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168B1 -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 Google Patents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168B1
KR102161168B1 KR1020190126868A KR20190126868A KR102161168B1 KR 102161168 B1 KR102161168 B1 KR 102161168B1 KR 1020190126868 A KR1020190126868 A KR 1020190126868A KR 20190126868 A KR20190126868 A KR 20190126868A KR 102161168 B1 KR102161168 B1 KR 102161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er
bridge construction
upper structure
chassis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태
황선영
Original Assignee
황윤태
황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윤태, 황선영 filed Critical 황윤태
Priority to KR102019012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8Control of attitude, i.e. control of roll, pitch, or y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차대, 상기 제1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바퀴 및 상기 제1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트랜스포터; 제2차대, 상기 제2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바퀴 및 상기 제2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스포터와 정렬되는 제2트랜스포터; 및 상기 제1트랜스포터와 상기 제2트랜스포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되,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는 각각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 측과 타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HEIGHT-ADJUSTABLE COMBINED MULTI-TRANSPORTER FOR BRIDGE CONSTRUCTION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강이나 하천, 계곡, 도심구간 등을 가로질러 철도나 도로를 가설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특히 상기 교량은 교각 및 교대, 상판 등 대부분의 구조를 가설 장소에서 제작하여 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가설 장소의 교통 상황에 따라 시공상의 불편함이 야기될 수 있고, 교통 체증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각 및 교대 등의 하부구조는 가설장소에서 제작 시공하고 상판 등의 상부구조는 별도의 제작 장소에서 제작 후 가설 장소로 이동시켜 하부 구조와 합체시키는 교량 가설 공법이 종종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 10-0891961 호에는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는 기존 교량 하부쪽을 가로질러 콘크리트 기초부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레일 선로를 설치하고, 상기 레일 한 쪽에 가설벤트를 설치한 후 가설벤트 위에 신설교량을 시공하고 크레인 등으로 기존 교량을 철거한 후 가설벤트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신설 교량을 기존 교량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레일을 따라 가설 벤트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 반경이 제한적이고 구조가 복잡하며 높낮이를 조절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0891961 호(2009.03.30.) 등록특허공보 제 10-1500302 호(2014.05.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는, 제1차대, 상기 제1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바퀴 및 상기 제1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트랜스포터; 제2차대, 상기 제2차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바퀴 및 상기 제2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스포터와 정렬되는 제2트랜스포터; 및 상기 제1트랜스포터와 상기 제2트랜스포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포함되되,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는 각각 상기 상부구조물의 일 측과 타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트랜스포터에는 상기 제1차대와 제1바퀴를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차대와 제1바퀴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1수평유지실린더가 포함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터에는 상기 제2차대와 제2바퀴를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차대와 제2바퀴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2수평유지실린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일단이 상기 제1차대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 일단이 상기 제2차대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 및 일단이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바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연결바의 타단 및 제2연결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조절하는 미세조절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미세조절부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 및 제2자세제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조절판; 및 상기 조절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조절하는 복수의 조절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에는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물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보호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는 상기 조절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연직상부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에는, 상기 제1차대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수평받침부재;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부수평받침부재;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이동받침부재; 및 각각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에는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연결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은, 교량의 하부에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로를 조성하는 이동로조성단계; 신설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력 강화를 위한 교대와 교각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보강작업단계; 지내력을 확보하고 지반 평탄을 위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신설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가설벤트제작단계;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교체하기 위한 신설 상부구조물을 제작하는 상부구조물제작단계;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철거하는 상부구조물철거단계; 연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하는 연결단계; 및 연결된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단계에서 제작한 신설 상부구조물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상부구조물설치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의하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제1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연결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미세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제1트랜스포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d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는 제1트랜스포터(100), 제2트랜스포터(200), 연결부(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는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함께 신설된 상부구조물(10)을 리프팅하여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교정하면서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원하는 자세로 정위치 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가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10)의 전방 측을 리프팅하고,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가 상기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10)의 후방 측을 리프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에서는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하는 것, 즉 2개의 트랜스포터를 연결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리프팅하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으나, 작업 환경에 따라서 3개의 트랜스포터 및 4개의 트랜스포터 등을 더 연결하여 작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는, 제1차대(110), 상기 제1차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바퀴(120) 및 상기 제1차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차대(110)는 대략적인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차대(110)의 직사각 형상은 실시 환경에 따라서 다른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는 상기 제1차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지지 높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는 유압을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자세제어부(130)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기울어짐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지지높이를 조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에는, 하부수평받침부재(131), 상부수평받침부재(132), 수직고정받침부재(133), 수직이동받침부재(134) 및 수평조절실린더(13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는 상기 제1차대(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 수직이동받침부재(134) 및 수평조절실린더(135)를 하부에서 받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 수직이동받침부재(134) 및 수평조절실린더(13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바로 아래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과 직접 접촉됨으로써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는 복수로 구성되어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수직이동받침부재(134)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내에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의 단면 형상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의 크기는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에는,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내부에 내삽된 상태에서 인입 및 인출되면서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수직 높이를 설정한 뒤에 상기 설정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에 삽입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137)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핀(137)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와 수직이동받침부재(134)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직이동받침부재(134)가 상기 수직고정받침부재(133)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135)는 각각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 및 공압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자세제어부(130)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직고정받침부재(133) 및 수직이동받침부재(134)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하고,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사이에 구비되는 수평조절실린더(135)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수평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높이 및 수평을 조절하여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135)의 일단에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1힌지부(138)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135)의 타단에는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하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제2힌지부(13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부(138) 및 제2힌지부(139)는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수평이 맞지 않더라도 상기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135)가 이에 대응되면서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에는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연결대(13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대(136)는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는, 제2차대(210), 상기 제2차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바퀴(220) 및 상기 제2차대(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와 정렬된다.
이때, 상기 제2차대(210)는 대략적인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2차대(210)의 직사각 형상은 실시 환경에 따라서 다른 다각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자세제어부(230)는 상기 제2차대(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자세제어부(230)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는 각각 양 측에 상기 제1바퀴(120) 및 제2바퀴(22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차대(110) 및 제2차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축(15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차축(150)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바퀴(120) 및 제2바퀴(220)와 함께 상기 제1차대(110) 및 제2차대(2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지지시키면서 제1차대(110) 및 제2차대(2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축(150)의 양 측 말단에 결합되는 제1바퀴(120) 및 제2바퀴(22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형태의 공기주입식 바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에는 상기 제1차대(110)와 제1바퀴(120)를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차대(110)와 제1바퀴(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1수평유지실린더(140)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에는 상기 제2차대(210)와 제2바퀴(220)를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차대(210)와 제2바퀴(2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2수평유지실린더(2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유지실린더(140) 및 제2수평유지실린더(240)는 유압을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평유지실린더(140) 및 제2수평유지실린더(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제1차대(110)와 제2차대(210)를 각각 차축(150)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차대(110) 및 제2차대(210)의 균형을 유지하여 상기 제1차대(110) 및 제2차대(210)가 수평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차대(110) 및 제2차대(2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와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를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나사 결합 등으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와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며,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300)가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상기 연결부(300)를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연결부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4a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연결부(300)에는, 일단이 상기 제1차대(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310), 일단이 상기 제2차대(210)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320) 및 일단이 상기 제1연결바(3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바(3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310)와 제2연결바(32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바(310)와 제2연결바(3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33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310) 및 제2연결바(320)는 H빔 등으로 구성되어 높은 강도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330)는 스크류잭이나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어 나사를 조절하거나 실린더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310) 및 제2연결바(320)는 나사 결합 등 을 통해 상기 제1차대(110) 또는 제2차대(2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제1연결바(310)의 타단 및 제2연결바(320)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고리(340) 및 상기 연결고리(3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3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구(35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고리(3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제1연결바(310)의 타단 및 제2연결바(32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결구(350)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상기 연결부재(33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고리(340) 및 연결구(35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연결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0)가 연결고리(340) 및 연결구(350)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 본 발명의 연결부(30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의 미세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d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하는 미세조절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미세조절부(400)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조절판(410) 및 상기 조절판(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하는 복수의 조절롤러(4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는 상기 조절판(4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가 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가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부구조물(1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연직상부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가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연직상부에만 배치되는 이유는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이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위치에도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조절판(410)이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에만 복수의 조절롤러(42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이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만 집중되어 상기 미세조절부(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400)에는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보호판(4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호판(430)은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와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조절롤러(4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상부구조물(10)과 접촉되는 상기 보호판(430)의 일면은 비교적 단단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와 접촉되는 상기 보호판(430)의 타면은 비교적 푹신푹신한 쿠셔닝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에 의해 상부구조물(10)과 함께 회전되는 보호판(430)의 타면은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소 거친 표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은, 이동로조성단계(S10), 보강작업단계(S20), 가설벤트제작단계(S30),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 연결단계(S60) 및 상부구조물설치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로조성단계(S10)는 교량의 하부에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로를 조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이동로조성단계(S10)에는 교량의 인근에 관(흄관)을 매설하여 하천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관의 주변으로 토사를 매설하여 이동로를 조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의 인근에 매설되는 관은 흄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작업단계(S20)는 상기 이동로조성단계(S10) 이후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력 강화를 위한 교대와 교각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설벤트제작단계(S30)는 상기 보강작업단계(S20) 이후 지내력을 확보하고 지반 평탄을 위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는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가설벤트제작단계(S30)에는, 복수의 기초 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기초 포트의 상부에 가설벤트 및 주형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 및 주형의 상부에 작업발판 및 안전펜스를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발판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제작을 위한 발판이고, 상기 안전펜스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제작하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펜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는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교체하기 위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에는, 복수의 신설 거더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신설 거더의 사이에 복수의 가로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설 거더 및 가로보와 인접한 위치에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설 거더 및 가로보와 인접한 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자갈을 포설하고 PC침목을 배열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는 신설 상부구조물의 교체 전 교각의 설치 높이에 따라 상기 가설벤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키는 인상단계(s45)가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8a 내지 도 8c에 따르면, 도 9a는 본 발명의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높이를 상부 방향으로 가변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높이가 가변된 상부구조물(10)을 기존의 교량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킬 때의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인상단계(s45)에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키는 지점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굽힘 강성이 EI일 때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과 같아질 수 있는 길이비 a/L을 구하고 이를 근거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과 같아지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이 같을 때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변형이 가장 적으며, 상기 상부구조물(10)의 변형이 가장 적을 때 교량이 내려놓아야 상기 상부구조물(10)이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a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양단에서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까지의 거리이며, L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일단에서 타단까지의 거리이다.)
먼저 B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지점이고, C는 제2트랜스포터(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근간이 되는 지점으로, B, C에서의 반력 성분을 구한다.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1
(여기서, Rb는 B 지점에서의 반력 성분이고 Rc는 C 지점에서의 반력 성분 이다.)
이후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세 구간으로 나누고 굽힘모멘트를 구한다.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2
(여기서, q는 자중에 의한 단위 길이 당 하중이다.)
이후 특이함수를 사용하여 (1), (2), (3) 식을 하나로 다음과 같이 구하고,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3
이후 (4) 식을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4
에 대입한 후 두 번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5
(여기서, E는 영률(Young's modulus)이고, I는 굽힘 강성이며, υ는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처짐량)
이후 경계조건으로부터 적분상수 C1과 C2를 구한다.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6
이후 적분상수 C1과 C2를 (6) 식에 대입하여 처짐식을 얻는다.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7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10) 양단의 처짐이 상기 상부구조물(10) 중심의 처짐과 같으므로 v(0) = v(L/2)이 된다.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8
Figure 112019104318809-pat00009
Figure 112019104318809-pat00010
즉, 상기 인상단계(S45)에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부로 이동되어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키는 지점은 B 지점과 C 지점이 될 수도 있고, B 지점과 C 지점 부근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는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철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는 열차 통행이 없는 야간 시간대를 활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계(S60)는 연결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연결부(300)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길이로 조절되어 연결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구조물설치단계(S7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단계(S40)에서 제작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상부구조물설치단계(S70)에는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교각의 사이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제어하여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위치 및 자세를 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제어하여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을 교좌장치에 안착시키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구조물(10)은 상기 상부구조물설치단계(S70)에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미세조절부(400)에 의해 미세한 자세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에는 상기 신설 상부구조물(10)의 설치가 끝난 이후 현장을 정리하고 하천을 복구하여 마무리하는 현장정리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1트랜스포터 및 제2트랜스포터의 상부에 미세조절부가 구비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의 자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상부구조물
100 : 제1트랜스포터
110 : 제1차대 120 : 제1바퀴
130 : 제1자세제어부 131 : 하부수평받침부재
132 : 상부수평받침부재 133 : 수직고정받침부재
134 : 수직이동받침부재 135 : 수평조절실린더
136 : 수평연결대 137 : 고정핀
138 : 제1힌지부 139 : 제2힌지부
140 : 제1수평유지실린더
150 : 차축
200 : 제2트랜스포터
210 : 제2차대 220 : 제2바퀴
230 : 제2자세제어부 240 : 제2수평유지실린더
300 : 연결부 310 : 제1연결바
320 : 제2연결바 330 : 연결부재
340 : 연결고리 350 : 연결구
400 : 미세조절부
410 : 조절판 420 : 조절롤러
430 : 보호판

Claims (11)

  1. 교량의 하부에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가 이동되기 위한 이동로를 조성하는 이동로조성단계(S10);
    신설 상부구조물(10)의 하중을 고려하여 지지력 강화를 위한 교대와 교각의 기초부를 보강하는 보강작업단계(S20);
    지내력을 확보하고 지반 평탄을 위하기 위해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 후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는 가설벤트를 제작하는 가설벤트제작단계(S30);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교체하기 위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제작하는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
    교량의 기존 상부구조물을 철거하는 상부구조물철거단계(S50);
    연결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연결하는 연결단계(S60); 및
    연결된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구조물제작단계(S40)에서 제작한 신설 상부구조물(10)을 이동시켜 설치하는 상부구조물설치단계(S70);
    가 포함되며,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는,
    제1차대(110), 상기 제1차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바퀴(120) 및 상기 제1차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1자세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는,
    제2차대(210), 상기 제2차대(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바퀴(220) 및 상기 제2차대(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제2자세제어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는 서로 정렬되고,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와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는,
    각각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일 측과 타 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에는,
    상기 제1차대(110)와 제1바퀴(120)를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차대(110)와 제1바퀴(1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1수평유지실린더(140)가 포함되고,
    상기 제2트랜스포터(200)에는,
    상기 제2차대(210)와 제2바퀴(220)를 연결하며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차대(210)와 제2바퀴(2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제2수평유지실린더(2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에는,
    일단이 상기 제1차대(110)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310);
    일단이 상기 제2차대(210)에 연결되는 제2연결바(320); 및
    일단이 상기 제1연결바(310)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바(32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바(310)와 제2연결바(320)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연결바(310)와 제2연결바(3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33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0)에는,
    상기 제1연결바(310)의 타단 및 제2연결바(320)의 타단에 구비되는 연결고리(340); 및
    상기 연결고리(34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30)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구(35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하는 미세조절부(400)가 더 포함되고,
    상기 미세조절부(400)에는,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 및 제2자세제어부(2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조절판(410); 및
    상기 조절판(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자세를 조절하는 복수의 조절롤러(42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400)에는,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의 상부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보호판(43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는,
    상기 조절판(4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롤러(420)는,
    상기 제1트랜스포터(100) 및 제2트랜스포터(200)의 연직상부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에는,
    상기 제1차대(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수평받침부재(131);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되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부수평받침부재(132);
    하부 말단이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에 수직으로 내삽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말단이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이동받침부재(134); 및
    각각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의 사이에 구비되되, 일단은 상기 하부수평받침부재(131)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수평받침부재(13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평조절실린더(135);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제어부(130)에는,
    상기 복수의 수직고정받침부재(133)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수평연결대(13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11. 삭제
KR1020190126868A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KR102161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68A KR102161168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68A KR102161168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1168B1 true KR102161168B1 (ko) 2020-09-29

Family

ID=7266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68A KR102161168B1 (ko) 2019-10-14 2019-10-14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1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8824A (ja) * 2004-12-28 2006-07-20 Mitsubishi Heavy Ind Ltd 橋梁用移動走行装置
KR100891961B1 (ko) 2008-08-06 2009-04-15 석정건설(주)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CN103352425A (zh) * 2013-06-19 2013-10-16 北京市政路桥管理养护集团有限公司 桥梁整体驮运的精确定位方法及定位装置
KR101400302B1 (ko) * 2013-11-12 2014-05-30 석정건설(주)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KR101500302B1 (ko) 2014-05-01 2015-03-09 박승수 스크롤 압축기 및 팽창기
US20150292553A1 (en) * 2013-06-26 2015-10-15 The Timken Company Double row tapered roller thrust bearing for improved loading capacity
KR101689028B1 (ko) * 2016-01-25 2016-12-23 주식회사 특수건설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8824A (ja) * 2004-12-28 2006-07-20 Mitsubishi Heavy Ind Ltd 橋梁用移動走行装置
KR100891961B1 (ko) 2008-08-06 2009-04-15 석정건설(주)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CN103352425A (zh) * 2013-06-19 2013-10-16 北京市政路桥管理养护集团有限公司 桥梁整体驮运的精确定位方法及定位装置
US20150292553A1 (en) * 2013-06-26 2015-10-15 The Timken Company Double row tapered roller thrust bearing for improved loading capacity
KR101400302B1 (ko) * 2013-11-12 2014-05-30 석정건설(주)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KR101500302B1 (ko) 2014-05-01 2015-03-09 박승수 스크롤 압축기 및 팽창기
KR101689028B1 (ko) * 2016-01-25 2016-12-23 주식회사 특수건설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7680B2 (ja) 連続高架橋の施工方法
CN110195382B (zh) 路基结构和采用该路基结构抬升轨道结构的方法
KR101400302B1 (ko) 교량 가설용 높이 가변형 트랜스포터
CN105970811A (zh) 大跨径空间三维曲面鱼腹式箱型钢结构高架桥梁施工工艺
CN107571392A (zh) 一种用于横张法预应力预制小箱梁施工的制梁台座
KR102161144B1 (ko) 교량 가설용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KR100692952B1 (ko) 철도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상부구조물 교체 시공방법
ITTO950922A1 (it) Struttura prefabbricata per la realizzazione di opere costruite a cielo aperto, particolarmente per cavalcavia autostradali,
JP5184248B2 (ja) 立体交差の施工方法
JP2008115645A (ja) 立体交差構造及び該立体交差構造の構築方法
CN111236089A (zh) 现有桥梁上部结构不均匀顶升***及不均匀顶升施工方法
KR100556219B1 (ko)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KR100454405B1 (ko)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KR101082418B1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20100034097A (ko) 유형 채널 브리지 제작용 대차 시스템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KR102161168B1 (ko) 교량 가설용 결합형 멀티 트랜스포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 공법
CN108708292A (zh) 一种工字型钢混组合梁混凝土叠合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211113217U (zh) 曲面支架
CN109056438B (zh) 一种城市高架匝道改造的施工方法
CN112211112A (zh) 一种在既有桥梁上采用双导梁架桥机的钢箱梁安装方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JP4040900B2 (ja) 立体交差施工方法、立体交差および移動架台
JP4685341B2 (ja) 高架橋の施工方法
CN211872669U (zh) 现有桥梁上部结构不均匀顶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