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35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358B1
KR102163358B1 KR1020140091725A KR20140091725A KR102163358B1 KR 102163358 B1 KR102163358 B1 KR 102163358B1 KR 1020140091725 A KR1020140091725 A KR 1020140091725A KR 20140091725 A KR20140091725 A KR 20140091725A KR 102163358 B1 KR102163358 B1 KR 10216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area
pad
substrat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259A (ko
Inventor
신민재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358B1/ko
Priority to EP14196085.6A priority patent/EP2978286B1/en
Priority to US14/561,932 priority patent/US9082774B1/en
Priority to CN201410818151.8A priority patent/CN105321457B/zh
Publication of KR2016001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mprising non digital, non alphanumeric information, e.g. symb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7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after dicing
    • H01L2223/54486Located on package parts, e.g. encapsulation, leads, packag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9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the chips being integrally enclosed by the interconnect and suppor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16Processes relating to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2933/0066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18Optically detected marks used for aligning tool relative to the PCB, e.g. for mount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전극;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패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신호 패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 패드와 연결된 신호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 패드는 그 내부에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구동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패드에 신호 구동부를 접속하기 위해서 신호 패드와 신호 구동부 사이의 얼라인(align) 구조에 관한 것이다.
초창기 디스플레이 장치인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을 대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에 있어서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 이외에 수요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그 일환으로 상부 케이스(upper case)를 제거함으로써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면에 별도의 케이스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 보더리스(borderless) 디스플레이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보더리스 디스플레이는 디자인의 미감이 증진되어 수요자의 구매요구에 부응할 수 있지만, 제조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 영역 내에는 복수의 화소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화소에서는 소정 파장의 광이 방출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는 상기 기판(10)의 제1 측면, 예로서 상기 기판(10)의 좌측 비표시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는 상기 기판(10)의 좌측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패드(26)는 게이트 링크(25)를 통해서 상기 게이트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게이트 구동부(20)는 상기 게이트 패드(26)와 접속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및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21)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게이트 신호를 연성 인쇄 회로 필름을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26)로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기판(10)의 제2 측면, 예로서 상기 기판(10)의 상측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기판(10)의 상측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패드(36)는 데이터 링크(35)를 통해서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데이터 패드(36)와 접속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및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31)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신호를 연성 인쇄 회로 필름을 통해 상기 데이터 패드(36)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게이트 패드(26)에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게이트 패드(26)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를 얼라인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패드(36)에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데이터 패드(36)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를 얼라인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의 확대도에는 편의상 상기 데이터 패드(36)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를 얼라인하기 위한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다.
도 1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데이터 패드(36)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 사이의 얼라인 공정은 제1 얼라인 마크(40)와 제2 얼라인 마크(50)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4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트 구동부(30)를 구성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얼라인 마크(50)는 상기 기판(10)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판(10)의 상측 비표시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40)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5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50)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제2 얼라인 마크(50)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 상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40)의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얼라인 공정을 수행하게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와 상기 데이터 패드(36)를 접속시키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데이터 구동부를 데이터 패드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우선,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구동부(30)를 기판(10)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기판(10)에 형성된 제2 얼라인 마크(50)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40)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데이터 구동부(30)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 후,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50)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40)의 수용홈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를 하강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30)와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36)와의 얼라인 공정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데이터 구동부(30) 상에 형성되며 수용홈를 구비한 제1 얼라인 마크(40) 및 기판(10) 상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는 제2 얼라인 마크(50)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30)와 데이터 패드(36)의 얼라인 공정을 수행하였는데, 이 경우 상기 제1 얼라인 마크(4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면에서 인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경우 상기 데이터 구동부(30)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40)가 수용홈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그에 따라 표시 면에서 인식되는 제1 얼라인 마크(40)의 크기가 상당하여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미감을 중요시하는 보더리스 디스플레이에는 적용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데이터 구동부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가 표시 면에서 인식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전극;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패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신호 패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 패드와 연결된 신호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 패드는 그 내부에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구동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구동부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에 수용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얼라인 마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면에서 인식되는 얼라인 마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데이터 구동부를 데이터 패드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데이터 구동부를 데이터 패드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게이트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영역은 상기 기판(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에 형성된다.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 내에는 복수의 화소(P)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P) 각각은 게이트 배선(110), 데이터 배선(120), 고전위 전원 배선(130),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 커패시터(C), 제1 전극(140), 제2 전극(150), 및 발광 다이오드(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배선(110)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를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에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배선(120)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에 공급한다.
상기 고전위 전원 배선(130)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고전위 전압을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공급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는 상기 게이트 배선(110)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120)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공급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류를 생성하여 발광 다이오드(E)에 공급한다.
상기 커패시터(C)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각 프레임(frame) 동안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커패시터(C)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단자 및 소스 단자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140)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E)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140)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양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5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E)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150)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음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50)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 전체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150)은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콘택 패드(500)와 연결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1 전극(150)과 상기 콘택 패드(500)는 서로 상이한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전극(150)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콘택 패드(500)와 연결된다. 도면에서 콘택홀은 X로 표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택 패드(500)는 상기 게이트 배선(110) 또는 데이터 배선(120)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150)은 상기 콘택 패드(500) 보다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전극(150)이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x)을 통해서 상기 콘택 패드(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감소되지 않는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E)는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는 상기 제1 전극(140)에서 발생된 정공과 상기 제2 전극(150)에서 발생된 전자의 결합에 의해서 소정 파장의 광을 발광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E)는 상기 제1 전극(140)과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및 상기 제2 전극(150)과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 주입층과 전자 수송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E)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 편차에 의한 화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회로(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화소(P)의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상 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적어도 하나의 보상 커패시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상 회로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 구간 동안 데이터 전압과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을 커패시터에 함께 저장하는 방식으로 각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2)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게 된다.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에는 데이터 링크 배선(160), 데이터 패드(165), 게이트 링크 배선(170), 게이트 패드(175), 및 콘택 패드(5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60)의 일단은 상기 데이터 배선(12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60)의 타단은 데이터 패드(16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패드(165)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는 상기 데이터 패드(165) 및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60)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배선(120)에 공급된다.
복수 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160)은 하나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를 구성하며, 이와 같은 하나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는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300)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70)의 일단은 상기 게이트 배선(11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70)의 타단은 상기 게이트 패드(17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패드(175)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는 상기 게이트 패드(175) 및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70)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 배선(110)에 공급된다.
복수 개의 게이트 링크 배선(180)은 하나의 게이트 링크 배선 세트를 구성하며, 이와 같은 하나의 게이트 링크 배선 세트는 하나의 게이트 구동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콘택 패드(500)는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160)들 사이 영역,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들 사이 영역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게이트 링크 배선(170)들 사이 영역,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게이트 링크 배선 세트들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콘택 패드(50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들 사이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콘택 패드(500)는 그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의 얼라인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 패드(500)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들 사이 영역 및 서로 이웃하는 2개의 게이트 링크 배선 세트들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가 기판(100) 상에 직접 형성된 GIP(Gate in Panel)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얼라인 공정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GIP 구조에서는 상기 콘택 패드(500)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들 사이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패드(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제2 전극(15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 패드(5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통해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는 상기 콘택 패드(500)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배선(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콘택 패드(500)는 그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의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상기 기판(100)의 제1 측면, 예로서 상기 기판(100)의 좌측 비표시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상기 게이트 배선(110)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상기 기판(100)의 좌측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패드(1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패드(175)는 게이트 링크 배선(170)을 통해서 상기 게이트 배선(110)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게이트 구동부(200)는 그 몸체가 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및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에 실장된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에는 상기 게이트 패드(175)에 대응하는 게이트 구동 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와 상기 게이트 패드(175)를 얼라인하는 것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의 게이트 구동 패드와 상기 게이트 패드(175)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와 상기 게이트 패드(175)를 얼라인한다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상기 게이트 구동 패드와 상기 게이트 패드(175)를 얼라인하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210)는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게이트 신호를 연성 인쇄 회로 필름의 게이트 구동 패드를 통해 상기 게이트 패드(175)로 공급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는 얼라인 마크(6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600)는 상기 콘택 패드(500) 내의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는 패턴, 예로서 사각형 패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상기 기판(100)의 우측 비표시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는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가 상기 기판(100) 상에 실장되는 COG(Chip On Glass)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가 상기 기판(100) 상에 직접 형성되는 GIP(Gate In panel)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기 기판(100)의 제2 측면, 예로서 상기 기판(100)의 상측 비표시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기 데이터 배선(120)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기 기판(100)의 상측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1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 패드(165)는 데이터 링크 배선(160)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배선(120)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동부(300)는 그 몸체가 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및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성 인쇄 회로 필름에는 상기 데이터 패드(165)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 패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와 상기 데이터 패드(165)를 얼라인하는 것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구성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의 데이터 구동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165)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와 상기 데이터 패드(165)를 얼라인한다는 것은 정확히 말하면 상기 데이터 구동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165)를 얼라인하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310)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 신호를 연성 인쇄 회로 필름의 데이터 구동 패드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드(165)로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구성하는 연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는 얼라인 마크(6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600)는 상기 콘택 패드(500) 내의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는 패턴, 예로서 사각형 패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상기 기판(100)의 하측 비표시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디지털 입력 데이터를 공급함과 더불어 상기 고전위 전원 배선(130)에 고전위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전극(150)에 저전위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서 상기 고전원 전원 배선(130)에 고전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 회로 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형성된 연결배선을 통해서 상기 고전원 전원 배선(13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서 상기 제2 전극(150)에 저전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 회로 배선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형성된 연결배선을 통해서 상기 콘택 패드(50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데이터 구동부를 데이터 패드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3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게이트 구동부를 게이트 패드에 얼라인하는 공정도 후술하는 공정과 동일하다.
우선, 데이터 구동부(300)와 그에 대응하는 기판(100) 상의 구성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상기 얼라인 공정에 대해서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의 표시 영역에서 비표시 영역으로 제2 전극(150)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에는 콘택 패드(500a, 500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콘택 패드(500a, 500b)는 콘택홀(x)을 통해서 상기 제2 전극(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콘택 패드(500a, 500b)는 데이터 구동부(300)의 일측에 대응하는 제1 콘택 패드(500a) 및 데이터 구동부(300)의 타측에 대응하는 제2 콘택 패드(5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콘택 패드(500a)와 제2 콘택 패드(500b)는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300)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160)들, 즉, 하나의 데이터 링크 배선 세트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이격되어 있다.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160)들은 각각 데이터 패드(16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콘택 패드(500a) 및 제2 콘택 패드(500b) 각각은 그 일측부에 형성된 제1 수용홈(511) 및 그 타측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5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용홈(511)과 상기 제2 수용홈(512)의 형상은 사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310)와 얼라인 마크(600a, 60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600a, 600b)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600a)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2 얼라인 마크(6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600a) 및 상기 제2 얼라인 마크(600b)의 형상은 사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600a)는 상기 제1 콘택 패드(500a)의 제2 수용홈(512)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600b)는 상기 제2 콘택 패드(500b)의 제1 수용홈(511)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데이터 구동부(300)에 제1 얼라인 마크(600a) 및 제2 얼라인 마크(600b)로 이루어진 2개의 얼라인 마크를 형성하고, 각각의 얼라인 마크를 서로 상이한 제1 콘택 패드(500a)의 수용홈 및 제2 콘택 패드(500b)의 수용홈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콘택 패드(500a, 500b)에 제1 수용홈(511) 및 제2 수용홈(51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수용홈(511) 및 제2 수용홈(512)에 서로 상이한 데이터 구동부(300)의 얼라인 마크(600)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택 패드(500a, 500b)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정밀한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600a)의 폭(L1)은 상기 제1 콘택 패드(500a)의 제2 수용홈(512)의 폭(L2)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600b)의 폭(L1)은 상기 제2 콘택 패드(500b)의 제1 수용홈(511)의 폭(L2)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600a)의 폭(L1)이 상기 제1 콘택 패드(500a)의 제2 수용홈(512)의 폭(L2)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600b)의 폭(L1)이 상기 제2 콘택 패드(500b)의 제1 수용홈(511)의 폭(L2) 이상이면 비젼(visiou)을 이용한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폭(L1, L2)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변에 평행한 방향의 폭을 의미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에서의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변에 평행한 방향인 가로 방향의 폭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에서의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 변에 평행한 방향인 세로 방향의 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데이터 구동부(300)를 데이터 패드(165)에 얼라인하는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600a)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1 콘택 패드(500a)의 제2 수용홈(512) 내에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에 형성된 제2 얼라인 마크(600b)가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된 제2 콘택 패드(500b)의 제1 수용홈(511)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기판(100)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의 위치를 조정한다.
다음, 도 4b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600a)가 상기 제1 콘택 패드(500a)의 제2 수용홈(512)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600b)가 상기 제2 콘택 패드(500b)의 제1 수용홈(511)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하강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와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데이터 패드(165)와의 얼라인 공정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영역 내에서 광 방출을 위해 적용되는 전극, 예로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택 패드(500)에 수용홈을 형성하여 그 수용홈을 얼라인 마크로서 활용하기 때문에 기판(100) 상에 별도의 얼라인 마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600)에 수용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얼라인 마크(6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표시 면에서 인식되는 얼라인 마크(6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시인성이 향상되고 미감을 중요시하는 보더리스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신호 구동부는 상기 게이트 구동부(200)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300)를 통칭하는 것이고, 신호 패드는 상기 게이트 패드(175)와 상기 데이터 패드(165)를 통칭하는 것이다.
이상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콘택 패드(500a, 500b)는 액정 표시 장치의 공통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판 110: 게이트 배선
120: 데이터 배선 130: 고전위 전원 배선
140: 제1 전극 150: 제2 전극
160: 데이터 링크 배선 165: 데이터 패드
170: 게이트 링크 배선 175: 게이트 패드
200: 게이트 구동부 210: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300: 데이터 구동부 310: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500: 콘택 패드 500a, 500b: 제1, 제2 콘택 패드
600: 얼라인 마크 600a, 600b: 제1, 제2 얼라인 마크

Claims (6)

  1.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외곽의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기판;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전극;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패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신호 패드; 및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신호 패드와 연결된 신호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콘택 패드는 그 내부에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신호 구동부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얼라인 마크를 구비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의 폭은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패드는 상기 신호 구동부의 일측에 대응하는 제1 콘택 패드 및 상기 신호 구동부의 타측에 대응하는 제2 콘택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신호 구동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 및 상기 신호 구동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콘택 패드에 구비된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2 콘택 패드에 구비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패드에 구비된 수용홈은 상기 콘택 패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수용홈 및 상기 콘택 패드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수용홈 내에 수용되는 얼라인 마크는 서로 상이한 신호 구동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전극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콘택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에는 발광 다이오드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91725A 2014-07-21 2014-07-2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725A KR102163358B1 (ko) 2014-07-21 2014-07-21 디스플레이 장치
EP14196085.6A EP2978286B1 (en) 2014-07-21 2014-12-03 Display device
US14/561,932 US9082774B1 (en) 2014-07-21 2014-12-05 Display device
CN201410818151.8A CN105321457B (zh) 2014-07-21 2014-12-24 显示装置和形成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725A KR102163358B1 (ko) 2014-07-21 2014-07-2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59A KR20160011259A (ko) 2016-02-01
KR102163358B1 true KR102163358B1 (ko) 2020-10-12

Family

ID=5201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725A KR102163358B1 (ko) 2014-07-21 2014-07-2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82774B1 (ko)
EP (1) EP2978286B1 (ko)
KR (1) KR102163358B1 (ko)
CN (1) CN1053214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5578B2 (en) 2015-09-24 2020-05-26 Apple Inc. Display with embedded pixel driver chips
KR102465968B1 (ko) * 2015-11-24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칩과 그 제조방법, 및 그 반도체 칩을 포함한 반도체 패키지와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3748A (ko) * 2016-03-24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37015B1 (ko) * 2016-06-08 2024-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636736B1 (ko) * 2016-09-08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973485A (zh) * 2017-03-14 2017-07-21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其柔性电路板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770957B (zh) * 2017-09-26 2019-06-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线路板模组和显示装置
KR102395221B1 (ko) * 2017-12-05 2022-05-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05653B1 (ko) * 2018-02-28 2022-06-03 애플 인크. 픽셀 구동 칩들이 매립된 디스플레이
CN113805378B (zh) 2020-06-12 2022-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基板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0286A1 (en) 2005-08-17 2007-02-22 Au Optronics Corp. Structure for circuit assembly
WO2013030888A1 (ja) 2011-08-31 2013-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5697B1 (en) * 1995-08-07 2004-03-17 Hitachi, Ltd.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esistant to static electricity
KR100652053B1 (ko) * 2003-06-28 2006-11-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30917B1 (ko) * 2003-06-30 2009-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 배치 구조 및 액정 패널 노광 방법
KR101223098B1 (ko) * 2004-09-09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7855B1 (ko) * 2005-06-02 201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101140241B1 (ko) * 2005-06-27 201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 액정표시소자
KR101183374B1 (ko) * 2005-06-27 201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924985A (zh) * 2005-08-31 2007-03-0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器及显示面板与驱动芯片接合偏移的校正方法
CN100461984C (zh) * 2005-09-30 2009-02-1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路组装结构
KR20070106261A (ko) * 2006-04-28 2007-11-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70117110A (ko) * 2006-06-07 2007-12-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425363B2 (ja) * 2006-11-28 2014-02-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TWI424411B (zh) * 2009-12-31 2014-01-21 Au Optronics Corp 電致發光裝置
KR101484642B1 (ko) * 2012-10-24 2015-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268035A (zh) * 2013-06-07 2013-08-2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晶体管液晶显示装置的对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0286A1 (en) 2005-08-17 2007-02-22 Au Optronics Corp. Structure for circuit assembly
WO2013030888A1 (ja) 2011-08-31 2013-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8286A1 (en) 2016-01-27
EP2978286B1 (en) 2020-03-18
US9082774B1 (en) 2015-07-14
CN105321457A (zh) 2016-02-10
CN105321457B (zh) 2018-12-04
KR20160011259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3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109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349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95034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8464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45304B1 (ko) 커버형 전원 공급이 적용된 표시장치
KR10253514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3858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2544942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251B1 (ko) 표시 모듈
KR2017008014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3297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409704B1 (ko) 연성 필름,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9990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343653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85642A (ko) 표시장치
KR20170077917A (ko) 정전기 보호용 더미 화소를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
KR20200080899A (ko) 표시장치
KR102123444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02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42350B1 (ko)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140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72899B1 (ko) 패드부를 포함하는 터치표시장치
KR102386220B1 (ko)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7197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