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474B1 -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474B1
KR102161474B1 KR1020160051313A KR20160051313A KR102161474B1 KR 102161474 B1 KR102161474 B1 KR 102161474B1 KR 1020160051313 A KR1020160051313 A KR 1020160051313A KR 20160051313 A KR20160051313 A KR 20160051313A KR 102161474 B1 KR102161474 B1 KR 10216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gear
transmission unit
shaf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416A (ko
Inventor
김택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47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2Arrangement of the tools; Screening of the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89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all of the meshing gears being supported by a pair of parallel shafts, one being the input shaft and the other the output shaft, there being no countershaft involv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4Gearings for reversal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2003/08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t least one reverse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축,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제1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구동축, 상기 제1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제2구동축, 상기 입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1차 변속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축으로 출력하는 제1주변속부, 상기 제1주변속부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어서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후에 상기 제1구동축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전후진 변속을 수행하는 전후진변속부,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입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전후진변속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2동력전달부,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축에 결합된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어서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로 출력하는 부변속부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Transmission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변속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입력축(110)에 결합된 주변속부(210), 제1동력전달축(120)에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220), 제2동력전달축(130)에 결합된 부변속부(230), 상기 제2동력전달축(130)에 결합된 제2동력전달부(240), 및 제3동력전달축(140)에 결합된 전후진변속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주변속부(210)는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에 대해 1차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구동은, 상기 입력축(110)을 통해 상기 주변속부(210)로 전달된다. 상기 주변속부(210)는 복수개의 기어 및 복수개의 클러치(Clutch)를 이용하여 1차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220)는 상기 주변속부(210)로부터 제공된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230)로 전달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220)가 결합된 제1동력전달축(120)은 상기 입력축(1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220)는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230)로 전달한다.
상기 부변속부(230)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20)로부터 제공된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2차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부변속부(230)는 복수개의 기어 및 슬리브(Sleeve)를 이용하여 2차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부변속부(230)가 결합된 제2동력전달축(130)은 상기 제1동력전달축(1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240)는 상기 부변속부(230)로부터 제공된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후진변속부(250)로 전달한다.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축(130)을 통해 상기 제2동력전달부(240)로 전달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축(130)에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240) 및 상기 부변속부(230)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240)는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후진변속부(250)로 전달한다.
상기 전후진변속부(250)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240)로부터 제공된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전후진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전후진변속부(250)는 복수개의 기어 및 슬리브를 이용하여 전후진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 전후진변속부(250)는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3동력전달축(14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전후진변속부(250)가 결합된 제3동력전달축(140)은 상기 제2동력전달축(130) 및 상기 입력축(110)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구비된 설치면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동력전달축(120) 및 상기 제3동력전달축(140)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현된다.
그러함에도,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입력축(110)이 이루는 제1축, 상기 제1동력전달축(120)과 상기 제3동력전달축(140)이 이루는 제2축, 및 상기 제2동력전달축(130)이 이루는 제3축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서 병렬로 배치된 3개의 평행축으로 구성되므로, 3개의 평행축으로 구성된 자체만으로 상당한 설치면적을 차지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 및 설치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 감소를 실현하기 위해 볼베어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하지만 크기가 작은 니들 베어링을 사용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이 방안에 따르면 니들 베어링 사용으로 인해 지지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헬리컬기어가 아닌 평기어를 사용해야 한다. 헬리컬기어는 회전에 따라 축방향 추력이 발생하지만 니들 베어링으로는 이를 지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니들 베어링을 통해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 감소가 가능하나, 이에 따른 평기어 사용으로 소음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진동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크기 감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제1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구동축; 상기 제1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제2구동축; 상기 입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축에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1차 변속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축으로 출력하는 제1주변속부; 상기 제1주변속부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되고,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후에 상기 제1구동축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전후진 변속을 수행하는 전후진변속부; 상기 제1동력전달부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입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진변속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2동력전달부;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축에 결합된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에 설치되고,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로 출력하는 부변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전달축; 상기 전달축으로부터 제1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구동축; 상기 제1구동축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제2구동축; 상기 제1구동축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변속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구동축에 설치된 제1변속부; 상기 제1변속부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결합된 전달부;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축에 결합된 캐리어; 및 상기 제1변속부에 의해 변속된 구동에 대해 추가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로 출력하도록 상기 캐리어에 설치된 제2변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병렬로 배치된 평행축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니들 베어링에 비해 지지력이 강한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헬리컬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가 제2주변속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가 제2주변속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 변속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입력축(100),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2), 상기 입력축(100)으로부터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구동축(3),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된 제1주변속부(4), 상기 제1주변속부(4)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된 전후진변속부(5), 상기 제1동력전달부(2)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동력전달부(6), 상기 제1구동축(3)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3)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제2구동축(7), 상기 제2구동축(7)에 결합된 캐리어(8), 및 상기 캐리어(8)에 설치된 부변속부(9)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2)는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도록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1차 변속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축(3)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후에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전후진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부(9)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입력축(100)이 이루는 제1축, 및 상기 제1구동축(3)과 상기 제2구동축(7)이 이루는 제2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2개의 평행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병렬로 배치된 평행축의 개수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병렬로 배치된 평행축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니들 베어링에 비해 지지력이 강한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볼베어링을 통해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헬리컬기어(Helical Gear)를 사용하여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 상기 제1구동축(3), 상기 제1주변속부(4), 상기 전후진변속부(5), 상기 제2동력전달부(6), 상기 제2구동축(7), 상기 캐리어(8), 및 상기 부변속부(9)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동력전달부(2)는 상기 입력축(100)을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1주변속부(4)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2)는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된다. 상기 입력축(100)은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입력축(100)은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부(2)는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동력전달부(2)는 제1동력전달기어(21) 및 제2동력전달기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는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된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는 복수개의 기어치(Gear Tooth)를 이용하여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는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주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주변속부(4)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구동축(3)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입력축(1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축(3)은 상기 제1주변속부(4),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3)은 상기 제1주변속부(4), 상기 전후진변속부(5), 상기 부변속부(9), 및 상기 캐리어(8)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구동축(3)은 상기 입력축(10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3) 및 상기 입력축(100)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상기 1차 변속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축(3)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축(3)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구동축(3)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제1주변속기어(41), 제2주변속기어(42), 및 제1클러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주변속기어(41)가 상기 제1클러치(43)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주변속기어(41)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구동축(3)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에 비해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에서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감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주변속기어(42)가 상기 제1클러치(43)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2주변속기어(4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구동축(3)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에서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가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상기 제1주변속기어(41)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1차 변속을 위해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또는 상기 제2주변속기어(4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제1구동축(3)에 결합된다.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구동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또는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축(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러치(43)가 상기 제1주변속기어(4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 및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를 거쳐 감속 변속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축(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축(3)은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1차 변속은 감속 변속에 해당한다.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주변속기어(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러치(43) 및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각각 복수개의 디스크(Dis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들이 서로 접촉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클러치(43) 및 상기 제1주변속기어(41)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클러치(43)가 상기 제2주변속기어(42)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를 거처 가속 변속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축(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축(3)은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1차 변속은 가속 변속에 해당한다.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주변속기어(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러치(43)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각각 복수개의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들이 서로 접촉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클러치(43)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는 함께 회전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전후진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상기 전후진변속부(5)로 전달되는 구동은,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것이다.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된다.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제1주변속부(4)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9)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후진기어(51), 전진기어(52), 및 전후진슬리브(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기어(51)가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구동축(3)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구동축(3)의 구동이 상기 후진기어(51)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후진기어(5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에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연결되면, 상기 후진기어(51)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후진슬리브(5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후진입력기어(511), 후진출력기어(512), 및 전환기어(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진입력기어(511)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진입력기어(51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후진슬리브(5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후진입력기어(51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는 상기 후진입력기어(511)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전환기어(513)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는 상기 후진입력기어(51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후진입력기어(5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진출력기어(512) 및 상기 후진입력기어(5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는 상기 전환기어(51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환기어(51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환기어(513)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상기 후진출력기어(512) 및 상기 제2동력전달부(6)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일측이 상기 후진출력기어(51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일측이 상기 후진출력기어(51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후진출력기어(512)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타측이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상기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타측이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환기어(513)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홀수개의 전환기어(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기어(51)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구동에 대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도 6에는 상기 후진기어(51)가 하나의 전환기어(51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진기어(51)는 3개 이상의 전환기어(513)를 홀수개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환기어(513)들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로 구동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기어(52)가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구동축(3)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구동축(3)의 구동이 상기 전진기어(52)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전진기어(52)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에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연결되면,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후진기어(51)와 달리 전환기어(513)를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전진기어(52)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진기어(5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후진슬리브(5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제1동력전달경로 및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즉 상기 전진기어(52)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거친 후에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즉 상기 전진기어(52)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거치지 않고 상기 부변속부(9)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즉 상기 후진기어(51)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거친 후에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즉 상기 후진기어(51)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전달된 후에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서 상기 전진기어(52)를 거쳐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된다.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이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될 때,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부터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전달받은 후에,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는 전진입력기어(521), 전진출력기어(522), 및 연결기어(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진입력기어(521)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진입력기어(52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후진슬리브(5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전진입력기어(52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진입력기어(521) 및 상기 연결기어(52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상기 전진입력기어(52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진입력기어(5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 및 상기 전진입력기어(52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기어(52)에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전진 변속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진기어(51)에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후진 변속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상기 연결기어(523)는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9)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기어(523)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하기 위한 제2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523)는 상기 전진출력기어(52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전진출력기어(5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523) 및 상기 전진출력기어(52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어(523), 상기 전진출력기어(522), 및 상기 전진입력기어(521)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어(52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변속부(9)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부변속부(9)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부변속부(9)가 상기 연결기어(5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523)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전후진 변속을 위해 상기 후진기어(51) 또는 상기 전진기어(5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제1구동축(3)에 결합된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진기어(51) 및 상기 전진기어(5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구동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기어(51) 또는 상기 전진기어(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것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제1주변속부(4)를 거쳐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받아서 회전하면서 상기 후진기어(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진기어(51)는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후진기어(51)에 맞물림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되어서 상기 후진기어(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후진입력기어(511)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후진기어(51)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제1주변속부(4)를 거쳐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받아서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기어(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진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진기어(52)에 맞물림되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되어서 상기 전진기어(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후진슬리브(53)는 상기 전진입력기어(521)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및 상기 부변속부(9)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결합부재(61), 제1서브기어(62), 제2서브기어(63), 및 제3서브기어(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1동력전달부(2, 도 3에 도시됨)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입력축(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6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611)은 상기 결합부재(6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100)의 일부는, 상기 수용공(611)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6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제1서브기어(62), 상기 제2서브기어(63), 및 상기 제3서브기어(64)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제1서브기어(62) 및 상기 제2서브기어(6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머지 서브기어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62)는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서브기어(6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후진기어(51)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62)는 상기 후진기어(51)의 전환기어(513)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62)는 상기 후진기어(51)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6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진기어(5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전진기어(52)의 전진출력기어(522)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기어(62) 및 상기 제3서브기어(6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결합부재(6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기어(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전진기어(5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6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되어서 상기 후진기어(51)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서브기어(62)는 상기 후진기어(5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결합부재(6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전진기어(5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되어서 상기 전진기어(52)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전진기어(5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6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상기 부변속부(9)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된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변속부(9)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부변속부(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기어(6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상기 결합부재(6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9)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상기 제1서브기어(62) 및 상기 제2서브기어(63) 각각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서브기어(63)는 상기 제1서브기어(6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64)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부(9)로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구동축(7)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입력축(1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구동축(7)은 상기 캐리어(8)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7)은 상기 입력축(10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7) 및 상기 입력축(100)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7)은 상기 제1구동축(3)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7) 및 상기 제1구동축(3)은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7) 및 상기 제1구동축(3)은 각각의 회전축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축(7)은 상기 제1구동축(3)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입력축(100)이 이루는 제1축, 및 상기 제1구동축(3)과 상기 제2구동축(7)이 이루는 제2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2개의 평행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2개의 평행축을 이용하여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니들 베어링에 비해 지지력이 강한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헬리컬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부(9)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부변속부(9)를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한 1차 변속, 상기 전후진변속부(5)에 의한 전후진 변속, 및 상기 부변속부(9)에 의한 2차 변속이 수행된 것이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부(9)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부(9)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부변속부(9)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부(9)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7)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8)는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부변속부(9)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타측에 결합된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8) 및 상기 제1구동축(3)이 중첩(重疊)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8) 및 상기 제1구동축(3)이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가 상기 부변속부(9)로 직접 구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 간의 구동 전달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한 구동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캐리어(8)는 상기 제1구동축(3)이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제1삽입홈(81)에 삽입된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전후진변속부(5)가 상기 부변속부(9)로 직접 구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 간의 구동 전달에 대한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81)은 상기 캐리어(8)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의 타측은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구동축(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의 타측은 상기 제2구동축(7)에 스플라인(Spline)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제2구동축(7)이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제2구동축(7)에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상기 부변속부(9)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은 상기 캐리어(8)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부변속부(9)는 캐리어(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전후진변속부(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리어(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부(9)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또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상기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2동력전달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9)가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전달받는 경우,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입력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9)가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전달받는 경우,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입력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9)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구동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직접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또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부변속부(9)는 부변속기어(91), 및 부변속슬리브(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즉, 상기 부변속기어(91)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구동을 전달받는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변속기어(9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상기 캐리어(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변속기어(91)가 상기 부변속슬리브(92)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부변속기어(91)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캐리어(8)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캐리어(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기어(91)에 상기 부변속슬리브(92)가 연결되면, 상기 부변속기어(9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부변속슬리브(92)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부변속기어(91) 및 상기 부변속슬리브(92)를 거쳐 상기 캐리어(8)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제2동력전달부(6)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변속슬리브(9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기어(91)는 부입력기어(911) 및 부출력기어(9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입력기어(91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부입력기어(91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동력전달부(6)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부입력기어(91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입력기어(911)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의 제3서브기어(64)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부입력기어(911)는 상기 제3서브기어(64)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서브기어(64)에서 상기 부입력기어(911)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부출력기어(912)는 상기 부변속슬리브(92)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출력기어(91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부변속슬리브(9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출력기어(91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출력기어(912)는 상기 부입력기어(911)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부입력기어(9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출력기어(912) 및 상기 부입력기어(9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2차 변속을 위해 상기 제2동력전달부(6) 또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변속부(9)의 상기 부변속기어(91) 및 상기 제2동력전달부(6)의 제3서브기어(64)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전후진변속부(5)의 연결기어(523)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캐리어(8)에 결합된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기어(9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리어(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슬리브(9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부변속기어(91) 또는 상기 전진기어(52)에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변속부(9)는 2개의 부변속기어(91)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전후진변속부(5)가 갖는 전진기어(52) 및 1개의 부변속기어(91)를 이용하여 상기 2차 변속을 2단으로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2차 변속을 2단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부변속기어(91) 또는 상기 전진기어(52)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하도록 상기 캐리어(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슬리브(9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부변속슬리브(92) 및 상기 캐리어(8)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부변속기어(91) 또는 상기 전진기어(5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는 동력 전달 경로를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되고, 상기 부변속슬리브(92)가 상기 부변속기어(9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에 대해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은, 상기 제1클러치(43, 도 4에 도시됨)가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 도 4에 도시됨) 중에서 어느 것에 연결되도록 작동하였는지에 따라 감속 변속 또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구동축(3), 상기 전후진슬리브(53), 및 상기 후진기어(51)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후진 변속이 수행된다.
그 후,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서브기어(62), 상기 결합부재(61), 상기 제3서브기어(64), 상기 부변속기어(91), 및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부변속기어(91)가 상기 제3서브기어(64)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2차 변속은 감속 변속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축(7)에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후진 변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변속이 감속 변속으로 이루어진 구동이 출력된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되고, 상기 부변속슬리브(92)가 상기 전진기어(52)의 연결기어(52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에 대해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은, 상기 제1클러치(43, 도 4에 도시됨)가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 도 4에 도시됨) 중에서 어느 것에 연결되도록 작동하였는지에 따라 감속 변속 또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구동축(3), 상기 전후진슬리브(53), 및 상기 후진기어(51)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후진 변속이 수행된다.
그 후,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서브기어(62), 상기 결합부재(61), 상기 제2서브기어(63), 상기 전진기어(52)의 전진출력기어(522), 상기 연결기어(523), 및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전진출력기어(522)가 상기 제2서브기어(63)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2차 변속은 가속 변속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축(7)에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후진 변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변속이 가속 변속으로 이루어진 구동이 출력된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전진기어(52)의 전진입력기어(521)에 연결되고, 상기 부변속슬리브(92)가 부변속기어(9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에 대해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은, 상기 제1클러치(43, 도 4에 도시됨)가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 도 4에 도시됨) 중에서 어느 것에 연결되도록 작동하였는지에 따라 감속 변속 또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구동축(3), 상기 전후진슬리브(53), 및 상기 전진기어(52)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전진 변속이 수행된다.
그 후,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전진기어(52)의 전진출력기어(522)로부터 상기 제2서브기어(63), 상기 결합부재(61), 상기 제3서브기어(64), 상기 부변속기어(91), 및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서브기어(63)가 상기 전진출력기어(522)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변속기어(91)가 상기 제3서브기어(64)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2차 변속은 감속 변속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축(7)에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전진 변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변속이 감속 변속으로 이루어진 구동이 출력된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진슬리브(53)가 상기 전진기어(52)의 전진입력기어(521)에 연결되고, 상기 부변속슬리브(92)가 전진기어(52)의 연결기어(52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주변속부(4)에 의해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에 대해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변속된 구동은, 상기 제1클러치(43, 도 4에 도시됨)가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제2주변속기어(42, 도 4에 도시됨) 중에서 어느 것에 연결되도록 작동하였는지에 따라 감속 변속 또는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1구동축(3), 상기 전후진슬리브(53), 및 상기 전진기어(52)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전진 변속이 수행된다.
그 후,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연결기어(523) 및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부변속슬리브(92)로 전달되면서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8)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7)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2차 변속은 가속 또는 감속되지 않고 무변속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축(7)에는 상기 전후진 변속이 전진 변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2차 변속이 가속 또는 감속되지 않은 무변속으로 이루어진 구동이 출력된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제2구동축(7)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3차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제2주변속부(11) 및 출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부(11)는 상기 제2구동축(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부(1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8)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구동축(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부(11)는 상기 제2구동축(7)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출력부(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부(11)는 복수개의 변속기어 및 제2클러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구동축(7)을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출력부(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주변속부(11)는 상기 제1주변속부(4)와 대략 일치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출력부(12)는 상기 제2주변속부(11)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출력축(미도시)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는 상기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구비된 차축(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은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상기 2차 변속, 및 상기 3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차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는 복수개의 동력전달기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주변속부(11)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출력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2)는 상기 제1동력전달부(2)와 대략 일치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주변속부(4) 및 상기 제2주변속부(11)가 각각 클러치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주변속부(4) 및 상기 제2주변속부(11)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가 각각 슬리브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후진변속부(5) 및 상기 부변속부(9)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동력전달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필요에 따라 토크, 속도 등을 조절하는 변속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제1구동축(10), 제1변속부(20), 전달부(30), 제2구동축(40), 캐리어(50), 및 제2변속부(60)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1구동축(10)은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전달축(2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전달축(200)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10)은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10)은 상기 제1변속부(20), 상기 제2변속부(60), 및 상기 캐리어(5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구동축(10)은 상기 전달축(20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축(10) 및 상기 전달축(200)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1변속부(20)는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변속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1변속부(20)는 상기 제1구동축(10)에 설치된다. 상기 제1변속부(20)는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구동축(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부(20)는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달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부(20)는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제2변속부(6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1변속부(20)는 제1변속기어(201), 제2변속기어(202), 및 제1슬리브(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변속기어(201)가 상기 제1슬리브(203)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구동축(1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구동축(10)의 구동이 상기 제1변속기어(201)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상기 제1슬리브(203)가 연결되면,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상기 제1슬리브(203)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을 상기 전달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슬리브(20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1슬리브(20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부(3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달부(30)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변속기어(201)는 제1입력기어(201a) 및 제1출력기어(2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어(201a)는 상기 제1슬리브(203)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입력기어(201a)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슬리브(20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1슬리브(20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입력기어(201a)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어(201b)는 상기 제1입력기어(201a)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전달부(30)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1출력기어(201b)는 상기 제1입력기어(201a)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입력기어(20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어(201b) 및 상기 제1입력기어(201a)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출력기어(201b)는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어(201b)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부(3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달부(30)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기어(201b)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상기 전달부(30) 및 상기 제2변속부(60)로 구동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변속기어(202)가 상기 제1슬리브(203)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구동축(1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구동축(10)의 구동이 상기 제2변속기어(202)로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상기 제1슬리브(203)가 연결되면,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상기 제1슬리브(203)에 의해 회전하면서 구동을 상기 전달부(30) 및 상기 제2변속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슬리브(20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1슬리브(20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부(30) 및 상기 제2변속부(6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달부(30) 및 상기 제2변속부(60)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제1동력전달경로 및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변속부(60)로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는 구동이 상기 전달부(30)를 거쳐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되는 경로이다.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는 구동이 상기 전달부(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2변속부(60)로 직접 전달되는 경로이다.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연결된 경우, 구동은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서 상기 전달부(30)를 거친 후에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된다. 이 경우, 구동은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서 상기 전달부(30) 및 상기 제2변속기어(202)를 거친 후에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된다.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연결된 경우, 구동은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서 상기 전달부(30)를 거친 후에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된다. 이 경우, 구동은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서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변속부(20)는 구동을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제2입력기어(202a), 제2출력기어(202b), 및 연결기어(20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어(202a)는 상기 제1슬리브(203)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입력기어(202a)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슬리브(203)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1슬리브(203)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입력기어(202a)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입력기어(202a) 및 상기 연결기어(202c)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상기 제2입력기어(202a)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입력기어(202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 및 상기 제2입력기어(202a)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부(3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전달부(30)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전달부(30)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어(202c)는 상기 제2출력기어(202b)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변속부(60)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기어(202c)는 상기 제2출력기어(202b)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하기 위한 제2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202c)는 상기 제2출력기어(202b)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출력기어(20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202c) 및 상기 제2출력기어(202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어(202c), 상기 제2출력기어(202b), 및 상기 제2입력기어(202a)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어(202c)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변속부(6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변속부(60)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2변속부(60)가 상기 연결기어(202c)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202c)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203)는 상기 변속을 위해 상기 제1변속기어(201) 또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슬리브(203)는 상기 제1구동축(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슬리브(203)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변속기어(201) 및 상기 제2변속기어(20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구동축(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리브(203)는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변속기어(201) 또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전달부(30)는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달부(30)는 상기 전달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달부(30)는 상기 제1변속부(20)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전달축(200)이 회전하더라도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전달부(30)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전달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30)는 상기 제1변속부(2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전달부(30)는 결합부재(301), 제1서브기어(302), 제2서브기어(303), 및 제3서브기어(3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1)는 상기 전달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전달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1)는 상기 전달축(2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30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301a)은 상기 결합부재(30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축(200)의 일부는, 상기 수용공(301a)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30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1)는 상기 제1서브기어(302), 상기 제2서브기어(303), 및 상기 제3서브기어(304)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01)는 상기 제1서브기어(302) 및 상기 제2서브기어(303)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머지 서브기어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0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상기 제1변속기어(201)의 제1출력기어(201b)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상기 제1변속기어(201)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3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상기 제1출력기어(201b)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출력기어(201b)에서 상기 제1서브기어(302)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가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0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의 제2출력기어(202b)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기어(302) 및 상기 제3서브기어(30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합부재(3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결합부재(30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변속기어(2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30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1변속기어(201)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서브기어(302)는 상기 제1변속기어(20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3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결합부재(30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변속기어(2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2변속기어(202)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결합부재(30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2출력기어(202b)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출력기어(202b)에서 상기 제2서브기어(303)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감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서브기어(303)에서 상기 제2출력기어(202b)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한 가속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상기 제2변속부(60)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301)에 결합된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변속부(6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변속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기어(30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재(30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상기 결합부재(30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구동을 상기 제2변속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상기 제1서브기어(302) 및 상기 제2서브기어(303) 각각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서브기어(303)는 상기 제1서브기어(302)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서브기어(304)는 구동을 상기 제2변속부(60)로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달부(30)는 상기 전달축(200)에 결합되어 상기 전달축(200)과 일체로 회전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달부(30)가 상기 전달축(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달축(200)은 상기 제1변속부(20)와 상기 제2변속부(60)에 연결되어 구동을 전달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달부(30)가 상기 전달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달축(200)은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과는 다른 제2의 구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2구동축(40)은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전달축(20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구동축(40)은 상기 캐리어(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40)은 상기 전달축(20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40) 및 상기 전달축(200)은 각각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40)은 상기 제1구동축(10)으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40) 및 상기 제1구동축(10)은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축(40) 및 상기 제1구동축(10)은 각각의 회전축이 동일선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축(40)은 상기 제1구동축(10)의 회전축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전달축(200)이 이루는 제1축, 및 상기 제1구동축(10)과 상기 제2구동축(40)이 이루는 제2축을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2개의 평행축을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2개의 평행축을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을 수행을 수행하도록 구현됨으로써, 니들 베어링에 비해 지지력이 강한 볼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헬리컬기어를 사용하여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변속부(60)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2변속부(60)를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한 변속 및 상기 제2변속부(60)에 의한 추가 변속이 수행된 것이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변속부(6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변속부(6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변속부(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변속부(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50)는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변속부(6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타측에 결합된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50) 및 상기 제1구동축(10)이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캐리어(50) 및 상기 제1구동축(10)이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1변속부(20)가 상기 제2변속부(60)로 직접 구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 간의 구동 전달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하기 위한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한 구동 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1구동축(10)이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1삽입홈(501)에 삽입된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1)는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가 서로 이격된 거리를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변속부(20)가 상기 제2변속부(60)로 직접 구동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 간의 구동 전달에 대한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501)은 상기 캐리어(5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의 타측은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구동축(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의 타측은 상기 제2구동축(40)에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구동축(40)이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제2구동축(40)에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변속부(6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은 상기 캐리어(5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에 의해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추가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제2변속부(60)는 캐리어(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1변속부(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리어(5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변속부(6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전달부(30) 또는 상기 제1변속부(20) 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추가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1변속부(20)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2동력전달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변속부(60)가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전달받는 경우,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변속부(60)가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전달부(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제1변속부(20)를 통해 직접 전달받는 경우,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전달부(30) 또는 상기 제1변속부(20)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2변속부(60)는 제3변속기어(601), 및 제2슬리브(6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구동을 전달받는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상기 전달부(3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상기 캐리어(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변속기어(601)가 상기 제2슬리브(602)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3변속기어(601)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캐리어(50)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상기 캐리어(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에 상기 제2슬리브(602)가 연결되면,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제2슬리브(602)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3변속기어(601)에서 상기 제2슬리브(602)를 거쳐 상기 캐리어(5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전달부(3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달부(30)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슬리브(60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슬리브(602)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변속기어(601)는 제3입력기어(601a) 및 제3출력기어(60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기어(601a)는 상기 전달부(3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3입력기어(601a)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달부(30)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전달부(30)로부터 구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3입력기어(601a)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기어(601a)는 상기 전달부(30)의 제3서브기어(304)에 맞물림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기어(601a)는 상기 제3서브기어(304)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서브기어(304)에서 상기 제3입력기어(601a)로 구동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에 대해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출력기어(601b)는 상기 제2슬리브(602)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출력기어(601b)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슬리브(602)에 맞물림됨으로써, 상기 제2슬리브(602)로 구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출력기어(601b)는 헬리컬기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출력기어(601b)는 상기 제3입력기어(601a)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3입력기어(60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출력기어(601b) 및 상기 제3입력기어(601a)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추가 변속을 위해 상기 상기 전달부(30) 또는 상기 제1변속부(2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입력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변속부(60)의 상기 제3변속기어(601) 및 상기 전달부(30)의 제3서브기어(304)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제1변속부(20)의 연결기어(202c)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캐리어(5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3변속기어(60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리어(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1변속부(20) 또는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슬리브(60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3변속기어(601) 또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추가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변속기어(202)는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한 변속 및 상기 제2변속부(60)에 의한 추가 변속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변속부(60)는 2개의 제3변속기어(601)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1변속부(20)가 갖는 제2변속기어(202) 및 1개의 제3변속기어(601)를 이용하여 추가 변속을 2단으로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추가 변속을 2단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는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서 차지하는 설치면적을 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되어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배치작업 및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3변속기어(601) 또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를 통해 전달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하도록 상기 캐리어(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슬리브(602)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슬리브(602) 및 상기 캐리어(5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대한 변속 조작에 따라 상기 제3변속기어(601) 또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대한 동력 전달 경로를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슬리브(602)가 상기 제3변속기어(60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슬리브(203), 상기 제1변속기어(201), 및 상기 전달부(30)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출력기어(201b) 및 상기 제1서브기어(302)를 통해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 후, 구동은 상기 제1서브기어(302), 상기 결합부재(301), 상기 제3서브기어(304), 상기 제3변속기어(601), 및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즉, 구동은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3변속기어(601)가 상기 제3서브기어(304)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추가 변속은 감속 변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1변속기어(201)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슬리브(602)가 상기 제2변속기어(202)의 연결기어(202c)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슬리브(203), 상기 제1변속기어(201), 및 상기 전달부(30)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출력기어(201b) 및 상기 제1서브기어(302)를 통해 가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 후, 구동은 상기 제1서브기어(302), 상기 결합부재(301), 상기 제2서브기어(303), 상기 제2변속기어(202)의 제2출력기어(202b), 상기 연결기어(202c), 및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즉,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출력기어(202b)가 상기 제2서브기어(303)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추가 변속은 가속 변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2변속기어(202)의 제2입력기어(202a)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슬리브(602)가 제3변속기어(60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슬리브(203), 상기 제2변속기어(202), 및 상기 제2서브기어(303)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출력기어(202b)가 상기 제2서브기어(303)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감속 변속이 이루어진다. 그 후, 구동은 상기 제2서브기어(303), 상기 결합부재(301), 상기 제3서브기어(304), 상기 제3변속기어(601), 및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즉, 구동은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상기 제3변속기어(601)가 상기 제3서브기어(304)에 비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추가 변속은 감속 변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203)가 상기 제2변속기어(202)의 제2입력기어(202a)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슬리브(602)가 제2변속기어(202)의 연결기어(202c)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은, 상기 제1슬리브(203) 및 상기 제2변속기어(202)로 전달된다. 그 후, 구동은 상기 연결기어(202c) 및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즉, 구동은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상기 제2슬리브(602)로 전달되면서 추가 변속이 수행되어 상기 캐리어(50)를 통해 상기 제2구동축(40)으로 출력된다. 이 경우, 추가 변속은 가속 또는 감속되지 않고 무변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가 각각 슬리브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변속부(20) 및 상기 제2변속부(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슬리브를 이용하여 변속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 : 제1동력전달부 3 : 제1구동축
4 : 제1주변속부 5 : 전후진변속부
6 : 제2동력전달부 7 : 제2구동축
8 : 캐리어 9 : 부변속부
21 : 제1동력전달기어 22 : 제2동력전달기어
41 : 제1주변속기어 42 : 제2주변속기어
43 : 제1클러치 51 : 후진기어
52 : 전진기어 53 : 전후진슬리브
61 : 결합부재 62 : 제1서브기어
63 : 제2서브기어 64 : 제3서브기어
81 : 삽입홈 91 : 부변속기어
92 : 부변속슬리브 511 : 후진입력기어
512 : 후진출력기어 513 : 전환기어
521 : 전진입력기어 522 : 전진출력기어
523 : 연결기어 611 : 수용공
911 : 부입력기어 912 : 부출력기어

Claims (17)

  1. 입력축(100);
    상기 입력축(100)으로부터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구동축(3);
    상기 제1구동축(3)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3)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제2구동축(7);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입력축(100)에 결합된 제1동력전달부(2);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동력전달부(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1차 변속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축(3)으로 출력하는 제1주변속부(4);
    상기 제1주변속부(4)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3)에 설치되고, 상기 1차 변속이 수행된 후에 상기 제1구동축(3)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전후진 변속을 수행하는 전후진변속부(5);
    상기 제1동력전달부(2)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2동력전달부(6);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축(7)에 결합된 캐리어(8); 및
    상기 캐리어(8)에 설치되고,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하는 부변속부(9)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전후진변속부(5)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1차 변속 및 상기 전후진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2차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변속부(5)는 전진 변속을 위한 전진기어(52), 후진 변속을 위한 후진기어(51), 및 전후진 변속을 위해 상기 전진기어(52) 또는 상기 후진기어(5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후진슬리브(53)를 포함하고,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캐리어(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부변속기어(91), 및 상기 2차 변속을 위해 상기 부변속기어(91) 또는 상기 전진기어(5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부변속슬리브(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기어(52)는 상기 전후진슬리브(53)에 연결되기 위한 전진입력기어(521), 상기 제2동력전달부(6)에 연결되는 전진출력기어(522), 및 상기 부변속슬리브(92)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기어(5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전달부(6)는 상기 입력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재(61), 상기 후진기어(51)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된 제1서브기어(62), 상기 전진기어(52)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된 제2서브기어(63), 및 상기 부변속기어(91)에 연결되도록 상기 결합부재(61)에 결합된 제3서브기어(6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61)는 상기 입력축(1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611)을 포함하되, 상기 제1서브기어(62), 상기 제2서브기어(63), 및 상기 제3서브기어(6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기어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나머지 서브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8)는 상기 제1구동축(3)이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81)을 포함하되, 상기 제1삽입홈(81)에 삽입된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축(7)에 설치되고, 상기 1차 변속, 상기 전후진 변속, 및 상기 2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에 대해 3차 변속을 수행하는 제2주변속부(11); 및
    출력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2주변속부(11)를 통해 전달된 상기 3차 변속이 수행된 구동을 출력하는 출력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2)는 상기 입력축(10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제1동력전달기어(21) 및 제2동력전달기어(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주변속부(4)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어(21)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주변속기어(41), 상기 제2동력전달기어(22)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구동축(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주변속기어(42), 및 상기 1차 변속을 위해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또는 상기 제2주변속기어(4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클러치(4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러치(43)는 상기 제1주변속기어(41) 또는 상기 제2주변속기어(4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축(3)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제2동력전달부(6)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전후진변속부(5)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2동력전달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8)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변속부(9)는 상기 캐리어(8)에 결합된 부변속슬리브(92)를 포함하고,
    상기 부변속슬리브(92)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8)를 회전시키며,
    상기 캐리어(8)는 상기 부변속슬리브(9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7)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1. 전달축(200);
    상기 전달축(200)으로부터 제1축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구동축(10);
    상기 제1구동축(10)으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10)과 동일선 상에 배치된 제2구동축(40);
    상기 제1구동축(10)을 통해 전달된 구동에 대해 변속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구동축(10)에 설치된 제1변속부(20);
    상기 제1변속부(2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200)에 결합된 전달부(30);
    일측이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축(40)에 결합된 캐리어(50); 및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된 구동에 대해 추가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하도록 상기 캐리어(50)에 설치된 제2변속부(60)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30)는 상기 전달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50)에는 상기 제1구동축(10)이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501)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50)는 일측이 상기 제1삽입홈(501)에 삽입된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변속부(6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구동축(4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제1변속부(20) 또는 상기 전달부(3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제1변속부(20)에 의해 변속된 구동에 대해 추가 변속을 수행한 후에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속부(20)는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변속기어(201), 상기 제1변속기어(201)로부터 상기 제2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축(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변속기어(202), 및 상기 제1변속기어(201) 또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변속을 수행하는 제1슬리브(20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캐리어(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3변속기어(601), 및 상기 제2변속기어(202) 또는 상기 제3변속기어(601)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서 추가 변속을 수행하는 제2슬리브(60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2변속기어(202) 또는 상기 제3변속기어(601)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50)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캐리어(50)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전달부(30)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1동력전달경로 및 상기 제1변속부(20)를 통해 구동이 전달되는 제2동력전달경로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구동을 상기 캐리어(5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속부(60)는 상기 캐리어(50)에 결합된 제2슬리브(60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슬리브(602)는 상기 제1동력전달경로 또는 상기 제2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50)를 회전시키며,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제2슬리브(602)를 통해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제2구동축(40)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0160051313A 2016-04-27 2016-04-27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16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313A KR102161474B1 (ko) 2016-04-27 2016-04-27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313A KR102161474B1 (ko) 2016-04-27 2016-04-27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16A KR20170122416A (ko) 2017-11-06
KR102161474B1 true KR102161474B1 (ko) 2020-10-05

Family

ID=6038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313A KR102161474B1 (ko) 2016-04-27 2016-04-27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4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378A (ja) 2005-11-14 2006-06-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KR100931965B1 (ko) 2008-03-27 2009-12-15 이명희 유성치차를 이용한 연속 고변속장치
JP2010209990A (ja) 2009-03-09 2010-09-24 Yanmar Co Ltd 作業機
KR101522497B1 (ko) 2014-03-13 2015-05-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용 변속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293A (ja) * 1993-02-02 1994-08-16 Seirei Ind Co Ltd 遊星ギア式変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378A (ja) 2005-11-14 2006-06-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KR100931965B1 (ko) 2008-03-27 2009-12-15 이명희 유성치차를 이용한 연속 고변속장치
JP2010209990A (ja) 2009-03-09 2010-09-24 Yanmar Co Ltd 作業機
KR101522497B1 (ko) 2014-03-13 2015-05-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용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16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8983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1725677B (zh) 用于车辆或作业机械的变速器和包含该变速器的作业机械
US10018250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vehicle
EP2019232A1 (en) Transmission for tractor
US7730807B2 (en) Transmission for tractor
US11187310B2 (en) Gear mechanism, use of a gear mechanism and method for a gear mechanism
CN113389856A (zh) 用于车辆的混合动力传动系
US20240084877A1 (en) Transmission apparatus of agricultural working automobile
CN114600570B (zh) 农用作业车辆的传动设备
KR102161474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CN116892597A (zh) 变速器、动力总成和车辆
KR102063662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US11313445B2 (en) Transmission
US20210018070A1 (en) Transmission range adder
US20210025484A1 (en) Transmission
CN210770068U (zh) 动力传递机构
CN108351005B (zh) 用于具有宽速度范围的农用车辆的齿轮箱单元
KR20190033785A (ko) 초저속 기능을 가지는 트랙터용 트랜스미션
KR102204071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102223734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JP2000170851A (ja) 多軸式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2196656B1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20200112699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KR200348311Y1 (ko) 농업용 트랙터의 변속시스템
KR20210047532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