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674B1 -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 Google Patents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674B1
KR102169674B1 KR1020180046811A KR20180046811A KR102169674B1 KR 102169674 B1 KR102169674 B1 KR 102169674B1 KR 1020180046811 A KR1020180046811 A KR 1020180046811A KR 20180046811 A KR20180046811 A KR 20180046811A KR 102169674 B1 KR102169674 B1 KR 10216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undus
unit
pai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084A (ko
Inventor
문성혁
윤창기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6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6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04N5/225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검사자의 양안과 접하도록 일측에 대안홀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카메라부; 상기 대안홀과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정보를 송출하는 추가정보부; 및 상기 추가정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정보부에서 송출하는 추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피검자의 과거검사화면을 보관하는 과거자료저장부재와, 상기 과거검사화면에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표시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저장하는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거자료저장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검사화면 및 상기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에서 생성된 치료부위표시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는, 휴대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한 쌍의 카메라부를 이용함으로써 안저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동공의 축에 기울여서 안저를 관찰하거나 인덴테이션 기술을 적용하여 주변부 안저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영상저장부를 통하여 안저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 추후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확인하거나, 질환의 경과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추가정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안저의 관찰과 동시에 기저장된 자료화면이나, 과거검사화면 또는 치료부위가 표시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보며 검사가 가능하여, 안저검사의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어, 검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Mixed reality fundus camera}
본 발명은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 내부의 유리체, 망막, 맥락막, 시신경유두 등을 검사하기 위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저(眼底) 검사는, 검안경이나 세극등을 이용하여 동공을 통해 안구 내의 유리체, 망막, 맥락막, 시신경유두 등을 확인하는 검사법이다. 안저검사를 위한 방법으로는, 휴대가 간편하고 비교적 쉽게 시행할 수 있어 다양한 세부 전공의 의사들이 모두 활용할 수 있는 검사방법인 직상검안경검사, 의사가 머리에 착용하고 손에는 렌즈를 들고 안저를 검사하는 도상검안경검사 및 여러 보조렌즈와 세극등을 사용하여 안저를 검사하며 해상도가 매우 우수하여 정밀한 안저검사에 적합한 세극등안저검사 등이 있다.
상기 안저검사방법 중, 도상검안경검사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간접도상검안경은 안과의사가 안저렌즈를 이용하여 직접 안저를 들여다보는 방식으로, 검사자가 간접도상검안경을 머리에 착용한 뒤, 한 손에는 안저렌즈를 쥐고 안저를 관찰하게 되며 안저렌즈의 위치를 재빠르게 이동시켜 초점을 맞춰 안저를 관찰하게 된다. 상기한 간접도상검안경은 직상검안경에 비하여 넓은 범위의 안저를 관찰하기에 용이하여 대부분의 안과에서 시행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저검사 시, 안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안저를 촬영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의 안저를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안저촬영기에 환자가 앉아서 안저를 촬영하는 방법이 있으나, 촬영에 협조가 안되는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안저촬영기가 구비된 장소로 이동하거나 촬영이 끝날 때 까지 앉아있기 어려워 촬영의 제약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약을 보안하기 위하여 휴대용 안저촬영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한편 미숙아망막증과 망막 박리 같은 질환을 검사하기 위하여 안저의 주변부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망막의 주변부를 눌러 보는 인덴테이션 기술(indentation technique)을 적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미숙아에서 발생하는 실명의 원인인 미숙아망막증의 단계는 혈관이 있는 망막과 혈관이 없는 망막의 경계부위의 돌출모양과 범위에 따라 1-3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망막박리의 범위에 정도에 따라 4-5단계로 나누게 된다. 이에 따라 검사자가 그 모양을 입체적으로 보고 판단을 하여야 1-5단계를 정확하게 진단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용 안저촬영장치는, 하나의 카메라만 사용하기 때문에 안저의 입체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가 없었다. 또한 휴대성을 위하여 광시야각이 가능한 광학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안저의 범위가 협소하여 주변주 안저를 촬영하지 못하는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협조가 안되는 소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안저 촬영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안저의 주변부에 대한 확인이 어려워 검사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안저촬영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3714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휴대용으로 이용가능하며, 안저 주변부의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안저영상을 저장하면서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표시한 후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에 저장하고, 제어부는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에 저장된 치료부위표시화면과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안저영상을 함께 출력하여 질환의 경과를 살피면서 치료부위가 표시된 부위를 참조하여 레이저 치료 등의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검사자의 양안과 접하도록 일측에 대안홀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카메라부; 상기 대안홀과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정보를 송출하는 추가정보부; 및 상기 추가정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정보부에서 송출하는 추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피검자의 과거검사화면을 보관하는 과거자료저장부재와, 상기 과거검사화면에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표시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저장하는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거자료저장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검사화면 및 상기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에서 생성된 치료부위표시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는, 상기 프레임과 이격배치되고, 검사자가 파지가능하여 피검자의 안구의 전방에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안저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검사영상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자료화면을 보관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자료화면을 검사자가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피검자의 안저영상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서 저장된 자료화면들과 비교하여 저장된 자료화면들 중 촬영된 피검자의 안저영상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자료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영상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무선 또는 유선 네크워크망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바닥에 구비되어 검사자의 발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어프레임과, 상기 제어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볼과, 상기 제어볼의 회전에 따라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는, 피검자의 동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배치되고, 각각의 외주연이 동공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는, 하나의 카메라부의 중심축과, 다른 하나의 카메라부의 중심축 간의 거리가 0.5~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는, 검사자의 좌측안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1카메라와, 상기 제 1카메라의 전방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카메라의 중심축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1반사경과, 검사자의 우측안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2카메라와, 상기 제 2카메라의 전방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카메라의 중심축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2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1카메라의 중심축과 상기 제 2반사경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2카메라의 중심축은 피검자의 동공 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카메라의 중심축과, 상기 제 2카메라의 중심축 간의 거리가 0.5~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는, 휴대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한 쌍의 카메라부를 이용함으로써 안저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동공의 축에 기울여서 안저를 관찰하거나 인덴테이션 기술을 적용하여 주변부 안저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영상저장부를 통하여 안저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 추후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확인하거나, 질환의 경과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추가정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안저의 관찰과 동시에 기저장된 자료화면이나, 과거검사화면 또는 치료부위가 표시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보며 검사가 가능하여, 안저검사의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어, 검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볼을 통하여 검사자의 발로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디스플에이부에 추가정보의 출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의 한 쌍의 카메라의 중심축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의 제어부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의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10)는 검사자(D)가 피검자의 안구(E)에 대한 안저검사를 수행하고, 안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10)는 대물렌즈(100), 프레임(200), 한 쌍의 카메라부(300), 디스플레이부(400), 추가정보부(500), 제어부(600), 광원부(700), 검사영상저장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대물렌즈(100)는 검사자(D)가 파지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검사자(D)가 파지하여 피검자의 안구(E)의 전방에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대물렌즈(100)는 후술(後述) 할 프레임(200)과 이격배치 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검사자(D)의 양안과 접하는 대안홀(20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대안홀(201)이 검사자(D)의 양안에 밀착되도록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헤드마운드(Head mounted)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대안홀(201)을 통하여 검사자(D)는 피검자의 안저(E)를 주시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는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200)의 타측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는, 피검자의 동공(E)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배치되며, 각각의 외주연이 동공(E)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한 쌍의 카메라부(300)의 중심축(C1,C2)이 피검자의 동공(E)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는, 하나의 카메라부(300a)의 중심축(C1)과, 다른 하나의 카메라부(300b)의 중심축(C2) 간의 거리(d)가 0.5~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의 거리가 너무 좁아지게 되면 입체시가 떨어지게 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의 중심축(C1,C2)간의 거리가 0.5~5(cm)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선명한 안저의 입체시를 관찰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를 구비함으로써, 안저영상을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어 검사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카메라부(300)의 중심축(C1,C2)이 0.5~5(cm)의 거리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최상의 입체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대안홀(201)과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400)가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에서 촬영한 안저영상을 전달받아 출력함으로써, 검사자(D)는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VR(Virtual Reality)프로그램 또는 3D스테레오(3D Stere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안저영상을 입체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는 피검자의 양안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디스플레이부(400)로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추가정보부(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추가정보를 송출한다. 즉 상기 추가정보부(5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추가정보를 송출함으로써, 검사자(D)가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가 촬영한 안저영상과 함께 추가정보를 오버레이(overlay)로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정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정보부(500)에서 송출하는 추가정보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데이터저장부(610), 영상판단부(620), 과거자료저장부(630) 및 치료부위표시화면저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610)는 기저장된 자료화면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저검사에 필요한 자료화면을 보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61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화면을 추가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61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화면 중 검사자(D)가 원하는 자료화면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판단부(620)는 상기 카메라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300)로부터 촬영된 피검자의 안구영상과, 상기 데이터저장부(610)에 저장된 자료화면들과 비교하여 저장된 자료화면들 중 촬영된 피검자의 안저영상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자료화면을 추출한다. 즉 상기 영상판단부(620)는, 상기 데이터저장부(610)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화면 중 피검자의 안구영상과 유사도가 높은 자료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D)는 피검자의 안구영상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자료화면을 확인하며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검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거자료저장부(630)는 피검자의 과거검사화면을 보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과거자료저장부(63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검사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추가정보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과거자료저장부(630)를 통하여 과거검사화면을 추가정보로 출력함으로써, 검사자(D)가 피검자의 과거검사화면과 현재의 안저영상을 함께 볼 수 있어, 안저질환의 경과를 확인 하며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검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640)는, 검사자가 상기 과거자료저장부(630)에 저장되어 있는 피검자의 과거검사화면에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표시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치료부위표시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료부위표시화면이 상기 카메라부(300)에서 촬영한 안저영상에 함께 출력되어, 사용자는 치료 시 상기 치료부위에 표시된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참조하여 레이저 치료 등의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검사자(D)의 발(F)을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600)는 제어프레임(601), 제어볼(602), 제어신호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프레임(601)은 바닥(G)에 구비되어 검사자(D)의 발(F)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어볼(602)은 상기 제어프레임(601)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검사자(D)는 발(F)을 이용하여 제어볼(60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부(603)는 상기 제어볼(602)의 회전에 따라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부연하면 상기 제어볼(602)은 기설정된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회전구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자(D)가 발(F)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볼(602)을 회전시키면, 회전구간에 대응하여 제어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되는 추가정보의 종류나 화면의 크기 등을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가 검사자(D)의 발을 이용하여 제어됨으로써, 검사자의 손을 이용하여 인덴테이션(Indentation) 기술을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주변부의 망막검사도 진행이 가능하여 사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외부로 송출하는 화면전송부가 설치된다. 상기 화면전송부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다른 검사자도 동시에 검사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 있는 의료인에게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원부(700)는 상기 프레임(200)의 타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E)에 광원을 조사한다. 즉 상기 광원부(700)는 안저검사를 위하여 피검자의 안구(E)에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안구 내의 유리체, 망막, 맥락막, 시신경유두 등의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검사영상저장부(800)는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를 통하여 촬영된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검사영상저장부(800)는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300)를 통해 촬영된 안저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며, 상기 검사영상저장부(800)를 통하여 추후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확인하거나, 질환의 경과를 살펴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20)를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20)의 한 쌍의 카메라부(300)는 제 1카메라(310), 한 쌍의 제 1반사경(320), 제 2카메라(330), 한 쌍의 제 2반사경(3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카메라(310)는 검사자(D)의 좌측안구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반사경(320)은 상기 제 1카메라(310)의 전방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카메라(310)의 중심축(C1)을 이동시킨다. 즉 상기 한 쌍의 제 1 반사경(320)은 상기 제 1 카메라(310)의 중심축(C1)을 이동시켜 상기 제 1카메라(310)가 촬영하는 시야축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카메라(330)는 검사자(D)의 우측안구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반사경(340)은 상기 제 2카메라(330)의 전방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카메라(330)의 중심축(C2)을 이동시킨다. 즉 상기 한 쌍의 제 2 반사경(320)은 상기 제 2카메라(310)의 중심축(C2)을 이동시켜 상기 제 2카메라(330)가 촬영하는 시야축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반사경(32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1카메라(310)의 중심축(C1)과 상기 제 2반사경(34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2카메라(320)의 중심축(C2)은 피검자의 동공(E) 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반사경(32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1카메라(310)의 중심축(C1)과 상기 제 2반사경(34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2카메라(320)의 중심축(C2) 간의 거리는 0.5~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반사경(32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1카메라(310)의 중심축(C1)과 상기 제 2반사경(340)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2카메라(320)의 중심축(C2)간의 거리가 0.5~5(cm)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선명한 안저의 입체시를 관찰 가능하다. 즉 상기 제 1반사경(320) 및 상기 제 2반사경(340)을 통하여 상기 제 1카메라(310) 및 상기 제 2카메라(320)의 중심축(C1,C2)간의 거리를 이동, 조절가능하여 상기 제 1카메라(310) 및 상기 제 2카메라(320)의 설치가 용이하며, 상기 제 1카메라(310) 및 상기 제 2카메라(320)의 중심축(C1,C2)이 0.5~5(cm)의 거리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최상의 입체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는, 휴대용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한 쌍의 카메라부를 이용함으로써 안저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동공의 축에 기울여서 안저를 관찰하거나 인덴테이션 기술을 적용하여 주변부 안저에 대한 검사가 가능하며, 검사영상저장부를 통하여 안저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 추후 피검자의 안저영상을 확인하거나, 질환의 경과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추가정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안저의 관찰과 동시에 기저장된 자료화면이나, 과거검사화면 또는 치료부위가 표시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보며 검사가 가능하여, 안저검사의 시간을 단축하고, 검사의 정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어, 검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볼을 통하여 검사자의 발로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디스플에이부에 추가정보의 출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0 :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100 : 대물렌즈
200 : 프레임 201 : 대안홀
300 : 한 쌍의 카메라부 310 : 제 1카메라
320 : 제 1반사경 330 : 제 2카메라
340 : 제 2반사경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추가정보부 600 : 제어부
601 : 제어프레임 602 : 제어볼
603 : 제어신호부 610 : 데이터저장부
620 : 영상판단부 630 : 과거자료저장부
640 :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 700 : 광원부
800 : 검사영상저장부 D : 검사자
E : 안구

Claims (14)

  1.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검사자의 양안과 접하도록 일측에 대안홀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카메라부;
    상기 대안홀과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추가정보를 송출하는 추가정보부; 및
    상기 추가정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정보부에서 송출하는 추가정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피검자의 과거검사화면을 보관하는 과거자료저장부재와,
    상기 과거검사화면에 치료가 필요한 부위를 표시한 치료부위표시화면을 저장하는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거자료저장부재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검사화면 및 상기 치료부위표시화면 저장부재에서 생성된 치료부위표시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안구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안저영상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검사영상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자료화면을 보관하는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자료화면을 검사자가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피검자의 안저영상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서 저장된 자료화면들과 비교하여 저장된 자료화면들 중 촬영된 피검자의 안저영상과 유사도가 가장 높은 자료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영상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을 무선 또는 유선 네크워크망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전송하는 화면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바닥에 구비되어 검사자의 발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어프레임과,
    상기 제어프레임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볼과,
    상기 제어볼의 회전에 따라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신호부를 포함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는,
    피검자의 동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도록 이격배치되고, 각각의 외주연이 동공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는,
    하나의 카메라부의 중심축과, 다른 하나의 카메라부의 중심축 간의 거리가 0.5~5(cm)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카메라부는,
    검사자의 좌측안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1카메라와,
    상기 제 1카메라의 전방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카메라의 중심축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1반사경과,
    검사자의 우측안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2카메라와,
    상기 제 2카메라의 전방에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2카메라의 중심축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 2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1카메라의 중심축과 상기 제 2반사경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제 2카메라의 중심축은 피검자의 동공 내의 위치에 배치되는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의 중심축과, 상기 제2카메라의 중심축 간의 거리가 0.5~5(cm)인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KR1020180046811A 2018-04-23 2018-04-23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KR10216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11A KR102169674B1 (ko) 2018-04-23 2018-04-23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811A KR102169674B1 (ko) 2018-04-23 2018-04-23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84A KR20190123084A (ko) 2019-10-31
KR102169674B1 true KR102169674B1 (ko) 2020-10-23

Family

ID=6842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811A KR102169674B1 (ko) 2018-04-23 2018-04-23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201B1 (ko) 2019-12-03 2020-08-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저 카메라를 이용한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다초점기능 자동검사 장치, 그 방법 및 기록매체
KR102255497B1 (ko) * 2020-01-22 2021-05-24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일체형 안질환 촬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8447A (ja) * 2015-04-14 2016-12-0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画像表示装置及び眼科撮影装置
CN205903241U (zh) * 2016-04-28 2017-01-25 黄丹瑜 新型眼底成像***
JP2018051210A (ja) * 2016-09-30 2018-04-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手術システム、眼科手術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眼科用手術顕微鏡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4680A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홍채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홍채검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8447A (ja) * 2015-04-14 2016-12-0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画像表示装置及び眼科撮影装置
CN205903241U (zh) * 2016-04-28 2017-01-25 黄丹瑜 新型眼底成像***
JP2018051210A (ja) * 2016-09-30 2018-04-05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手術システム、眼科手術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眼科用手術顕微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084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8061B2 (ja) 眼底撮影装置
JP7320662B2 (ja) 眼科装置
US11382498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of eye
JP6671216B2 (ja) 眼科検査装置
JP2018042760A (ja) 眼科検査装置
JP7390793B2 (ja) 眼科装置
KR20200067398A (ko)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102169674B1 (ko)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JP2016220880A (ja) 検眼装置
KR101930924B1 (ko) 안과용 촬영장치
JP6822798B2 (ja) 眼科検査装置
US20140268040A1 (en) Multimodal Ocular Imager
JP6860720B2 (ja) 眼科検査装置
JP4494075B2 (ja) 検眼装置
JP2021019976A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2021019975A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7377331B2 (ja) 眼科装置
JP7034242B2 (ja) 眼科検査装置
JP7034243B2 (ja) 眼科検査装置
KR102221915B1 (ko) 안저 카메라용 외부 주시 램프
EP4238482A1 (en) Ophthalmological observ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7018152B2 (ja) 眼科検査装置
CN115697178B (zh) 手术支援装置
JP6909325B2 (ja) 眼科検査装置
JP7166080B2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