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939B1 - 다목적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939B1
KR102161939B1 KR1020200077511A KR20200077511A KR102161939B1 KR 102161939 B1 KR102161939 B1 KR 102161939B1 KR 1020200077511 A KR1020200077511 A KR 1020200077511A KR 20200077511 A KR20200077511 A KR 20200077511A KR 102161939 B1 KR102161939 B1 KR 10216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piece
locking
rop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20007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는 제1 연통부 및 하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는 제2 연통부를 구비하는 원통프레임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연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연통부를 관통한 제1-1 로프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와 연결되는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1 연통부를 관통한 제1-2 로프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와 연결되는 제2 상측연결편을 구비하는 상측연결부,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1 동력제공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연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연통부를 관통한 제2-1 로프부를 통해 상기 운반물과 연결되는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관통한 제2-2 로프부를 통해 상기 운반물과 연결되는 제2 하측연결편을 구비하는 하측연결부 및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리프팅 장치{Multipurpose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목적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승강기계와 운반물을 매개한 채, 상기 운반물을 리프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다목적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이나 산업현장, 컨테이너부두, 물류단지 등과 같은 작업장 내에서는 작업여건상 다양한 형태의 중량물을 다루게 되며, 작업장에는 일정한 구역 내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려 작업이 필요한 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구조의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리프팅 장치는 중량체를 매달아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중량체의 부품을 장치 등에 장착하기 위해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대개 건물의 천장이나 붐대 상에 설치되어 중량체를 매달도록 하향 연장되는 로프와 이 로프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권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통상의 리프팅 장치는 단일의 기구에 의해 하나의 로프와 후크가 연결되어 일정 벌크의 중량체를 들어올리도록 된 것으로, 이는 중량체의 크기나 면적의 큰 경우에 무게중심을 잡은 상태로 들어 올리는 데에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어 작업중에 사고의 위험성이 따르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다수의 로프를 달기구에 의해 승강시켜 큰 중량체를 다지점에서 동시에 들어 올리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각 로프가 동일하게 승강되도록 동기화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중량체를 안정적으로 들어 올리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23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운반물 리프팅 및 운반을 위한 과정에서 운반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운반물의 흔들림에 따른 낙하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운반물 운반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운반물의 운반과정에서 운반물 회전이나 기울어짐을 최소화함은 물론 운반물의 장치로부터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는, 승강기계와 운반물을 매개한 채, 상기 운반물을 리프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다목적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는 제1 연통부 및 하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는 제2 연통부를 구비하는 원통프레임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연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연통부를 관통한 제1-1 로프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와 연결되는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1 연통부를 관통한 제1-2 로프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와 연결되는 제2 상측연결편을 구비하는 상측연결부,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1 동력제공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연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연통부를 관통한 제2-1 로프부를 통해 상기 운반물과 연결되는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관통한 제2-2 로프부를 통해 상기 운반물과 연결되는 제2 하측연결편을 구비하는 하측연결부 및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상기 제1-1 로프부 및 상기 제1-2 로프부의 상기 승강기계로의 권취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제1-1 로프부 및 상기 제1-2 로프부의 상기 승강기계로부터의 권출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의 제1 이격거리는, 연결되는 운반물의 부피 크기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의 제2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운반물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고, 운반물의 부피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2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제1 거리이고, 운반물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제2 거리이고, 운반물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이격거리가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이 폐쇄된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연통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연통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연결편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 상측구름부 및 상기 제1 상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1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1 상측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 상측구름부 및 상기 제2 상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2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2 상측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측연결편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 하측구름부 및 상기 제1 하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2-1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1 하측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 하측구름부 및 상기 제2 하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2-2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2 하측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매개부는, 상기 제1 상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상측구름부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측매개부는, 상기 제2 상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상측구름부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하측매개부는, 상기 제1 하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하측구름부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 하측매개부는, 상기 제2 하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하측구름부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연통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1 걸림편 및 상기 제1 연통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1-2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연통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2-1 걸림편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2 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측구름부는, 상기 제1-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1 상측구름편 및 상기 제1-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상측구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상측구름부는, 상기 제1-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1 상측구름편 및 상기 제1-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상측구름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는, 상기 제2-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하측구름편 및 상기 제2-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하측구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측구름부는, 상기 제2-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1 하측구름편 및 상기 제2-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2 하측구름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제1 상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1-1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2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상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2-1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2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1-1 하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2 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2-1 하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2 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제1 상측구름부 및 상기 제2 상측구름부는, 상기 원통프레임부 및 상기 원통프레임부의 하부측에 연결된 운반물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와 밀착되고, 상기 제1 하측구름부 및 상기 제2 하측구름부는, 상기 제2-1 로프부 및 상기 제2-2 로프부에 연결된 운반물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걸림부와 밀착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상측구름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하측구름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측구름부는, 복수의 제1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경우, 일정 외력 이하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는, 복수의 제2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경우, 일정 외력 이하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원통부는, 상기 제1 연통부를 규정하는 테두리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규정하는 테두리가 외측에서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상측구름부 또는 상기 제2 상측구름부가 상기 제1 연통부를 향해 이동되거나 상기 제1 하측구름부 또는 상기 제2 하측구름부가 상기 제2 연통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상기 제1 상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1 상측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2 상측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1 하측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2 하측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적인 자재운반작업을 도모하면서 작업을 매우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크고 작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운반물 픽업을 위한 운반과정에서 운반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재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운반물의 흔들림에 따른 낙하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물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운반물 운반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운반물의 운반과정에서 운반물 회전이나 기울어짐을 최소화함은 물론 운반물의 장치로부터의 이탈현상을 방지하여, 운반물 운반에 따른 보다 안정적인 작업 및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를 도 1의 A 방향에서 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원통프레임부의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제1 동력제공부, 제2 동력제공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제1 상측구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를 도 1의 A 방향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원통프레임부의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1)는, 승강기계(2)와 운반물(G)을 매개한 채, 상기 운반물(G)을 리프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S)을 연통하는 제1 연통부(11) 및 하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S)을 연통하는 제2 연통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원통부(15), 제1 걸림부(16) 및 제2 걸림부(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통부(11)는, 상기 원통부(15)의 상측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절개공간은 제1-1 로프부(R1-1)와 제1-2 로프부(R1-2)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통부(12)는, 상기 원통부(15)의 하측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절개공간은 제2-1 로프부(R2-1)와 제2-2 로프부(R2-2)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통부(15)는, 상기 제1 연통부(11)를 규정하는 테두리 및 상기 제2 연통부(12)를 규정하는 테두리가 외측에서 상기 수용공간(S)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1 상측구름부(211) 또는 제2 상측구름부(221)가 상기 제1 연통부(11)를 향해 이동되거나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 또는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가 상기 제2 연통부(12)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 및 제2 상측구름부(221)가 상기 제1 연통부(11)를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1 연통부(11)를 통해 상기 원통부(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 및 제2 하측구름부(321)가 상기 제2 연통부(12)를 따라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제2 연통부(12)를 통해 상기 원통부(1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통부(11)를 규정하는 상기 원통부(15)의 테두리가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연통부(11)를 관통한 채, 위치 이동되는 제1-1 로프부(R1-1) 및 제1-2 로프부(R1-2)가 상기 원통부(15)의 테두리와 접촉 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통부(12)를 규정하는 상기 원통부(15)의 테두리가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연통부(12)를 관통한 채, 위치 이동되는 제2-1 로프부(R2-1) 및 제2-2 로프부(R2-2)가 상기 원통부(15)의 테두리와 접촉 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6)는, 상기 원통부(15)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연통부(11)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6)는, 상기 제1 연통부(11)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1 걸림편(161) 및 상기 제1 연통부(11)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2 걸림편(17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16)는, 제1 상측구름부(211)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홈(H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는, 복수의 제1 걸림홈(H1)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경우, 일정 외력 이하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7)는, 상기 원통부(15)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연통부(12)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7)는, 상기 제2 연통부(12)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2-1 걸림편(171) 및 상기 제2 연통부(12)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2 걸림편(17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7)는,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홈(H2)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는, 복수의 제2 걸림홈(H2)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경우, 일정 외력 이하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상측연결부(20)는,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연통부(11)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연통부(11)를 관통한 제1-1 로프부(R1-1)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2)와 연결되는 제1 상측연결편(21) 및 상기 제1 연통부(11)를 관통한 제1-2 로프부(R1-2)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2)와 연결되는 제2 상측연결편(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연결편(21)은, 제1 걸림부(16)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 상측구름부(211) 및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에 연결된 채, 상기 제1-1 로프부(R1-1)가 고정되는 제1 상측매개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는, 상기 제1-1 걸림편(161)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1 상측구름편(211a) 및 상기 제1-2 걸림편(162)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상측구름편(21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매개부(213)는,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가 상기 제1 걸림부(16)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측매개부(213)는, 일측은 상기 제1-1 상측구름편(21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2 상측구름편(21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1 상측구름편(211a)이 상기 제1-1 걸림편(161)을 따라 구름 접촉하고, 상기 제1-2 상측구름편(211b)이 상기 제1-2 걸림편(162)을 따라 구름 접촉할 때, 상기 제1 상측매개부(213)에 연결된 제1-1 로프부(R1-1)는 상기 제1 상측매개부(213)에 권취 또는 권출되지 않아, 승강기계(2)와 상기 원통부(15)의 이격 거리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측연결편(22)은, 상기 제1 걸림부(16)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 상측구름부(221) 및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에 연결된 채, 상기 제1-2 로프부(R1-2)가 고정되는 제2 상측매개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는, 상기 제1-1 걸림편(161)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1 상측구름편(221a) 및 상기 제1-2 걸림편(162)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상측구름편(21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측매개부(223)는,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가 상기 제1 걸림부(16)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상측매개부(223)는, 일측은 상기 제2-1 상측구름편(2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2 상측구름편(22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상측구름편(221a)이 상기 제2-1 걸림편(171)을 따라 구름 접촉하고, 상기 제2-2 상측구름편(221b)이 상기 제2-2 걸림편(172)을 따라 구름 접촉할 때, 상기 제2 상측매개부(223)에 연결된 제1-2 로프부(R1-2)는 상기 제2 상측매개부(223)에 권취 또는 권출되지 않아, 승강기계(2)와 상기 원통부(15)의 이격 거리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 및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는, 상기 원통프레임부 및 상기 원통프레임부의 하부측에 연결된 운반물(G)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16)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제공부(40)는, 상기 제1 상측연결편(21)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22)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상측연결편(21)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22)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하측연결부(30)는, 상기 수용공간(S)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연통부(12)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연통부(12)를 관통한 제2-1 로프부(R2-1)를 통해 상기 운반물(G)과 연결되는 제1 하측연결편(31) 및 상기 제2 연통부(12)를 관통한 제2-2 로프부(R2-2)를 통해 상기 운반물(G)과 연결되는 제2 하측연결편(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연결편(31)은, 상기 제2 걸림부(17)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 하측구름부(311) 및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에 연결된 채, 상기 제2-1 로프부(R2-1)가 고정되는 제1 하측매개부(3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는, 상기 제2-1 걸림편(171)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하측구름편(311b) 및 상기 제2-2 걸림편(172)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하측구름편(31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매개부(313)는,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가 상기 제2 걸림부(17)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측매개부(313)는, 일측은 상기 제1-1 하측구름편(31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2 하측구름편(311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1 하측구름편(311a)이 상기 제2-1 걸림편(171)을 따라 구름 접촉하고, 상기 제1-2 하측구름편(311b)이 상기 제2-2 걸림편(172)을 따라 구름 접촉할 때, 상기 제1 하측매개부(313)에 연결된 제2-1 로프부(R2-1)는 상기 제1 하측매개부(313)에 권취 또는 권출되지 않아, 상기 원통부(15)와 상기 운반물(G)의 이격 거리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연결편(32)은, 상기 제2 걸림부(17)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 하측구름부(321) 및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에 연결된 채, 상기 제2-2 로프부(R2-2)가 고정되는 제2 하측매개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는, 상기 제2-1 걸림편(171)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1 하측구름편(321a) 및 상기 제2-2 걸림편(172)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2 하측구름편(32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매개부(323)는,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가 상기 제2 걸림부(17)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측매개부(323)는, 일측은 상기 제2-1 하측구름편(321a)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2 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1 하측구름편(321a)이 상기 제2-1 걸림편(171)을 따라 구름 접촉하고, 상기 제2-2 하측구름편(321b)이 상기 제2-2 걸림편(172)을 따라 구름 접촉할 때, 상기 제2 하측매개부(323)에 연결된 제2-2 로프부(R2-2)는 상기 제2 하측매개부(323)에 권취 또는 권출되지 않아, 상기 원통부(15)와 상기 운반물(G)의 이격 거리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 및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는, 상기 제2-1 로프부(R2-1) 및 상기 제2-2 로프부(R2-2)에 연결된 운반물(G)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걸림부(17)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제공부(50)는, 상기 제1 하측연결편(31)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32)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하측연결편(31)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32)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상기 제1-1 로프부(R1-1) 및 상기 제1-2 로프부(R1-2)의 상기 승강기계(2)로의 권취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제1-1 로프부(R1-1) 및 상기 제1-2 로프부(R1-2)의 상기 승강기계(2)로부터의 권출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제1 동력제공부, 제2 동력제공부 및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1)의 제1 하측연결편(31) 및 제2 하측연결편(32)의 제1 이격거리(D1)는, 연결되는 운반물(G)의 부피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격거리(D1)는, 제2-1 로프부(R2-1)와 제2-2 로프부(R2-2)의 이격거리이며, 이는 운반물(G)의 부피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운반물(G)의 부피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상기 제2-1 로프부(R2-1)와 상기 제2-2 로프부(R2-2)의 이격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상측연결편(21)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22)의 제2 이격거리(D2)는, 상기 제1 이격거리(D1) 및 운반물(G)의 무게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이격거리(D2)는, 상기 제2-1 로프부(R2-1)와 상기 제2-2 로프부(R2-2)의 이격거리 보다는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이격거리(D2)가 상기 제1 이격거리(D1)보다 작게 되면, 상기 제2-1 로프부(R2-1)와 상기 제2-2 로프부(R2-2)에 연결된 운반물(G)의 이송 중 흔들림이 커지게 되며, 이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리프팅 장치(1)가 흔들리거나 로프부에 부하가 크게 되어 불안정한 상태로 운반물(G)의 이송이 구현되어 리프팅 장치(1)의 부재가 손상되거나 운반물(G)이 리프팅 장치(1)와 충돌하거나 낙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리프팅 장치(1)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운반물(G)의 부피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이격거리(D1) 및 상기 제2 이격거리(D2)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동력제공부(40)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운반물의 부피크기를 측정하는 운반물 부피크기 측정부(70)로부터의 정보 및 운반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운반물 무게측정부(80)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동력제공부(40) 및 제2 동력제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격거리(D1)는, 운반물에 고정되어 상기 제2-1 로프부 및 제2-2 로프부가 걸리는 고리부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값을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이격거리(D1)가 제1 거리이고, 운반물(G)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이격거리(D2)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2 동력제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이격거리(D2)보다 상기 제1 이격거리(D1)가 커지도록 하여, 운반물(G)의 이송 시, 운반물(G)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1 로프부(R2-1)와 상기 제2-2 로프부(R2-2)에 매달린 운반물(G)은 이동 방향을 따라 흔들리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제1-1 로프부(R1-1)와 상기 제1-2 로프부(R1-2)가 양쪽으로 당기는 효과를 주어 상기 제2-1 로프부(R2-1)와 상기 제2-2 로프부(R2-2)가 흔들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이격거리(D1)가 제2 거리이고, 운반물(G)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이격거리(D2)가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동력제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이격거리(D2)와 상기 제1 이격거리(D1)가 동일하도록 하여, 운반물(G)의 이송 시, 운반물(G)의 무게에 따른 리프팅(들어올림)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로프부(R1-1)와 상기 제2-1 로프부(R2-1)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1 로프부(R2-1)와 상기 제2-2 로프부(R2-2)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운반물(G)의 무게와 상기 운반물(G)을 들어올리는 힘이 일직선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운반물(G)이 낙하되지 않고, 리프팅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리프팅 장치의 제1 상측구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부(16)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1 상측완충부(21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부(16)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2 상측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측구름부(311)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17)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1 하측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측구름부(321)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17)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2 하측완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상측구름부(211)를 도시하여 완충부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2 상측구름부(221), 제1 하측구름부(311) 및 제2 하측구름부(321) 또한 상기 제1 상측구름부(2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 7의 도면으로 갈음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다목적 리프팅 장치 2: 승강기계
G: 운반물 10: 원통프레임부
S: 수용공간 20: 상측연결부
R1-1: 제1-1 로프부 R1-2: 제1-2 로프부
21: 제1 상측연결편 22: 제2 상측연결편
30: 하측연결부 R2-1: 제2-1 로프부
R2-2: 제2-2 로프부 31: 제1 하측연결편
32: 제2 하측연결편 40: 제1 동력제공부
50: 제2 동력제공부 60: 제어부
70: 운반물 부피크기 측정부 80: 운반물 무게측정부

Claims (5)

  1. 승강기계와 운반물을 매개한 채, 상기 운반물을 리프팅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다목적 리프팅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는 제1 연통부 및 하측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는 제2 연통부를 구비하는 원통프레임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1 연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연통부를 관통한 제1-1 로프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와 연결되는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1 연통부를 관통한 제1-2 로프부를 통해 상기 승강기계와 연결되는 제2 상측연결편을 구비하는 상측연결부;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1 동력제공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제2 연통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연통부를 관통한 제2-1 로프부를 통해 상기 운반물과 연결되는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관통한 제2-2 로프부를 통해 상기 운반물과 연결되는 제2 하측연결편을 구비하는 하측연결부; 및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을 위치 이동시키는 제2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상기 제1-1 로프부 및 상기 제1-2 로프부의 상기 승강기계로의 권취에 의해 상승하고, 상기 제1-1 로프부 및 상기 제1-2 로프부의 상기 승강기계로부터의 권출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측연결편 및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의 제1 이격거리는,
    연결되는 운반물의 부피 크기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제1 상측연결편 및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의 제2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운반물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고,
    운반물의 부피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상기 제1 이격거리 및 상기 제2 이격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제1 동력제공부 및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제1 거리이고, 운반물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커지도록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제2 거리이고, 운반물의 무게가 기 설정된 무게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이격거리가 상기 제2 거리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동력제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리프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프레임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및 타측이 폐쇄된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연통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부 및 상기 원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2 연통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연결편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 상측구름부 및 상기 제1 상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1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1 상측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측연결편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 상측구름부 및 상기 제2 상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1-2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2 상측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측연결편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 하측구름부 및 상기 제1 하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2-1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1 하측매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측연결편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 하측구름부 및 상기 제2 하측구름부에 연결된 채, 상기 제2-2 로프부가 고정되는 제2 하측매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매개부는,
    상기 제1 상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상측구름부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상측매개부는,
    상기 제2 상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상측구름부가 상기 제1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하측매개부는,
    상기 제1 하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1 하측구름부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2 하측매개부는,
    상기 제2 하측구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2 하측구름부가 상기 제2 걸림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연통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1 걸림편 및 상기 제1 연통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1-2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연통부를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2-1 걸림편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제2-2 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상측구름부는,
    상기 제1-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1 상측구름편 및 상기 제1-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상측구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상측구름부는,
    상기 제1-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1 상측구름편 및 상기 제1-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2 상측구름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는,
    상기 제2-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1 하측구름편 및 상기 제2-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1-2 하측구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측구름부는,
    상기 제2-1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1 하측구름편 및 상기 제2-2 걸림편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제2-2 하측구름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1-1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2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상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2-1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2 상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1-1 하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2 하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측매개부는,
    일측은 상기 제2-1 하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2 하측구름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리프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구름부 및 상기 제2 상측구름부는,
    상기 원통프레임부 및 상기 원통프레임부의 하부측에 연결된 운반물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걸림부와 밀착되고,
    상기 제1 하측구름부 및 상기 제2 하측구름부는,
    상기 제2-1 로프부 및 상기 제2-2 로프부에 연결된 운반물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걸림부와 밀착되며,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상측구름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하측구름부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측구름부는, 복수의 제1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경우, 일정 외력 이하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는, 복수의 제2 걸림홈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경우, 일정 외력 이하의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리프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상기 제1 연통부를 규정하는 테두리 및 상기 제2 연통부를 규정하는 테두리가 외측에서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상측구름부 또는 상기 제2 상측구름부가 상기 제1 연통부를 향해 이동되거나 상기 제1 하측구름부 또는 상기 제2 하측구름부가 상기 제2 연통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상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1 상측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상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2 상측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1 하측완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측구름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걸림부와의 구름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제2 하측완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리프팅 장치.
KR1020200077511A 2020-06-25 2020-06-25 다목적 리프팅 장치 KR10216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511A KR102161939B1 (ko) 2020-06-25 2020-06-25 다목적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511A KR102161939B1 (ko) 2020-06-25 2020-06-25 다목적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939B1 true KR102161939B1 (ko) 2020-10-05

Family

ID=7280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511A KR102161939B1 (ko) 2020-06-25 2020-06-25 다목적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367A (ja) * 1998-08-04 2000-02-22 Misawa Homes Co Ltd パネル吊り上げ装置
CN104444813A (zh) * 2013-09-20 2015-03-25 艾乐迈铁科公司 用于以提升臂提升混凝土产品的方法和提升臂
KR101642333B1 (ko) 2014-07-14 2016-07-29 김재국 클린룸용 픽업 크레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3367A (ja) * 1998-08-04 2000-02-22 Misawa Homes Co Ltd パネル吊り上げ装置
CN104444813A (zh) * 2013-09-20 2015-03-25 艾乐迈铁科公司 用于以提升臂提升混凝土产品的方法和提升臂
KR101642333B1 (ko) 2014-07-14 2016-07-29 김재국 클린룸용 픽업 크레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69B1 (ko) 접철식 컨테이너형 파레트
US2514307A (en) Crane hook
KR102161939B1 (ko) 다목적 리프팅 장치
US2823061A (en) Self-dumping bucket
KR20080042970A (ko) 중량물 권상 및 이동장치
KR101374626B1 (ko) 크레인 용품 보관대
KR101112128B1 (ko) 크레인의 와이어 지지장치
JPH0672689A (ja) クレーンによる荷役方法および装置
JP2019142711A (ja) 吊り下げ支持機具および搬送方法
JP5992711B2 (ja) クレーン
CN217201606U (zh) 一种吊具、组合吊具及吊装***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JP2018144961A (ja) 自動着脱機構付吊上げ昇降装置
JPH06255980A (ja) タイヤ搬送用吊具
JP4126056B2 (ja) カゴ型パレット用吊り具
TWI743390B (zh) 運輸設備的伸縮裝置
CN214031456U (zh) 一种岸边集装箱起重机
KR20110011633U (ko) 팔레트 이송장치
SE536743C2 (sv) Tömningsutrustning
RU2034769C1 (ru) Траверса
CN216736470U (zh) 倒片装置及玻璃倒片***
CN215666581U (zh) 自动平衡空中吊运框
JP2018203416A (ja) 岸壁クレーン及び岸壁クレーンのモータ容量の決定方法
JP7097529B2 (ja) 釣合いおもり装置および釣合いおもりの積込み方法
JP7061082B2 (ja) 放射性物質保管容器の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