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09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094B1
KR102167094B1 KR1020190024999A KR20190024999A KR102167094B1 KR 102167094 B1 KR102167094 B1 KR 102167094B1 KR 1020190024999 A KR1020190024999 A KR 1020190024999A KR 20190024999 A KR20190024999 A KR 20190024999A KR 102167094 B1 KR102167094 B1 KR 10216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ertical direction
mating
main surface
shap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953A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높이방향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태킹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커넥터(20)의 부가부재(26)는 접속기구(270)를 구비한다. 접속기구(270)는 스프링부(272)와 판모양 편부(274)를 구비한다. 판모양 편부(274)는 끝면(280)을 갖고, 끝면(280)에는 접속부(286)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86)는, 제2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내측을 향하고 있음과 아울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부(240) 내에 위치한다. 스프링부(272)는, 접속부(286)가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판모양 편부(274)를 지지하고 있다.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가 감합하였을 때에, 접속부(286)는 상대측 접속부(368)와 접속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태킹 타입 커넥터(stacking type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도17을 참조하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90)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92)와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94)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92)와 플러그 커넥터(94)는, 높이방향(Z방향)을 따라 감합(嵌合)과 분리(分離)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감합과 분리가 가능한 커넥터는, 스태킹 타입 커넥터라고 불린다. 스태킹 타입 커넥터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 상에 실장(實裝)되어 회로기판(回路基板) 간을 접속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92)는, 그 길이방향 양단(兩端)에 리셉터클 금구(receptacle 金具)(920)를 구비하고 있다. 도18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금구(920)는, 플러그 금구(plug 金具)(940)(도17을 참조)와의 전기적 접속 및 감합 로크(嵌合 lock)을 실현시키기 위한 돌기부(突起部)(922)를 갖고 있다. 돌기부(922)는, 리셉터클 금구(920)의 내측면부(924)에 절단가공(切斷加工) 및 프레스가공(press加工)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85541호 공보
특허문헌1의 리셉터클 금구(920)에 있어서, 돌기부(922)의 주위에는 내측면부(924)가 존재한다. 이 내측면부(924)는, 절단가공 및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돌기부(922)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그 때문에 이 리셉터클 금구(920)는, 높이방향(감합방향)에 있어서 그 사이즈(size)를 감소시키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특허문헌1의 리셉터클 커넥터(92)에는, 높이방향의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것(저배화(低背化))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높이방향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태킹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로서,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상물 위에 탑재됨과 아울러 상대측 접속부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감합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단자와, 2개의 부가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와 상기 부가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접속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기구의 각각은, 스프링부와, 판모양 편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판모양 편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측 주면과,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고 있는 하측 주면과,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면과 상기 하측 주면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끝면을 갖고 있고,
상기 끝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하였 때에 상기 상대측 접속부와 접속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측을 향함과 아울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접속기구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판모양 편부를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커넥터로서, 제1커넥터이며,
상기 부가부재는 상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판모양 편부는, 상기 상벽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벽부에 숨겨져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커넥터로서, 제2커넥터이며,
상기 부가부재는, 피고정부와, 기부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기부는, 상기 상벽부에 추가하여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측벽부를 갖고 있고,
상기 상벽부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3까지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끝면은, 내측 측면과, 돌출면을 갖고 있고,
상기 내측 측면은, 상기 제2방향과 교차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돌출면은, 상기 내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돌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4까지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상측 주면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5까지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상대측 접속부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6까지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부가부재는 제한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상측 주면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측 주면이 상방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8커넥터로서, 제2 또는 제3의 커넥터이며,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상벽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또한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내부를 갖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9커넥터로서, 제8커넥터이며,
상기 안내부의 하단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판모양 편부의 상기 상측 주면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측 주면이 상방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0커넥터로서, 제1부터 제9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부가부재를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접속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1커넥터로서, 제3커넥터이며,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판모양 편부와, 상기 피고정부와, 상기 기부로 이루어지는 주부를 2개 갖고 있고,
2개의 상기 주부는,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커넥터로서, 제11커넥터이며,
상기 부가부재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2개의 상기 주부의 상기 기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있어서, 부가부재의 접속부는 판모양 편부의 끝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부의 주위에는 평면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저배화를 실현시킨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아직 서로 감합하지 않고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서로 감합하고 있다.
도3은, 도2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A-A선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커넥터에 포함되는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도8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1은, 도8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12는, 도8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도8의 부가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아직 서로 감합하지 않고 있다.
도15는, 도14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는 서로 감합하고 있다.
도16은, 도15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B-B선 단면도이다.
도17은, 특허문헌1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커넥터 조립체에 포함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실시형태)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組立體)(10)는, 커넥터(connector)(20)와 상대측 커넥터(30)(相對側 connector)를 구비하고 있다. 도1 및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는, 상하방향(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감합(嵌合) 가능하고 또한 분리(分離)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은 Z방향이다. 또한 +Z방향이 상방이며, -Z방향이 하방이다.
커넥터(20) 및 상대측 커넥터(30)는, 사용할 때에 대상물(對象物)(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및 상대측 대상물(相對側 對象物)(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 위에 각각 탑재된다. 대상물 및 상대측 대상물은, 예를 들면 회로기판(回路基板)이다. 커넥터(20)가 대상물의 상면에 탑재되는 경우, 상대측 커넥터(30)는 상대측 대상물의 하면에 탑재된다. 대상물의 상면과 상대측 대상물의 하면을 서로 대향(對向)시키도록,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는 서로 감합한다. 이에 따라 대상물과 상대측 대상물은, 커넥터(20) 및 상대측 커넥터(30)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5를 참조하면, 상대측 커넥터(30)는, 복수의 상대측 단자(相對側 端子)(32)와, 상대측 하우징(相對側 housing)(34)과, 한 쌍의 상대측 고정금구(相對側 固定金具)(36)를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단자(32)는,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있다. 상대측 하우징(34)은, 제1방향으로 긴 한 쌍의 장벽부(長壁部)(340)와, 한 쌍의 단벽부(短壁部)(342)를 구비하고 있다. 단벽부(342)는 장벽부(340)의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장벽부(340)는 각각 상대측 단자(32)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단벽부(342)는 각각 상대측 고정금구(36)를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방향은 X방향이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 고정금구(36)의 각각은, 주부(主部)(360)와, 단벽부(端壁部)(362)와, 한 쌍의 제1측벽부(364)와, 한 쌍의 제2측벽부(366)를 갖고 있다. 상대측 고정금구(36)는 한 장의 금속판을 절단가공(切斷加工) 및 절곡가공(折曲加工)(또는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주부(360)는, 대략 사각형의 평판모양으로서, 상대측 하우징(34)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단벽부(362)은, 주부(360)의 제1방향의 일방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대측 하우징(34)의 끝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제1측벽부(364) 및 제2측벽부(366)는, 주부(360)의 제2방향(가로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대측 하우징(34)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방향은, 상하방향 및 제1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 즉 Y방향이다. 제2측벽부(366)는, 제1방향에 있어서 제1측벽부(364)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벽부(362)에는, 제2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압입돌기(壓入突起)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측벽부(364)에는, 제1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압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압입돌기를 이용하여, 상대측 고정금구(36)는 상대측 하우징(34)에 고정된다.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측벽부(364)는, 제2방향과 직교하는 주면(主面)(368)을 갖고 있다. 제1측벽부(364)의 주면(368)은, 후술하는 커넥터(20)의 접속부(接續部)(286)(도6 등을 참조)와 접속하는 상대측 접속부(相對側 接續部)로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30)는 상대측 접속부(368)를 갖고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커넥터(20)는, 복수의 단자(22)와, 하우징(24)과, 한 쌍의 고정금구(부가부재(付加部材))(26)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22)는 제1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24)은 단자(22)와 고정금구(26)를 지지하고 있다. 하우징(24)에는,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가 서로 감합하였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수용부(受容部)(240)가 형성되어 있다. 도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240)의 형상은,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대략 프레임형상(frame形狀)이다. 상세하게 수용부(240)는, 두개의 장홈(長溝)(242)과, 이들 장홈(242)의 단부(端部)를 접속하는 두개의 단홈(短溝)(2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홈(242)은 상대측 커넥터(30)의 장벽부(340)(도5를 참조)에 대응하고, 단홈(244)는 단벽부(342)(도5를 참조)에 대응하고 있다. 단자(22)의 각각은 수용부(240) 내에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세하게 각 단자(22)는, 장홈(242)으로 돌출하는 두개의 접점(接點)을 갖고 있다. 두개의 접점은,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고정금구(26)는 상대측 하우징(34)의 제1방향의 양단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금구(26)의 각각도 수용부(240) 내에 부분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8부터 도13을 참조하면, 고정금구(26)의 각각은, 한 쌍의 주부(260)와, 연결부(連結部)(290)를 갖고 있다. 주부(260)는, 각각 피고정부(被固定部)(262)와, 기부(基部)(264)와, 접속기구(接續耭構)(270)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기구(270)는, 스프링부(spring部)(272)와, 판모양 편부(板狀 片部)(27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주부(260)는, 피고정부(262)와, 기부(264)와, 스프링부(272)와, 판모양 편부(274)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260)는, 제2방향에 있어서 수용부(240)의 단홈(244)(도7을 참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29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주부(260)의 기부(264)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고정금구(26)는, 한 장의 금속판을 절단가공 및 절곡가공하여 형성된다.
도8부터 도13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264)는, 제2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 있다. 도8부터 도13까지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부(264)의 각각은, 상벽부(上壁部)(266)와 측벽부(側壁部)(268)를 구비하고 있다. 측벽부(268)의 하단은 피고정부(262)를 구성하고 있다. 피고정부(262)는, 커넥터(20)가 대상물(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탑재될 때에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다. 측벽부(268)는 피고정부(262)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측벽부(268)는 상벽부(266)의 제2방향의 외측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상벽부(266)는, 측벽부(268)로부터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벽부(266)는 하우징(24)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고, 측벽부(268)는 하우징(24)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도8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부(268)에는, 제1방향을 따라 일방으로 돌출하는 압입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금구(26)는 측벽부(268)의 압입돌기에 의해 하우징(24)에 고정되어 있다.
도8부터 도13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모양 편부(274)는, 상측 주면(上側 主面)(276)과, 하측 주면(下側 主面)(278)과, 끝면(280)을 갖고 있다. 상측 주면(276)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고 있는 면이다. 하측 주면(278)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고 있는 면이다. 상측 주면(276) 및 하측 주면(278)은,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어도 좋고,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傾斜)를 갖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측 주면(276) 및 하측 주면(278)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15도 이하의 경사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측 주면(276) 및 하측 주면(278)은 모두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환언하면 판모양 편부(274)는, 그 두께방향이 상하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8부터 도13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끝면(280)은,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측 주면(276)과 하측 주면(278)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 주면(276) 및 하측 주면(278)의 쌍방과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끝면(280)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면이다. 끝면(280)은, 상측 주면(276) 및 하측 주면(278)의 경사에 따라,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끝면(280)은, 하나 이상의 평면이어도 좋고 곡면이어도 좋다. 또는 끝면(280)은, 하나 이상의 평면과 하나 이상의 곡면의 조합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모양 편부(274)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부츠모양(boots狀)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끝면(280)도 또한,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부츠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끝면(280)은, 복수의 평면과 복수의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끝면(280)은, 내측 측면(內側 側面)(282)과, 내측 측면(282)에 연속하는 돌출면(突出面)(284)을 갖고 있다. 내측 측면(282)은, 제2방향과 교차함과 아울러 제2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고 있다. 돌출면(284)은, 내측 측면(282)으로부터 제2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돌출면(284)은 부츠형상의 발끝부분에 상당한다. 도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면(28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부(240)의 단홈(244) 내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돌출면(284)의 선단면(286)은, 수용부(240)의 단홈(244) 내에 위치하고, 제2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내측을 향하고 있다. 선단면(286)은, 상하방향을 따라 고정금구(26)를 보았을 때에, 적어도 일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면(286)의 윤곽(가장자리)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돌출면(284)의 선단면(286)은,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도5를 참조)가 서로 감합하였을 때에, 상대측 접속부(368)(도5를 참조)에 접속하는 접속부로서 기능을 한다. 환언하면, 돌출면(284)에는 접속부(286)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부(240)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제2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내측을 향하도록, 끝면(280)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환언하면, 끝면(280)의 일부가 접속부로서 기능을 하도록, 수용부(240)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제2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내측을 향하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접속부는, 평면에 한하지 않고 곡면 또는 볼록면이어도 좋고, 이웃하는 평면이 형성되는 모서리이어도 좋다. 또한 판모양 편부(274)의 형상이 상하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사변형인 경우에는, 그 근처나 모서리가 접속부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도8 및 도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72)는, 제2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U자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 스프링부(272)는, 대응하는 기부(264)의 상벽부(266)로부터 제1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방으로 구부러지고, 또한 제1방향을 따라 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부(272)는, 대응하는 기부(264)의 상벽부(266)와 판모양 편부(274)를 연결하고 있다. 스프링부(272)는, 탄성을 갖고 있어 판모양 편부(274)를 상벽부(266)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8부터 도11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72)는, 판모양 편부(274)의 돌출면(284)의 선단면(접속부)(286)이 적어도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판모양 편부(274)를 지지하고 있다. 도8부터 도13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72)에 지지된 판모양 편부(274)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벽부(266)의 하방에 위치한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에서 본 경우에, 판모양 편부(27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벽부(266)에 숨겨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벽부(266)와 판모양 편부(27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벽부(266)와 판모양 편부(274)는 서로 평행하지 않아도 좋다.
도8부터 도13까지의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290)에는,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내벽부(292)와 외벽부(294)가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벽부(292)는 제1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벽부(294)는 제1방향에 있어서 커넥터(2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벽부(292)와 외벽부(294)로 하우징(24)의 일부를 협지함으로써, 하우징(24)에 대한 제1방향을 따르는 고정금구(26)의 이동이 방지된다.
도8부터 도10, 도12 및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정금구(26)는, 한쌍의 안내부(案內部)(296)와, 한 쌍의 제한부(制限部)(298)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8, 도9 및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296)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벽부(266)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안내부(296)는, 상벽부(266)로부터 제2방향의 내측을, 또한 상하방향의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내부(296)는, 만곡면을 갖고 있지만, 만곡면을 대신하여 평면을 갖고 있어도 좋다.
도8부터 도10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한부(298)는, 판모양 편부(274)의 상측 주면(27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한부(298)는, 안내부(296)의 하단면으로서 부분적으로 상측 주면(276)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한부(298)는 안내부(296)와는 별도로 상벽부(266)에 형성되어도 좋다. 제한부(298)는, 상측 주면(276)의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상측 주면(276)의 상방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제한부(298)는 접속기구(270)의 과대변형을 방지한다.
도1 및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30)는, 커넥터(20)의 상방으로부터 커넥터(20)의 수용부(240)로 삽입된다. 이 때, 안내부(296)는 상대측 커넥터(30)를 수용부(240)로 안내한다. 환언하면, 안내부(296)는 제2방향에 관해서 상대측 커넥터(30)의 위치결정을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고정금구(26)의 선단면(접속부)(286)과 상대측 고정금구(36)의 주면(상대측 접속부)(368)는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가 서로 감합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선단면(286) 사이의 간격은, 제2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고정금구(36)의 폭보다 좁다. 상대측 커넥터(30)가 커넥터(20)의 수용부(240)에 수용될 때에, 판모양 편부(274)는 상대측 고정금구(36)에 의해 제2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밀린다. 이 때, 스프링부(272)(도1을 참조)의 탄성에 의하여 판모양 편부(27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그 결과, 상대측 커넥터(30)는 커넥터(20)의 수용부(240)에 수용된다. 그리고 스프링부(272)의 복원력에 의하여 선단면(접속부)(286)은 주면(상대측 접속부)(368)에 눌려진다. 이렇게 해서, 고정금구(26)의 선단면(접속부)(286)과 상대측 고정금구(36)의 주면(상대측 접속부)(368)은 서로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속」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의 적어도 일방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은, 주로 전기적 접속을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부(286)와 상대측 접속부(368)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20)에 있어서 접속부(286)는, 판모양 편부(274)의 끝면(280)(도8을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부(286)의 주위에 평면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접속부(286)를 포함하는 접속기구(270)를 저배화하고, 이로써 커넥터(20)를 저배화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1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A)는,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20)는,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도1을 참조)의 커넥터(2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대측 커넥터(30A)는, 상대측 고정금구(36A)가 오목부(370)를 갖고 있는 점에서, 제1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10)의 상대측 커넥터(30)(도1을 참조)와 다르다.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목부(370)는, 제1측벽부(364A)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70)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30A)의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오목부(370)는, 바닥면(372)과 두개의 측벽으로 규정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목부(370)는 사방이 측벽으로 둘러싸여 있어도 좋다. 오목부(370)는,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가 서로 감합하였을 때에, 돌출면(284)(도8을 참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사이즈를 갖고 있다. 오목부(370)를 규정하는 측벽 중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측벽의 측면(374)은,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의 감합상태를 로크(lock)하기 위한 피로크면(被lock面)(상대측 접속부)로서 기능을 한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면,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가 서로 감합한 상태에 있어서, 고정금구(26)의 선단면(접속부)(286)과 상대측 고정금구(36A)의 피로크면(상대측 접속부)(374)은 서로 접속된다. 상세하게 선단면(2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370) 내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에 있어서 피로크면(374)의 상방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피로크면(37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면(284)의 하방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상대측 커넥터(30A)를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면, 피로크면(374)이 선단면(286)의 일부에 맞부딪친다. 이렇게 해서,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의 감합상태가 로크된다. 환언하면, 선단면(접속부)(286)과 피로크면(상대측 접속부)(374)은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가 감합하고 있을 때에, 선단면(286)은 오목부(370)의 바닥면(372)에 접촉하고 있다. 환언하면, 고정금구(26)와 상대측 고정금구(36)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금구(26)와 상대측 고정금구(36)의 전기적 접속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선단면(286)은 오목부(370)의 바닥면(372)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면(접속부)(286)과 피로크면(상대측 접속부)(374)은 서로 기계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계적「접속」은, 반드시 물리적 접촉을 수반하지 않아도 좋다.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가 감합하고 있을 때에, 선단면(286)은 피로크면(374)으로부터 상하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단면(28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로크면(374)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선단면(286)과 피로크면(374)은, 기계적으로 서로 접속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서로 접속된다.
도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로크면(374)은 상하방향과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20)에 대하여 상대측 커넥터(30A)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피로크면(374)이 판모양 편부(274)에 맞부딪쳐, 판모양 편부(274)에는 제2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스프링부(272)(도8을 참조)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선단면(286)이 제2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이동하면, 커넥터(20)와 상대측 커넥터(30A)의 감합상태의 로크가 해제된다. 이렇게 해서, 상대측 커넥터(30A)를 커넥터(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20)도 또한,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배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저배화된 커넥터(20)이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접속부(286)를 상대측 커넥터(30A)의 피로크면(374)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대해서 몇개의 실시형태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290)는, 기부(264)를 서로 연결하고 있었지만, 안내부(296)를 서로 연결하여도 좋다. 또한 연결부(290)는, 기부(264)를 서로 접속함과 아울러 안내부(296)를 서로 연결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가부재(26)는, 안내부(296)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안내부(296)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부가부재(26)는 제한부(298)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10, 10A 커넥터 조립체
20 커넥터
22 단자
24 하우징
240 수용부
242 장홈
244 단홈
26 고정금구(부가부재)
260 주부
262 피고정부
264 기부
266 상벽부
268 측벽부
270 접속기구
272 스프링부
274 판모양 편부
276 상측 주면
278 하측 주면
280 끝면
282 내측 측면
284 돌출면
286 선단면(접속부)
290 연결부
292 내벽부
294 외벽부
296 안내부
298 제한부
30, 30A 상대측 커넥터
32 상대측 단자
34 상대측 하우징
340 장벽부
342 단벽부
36, 36A 상대측 고정금구
360 주부
362 단벽부
364, 364A 제1측벽부
366 제2측벽부
368 주면(상대측 접속부)
370 오목부
372 바닥면
374 측면(피로크면)

Claims (12)

  1. 상하방향에 있어서 대상물(對象物) 위에 탑재됨과 아울러 상대측 접속부(相對側 接續部)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감합(嵌合) 가능한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단자(端子)와, 2개의 부가부재(付加部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에는, 감합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受容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와 상기 부가부재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제1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있고,
    상기 부가부재의 각각은 접속기구(接續機構)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접속기구의 각각은, 스프링부(spring部)와, 판모양 편부(板狀 片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판모양 편부는,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측 주면(上側 主面)과,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하방을 향하고 있는 하측 주면(下側 主面)과,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면과 상기 하측 주면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끝면을 갖고 있고,
    상기 끝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상대측 접속부와 접속하는 접속부(接續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상하방향 및 상기 제1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측을 향함과 아울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부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접속기구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판모양 편부를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는 상벽부(上壁部)를 갖고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벽부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판모양 편부는, 상기 상벽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방에서 본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벽부에 숨겨져 있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는, 피고정부(被固定部)와, 기부(基部)를 갖고 있고,
    상기 피고정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기부는, 상기 상벽부에 추가하여 상기 피고정부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측벽부(側壁部)를 갖고 있고,
    상기 상벽부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상기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면은, 내측 측면(內側 側面)과, 돌출면(突出面)을 갖고 있고,
    상기 내측 측면은, 상기 제2방향과 교차함과 아울러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내측을 향하고 있고,
    상기 돌출면은, 상기 내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돌출하고 있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돌출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주면은 상기 상하방향과 직교하고 있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하였을 때에, 상기 상대측 접속부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는 제한부(制限部)를 갖고 있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상측 주면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측 주면이 상방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하는
    커넥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상벽부로부터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또한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안내부(案內部)를 갖고 있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하단은, 상기 상하방향에 있어서 상기 판모양 편부의 상기 상측 주면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측 주면이 상방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를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상기 접속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커넥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는, 상기 스프링부와, 상기 판모양 편부와, 상기 피고정부와, 상기 기부로 이루어지는 주부(主部)를 2개 갖고 있고,
    2개의 상기 주부는,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부재는 연결부(連結部)를 갖고 있고,
    상기 연결부는 2개의 상기 주부의 상기 기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커넥터.
KR1020190024999A 2018-04-11 2019-03-05 커넥터 KR102167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76172 2018-04-11
JP2018076172A JP2019186062A (ja) 2018-04-11 2018-04-11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953A KR20190118953A (ko) 2019-10-21
KR102167094B1 true KR102167094B1 (ko) 2020-10-16

Family

ID=6816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999A KR102167094B1 (ko) 2018-04-11 2019-03-05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66735B2 (ko)
JP (1) JP2019186062A (ko)
KR (1) KR102167094B1 (ko)
CN (1) CN1103648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1375B2 (ja) * 2017-05-29 2020-09-23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1638606S (ko) * 2018-12-28 2019-08-05
JP1638446S (ko) * 2018-12-28 2019-08-05
TWD206845S (zh) * 2019-05-29 2020-09-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的固定件
CN111509430B (zh) * 2020-04-13 2021-06-0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2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1B (zh) * 2020-04-13 2021-11-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CN111613920B (zh) * 2020-04-13 2021-08-3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6968965B1 (ja)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CN115360551A (zh) * 2021-05-17 2022-11-18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JP1711754S (ja) 2021-08-24 2022-04-05 電気コネクタ
JP1728994S (ja) * 2022-04-26 2022-11-02 電気コネクタ
JP1728995S (ja) * 2022-04-26 2022-11-02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6033A (ja) 2006-09-05 2008-03-21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7168427A (ja) 2016-03-17 2017-09-21 フォックスコン インターコネク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雌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2017199634A (ja) 2016-04-28 2017-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7181B2 (ja) * 2011-02-07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US9391398B2 (en)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N105098413B (zh) * 2014-04-17 2017-09-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2015220005A (ja) 2014-05-15 2015-12-07 Smk株式会社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6279989B2 (ja) 2014-06-25 2018-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91517B2 (ja)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41876B2 (ja)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591251B2 (ja) 2015-10-01 2019-10-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6033A (ja) 2006-09-05 2008-03-21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7168427A (ja) 2016-03-17 2017-09-21 フォックスコン インターコネクト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雌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JP2017199634A (ja) 2016-04-28 2017-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953A (ko) 2019-10-21
US10566735B2 (en) 2020-02-18
US20190319398A1 (en) 2019-10-17
JP2019186062A (ja) 2019-10-24
CN110364847A (zh) 2019-10-22
CN110364847B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094B1 (ko) 커넥터
KR101687475B1 (ko) 커넥터 조립체
US9685726B2 (e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9300064B2 (en) Connector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539680B (zh) Substrate to substrate connector
US7658654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US9608353B1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497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JP5831611B1 (ja)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CN110277689B (zh) 可动连接器
JP2019117692A (ja) 回路基板用l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546403B (zh) 端子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CN107181130B (zh) 连接器及连接器结构
JP565921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40679B1 (ja) 電気コネクタ
CN114600321B (zh) 连接器
CN111355096B (zh) 分割连接器
US10439306B2 (e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JP693397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9185875A (ja)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20230170650A1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