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653B1 -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653B1
KR102170653B1 KR1020167010398A KR20167010398A KR102170653B1 KR 102170653 B1 KR102170653 B1 KR 102170653B1 KR 1020167010398 A KR1020167010398 A KR 1020167010398A KR 20167010398 A KR20167010398 A KR 20167010398A KR 102170653 B1 KR102170653 B1 KR 10217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protective film
reinforcing portion
unit subst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065A (ko
Inventor
신이치로 다카하시
아키요시 우치다
신이치 사카노
미노루 나카니시
신스케 나카자와
사토시 에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28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 C03C17/3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organic material with synthetic or natural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47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decorations or patterns for aesthetic reas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7Cutting armoured, multi-layered, coated or laminated, glass products
    • C03B33/072Armoured glass, i.e. comprising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5/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7/00Coatings on glass
    • C03C2217/70Properties of coatings
    • C03C2217/78Coatings specially designed to be durable, e.g. scratch-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6Underside coating of a glass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로 형성된 측면이나 관통 구멍을 구비한 커버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커버 유리는, 유리를 포함하는 단위 기재와,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COVER GLASS PRODUCTION METHOD, COVER GLASS AND DISPLAY DEVICE FITTED WITH COVER GLAS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관찰자측에 형성되는 커버 유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유리가 형성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의 관찰자측에,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유리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터치 패널 기능이 표시 장치에 탑재될 경우, 커버 유리는, 표시 장치나, 표시 장치의 관찰자측에 형성되는 터치 패널 센서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커버 유리와 터치 패널 센서가 일체로 구성된 것도 알려져 있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현저하다.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 환경에 있어서 발생하는 낙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 유리에는, 빈번히 발생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 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압축 응력이 발생한 압축 응력층이 그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강화 유리를 사용하여 커버 유리를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대형 강화 유리를 분할하여 개편화(個片化)함으로써, 개개의 표시 장치의 치수에 대응한 치수를 갖는 커버 유리가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강화 유리의 압축 응력층은, 화학 처리, 또는, 열처리에 의해 유리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대형 강화 유리를 분할한 경우, 얻어지는 커버 유리의 측면에는, 인장 응력이 발생한 인장 응력층이 노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는, 측면에 있어서의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 커버 유리를 제조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한편, 커버 유리의 측면 상에 수지를 형성함으로써 커버 유리의 측면 강도를 높인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커버 유리의 측면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의 외주면을, 플라스틱 막에 의해 테두리를 두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테두리를 두르는 방법으로서는, 사출 성형법, 디스펜싱법, 분무 도장법이나 롤러 도장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889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11688호 공보
관찰자측에서 표시 장치를 본 경우,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에리어와, 그 주변의 비액티브 에리어(소위 프레임 영역)로 구획된다. 최근, 표시 장치의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프레임 영역의 색으로서, 종래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었던 흑색뿐만 아니라, 백색, 기타 다양한 색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은 일반적으로, 커버 유리의 표시 장치측의 면 위에 형성되는 장식부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장치에 대한 장식부의 가공 정밀도를 충분히 높이기 위해서는, 커버 유리의 외형 치수 정밀도, 즉 커버 유리 측면의 가공 정밀도를 충분히 높이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는, 방수 사양이나 의장성의 관점에서, 커버 유리와 표시 장치, 케이스와의 조립 시에도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공정의 용이함이나 수율을 높이는 데 있어서도, 커버 유리의 외형 치수 정밀도는 중요해진다.
한편,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제안되고 있는 방법에 있어서는, 커버 유리의 외주면에 테두리가 둘러지는 플라스틱 막의 피복 치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어렵다. 이로 인해, 커버 유리의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를 실현할 수 없고, 이 결과, 표시 장치의 의장성의 훼손이나, 표시 장치와의 조립 공정의 수율 저하를 생각할 수 있다.
게다가, 유리 단부가 노출된 커버 유리에 있어서는, 물리 연마 등에 의한 외형 치수의 조정이나, 의장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외주부의 곡면 가공 등, 커버 유리 외주부의 추가 가공은, 커버 유리의 현저한 강도 저하를 초래하는 점에서, 가공이 어렵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로 형성된 보강부를 구비한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인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유리 등을 포함하는 단위 기재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 상에 형성된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면 상에 형성된 제2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의 도포액을 경화시켜,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보강부를 형성하는 경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호막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보호막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은,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1면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1 보호막의 단부면의 위치와 일치하고,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2면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2 보호막의 단부면의 위치와 일치해도 된다. 또는,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1면의 단부가, 상기 제1 보호막의 단부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2면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2 보호막의 단부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적어도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1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2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응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장 응력층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장 응력층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보강부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인장 응력층이 상기 보강부에 의해 덮이도록 형성되므로, 커버 유리의 내충격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절단 공정에 선행하여 실시되는 보호막 형성 공정이며, 상기 기재의 제1면 상 및 제2면 상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의 구획에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절단 공정에 있어서는, 각 구획에 형성된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의 간극을 따라 상기 기재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위 적층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측 및 상기 제2면측으로부터,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을 레지스트로 하여 상기 기재를 습식 에칭함으로써 상기 기재를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측에, 장식부 또는 터치 패널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요소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요소부 형성 공정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소부 형성 공정은, 상기 보호막 형성 공정에 선행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커버 유리이며, 제1면, 상기 제1면의 반대측에 있는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유리 등을 포함하는 단위 기재와,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커버 유리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1면,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면 및,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의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이고,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과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2면과의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적어도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1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2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응력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장 응력층이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된 상기 보강부의 피복 치수의 최솟값이, 20㎛ 이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의 단부와 상기 제2면의 단부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에 비하여 상기 보강부의 상기 측면이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측면의 돌출량이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의 단부와 상기 제2면의 단부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에 비하여 상기 보강부의 상기 측면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측면의 오목부량이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에 교차함과 함께,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제1 측면과,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에 교차함과 함께,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측면에 합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측에는, 소정의 색을 나타내는 장식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장식부와 동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커버 유리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보강부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소정의 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측에, 터치 패널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평면에서 보아, 네 코너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 중 상기 단위 기재의 네 코너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단위 기재가 상기 보강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의 벽면 상에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수지 재료가,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유리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측면 중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 교차하는 부분 또는 상기 제2면과 교차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이, 둥근 면 또는 각면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타 커버 유리는,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인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유리를 포함하는 단위 기재와,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의 상기 수지 재료가,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커버 유리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배치된 커버 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유리가, 상기 기재된 커버 유리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로 형성된 측면을 구비한 커버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2는 도 1의 커버 유리에 형성된 터치 패널 센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커버 유리의, 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커버 유리의, 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커버 유리의 측면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6a는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단위 기재 및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의 (a), (b)는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단위 기재 및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c는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단위 기재 및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d의 (a), (b)는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단위 기재 및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e의 (a), (b)는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하여, 단위 기재 및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단위 적층체의 단위 기재의 측면에 수지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이 보강된 커버 유리를 얻기 위한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단위 적층체의 단위 기재의 측면에 수지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이 보강된 커버 유리를 얻기 위한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c는 단위 적층체의 단위 기재의 측면에 수지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이 보강된 커버 유리를 얻기 위한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d는 단위 적층체의 단위 기재의 측면에 수지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이 보강된 커버 유리를 얻기 위한 공정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위 적층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b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a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위 적층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b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a는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있어서, 보강부가 형성되기 전의 단위 기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b는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단위 적층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c는 본 실시 형태의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제5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제6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제7 변형예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a는 제1 보호막의 형상이, 단위 기재 상의 장식부 및 터치 패널 센서부의 형상을 추종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b의 (a)는 제1 보호막의 형상이, 단위 기재 상의 장식부 및 터치 패널 센서부의 형상을 추종할 수 없는 경우의 단위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b의 (b)는 도 15b의 (a)에 도시하는 단위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c의 (a)는 제1 보호막의 형상이, 단위 기재 상의 장식부 및 터치 패널 센서부의 형상을 추종할 수 없는 경우의 단위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c의 (b)는 도 15c의 (a)에 도시하는 단위 적층체로부터 얻어진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a는 보호막의 단부면에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도포액이 도포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b는 도 16a에 도시하는 도포액으로부터 형성된 보강부를 구비하는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보강부가 단위 기재의 네 코너에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보강부가 단위 기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단위 기재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벽면에 보강부가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관통 구멍의 벽면 a 상에 보강부(26)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보강부가 단위 기재를 완전히는 둘러싸지 않도록 형성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a는 가공된 보강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b는 가공된 보강부의 그 밖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a는 제1 보호막의 단부면이 제2 보호막의 단부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b는 도 23a에 도시하는 보호막을 레지스트로 하여 기재를 습식 에칭함으로써 얻어진 단위 기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c는 도 22b에 나타내는 단위 기재의 측면에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d는 도 23c에 도시하는 보강부의 측면을 가공함으로써 얻어진 커버 유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커버 유리의 굽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기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도시 및 이해 용이를 위한 편의상, 적절히 축척 및 종횡의 치수비 등을, 실물의 그것들로부터 변경하여 과장하고 있다.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는, 표시 장치(15)와 커버 유리(20)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표시 장치(15)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5)는, 표시면(16a)을 가진 표시 패널(16)과, 표시 패널(16)에 접속된 표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표시 패널(16)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티브 에리어 A1과, 액티브 에리어 A1을 둘러싸도록 하여 액티브 에리어 A1의 외측에 배치된 비액티브 에리어(프레임 영역이라고도 불림) A2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는, 표시되어야 할 영상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고,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16)을 구동한다. 표시 패널(16)은, 표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상을 표시면(16a)에 표시한다. 즉, 표시 장치(15)는, 문자나 도면 등의 정보를 영상으로서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유리(20)는, 표시 장치(15)의 관찰자측에 있어서 표시 패널(16)의 표시면(16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유리(20)는, 예를 들어, 표시 장치(15)의 표시면(16a) 상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커버 유리(20)의 표시 장치측의 면(제1면)이 부호(20a)로 표시되고, 관찰자측의 면(제2면)이 부호(20b)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유리(20)는, 표시 장치(15)를 보호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유리(20)의 표시 장치(15)측의 제1면(20a)에는, 외부 도체의 접근이나 접촉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센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의 비액티브 에리어 Aa2에는, 원하는 색을 나타내기 위한 장식부(60)가 더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센서)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에 형성된 터치 패널 센서부(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커버 유리(20)를 제1면(20a)측에서 본 경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장식부(60)가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터치 패널 센서부(40)는, 투영형 정전 용량 결합 방식으로서 구성되고, 터치 패널 센서부(40)에 대한 외부 도체(예를 들어, 인간의 손가락)의 접촉 위치(터치 위치라고도 칭함)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검출 감도가 우수할 경우에는, 외부 도체가 터치 패널 센서부(40)에 접근하기만 하면 당해 외부 도체가 터치 패널 장치의 어느 영역에 접근하고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하는 「접촉 위치」란, 실제로는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접근 위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다. 또한, 「용량 결합」 방식은, 터치 패널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정전 용량」 방식이나 「정전 용량 결합」 방식 등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본건에서는, 이들 「정전 용량」 방식이나 「정전 용량 결합」 방식 등과 동의의 용어로서 취급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은, 표시 패널(16)의 액티브 에리어 A1 및 비액티브 에리어 A2에 대응하고,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영역에 대응하는 액티브 에리어 Aa1과, 액티브 에리어 Aa1의 주변에 위치하는 비액티브 에리어 Aa2로 구획된다. 또한 터치 패널 센서부(40)는, 액티브 에리어 Aa1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 전극(41, 42)과, 대응하는 센서 전극(41, 42)에 접속됨과 함께, 커버 유리(20)의 비액티브 에리어 Aa2에 배치된 복수의 취출 배선(43)과, 대응하는 취출 배선(43)에 접속된 복수의 단자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전극(41, 4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방향 D1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1 센서 전극(41)과, 제1 방향 D1에 직교하는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제2 센서 전극(42)을 갖고 있다. 제1 센서 전극(41)은, 제1 방향 D1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라인부(41a)와, 제1 라인부(41a)로부터 팽출된 제1 팽출부(41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팽출부(41b)란, 커버 유리(20)의 표면을 따라 제1 라인부(41a)로부터 부풀어 올라온 부분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제2 센서 전극(42)은, 제2 방향 D2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라인부(42a)와, 제2 라인부(42a)로부터 팽출된 제2 팽출부(42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취출 배선(43)은, 대응하는 센서 전극(41, 42)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단자부(44)까지 전달하기 위해 비액티브 에리어 Aa2에 형성된 것이다. 취출 배선(43)에 의해 단자부(44)까지 전달된 신호는, 단자부(44)에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하여 검출 제어부에 전달된다.
(커버 유리, 터치 패널 센서부 및 장식부의 층 구성)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커버 유리(20) 및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에 형성된 터치 패널 센서부(40) 및 장식부(60)의 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에 도시하는 커버 유리(20)의 선 III 및 선 IV을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커버 유리(20)의 액티브 에리어 Aa1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의 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제1 라인부(41a), 제1 팽출부(41b) 및 제2 팽출부(42b)는,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산화 인듐 주석(ITO) 등의 투명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층(51)을 패터닝함으로써, 제1 라인부(41a), 제1 팽출부(41b) 및 제2 팽출부(42b)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라인부(41a) 및 제2 라인부(42a)는, 커버 유리(20)의 법선 방향에서 본 경우에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라인부(41a)와 제2 라인부(42a)의 사이에 절연층(47)을 개재시킴으로써, 제1 라인부(41a)와 제2 라인부(42a)의 사이가 도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절연층(47)은, 제1 라인부(41a)와 제2 라인부(42a)의 사이뿐만 아니라, 제1 팽출부(41b) 상이나 제2 팽출부(42b) 상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라인부(42a)가 도전성을 갖는 한에 있어서, 제2 라인부(42a)를 구성하는 재료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라인부(42a)는, 제1 라인부(41a), 제1 팽출부(41b) 및 제2 팽출부(42b)와 마찬가지로 산화 인듐 주석(ITO) 등의 투명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은 합금이나 구리 등의 불투과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라인부(42a)가 취출 배선(43) 및 단자부(44)에도 포함되는 금속층(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으로 커버 유리(20)의 비액티브 에리어 Aa2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의 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액티브 에리어 Aa2에는 장식부(60)가, 상술한 취출 배선(43)보다도 관찰자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장식부(60)가 관찰자측으로부터 커버 유리(20)를 통하여 시인되게 된다. 즉,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비액티브 에리어 Aa2가 보이는 방식은, 장식부(60) 및 그 주변의 구성 요소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장식부(60)의 색은,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에 대하여 요구되는 의장성에 따라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장식부(60)의 색의 예로서, 흑색, 백색, 물색, 분홍색, 녹색 등을 들 수 있다. 장식부(60)를 구성하는 재료는, 선택된 색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예를 들어 백색이 요구되는 경우, 장식부(60)는, 산화 티타늄 등의 착색 안료가 분산된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커버 유리(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유리(20)는, 단위 기재(22) 및 보강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단위 기재(22)는, 표시 장치측의 제1면(22a), 제1면(22a)과 반대측의 제2면(22b) 및, 제1면(22a)과 제2면(22b)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22c)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보강부(26)는,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는,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30)를 분할하여 개편화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이 단위 기재(22)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22a) 및 제2면(22b)에 형성된 압축 응력층(24a)과, 제1면(22a)측의 압축 응력층(24a)과 제2면(22b)측의 압축 응력층(24a)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응력층(24b)을 포함하고 있다. 압축 응력층(24a)이란,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층을 말하며, 인장 응력층(24b)이란,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층을 말한다. 이들 압축 응력층(24a) 및 인장 응력층(24b)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물리 강화(풍냉 강화)나 화학 강화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화학 강화에 있어서는, 변형점 이하의 온도에서, 유리 중에 포함되는 알칼리 이온을, 보다 이온 반경이 큰 다른 알칼리 이온으로 교환한다는 화학적인 처리가 실시된다. 이에 의해, 이온이 교환된 표층 부근에 압축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압축 응력층(24a)을 형성함으로써, 제1면(22a) 또는 제2면(22b)에 어떠한 충격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제1면(22a) 또는 제2면(22b)에 크랙 등의 흠집이 형성된 경우에도, 흠집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은, 충격에 대한 높은 내성을 갖고 있다. 단위 기재(2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 응력층(24a)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100㎛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인장 응력층(24b)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즉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서는 인장 응력층(24b)이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은,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비교하여, 크랙 등의 손상에 대하여 약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보강부(26)는, 이러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수지가 사용된다. 이 경우, 경화 전의 성형 시에는 보강부(26)는 원하는 유동성을 갖고 있으며, 그리고 경화 후에는 보강부(26)는 원하는 경도나 강도를 갖게 된다. 이에 의해, 성형성과 경도나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보강부(26)가, 자외선 조사에 따라 경화하는 경화성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부(26)가,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수지로 구성되는 경우,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및 보강부(26)의 형상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보강부(26)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는,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과 동일 평면 상에서 제1면(22a)의 단부(22ae)의 근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1면(26a),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과 동일 평면 상에서 제2면(22b)의 단부(22be)의 근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면(26b) 및, 보강부(26)의 제1면(26a)과 제2면(26b)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26c)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이러한 제1면(26a) 및 제2면(26b)을 포함하는 보강부(26)에 의해 초래되는 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교를 위해, 상술한 특허문헌 2에 있어서 생각할 수 있는 과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허문헌 2와 같이 기재의 외주면에 테두리를 두름으로써 기재의 측면을 보강하는 보강부를 형성하는 경우, 보강부의 면과 기재의 면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보강부와 기재의 사이의 경계에 있어서, 광이 산란되는 일이나, 광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크게 변화하는 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보강부와 기재 사이의 경계가 관찰자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져 버린다. 즉, 커버 유리의 의장성이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유리의 보강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터치 패널의 조작감이 단차에 의해 저해되어 버린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과 보강부(26)의 제1면(26a)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2면(26b)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의 사이에 단차가 전혀 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 사이의 단차가 각각 10㎛ 이하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 사이의 경계가 관찰자에 의해 시인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보강부(26)에 의하면,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의 강도의 확보와, 커버 유리(20)의 의장성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조작감이 단차에 의해 저해되어 버리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응력층(24a)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100㎛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 사이의 단차가 10㎛ 이하인 경우, 즉 단차가 압축 응력층(24a)의 두께보다도 작은 경우,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있어서, 단위 기재(22)의 압축 응력층(24a)과 보강부(2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게 된다. 따라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노출되어 있는 인장 응력층(24b)을, 보강부(26)에 의해 간극 없이 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 유리(20)의 내충격성을 보다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은 각각,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동일 평면 상에서 적어도 300㎛에 걸쳐 단부(22ae) 및 단부(22be)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의 강도와, 커버 유리(20)의 의장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평면 상」이란, 상술한 단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 중 적어도 300㎛에 걸쳐 단부(22ae) 및 단부(22be)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과,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의 사이의, 단위 기재(2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이, 1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보강부(26)의 측면(26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가 부호(26ae)로 표시되어 있고, 보강부(26)의 제2면(26b)의 단부가 부호(26be)로 표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26c)은, 단부(26ae)와 단부(26be)의 사이를 거의 평탄하게 확장되는 평탄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면(26a)과 측면(26c)은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제2면(26b)과 측면(26c)은 거의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5의 좌우 방향(제1면(26a)이나 제2면(26b)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26ae)의 위치와 단부(26be)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은, 제1 측면(22d) 및 제2 측면(22e)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측면(22d)은,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의 단부(22ae)에 교차함과 함께,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측면(22e)은,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의 단부(22be)에 교차함과 함께,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그리고 제1 측면(22d)에 합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측면(22d)과 제2 측면(22e)의 합류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 경우, 보강부(26)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을 무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보강부(26)를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제1 측면(22d) 및 제2 측면(22e)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재(30)를 분할하여 단위 기재(22)를 얻을 때, 기재(30)의 제1면측 및 제2면측의 양쪽으로부터 기재(30)를 습식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커버 유리의 치수)
다음으로 커버 유리(20)의 치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보강부(26)의 피복 치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피복 치수란, 보강부(26)의 측면(26c)의 법선 방향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의 보강부(26)의 길이를 말한다. 보강부(26)의 측면(26c)의 법선 방향은, 도 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다.
도 5에 있어서, 보강부(26)의 피복 치수의 최솟값이 부호 Tmin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 측면(22d)은, 제2면(22b)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또한 단위 기재(22)의 제2 측면(22e)은, 제1면(22a)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26)의 측면(26c)은, 제1면(26a) 및 제2면(26b)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면(22d)과 제2 측면(22e)이 합류하는 위치에 있어서, 보강부(26)의 피복 치수가 최솟값 Tmin이 된다.
보강부(26)의 피복 치수의 최솟값 Tmin은, 커버 유리(20)의 측면(20c) 등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26)의 피복 치수의 최솟값 Tmin은, 20㎛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면(26a)의 위치 또는 제2면(26b)의 위치에 있어서, 보강부(26)의 피복 치수가 최댓값이 된다. 그런데 보강부(26)의 피복 치수의 최댓값이 너무 커지면, 커버 유리(20)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보강부(26)가 단위 기재(22)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유리(20)에 있어서의 유리의 비율이 감소하고, 수지의 비율이 증가하므로, 커버 유리(2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보강부(26)의 피복 치수의 최댓값은, 피복이 가장 얇은 부분(도 5에 있어서 부호 Tmin으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250㎛ 이하로 설정되고, 피복이 가장 두꺼운 부분(도 5에 있어서 부호 Tmax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500㎛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는, 도 5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피복이 가장 얇은 부분에 있어서의 보강부(26)의 피복 치수 Tmin을 100㎛로 설정하고, 피복이 가장 두꺼운 부분에 있어서의 보강부(26)의 피복 치수 Tmax를 300㎛로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커버 유리(20)의 두께(즉 단위 기재(22)의 두께 및 보강부(26)의 두께)는, 요구되는 강도나, 커버 유리(20)의 면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0.1㎜ 내지 1㎜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2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6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e의 (a), (b)를 참조하여,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30)를 사용하여, 단위 기재(22) 및 보호막(81, 82)을 갖는 단위 적층체(35)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a, 도 6b의 (a), 도 6c, 도 6d의 (a) 및 도 6e의 (a)는, 본 공정에 있어서의 기재(3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e의 (b)는, 도 6e의 (a)에 도시하는 단위 적층체(35)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b의 (b) 및 도 6d의 (b)는, 본 공정에 있어서의 기재(3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형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30)를 준비한다. 기재(30)는, 제1면(30a), 제1면(30a)의 반대측에 있는 제2면(30b) 및, 제1면(30a)와 제2면(30b)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30c)을 포함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30)의 제1면(30a), 제2면(30b) 및 측면(30c)에는 압축 응력층(24a)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압축 응력층(24a)의 내측에는 인장 응력층(24b)이 존재하고 있다. 이렇게 기재(30)의 표면은 모두 압축 응력층(24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b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30)의 제1면(30a) 상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의 구획에 장식부(60) 및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형성한다(요소부 형성 공정). 예를 들어 도 6b의 (b)에 있어서는, 기재(30)의 제1면(30a)을 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2행으로 구획하고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3열로 구획함으로써 얻어지는 6구획의 각각에, 장식부(60) 및 터치 패널 센서부(40)가 형성된다. 또한 기재(30)의 구획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면(30a)측에 장식부(60) 및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이 적절히 사용되고,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래피법이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터치 패널 센서부(40) 및 장식부(60)를 요소부(70)라 총칭하기도 한다.
그 후, 기재(30)의 제1면(30a) 상 및 제2면(30b) 상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의 구획에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 공정을 실시한다. 먼저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30)의 제1면(30a) 상에, 복수의 구획에 각각 형성된 요소부(70)를 연속적으로 덮는 제1 보호막(81)을 형성한다. 또한 기재(30)의 제2면(30b) 상에 제2 보호막(82)을 형성한다. 도 6c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은 각각, 기재(30)의 제1면(30a) 및 제2면(30b)의 전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81, 82)은, 불산 등을 사용한 후술하는 습식 에칭에 의해 기재(30)를 분할할 때 요소부(70)를 보호하는 레지스트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기재(30)를 분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칭액에 대한 내성을 갖는 한에 있어서, 보호막(81, 82)을 구성하는 재료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보호막(81, 8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50 내지 1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이나 비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20㎛ 정도의 두께를 갖는 점착층을 개재하여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이나 비연신 폴리프로필렌의 시트를 기재(30)의 제1면(30a) 상 및 제2면(30b) 상에 부착함으로써, 보호막(81, 82)이 구성된다.
그 후, 도 6d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30a) 및 제2면(30b)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던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제1면(30a) 및 제2면(30b)의 구획마다 분단한다. 이에 의해, 각 요소부(70)를 덮는 제1 보호막(81) 및 그것에 대응하는 제2 보호막(82)에, 각 구획의 경계를 따른 간극이 형성된다.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분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의 (b)에 도시하는 제1 보호막(81)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제1 보호막(81)의 불필요 부분(간극이 되는 부분)을 제거해도 된다. 제2면(30b)측에 있어서도, 제1 보호막(81)용 금형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금형을 사용함으로써, 제2 보호막(82)의 불필요 부분(간극이 되는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여,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의 불필요 부분을 제거해도 된다.
그 후, 도 6e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재(30)의 각 구획에 형성된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의 간극을 따라 기재(30)를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재(30)의 제1면(30a)측 및 제2면(30b)측으로부터,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레지스트로 하여 기재(30)를 습식 에칭함으로써, 기재(30)를 절단한다. 에칭액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불산 등이 사용된다. 이에 의해, 도 6e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를 포함하는 단위 기재(22)와,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측에 형성된 요소부(70)와,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상에 형성되고, 요소부(70)를 덮는 제1 보호막(81)과,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 상에 형성된 제2 보호막(82)을 갖는 단위 적층체(35)를 얻을 수 있다.
도 6e의 (b)는 도 6e의 (a)에 도시하는 단위 적층체(35)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e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은,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보호막(82)은,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위 기재(22)와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과의 사이의 이러한 관계는, 에칭액을 사용한 상술한 절단 공정 시에,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 양쪽으로부터의 에칭에 의해 단위 기재(22)가 관통될 정도의 시간에 걸쳐 에칭 공정을 계속함으로써 실현된다. 또한 에칭 공정에 있어서는 통상,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중 제1면(22a) 및 제2면(22b)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깊이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어떤 경우든 등방적으로 에칭이 진행된다. 이 때문에 도 6e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중 제1면(22a) 및 제2면(22b) 근방에 있어서는, 제1면(22a)과 제2면(22b) 사이의 중간 부분에 비하여, 에칭이 깊게 진행된다. 이 결과, 단부(22ae)에 교차함과 함께 제2면(22b)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제1 측면(22d)과, 단부(22be)에 교차함과 함께 제1면(22a)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제2 측면(22e)이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단위 적층체(35)의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보강부(수지 등)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이 보강된 커버 유리(20)를 얻기 위한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수지 등의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27)을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도포하는 도포 공정을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아크릴계 수지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도포액이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포 공정에 있어서, 도포액(27)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충전된다. 또한 도포액(27)은,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상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 상으로도 넘쳐 나올 정도로 도포되어도 된다.
이어서,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상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 상으로 넘쳐 나온 도포액(27)을, 스퀴지 등을 사용하여 긁어낸다. 이에 의해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포액(27)의 표면이,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과 일치하게 된다. 즉, 도포액(27)의 제1 보호막(81)측의 액면 단부의 위치가,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의 위치와 일치하고, 도포액(27)의 제2 보호막(82)측의 액면 단부의 위치가,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의 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그 후,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도포액(27)을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도포액(27)에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도포액(27)을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보강부(26)가 형성된다.
이어서,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상의 제1 보호막(81) 및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 상의 제2 보호막(82)을 제거한다. 이에 의해,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보강부(26)를 구비한 커버 유리(20)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측, 또는 보강부(26)의 제1면(26a)측이며 장식부(60)의 외측인 위치에 추가 장식층(62)을 형성해도 된다. 추가 장식층(62)은 장식부(60)와 동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추가 장식층(62)을 더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나타낼 수 있는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범위를 보다 외측으로 확장하여, 외주부로부터의 광 누설의 방지 등의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장식층(62)은,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보강부(26)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보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전해지는 힘이, 보강부(26)에 의해 완화되고,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크랙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령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압축 응력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커버 유리(20)의 내충격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인장 응력층(24b)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노출되어 있는 인장 응력층(24b)을 보강부(26)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커버 유리(20)의 내충격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강부(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제1 보호막(81) 및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제2 보호막(82)에 의해 위치 결정된 공간 내에 형성된 것이다. 이 때문에 도 7c 및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과 보강부(26)의 제1면(26a)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2면(26b)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의 사이에 단차가 전혀 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 사이의 경계가 관찰자에 의해 시인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보강부(26)에 의하면,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의 강도의 확보와, 커버 유리(20)의 의장성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조작감이 단차에 의해 저해되어 버리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강부(26)에 있어서는 상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상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 상으로 넘쳐 나온 도포액(27)을, 스퀴지 등을 사용하여 긁어냄으로써, 보강부(26)의 측면(26c)이 정면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포액(27)을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보강부(26)에 있어서, 그 제1면(26a)의 단부(26ae)의 위치는,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의 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보강부(26)의 제2면(26b)의 단부(26be)의 위치는,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의 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26ae)의 위치 및 제2면(26b)의 단부(26be)의 위치를, 보호막(81, 82)의 단부면(81c, 82c)의 위치에 기초하여 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부(26)는, 소정의 유동성을 갖는 도포액(27)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가령 보호막(81, 82)과 같은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도포액(27)을 도포하는 경우, 도포액(27)의 두께나 형상 등의 치수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보호막(81, 82)의 단부면(81c, 8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이나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에 의해 고정밀도로 그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포액(27)의 두께나 형상 등의 치수 정밀도로서, 금형이나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에 있어서의 정밀도에 준하는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강부(26)의 단부(26ae, 26be)의 위치, 즉 커버 유리(20)의 단부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 유리(20)와 표시 장치(15), 케이스와의 조립 시에, 공정의 용이함이나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커버 유리(20)에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표시 장치(15)에 대한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가공 정밀도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10)의 높은 의장성이나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26)의 측면(26c)이, 단부(26ae)와 단부(26be)의 사이를 거의 평탄하게 확장되는 평탄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보강부(26)의 단부(26ae, 26be)의 위치뿐만 아니라 보강부(26)의 측면(26c) 전역의 위치도, 보호막(81, 82)의 단부면(81c, 82c)의 위치에 따라서 정해지게 된다. 즉, 커버 유리(20)의 단부뿐만 아니라 커버 유리(20)의 측면(20c) 전역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이, 수지를 포함하는 보강부(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이 유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의 에지부에 대해서, 모따기 등에 의한 열상 방지 가공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커버 유리(20)의 보강부(26)는,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측에 형성되는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과 동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강부(26)는,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에 포함되어 있는 착색 안료와 동색의 착색 안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외측 테두리 주변의 영역이, 그것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의 영역과 동색의 영역으로서 시인되게 된다. 이로 인해,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이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외측 테두리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의장 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은, 수지 재료 및 안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커버 유리(20) 상(단위 기재(22) 상 또는 보강부(26)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외측 테두리 주변의 영역에 도포액을 정확하게 도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여기서, 보강부(26)가 상술한 바와 같이 착색되어 있는 경우,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을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외측 테두리 주변의 영역에까지 형성하는 일 없이,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외측 테두리 주변의 영역이 원하는 색으로 시인되게 된다. 이로 인해,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을 형성하는 공정을 보다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동색」이란, 육안으로는 색의 차이를 판별할 수 없을 정도로 2개의 색의 색도가 근접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색」이란, 2개의 색의 색차 ΔE*ab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이색」이란, 2개의 색의 색차 ΔE*ab가 10보다도 큰 것을 의미하고 있다. 여기서 색차 ΔE*ab란,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L*, a* 및 b*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이며, 육안으로 관찰된 경우의 색의 상이에 관한 지표가 되는 값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몇 가지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하여 사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작용 효과가 변형예에 있어서도 얻어지는 것이 명확한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제1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30)의 제1면(30a) 상에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 등의 요소부(70)를 형성하는 요소부 형성 공정이, 기재(30)에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 공정에 선행하여 실시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요소부(7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기재(30)에 대하여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8a는, 요소부(7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재(30)를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의 간극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단위 적층체(3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액(27)을 충전함으로써,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보강부(26)를 구비한 커버 유리(20)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 상에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형성해도 된다. 또는,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별개 형성하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조합함으로써 커버 유리(20)를 형성한 후에, 표시 장치(15)와 조합하거나 해도 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하는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보강부(26)는, 소정의 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강부(26)는, 소정의 색을 나타내는 착색 안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장식부(60)나 추가 장식층(62)을 형성하는 일 없이, 외주부로부터의 광 누설 방지 등의 의장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상술한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장식부(60) 및 터치 패널 센서부(40) 모두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기재(30)에 대하여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터치 패널 센서부(40)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장식부(60)는 형성되어 있는 상태의 기재(30)에 대하여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형성해도 된다. 도 9a는, 장식부(60)가 형성되어 있는 기재(30)를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의 간극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얻어지는 단위 적층체(35)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액(27)을 충전함으로써,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보강부(26)를 구비한 커버 유리(20)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 상에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형성해도 된다. 또는,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별개 형성하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조합함으로써 커버 유리(20)를 형성한 후에, 표시 장치(15)에 조합하거나 해도 된다.
(제3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재(30)에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 공정이, 기재(30)를 절단하여 단위 기재(22)를 얻는 절단 공정에 선행하여 실시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기재(30)를 절단하여 단위 기재(22)를 얻은 후에,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상 및 제2면(22b) 상에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단위 기재(22)로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뿐만 아니라 측면(22c)에도 압축 응력층(24a)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이 압축 응력층(24a)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전해지는 힘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보강부(26)를 형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측면(22c) 상에 보강부(26)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상 및 제2면(22b) 상에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형성한다.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은,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 후,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액(27)을 충전하고, 그리고 도포액(27)을 경화시킴으로써, 도 1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보강부(26)를 구비한 커버 유리(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제1 변형예나 제2 변형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커버 유리(20)를 얻은 후에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측에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형성해도 된다.
(제4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위 기재(22)의 제1 측면(22d)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의 단부(22ae)에 교차함과 함께,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고, 또한 단위 기재(22)의 제2 측면(22e)이,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의 단부(22be)에 교차함과 함께,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그리고 제1 측면(22d)에 합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즉,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이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 형상을 갖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은 내측을 향하여 오목해진 오목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이용하여 보강부(26)를 성형함으로써, 높은 외형 정밀도를 갖는 커버 유리(20)를 얻을 수 있다.
(제5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강부(26)의 측면(26c)이, 단부(26ae)와 단부(26be)의 사이를 거의 평탄하게 확장되는 평탄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26ae)와 제2면(26b)의 단부(26be)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 P에 비하여 보강부(26)의 측면(26c)이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보강부(26)의 측면(26c)이 평탄한 경우에 비하여, 보강부(26)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을 보다 두껍게 덮을 수 있으므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을 더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2에 있어서, 평면 P에 대한 측면(26c)의 돌출량이 부호 S1로 표시되어 있다. 돌출량 S1은, 커버 유리(20)에 대하여 요구되는 외형 정밀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돌출량 S1은 500㎛ 이하로 되어 있다.
(제6 변형예)
상술한 제5 변형예에 있어서는,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26ae)와 제2면(26b)의 단부(26be)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 P에 비하여 보강부(26)의 측면(26c)이 돌출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의 측면(26c)은 가상적인 평면 P에 비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즉,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26ae) 및 제2면(26b)의 단부(26be)가, 측면(26c)에 비하여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측면(26c)보다도 단부(26ae, 26be)에 가해지기 쉬워진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중 가장 파손되기 쉬운 부분은, 제1 측면(22d)과 제2 측면(22e)이 합류되어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습식 에칭에 의해 기재(30)를 절단할 경우, 제1 측면(22d)과 제2 측면(22e)의 합류 부분이 측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합류 부분이 인장 응력층(24b)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합류 부분은, 통상적으로는, 단부(26ae) 및 단부(26be)로부터 이격된 장소, 예를 들어 단부(26ae)와 단부(26be)의 중간의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단부(26ae, 26be)에 가해지기 쉬워지게 되므로, 단부(26ae, 26be)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상술한 합류 부분에 충격이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이 파손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평면 P에 대한 측면(26c)의 오목부량이 부호 S2로 표시되어 있다. 오목부량 S2는, 커버 유리(20)에 대하여 요구되는 외형 정밀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오목부량 S2는 200㎛ 이하로 되어 있다.
(제7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장식부(60)와 보강부(26)가 겹쳐져 있지 않은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장식부(60)와 보강부(26)가 겹쳐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 장식층(62)을 형성하는 일 없이, 비액티브 에리어 Aa2의 외측 테두리 주변의 영역이 원하는 색으로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가 장식층(62)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커버 유리(20)의 제작에 필요로 하는 공정수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보호막의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도 6e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의 외면(제1 보호막(81)의 면 중 단위 기재(22)측의 면의 반대측 면)이 평탄한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1 보호막(81)이 감광성 레지스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의 외면이, 단위 기재(22) 상의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형상을 추종한 형상을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장식부(60)의 두께가 큰 경우(예를 들어, 장식부(60)가 백색계의 것인 경우 등)나, 장식부(60)의 외측 단부부와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까지의 거리가 짧은 경우, 제1 보호막(81)의 형상이, 단위 기재(22) 상의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형상을 추종할 수 없고, 이 결과, 도 15b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과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15b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의 제1면(26a)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과 동일 평면 상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5b의 (a), (b)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도,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강부(26)의 단부(26ae)의 위치가,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의 위치와 일치한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보강부(26)의 단부(26ae)의 위치, 즉 커버 유리(20)의 단부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막(81)의 형상이, 단위 기재(22) 상의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형상을 추종할 수 없는 경우, 도 15c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식부(60)의 단부면(60c)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식부(60)를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보강부(26)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장식부(60)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충전된다. 이 때문에 도 15c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와 보강부(26)의 제1면(26a)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커버 유리(2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5c의 (a), (b)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보강부(26)의 단부(26ae)의 위치가, 장식부(60)의 단부면(60c)의 위치와 일치한다. 또한 장식부(60)는 일반적으로는,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보강부(26)의 두께나 형상 등의 치수 정밀도로서,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있어서의 정밀도에 준하는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보강부(26)의 단부(26ae)의 위치, 즉 커버 유리(20)의 단부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
(도포액의 구성의 변형예)
또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도포되는 도포액(27)이, 자외선 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수지 등의 경화성 재료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도포될 때에는 소정의 유동성을 갖지만, 그 후에 경화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보강부(26)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27)으로서 다양한 유동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포액(27)으로서, 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의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유동체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도포액(27)이 도포된 후, 도포액(27)이 냉각되어 고화함으로써, 도포액(27)이 단단해진다. 이에 의해,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보강부(26)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화」란, 가열 또는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수지 재료가 경화되는 현상뿐만 아니라, 냉각되어 고화됨으로써 수지 재료가 경화되는 현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자연 냉각에 의해 수지 재료가 냉각되어 고화되어도 되고, 또는, 강제 냉각에 의해 수지 재료가 냉각되어 고화되어도 된다. 또한 「고화」란, 물질이 기체 또는 액체 상태로부터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포액의 도포 범위의 변형예)
또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포액(27)의 표면이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과 일치하거나, 또는 단부면(81c, 82c)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게 될 때까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액(27)이 충전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포 공정에 있어서 도포액(27)은, 그 표면이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되어도 된다. 이 경우,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포액(27)으로부터 형성되는 보강부(26)의 단부(26ae) 및 단부(26be)는,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 및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보다도 내측(단위 기재(22)측)에 위치하게 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과 보강부(26)의 제1면(26a)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위 기재(22)의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2면(26b)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즉,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의 사이에 단차가 전혀 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 사이의 경계가 관찰자에 의해 시인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보강부(26)에 의하면,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의 강도의 확보와, 커버 유리(20)의 의장성의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조작감이 단차에 의해 저해되어 버리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보강부(26)를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27)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된다. 여기서, 제1 보호막(81)과 제2 보호막(82)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다. 따라서,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되는 도포액(27)의 표면의 위치, 나아가서는 보강부(26)의 측면(26c)이나 단부(26ae), 단부(26be)의 위치는, 도포액(27)의 도포량에 따라서 한가지로 정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되는 도포액(27)의 도포량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보강부(26)의 측면(26c)이나 단부(26ae, 26be)의 위치를 정밀하게 정할 수 있다. 즉,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로 형성된 측면(20c)을 구비한 커버 유리(20)를 제공할 수 있다.
(보강부의 배치에 관한 예)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보강부(26)가 형성되는 한에 있어서, 보강부(26)의 구체적인 배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보강부(26)의 배치 예에 대해서,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 내지 19에 있어서는, 커버 유리(20)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커버 유리(20)의 단위 기재(22)가 직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직사각 형상의 커버 유리(20)에 있어서, 충격이 가해지는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일반적으로 커버 유리(20)의 네 코너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를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중 단위 기재(22)의 네 코너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는, 단위 기재(22)의 네 코너가 예리하게 뾰족하게 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단위 기재(22)의 네 코너는 모따기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위 기재(22)의 네 코너는 각면이나 둥근 면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는, 평면에서 보아 단위 기재(22)가 보강부(26)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부터 커버 유리(20)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나 각 변형예에 있어서는, 단위 기재(22)의 측면 중 단위 기재(22)의 외형을 구성하는 측면(22c) 상에 보강부(26)가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에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관통 구멍(23)의 벽면(23a) 상에 보강부(26)를 형성해도 된다. 즉, 보강부(26)가 형성되는 단위 기재(22)의 측면은, 단위 기재(2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23)의 벽면(23a)이어도 된다. 관통 구멍(23)은 예를 들어, 카메라나 스피커 등을 표시 장치에 탑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관통 구멍(23)의 벽면(23a) 상에 보강부(26)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23)의 벽면(23a) 상뿐만 아니라, 단위 기재(22)의 외형을 구성하는 측면(22c) 상에도 보강부(26)가 형성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은, 단위 기재(22)의 관통 구멍(23)의 벽면(23a)보다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의 관통 구멍(23)의 벽면(23a),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액(27)을 도포함으로써,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은 치수 정밀도로 벽면(23a) 상에 보강부(26)를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를 구성하는 재료에 관한 제1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보강부(26)는, 커버 유리(20)가 대전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강부(26)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보강부(26)나 단위 기재(22)가 대전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정전 파괴가 발생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강부(26)에 첨가되는 도전성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입자를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보강부(26)의 표면 저항이 105 내지 108Ω/□의 범위 내가 되도록 첨가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변형예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단위 기재(22)가 보강부(26)에 의해 둘러싸일 경우, 보강부(26)가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있으면, 보강부(26)가 안테나로 되어 버리는 것이 우려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보강부(26)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단위 기재(22)를 완전히는 둘러싸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보강부(26)가 안테나로 되어 노이즈를 끌어오거나 노이즈원이 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보강부를 구성하는 재료에 관한 제2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보강부(26)는, 도포액(27)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포액(27)이 경화될 때 큰 수축이 발생하면, 보강부(26)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큰 수축이 발생하면, 보강부(26)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과의 사이의 밀착성도 저하되어 버린다. 또한, 단위 기재(22)의 두께 방향(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의 법선 방향)에 있어서 큰 수축이 발생하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과의 사이에 큰 단차가 발생하고, 이 결과,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 사이의 경계가 관찰자에 의해 시인되기 쉬워져 버린다. 따라서, 도포액(27)이나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경화될 때의 수축이 가능한 한 작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경화될 때 수축이 발생한 경우에도,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과의 사이의 단차를 각각 1 내지 10㎛의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응력층(24a)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10 내지 100㎛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경화될 때의 수축이 작은 재료를 선택하고, 이에 의해 단위 기재(22)와 보강부(26)의 단차를 각각 1 내지 10㎛의 범위 내로 억제하는 것은, 수축의 정도가 압축 응력층(24a)의 두께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유도한다. 이로 인해, 경화될 때 도포액(27)이나 보강부(26)가 수축했다고 하더라도,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에 인장 응력층(24b)이 노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건 발명자들이 예의 실험을 거듭한 결과, 도포액(27)이나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한 결과,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보강부(26)의 제1면(26a) 및 제2면(26b)과의 사이의 단차를 각각 1 내지 10㎛의 범위 내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5㎛로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에 사용한 단위 기재(22)의 두께는 700㎛였다.
상술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도포액(27)이나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요구되는, 수축률에 관한 조건에 대하여 검토한다. 여기에서는, 단위 기재(2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률(이하, 「두께 방향 선 수축률」이라고도 칭함)에 대하여 검토한다. 보강부(26)의 제1면(26a)측 및 제2면(26b)측의 양쪽에,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의 사이에 단차가 각각 10㎛ 발생한 경우, 도포액(27)이 경화될 때의 두께 방향 선 수축률은, (10㎛×2/700㎛)×100=2.86%가 된다. 또한, 단차가 5㎛인 경우, 도포액(27)이 경화될 때의 두께 방향 선 수축률은, (5㎛×2/700㎛)×100=1.43%가 된다. 이로부터,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1면(26a) 및 제2면(26b)을 갖는 보강부(26)를 얻기 위해서는, 도포액(27)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선 수축률이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험에 있어서, 도포액(27)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에 접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의 근방에 있어서는, 단위 기재(2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수축하려고 하는 도포액(27)에 대하여, 단위 기재(22)의 측면(22c)이 수축을 방해하는 방향에 있어서 힘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측면(22c)에 접하는 도포액(27)이 단위 기재(22)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수축할 때의 두께 방향 선 수축률은, 그 밖의 방향에 있어서의 선 수축률이나, 측면(22c)에 접하고 있지 않은 도포액(27)이 수축할 때의 선 수축률에 비하여 작아진다고 생각된다. 이 점을 고려하면, 단체(單體)에서의 선 수축률이 3% 이하인 재료를 사용하면,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 및 제2면(22b)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1면(26a) 및 제2면(26b)을 갖는 보강부(26)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선 수축률을 3승하면 체적 수축률이 얻어진다. 따라서, 「선 수축률이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라는 조건은, 「체적 수축률이 약 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5% 이하」라는 조건으로 환산된다.
이하, 상술한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는, 엔 화합물, 티올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는,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에 비하여, 경화 수축이 적기 때문에 기재와의 밀착성이 높고, 또한 산소에 기인하는 중합 저해를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엔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다관능성의 화합물이며, 비닐에테르류, 비닐에스테르류, 알릴에테르류, 알릴알코올 유도체, 알릴이소시아누르산 유도체, 스티렌류, 아크릴산 유도체, 메타크릴산 유도체,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엔 화합물의 일부를, 티올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높은 순서대로 배열하면, 비닐에테르류, 비닐에스테르류, 알릴에테르류, 알릴이소시아누르산 유도체, 아크릴산 유도체, 스티렌류의 순서가 된다.
티올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티올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머캅토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류, 지방족 폴리티올류 및 방향족 폴리티올류, 기타 폴리티올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머캅토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과의 에스테르류에 있어서의 머캅토카르복실산으로서는, 티오글리콜산, α-머캅토프로피온산 및 β-머캅토프로피온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엔 화합물 (a) 및 티올 화합물 (b)의 배합비는, 엔 화합물 (a)의 불포화 결합수와 티올 화합물 (b)의 티올기수와의 비가, 2:1 내지 1:2가 되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2를 초과하여 티올기가 다량이 되면, 미반응된 티올기가 경화 반응 후의 조성물 중에 다량으로 잔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2:1보다도 티올기가 적으면, 그 효과인 높은 밀착성이나, 산소에 기인하는 중합 저해를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적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의 경우에는, 아세토페논류(예를 들어, 상품명 이르가큐어 184(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로서 시판되고 있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 (c)는, 상기 엔 화합물 (a) 및 티올 화합물 (b)의 합계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질량%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질량% 미만이면, 광중합 반응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없다는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10질량%를 초과하여 첨가해도, 효과의 향상이 보이지 않는다.
그 밖에도, 경화될 때의 수축을 작게 하기 위해서, 도포액(27)이나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에 필러를 첨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필러는 수지 재료에 비하여 열에 기인하는 수축의 정도가 작으므로, 필러를 첨가함으로써, 도포액(27)이 경화하여 보강부(26)가 될 때의 전체적인 수축의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필러로서는, 카본 블랙의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필러를 첨가하면, 필러에 의해 광이 차단되는 것에 기인하여 광경화성 수지의 중합 반응이 방해되고, 이 때문에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고려하여, 도포액(27)이나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에 열경화성 수지를 더 첨가해 두어도 된다.
(보강부 측면의 형상에 관한 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도포액(27)을 경화시킴으로써 보강부(26)를 얻은 후, 보강부(26)의 측면(26c)을 가공함으로써, 측면(26c)의 형상을, 즉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의 형상을 정돈해도 된다. 보강부(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이 강화 유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을 가공하여 원하는 형상을 얻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가공에 기인하는 강도의 저하나 마이크로 크랙의 발생이 일어나기 어렵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연마기를 사용한 가공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의 제1면(26a)측의 단부(26ae) 및 제2면(26b)측의 단부(26be)의 양쪽을 깎아내도록, 보강부(26)의 측면(26c)을 가공해도 된다. 도 22a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보강부(26)의 측면(26c) 중 제1면(26a)과 교차하는 부분 및 제2면(26b)과 교차하는 부분의 양쪽이, 둥근 면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가공되지 않는 부분(이하, 미가공 부분(26d)이라고도 칭함)이 측면(22c)에 일부라도 남아있으면, 보호막(81, 82)을 이용한 상술한 도포 방법에 기초하여, 커버 유리(20)에 있어서의 높은 외형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22a에 있어서는, 측면(26c)이 둥근 면이 되도록 측면(26c)이 가공되는 예가 나타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도시는 하지 않지만, 측면(26c)이 각면으로 되도록 측면(26c)이 가공되어도 된다.
그 밖에도,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부(26)의 제1면(26a)측의 단부(26ae) 및 제2면(26b)측의 단부(26be) 중 한쪽, 예를 들어 제1면(26a)측의 단부(26ae)를 적어도 깍아내도록, 보강부(26)의 측면(26c)을 가공해도 된다. 도 22b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보강부(26)의 측면(26c) 중 제1면(26a)과 교차하는 부분이, 둥근 면으로 가공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면(26b)측의 단부(26be)는, 미가공 부분(26d)으로서 남아있어도 된다. 도 22b에 도시하는 예에 의하면, 보강부(26)의 제1면(26a)측을 주로 가공함으로써,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측이 광역에 걸쳐 둥그스름해져 있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보호막 단부면의 위치에 관한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 있어서,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의 위치와,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의 위치가, 기재(30) 또는 단위 기재(22)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와 일치하고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면(30a) 상에 형성되는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이, 제2면(30b) 상에 형성되는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결과, 제1 보호막(81) 사이의 간극이, 제2 보호막(82) 사이의 간극보다도 커진다.
도 23a에 도시하는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을 레지스트로 하여 기재(30)를 습식 에칭하는 경우, 보호막 사이의 간극이 제1면(30a)측 쪽이 크기 때문에, 제2면(30b)측에 비하여 제1면(30a)측에 있어서 에칭이 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이 결과, 습식 에칭에 의한 절단 공정에 의해 얻어진 단위 적층체(35)에 있어서는,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위 기재(22)의 제1면(22a)의 단부(22ae)가 제2면(22b)의 단부(22be)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면(22a)측의 제1 측면(22d)과 제2면(22b)측의 제2 측면(22e)이 합류하는 위치가, 제1면(22a)과 제2면(22b)의 중간 위치가 아니라 제2면(22b) 근방의 위치가 된다.
도 23c에는, 도 23b에 도시하는 단위 적층체(35)의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제1 보호막(81) 및 제2 보호막(8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액(27)을 도포하고, 도포액(27)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보강부(26)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26ae)가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과 일치하고, 보강부(26)의 제2면(26b)의 단부(26be)가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과 일치하도록, 보강부(26)가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보호막(81)의 단부면(81c)이 제2 보호막(82)의 단부면(82c)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보강부(26)의 단부(26ae)가 보강부(26)의 단부(26be)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23d에는, 도 23c에 도시하는 커버 유리(20)의 보강부(26)의 측면(26c)을 가공함으로써 얻어진 커버 유리(2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도 22b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강부(26)의 제1면(26a)측을 주로 가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보강부(26)의 제1면(26a)의 단부(26ae)가 제2면(26b)의 단부(26be)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면(26a)이 둥그스름해진 형상을 갖는 보강부(26)를 보다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절단 방법의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습식 에칭에 의해 기재(30)를 절단하는 방법을 나타냈지만, 절단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30)를 절단해도 된다. 또한, 커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기재(30)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그 후, 기재(30)에 타격력이나 굽힘 응력을 가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을 기점으로 하여 기재(30)를 절단해도 된다.
또한 기재(30)의 표면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 스크라이브 라인의 주위에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습식 에칭에 의해 기재(30)를 절단하는 경우, 그러한 마이크로 크랙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이 점에서 습식 에칭은 스크라이브 라인을 이용한 절단 방법에 비하여 우수하다. 또한, 스크라이브 라인의 주위에 발생한 마이크로 크랙을 제거하기 위해서, 스크라이브 라인을 기점으로 하여 기재(30)를 절단한 후에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및 그 주위를 습식 에칭해도 된다.
(기타 변형예)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점착층을 개재하여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이나 비연신 폴리프로필렌의 시트를 기재(30)에 부착함으로써, 보호막(81, 82)이 구성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보강부(26)를 생성할 때의 프레임이 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보호막(81, 82)의 형성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감광성 레지스트 필름을 기재(30)의 제1면(30a) 상 및 제2면(30b) 상에 각각 접합하고, 그 후에 감광성 레지스트 필름에, 포토마스크 등을 사용하여 원하는 형상을 따라서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고, 산성액 또는 알칼리성액, 또는 유기 용제 등의 현상액으로 패터닝함으로써, 기재(30)에 보호막(81, 8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보호막(81, 82)의 단부면(81c, 82c)의 외형 치수 정밀도는, 보호막(81, 82)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레지스트 필름의 해상 정밀도에 준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보강부(26)의 단부(26ae, 26be)의 위치, 즉 커버 유리(20)의 단부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센서 전극(41, 42)의 패턴으로서, 소위 다이아몬드 패턴이 채용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원하는 감도나 분해능으로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타입의 패턴을 포함하는 센서 전극(41, 42)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 센서부(40)의 센서 전극(41, 42)이, 투광성을 갖는 투명 도전성 재료가 사용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전극(41, 42)으로서, 은 합금이나 구리 등의 불 투과 도전성 재료를 그물눈 형상으로 배치한 금속 세선을 포함하는, 소위 메쉬 센서 타입인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초과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위 기재(22)와, 단위 기재(22)의 측면(22c) 상에 형성된 보강부(26)를 구비한 커버 유리(20)를 제작하였다. 단위 기재(22)로서는, 제1면(22a) 및 제2면(22b)에는 압축 응력층(24a)이 형성되어 있지만, 측면(22c)에는 압축 응력층(24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단위 기재(22)의 두께는 0.7㎜였다. 보강부(26)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계의 광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세키스이카가쿠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포토레크 A-704를 사용하였다. 제1면(26a) 상에 도포할 때의,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의 점도는, 1500m㎩·s로 조정되어 있었다.
제작된 커버 유리(20)의 굽힘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으로서는, 4점 굽힘 시험법을 채용하였다. 측정기로서는, 인장/압축 시험기(예를 들어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의 AG-I)와, 4점 굽힘 시험용으로 제작한 4점 굽힘 시험용 지그를 조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측정기를 도 24에 도시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기는, 커버 유리(20)의 한쪽 측으로부터 커버 유리(20)를 가압하는 한 쌍의 압자(91)와, 커버 유리(20)의 다른 쪽 측에서 커버 유리(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구(92)를 포함하고 있다. 압자(91) 및 지지구(92)로서는, 도 2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버 유리(20)를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도 24의 지면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압자(91) 및 지지구(92)의 길이는, 약 15㎝였다. 또한, 한 쌍의 압자(91) 사이의 거리 L'는 10㎜이고, 한 쌍의 지지구(92) 사이의 거리 L은 30㎜였다. 또한, 한 쌍의 압자(91)의 선단부의 반경 R1은 2.0㎜이고, 한 쌍의 지지구(92)의 선단부의 반경 R2는 3.0㎜였다. 또한, 측정 대상으로 한 커버 유리(20)의 폭 l은 약 14㎝이고, 도 24의 지면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커버 유리(20)의 치수는 약 7㎝이며, 커버 유리(20)의 두께는 0.7㎜였다. 또한, 측정 대상의 커버 유리(20), 압자(91) 및 지지구(92)의 위치 정렬은, 각각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육안으로 실시하였다.
굽힘 강도의 측정 공정에 있어서는, 한 쌍의 압자(91)에 부하 F(하나의 내측 압자(91)에 가해지는 부하는 F/2)를 가함으로써, 7㎜/㎜의 압자 변위 속도로 한 쌍의 압자(91)를 강하시켰다. 그리고, 커버 유리(20)가 갈라진 시점에서의 부하 F를, 커버 유리(20)의 강도로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의한 커버 유리(20)의 굽힘 강도는 1250㎫였다. 또한, 커버 유리(20)에 대하여 인쇄 등을 실시하는 후속 공정에 있어서,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에 크랙 등의 흠집이 발생하는 일은 없었다. 또한, 커버 유리(20)의 측면(20c)을 샌드페이퍼로 깍은 결과, 보강부(26)가 깎일 뿐이며, 크랙 등의 흠집이 발생하는 일은 없었다.
또한 굽힘 강도의 측정 시, 커버 유리(20)의 제1면(20a)에는, 장식부(60)나 터치 패널 센서부(40) 등의 요소부(70)가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장식부(60) 및 터치 패널 센서부(40)를 덮는 오버코트층도 존재하고 있었다.
(비교예 1)
보강부(2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한 커버 유리를 준비하였다. 이 커버 유리의 굽힘 강도를,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굽힘 강도는 750㎫였다.
10: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15: 표시 장치
20: 커버 유리
22: 단위 기재
22a: 제1면
22b: 제2면
22c: 측면
24a: 압축 응력층
24b: 인장 응력층
26: 보강부
26a: 제1면
26b: 제2면
26c: 측면
27: 도포액
30: 기재
35: 단위 적층체
40: 터치 패널 센서부
60: 장식부
62: 추가 장식부
70: 요소부
81: 제1 보호막
81c: 단부면
82: 제2 보호막
82c: 단부면

Claims (29)

  1.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인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유리를 포함하는 단위 기재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 상에 형성된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면 상에 형성된 제2 보호막을 갖는 단위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의 도포액을 경화시켜,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보강부를 형성하는 경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보호막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보호막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도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은,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도포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1면,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면 및,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의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이고,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과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2면과의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인,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1면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1 보호막의 단부면의 위치와 일치하고,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2면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2 보호막의 단부면의 위치와 일치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1면의 단부가, 상기 제1 보호막의 단부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경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보강부의 제2면의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2 보호막의 단부면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적어도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1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2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응력층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장 응력층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인장 응력층이 상기 보강부에 의해 덮이도록 형성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강화 유리를 포함하는 기재를 절단하는 절단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에 선행하여 실시되는 보호막 형성 공정이며, 상기 기재의 제1면 상 및 제2면 상에 있어서 소정의 복수의 구획에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을 형성하는 보호막 형성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절단 공정에 있어서는, 각 구획에 형성된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의 간극을 따라 상기 기재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단위 적층체가 얻어지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공정은,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측 및 상기 제2면측으로부터,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을 레지스트로 하여 상기 기재를 습식 에칭함으로써 상기 기재를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상기 제1면측에, 장식부 또는 터치 패널 센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요소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요소부 형성 공정을 더 구비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부 형성 공정은, 상기 보호막 형성 공정에 선행하여 실시되는,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1. 표시 장치에 형성되는 커버 유리이며,
    제1면,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인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유리를 포함하는 단위 기재와,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되며,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1면,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의 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면 및,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과의 사이에 확장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과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의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이고,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과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2면과의 사이의 단차는 10㎛ 이하인, 커버 유리.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적어도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1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 상기 제2면측의 상기 압축 응력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인장 응력층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장 응력층이 노출되어 있는, 커버 유리.
  15.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된 상기 보강부의 피복 치수의 최솟값이, 20㎛ 이상인, 커버 유리.
  16.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의 단부와 상기 제2면의 단부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에 비하여 상기 보강부의 상기 측면이 돌출되어 있는, 커버 유리.
  17.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의 단부와 상기 제2면의 단부를 통과하는 가상적인 평면에 비하여 상기 보강부의 상기 측면이 오목하게 되어 있는, 커버 유리.
  18.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은,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에 교차함과 함께,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제1 측면과,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2면에 교차함과 함께,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측으로 확장되고, 그리고 상기 제1 측면에 합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커버 유리.
  19.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측에는, 소정의 색을 나타내는 장식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장식부와 동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커버 유리의 법선 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상기 보강부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1.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소정의 색을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2.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제1면측에, 터치 패널 센서부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3.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는, 평면에서 보아, 네 코너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형상을 갖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단위 기재의 상기 측면 중 상기 단위 기재의 네 코너를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4.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평면에서 보아 상기 단위 기재가 상기 보강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상기 단위 기재의 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5.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기재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의 벽면 상에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유리.
  26.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에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있는, 커버 유리.
  27.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수지 재료가, 폴리엔-폴리티올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는, 커버 유리.
  28.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상기 측면 중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면과 교차하는 부분 또는 상기 제2면과 교차하는 부분 중 적어도 한쪽이, 둥근 면 또는 각면으로 가공되어 있는, 커버 유리.
  29.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에 배치된 커버 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유리가,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버 유리를 포함하는,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0167010398A 2013-10-25 2014-10-23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102170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22584 2013-10-25
JPJP-P-2013-222584 2013-10-25
JP2014024764A JP5622133B1 (ja) 2013-10-25 2014-02-12 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JP-P-2014-024764 2014-02-12
PCT/JP2014/078244 WO2015060395A1 (ja) 2013-10-25 2014-10-23 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カバーガラス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065A KR20160077065A (ko) 2016-07-01
KR102170653B1 true KR102170653B1 (ko) 2020-10-27

Family

ID=5194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398A KR102170653B1 (ko) 2013-10-25 2014-10-23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33374B2 (ko)
JP (2) JP5622133B1 (ko)
KR (1) KR102170653B1 (ko)
CN (1) CN105658591A (ko)
TW (1) TWI607978B (ko)
WO (1) WO2015060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889B2 (ja) * 2014-01-10 2015-10-07 株式会社Nsc 端面保護層付き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6260322B2 (ja) * 2014-02-12 2018-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カバーガラス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
WO2015122454A1 (ja) * 2014-02-12 2015-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および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6488904B2 (ja) * 2014-06-30 2019-03-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および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6376462B2 (ja) * 2014-10-23 2018-08-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の表示装置
US20180011575A1 (en) * 2015-01-21 2018-01-1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CN106033276B (zh) * 2015-03-18 2019-04-0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329050B1 (ko) * 2015-04-17 2021-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70160854A1 (en) * 2015-12-02 2017-06-08 Luminous Optical Technology Co., Ltd. Touch and pressure sensitive panel
JP6895937B2 (ja) * 2018-10-24 2021-06-3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ガラス成形品
JP2020066547A (ja) * 2018-10-24 2020-04-30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ガラス成形品
CN113651539A (zh) * 2021-08-16 2021-11-16 江西沃格光电股份有限公司 玻璃基板的减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086A (ja) * 2007-12-18 2009-07-30 Hoya Corp 携帯端末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2148957A (ja) * 2010-12-27 2012-08-09 Hoya Corp 携帯型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携帯型電子機器用画像表示装置、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WO2013154034A1 (ja) * 2012-04-10 2013-10-17 旭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物品及びタッチセンサ一体型カバー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970A (en) 1977-10-28 1981-04-28 Citizen Watch Company Limited Liquid crystal display cell for an electronic timepiece
JPS5462846A (en) * 1977-10-28 1979-05-21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cell
FR2706884B1 (ko) * 1993-06-22 1995-08-25 Saint Gobain Vitrage Int
JPH0986972A (ja) * 1995-09-29 1997-03-31 Asahi Glass Co Ltd 封着層を有する網入りガラス、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層ガラス
JP3395538B2 (ja) * 1996-09-17 2003-04-1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耐衝撃ガラス
JPH11171595A (ja) * 1997-12-05 1999-06-29 Asahi Glass Co Ltd 板ガラスのエッジ強化方法
JP3560532B2 (ja) 2000-05-02 2004-09-0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ディスプレイ用帯電防止フィルム
JP2009208983A (ja) * 2008-03-03 2009-09-17 Hoya Corp ガラス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227523A (ja) * 2008-03-24 2009-10-08 Hoya Corp ガラス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129732A1 (en) * 2009-05-08 2010-11-11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with polymer overmold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JP2012527399A (ja) * 2009-05-21 2012-11-0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機械的耐久性エッジを有する薄型基材
JP2012088946A (ja) 2010-10-20 2012-05-10 Toppa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加飾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パネル
CN102478727B (zh) * 2010-11-28 2016-04-0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的制造方法与显示装置、触控显示装置
KR101895591B1 (ko) * 2010-12-27 2018-09-05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전자기기용 커버 유리의 유리기판, 휴대형 전자기기용 화상표시장치, 휴대형 전자기기, 및 휴대형 전자기기용 커버 유리의 유리기판 제조방법
TW201228824A (en) * 2011-01-06 2012-07-16 Corning Inc Fully integrated touch articles with polymer edge protection
JP2013071854A (ja) * 2011-09-27 2013-04-22 Hoya Corp 携帯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
JP2014001100A (ja) * 2012-06-18 2014-0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バーガラ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7086A (ja) * 2007-12-18 2009-07-30 Hoya Corp 携帯端末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携帯端末装置
JP2012148957A (ja) * 2010-12-27 2012-08-09 Hoya Corp 携帯型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携帯型電子機器用画像表示装置、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用カバーガラスの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WO2013154034A1 (ja) * 2012-04-10 2013-10-17 旭硝子株式会社 強化ガラス物品及びタッチセンサ一体型カバー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7978B (zh) 2017-12-11
CN105658591A (zh) 2016-06-08
US10133374B2 (en) 2018-11-20
KR20160077065A (ko) 2016-07-01
US20160266671A1 (en) 2016-09-15
JP5622133B1 (ja) 2014-11-12
TW201518232A (zh) 2015-05-16
JP2015107902A (ja) 2015-06-11
WO2015060395A1 (ja) 2015-04-30
JP6369047B2 (ja) 2018-08-08
JP2015108793A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653B1 (ko)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커버 유리 및 커버 유리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JP5863260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89224B2 (en) Pressure sens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477097A1 (en) Narrow frame touch input sheet,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and conductive sheet used in narrow frame touch input sheet
US20150060125A1 (en) Touch panel
KR101803481B1 (ko) 정전용량형 터치감응 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방법
CN204480199U (zh) 触控装置
EP2267519B1 (en) Display device
JP2009301767A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EP2597554A2 (en) Touch panel sensor
JP2012242928A (ja) 加飾透明保護基板一体型タッチパネル
KR20150075908A (ko)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204242132U (zh) 触控装置
CN104583918A (zh) 传感器一体型保护玻璃
KR1022816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JP6460467B2 (ja) カバーガラス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
JP6260322B2 (ja) 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カバーガラス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
KR20150009318A (ko) 터치 윈도우
US20170102816A1 (en) Touch substrate and touch device
JP2015101517A (ja) カバーガラスおよびカバーガラス付き表示装置
TWI647098B (zh) Cover glass, display device with cover gla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ver glass
CN107045397B (zh) 压力传感装置及其制造方法
JP6600971B2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