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95B1 -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 Google Patents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95B1
KR102184795B1 KR1020200119548A KR20200119548A KR102184795B1 KR 102184795 B1 KR102184795 B1 KR 102184795B1 KR 1020200119548 A KR1020200119548 A KR 1020200119548A KR 20200119548 A KR20200119548 A KR 20200119548A KR 102184795 B1 KR102184795 B1 KR 102184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pport
chair
shap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장권
Original Assignee
유장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권 filed Critical 유장권
Priority to KR1020200119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95B1/ko
Priority to CN202011073729.3A priority patent/CN112826263B/zh
Priority to CN202022223787.1U priority patent/CN213720978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285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metal strips or we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부가 ‘S’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연결체들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등받이의 형태가 변형되어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이 개선되며,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입체 탄성부들이 등받이부 및 머리지지부에 설치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밀착성을 높여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탄성체들의 외주면이 탄성부재들에 가압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보강부에 의해 지지부들의 회전각이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체들이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이용할 수 있으며, 좌판 내부에 복수개의 스프링들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였을 때, 해당 위치의 스프링들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압축되어 좌판이 경사지게 틸팅되어 사용자가 좌판에 비스듬하게 앉아 있을 경우에도 안락감, 접촉감 및 신체 보호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등받이부 및 좌석부가 구동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안락감을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리를 심장의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의 위치를 머리보다 높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Chair with improved sense of seating and elasticity}
본 발명은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등받이부가 탄성연결체들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이루어져 사용자 등이 접촉될 때, 등받이부를 구성하는 각 지지부의 기울기 및 회전이 탄성연결체들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지지부가 사용자의 신체 구조와 대응되는 ‘S’자 형상으로 변형되어 착석감 및 신체 보호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등받이부 및 머리지지부에 설치되는 입체 탄성부들에 의해 탄성력이 전방향(전후좌우상하)으로 발생되어 하중이 효율적으로 분산됨으로써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의자는 등받이부가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적절하게 받쳐 주어서 장시간 앉아 있어도 무리를 주지 않으며, 간단한 지압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의 경우에는 등받이부의 형상이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서 등받이가 지지하는 부위가 한정되어 불편함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2023461(발명의 명칭 :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등받이부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등받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지지부(101)와 하단지지부(102), 세로굴곡대(103), (103’)들, 가로지지부(104)들로 이루어진다.
상단지지부(101)와 하단지지부(102)는 서로 상 하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양단부가 세로굴곡대(103), (103‘)들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사각틀의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단지지부(101)와 하단지지부(102)의 사이에는 가로지지부(104)들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세로굴곡대(103), (103’)들은 사람의 등과 허리에 대응되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람의 체중이 가해질 때 변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등받이부(100)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상단지지부(101)와 하단지지부(102), 가로지지부(104)들에 의해 사용자의 등 및 허리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세로굴곡대(103), (103‘)가 사용자의 척추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안락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등받이부(100)는 사용자가 등받이부(100)에 등을 지지하였을 때 세로굴곡대(103), (103’)들이 사용자의 등 및 허리의 형상에 맞춰 전후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변형되되, 수평방향으로의 변형수단이 없기 때문에 하중 분산력이 떨어져 접촉감,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종래기술의 등받이부(100)는 전후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변형은 가능하되, 수평방향으로의 변형수단이 없기 때문에 3차원적인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인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등받이부(100)가 사용자의 등과 허리 중 일부만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안락감, 신체보호기능 및 피로감 해소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등받이부(100)는 세로굴곡대(103), (103’)들이 변형되었을 때, 변형된 세로굴곡대(103), (103‘)를 지지해주는 지지수단이 없기 때문에 장기간 이용 시, 세로굴곡대(103), (103’)가 영구 변형되어 안락감 및 피로감 해소의 효과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등받이부가 ‘S’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연결체들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등받이의 형태가 변형되어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갖는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입체 탄성부들이 등받이부 및 머리지지부에 설치됨으로써 전방향(전후좌우상하)으로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밀착성을 높여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탄성체들의 외주면이 탄성부재들에 가압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보강부에 의해 지지부들의 회전각이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체들이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이용할 수 있는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좌판 내부에 복수개의 스프링들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였을 때, 해당 위치의 스프링들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압축되어 좌판이 경사지게 틸팅되어 사용자가 좌판에 비스듬하게 앉아 있을 경우에도 안락감, 접촉감 및 신체 보호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등받이부 및 좌석부가 구동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안락감을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리를 심장의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의 위치를 머리보다 높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에 상향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들과, 상기 사이드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 인접한 지지부들의 사이드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연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의자는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연결체들 각각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강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들은 상부가 인접한 사이드프레임들 중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과 결합되어 하부영역이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사용자의 등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보강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대상인 사이드프레임들 중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폭과 동일하되, 전후방 길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 삽입 시, 전후방으로 삽입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조립 시, 하단부가 상기 고정링의 삽입공간(A)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들은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되, 타측이 해당 탄성연결체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해당 탄성연결체를 향하는 내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제2 수평판; 상기 제2 수평판의 상하단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경사판 및 2 경사판; 상기 제1 경사판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내면이 상기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수평판; 상기 제2 경사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조립 시, 상기 고정링의 삽입공간(A)으로 삽입되는 제3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자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단부가 상기 지지부들의 연결프레임들 중 최상부 및 최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프레임들에 결합되되, 다른 연결프레임들의 전후방에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탄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자는 절곡된 금속와이어에 의해 다층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지지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신체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입체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 배치되는 제1, 2 지지체들;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2 지지체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탄성체들;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2 탄성체들의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면서 폭상에서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제1, 2 연결체들;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2 연결체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탄성체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으로 향할수록 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의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수직 연결되는 제1, 2 연결체들;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 2 연결체들 각각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인 탄성체들이 길이방향 상에서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측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체;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연결 시, 상기 제1 연결체와 교차되는 제2 연결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제1, 2 연결체들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좌석부는 좌판과, 상기 좌판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구조체는 틀 형상의 지지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서로 대향되는 변들에 결합되는 요철형 스프링들;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의자는 인장스프링들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들 중 최하부에 배치된 지지부를 최하부 지지부라고 할 때, 상기 최하부 지지부는 해당 사이드프레임들의 외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측면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스프링들은 양단부가 상기 최하부 지지부의 측면판들 및 상기 최하부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부의 사이드프레임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상기 좌석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동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결체는 상하단부가 인접한 사이드프레임들 각각에 결합되는 스프링 또는 나선형으로 절곡된 강철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부가 ‘S’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탄성연결체들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 등받이의 형태가 변형되어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입체 탄성부들이 등받이부 및 머리지지부에 설치됨으로써 전방향(전후좌우상하)으로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밀착성을 높여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지지부들을 연결하는 탄성체들의 외주면이 탄성부재들에 가압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보강부에 의해 지지부들의 회전각이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체들이 외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좌판 내부에 복수개의 스프링들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하였을 때, 해당 위치의 스프링들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압축되어 좌판이 경사지게 틸팅되어 사용자가 좌판에 비스듬하게 앉아 있을 경우에도 안락감, 접촉감 및 신체 보호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등받이부 및 좌석부가 구동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안락감을 증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다리를 심장의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의 위치를 머리보다 높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제3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2의 보강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의 머리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3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2의 좌석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구동부에 의한 의자의 변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도 2의 보강부의 제2 실시예인 제2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8의 제2 입체 탄성부의 제2 실시예인 제4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제2 보강부 및 도 20의 제4 입체 탄성부가 적용된 등받이부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의 사시도이다.
의자(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과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부(2)와,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3)와,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석부(4)와,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부(5)와, 좌석부(4)에 설치되어 등받이부(2), 머리지지부(3), 좌석부(4) 및 다리지지부(5)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등받이부(2)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2, 3 지지부(21), (22), (23)들과, 제1, 2 지지부(21), (22)들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탄성연결체(24)들과, 제2, 3 지지부(22), (23)들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탄성연결체(25)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부들의 수량이 3개이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탄성연결체들이 2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지지부들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2 탄성연결체(24), (25)들은 지지부가 사용자의 등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후방으로 압축되는 경우, 전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탄성수단 및 탄성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등받이부(2)를 구성하는 지지부(21), (22), (23)들은 제1, 2 탄성연결체(24), (25)들에 의해 회전 및 기울기가 독립적(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등받이부(2)의 지지부(21), (22), (23)들은 사용자의 등이 접촉될 때, 제1, 제2 탄성연결체(24), (25)들에 의해 인체의 척추 형태와 유사한 ‘S‘자 형상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척추 형태와 유사하게 변형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착석감 및 신체 보호 기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2)는 각 지지부들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가 변형되어 등받이부(2)로의 가압 위치 및 방향이 변하더라도, 사용자의 변형된 신체에 긴밀히 접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등을 ‘S’자 형상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등을 곧게 세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의자의 등받이는 일자형 또는 ‘C’자 형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의자 좌식 시간이 지속되면, 신체 피로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등이 굽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나, 본원 발명은 등받이부(2)의 각 지지부들이 탄성연결체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등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의자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원 발명의 등받이부(2)는 사용자의 등을 곧게 세워줌으로써 신체피로도 해소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십견,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해당 구성요소(2), (3), (4), (5)들이 의자(1)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구성요소(2), (3), (4), (5)들이 적용되는 것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파, 자동차 좌석, 리클라이너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제1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의 제1 지지부(21)는 등받이부(2)의 최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지지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사이드프레임(211)들과, 제1 사이드프레임(211)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제1 사이드프레임(211)들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사이드프레임(211)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212)으로 이루어진다.
제1 사이드프레임(21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가 후방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사이드프레임(211)의 상단부에는 제1 탄성연결체(24)의 하단부가 연결되며, 제1 탄성연결체(24)에 의해 제2 사이드프레임(221)과 연결된다.
이때 제1 탄성연결체(24)는 한 바퀴 꼬인 형상의 강철선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각각 제1 사이드프레임(211)의 상단부와 제2 사이드프레임(221)에 결합되어 제1 사이드프레임(211)과 제2 사이드프레임(221)을 연결함과 동시에 후방(사용자의 등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을 향하여 힘을 받을 때, 전방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이 생성되어 제2 지지부(22)가 신체의 등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즉 제1 탄성연결체(24)는 제2 지지부(22)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 이동되며, 가압되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로 복귀된다.
또한 제1 탄성연결체(24)는 조립 시, 후술되는 보강부(26)들의 탄성부재(263)들에 의해 외주면이 가압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후방으로 가압될 때 탄성부재(263)들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어 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탄성연결체(24)가 강철선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탄성연결체의 구성 및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을 갖는 공지된 다양한 탄성부재 및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프레임(211)의 외주면에는 전방으로 측면판(2111)이 돌출된다.
측면판(2111)은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장스프링(S)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21111)이 형성된다.
인장스프링(S)은 양단부가 각각 제1 사이드프레임(211) 및 제2 사이드프레임(221)에 결합되며, 제2 지지부(22)가 사용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제1 탄성연결체(24)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제1 탄성연결체(24)가 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장스프링(S)은 제2 지지부(22)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지지부(22)를 원래의 위치인 전방으로 복구시킨다.
제1 연결프레임(212)은 휘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1 사이드프레임(211)들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연결프레임(212)은 제1 사이드프레임(211)들이 외력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연결프레임(212)은 후술되는 탄성판(27)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도 4는 도 2의 제2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제2 지지부(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과,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에 각각 결합되어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프레임(222)과,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탄성밴드(223)들과, 제2 연결프레임(222)에 설치되는 제1 입체 탄성부(224)로 이루어진다.
제2 사이드프레임(22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가 전방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제2 탄성연결체(25)와 결합됨으로써 제2 탄성연결체(25)에 의해 제3 사이드프레임(231)과 연결된다.
이때 제2 탄성연결체(25)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각각 제2 사이드프레임(221)의 상단부와 제3 사이드프레임(23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제2, 3 지지부(22), (23)들을 전방을 향하여 탄발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제2 탄성연결체(25)는 제3 지지부(23)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 이동되며, 가압되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로 복귀된다.
또한 제2 탄성연결체(25)는 조립 시, 후술되는 보강부(26)들의 탄성부재(263)들에 의해 가압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후방으로 가압될 때 탄성부재(263)들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되어 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탄성연결체(25)가 연결스프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탄성체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연결체(24) 및 제2 탄성연결체(25)는 장기간 이용에 의해 영구 변형이 발생하였을 때는 해당 탄성체만을 교체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프레임(221)은 하단부에 제1 탄성연결체(24)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제1 탄성연결체(24)에 의해 제1 사이드프레임(211)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2 지지부(22)는 사용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제1 탄성연결체(24)가 인장됨으로써 제1 지지부(21)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 이동되고, 제3 지지부(23)는 사용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제2 탄성연결체(25)가 인장됨으로써 제2 지지부(22)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 이동된다.
제2 연결프레임(222)은 휘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연결프레임(222)은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이 외력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연결프레임(222)에는 제1 입체 탄성부(224)가 설치된다.
탄성밴드(223)들은 탄발력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2 사이드프레임(221)들이 외력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탄성밴드(223)들에는 제1 입체 탄성부(224)의 결합됨으로써 제1 입체 탄성부(224)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탄성력에 의해 후방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전방을 향하여 탄성력을 발생시켜 제2 지지부(22)의 탄성력을 더욱 높이는 기능을 갖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제1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제1 입체 탄성부(224)는 단일 와이어를 절곡 및 휨 등의 가공 처리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전후방으로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입체 탄성부(224)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지지체(2241), (2242)들과,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 제1, 제2, 제3 탄성체(2245), (2246), (2247)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입체 탄성부(224)의 각 구성요소(2241), (2242), (2243), (2244), (2245)들은 금속와이어 재질이고, 상세하게로는 열처리된 강철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지지체(2241), (2242)들은 길이를 갖는 직선형 와이어로 형성되며, 제2 연결프레임(222)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제2 지지체(2241), (2242)들은 상하방향으로 수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체(2241)로부터 제2 지지체(2242)를 향하는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고 한다.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제1, 제2 지지체(2241), (2242)들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은 탄성밴드(223)들 중 하나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은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의 타단부와, 제3 탄성체(2247)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은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과 연결 시,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은 일단부보다 타단부가 전방에 배치되도록 절곡된다.
제3 탄성체(2247)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과 연결된다.
이때 제3 탄성체(2247)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앙부분이 양단부보다 후방으로 곡면지게 형성됨으로써 양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3 탄성체(2247)는 상단부가 탄성밴드(223)들 중 하나와 결합됨으로써 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탄성밴드(223)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이동범위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기 설정된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때 제3 탄성체(2247)는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에 의해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 및 제1, 제2 지지체(2241), (2242)들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전후방의 방향으로 다층 구조를 형성하여 후방을 향하여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여 강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제3 탄성체(2247)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제3 탄성체(2247)가 우선적으로 접촉되어 후방으로 가압된다. 이때 제3 탄성체(2247)는 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가압된 지점에 따라서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 중 하나 이상이 후방으로 압축되어 전방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제3 탄성체(2247)의 중앙부분이 가압될 경우, 제1, 제2 연결체(2243), (2244)들이 모두 후방으로 압축되어 전방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되, 제3 탄성체(2247)의 좌측부분만 후방으로 가압될 경우, 제1 연결체(2243)만 후방으로 압축되어 좌측부분에서만 전방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제3 탄성체(2247)의 우측부분만 후방으로 가압될 경우, 제2 연결체(2244)만 후방으로 압축되어 우측부분에서만 전방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제3 탄성체(2247)가 수평방향으로 가압될 경우, 제1, 제2 탄성체(2245), (2246)들이 압축 또는 인장되어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압축될 때, 전후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입체 탄성부(224)가 제1, 2 지지체(2241), (2242)들과 제1, 2 연결체(2243), (2244)들, 제1, 제2, 제3 탄성체(2245), (2246), (2247)들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입체 탄성부(224)는 단일 금속와이어를 휨, 절곡 등의 가공처리를 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입체 탄성부(224)는 쿠션 등의 별도의 쿠션부재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제3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제3 지지부(23)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사이드프레임(231)들과, 제3 사이드프레임(231)들 사이에 설치되며 양단부가 제3 사이드프레임(231)들에 각각 결합되어 제3 사이드프레임(231)들을 연결하는 제3 연결프레임(232)들, 제3 연결프레임(232)에 설치되는 제2 입체 탄성부(233)로 이루어진다.
제3 사이드프레임(23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가 전방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제2 탄성연결체(25)와 연결됨으로써 제2 탄성연결체(25)에 의해 제2 사이드프레임(221)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3 지지부(23)는 사용자의 등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제2 탄성연결체(25)가 인장됨으로써 제2 지지부(22)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회전 이동된다.
제3 연결프레임(232)들은 휘어진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3 사이드프레임(231)들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제3 연결프레임(232)들은 제3 사이드프레임(231)들이 외력에 의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3 연결프레임(232)들 중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제3 연결프레임에는 제3 입체 탄성부(233)가 설치된다.
또한 제3 연결프레임(232)들 중 최상단부에 위치하는 제3 연결프레임에는 머리지지부(3)의 폴(311)들이 삽입되는 삽입부(2321)들이 형성된다.
삽입부(2321)는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머리지지부(3)의 폴(311)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머리지지부(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321) 내부에 삽입된 머리지지부(3)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3 연결프레임(232)들 중 최상단부에 위치하는 제3 연결프레임에는 탄성판(27)의 상단부가 결합된다.
탄성판(27)은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단부가 각각 제3 연결프레임(232)과 제1 연결프레임(212)에 결합된다.
이때 탄성판(27)은 조립 시, 연결프레임(212), (222), (232)들의 전방과 후방에 교차되도록 설치됨으로써 각 지지부(21), (22), (23)들이 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성판(27)은 지지부(21), (22), (23)들의 연결수단인 제1 탄성연결체(24)들과 제2 탄성연결체(25)들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제1 탄성연결체(24)들과 제2 탄성연결체(25)들이 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제2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다.
제2 입체 탄성부(233)는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31)와,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 탄성부(2334), 탄성밴드(2335)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331)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2331)는 설치 시, 의자 등의 쿠션부재의 내부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지부(233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단부에는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이 수직 연결된다.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은 길이를 갖는 곡면 형상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은 일단부가 지지부(2331)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은 만곡된 영역이 서로를 향하도록 지지부(2331)와 연결된다.
탄성부(2334)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단부가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의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에 의해 지지부(2331)와 다층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부(2331)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탄성부(2334)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부(2331)보다 폭 및 길이가 크게 형성되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2334)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일측변을 제1 탄성체(23341)라고 하고, 제1 탄성체(23341)의 양단부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측변들을 제2, 제4 탄성체(23342), (23344)들이라고 하고, 제2, 제4 탄성체(23342), (23344)들을 연결하는 측변을 제3 탄성체(23343)라고 할 때, 신체의 등에 접촉되는 제2, 제4 탄성체(23342), (23344)들은 길이방향의 중간 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3 탄성체(23343)는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탄성체(23341)는 중간지점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형성하는 각 단부에는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이 각각 연결된다.
탄성밴드(2335)들은 탄력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2331)의 대향되는 측변들의 사이와, 탄성부(2334)의 제2, 제4 탄성체(23342), (23344)들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자체 탄성력을 통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보완함과 동시에 탄성부(2334) 및 지지부(2331)가 외부 압력에 의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2 입체 탄성부(233)는 탄성부(2334) 및 지지부(2331)가 곡면 형상의 제1, 제2 연결체(2332), (2333)들에 의해 다층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탄성부(2333)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탄성부의 제2, 제4 탄성체(23342), (23344)들이 허리의 굴곡에 대응하여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등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사용자의 등을 더욱 탄발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2의 보강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2의 보강부의 단면도이다.
보강부(26)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61)들과, 고정링(262), 탄성부재(263)들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261)은 제1, 제2, 제3 수평판(2611), (2612), (2613)들과 제1, 제2 경사판(2614), (2615)들로 이루어진다.
제2 수평판(2612)은 양단부에 제1, 제2 경사판(2614), (2615)들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제2 경사판(2614), (2615)들은 제2 수평판(2612)의 후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제2 경사판(2614), (2615)들은 타단부에 각각 제1 수평판(2611) 및 제3 수평판(2613)이 연결된다. 이때 제1, 제3 수평판(2611), (2613)들은 제2 수평판(2612)과 평행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제2, 제3 수평판(2611), (2612), (2613)들과 제1, 제2 경사판(2614), (2615)들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수평판(2612)이 제1 수평판(2611) 및 제3 수평판(2613)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61)들은 조립 시, 제1 수평판(2611)이 제2 사이드프레임(221)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되, 제3 수평판(2613)이 인접한 고정링(262)의 공간(A)으로 삽입된다.
고정링(262)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으로는 제1 사이드프레임(211)의 상단부가 관통된다.
이때 고정링(262)의 내부 공간은 사이드프레임(211)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 상세하게로는 사이드프레임(211)의 폭과 동일하되, 사이드프레임(211)의 전후방 길이보다 긴 길이의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통과된 제1 사이드프레임(211)의 전후방에는 공간(A)이 형성되게 되고, 이 공간(A)으로는 지지프레임(261)들의 제3 수평판(2613)이 삽입된다.
즉 고정링(262)은 제3 수평판(2613)이 공간(A)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해당 지지프레임(261)이 공간(A) 내부에서만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261)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탄성부재(263)는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탄성몸체(미도시)와, 탄성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63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탄성부재(263)는 일측이 지지프레임(26)의 제2 수평판(2612)의 내면에 결합되어 타측이 탄성연결체(24)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63)는 후방(도 12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될 때, 압축되어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시킴으로써 해당 탄성연결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쇄 및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성연결체가 잦은 변형으로 인하여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보강부(26)는 고정링(262)에 의해 지지프레임(261)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 지지부(22)와 제3 지지부(2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지지부(22), (23)들이 과회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26)는 탄성부재(263)들이 탄성연결체(24)의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탄성연결체(24)가 인장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과도한 인장 또는 회전으로 인한 탄성연결체(24)의 영구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등받이부(2)는 지지부(21), (22), (23)들이 탄성연결체(24), (25)들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었을 때, 사용자의 척추 형태에 따라서 형태가 변형되어 착석감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등받이부(2)는 형태가 변형될 때, 사용자의 척추 형태와 유사한 ‘S’자 형상으로 변형되어 사용자가 등을 곧게 편 상태로 의자에 기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등이 굽어져 발생하게 되는 오십견,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2)는 보강부(26)들의 탄성부재(263)들에 의해 탄성연결체(24), (25)들이 가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탄성연결체(24), (25)들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됨과 동시에 반복된 변형에 의해 영구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종래의 등받이부들보다 장기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2)는 사용자가 등을 기대었을 때, 사용자의 등이 제1 입체 탄성부(224)와 제2 입체 탄성부(233)와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하중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등받이부(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자(1)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등받이부(2)가 적용되는 가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파, 자동차 좌석, 리클라이너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도 2의 머리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머리지지부(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의 제4 지지부(31)와, 양단부가 제4 지지부(31)의 양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4 연결프레임(32)과, 제4 연결프레임(32)에 설치되는 제3 입체 탄성부(33)로 이루어진다.
제4 지지부(31)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제3 지지부(23)의 삽입부(2321) 내부로 삽입되는 폴(311)들이 하향 돌출된다.
이러한 폴(311)들은 힌지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전후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제3 입체 탄성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측면도이다.
제3 입체 탄성부(33)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31)와, 제1, 2 연결체(332), (333)들, 탄성부(334), 탄성밴드(335)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부(331)는 일측변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33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단부는 서로를 향할수록 상향(전방)을 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331)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변을 제1 지지체(3311)라고 하고, 그 대향되는 측변을 제3 지지체(3313)라고 하고, 제1, 3 지지체(3311), (3313)들을 연결하는 측변들을 제2, 4 지지체(3312), (3314)라고 할 때, 지지부(331)의 제1, 3 지지체(3311), (3313)들은 장길이로 형성되되, 제2, 4 지지체(3312), (3314)들은 단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부(331)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331)의 제1 지지체(3311)의 일단부에는 제1 연결체(332)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2 연결체(333)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331)의 제1 지지체(3311)의 양단부는 측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체(332)는 반원 형상으로 곡면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체(332)는 일단부가 지지부(331)의 제1 지지체(331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탄성부(334)의 제1 탄성체(3341)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연결체(332)는 조립 시, 제1 지지체(3311)와 연결되는 단부 보다 제1 탄성체(3341)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방(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제1 연결체(332) 및 제1 탄성체(3341)와 연결된다.
제2 연결체(333)는 제1 연결체(332)와 동일하게 반원 형상으로 곡면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체(333)는 일단부가 지지부(331)의 제1 지지체(331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탄성부(334)의 제2 탄성체(3342)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체(333)는 조립 시, 제1 지지체(3311)와 연결되는 단부 보다 제2 탄성체(3342)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방(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제1 지지체(3311) 및 제2 탄성체(3342)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체(333)는 조립 시, 제1 연결체(332)와 교차되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탄성부(334)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334)는 지지부(331) 보다 폭 및 길이가 증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334)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변의 분리되는 일측변이면서 단부가 제1 연결체(332)에 연결되는 제1 탄성체(3341)와,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변의 분리되는 타측변이면서 단부가 제2 연결체(333)에 연결되는 제2 탄성체(3342)와, 제1, 2 탄성체(3341), (3342)들 각각의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제3, 4 탄성체(3343), (3344)들과, 제3, 4 탄성체(3343), (3344)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5 탄성체(3345)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2 탄성체(3341), (3342)들은 길이방향 상에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후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5 탄성체(3345)는 길이방향 상에서 중간지점을 하향(후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탄성밴드(335)들은 탄발력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탄성부(334)의 제3, 4 탄성체(3343), (3344)들에 결합됨으로써 제3 입체 탄성부(33)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더욱 보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입체 탄성부(33)는 반호 형상으로 교차되는 제1, 2 연결체(332), (333)들에 의해 지지부(331) 및 탄성부(334)가 다층 구조로 설계됨과 동시에 제1, 2 연결체(332), (333)들이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1)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2)수평방향의 외측으로 힘을 받아 압축될 때, 내측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수평방향(상하, 좌우)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 입체 탄성부(33)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압축될 때,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갖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지지부(22), 제3 지지부(23) 및 머리지지부(3)에 제1, 제2 제3 입체 탄성부(224), (233), (33)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입체 탄성부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3 지지부(22), (23) 및 머리지지부(3) 중 어느 하나에 택일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3 입체 탄성부(33)는 사용자 머리로부터 가압될 때,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하중분산되도록 하여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이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입체 탄성부(224), (233), (33)들은 등받이부(2) 및 머리지지부(3)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쿠션, 침대 매트리스 등의 침구류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도 2의 좌석부의 사시도이다.
좌석부(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41)과, 좌판(4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구조체(42)로 이루어진다.
좌판(41)은 내부에 스프링구조체(42)가 설치되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한다.
스프링구조체(42)는 사각틀 형상의 지지대(421)와, 지지대(421)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요철형 스프링(422)들과, 지지대(421)의 하면에 설치되는 수직스프링(423)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대(421)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 변들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변에는 내측으로 고리부(4211)가 형성된다.
고리부(4211)들은 요철형 스프링(422)들의 단부가 걸림 설치됨으로써 요철형 스프링(422)들이 지지대(42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요철형 스프링(422)은 와이어가 요철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양단부가 고리부(4211)들에 각각 걸림 설치된다.
이러한 요철형 스프링(422)은 사용자가 좌판(41)에 착석하였을 때,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촉감 및 신체 보호성이 증가하게 된다.
수직스프링(423)들은 지지대(421)의 각 모서리에 하향 설치됨으로써 사용차 착석 시, 하향 압축된다.
이러한 수직스프링(423)들은 사용자가 앉은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압력을 받기 때문에 좌판(41)이 일정방향으로 경사지게 틸팅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즉, 좌판(41)은 사용자가 좌측에 앉을 경우, 수직스프링(423)들 중 좌측에 위치하는 수직스프링들이 압축됨으로써 좌판(41)의 좌측이 하향 이동되어 경사지게 틸팅되며, 사용자가 우측에 앉을 경우, 우측에 위치하는 수직스프링들이 압축됨으로써 좌판(41)의 우측이 하향 이동되어 경사지게 틸팅된다.
이때 좌석부(4)는 수직스프링(423)들이 설치되는 위치 및 간격을 조절해줌으로써 틸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석부(4)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수직스프링(423)들이 중앙 부분에 몰려있을 경우, 수직스프링(423)들로부터 좌판(41)의 외측단부까지의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도 수직스프링(423)들에 걸리는 토크(torque)가 증가하여 수직스프링(423)이 쉽게 회전되고, 이로 인해 수직스프링(423)과 연결된 좌판(41)도 쉽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좌석부(4)는 요철형 스프링(422)들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스프링(423)들에 의해 사용자가 앉은 위치에 따라서 좌판(41)이 경사지게 틸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41)에 비스듬하게 앉아 있을 경우에도 척추가 ‘S’자 형으로 유도되어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좌석부(4)는 등받이부(2)가 좌석부(4)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석부(4)가 수직스프링(423)들에 의해 경사지게 틸팅될 경우 해당 방향으로 등받이부(2)가 함께 기울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좌석부(4)에 비스듬하게 앉아있을 경우에도 등받이부(2)가 좌석부(4)와 함께 경사지게 틸팅됨으로써 사용자의 척추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석부(4)는 요철형 스프링(422)들과 수직스프링(423)들에 의해 기존에 사용되던 스펀지에 비해 탄성과 내구성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생산 원가가 대폭 절감된다.
다리지지부(5)는 좌석부(4)의 전방에 하향 경사지게 연결되며, 구동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다.
도 18은 구동부에 의한 의자의 변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동부는 좌판(41) 내부에 설치되어 등받이부(2)와 머리지지부(3), 좌석부(4), 다리지지부(5)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전동바(미도시)들로 이루어진다.
전동바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며, 등받이부(2)와 머리지지부(3), 좌석부(4), 다리지지부(5)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구동부는 다리지지부(5)를 좌석부(4)보다 높게 상향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등받이부(2) 및 머리지지부(3)를 좌석부(4)보다 낮은 위치로 하향 회전시킴으로써 심장이 머리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등받이부(2)는 지지부(21), (22), (23)들이 탄성연결체(24), (25)들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전동바에 하향 회전 되었을 때, 제2 지지부(22)와 제3 지지부(23)가 상체의 무게에 의해 하향 회전되어 머리지지부(3)의 위치가 하향 이동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부는 전동바들에 의해 등받이부(2)와 머리지지부(3), 다리지지부(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안락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사용자의 다리를 심장의 위치보다 높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장의 위치를 머리보다 높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도 2의 보강부의 제2 실시예인 제2 보강부의 사시도이다.
제2 보강부(27)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인 보강부(26)의 지지프레임(281)과, 고정링(282), 탄성부재(283)를 포함하되, 돌부(284)들과, 인장스프링(285)을 더 포함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보강부(27)는 제2 지지부(22)와 제3 지지부(23)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지지프레임(281)은 상단부가 제3 사이드프레임(231)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하단부가 고정링(282)에 삽입된다.
이때 지지프레임(281)은 제2 탄성연결체(25)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탄성부재(283)가 제2 탄성연결체(25)의 후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돌부(284)들은 제2 사이드프레임(221)의 상단부와 제3 사이드프레임(231)의 하단부에 인접한 외주면에 전방으로 돌출된다.
인장스프링(285)은 양단부가 인접한 돌부(284)들에 연결됨으로써 제2 탄성연결체(25)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285)은 제3 지지부(23)가 사용자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어 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제2 탄성연결체(25)들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줌으로써 제2 탄성연결체(25)들이 압력에 의해 영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장스프링(285)은 제3 지지부(23)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 지지부(23)를 원래의 위치인 전방으로 복구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보강부(27)는 고정링(282)에 의해 지지프레임(281)의 이동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3 지지부(2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제3 지지부(23)가 과회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27)는 탄성부재(283)가 제2 탄성연결체(25)의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제2 탄성연결체(25)가 인장 또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과도한 인장 또는 회전으로 인한 제2 탄성연결체(25)의 영구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27)는 인장스프링(285)에 의해 제3 지지부(23)가 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제3 지지부(23)에 가압되는 힘에 제거되었을 때 제3 지지부(2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20은 도 8의 제2 입체 탄성부의 제2 실시예인 제4 입체 탄성부의 예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측면도이고, 도 22는 도 19의 제2 보강부 및 도 20의 제4 입체 탄성부가 적용된 등받이부의 예시도이다.
제4 입체 탄성부(234)는 단일 와이어를 절곡 및 휨 등의 가공 처리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전후방으로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4 입체 탄성부(234)는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제4 지지체(2341), (2342), (2343), (2344)들과 제1, 제2, 제3, 제4 탄성체(2345), (2346), (2347), (2348)들, 요철스프링(2349a), (2349b)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4 입체 탄성부(234)의 각 구성요소(2341), (2342), (2343), (2344), (2345), (2346), (2347), (2348), (2349a), (2349b)들은 금속와이어 재질이고, 상세하게로는 열처리된 강철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1 지지체(2341)는 길이 방향의 중간 지점을 향할수록 하향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지지체(2342)는 길이 방향의 중간 지점을 향할수록 상향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지지체(2343)는 길이 방향의 중간 지점을 향할수록 우측을 향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단부가 각각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의 좌측단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하단부가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의 좌측단부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4 지지체(2344)는 길이방향의 중간 지점을 향할수록 좌측을 향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단부가 각각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의 우측단부 사이에 설치되되, 상하단부가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의 우측단부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1, 제2, 제3, 제4 탄성체(2345), (2346), (2347), (2348)들은 ‘⊂’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인접한 지지체들의 단부와 연결된다.
이때 탄성체(2345), (2346), (2347), (2348)들 중 제3 지지체(2343)의 상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탄성체(2345), (2346)들의 경우에는 단부가 우측을 향하도록 연결되고, 제4 지지체 지지체(2344)의 상하단부와 각각 연결되는 제3, 제4 탄성체(2347), (2348)들의 경우에는 단부가 좌측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1, 제2, 제3, 제4 탄성체(2345), (2346), (2347), (2348)들은 단부가 지지체(2341), (2342), (2343), (23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된다.
제1 요철 스프링(2349a)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의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요철 스프링(2349b)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제3, 제4 지지체(2343), (2344)들의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제2 요철 스프링(2349a), (2349b)들은 제4 입체 탄성부(234)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전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제4 입체 탄성부(234)의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더욱 보강시킴과 동시에 과도한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제1, 제2 지지체(2341), (2342)들 및 제3, 제4 지지체(2343), (2344)들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본연의 기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4 입체 탄성부(234)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탄성체(2345), (2346), (2347), (2348)들에 의해 다층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탄성체(2345), (2346), (2347), (2348)들이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입체 탄성부(234)는 요철 형상의 요철 스프링(2349a), (2349b)들에 의해 지지체(2341), (2342), (2343), (2344)들이 서로 대향되는 지지체들과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더욱 보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체(2341), (2342), (2343), (2344)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의자 2 : 등받이부
21 : 제1 지지부 22 : 제2 지지부
23 : 제3 지지부 24 : 제1 탄성체
25 : 제2 탄성체 26 : 보강부
3 : 머리지지부 31 : 제4 지지부
32 : 제4 연결프레임 33 : 제3 입체 탄성부
4 : 좌석부 41 : 좌판
42 : 스프링구조체

Claims (13)

  1.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에 상향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들과, 상기 사이드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지지부들;
    인접한 지지부들의 사이드프레임들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연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의자는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연결체들 각각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강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들은
    상부가 인접한 사이드프레임들 중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과 결합되어 하부영역이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사용자의 등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보강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대상인 사이드프레임들 중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이 삽입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폭과 동일하되, 전후방 길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 삽입 시, 전후방으로 삽입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조립 시, 하단부가 상기 고정링의 삽입공간(A)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들은
    일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되, 타측이 해당 탄성연결체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해당 탄성연결체를 향하는 내면에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제2 수평판;
    상기 제2 수평판의 상하단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1경사판 및 제2 경사판;
    상기 제1 경사판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내면이 상기 상부에 배치된 사이드프레임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수평판;
    상기 제2 경사판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조립 시, 상기 고정링의 삽입공간(A)으로 삽입되는 제3 수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단부가 상기 지지부들의 연결프레임들 중 최상부 및 최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프레임들에 결합되되, 다른 연결프레임들의 전후방에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탄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절곡된 금속와이어에 의해 다층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머리지지부 및 상기 등받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신체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입체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 배치되는 제1, 2 지지체들;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 2 지지체들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탄성체들;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2 탄성체들의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전방에 배치되면서 폭상에서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연결되는 제1, 2 연결체들;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 2 연결체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3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탄성체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으로 향할수록 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의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수직 연결되는 제1, 2 연결체들;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 2 연결체들 각각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인 탄성체들이 길이방향 상에서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측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등받이부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체;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연결 시, 상기 제1 연결체와 교차되는 제2 연결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제1, 2 연결체들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는 좌판과, 상기 좌판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구조체는
    틀 형상의 지지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대의 서로 대향되는 변들에 결합되는 요철형 스프링들;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인장스프링들과,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들 중 최하부에 배치된 지지부를 최하부 지지부라고 할 때, 상기 최하부 지지부는 해당 사이드프레임들의 외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측면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스프링들은
    양단부가 상기 최하부 지지부의 측면판들 및 상기 최하부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부의 사이드프레임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상기 좌석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동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결체는
    상하단부가 인접한 사이드프레임들 각각에 결합되는 스프링 또는 나선형으로 절곡된 강철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탄성부는 별도의 쿠션에 적용되어 해당 쿠션의 하중 분산 및 밀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200119548A 2020-09-17 2020-09-17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KR10218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8A KR102184795B1 (ko) 2020-09-17 2020-09-17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CN202011073729.3A CN112826263B (zh) 2020-09-17 2020-09-30 一种椅子结构
CN202022223787.1U CN213720978U (zh) 2020-09-17 2020-09-30 一种椅子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48A KR102184795B1 (ko) 2020-09-17 2020-09-17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795B1 true KR102184795B1 (ko) 2020-11-30

Family

ID=7364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548A KR102184795B1 (ko) 2020-09-17 2020-09-17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4795B1 (ko)
CN (2) CN2137209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303A (zh) * 2021-08-24 2021-12-10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730A (zh) * 2021-12-14 2022-05-10 黑系智能装备(威海)有限公司 一种人体工学沙发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764A (en) * 1983-09-14 1985-10-29 K. L. Spring & Stamping Corporation Flexible chair back
KR200447018Y1 (ko) * 2009-02-04 2009-12-17 서원호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20150028700A (ko) * 2014-05-13 2015-03-16 유한회사 애니체 관절의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14B1 (ko) * 2013-09-06 2014-08-05 유한회사 애니체 관절의자
CN205548057U (zh) * 2016-04-11 2016-09-07 浙江振东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休闲椅的坐垫连接结构
CN106343813A (zh) * 2016-09-30 2017-01-25 苏州伯爵至尊家具有限公司 一种新型沙发用垫板
KR102005721B1 (ko) * 2019-05-03 2019-07-31 (주)성우메디텍 에어백이 구비된 소파
CN111329275A (zh) * 2020-04-13 2020-06-26 刘长权 一种立体弹性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764A (en) * 1983-09-14 1985-10-29 K. L. Spring & Stamping Corporation Flexible chair back
KR200447018Y1 (ko) * 2009-02-04 2009-12-17 서원호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20150028700A (ko) * 2014-05-13 2015-03-16 유한회사 애니체 관절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68303A (zh) * 2021-08-24 2021-12-10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CN113768303B (zh) * 2021-08-24 2024-04-19 上海摩伽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脊柱健康拉伸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26263A (zh) 2021-05-25
CN213720978U (zh) 2021-07-20
CN112826263B (zh)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443B2 (ja) 椅子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7210181B1 (en) Spring construction
JP2017200599A5 (ko)
WO2014061299A1 (ja) 椅子
KR102184795B1 (ko)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JP2017140386A (ja) 椅子用の背中支持体
KR20060125338A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2023461B1 (ko) 척추형태로 변형 절곡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CN209932105U (zh) 一种沙发靠垫弹性件及具有该弹性件的沙发
JP2004290605A (ja) 車両用シートの背凭シート
JP3782378B2 (ja) 人体支持構造体
JP6078290B2 (ja) 椅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CN111329275A (zh) 一种立体弹性件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JP6410886B2 (ja) 椅子の背支持構成要素およびこれを備える椅子
KR102506195B1 (ko)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102184794B1 (ko)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KR200395856Y1 (ko) 의자 등받이 요추받침 장치
KR102273459B1 (ko)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CN210696761U (zh) 一种舒适型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