침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눈물샘 및 침샘 조직 내 면역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주화성 사이토카인들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경구투여용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26875A 2018-10-23 2018-10-23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75A KR102190019B1 (ko) 2018-10-23 2018-10-23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7/286,967 US20210393642A1 (en) 2018-10-23 2019-10-22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CA3117118A CA3117118A1 (en) 2018-10-23 2019-10-22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BR112021007631-0A BR112021007631A2 (pt) 2018-10-23 2019-10-22 composição para a prevenção ou o tratamento da síndrome de sjogren
CN201980069731.2A CN112969464A (zh) 2018-10-23 2019-10-22 用于预防或治疗干燥综合征的组合物
AU2019364114A AU2019364114A1 (en) 2018-10-23 2019-10-22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PCT/KR2019/013885 WO2020085760A1 (ko) 2018-10-23 2019-10-22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9877003.4A EP3871675A4 (en) 2018-10-23 2019-10-22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JÖGREN SYNDROME
JP2021521979A JP2022505588A (ja) 2018-10-23 2019-10-22 シェーグレン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IL282557A IL282557A (en) 2018-10-23 2021-04-22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jogren's syndr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875A KR102190019B1 (ko) 2018-10-23 2018-10-23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226A KR20200046226A (ko) 2020-05-07
KR102190019B1 true KR102190019B1 (ko) 2020-12-15

Family

ID=7033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875A KR102190019B1 (ko) 2018-10-23 2018-10-23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393642A1 (ko)
EP (1) EP3871675A4 (ko)
JP (1) JP2022505588A (ko)
KR (1) KR102190019B1 (ko)
CN (1) CN112969464A (ko)
AU (1) AU2019364114A1 (ko)
BR (1) BR112021007631A2 (ko)
CA (1) CA3117118A1 (ko)
IL (1) IL282557A (ko)
WO (1) WO20200857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07B1 (ko) * 2010-08-30 2013-10-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바미피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8381A (en) 1982-07-05 1986-03-2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arbostyril derivatives
US7879877B2 (en) * 2003-07-30 2011-02-01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Carbostyril derivatives for accelerating salivation
WO2008074853A1 (en) * 2006-12-21 2008-06-26 Novartis Ag Ophthalmic rebamipide solution
CA2691446C (en) 2007-06-04 2021-07-06 Techfields Inc Pro-drugs of nsaias with very high skin and membranes penetration rates and their new medicinal uses
SG10201801668WA (en) 2011-06-10 2018-03-28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pyrimidine and pyridine compounds with btk inhibitory activity
SA113340675B1 (ar) * 2012-06-26 2015-08-16 استيش. كو.، ليمتد أدوية ريباميبايد تحضيرية جديدة، طريقة تحضيرها واستخدامها
KR101692578B1 (ko) * 2013-04-18 2017-01-03 삼진제약주식회사 레바미피드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하는 안구건조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32162B1 (ko) * 2013-12-25 2020-07-10 삼진제약주식회사 신규 레바미피드 전구체의 염 및 이의 용도
WO2016108319A1 (ko) * 2015-01-02 2016-07-07 삼진제약 주식회사 신규 레바미피드 전구체의 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07B1 (ko) * 2010-08-30 2013-10-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레바미피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17118A1 (en) 2020-04-30
CN112969464A (zh) 2021-06-15
JP2022505588A (ja) 2022-01-14
WO2020085760A1 (ko) 2020-04-30
KR20200046226A (ko) 2020-05-07
BR112021007631A2 (pt) 2021-07-27
IL282557A (en) 2021-06-30
EP3871675A1 (en) 2021-09-01
US20210393642A1 (en) 2021-12-23
AU2019364114A1 (en) 2021-06-03
EP3871675A4 (en) 202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56479A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1阻害剤としての(2s)-n-[(1s)-1-シアノ-2-フェニルエチル]-1,4-オキサゼパン-2-カルボキサミド
JP6552117B2 (ja) 敗血症の予防治療剤
JP2005538975A (ja) p38MAPキナーゼ阻害薬としての3−(ヘテロ)アリールメトキシピリジン類およびそれらの類縁体
CA3025847A1 (en) Substituted indazoles ueful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dermatitis in animals
KR20080066030A (ko) 폐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디아릴 우레아
US20090068146A1 (en) Diaryl ureas and combinations
JP2007504127A (ja) 好中球エラスターゼ阻害剤としてのキノキサ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使用
JP2008528634A (ja) 腫瘍壊死因子インヒビター
WO2008071605A2 (en) Methods of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EA037517B1 (ru) Антипролиферативные соединения 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и применения
WO2013173283A1 (en) Dosage regimen for a pi-3 kinase inhibitor
US20230035771A1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bcn057 and bcn512
KR102190019B1 (ko) 쇼그렌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787247B2 (ja) 慢性閉塞性肺疾患治療剤
RU2010101303A (ru) Замещенные (оксазолидинон-5-ил-метил)-2-тиофен-карбоксамиды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сфере свертывания крови
US20070004777A1 (en)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acute myelogenous leukemia
JP2014532688A (ja) p38を阻害するための薬物およびそれらの用途
RU2780509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синдрома шегрена
JP6197971B1 (ja) Kcnq2〜5チャネル関連疾患の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KR20210048431A (ko)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37193A (ko) 혈청 요산을 낮추기 위한 [1,2,4]티아디아진 1,1-다이옥사이드 화합물
RU2798874C1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их обструк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легких (copd)
AU2022305809A1 (en) Treatment for cryopyrin associated periodic syndromes (caps)
KR20220126122A (ko) 섬유증의 치료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
KR20240052009A (ko) 신경염증성 장애의 치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