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256B1 -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256B1
KR102180256B1 KR1020200023542A KR20200023542A KR102180256B1 KR 102180256 B1 KR102180256 B1 KR 102180256B1 KR 1020200023542 A KR1020200023542 A KR 1020200023542A KR 20200023542 A KR20200023542 A KR 20200023542A KR 102180256 B1 KR102180256 B1 KR 10218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kin
module
bla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박순욱
이주현
이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02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3Household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테이블(100)과;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안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피대상물(P)을 공급하는 공급모듈(110)과; 상기 공급모듈(110)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파지함과 동시에 박피대상물(P)을 칼날의 박피중심축(C)에 위치시키는 파지모듈(130)과;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전,후면 중심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박피대상물(P)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200)과;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칼날부재(320)가 박피대상물(P)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모듈(200)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박피대상물(P)의 외피를 제거하는 박피제거모듈(300);을 포함하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모듈에 의해 상기 박피대상물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피제거모듈에 의해 박피 제거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박피제거 작업 중 박피대상물에 재부착되는 외피(껍질)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외피의 재부착에 따른 추가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피장치{Peeling-off Apparatus}
본 발명은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박피대상물의 상,하측에 파지모듈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피중심축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피대상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피(껍질)의 제거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으로 박피대상물에 외피(껍질)를 제거할 수 있는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근류는 알뿌리를 가진 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무, 감자, 당근, 고구마 등을 말한다. 특히 무(Radish:무우, 무수)는 십자화과의 먹을 수 있는 뿌리 채소이며, 길이는 약 20~35cm를 가지며, 지름은 약 5~10cm 정도이다.
이러한 무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흙을 제거하고 무의 껍질을 벗겨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김치가공 공장 및 각종 식품 제조공장이 늘어나면서 무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무 박피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자동으로 무의 껍질을 박피하는 장치에 관해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47727에 개시되어 있다.
대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47727에는 상단에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단에 배출구가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에 마련되고 상단이 회동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박피물을 중앙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가이드수단; 상기 가이드수단의 하방에 마련되어 중앙으로 가이드되는 박피물을 하방으로 강제 인출하면서 박피작업 시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인출수단; 상기 인출수단의 하방에 마련되고 다수의 칼날과 상기 칼날의 일단을 지지하는 회전뭉치로 구성된 박피수단; 및 상기 박피수단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박피수단의 회전뭉치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뭉치에 지지되는 다수의 칼날이 회전하면서 박피물의 박피작업이 수행되도록 하는 동력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박피기는 무를 세워진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껍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거된 껍질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여 무와 함께 떨어 짐에 따라 껍질 제거가 완료된 무의 회수시 주변의 무껍질을 다시 제거해야하는 작업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박피기는 무의 전둘레면에 칼날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한번의 과정을 통해 무의 껍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며, 다수회 무의 껍질 제거작업을 수행해야만 무의 껍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2-00477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피대상물의 상,하측에 파지모듈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피중심축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피대상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피(껍질)의 제거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자동으로 박피대상물에 외피(껍질)를 제거할 수 있는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테이블과, 상기 지지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박피대상물의 안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피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모듈과, 상기 공급모듈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박피대상물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파지함과 동시에 박피대상물을 칼날의 박피중심축(C)에 위치시키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며, 박피대상물의 전,후면 중심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박피대상물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칼날부재가 박피대상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모듈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박피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박피대상물의 외피를 제거하는 박피제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모듈은, 소정두께를 가지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박피대상물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안착되는 박피대상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전,후측에 각각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착대회전축과, 상기 안착대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대를 회동시키는 안착대회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모듈의 일측에는, 반원 형상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박피대상물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플레이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홀이 더 구비된다.
상기 파지모듈은, 상기 거치플레이트에 안착된 박피대상물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파지모듈은, 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의 내측면 상단에 상기 공급모듈측으로 돌출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레일홈이 형성되는 제1레일안내블럭과,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1레일홈과 대응되는 레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레일홈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제1레일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레일안내블럭과,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2레일홈과 대응되는 레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레일홈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제2레일바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바와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제1레일바와 상기 제2레일바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레일바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바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제2레일바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2레일바의 끝단에 상기 거치플레이트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2개의 가압롤러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의 상부 또는 하부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재는, 상기 제1,2레일바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승강블럭과, "V"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블럭의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롤러지지블럭과, 휠(Wheel)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지지블럭에 2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박피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거치플레이트에 안착된 박피대상물을 파지모듈이 작동으로 박피중심축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박피대상물의 외피(껍질) 제거 작업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박피 제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이점이 있다.
또한, 이동모듈에 의해 상기 박피대상물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피제거모듈에 의해 박피 제거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박피제거 작업 중 박피대상물에 재부착되는 외피(껍질)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외피의 재부착에 따른 추가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 및 파지모듈 그리고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 및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위치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피제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피제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피제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의 설치위치에 따른 칼날부재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에 의해 박피대상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외피가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 및 파지모듈 그리고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탈피장치는,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테이블(100)과,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안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피대상물(P)을 공급하는 공급모듈(110)과, 상기 공급모듈(110)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파지함과 동시에 박피대상물(P)을 칼날의 박피중심축(C)에 위치시키는 파지모듈(130)과,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전,후면 중심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박피대상물(P)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200)과,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칼날부재(320)가 박피대상물(P)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모듈(200)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박피대상물(P)의 외피를 제거하는 박피제거모듈(3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테이블(100)은 도 1과 같이, 테이블(Table)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부 및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고정 및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부면 후방측에는 공급모듈(110)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모듈(110)은 크게 차단플레이트(112), 안착대(114) 그리고 안착대회전축(116), 안착대회동부재(11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플레이트(112)는, 도 5와 같이, 소정두께를 가지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박피대상물(P)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112)는 후술할 안착대(114)에 박피대상물(P)이 안착되는 경우에 상기 박피대상물(P)의 전,후측을 차단하여 박피대상물(P)의 투입과정 중 전,후측을 통해 박피대상물(P)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112)의 사이에는 안착대(114)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대(114)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114)는 서로 다른 차단플레이트(1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안착되는 박피대상물(P)을 후술할 거치플레이트(120) 측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대(114)의 전,후측에는 안착대회전축(11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회전축(116)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대(114)의 전면 또는 후면의 우측단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착대회전축(116)은 도 6과 같이, 각각 상기 차단플레이트(112)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안착대(114)의 회전동작시 상기 안착대회전축(116)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대(114)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대(114)의 하부면에는 안착대회동부재(118)가 설치된다. 상기 안착대회동부재(118)는 일반적인 공압 실린더(Air 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안착대회동부재(118)에는 공압 실린더 이외에도 유압실린더 등과 같이 상기 안착대(114)를 회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및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안착대회동부재(118)에 공압실린더가 적용된 상태를 바탕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안착대회동부재(118)의 일단은 상기 안착대(114)의 중앙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안착대회동부재(118)는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신호에 따라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실린더로드(미도시)가 상측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 도 6과 같은 상기 안착대(114)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기 안착대(114)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안착대(114)의 상부면에 위치된 박피대상물(P)이 후술할 거치플레이트(120)측으로 구름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공급모듈(110)의 우측에는 거치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도 6 기준). 상기 거치플레이트(12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반원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대(114)의 설치 위치를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거치플레이트(120)는 상기 공급모듈(110)의 우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대(114)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중앙측으로 구름 이동되는 박피대상물(P)의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중앙에는 거치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122)은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상부면 중앙에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122)의 내부에는 박피대상물(P)의 하부면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중앙에는 이송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홀(124)은 도 6과 같이,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이송홀(124)의 내부에는 후술할 이동모듈(200)의 전후이동 동작시 제1,2위치고정부(210,240)가 전후로 안내되는 부분이다.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 및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상,하측에는 파지모듈(130)이 설치된다. 상기 파지모듈(130)은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상,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모듈(130)은, 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측면 상단에 상기 공급모듈(110)측으로 돌출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3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레일홈(138)이 형성되는 제1레일안내블럭(136)과,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1레일홈(138)과 대응되는 레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레일홈(138)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제1레일바(14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측면에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레일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레일안내블럭(142)과,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2레일홈(144)과 대응되는 레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레일홈(144)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제2레일바(146)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바(1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바(1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148)와, 상기 제1레일바(140)와 상기 제2레일바(14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바(140)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제2레일바(146)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피니언기어(152)와,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끝단에 상기 거치플레이트(120)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2개의 가압롤러(16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의 상부 또는 하부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재(1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2)는 소정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거치플레이트(120)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2)는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측면 상단에 고정되는 파지모듈고정플레이트(134)에 결합 고정되어, 다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 우측에는 제1레일안내블럭(136)이 설치된다.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은 일반적인 엘엠블럭(LM BLOCK)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에 세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돌출 고정된다.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에 고정되어, 후술할 제1레일바(14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의 좌측면(도 11참조)에는 제1레일홈(138)이 형성된다. 상기 제1레일홈(138)은 일반적인 레일홈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레일홈(138)은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의 좌측면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제1레일바(140)가 장착되고, 제1레일바(140)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의 좌측면에는 제1레일바(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레일바(140)는 일반적인 레일(Rail)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레일바(140)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레일바(140)의 측면부는 상기 제1레일홈(13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의 제1레일홈(138)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제1레일바(140)는 상기 제1레일홈(138)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후술할 파지부재(154)를 박피대상물(P)의 하부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해제 시킴과 동시에 후술할 피니언기어(15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레일바(140)의 좌측면에는 기어(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는 일반적인 치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레일바(140)의 좌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는 후술할 피니언기어(152)와 치차 결합되어 피니언기어(152)를 정,역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 좌측에는 제2레일안내블럭(142)이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일안내블럭(142)은 일반적인 엘엠블럭(LM BLOCK)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레일안내블럭(142)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 좌측에 세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돌출 고정된다. 상기 제2레일안내블럭(142)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 좌측에 고정되어, 후술할 제2레일바(146)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의 우측면(도 11참조)에는 제2레일홈(1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레일홈(144)은 일반적인 레일홈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레일홈(144)은 상기 제2레일안내블럭(142)의 우측면 중앙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제2레일바(146)가 장착되고, 제2레일바(146)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레일안내블럭(142)의 우측면에는 제2레일바(146)가 설치된다. 상기 제2레일바(146)는 일반적인 레일(Rail)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레일바(146)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레일바(146)의 측면부는 상기 제1레일홈(13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레일안내블럭(142)의 제2레일홈(144)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제2레일바(146)는 상기 제2레일홈(144)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후술할 파지부재(154)를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에 밀착시키거나 밀착해제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레일바(146)의 우측면에는 기어(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는 일반적인 치차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레일바(146)의 우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는 후술할 피니언기어(152)와 치차 결합되어 피니언기어(152)를 정,역 회전에 따라 상기 제2레일바(146)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 우측단에는 승하강부재(148)가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부재(148)는 일반적인 공압실린더(Air 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하강부재(148)는 공압실린더 이외에도 유압실린더 등과 같이 상기 제1레일바(140)를 승하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장치 및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승하강부재(148)에 적용된 공압실린더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148)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에 수직하게 설치된다.(도 9와 도10 참조) 상기 승하강부재(148)의 실린더로드(미도시)는 후술할 레일이동블럭(150)과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바(1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148)의 상단에는 레일이동블럭(15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이동블럭(150)은 "
Figure 112020020279679-pat00001
"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1레일바(14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하강부재(148)의 실린더로드 상단에 고정된다. 상기 레일이동블럭(150)의 양측 하부는 각각 상기 제1레일바(140)와 승하강부재(148)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재(148)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제1레일바(1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레일바(140)와 제2레일바(146) 사이에는 피니언기어(152)가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52)는 일반적인 피니언기어(Pinion gea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피니언기어(15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치차가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52)는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바(140)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제2레일바(146)를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레일바(140)가 상승 동작하는 경우, 상기 피니언기어(152)가 역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레일바(146)는 하강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1레일바(140)가 하강 동작하는 경우, 상기 피니언기어(152)가 정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레일바(146)는 상승 동작된다.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파지부재(154)가 설치된다. 상기 파지부재(154)는 크게 승강블럭(156), 롤러지지블럭(158), 가압롤러(160)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승강블럭(156)은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블럭(156)은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거치홈(122)에 안착된 박피대상물(P)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승강블럭(156)의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롤러지지블럭(158)과 가압롤러(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블럭(156)의 좌측단에는 롤러지지블럭(158)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은 "∨"자 또는 "∧"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 고정된다.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은 상기 승강블럭(156)의 좌측 끝단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되어 후술할 가압롤러(160)를 지지한다.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전면에는 가압롤러(16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롤러(160)는 일반적인 휠(whell)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압롤러(160)에 적용되는 휠은 바퀴 타입 및 롤러 타입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바퀴 타입 중 옴니휠(Omni Wheel) 형태의 휠을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롤러(160)는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전면 상측에 2개가 소정 간격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롤러(16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롤러(미도시)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가압롤러(160)의 롤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압롤러(160)는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상기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박피대상물(P)을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피대상물(P)의 하측에 위치하는 롤러지지블럭(158)의 상측에는 가이드롤러(162)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62)는 일반적인 롤러(roll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이드롤러(162)는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전면 상단에 2개가 상하로 배치되고,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62)는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의 승강 이동시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이동되고, 박피대상물(P)을 가압롤러(16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파지모듈(130)의 구조에 의해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거치홈(122)에 안착된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 상,하측에 상기 가압롤러(160)가 동일한 승하강 거리만큼 이동되어 동시에 박피대상물(P)을 파지할 뿐만 아니라 박피대상물(P)을 박피중심축(C)에 정확히 위치시킨 상태에서 후술할 이동모듈(200)의 고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모듈(130)은 상기 거치플레이트(120)를 따라 복수개가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지는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 중 1이상 부위에 파지 동작이 이루어지고, 박피대상물(P)의 가상의 중심축과 후술할 박피제거모듈(300)의 박피중심축(C)을 일치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박피제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동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위치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모듈(130)의 하부에는 이동모듈(200)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모듈(200)은 크게 전후안내레일(202), 전후이동블럭(204) 그리고 전후이동부재(206), 제1위치고정부(210), 제2위치고정부(2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은 일반적인 레일(Rail)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은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부 측면을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은 후술할 전후이동블럭(204)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의 전면에는 전후이동블럭(204)이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은 직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도 9 참조)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은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에 직접 설치되거나, 엘엠블럭(미도시)에 의해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은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1,2위치고정부(210,24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하부에는 전후이동부재(206)가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동부재(206)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동부재(206)는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측면 하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 전방측에는 제1위치고정부(21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부(210)는, 고정부이동레일(212), 고정부이동블럭(214), 제1위치고정브라켓(218), 제1위치고정부재(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 전방측에는 고정부이동레일(212)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이동레일(212)은 레일 형태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이동레일(212)은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 중앙에 전후로 길게 설치되어, 후술할 고정부이동블럭(214)의 전후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부이동레일(212)의 측면에는 고정부이동블럭(21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은 일반적인 엘엠블럭(LM Block)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은 상기 고정부이동레일(212)의 측면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제1위치위정브라켓(218)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에는 고정부이동부재(216)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이동부재(216)는 일반적인 실린더(Cy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부이동부재(216)는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에 전후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이동부재(216)의 실린더로드(미도시)의 끝단이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의 측면에는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이 설치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은 단면이 "┘"자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도 9 참조) 상기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은 상기 고정부이동블럭(21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이동레일(212)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의 상측 끝단에는 후술할 제1위치고정부재(220)가 설치되어, 상기 제1위치고정부재(220)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의 상단에는 제1위치고정부재(2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부재(220)는, 제1위치고정바(222), 제1전후이동안내축(224), 제1전후이동몸체(226), 제1대상물고정핀(23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위치고정바(222)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의 상단에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바(222)는 박피대상물(P)의 전면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위치고정브라켓(218)의 전후 이동에 따라 박피대상물(P)의 전면 중앙측으로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위치고정바(222)의 후면 중앙에는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위치고정바(222)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은 상기 제1위치고정바(222)의 후면 중앙에 박피대상물(P)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의 외부면에는 후술할 제1전후이동몸체(226)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의 둘레면에는 제1전후이동몸체(2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는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의 외부면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에 가압되는 경우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가압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의 전면 중앙에는 제1장착홈(228)이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홈(228)은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의 전면 중앙에 후방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장착홈(228)의 내부에는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장착홈(228)의 내부에는 제1탄성부재(2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30)는 일반적인 스프링(Spring)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제1전후이동안내축(224)의 후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장착홈(228)의 후방측 내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30)는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를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가 박피대상물(P)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의 후면에는 제1대상물고정핀(232)이 설치된다. 상기 제1대상물고정핀(232)은 핀(Pin)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대상물고정핀(232)은 박피대상물(P)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가 박피대상물(P)에 밀착되는 경우 박피대상물(P)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전후이동몸체(226)에 박피대상물(P)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 후방부에는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이 설치된다. 상기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의 단면은 "┘"자 형상의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도 12 참조) 상기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은 상기 전후이동블럭(204)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후안내레일(202)을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의 상측 끝단에는 후술할 제2위치고정부재(243)가 설치되어, 상기 제2위치고정부재(243)의 전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의 상단에는 제2위치고정부재(243)가 설치된다. 상기 제2위치고정부재(243)는, 제2위치고정바(244), 제2전후이동안내축(246), 제2전후이동몸체(248), 제2대상물고정핀(254), 대상물회전부재(2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전후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의 상단에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는 박피대상물(P)의 후면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위치고정브라켓(242)의 전후 이동에 따라 박피대상물(P)의 후면 중앙측으로 이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의 전면 중앙에는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은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의 전면 중앙에 박피대상물(P)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의 외부면에는 후술할 제2전후이동몸체(248)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의 둘레면에는 제2전후이동몸체(248)가 설치된다.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는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의 외부면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에 가압되는 경우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가압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의 후면 중앙에는 제2장착홈(25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홈(250)은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의 후면 중앙에 전방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2장착홈(25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장착홈(250)의 내부에는 제2탄성부재(252)가 설치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252)는 일반적인 스프링(Spring)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252)의 일단은 상기 제2전후이동안내축(246)의 전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2장착홈(250)의 전방측 내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252)는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를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가 박피대상물(P)에 밀착되는 경우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의 후면에는 제2대상물고정핀(254)이 설치된다. 상기 제2대상물고정핀(254)은 핀(Pin)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대상물고정핀(254)은 박피대상물(P)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가 박피대상물(P)에 밀착되는 경우 박피대상물(P)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전후이동몸체(248)에 박피대상물(P)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의 후면에는 대상물회전부재(256)가 설치된다.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는 일반적인 모터(moto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는 모터 이외에도 회전실린더와 같이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를 회전시킬 수 다양한 장치 및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에 적용된 모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는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위치고정바(244)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전후이동몸체회전축(257)과 연결된다.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는 상기 제2위치고정부(240)가 박피대상물(P)의 후면 중앙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동작되어, 박피대상물(P)을 180도 만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는 후술할 박피제거부재(310)에 의해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 외피(껍질)가 제거된 후, 박피대상물(P)을 180도 회전시켜줌으로써, 외피(껍질)가 제거되지 않은 박피대상물(P)의 하부면을 박피제거부재(310)가 위치한 상부면 측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피제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피제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박피제거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칼날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지모듈의 설치위치에 따른 칼날부재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도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측에는 박피제거모듈(300)이 설치된다. 상기 박피제거모듈(300)은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박피제거부(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피제거부(310)는 고정블럭(312), 고정판(314), 칼날부재(3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블럭(312)은 단면이 "┛"자 또는 "┗"자 형상의 블럭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럭(312)은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후술할 고정판(314)의 양측 하단부를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측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도 16과 도 17 참조)
상기 고정블럭(312)의 상단에는 고정판(31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314)은 소정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져, 반원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314)은 내부에는 공기주입유로(미도시)가 형성되며, 양측 하단이 각각 상기 고정블럭(312)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314)은 서로 다른 고정블럭(312)의 상단에 양측 하단이 각각 고정되어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314)의 전면에는 후술할 복수개의 칼날부재(320)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판(314)의 전면에는 칼날부재(320)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부재(320)는 상기 고정판(314)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0도~180도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부재(320)의 설치간격은 전방측과 후방측에 배치되는 서로 다른 고정판(314)에 설치되는 칼날부재(320)의 설치간격과 다른 각도로 설치된다.
즉, 상기 칼날부재(320)의 박피제거 동작시 도 21과 같이 상기 칼날부재(320)가 전방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서로 다른 고정판(314)에 설치되는 상기 칼날부재(320)가 서로 충돌 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고정판(314)에 설치되는 상기 칼날부재는의 각기 다른 각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부재(320)는, 칼날지지블럭(322), 칼날회동바(328), 회동바작동부재(336), 칼날부(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지지블럭(322)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판(314)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칼날지지블럭(322)은 상기 고정판(314)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칼날회동바(328) 및 회동바작동부재(336) 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지지블럭(322)의 전면에는 실린더회동홀(324)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회동홀(324)은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회동홀(324)의 내부에는 회동바작동부재(33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날지지블럭(322)의 하단부에는 회동홈(326)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홈(326)은 상기 칼날지지블럭(322)의 하단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회동홈(326)의 내부에는 후술할 칼날회동바(328)의 끝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동홈(326)의 내부에는 칼날회동바(328)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회동바(328)는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상단부는 상기 회동홈(326)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할 칼날부(340)을 전방 상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하단에는 칼날고정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칼날고정부(330)는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하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하향절곡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날고정부(330)의 하부에는 후술할 칼날부(340)가 고정된다.
상기 칼날고정부(330)의 하부면에는 칼날수용홈(332)이 형성된다. 상기 칼날수용홈(332)은 상기 칼날고정부(330)의 하부면에 소정길이 만큼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칼날수용홈(332)의 내부에는 후술할 칼날고정몸체(342)가 장착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날수용홈(332)의 내측 상부면에는 복귀부재고정홈(334)이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재고정홈(334)은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칼날수용홈(332)의 내측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재고정홈(334)의 상기 칼날수용홈(332)의 내측 상부면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칼날복귀부재(348)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상부면에는 회동바작동부재(336)가 설치된다. 상기 회동바작동부재(336)는 일반적인 실린더(Cyclinder)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바작동부재(336)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회동홀(324)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상부면 전방 측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바작동부재(336)는 상기 칼날회동바(328)를 상부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하부에는 칼날부(340)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부(340)는, 칼날고정몸체(342), 칼날고정프레임(352), 칼날(3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고정몸체(34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도 20 참조) 상기 칼날고정몸체(342)는 상기 칼날회동바(328)의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칼날프레임(352)을 상기 칼날회동바(328)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의 상부면 중앙에는 칼날회동몸체(344)가 형성된다. 상기 칼날회동몸체(344)는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의 상부면 중앙에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칼날회동몸체(344)는 상기 칼날수용홈(332)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칼날고정몸체(342)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칼날회동몸체(344)의 내부에는 칼날회동축(346)이 설치된다. 상기 칼날회동축(346)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칼날회동몸체(344)에 관통 설치된다. 상기 칼날회동축(346)은 상기 칼날회동몸체(344)의 회전 동작시 회전중심축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회동축(346)의 외주면에는 칼날복귀부재(348)가 설치된다. 상기 칼날복귀부재(348)는 일반적인 토션스프링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칼날복귀부재(348)는 2개가 상기 칼날회동축(346)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복귀부재고정홈(334)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의 상부면 좌,우측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칼날복귀부재(348)는 상기 칼날회동축(346)을 기준으로 상기 칼날고정몸체(342)가 좌우로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의 하부면에는 프레임장착홈(350)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장착홈(350)은 상기 칼날고정몸체(342)의 하부면 중앙에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소정 깊이 만큼 상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장착홈(350)의 내부에는 후술할 칼날고정프레임(352)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장착홈(350)의 내부에는 칼날프레임(352)이 설치된다. 상기 칼날프레임(352)은 단면이 "┏┓"자 형상을 가지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프레임(352)의 상부면은 상기 프레임장착홈(35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칼날프레임(352)의 내부에는 칼날(354)이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날프레임(352)의 내부에는 칼날(354)이 설치된다. 상기 칼날(354)은 일반적인 필러칼날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칼날(354)은 상기 칼날프레임(352)에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의 외피(껍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22를 참조하여 상기 박피제거부(310)의 배치 및 칼날부재(320)의 설치위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면 방측에 설치되는 상기 박피제거모듈(300)은 복수개의 박피제거부(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피제거부(310)는 도 22와 같이 5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 상측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5개의 박피제거부(310)가 적용되었으나, 상기 박피제거모듈(300)의 설치 갯수는 박피대상물(P)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증가 및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각 박피제거부(310)에 설치되는 칼날부재(320)의 갯수 및 설치각도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인접한 박피제거부(310)의 칼날부재(320) 설치각도는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동모듈(200)에 의해 박피대상물(P)이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박피대상물(P)의 외피(껍질)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서로 다른 고정판(314)에 설치되는 칼날부재(320)가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는 경우 칼날부재(320)의 상,하 회동에 따라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탈피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작업자가 공급모듈(110)에 박피대상물(구근류 채소 등)을 자동 또는 수동방식으로 공급한다. 상기 공급모듈(110)의 안착대(114) 상부면에 박피대상물(P)이 안착된다.
상기 안착대(114)의 상부면에 박피대상물(P)이 안착되면, 안착대회동부재(118)가 작동되어 상기 안착대(114)를 회동시키고, 이로 인해 박피대상물(P)은 구름 이동되어 거치플레이트(120)의 거치홈(122)에 삽입된다.
상기 거치홈(122)에 박피대상물(P)이 안착된 상태에서 파지모듈(130)이 작동된다.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상,하측에는 각각 가압롤러(160)가 배치되며, 승하강부재(148)의 작동에 따라 제1,2레일바(140,146)가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상측 또는 하측 이동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160)가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박피대상물(P)은 상승 이동되어 상기 가압롤러(160)에 파지된 상태에서 박피중심축(C)에 위치된다.
상기 파지모듈(130)에 의해 박피대상물(P)이 박피중심축(C)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모듈(200)이 작동된다.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후측에는 각각 제1위치고정부(210) 및 제2위치고정부(240)가 설치되며, 고정부이동부재(216)의 작동에 따라 제1위치고정부(210)가 박피대상물(P)의 전면 중앙부에 밀착된다.
상기 박피대상물(P)의 전면 중앙에 제1위치고정부(210)의 밀착이 완료되면, 고정부이동레일(212)을 따라 제2위치고정부(24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박피대상물(P)의 후면 중앙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2위치고정부(210,240)의 일면에는 제1,2대상물고정핀(232,254)이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의 양면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박피대상물(P)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위치고정부(210,240)에 의해 박피대상물(P)의 고정이 완료되면, 전후이동부재(206)가 작동되어 전후안내레일(202)을 따라 박피대상물(P)이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모듈(200)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박피대상물(P)의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 상측에 위치한 박피제거모듈(300)에 의해 상부면에 위치한 외피(껍질)이 제거된다.
상기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에 위치한 외피(껍질)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모듈(200)은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이동모듈(200)의 후방 이동시에는 칼날부재(320)의 회동바작동부재(336)가 작동되어 칼날부재(320)가 전방 상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칼날부재(320)에 상기 박피대상물(P)이 충돌하지 않고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모듈(200)은 원위치로 복귀한 후 상기 제2위치고정부(240)의 대상물회전부재(256)가 작동되어, 박피대상물(P)이 180도 회전된다. 상기 대상물회전부재(256)에 의해 박피대상물(P)이 180도 회전됨에 따라 외피(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박피대상물(P)의 하부면이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박피대상물(P)의 회전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모듈(200)은 전방으로 이동되고, 박피제거모듈(300)에 의해 한번 더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 외피(껍질)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박피대상물(P)의 외피(껍질) 제거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제1,2위치고정부(210,240)가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박피대상물(P)의 고정을 해제하고, 박피대상물(P)의 하부방향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지지테이블 110. 공급모듈
112. 차단플레이트 114. 안착대
120. 거치플레이트 130. 파지모듈
132. 지지플레이트 154. 파지부재
160. 가압롤러 200. 이동모듈
210. 제1위치고정부 220. 제1위치고정부재
240. 제2위치고정부 243. 제2위치고정부재
300. 박피제거모듈 310. 박피제거부
320. 칼날부재

Claims (5)

  1.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는 지지테이블(100)과;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안착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박피대상물(P)을 공급하는 공급모듈(110)과;
    상기 공급모듈(110)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박피대상물(P)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각각 파지함과 동시에 박피대상물(P)을 칼날의 박피중심축(C)에 위치시키는 파지모듈(130)과;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전,후면 중심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박피대상물(P)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200)과;
    상기 파지모듈(13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칼날부재(320)가 박피대상물(P)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동모듈(200)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되는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박피대상물(P)의 외피를 제거하는 박피제거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모듈(110)의 일측에는,
    반원 형상 판재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박피대상물(P)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거치홈(122)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플레이트(12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이송홀(124)이 더 구비되며;
    상기 파지모듈(130)은,
    상기 거치플레이트(120)에 안착된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파지모듈(130)은,
    사각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테이블(100)의 내측면 상단에 상기 공급모듈(110)측으로 돌출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3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1레일홈(138)이 형성되는 제1레일안내블럭(136)과;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1레일홈(138)과 대응되는 레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레일홈(138)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제1레일바(14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측면에 끝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제2레일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안내블럭(136)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레일안내블럭(142)과;
    바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제2레일홈(144)과 대응되는 레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레일홈(144)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제2레일바(146)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2)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레일바(140)와 연결되어 상기 제1레일바(14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148)와;
    상기 제1레일바(140)와 상기 제2레일바(14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어와 치차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바(140)의 승,하강 동작시 상기 제2레일바(146)를 승,하강 동작시키는 피니언기어(152)와;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끝단에 상기 거치플레이트(120)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2개의 가압롤러(16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의 상부 또는 하부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재(154);를 포함하는 탈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110)은,
    소정두께를 가지며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박피대상물(P)의 전,후측에 각각 수직하게 설치되어 박피대상물(P)의 전,후방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플레이트(112)와;
    단면이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1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안착되는 박피대상물(P)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안착대(114)와;
    상기 안착대(114)의 전,후측에 각각 전방 또는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11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안착대회전축(116)과;
    상기 안착대(114)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회전축(116)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대(114)를 회동시키는 안착대회동부재(118);를 포함하는 탈피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154)는,
    상기 제1,2레일바(140,146)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거치플레이트(120)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승강블럭(156)과;
    "V"자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블럭(156)의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롤러지지블럭(158)과;
    휠(Wheel)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지지블럭(158)에 2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박피대상물(P)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가압롤러(160);를 포함하는 탈피장치.
KR1020200023542A 2020-02-26 2020-02-26 탈피장치 KR10218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42A KR102180256B1 (ko) 2020-02-26 2020-02-26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42A KR102180256B1 (ko) 2020-02-26 2020-02-26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256B1 true KR102180256B1 (ko) 2020-11-18

Family

ID=7369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42A KR102180256B1 (ko) 2020-02-26 2020-02-26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568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20230073000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068A (ko)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
KR20120047727A (ko) 2010-11-04 2012-05-14 (주)명성 장방형 야채 박피기
KR200472759Y1 (ko) * 2013-12-10 2014-05-21 이수춘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1911941B1 (ko)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근채류 박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068A (ko) * 2010-09-03 2012-03-14 주식회사 삼원테크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
KR20120047727A (ko) 2010-11-04 2012-05-14 (주)명성 장방형 야채 박피기
KR200472759Y1 (ko) * 2013-12-10 2014-05-21 이수춘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1911941B1 (ko) * 2017-05-15 2018-10-25 정연선 근채류 박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568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102648085B1 (ko) 2021-11-05 2024-03-1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20230073000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KR102648086B1 (ko) * 2021-11-18 2024-03-15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탈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256B1 (ko) 탈피장치
CN204763290U (zh) 一种全自动水果去皮机
CN107536072A (zh) 蔬菜清洗切断一体化设备及蔬菜加工方法
CN111587669B (zh) 一种中药材自动采集方法
KR20120024068A (ko) 무 등 구근류 자동 박피 장치
CN216568004U (zh) 一种猪蹄分段装置
KR101116128B1 (ko) 감 탈피장치
CN101012626A (zh) 一种***钢丝绳局部去皮的剥皮机
CN109556908B (zh) 一种水果农药检测用取样削皮装置
CN111300571B (zh) 木制家具原料联动去皮装置
KR102648086B1 (ko) 탈피장치
KR102648085B1 (ko) 탈피장치
CN216397786U (zh) 一种防卡死的矫直机夹持装置
CN210470940U (zh) 水果削皮机
CN109717234A (zh) 一种从禽类身上取肉的设备及其工艺
CN105002378B (zh) 一种海绵钛坨的取出与爬壁钛清理装置
KR100650038B1 (ko) 옥수수 표엽 제거방법 및 장치
CN111453351B (zh) 一种物品传送组件及加工装置
CN109907336B (zh) 一种基于垂直缠绕的萝卜去皮设备
CN110558053B (zh) 葵花籽自转式脱离器
CA2278225A1 (fr) Machine pour la fabrication automatique de brochettes de viande ou de legumes enfilees sur des piques en bois notamment
CN218043660U (zh) 一种罐头生产用去皮去核一体装置
CN112975372A (zh) 一种拨罐器抽***自动生产线
CN219785727U (zh) 用于清理电机机座的装置
CN111035024A (zh) 一种椰子去椰棕椰壳削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