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318B1 - 파워 커넥터 - Google Patents

파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318B1
KR102170318B1 KR1020190046602A KR20190046602A KR102170318B1 KR 102170318 B1 KR102170318 B1 KR 102170318B1 KR 1020190046602 A KR1020190046602 A KR 1020190046602A KR 20190046602 A KR20190046602 A KR 20190046602A KR 102170318 B1 KR102170318 B1 KR 102170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power connector
fixing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이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로 filed Critical 이상로
Priority to KR102019004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3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파워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기로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Receptacle)이 삽입되며, 핀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1 커버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커버부;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셉터클로 연결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워 커넥터{Power Connector}
본 발명은 별도의 상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 내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파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파워 커넥터는 기기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연결시키거나 기기로부터 케이블을 분리시킴으로써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케이블은 나사와 같은 상대부재(Mating Member)에 의해 파워 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를 사용하는 커넥터 구조는 커넥터와 케이블 간의 결합 강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 환경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 인해 파워 커넥터 내의 나사가 풀려 케이블이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파워 커넥터에 삽입한 후 나사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작업량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파워 커넥터 중 간단한 구성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볼타입 푸시-풀(Push-Pull) 파워 커넥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리셉터클 내 볼이 커넥터를 고정하며, 커넥터 사용자가 커넥터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커넥터를 리셉터클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리한 용법과 간단한 구조로 인해 볼타입 푸시-풀 파워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볼타입 푸시-풀 파워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졌다. 리셉터클, 특히, 외부로 노출된 리셉터클에 장착된 파워 커넥터에 외력이 파워 커넥터가 탈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종래의 볼타입 푸시-풀 파워 커넥터는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었다. 문제는 파워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지는 않을만한 크기의 외력이 파워 커넥터로 작용하는 경우에 있다. 파워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지는 않을만한 크기의 외력이 파워 커넥터로 작용하는 경우, 전기적으로는 파워 커넥터와 리셉터클이 탈착되었음에도 물리적으로는 파워 커넥터가 리셉터클로부터 탈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육안으로는 탈착된 커넥터를 확인하기가 굉장히 어려워, 일일이 모든 커넥터의 상태를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상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 내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파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셉터클로부터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탈착을 방지할 수 있는 파워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기로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Receptacle)이 삽입되고, 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 고정부에 고정된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1 커버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커버부;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셉터클로 연결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장착되는 소켓 및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 스프링은, 별도의 지그에 의해 외력을 받아 상기 케이블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 삽입된 제2 소켓 인슐레이터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2 소켓 인슐레이터는, 상기 케이블 스프링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분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가 삽입되는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케이블을 고정시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와 연결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Receptacle)이 삽입되고, 복수 개의 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 고정부에 고정된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며, 외력을 받아 상기 복수 개의 핀이 상기 제1 커버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커버부;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셉터클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별도의 상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 내에 케이블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케이블이 커넥터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워 커넥터가 리셉터클로 장착되는 경우, 리셉터클로부터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파워 커넥터의 탈착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와 삽입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켓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소켓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스프링과 소켓이 제2 소켓 인슐레이터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실링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팅 시스템(100)은 연결 단자(110), 리셉터클(Receptacle, 120) 및 파워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연결 단자(110)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로 삽입된 케이블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단자(110)는 리셉터클(120) 내 내부 구성에 의해 리셉터클(1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셉터클(120)은 리셉터클(120)을 구비하는 장치와 파워 커넥터(130)를 연결하며, 연결된 파워 커넥터(13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리셉터클(120)의 일단(또는, 전방)에는 연결 단자(110)가 결합되며, 리셉터클(120)의 타단(또는, 후방)에는 파워 커넥터(130)가 결합된다. 리셉터클(120)은 파워 커넥터(130) 내로 삽입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에 고정된다. 리셉터클(120) 내에는 볼(미도시)이 고정되어 있으며, 리셉터클(120)에 고정된 볼(미도시)은 파워 커넥터(130)의 골(Furrow)에 장착된다.
리셉터클(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파워 커넥터(130)는 리셉터클(120)을 수용하며, 케이블을 구비하는 기기와 연결되어 기기로 전원을 공급한다. 파워 커넥터(130)는 케이블을 외력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 케이블이나 기타 구성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 및 파워 커넥터(130)의 착탈을 위해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제공하는 구성 등을 내부 및 외부에 포함한다.
파워 커넥터(130) 내로 삽입되는 케이블은 나사 또는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워 커넥터(130) 내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케이블은 파워 커넥터(130) 내로 삽입됨에 따라 내부 구성요소에 의해 고정되며, 사용자 등이 별도의 지그(미도시)를 사용하여 파워 커넥터(130) 구성 내로 외력을 가함에 따라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파워 커넥터(130)는 푸시-풀(Push-Pull) 커넥터로서, 사용자로부터 외력을 받아 리셉터클(120)을 수용하거나, 리셉터클(120)로부터 분리된다.
파워 커넥터(130)의 구조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120)은 중공(中空, 210), 돌출부(220), 오목부(230), 볼 고정부(240) 및 연결부(25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20)은 내부에 연결 단자(110) 및 파워 커넥터(130)의 다른 구성(후술할 제1 커버부(3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210)을 구비한다.
돌출부(220)는 리셉터클(120)의 하우징 일단(또는, 전방)의 내측면에 기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돌출부(220)는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220)로 돌출부(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연결 단자(110)의 구성이 결합된다. 연결 단자(110)의 해당 구성이 돌출부(220)와 결합됨으로써, 연결 단자(110)는 리셉터클(120)에 고정된다. 연결 단자(110)와 리셉터클(120) 사이에는 오-링(O-Ring)과 같은 실링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미도시)는 연결 단자(110)와 리셉터클(120)이 결합됨에 따라 발생된 빈 공간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는 물 등의 침투를 막음으로써, 파워 커넥터(130)의 내부 구성이 침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230)는 리셉터클(120)의 하우징 내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만큼 패인 부분에 해당한다. 오목부(230)는 기 설정된 깊이만큼 패여있으며, 오목부(230)로 오목부(2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파워 커넥터(130)의 구성이 결합된다. 파워 커넥터(130)의 해당 구성이 오목부(230)와 결합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23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워 커넥터(130)가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특히, 옥외에서 파워 커넥터(130)가 리셉터클(120)에 결합되는 경우라면 더욱 전술한 상황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120)은 오목부(230)를 구비한다.
볼 고정부(240)는 볼(미도시) 및 볼 커버(미도시)를 포함하며, 리셉터클(120)의 하우징 타단에 형성된다. 볼 고정부(240)에 고정된 볼(미도시)은 파워 커넥터(130) 내 골과 결합되며, 이에, 리셉터클(120)은 파워 커넥터(130)에 고정된다. 볼 고정부(240)의 볼(미도시)이 파워 커넥터(130)의 골과 결합됨으로써, (사용자 등이) 일정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파워 커넥터(130)는 전방(파워 커넥터(130)가 리셉터클(120)과 가까워지는 방향, 푸시 동작) 또는 후방(파워 커넥터(130)가 리셉터클(120)과 멀어지는 방향, 풀 동작)으로 이동할 수 없다.
연결부(250)는 리셉터클(120)의 후방에서 다른 구성(후술할 제1 커버부(310))으로 삽입되어 다른 구성과 리셉터클(120)을 연결한다.
리셉터클(120)이 파워 커넥터(130) 내로 삽입됨으로써 파워커넥터(130)는 오목부(230) 및 볼 고정부(240)에 의해, 전·후·좌·우로 이동하거나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130)는 제1 커버부(310), 제2 커버부(320), 하우징(330) 및 고정부(340)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310)는 (파워 커넥터(130)의 사용자 등으로부터) 외력을 받아 이동한다. 제1 커버부(310)는 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후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을 받아 후방으로 이동한다. 외력에 의해 제1 커버부(31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부재(445)로 외력을 전달함으로써, 탄성부재(445)는 파워 커넥터(13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전달한다.
제1 커버부(310)의 내부에는 삽입부(410)가 배치된다. 다만, 제1 커버부(310)가 삽입부(410)와 일정한 공간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리셉터클(120)이 제1 커버부(310)로 삽입될 때, 리셉터클(120)의 하우징이 제1 커버부(310)와 삽입부(41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410)는 제1 결합부재(430)에 의해 제1 커버부(310)의 내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재(430)는 'C'자 형상의 링(Ring)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제1 결합부재(43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삽입부(410)의 외측에 결합된다. 삽입부(410)가 제1 결합부재(430)를 이용하여 제1 커버부(310) 내에 배치됨에 따라, 삽입부(410)는 제1 커버부(310) 내에서 직선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고 제1 커버부(31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410)의 내부에는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가 배치된다.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는 삽입부(410) 내에 배치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케이블을 리셉터클(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의 후방에는 제1 실링부재(435)가 배치되며, 제1 실링부재(435)는 제1 실링부재(435)의 면적과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부(410)의 내부 구성과 결합된다. 제1 실링부재(435)는 리셉터클(120) 내로 유입되는 물 등에 의해 파워 커넥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435)의 후방에는 제2 결합부재(440)가 배치되며, 제2 결합부재(440)는 제2 결합부재(440)의 면적과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부(410) 내부 구성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재(440)는 제1 실링부재(435)가 삽입부(410) 내에서 직선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제2 결합부재(440)는 'C'자 형상의 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커버부(310) 및 삽입부(410)에 대해서는 각각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하고, 제1 커버부(310)와 삽입부(410)가 결합된 모습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커버부(320)는 제1 커버부(310)의 후방에 배치된다. 다만, 제2 커버부(320)는 제1 커버부(3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 커버부(320)가 제1 커버부(310)와 온전히 결합될 때, 제2 커버부(320)는 삽입부(410)의 내부 구성과 맞닿을 수 있다.
제2 커버부(320)는 제1 커버부(310)에 결합된 핀(미도시)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구비한다. 사용자 등이 제2 커버부(320)로 외력을 가하면, 핀(미도시)은 제2 커버부(320)에 작용하는 외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사용자 등의 외력에 의해 제2 커버부(320)가 이동함에 따라 핀(미도시)이 제2 커버부(320)에 구비된 이동 경로를 이동함으로써, 제1 커버부(310) 이하(리셉터클(120) 포함)의 파워 커넥터(130)의 구성은 제2 커버부(320)와 결합해제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다.
제2 커버부(32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도 10을, 제2 커버부(320)의 동작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하우징(330)은 내부에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케이블이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리셉터클(120)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330)은 제2 커버부(320)의 후방에 배치되며,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내부 구성을 포함한다. 하우징(330) 내에는 제2 실링부재(450), 하우징 인슐레이터(455) 및 고정부(340)가 결합된다. 하우징(330)은 내측에 제2 실링부재(450)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330)과 제2 커버부(320)의 결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빈 공간으로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케이블이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 삽입됨에 따라 하우징(330)의 내측과 접촉하게 되면, 파워 커넥터(130)에 통전(通電) 현상이 발생할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330)은 내측에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를 포함함으로써, 전기를 차단하도록 한다.
제2 실링부재(450)는 제2 실링부재(45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우징(330) 내측의 내부 구성에 결합된다. 제1 커버부(310)와 제2 커버부(320)가 결합됨에 따라 발생되는 빈 공간으로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실링부재(450)는 'O'자 형상의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는 하우징(330) 내부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며, 절연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는 케이블이 하우징(330)의 내측에 닿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통전(通電)으로부터 파워 커넥터(130)를 보호한다. 하우징 인슐레이터(455)의 내부에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길이는 하우징 인슐레이터(455)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며, 하우징 인슐레이터(455) 내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삽입부(410) 내부로 연결된다.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는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 인슐레이터(455)의 내부에 배치된다.
소켓(465)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소켓(465)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되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내부 구성에 결합된다. 소켓(465) 내에는 케이블 스프링(470)이 장착되며, 이에 따라,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케이블 스프링(470)은 소켓(465)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케이블 스프링(470)은 한 쌍의 소켓(465)에 각각 안착된다. 케이블 스프링(470)은 소켓(465)에 안착된 채로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내부 구성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은 파워 커넥터(130)에 고정된다.
하우징(33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하우징(330)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인슐레이터(455)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부(340)는 하우징(330)의 후방에 배치된다. 고정부(340)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케이블을 삽입할 경우, 파워 커넥터(130) 내 내부 구성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340)는 내부에 고정 클립(475) 및 제4 실링부재(485)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이 파워 커넥터(130) 내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대로, 고정부(340)는 내부에 고정 클립(475)을 포함한다. 고정 클립(475)은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부(340) 내로 삽입된 케이블을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고정 클립(475)의 하우징 외측에는 제3 실링부재(480)가 결합되는데, 제3 실링부재(480)는 고정부(340)와 하우징(330)이 연결됨에 따라 발생된 빈 공간으로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링부재(485)는 고정 클립(475)의 내측에 삽입되며, 복원력을 이용하여 고정부(340) 내로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고정부(340) 및 고정부(340)가 포함하는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커버부(310)는 중공(610), 오목부(620), 골(630), 단차(640), 연결부(650) 및 핀 고정부(660)를 포함한다.
제1 커버부(310)는 내부에 리셉터클(120) 및 삽입부(4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610)을 구비한다.
오목부(620)는 제1 커버부(310) 하우징의 내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오목부(620)에는 제1 결합부재(430)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재(430)에 의해 제1 커버부(310) 내에 삽입부(4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30)는 'C'자 형태의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410)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제1 커버부(310)의 내로 삽입됨에 따라 오목부(620)와 결합된다.
골(630)은 리셉터클(120)의 볼 고정부(240)의 볼(미도시)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제1 커버부(310) 하우징의 내측면에 일정한 곡률로 패인 부분에 해당한다. 연결단자(110)와 리셉터클(120)이 사용자 등에 의해 조립됨에 따라, 리셉터클(120)의 볼 고정부(240)에 고정된 볼(미도시)은 후방(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제1 커버부(310)의 단차(640)와 맞닿게 되며, 파워 커넥터(100) 내 탄성부재(445)는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며 압축된다. 이때, 볼(미도시)이 골(630)과 결합되면, 탄성부재(445)에 의해 제1 커버부(310)는 다시 전방(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되돌아온다. 즉, 볼(미도시)이 골(630)과 결합되는 경우, 파워 커넥터(130)에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외력이 후방으로 작용하지 않는 한, 골(630)은 리셉터클(120)이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단차(640)는 제1 커버부(310)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제1 커버부(310) 내로 삽입된 리셉터클(120)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단차(640)는 제1 커버부(310)의 내부로 돌출되어, 리셉터클(1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연결부(650)는 제2 커버부(320)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커버부(310)가 연결부(650)를 이용해 제2 커버부(320)와 연결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파워 커넥터(130)의 구조 및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핀 고정부(660)에는 핀(미도시)이 고정되며, 이에, 제1 커버부(310)는 핀(미도시)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사용자 등이 제2 커버부(320)에 외력을 가하면, 핀(미도시)은 제2 커버부(320)에 구비된 경로를 이동한다. 핀(미도시)이 제2 커버부(320)의 경로를 이동함에 따라, 제1 커버부(310) 이하의 구성(리셉터클(120) 포함)은 제2 커버부(320)로부터 결합 해제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삽입부(410)는 중공(710), 제1 돌출부(715), 제1 오목부(720), 정렬부(725), 단차(730), 제1 연결부(735), 제1 고정부(740), 제2 오목부(745), 제2 고정부(750), 제2 돌출부(755), 제2 연결부(760) 및 제3 오목부(765)를 포함한다.
삽입부(410)는 리셉터클(120)의 중공(210)으로 삽입되어, 파워 커넥터(130) 내에 장착되는 케이블이 리셉터클(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410)는 리셉터클(120)의 중공(210)보다 작은 반경을 구비함으로써, 중공(2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410)의 내부에는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는 파워 커넥터(130)에 장착되는 케이블이 리셉터클(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삽입부(410)는 내부에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 제1 실링부재(435) 및 제2 결합부재(4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타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 중공(710)을 구비한다.
제1 돌출부(715)는 삽입부(410)의 하우징 일단의 외측면에 기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제1 돌출부(715)는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돌출부(715)로 제1 돌출부(715)의 형상과 대응되는 리셉터클(120)의 오목부(230)가 결합된다.
제1 오목부(720)는 삽입부(410) 하우징의 외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제1 결합부재(430)와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대로, 제1 결합부재(430)는 삽입부(410)를 제1 커버부(310)에 고정시키며, 'C'자 형태의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430)가 제1 오목부(720)에 결합됨으로써, 삽입부(410)는 제1 커버부(31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정렬부(725)는 후방에 제2 커버부(320)가 연결됨으로써, 제2 커버부(320)와의 정렬을 위해 구비된 일종의 마킹(Marking)이다. 삽입부(410)가 정렬부(725)를 이용하여 제2 커버부(320)와 정렬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의 구조 및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단차(730)는 삽입부(4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삽입부(410)의 후방은 제2 커버부(320)와 맞닿는다. 단차(730)가 제2 커버부(320)와 접촉됨으로써, 삽입부(410)는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삽입부(410)는 단차(730)를 이용하여 단차(730)에 의해 삽입부(410)가 제1 커버부(310)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삽입부(4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1 연결부(735)는 하우징(330)으로 삽입되어 하우징(33)과 제1 커버부(310)를 연결한다. 제1 연결부(735)가 하우징(330)과 결합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의 구조 및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제1 고정부(740)는 삽입부(410) 하우징 후방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제1 실링부재(435)를 고정시킨다. 제1 고정부(740)는 제1 실링부재(435)의 반경보다 작거나 같은 반경을 구비함으로써, 제1 실링부재(435)가 제1 고정부(74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오목부(745)는 삽입부(410) 하우징 후방의 내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제2 결합부재(440)와 대응되는 면적과 형상을 갖는다. 제2 결합부재(440)는 'C'자 형태의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실링부재(435)가 삽입부(41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부(750)는 삽입부(410) 하우징 전방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를 고정시킨다. 제2 고정부(750)는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의 외부 구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를 삽입부(410) 내에 고정시킨다.
제2 돌출부(755)는 삽입부(410) 하우징 내측면에 기 설정된 높이만큼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제2 돌출부(755)는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2 돌출부(755)로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의 오목부(920)가 결합된다.
제2 연결부(760)는 내에는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가 삽입된다. 삽입부(410)가 제2 연결부(760)를 포함함으로써, 케이블이 삽입부(410) 내에 결합된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를 지나 리셉터클(120)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오목부(765)는 삽입부(410) 하우징 전방의 내측면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제3 오목부(765)에는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의 단차(930)가 결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와 삽입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10)의 외측에 형성된 제1 오목부(720)에는 'C'자 형태의 링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결합부재(430)가 결합된다. 제1 결합부재(4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410)는 제1 커버부(310)로 삽입된다. 제1 결합부재(430)가 제1 커버부(310)의 오목부(620)에 결합됨으로써, 삽입부(410)는 제1 커버부(310)에 고정된다. 삽입부(410) 내의 제1 고정부(740)로는 제1 실링부재(435)가 안착된다. 여기서, 제1 실링부재(435)는 파워 커넥터(130) 내에 장착된 케이블을 통과시켜, 케이블이 리셉터클(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관통공(810)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실링부재(435)는 제1 커버부(310)가 제2 커버부(320)와 결합됨에 따라 발생되는 빈 틈으로 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부(410)의 내측에 형성된 제2 오목부(745)에는 'C'자 형태의 링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2 결합부재(44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실링부재(435)가 삽입부(410) 내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소켓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는 삽입부(410)의 제2 고정부(750)에 고정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 내에 장착되는 케이블을 리셉터클(120)로 연결시킨다.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는 하우징 외측에 삽입부(410)와 결합되는 구성 및 소켓(465)을 고정시키는 구성을 내부에 포함한다.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는 관통공(910), 오목부(920) 및 단차(930)를 포함한다.
관통공(910)은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 하우징 내측에 형성된다.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소켓(465)이 관통공(910) 내로 삽입됨에 따라, 파워 커넥터(130) 내에 장착된 케이블은 리셉터클(120)로 연결된다.
오목부(920)는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 하우징 외측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오목부(920)로 삽입부(410)의 제2 돌출부(755)가 결합된다.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는 오목부(920)를 이용하여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가 삽입부(4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단차(930)는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 하우징 외측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삽입부(410)의 제2 고정부(750)에 고정된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가 삽입부(410)의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삽입부(410)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커버부(320)는 중공(1010) 및 홈(1020)을 포함한다.
제2 커버부(320)는 하우징(330)이 배치될 수 있는 중공(1010)을 구비한다.
제2 커버부(320)는 제1 커버부(310)의 핀 고정부(660)에 고정된 핀(미도시)이 이동하는 기 설정된 경로를 갖는 홈(1020)을 구비한다. 홈(1020)은 제1 커버부(310)가 결합될 경우,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특히, 제1 커버부(310)가 결합됨에 있어, 홈(1020)은 전방 또는 후방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며 파워 커넥터(130)가 직선운동(푸시-풀)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일 예로서, 홈(10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홈(1020)이 'ㅗ'자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제1 커버부(310)가 제2 커버부(320)의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핀(미도시)은 홈(10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핀(미도시)이 홈(1020)에 결합된 후, 제2 커버부(320)가 제1 커버부(310)가 진입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커버부(3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제1 커버부(310)에 작용하더라도, 제2 커버부(320)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제1 커버부(310)가 제2 커버부(320)와 결합됨에 따라, 제1 커버부(310)의 핀 고정부(660)에 고정된 핀(1110)이 제2 커버부(320)의 홈(102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310)는 직선운동(푸시-풀)이 가능하므로, 외력을 받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b)는 핀(1110)이 제2 커버부(320)에 결합된 후, 제2 커버부(320)를 제1 커버부(310)가 진입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로서, 핀(1110)은 'ㅗ'자 형상의 홈(102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310)가 외력을 받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푸시-풀)하고자 하더라도, 홈(1020)에 결합된 핀(111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우징(330)은 중공(1210), 제1 연결부(1220), 제1 오목부(1230), 제2 오목부(1240), 제2 연결부(1250) 및 제3 연결부(1260)를 포함한다.
하우징(330)은 내부에 제2 실링부재(450) 및 하우징 인슐레이터(455)가 포함될 수 있는 중공(1210)을 구비하여, 중공(1210) 내로 내부에 제2 실링부재(450) 및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를 고정하는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220)는 하우징(330)을 삽입부(410)의 제1 연결부(735)와 연결함으로써, 하우징(330)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 커버부(320)와 삽입부(410)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 커버부(3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오목부(1230)는 하우징(330) 내측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제1 오목부(1230)로 제1 오목부(12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2 실링부재(450)가 결합된다. 제1 오목부(1230)에 제2 실링부재(450)가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330) 내부는 제2 실링부재(450)에 의해 방수된다. 제2 실링부재(450)는 'O'자 형상의 링(Ring)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240)는 하우징(330) 내측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제2 오목부(1240)로 제2 오목부(1240)의 형상에 대응하는 하우징 인슐레이터(455)의 구성이 결합된다. 제2 오목부(1240)에 하우징 인슐레이터(455)가 결합됨에 따라, 케이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하우징(330) 내 전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제2 연결부(1250)는 하우징(330)과 고정 클립(475)을 연결함으로써, 케이블이 하우징(330) 내에 배치되는 하우징 인슐레이터(455) 내 내부 구성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연결부(1260)는 하우징(330)과 고정 클립(475)을 긴밀히 연결한다. 제3 연결부(1260)는 양자(하우징(330)과 고정 클립(475))를 긴밀히 연결함으로써, 양자가 서로에게 고정되어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대로,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는 하우징(330) 내측에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하우징(330) 내 전기의 흐름을 차단한다.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는 중공(1310) 및 돌출부(1320)를 포함한다.
하우징 인슐레이터(455)는 내부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구성인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가 포함될 수 있는 중공(1310)을 구비하여, 중공(1310) 내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320)는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돌출부(1320)로 하우징(330)의 제2 오목부(1240)가 결합된다. 하우징 인슐레이터(455)가 돌출부(1320)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인슐레이터(455)가 하우징(330)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소켓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는 관통공(1410), 오목부(1420), 고정부(1430), 홀(1440), 빗면(1450), 연결부(1460) 및 접촉부(1470)를 포함한다.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는 내부에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이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1410)을 구비한다.
오목부(1420)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외측에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오목부(1420)로 오목부(14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3 결합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3 결합부재(미도시)는 'C'자 형태의 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3 결합부재(미도시)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전방과 삽입부(410)의 제2 연결부(760)를 긴밀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가 삽입부(4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고정부(1430)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내측에 일정한 곡률로 패인 구성으로서, 고정부(1430)로 고정부(1430)의 형상과 대응하는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이 배치된다.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는 고정부(1430)를 이용하여,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가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을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파워 커넥터(130) 내 내부 구성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홀(1440)은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에 의해 고정된 케이블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에 고정된 케이블은 (사용자 등이) 케이블 스프링(470)으로 일정한 외력을 가히지 않는 이상,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는 별도의 지그(미도시)를 사용함으로써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홀(1440) 내에 지그(미도시)를 삽입하면, 케이블 스프링(470)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케이블은 소켓(465) 및 케이블 스프링(47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빗면(1450)은 기 설정된 기울기로 경사진 구성에 해당된다.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가 빗면(1450)을 포함함으로써,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내로 케이블 스프링(470)이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460)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를 삽입부(410)의 제2 연결부(760)와 연결한다. 연결부(1460)에 의해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와 삽입부(410)가 연결됨에 따라,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 삽입된 케이블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내에 결합된 제1 소켓 인슐레이터(420)를 지나 리셉터클(120)로 연결될 수 있다.
접촉부(1470)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와 케이블 스프링(470)의 일 측면이 맞닿는 구성으로서, 접촉부(1470)와 케이블 스프링(470) 사이에는 케이블이 삽입된다. 접촉부(1470)에 의해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와 케이블 스프링(470)의 일 측면이 맞닿음으로써, 삽입된 케이블은 일정한 외력을 받지 않는 이상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소켓(465)은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 소켓(465)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내에 상하가 대칭된 형태로 삽입된다.
소켓(465)은 관통공(1510), 안착부(1520), 지지부(1530) 및 단차(1540)를 포함한다.
소켓(465)은 케이블이 고정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는 관통공(1510)을 구비한다. 관통공(1510) 내로는 파워 커넥터(13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된 케이블이 통과된다.
안착부(1520)에는 케이블 스프링(470)이 안착되며, 케이블 스프링(470)이 안착된 소켓(465)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와 결합된다.
지지부(1530)는 안착부(1520)에 안착된 케이블 스프링(47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케이블 스프링(470)이 안착부(152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케이블 스프링(470)의 일 측면을 지지한다.
단차(1540)는 소켓(465) 하우징 외측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지지부(1530)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스프링(470)이 안착부(152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케이블 스프링(470)의 타 측면을 지지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케이블 스프링(47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소켓(465)의 안착부(1520)에 안착된다. 소켓(465)이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내에 삽입되는 형상과 마찬가지로, 케이블 스프링(470)은 상하가 대칭된 형태로 안착부(1520)에 배치된다.
케이블 스프링(470)은 제1 경사부(1610), 탄성부(1620), 제2 경사부(1630) 및 지지부(1640)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610)는 기 설정된 기울기로 경사진 구성으로서, 파워 커넥터(130)의 전방(리셉터클(120)이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구현된다. 제1 경사부(1610)가 기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어진 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케이블 스프링(470)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접촉부(1470)와 맞닿는 형태로 구현된다. 후술할 탄성부(1620)에 의해 케이블이 삽입되어도, 제1 경사부(1610)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접촉부(1470)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케이블은 제1 경사부(1610)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사이에 맞물려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경사부(1610)의 일 측면, 즉, 케이블과 맞닿은 측면은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가 큰 값을 갖도록 구현된다. 통상적으로, 케이블은 피복되어 전선만 남아 있는 형태로 삽입되는데, 이러한 케이블이 표면 거칠기가 큰 값을 갖도록 구성된 제1 경사부(1610)와 맞물리게 되면, 제1 경사부(1610)와 케이블 사이의 마찰력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등이 일정한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케이블은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제1 경사부(1610)는 사용자 등이 별도의 지그(미도시)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소켓(46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갖는다. 전술한대로, 사용자 등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홀(1440) 내로 지그(미도시)를 삽입하여 케이블을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제1 경사부(1610)로 외력을 가하면, 탄성부(1620)에 의해 제1 경사부(1610)는 외력이 가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스프링(470)과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사이에는 케이블이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생성된다. 이로써, 케이블은 별도의 지그(미도시)에 의해 파워 케이블(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탄성부(1620)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케이블 스프링(470)으로 가해지는 외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경사부(1610)를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삽입될 때, 제1 경사부(1610)는 탄성부(1620)에 의해 케이블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중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은 케이블 스프링(470)과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사이에 맞물리게 됨으로서, 일정한 외력을 받지 않는 한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탄성부(1620)는 사용자가 별도의 지그(미도시)로 제1 경사부(1610)에 외력을 가할 경우, 외력이 가해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 경사부(1810)를 이동시킨다.
제2 경사부(1630)는 기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어진 구성으로서, 소켓(465)의 단차(1540)와 맞닿을 수 있을 정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 경사부(1630)의 일 측면이 소켓(465)의 단차(1540)에 접촉됨으로써, 케이블 스프링(470)은 소켓(465)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지지부(1640)는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빗면(1450)과 접촉되는 구성으로서, 빗면(1450)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워 커넥터(130)에 외력이 가해져도 케이블 스프링(470)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 내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스프링과 소켓이 제2 소켓 인슐레이터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케이블 스프링(470)은 소켓(465) 내 안착부(1520)에 안착된 후,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에 결합된다. 전술한대로, 소켓(465)과 케이블 스프링(470)은 제2 소켓 인슐레이터(460)의 내부 구성과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커넥터(130)는 나사와 같은 상대 부재 또는 솔더링과 같은 접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케이블을 파워 커넥터(130) 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등이 별도의 지그(미도시)를 사용하여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케이블은 파워 커넥터(13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고정부(340)는 중공(1810), 빗면(1820) 및 연결부(1830)를 포함한다.
고정부(340)는 내부에 고정 클립(475) 및 제4 실링부재(485)가 포함될 수 있는 중공(1810)을 구비하여, 중공(1810) 내로 고정 클립(475) 및 제4 실링부재(485)를 고정하는 내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빗면(1820)은 기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어진 구성이다. 고정부(340)가 빗면(1820)을 포함함으로써, 고정 클립(475) 및 제4 실링부재(485)는 보다 원활히 고정부(3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830)는 하우징(330)의 제3 연결부(1260)와 연결된다. 고정부(340)가 연결부(1830)를 이용해 고정부(340)와 하우징(330)을 연결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파워 커넥터(130)의 구조 및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립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고정 클립(475)은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부(340) 내로 삽입된 케이블을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고정 클립(475)은 중공(1910), 오목부(1920), 탄성부(1930), 연결부(1940) 및 단차(1950)를 포함한다.
고정 클립(475)은 내부에 제4 실링부재(485)가 포함될 수 있는 중공(1910)을 구비하여, 중공(1910) 내로 제4 실링부재(485)를 고정하는 내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오목부(1920)는 기 설정된 깊이로 패인 구성으로서, 오목부(1920)로 오목부(1920)의 형상과 대응되는 제3 실링부재(480)가 결합된다. 제3 실링부재(480)는 'O'자 형상의 링 형태로 구현되며, 고정부(340)와 하우징(330) 사이의 틈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는 물 등으로부터 파워 커넥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1930)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며, 고정부(340)의 내측에 밀착된다. 탄성부(1930)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고정부(340) 내부로 삽입되는 케이블을 고정시킴으로써,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케이블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탄성부(1930)의 내측에는 제4 실링부재(485)가 배치된다.
연결부(1940)는 하우징(330)의 제2 연결부(1250)와 연결된다. 고정 클립(475)이 연결부(1940)를 이용해 고정부(340)와 하우징(330)을 연결함으로써, 파워 커넥터(130)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파워 커넥터(130)의 구조 및 배치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단차(1950)는 고정 클립(475) 하우징 외측에 형성된 구성으로서, 연결부(1940)에 하우징(330)의 제2 연결부(1250)가 연결됨에 따라, 하우징(330)이 더 이상 고정 클립(475)의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우징(330)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실링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4 실링부재(485)는 고정 클립(475)의 내측에 삽입되며,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4 실링부재(485)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고정부(340) 내로 삽입된 케이블을 고정시킨다.
제4 실링부재(485)는 중공(2010), 접촉부(2020), 단차(2030) 및 지지부(2040)를 포함한다.
제4 실링부재(485)는 내부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2010)을 구비한다.
접촉부(2020)는 고정 클립(475)의 탄성부(1930) 내측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중공(2010) 내로 삽입되는 케이블이 파워 커넥터(130)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부(2020)가 탄성부(1930)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제4 실링부재(485)와 고정 클립(475) 사이의 틈으로 흘러 들어오는 물 등으로부터 파워 케이블(130)을 방수한다.
단차(2030)는 접촉부(2020)가 고정 클립(475)에 밀착됨에 따라, 제4 실링부재(485)가 고정 클립(475)의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4 실링부재(485)의 이동을 제한한다.
지지부(2040)는 고정부(340)의 빗면(1820)과 맞닿는 구성으로서, 제4 실링부재(485)는 지지부(2040)를 이용하여 제4 실링부재(485)가 고정부(340)의 빗면(1820)에 원활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부(310)는 한 개의 핀 고정부(660)를 포함한다. 핀 고정부(660)에 고정된 핀(1110)은 사용자 등의 외력에 의해 제2 커버부(320)가 회전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홈(1020)을 이동한다. 그러나 사용자 등이 제2 커버부(320)로 외력을 가하여 한 개의 핀(1110)이 제2 커버부(320)의 홈(1020)을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 제1 커버부(310)와 제2 커버부(320)의 원심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 및 제2 커버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커버부(2100)는 두 개의 핀 고정부(2160, 217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핀 고정부(2160, 2170)에는 핀(미도시)이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사용자 등은 후술할 다른 구성(제2 커버부(2200))을 회전시킴으로써, 핀(미도시)이 다른 구성에 구비된 경로를 각각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커버부(2100)는 리셉터클(120)로부터 결합 해제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핀 고정부(2160, 2170)는 제1 커버부(2100) 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다른 구성에 외력이 가해져도 제1 커버부(2100)와 다른 구성의 원심은 안정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버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 커버부(2200)는 제1 및 제2 홈(2220, 223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홈(2220, 2230)으로는 제1 커버부(2100)의 핀(미도시)이 각각 결합된다. 제1 및 제2 홈(2220, 2230)은 제1 커버부(2100)가 결합될 경우, 회전하며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현된다. 특히, 제1 커버부(2100)가 결합됨에 있어, 제1 및 제2 홈(2220, 2230)은 전방 또는 후방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하며 파워 커넥터(130)가 직선운동(푸시-풀)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일 예로서, 제1 및 제2 홈(2220, 2230)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ㅗ'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홈(2220, 2230)이 'ㅗ'자 형상으로 구현될 경우, 제1 커버부(2100)가 제2 커버부(2200)의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핀(미도시)은 각각 제1 및 제2 홈(2220, 223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핀(미도시)이 제1 및 제2 홈(2220, 2230)에 각각 결합된 후, 제2 커버부(2200)가 제1 커버부(2100)가 진입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커버부(21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이 제1 커버부(2100)에 작용하더라도, 제2 커버부(2200)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홈(2220, 2230)는 제2 커버부(2200) 내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2 커버부(2200)에 외력이 가해져도 제1 커버부(2100)와의 원심은 안정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파워 커넥팅 시스템
110: 연결단자
120: 리셉터클
130: 파워 커넥터
210, 610, 710, 1010, 1210, 1310, 1810, 1910, 2010, 2110, 2210: 중공
220, 1320: 돌출부
230, 620, 920, 1420, 1920, 2120: 오목부
240: 볼 고정부
250, 650, 1460, 1830, 1940, 2150: 연결부
310, 2100: 제1 커버부
320, 2200: 제2 커버부
330: 하우징
340, 1430: 고정부
410: 삽입부
420: 제1 소켓 인슐레이터
430: 제1 결합부재
435: 제1 실링부재
440: 제2 결합부재
445: 탄성부재
450: 제2 실링부재
455: 하우징 인슐레이터
460: 제2 소켓 인슐레이터
465: 소켓
470: 케이블 스프링
475: 고정 클립
480: 제3 실링부재
485: 제4 실링부재
630, 2130: 골
640, 730, 930, 1540, 1950, 2030, 2140: 단차
660: 핀 고정부
715: 제1 돌출부
720, 1230: 제1 오목부
725: 정렬부
735, 1220: 제1 연결부
740: 제1 고정부
745, 1240: 제2 오목부
750: 제2 고정부
755: 제2 돌출부
760, 1250: 제2 연결부
765: 제3 오목부
810, 910, 1410, 1510: 관통공
1020: 홈
1110: 핀
1260: 제3 연결부
1440: 홀
1450, 1820: 빗면
1470, 2020: 접촉부
1520: 안착부
1530, 1640, 2040: 지지부
1610: 제1 경사부
1620, 1930: 탄성부
1630: 제2 경사부
2160: 제1 핀 고정부
2170: 제2 핀 고정부
2220: 제1 홈
2230: 제2 홈

Claims (6)

  1. 기기로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리셉터클(Receptacle)이 삽입되고, 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핀 고정부에 고정된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버부;
    상기 제1 커버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며, 외력을 받아 상기 제1 커버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커버부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제2 커버부;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을 상기 리셉터클로 연결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 삽입된 제2 소켓 인슐레이터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블이 장착되는 소켓 및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케이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스프링은,
    별도의 지그에 의해 외력을 받아 상기 케이블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켓 인슐레이터는,
    상기 케이블 스프링으로부터 상기 케이블이 분리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가 삽입되는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삭제
KR1020190046602A 2019-04-22 2019-04-22 파워 커넥터 KR102170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602A KR102170318B1 (ko) 2019-04-22 2019-04-22 파워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602A KR102170318B1 (ko) 2019-04-22 2019-04-22 파워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318B1 true KR102170318B1 (ko) 2020-10-26

Family

ID=7300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602A KR102170318B1 (ko) 2019-04-22 2019-04-22 파워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3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0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제이티 푸시풀 리셉터클
KR20220104974A (ko) * 2021-01-19 2022-07-26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핀 타입 전기배선용 커넥터
KR102516444B1 (ko) *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55U (ja) * 1993-10-29 1995-06-02 株式会社エンパイヤ 電線速結端子台
KR20090009562U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보림전자 전선연결구
KR20170011096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제이티 스크류형 슬라이딩 구조의 커넥터
JP2017090658A (ja) * 2015-11-10 2017-05-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付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55U (ja) * 1993-10-29 1995-06-02 株式会社エンパイヤ 電線速結端子台
KR20090009562U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보림전자 전선연결구
KR20170011096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제이티 스크류형 슬라이딩 구조의 커넥터
JP2017090658A (ja) * 2015-11-10 2017-05-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付コネク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03A (ko) * 2020-12-10 2022-06-17 주식회사 제이티 푸시풀 리셉터클
KR102490042B1 (ko) 2020-12-10 2023-01-18 주식회사 제이티 푸시풀 리셉터클
KR20220104974A (ko) * 2021-01-19 2022-07-26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핀 타입 전기배선용 커넥터
KR102497008B1 (ko) * 2021-01-19 2023-02-09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핀 타입 전기배선용 커넥터
KR102516444B1 (ko) * 2022-02-04 2023-04-03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KR102518192B1 (ko) * 2022-02-04 2023-04-05 노경재 커넥터용 익스텐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0318B1 (ko) 파워 커넥터
KR950002037B1 (ko) 전기 콘넥터 어셈블리의 유동 장착 수단
KR100480215B1 (ko) 동축 플러그 부재
US8646988B2 (en) Optical connector adapter with excellent dust resistance
JP3131837B2 (ja) コネクタ装置
US6017153A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auxiliary spring
TWI618958B (zh) 可改變對接極性之光纖連接器
JP2002148479A (ja) 光コネクタのアダプター
US10079452B1 (en) Removal unit
EP2492588B1 (en) Solid state lighting assembly having a strain relief member
EP0856916A2 (en) Connector
JP2021048124A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プラグイン・コネクタ
US9391396B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s
KR20130004236U (ko) 상보적인 짝맞춤 형상부를 갖는 페룰 및 관련 섬유 광학 컨넥터
TWI758393B (zh) 磁吸式連接器組合
KR20200026553A (ko) 광 커넥터
KR20010085914A (ko) 광섬유 수접점용 커넥터 장치
JP4814287B2 (ja) アダプタおよび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EP2347476B1 (en) Connectors including spring tabs for holding a contact module
US12013584B2 (en) High-speed active contact
CN110888198A (zh) 光纤衰减器
CN217882107U (zh) 防插头脱落装置、连接器组件及医疗设备
KR20130002936U (ko) 상보적인 짝맞춤 형상부를 갖는 페룰 및 관련 섬유 광학 컨넥터
KR102490042B1 (ko) 푸시풀 리셉터클
US20240128697A1 (en) Plu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