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92B1 -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92B1
KR102181192B1 KR1020190138241A KR20190138241A KR102181192B1 KR 102181192 B1 KR102181192 B1 KR 102181192B1 KR 1020190138241 A KR1020190138241 A KR 1020190138241A KR 20190138241 A KR20190138241 A KR 20190138241A KR 102181192 B1 KR102181192 B1 KR 10218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boat
buoyanc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완
Original Assignee
김창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완 filed Critical 김창완
Priority to KR102019013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1Mooring bars, yokes, or the like, e.g. comprising articulations on both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트를 접안이나 연안에서 리프팅하여 정박하는 과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정박의 편리성을 향상하면서도 안정적인 정박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트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어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탱크부와, 상기 부력탱크부의 상측에서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는 보조탱크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방과 접안시설이 상호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안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WATERCRAFT LIFTING APPARATUS OF AIR FLOAT TYPE}
본 발명은 보트의 정박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트를 접안이나 연안에서 리프팅하여 정박하는 과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정박의 편리성을 향상하면서도 안정적인 정박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트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소득수준의 향상 및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하여 여가활동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생활 패턴의 변화와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환경의 요인으로 인하여 선진국형의 서핑, 스노클링, 보트, 요트 등의 수상 및 해양레저 스포츠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레저용 보트의 소유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 통계를 보면 소유하고 있는 보트의 평균 운행일수가 1년에 30일을 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선박을 계류장에 정박한 상태로 보관하고 있는 시간이 운행하는 시간보다 더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소형 선박의 경우 강, 호수, 바다 또는 댐 등과 같은 수상에서 사용되고 미사용시에는 접안시설에 계류되어 보관된다. 접안시설의 계류를 위하여 물가에 고정체를 구비하고 로프를 통하여 육상과 선박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보관시의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접안시설로서 부잔교(浮棧橋)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부잔교란 박스 또는 원통형의 폰툰(pontoon)을 수상에 부상시키고 그 위에 소정의 바닥판을 배치하여 여객의 승하선시설로서 활용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폰툰은 목재, 강철제, 철근콘크리트재의 거룻배를 의미하며 부잔교의 본체를 구성하는데, 갑판, 상판 및 측벽은 대략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지니도록 이루어지고 수밀성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갑판 위에는 맨홀, 빌지홀, 체인홀, 통기구멍, 방현재, 페어리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부잔교의 접안공간에서 계류되는 선박과 부잔교가 파랑에 의하여 흔들리게 되고, 이때 선박과 부잔교가 충격하여 각각 변형 및 파손의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특히 바다의 경우는 해양 고착생물인 따개비나 염분에 오염이 많은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최근에는 보트 리프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상기 보트 리프트 장치란 해양과 내수면의 마리나(Marina)에 계류하는 모터보트, 유틸리티 보트, 요트 등 다양한 종류의 보트 및 선박을 수면 위로 들어 올리거나 수면에 띄우기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53741호는 종래기술의 보트리프트 장치를 제시하고 있으며, 최근 활용되고 있는 선박의 부양 및 침수 작동이 가능한 형태이다. 도 1은 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를 살펴보면, 선박을 지지 또는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부력탱크(30) 사이에 있는 리프팅 어셈블리, 부력탱크(30)를 수면 위와 아래로 유도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 어셈블리(20) 및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부력탱크(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유압동력을 사용하기 위한 구동계통이 복잡하고 유지보수성에 있어서도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오일의 누유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환경오염의 한계도 있다.
또한, 이러한 부양식 리프팅 장치의 경우 부양된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파도 등에 의하여 출렁거림이 심하고 경우에 따라 접안시설과의 충돌 가능성이 있어 별도의 앵커를 설치하여야 하는 구조적 문제도 있다.
한편, 종래기술의 경우 한정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보트의 형태와 크기의 제약이 있으며 다른 종류의 보트를 정박 및 리프팅하기 위하여서는 추가적인 설비를 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며 사용상 신뢰성이 높은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0),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탱크부(2100), 접안시설에 대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하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안프레임부(1200),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부력탱크부의 부력 제거에 의한 침강시 수중으로 진입한 메인프레임에 대해 부력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하강을 방지하고, 수상으로 일부 노출되어 보트의 진입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탱크부(2300)를 포함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접안프레임부는 일단이 접안시설에 결합되는 앵커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210)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단이 결합되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프레임(1220)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부프레임과 함께 회동되는 링크프레임(1240)과, 상기 링크프레임의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프레임(1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인접되는 링크프레임을 함께 연결하여 메인프레임이 수평하게 승하강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접안프레임부는,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의 폭조절이 가능한 폭조절부(12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안프레임부는, 보트의 안착 및 부상 상태에서 침강시 보트에 대해 메인프레임을 하방 및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130)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트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부(1110)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11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력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제거하는 제어라인(2200), 상기 제어라인에 유통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접안시설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부력의 작용 및 해제시 부상과 침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보트의 보관에 있어서 신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안프레임부의 작동 구조에 따라 접안시설에 상하 및 전후로 자유롭게 메인프레임의 이동이 가능하여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이 증가되고, 불필요한 동력계통과 구조를 단순화하여 시설에 따른 경제성과 사용상 유지보수의 이점도 향상된다. 이에 따라 장비의 국산화가 가능하여 종래의 외국 제품에 의하여 독점화된 보트 리프팅 시장의 국내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력탱크부와는 별도로 상부 보조탱크부를 채용함으로써 사고에 대처하면서도 과도한 침강을 방지하고 보트의 접안이나 안착시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접안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서 접안프레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 보트가 안착되어 리프팅된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선박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탱크부와, 상기 부력탱크부의 상측에서 추가적인 부력을 제공하는 보조탱크부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방과 접안시설이 상호 상하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안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접안시설은 물가에 배치되어 육상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육상에 인접되는 다양한 형태의 시설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육상의 구조물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잔교 또는 부상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접안시설은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측으로 보트가 입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보트는 그 사이의 공간에 계류될 수 있다. 이때, 'ㄷ'자 형태의 폐쇄된 측은 육상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고, 양측의 가지 부위는 부잔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양 가지측 사이에 형성되어 보트가 저장되는 공간을 접안공간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보트는, 다양한 형태의 선박은 물론 제트스키, 수상부유장치 또는 그 부품 등 다양한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전체적인 구조는 메인프레임(100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0)은 주요하게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상태에 따라 평면상 상기 메인프레임(1000)은 날일(日) 내지 눈목(目)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측방으로는 접안시설과 연결되는 접안프레임부(1200)에 연결되며, 상기 접안프레임부(1200)는 접안시설에 대해 메인프레임(100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회동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00)의 하측에는 수상으로 부양 또는 수중으로의 침강이 제어될 수 있도록 부력탱크부(21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부력탱크부(2100)는 메인프레임(1000)의 하부 양측에 두 개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력탱크부(2100)는 소정의 에어펌프 및 컨트롤러(미도시)에 제어라인(2200)으로 연결되어 부양과 침강 및 그 정도가 제어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되어 공지의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부력탱크부(2100)의 재질은 선택적이나, 생산의 경제성을 향상하고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PE 재질이 적용되는 경우 제조시 융착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므로 원하는 장치나 환경에 따라 크기와 용량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상측으로는 보조탱크부(2300)가 더 배치되며, 이러한 보조탱크부(2300)는 소정의 부력을 보조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지지부(1100)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0)의 자중이 존재하고 보트가 얹혀진 상태에서는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상기 보조탱크부(2300)가 이러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1100) 측이 수중으로 잠겨 있는 상태에서 보조탱크부(2300)가 부력을 작동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깊이까지 잠기는지를 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 지지부(1100)의 배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보트의 안착 과정에서 지지부(1100)의 정확한 위치로 보트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는 이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상측, 더욱 정확하게는 부력탱크부(2100)의 사이의 공간에는 보트의 저부가 안착되며 이를 위하여 지지부(1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0)의 상측 말단은 보트의 저면과 접촉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로 부상시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을 갖추고, 형상 내지는 위치가 변형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프레임(1000)이 상측으로 보트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추되 하측에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탱크부(2100)가 구비되어 부상 및 침강을 제어하고, 상측의 보조탱크부(2300)가 수중으로 침강하는 소정의 높이부터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소정의 깊이와 위치의 가이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접안프레임부(1200)가 접안시설과의 상하 및 전후로의 메인프레임(1000)의 위치 변동을 허용하면서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을 방지하고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이 완전히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접안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전체적으로 메인프레임(1000)은 지지프레임(1020)의 배치를 통하여 장방형을 이루고 있으며, 메인프레임(1000)의 측면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020)은 접안시설(T)과 메인프레임(1000)을 상호 연결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20)은 접안시설(T)에 결합되는 앵커(1201)에 일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프레임(1210)과, 상기 하부프레임(1210)의 타단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10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프레임(1220)과, 항기 회동프레임(1220)에서 일단이 하부프레임(1210)과 함께 회동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링크프레임(1240)과, 상기 링크프레임(1240)의 타단이 연결되는 상부프레임(1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230)은 하나의 부재 내지는 상호 체결된 복수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링크프레임(1240)들을 전후방에서 상호 연결하여 함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좌우측에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230)에 연결되는 링크프레임(1240)들은 각각 선택적인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3개가 세트를 이루어 하나의 상부프레임(1230)에 전후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링크프레임(1240)의 개수(하부프레임(1210) 및 회동프레임(1220)의 개수에 대응되는)는 최소한 상부프레임(1230)의 전후측에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보트의 정박 및 리프트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230)은 소정의 난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10)과 링크프레임(1240)은 상호 체결되거나 용접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으며, 접안시설(T) 및 메인프레임(1000)에 대해 회동프레임(1220)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면서 승하강을 지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프레임(1220)은 내측(메인프레임(1000)의 폭방향 중심측)으로 지지프레임(1020)과 연결되거나 상호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동프레임(1220)과 지지프레임(1020)의 연결부위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폭조절부(1221)가 형성되는 개념을 제시한다.
상기 폭조절부(1221)에 의하여 접안시설(T)의 접안공간 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공장에서 생산되어 현장 시공시 오차를 허용하며 시공 현장이 바뀌더라도 이에 적절하게 적응이 가능한 장점이 제공된다.
상기 폭조절부(1221)는 두 개의 바가 상호 길이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요소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도시된 예를 참고하면 회동프레임(1220)과 지지프레임(1020)이 상호 삽입되어 교차되고 상기 교차되는 부위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교차되는 위치별로 핀 내지는 볼트가 삽입되어 길이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동프레임(1220)의 메인프레임(1000)과 연결부위에는 회전지지를 위한 회동부(도 4의 1030)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회동부는 폭조절부(1221)의 외곽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하부프레임(1210)과 링크프레임(1240)은 회동프레임(1220)에서 함께 상하회동되면서 메인프레임(1000)의 승하강에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과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210)은 접안시설(T)과의 연결시 체결성을 보장하고 작업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접안시설(T)에 결합되는 측이 회동프레임(1220)이 결합되는 측보다 외곽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의 도시된 예에서 부력탱크부(2100)와 보조탱크부(2300)가 결합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안시설(T)의 앵커(1201)에 하부프레임(121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부프레임(1210)과 앵커(1201) 사이의 간격은 폭조절부(1221)에 의하여 적응될 수 있음은 설명되었다. 이러한 폭조절부(1221)는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1020)의 내주측에 삽입되어 인입출되는 회동프레임(1220)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회동프레임(1220)은 폭조절부(1221)의 외곽측에서 메인프레임(10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전후회동부(1030)에 결합되어 있다. 마찰력의 저감을 위하여 상기 전후회동부(1030)에는 볼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회동프레임(1220)은 링크프레임(1240)과 연결되어 함께 회동될 수 있으며 상측에 수평한 바 형태의 상부프레임(12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230)들은 복수의 링크프레임(1240)들을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하부측에는 하나 이상의 부력탱크부(2100)가 결합되어 제어라인(2200)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받거나 배출하고 부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0)의 상측으로는 보조탱크부(2300)가 배치되며, 상기 보조탱크부(2300)는 메인프레임(1000)이 수면 아래로 잠기기 시작한 이후부터 부력을 제공하여 지지부(1100)가 비교적 정확한 깊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트의 안착시 육안으로 진입방향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1100)는 보트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000)에 고정되거나 메인프레임(1000)으로부터 전후 및/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0)의 실시예로서, 상단측에는 보트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부(1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부의 상면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 또는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촉부(1110)는 보트의 저면 형상 내지는 저촉되는 위치에 따라 각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접촉부(1110)를 메인프레임(1000)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좌우회동부(1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회동부(1120)는 메인프레임(10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130)과 접촉부(1110)를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지지부(1100)는 보트의 저면 형상 및 크기를 고려한 메인프레임(1000)의 선택된 부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로서 메인프레임(1000)의 전후방향을 가로질러 선택된 폭으로 한쌍이 배치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부(1100)는 전후 측에 각각 쌍을 이루어 4개가 배치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전방측의 지지부(1100) 쌍은 보트의 전방측을 지지하고 후방측의 지지부(1100) 쌍은 보트의 후방측을 지지하게 되므로 전장측의 지지부(1100) 사이의 간격이 후방측의 지지부(1100)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서 접안프레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의 (a)는 부상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침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보조탱크부(2300)는 제외되고 접안프레임부(1200)를 중심으로 나타내었음에 유의한다.
도 5의 (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앵커(1201)와 회동프레임(1220)을 하부프레임(1210)이 연결하고 있으며 대략 메인프레임(1000)에 대해 하부프레임(1210)이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링크프레임(1240)은 하부프레임(1210)과 함께 회동되는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상측을 지향하여 서있으며, 그 말단에는 상부프레임(1230)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지지부(1100)에는 보트가 얹혀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부력탱크부(2100)에 제어라인(2200)을 통하여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부력이 작용하여 최소한 지지부(1100)가 수상으로 부상하여 보트와 수면의 접촉을 방지한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상기 상태에서 부력탱크부(2100)에 부력이 제거 또는 저감되면 자중에 의하여 수중으로 침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00)의 하강 동작시에도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은 접안프레임부(120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하 움직임만이 가이드되는 것이다.
하부프레임(1210)의 앵커(1201)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강이 이루어지면 메인프레임(1000)에 대해 회동프레임(1220)이 회동하며, 도 5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의 전환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다.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1230)과 링크프레임(1240)에도 각도가 발생되고 하나의 상부프레임(1230)에 복수의 링크프레임(1240)이 연결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1000)은 침강 과정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접안프레임부(1200)에서 회전에 따라 하강이 이루어지면 메인프레임(1000)이 점차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으며 보조탱크부(2300)에 수면이 접촉한 순간부터 부력의 작용이 개시된다. 이에, 지지부(1100)가 어느 정도 잠긴 이후에는 더이상 가라앉지 않으며 바로 보트를 이탈시키거나 정박할 보트가 보조탱크부(2300)를 가이드 삼아 지지부(1100)의 정확한 위치에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부상 상태에서 침강 상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메인프레임(1000)은 앵커(120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방(도시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였음에 유의한다. 즉, 본 발명은 접안프레임부(1200)가 링크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하 이동 및 전후 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보트를 안착하고 부상하여 보관하는 상태에서 침강하여 보트를 사용하고자 할 때 보트의 위치에 대해 메인프레임(1000)이 수중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로부터 보트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동(예를 들어 후진)의 거리가 더욱 짧아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렇게 안착 또는 이탈 과정에서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와 보트의 상대적 이동이 줄어드는 경우 접촉에 의한 보트나 리프팅 장치의 손상 확률이 저감됨을 의미한다. 보트를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의 침강 상태에서 지지부(1100)에 안착하여 부상시키는 경우에는 반대로 보트측으로 접근하면서 부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역의 경우도 효율성과 안전성이 증가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 보트가 안착되어 리프팅된 상태를 후방측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접안프레임부(1200)에 접안프레임부(1200)가 상하로 회동 및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보트(B)가 지지부(1100)에 안착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는 부상한 경우를 나타내며 부력탱크부(2100)에 부력이 작용하여 보트(B)와 메인프레임(1000)을 수상으로 끌어올렸다.
이때, 지지부(1100)는 보트(B)의 저면에 대응하여 좌우회동부(1120)에서 경사를 가지게 맞추어졌음에 유의한다.
한편, 메인프레임(1000)은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이 경우 보트(B) 하측의 볼록한 형상 및 프로펠러에 간삽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소한 보트(B)의 후방측이 배치되는 후측의 메인프레임(1000) 부위는 폭방향 중심측에서 보트(B) 구동계통이 수용될 수 있는 하측 함몰 공간부(1001)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보트가 안착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경우 도 5의 (b)를 참고하면, 부력탱크부(2100)에서 공기가 제거되면서 하강이 개시되면, 접안프레임부(1200)에서 앵커(1201)를 중심으로 하향회동되고,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000)은 점차적으로 전방으로도 이동된다.
어느 정도 메인프레임(1000)이 수중으로 가라앉은 다음에는 보트(B)에 부력이 작용하고 지지부(1100)와 보트(B)의 저면 접촉이 해제되고 수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보트(B)의 위치는 정지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00)은 하향 및 전방으로 이동될 것이다.
이때부터는 보조탱크부(2300)에서 부력이 작용하여 과도한 메인프레임(1000)의 침강을 방지하도록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접안시설(T)에서 관리자가 컨트롤러(미도시)를 동작하여 에어펌프 등의 구동요소를 동작하고 부력탱크부(2100)의 부력을 제어하게 되는바, 수상의 시설물 또는 접안 시설물에 전기의 공급의 불안정성과 안전의 문제를 해소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는 배터리와 같은 전력저장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태양광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관리 및 저장계통에는 최소한 IP65등급의 방수가 적용되는 케이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파손이나 오작동에 의한 공기의 급격한 유출입을 방지하는 안전밸브를 제어라인(2200) 또는 부력탱크부(2100)에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부력탱크부(2100) 내부의 독립적인 분리 격실을 구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보조탱크부(2300)에 의하여 부력탱크부(2100)의 오작동이 일어나더라도 침몰이나 급격한 추락 등의 사태에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누전이나 감전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컨트롤러는 누전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에 의하여, 접안시설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부력의 작용 및 해제시 부상과 침강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보트의 보관에 있어서 신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안프레임부의 작동 구조에 따라 접안시설에 상하 및 전후로 자유롭게 메인프레임의 이동이 가능하여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편리성과 안정성이 증가되고, 불필요한 동력계통과 구조를 단순화하여 시설에 따른 경제성과 사용상 유지보수의 이점도 향상된다.
또한, 부력탱크부와는 별도로 상부 보조탱크부를 채용함으로써 사고에 대처하면서도 과도한 침강을 방지하고 보트의 접안이나 안착시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어 안전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메인프레임 1001...공간부
1020...지지프레임 1030...전후회동부
1100...지지부 1110...접촉부
1120...좌우회동부 1130...지지브라켓
1200...접안프레임부 1201...앵커부
1210...하부프레임 1220...회동프레임
1221...폭조절부 1230...상부프레임
1240...링크프레임 2100...부력탱크부
2200...제어라인 2300...보조탱크부

Claims (6)

  1. 선박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0);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어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탱크부(2100);
    접안시설에 대해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하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접안프레임부(1200);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부력탱크부의 부력 제거에 의한 침강시 수중으로 진입한 메인프레임에 대해 부력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하강을 방지하는 보조탱크부(2300);를 포함하며,
    상기 접안프레임부는,
    일단이 접안시설에 결합되는 앵커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210)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단이 결합되며 메인프레임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프레임(1220)과, 상기 회동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어 하부프레임과 함께 회동되는 링크프레임(1240)과, 상기 링크프레임의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상부프레임(1230)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프레임은 인접되는 링크프레임을 함께 연결하여 메인프레임이 수평하게 승하강되도록 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부는,
    메인프레임의 침강시 수상으로 일부 노출되어 보트의 진입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프레임부는,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의 폭조절이 가능한 폭조절부(1221)를 구비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프레임부는,
    보트의 안착 및 부상 상태에서 침강시 하부프레임의 앵커와의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하향 회동이 이루어지면 메인프레임에 대해 회동프레임이 회전하면서 메인프레임을 앵커에 대해 하방 및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130)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트의 저면에 접촉되는 접촉부(1110)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1100);를 더 포함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제거하는 제어라인(2200);
    상기 제어라인에 유통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KR1020190138241A 2019-10-31 2019-10-3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KR10218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41A KR102181192B1 (ko) 2019-10-31 2019-10-3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241A KR102181192B1 (ko) 2019-10-31 2019-10-3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92B1 true KR102181192B1 (ko) 2020-11-20

Family

ID=7369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241A KR102181192B1 (ko) 2019-10-31 2019-10-3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814A (en) * 1993-04-05 1995-03-07 Hydrohoist International, Inc. Front mounted boat lift
KR20140047764A (ko) * 2012-10-12 2014-04-23 박송범 해상 굴 양식 장치
KR20160104898A (ko) * 2015-02-27 2016-09-06 (주)케이에스비엔성풍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US20170190398A1 (en) * 2012-11-13 2017-07-06 Sean A. Barnes Boat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4814A (en) * 1993-04-05 1995-03-07 Hydrohoist International, Inc. Front mounted boat lift
KR20140047764A (ko) * 2012-10-12 2014-04-23 박송범 해상 굴 양식 장치
US20170190398A1 (en) * 2012-11-13 2017-07-06 Sean A. Barnes Boat lift
KR20160104898A (ko) * 2015-02-27 2016-09-06 (주)케이에스비엔성풍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10624B2 (en)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US6688248B2 (en) Submersible catamaran
US6834604B2 (en) Transporting a ship over shallows of a watercourse
BR112012005671B1 (pt) embarcação de casco único para implementação e recuperação de equipamentos na região offshore e método para submergir equipamento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CA2879873A1 (en) Method of mooring of ship and arrangement to accomplish the method
CN107856819A (zh) 浮动船厂及浮动式舰船维修和建造方法
KR102181192B1 (ko)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EP3810500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CN112977741A (zh) 一种浅水半潜型坐底式保障平台
EP2961649B1 (en) A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KR20230151547A (ko) 부유식 설비를 위한 반잠수식 서비스 선박 및 그 방법
EP1492699B1 (en) Submersible watercraft
EP024942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aising rigs
WO2017222469A1 (en) Semi-submersible vessel
GB2269138A (en) Stabilising submersible barges.
US20050257727A1 (en) Floating dock lift
Crowle et al. Transport Vessels for Floating Wind
CN106477002A (zh) 一种人工浮岛
RU2581430C1 (ru) Плавучий док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объектов с несудовыми обводами
CN118062179A (zh) 水上换电站及其换电方法
CN117719639A (zh) 半潜式风机安装平台及风机的安装方法
KR20240015186A (ko)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 구조물 설치 시스템 및 방법
JPS59160695A (ja) 没水台船式船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