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930B1 -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 Google Patents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930B1
KR102160930B1 KR1020180139965A KR20180139965A KR102160930B1 KR 102160930 B1 KR102160930 B1 KR 102160930B1 KR 1020180139965 A KR1020180139965 A KR 1020180139965A KR 20180139965 A KR20180139965 A KR 20180139965A KR 102160930 B1 KR102160930 B1 KR 10216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block
kickboar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078A (ko
Inventor
유기봉
권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Priority to KR102018013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9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힘가능한 킥보드를 위한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해제가능한 고정모듈은, 서로에 대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블록(10); 및 제1 블록(10)과 제1 와이어(15)에 의해 연결되고 소정 중심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RELEASABLY FIXING MODULE AND FOLDABLE KICKBOAR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힘가능한 킥보드를 위한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킥보드란 풋보드에 한쪽 발을 올려두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박차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이동이 가능한 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킥보드(1)는 풋보드(2), 풋보드(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조립되는 전륜(4) 및 후륜(6), 킥보드(1)의 조향을 위하여 전륜(4)에 결합되는 조향부(8)를 포함한다.
종래에 킥보드는 어린이용 놀이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교통체증 회피를 위해 또는 근거리의 이동수단 등으로 킥보드가 성인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한편, 킥보드를 근거리 이동을 위하여 사용할 경우 킥보드를 운반할 경우가 많다. 특히, 자가용이나 대중교통을 탑승해야 하는 경우 킥보드의 부피가 커서 곤란할 경우가 있다. 또한, 킥보드를 실내로 운반하여 보관할 경우 등에 킥보드를 탑승할 때의 형태 그 자체로 이동시키게 되면 보관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도 하고, 부피가 커서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최근에는 킥보드를 접힘가능하게 형성하여 킥보드의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킥보드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접이식 킥보드가 등장한 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9811호 (등록일자: 2017.10.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접힘가능한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힘과 접힘 해제가 쉽고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킥보드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킥보드의 접힘은 쉽고 간편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면서도 접힘 상태에서도 접힘 해제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킥보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모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해제가능한 고정모듈은 서로에 대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블록과 제1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소정 중심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서로에 대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블록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프레임은 맞물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맞물림부재가 통과하는 관통면이 형성되고, 제3 프레임에는 상기 맞물림부재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재 체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1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의해 상기 내부를 향해 후퇴 또는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 일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의해 내측을 향해 후퇴 또는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 몸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 타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의해 내측을 향해 후퇴 또는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3 슬라이딩 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프레임은 양 측에 핸들바가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향부이고, 상기 핸들부는 조향부에 대해 수직하게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인 접힘가능한 킥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향부는 상기 핸들부가 접힘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조절가능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서로의 사이에 컷아웃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상기 컷아웃부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제1 바디 및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인서트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가능한 킥보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과 접힘 해제가 쉽고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킥보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킥보드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킥보드의 접힘은 쉽고 간편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면서도 킥보드의 접힘 상태에서나 접힘 해제상태에서나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킥보드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킥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의 제1 블록을 도시하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의 제1 블록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a의 선 AA'를 따른 절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5d는 제1 블록의 작동 모식도로서,
도 5a는 제1 하우징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도 5b는 도 5a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c는 제1 하우징에 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를 도시하고,
도 5d는 도 5c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의 제2 블록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도 6a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c는 도 6b의 선 BB'를 따른 절단면돌르 도시하고,
도 7a 내지 7d는 제2 블록의 작동 모식도로서,
도 7a는 제2 하우징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도 7b는 도 7a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c는 제2 하우징에 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를 도시하고,
도 7d는 도 7c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가능한 킥보드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가능한 킥보드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0a는 핸들부의 핸들바가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0b는 핸들부의 핸들바가 접히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c는 핸들부의 핸들바가 완전히 접힌 모습을 도시하고,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부의 베이스부의 상측면로서, 일측에 인서트바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b는 도 11a의 베이스부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1c는 도 11a의 선 CC'를 따른 절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2a는 베이스부의 제1 바디를 하측에서 바라본 하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b는 베이스부의 제2 바디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의 후륜측을 도시하고,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프레임의 맞물부보재를 도시하고,
도 14b는 도 14a의 상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4c는 도 14a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4d는 도 14a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도 14c의 선 DD'를 따른 절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힘가능한 킥보드의 하측면도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서로에 대하여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1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와이어에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소정 중심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에 따르면, 킥보드가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접히도록 구성하여 킥보드의 이동 내지는 운반 시 사용자가 킥보드를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킥보드를 안정적으로 동시에 견고하게 접철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보관 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작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과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킥보드 탑승 시에는 킥보드를 견고하게 고정하고, 접철 시에는 안전성 있고 간편하게 접철되도록 구성하는 메커니즘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힘가능한 킥보드는 조향부의 핸들바가 접철가능하게 형성되어 보다 더 컴팩트하게 킥보드를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제1 블록(10), 레버(20) 및 제1 블록(10)과 레버(20)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제2 블록(30), 레버(20) 및 제2 블록(30) 과 레버(20)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2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제1 블록(10), 레버(20), 제1 블록(10)과 레버(20)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15), 제2 블록(30) 및 제2 블록(30)과 레버(20)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블록(10)은 제1 하우징(12) 및 제1 하우징(12)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2)은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측에 제1 슬라이딩 몸체(14)가 수용된다. 제1 하우징(12)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당기는 힘에 의해 1차원적으로 일정거리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제1 하우징(12)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은 고정된 구조체와 같은 브라켓(T) 상에 장착되고,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또는 도면 속으로의 방향으로 제1 하우징(12)에 당기는 힘이 제공되면 제1 하우징(12)은 당기는 힘이 제공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당기는 힘은 제1 와이어(1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의 상면에는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11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12)의 상면은 두 개의 가이드부(112a, 112b)를 구비하고, 두 개의 가이드부(112a, 112b)는 제1 하우징(12)의 이동방향 내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가이드부(112a, 112b)는 제1 하우징(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내지는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제1 하우징(1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2a, 112b)는 실질적으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관통면일 수 있으나, 굴곡지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제1 하우징(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에는 삼각형상의 관통면을 갖는 가이드부(112a, 112b)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부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부(112a, 112b)의 모서리 중 제1 하우징(12)의 테두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하는 가이드부(112a, 112b)의 모서리(1112a, 1112b)가 제1 하우징(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 족하다.
제1 슬라이딩 몸체(14)는 제1 하우징(12)에 수용된다. 제1 슬라이딩 몸체(14)는 제1 하우징(12) 내부에서 제1 하우징(12)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제1 하우징(12)에 결합되고, 동시에 제1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에 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제1 하우징(12)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슬라이딩 몸체(14)는 사실상 고정되어 있으나 제1 하우징(12)의 이동에 따라 제1 슬라이딩 몸체(14)가 제1 하우징(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슬라이딩 몸체(14)는 핀부재(114a, 114b), 스프링(214), 가이드핀(314a, 314b) 및 결합공(4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핀부재(114a, 114b)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길이방향의 면의 양 측에 형성된다. 핀부재(114a, 114b)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로부터 돌출 또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측으로 후퇴가능하게 형성된다. 돌출이란 제1 슬라이딩 몸체(14)에서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의미하고, 후퇴란 제1 슬라이딩 몸체(14) 내부에 핀부재(114a, 114b)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슬라이딩 몸체(14) 내부에 핀부재(114a, 114b)의 사이에는 스프링(214)이 게재된다. 스프링(214)의 일측은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핀부재(114a, 114b) 중 어느 하나의 핀부재(114a)에 결합되고, 스프링(214)의 타측은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양측으로 돌출하는 핀부재(114a, 114b) 중 다른 하나의 핀부재(114b)에 결합된다. 핀부재(114a, 114b)가 가압에 의해 제1 슬라이딩 몸체(14) 또는 제1 하우징(12)의 내측을 향해 후퇴할 때에는 양 측의 핀부재(114a, 114b) 사이에 게재되는 스프링(214)이 압축됨으로써 핀부재(114a, 114b)의 후퇴가 가능하다. 반대로, 핀부재(114a, 114b)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핀부재(114a, 114b)가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외부로 돌출하는 경우에는 스프링(214)은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핀부재(114a, 114b)에는, 각각, 가이드핀(314a, 314b)이 결합된다. 가이드핀(314a, 314b)은 제1 하우징(12)의 가이드부(112a, 112b)에 맞닿도록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가이드핀(314a, 314b)은 가이드부(112a, 112b)를 관통하고 제1 하우징(12)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가이드부(112a, 112b)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제1 하우징(12)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핀(314a, 314b)은 가이드부(112a, 112b)에 의해 이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12a, 112b)에 적어도 일부가 맞닿으면 족하다.
제1 슬라이딩 몸체(14)에는 결합공(414)이 형성된다. 결합공(414)은 다른 구성요소에 제1 블록(10)이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을 재참조하면, 결합공(414)에 삽입되는 원형 형태의 로드가 브라켓(T)의 홀(H)에 장착되어 있다.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결합공(414)의 형상은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로드의 형태는 결합공(41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모듈은 레버(20)를 포함한다. 레버(20)는 제1 와이어(15)에 의해 제1 블록(10)과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을 당기는 힘은 레버(20)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15)에 의해 제공된다. 레버(20)를 회동시켜 제1 블록(10)의 제1 하우징(12)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15)에 장력이 제공되면 제1 하우징(12)은 제1 와이어(15)가 당겨지는 측으로 이동한다.
아래의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d에서 제1 슬라이딩 몸체(14)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고정 프레임 등 브라켓(T)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되는 것이다. 도 5a 및 5b는 핀부재(114a, 114b)가 제1 슬라이딩 몸체(14)로부터 돌출한 상태이고, 스프링(214)은 원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c 및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에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당기는 힘이 제공되면, 제1 하우징(12)은 당기는 힘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한다. 그러면 제1 하우징(12)의 가이드부(112a, 112b)를 따라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가이드핀(314a, 314b)이 가이드부(112a, 112b)를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핀(314a, 314b)은 가이드부(112a, 112b)의 비스듬한 형상 때문에 서로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가이드핀(314a, 314b)이 장착되는 핀부재(114a, 114b)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214)은 압축되고, 핀부재(114a, 114b)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 내측으로 가압력을 제공받아 제1 슬라이딩 몸체(14)를 향해 후퇴하게 된다. 반대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제1 하우징(12)은 다시 5a 및 5b의 상태로 이동하고, 핀부재(114a, 114b)도 가이드부(112a, 112b)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며, 스프링(214)은 원위치로 복원되어 핀부재(114a, 114b)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로부터 돌출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제2 블록(30), 레버(20) 및 제2 블록(30) 과 레버(20)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30)은 제2 하우징(32) 및 제2 하우징(32) 내부에 수용되는 제2 슬라이딩 몸체(34)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32)은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32) 내부의 공간에는 제2 슬라이딩 몸체(34)가 수용된다. 제1 블록(1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2 하우징(32)은 당기는 힘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32)을 당기는 힘은 제2 와이어(2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블록(30)의 경우, 제1 블록(10)의 경우처럼 결합공(414)을 통해 고정된 프레임 등 브라켓(T)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그 대신에 제2 하우징(32)을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레일(미도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32)의 내부 일측에는 가이드면(132)이 형성된다. 가이드면(132)은 제2 하우징(32) 내부의 공간에 제2 하우징(32)의 이동방향 내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비스듬히 형성되는 경사면일 수 있다. 가이드면(132)은 제2 하우징(32)의 내부의 공간에 제2 하우징(32)의 이동방향 내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양측에 대칭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두께방향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132)은 제2 하우징(32)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몸체(34)는 제2 하우징(32)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2 슬라이딩 몸체(34)는 제2 하우징(32) 내부의 일부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제2 하우징(32)의 내부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제1 하우징(12)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2 슬라이딩 몸체(34)는 고정되어 있으나 제2 하우징(32)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 몸체(34)는 제2 블록(30) 또는 제2 하우징(32)의 이동방향 내지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길이방향 제1 측에 형성되는 제1 몸체부(134) 및 제1 몸체부(134)에 대칭되도록 제2 블록(30) 또는 제2 하우징(32)의 길이방향 타측인 제2 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몸체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134)에는 제2 하우징(32)의 외부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1134a, 1134c)가 형성된다. 핀부재(1134a, 1134c)는, 바람직하게, 두 개 이상을 포함한다. 핀부재(1134a, 1134c)는 후술하는 제1 몸체(134)의 미끄럼이동 및 스프링(334)에 의해 제2 하우징(32) 내측을 향해 후퇴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핀부재(1134a, 1134c)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핀부재(1134a, 1134c)는 실질적으로 함께 돌출하고 함께 후퇴하도록 형성된다.
제2 몸체부(234)에는 제2 하우징(32)의 외부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1134b, 1134d)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핀부재(1134b, 1134d)는 두 개 이상을 포함한다. 핀부재(1134b, 1134d)는 제2 몸체의 미끄럼이동과 스프링(334)에 의해 제2 하우징(32) 내측을 향해 후퇴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핀부재(1134b, 1134d)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핀부재(1134b, 1134d)는 실질적으로 함께 돌출하고 함께 후퇴하도록 형성된다.
제1 몸체부(134) 및 제2 몸체부(234)는, 각각, 제2 하우징(32)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32)에 의해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면(2134)를 포함한다. 피가이드면(2134)은 가이드면(13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면(132)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34) 및 제2 몸체부(234)의 사이에는 스프링(334)이 게재된다. 스프링(334)은 제1 몸체부(134) 및 제2 몸체부(234)가 제2 하우징(32)의 가이드면(132)을 따라 이동하면 제1 몸체부(134)와 제2 몸체부(234)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제2 하우징(32)의 가이드면(132)를 이탈하면 스프링(334)에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원상태로 회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전술한 제1 블록(10), 제1 와이어(15)에 의해 제1 블록과 연결되는 레버(20), 레버(20)에 제2 와이어(25)에 의해 연결되는 제2 블록(30)을 포함한다. 즉, 도 2를 재참조하면,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은 레버(20)에 각각 제1 와이어(15) 및 제2 와이어(25)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블록(10) 및 제2 블록(30)을 병합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접철가능한 킥보드가 제공된다. 킥보드는 고정모듈을 포함하여 접힘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가능한 킥보드는, 전륜을 포함하는 조향부; 상기 조향부에 대해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프레임; 후륜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에 대해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프레임에 장착되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접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가능한 킥보드(K)는 조향부(50),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부(50)는 킥보드의 운행 시 운행자에게 킥보드의 운전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균형감을 주며, 킥보드의 조향을 가능하도록 해 준다. 조향부(50)는 핸들부(51), 조향포스트(53), 헤드튜브(55), 포크(57) 및 전륜(59)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포스트(53)의 일단에는 핸들부(51)가 결합되고, 조향포스트(53)의 타단에는 헤드튜브(55)의 일측이 결합된다. 헤드튜브(55)의 타측에는 포크(57)가 결합되고, 포크(57)에 전륜(59)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핸들부(51)는 접철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부(51)는 조향포스트(53)에 결합되는 베이스부(61)를 포함한다. 핸들부(51)는, 또한, 베이스부(61)의 양측에는 결합되는 핸들바(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핸들바(63)는 그립부(163), 그립부(163)에 결합되는 핸들로드(263) 및 핸들로드(263)를 베이스부(6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인서트바(363)를 포함할 수 있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그립부(163), 핸들로드(263) 및 인서트바(363)를 별개의 구성으로 설명하고 별개의 구성으로 도면에 표현하고 있으나 세 개의 구성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세 개의 구성 중 두 개는 일체로 형성되고 남은 하나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61)는 제1 바디(161) 및 제1 바디(161)와 이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바디(261)를 포함한다.
제1 바디(161)와 제2 바디(261)는 노브볼트(361), 이격볼트(461) 및 로드부재(561)에 의해 결합된다. 도면에는 이격볼트(461) 세 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그 개수가 증감될 수 있다. 로드부재(561)는 핸들바(63)의 개수만큼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볼트(361)는 이격볼트(461)에 의해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의 사이를 인서트바(363)의 회동에 의해 이격될 수 있도록 공간상 제약을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브볼트(361)는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를 관통하는 노브볼트 결합공(1361)에 삽입된다.
이격볼트(461)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에는 관통공(미표시)이 형성된다. 제1 바디(161) 측의 관통공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제2 바디(261) 측의 관통공에는 이격볼트(261)의 헤드가 제1 바디(161)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걸림턱(1261)이 구성된다. 제2 바디(261)의 걸림턱(1261)과 이격볼트(461)의 헤드 사이에는 스프링(2261)이 장착된다.
로드부재(561)는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를 관통하는 로드부재 결합공(1561)에 장착된다. 로드부재(561)에는 인서트바(363)가 결합된다. 인서트바(363)는 로드부재(561)를 중심으로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인서트바(363)가 장착되는 측의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 사이에는 컷아웃부(661)가 형성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61)에는 컷아웃부(661)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1161)가 제1 바디(161)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고, 제2 바디(261)에는 컷아웃부(661)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3261)가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제1 바디(161)의 돌출부(1161)와 제2 바디(261)의 돌출부(326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컷아웃부(661)의 다른 부분 보다 작은 두께를 형성한다(도 10a 내지 10c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가능한 킥보드는 전방프레임(70)을 포함한다. 전방프레임(70)은 조향부(50)에 대하여 접철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모듈의 제1 블록(10)은 조향부(50) 및 전방프레임(7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를 재참조하면, 도 9에는 전방프레임(70)이 조향부(50)에 대하여 접철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조향부(50)가 전방프레임(70)에 대하여 접철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방프레임(70)은 조향부(50)에 결합된다. 전방프레임(70)은 조향부(50)에 대하여 접철가능하게 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프레임(70)과 조향부(5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제1 블록(10) 또는 제2 블록(30)이 장착된다. 제1 블록(10) 또는 제2 블록(30) 중 어느 것이 장착되어도 무방하나, 도면에는 제2 블록(30)이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향부(50)와 전방프레임(70) 사이의 고정력이 후술하는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 사이의 그것보다 강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측에 복수의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2 블록(30)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블록(10)이 장착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70)은 맞물림부재(71), 관통면(73) 및 가이드풀리(75)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프레임(90)은 전방프레임(70)에 접철가능하게 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프레임(70)은 후방프레임(90)에 대하여 접철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후방프레임(90)이 전방프레임에 대하여 접철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표현의 차이일 뿐,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이 서로에 대해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 프레임(70, 90)의 접철을 위하여 제1 블록(10) 또는 제2 블록(30)이 사용된다. 도면에는 제1 블록(10)이 후방프레임(90)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블록은 제1 블록(10) 또는 제2 블록(30)일 수 있고,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90)은 머드가드(91), 레버(20), 후륜(95), 레버고정부(97) 및 맞물림부재 체결부(99)를 포함할 수 있다.
머드가드(91)는 머드가드로서의 기능 외에 킥보드의 제동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머드가드(91)는 후륜(95)의 상측에 후륜(95)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후방프레임(90)에 결합한다.
후륜(95)은 후방프레임(90)에 결합되는 후륜포크(19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후륜포크(195)에 형성되는 후륜(95)의 회전의 중심점(295)에는 레버(20)가 장착된다. 레버(20)는 중심점(29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레버(20)는 중심점(184)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20)가 후륜(95)의 회전의 중심점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레버가 회동하기 위한 구성의 간이성을 위하여 별도의 피벗점을 만들지 않기 위함이나 레버(20)는 다른 중심점에서 회동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블록(10, 30)과 레버(20)의 연결에 대한 설명을 통해 레버(20)가 반드시 후륜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레버(20)는 제1 및 제2 와이어(15, 25)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제1 및 제2 와이어는(15, 25) 각각 제1 블록(10)과 레버(20) 및 제2 블록(30)과 레버(20)를 연결한다. 제1 및 제2 와이어(15, 25)는 레버(20)의 특정 방향에 대한 회동에 의해 제1 및 제2 와이어(15, 25)가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레버(20)가 일정 각도 더 회동되어 레버고정부(97)에 고정되면, 접철된 킥보드는 접힘상태에서 자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4a 내지 14d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70)에는 맞물림부재(71)가 장착될 수 있다. 맞물림부재(71)는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이 접철될 때,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을 접철된 상태로 고정 및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맞물림부재(71)는 케이스(171), 후크부(271), 푸쉬로드(371) 및 스프링(471)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71)에는 제1 방향으로 케이스(171)의 일부를 관통하는 공간부(1171)가 형성된다. 공간부(1171)에는 공간부(1171) 내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도록 공간부(1171)보다 작게 형성되는 후크부(271)가 수용된다. 공간부(1171)는 케이스(171)의 일부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후크부(271)가 분리되지 않게 공간부(1171)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후크부(271)는 일측이 타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낫 또는 고리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고 이 부분은 케이스(171) 외부로 돌출한다. 후크부(271)는 공간부(1171) 내에서 제1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케이스(171)의 내부에는 제1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방향으로 관통홀(2171)이 형성되고, 관통홀(2171)에는 푸쉬로드(371)가 삽입된다. 푸쉬로드(371)는 관통홀(2171) 내에서 후크부(271)와 결합한다. 푸쉬로드(371)는 후크부(271)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푸쉬로드(371)의 연장된 단부 측에는 스프링(471)이 배치된다. 푸쉬로드(371)가 가압되어 스프링(471)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푸쉬로드(371)에 결합된 후크부(271)도 밀린다. 이 때 스프링(471)은 푸쉬로드(37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항상 푸쉬로드(371)가 다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한다.
도 16를 참조하면, 후크부(271)는 킥보드(K)가 접힌 상태에서 전방프레임(70)에 형성되는 관통면(73)을 통과하고, 후방프레임(9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맞물림부재 체결부(99)에 체결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전방프레임(70)의 관통면(73)과 후방프레임(90)의 맞물림부재 체결부(99)는 킥보드(K)가 접힌 상태에서 겹치도록 또는 포개어지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정모듈 및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블록을 포함하는 고정해제가능한 고정모듈
도 16을 재참조하면, 제1 블록(10)은 후방프레임(90) 하측에 장착된다. 전방프레임(70)의 하부면에는 후방프레임(90)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하는 레일(미표시)이 형성되고, 전방프레임(70)의 레일과 맞닿도록 후방프레임(90)의 하면에도 레일이 형성된다. 전방프레임(70)의 레일과 후방프레임(90)의 레일 각각에는 제1 블록(10)의 핀부재(114a, 114b)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마련된다. 전방프레임(70)과 후방프레임(90)의 홀은 포개어지도록 형성된다.
제1 블록(10)의 핀부재(114a, 114b)가 제1 슬라이딩 몸체(14) 외부로 돌출하여 전방프레임(70)의 레일과 후방프레임(90)의 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전방프레임(70)과 후방프레임(90)을 고정시킨다.
전방프레임(70)과 후방프레임(90)을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1 블록(10)과 연결되는 제1 와이어(15)가 레버(20)의 회동에 의해 당겨진다. 레버(20)가 회동되어 제1 와이어(15)를 당기면 제1 하우징(12)이 제1 슬라이딩 몸체(14)에 대하여 일정 거리 우측으로 당겨진다. 이와 같이 당기는 힘이 제공될 때,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가이드핀(314a, 314b)은 제1 하우징(12)의 가이드부(112a, 112b)를 따라 이동하므로 핀부재(114a, 114b)는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내측으로 후퇴하고 스프링(214)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나면 전방프레임(70)과 후방프레임(90)은 접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전방프레임(70)과 후방프레임(90)을 고정하기 위하여는, 제1 와이어(15)에 당기는 힘 내지는 장력이 제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레버(2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제1 하우징(12)은 다시 제1 슬라이딩 몸체(14) 측으로 이동한다. 압축되었던 스프링(214)은 원상태로 복원되고, 가이드핀(314a, 314b)의 가이드부(112a, 112b)를 따른 이동에 따라 핀부재(114a, 114b)는 다시 제1 슬라이딩 몸체(14)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에 각각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며,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을 고정시킨다.
제2 블록을 포함하는 고정해제가능한 고정모듈
도 16을 재참조하면, 제2 블록(30)은 조향부(50)의 헤드튜브(55)와 전방프레임(70)을 고정시킨다. 조향부(50)와 전방프레임(70)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고 조향부(50)의 홀과 전방프레임(70)의 홀은 포개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전술한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 사이의 경우와 유사하다.
조향부(50)와 전방프레임(70)의 홀에 제2 블록(30)의 핀부재(1134a, 1134b, 1134c, 1134d)가 삽입됨으로써, 전방프레임(70)과 조향부(50)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조향부(50)와 전방프레임(70)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 제2 와이어(25)가 레버(20)의 회동에 의해 당겨진다. 제2 와이어(25)는 제2 하우징(3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제2 하우징은 일정 거리 제2 와이어(25)가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하우징(32)이 당겨지는 과정에서, 제2 슬라이딩 몸체(34)의 피가이드면(2134)이 제2 하우징(32)의 가이드면(13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핀부재(1134a, 1134b, 1134c, 1134d)는 제2 하우징(32) 내측을 향해 후퇴하며 전방프레임(70)을 조향부(50)에 대하여 접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슬라이딩 몸체(34)의 제1 몸체부(134) 및 제2 몸체부(234) 사이에 게재되는 스프링(334)도 압축된다.
접힘된 상태를 다시 고정상태로 바꾸기 위해서는, 제2 와이어(25)에 가해지는 장력 또는 당기는 힘이 제거된다. 즉, 레버(20)를 원위치로 다시 복귀시킴으로써,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레버(20)을 원위치로 다시 회동시키면 스프링(334)에 압축력이 제거되면서 스프링(334)은 원상태로 복귀하고, 제2 하우징(32)도 원위치로 복귀한다. 제2 하우징(32)을 향해 후퇴했던 핀부재(1134a, 1134b, 1134c, 1134d)는 다시 조향부(50) 및 전방프레임(70)의 홀과 체결됨으로써, 킥보드(K)는 고정 상태가 된다.
레버(20)는 후측방향(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킥보드를 접고자 할 때 레버(20)는 전측(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즉, 레버(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야 제1 블록(10) 또는 제2 블록(30)이 고정해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수동 또는 전동 킥보드에는 후륜(95) 측에 장착되는 머드가드(91)가 후륜(95)의 타이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제동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킥보드에서 킥보드의 접힘을 위하여 레버(20)의 회동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하면, 발을 잘못 위치하게 할 경우, 레버(20)에 발을 딛게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을 뒤로 더 밀어 레버(2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킥보드(K)가 갑자기 접힐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주행하는 도중에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접힘을 위한 레버(20)의 회동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핸들부의 접힘 및 접힘 해제
도 10a 내지 도 12b를 재참조하면, 제1 바디(161) 및 제2 바이(261)에 결합되는 세 개의 이격볼트(461)는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가 이격되는 거리를 항상 수평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이격볼트(461)의 헤드와 제2 바디(261) 사이에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2261)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힘으로 압축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핸들부(51)를 접철하기 위하여, 양 측의 핸들바(63)가 0도를 이룬 상태(도 10a)에서 노브볼트(361)를 F길이 이상 풀어준다. 이 때, 핸들바(63)가 접철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2261)에 의해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핸들바(63)를 내측으로 접는 순간(도 10b, 접이각 0 도 초과 90도 미만) 핸들바(63)의 인서트바(363)가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의 컷아웃부(661) 내에서 로드부재(561)에 대하여 회동하며 돌출부(1161, 3261)로 올라가게 된다. 돌출부(1161, 3261)의 높이가 각각 F/2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의 간격이 길이 F만큼 형성되며 서로에 대해 이격하게 된다.
핸들바(63)를 접는 중, 즉, 각 핸들바(63)의 접이각이 0 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인서트바(363)가 계속 돌출부(1161, 3261)에 위치하게 된다. 핸들바(63)가 완전히 접힐 때, 즉, 각 핸들바(63)의 접이각이 90도가 되면 인서트바(363)는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의 돌출부(1161, 3261)를 벗어나게 되며, 스프링(2261)의 힘에 의해서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는 서로 다시 밀착하게 된다. 위에서 F 길이 만큼 풀었던 노브볼트(361)를 다시 조이면 핸들바(63)의 접힘이 완료된다. 핸들바(63)를 다시 펼치기 위해서는 위의 과정을 역으로 진행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핸들부(51)를 접힘 및 접힘해제함으로써, 접힘 해제상태에서도 견고하게 핸들바(63)가 고정될 수 잇고, 접고 펼치는 과정에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흔들림없이 접힘 및 접힘해제를 가능하게 해준다.
위에서는, 접힘 시, 핸들바(63)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힌 핸들바(63)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바(63)가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힌 핸들바(63)가 수직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위의 설명에서 컷아웃부(661)가 형성된 방향이 수평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제1 바디(161) 및 제2 바디(261)를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측 또는 상측으로 90도 회전시켜 컷아웃부(661)가 하측 또는 상측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핸들바(63)는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접힌 상태에서는 수직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다.
킥보드의 접힘 및 접힘 해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킥보드(K)는 레버(20)를 타격함으로써 또는 회동시킴으로써 간편하게 킥보드(K)가 접힐 수 있도록 한다.
레버(20)를 전방을 향해 회동시키면 제1 와이어(15) 및 제2 와이어(25)가 당겨지면서 제1 블록(10) 및 제2 블록(30)이 고정해제된다.
전방프레임(70) 및 후방프레임(90)을 모두 접었을 때, 전방프레임(70)의 맞물림부재(71)를 후방프레임(90)에 형성된 맞물림부재 체결부(99)에 결함시킴으로써 접힘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20)를 보다 더 회동시켜 레버고정부(97)에 고정시키면 킥보드(K)는 접힘 상태에서 스스로 자립하며, 레버고정부(97)에 고정시키지 않으면 킥보드(K)는 접힌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다.
위의 과정을 통해 접힌 킥보드(K)를 접힘 해제하는 과정은 위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는 것과 유사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맞물림부재(71)의 푸쉬로드(371)를 가압하여 후크부(271)가 맞물림부재 체결부(99)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면 킥보드(K)는 자중에 의해 전방프레임(70)과 후방프레임(90)이 펼쳐지고, 후방프레임(90)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접힘상태가 완전히 해제된다. 이 과정에서 제1 블록(10)과 제2 블록(30)이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킥보드(K)의 펼침상태를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안전하게 킥보드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 브라켓 H: 홀
10: 블록 12: 하우징
14: 제1 슬라이딩 몸체 15: 제1 와이어
20: 레버 25: 제2 와이어
30: 제2 블록 32: 제2 하우징
34: 제2 슬라이딩 몸체 50: 조향부
51: 핸들부 53: 조향포스트
55: 헤드튜브 57: 포크
59: 전륜 61: 베이스부
63: 핸들바 70: 전방프레임
71: 맞물림부재 73: 관통면
75: 가이드풀리 90: 후방프레임
91: 머드가드 95: 후륜
97: 레버고정부 99: 맞물림부재 체결부
112a, 112b: 가이드부 114a, 114b: 핀부재
132: 가이드면 134: 제1 몸체부
161: 제1 바디 163: 그립부
171: 케이스 195: 후륜포크
295: 중심점 214: 스프링
234: 제2 몸체부 261: 제2 바디
263: 핸들로드 271: 후크부
314a, 314b: 가이드핀 334: 스프링
361: 노브볼트 363: 인서트바
371: 푸쉬로드 414: 결합공
461: 이격볼트 471: 스프링
561: 로드부재 661: 컷아웃부
1112a, 1112b: 모서리
1134a, 1134b, 1134c, 1134d: 핀부재
1161, 3261: 돌출부 1171: 공간부
1261: 걸림턱 1361: 노브볼트 결합공
1561: 로드부재 결합공 2134: 피가이드면
2171: 관통홀 2261: 스프링

Claims (8)

  1. 서로에 대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제1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소정 중심점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서로에 대해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블록과 연결되는 것인 고정 해제가능한 고정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맞물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맞물림부재가 통과하는 관통면이 형성되고, 제3 프레임에는 상기 맞물림부재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재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인 고정 해제가능한 고정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제1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의해 상기 내부를 향해 후퇴 또는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1 슬라이딩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인 고정 해제가능한 고정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2 와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및 제3 프레임 중 장착된 프레임에서 일정 거리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 일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의해 내측을 향해 후퇴 또는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2 슬라이딩 몸체;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 타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의해 내측을 향해 후퇴 또는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제3 슬라이딩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인 고정 해제가능한 고정모듈.
  6. 청구항 1에 따른 고정모듈을 포함하는 킥보드로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양 측에 핸들바가 형성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조향부이고, 상기 핸들부는 조향부에 대해 수직하게 접힘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인 접힘가능한 킥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핸들부가 접힘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조절가능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서로의 사이에 컷아웃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포함하는 것인 접힘가능한 킥보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부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제1 바디 및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인서트바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접힘가능한 킥보드.
KR1020180139965A 2018-11-14 2018-11-14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KR10216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65A KR102160930B1 (ko) 2018-11-14 2018-11-14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965A KR102160930B1 (ko) 2018-11-14 2018-11-14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78A KR20200056078A (ko) 2020-05-22
KR102160930B1 true KR102160930B1 (ko) 2020-09-29

Family

ID=7091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965A KR102160930B1 (ko) 2018-11-14 2018-11-14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9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069Y1 (ko) 2004-02-24 2004-08-05 안 뉴 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전동 스쿠터
KR101290343B1 (ko) 2010-07-01 2013-08-20 제너럴로터(주) 접이식 핸들바
US20150375821A1 (en) * 2015-09-04 2015-12-31 Anita Wu Folding kick scoo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59B1 (ko) * 2013-02-27 2015-05-14 주식회사 에스티펀 킥보드 접철장치
KR101789811B1 (ko) 2015-05-06 2017-10-25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069Y1 (ko) 2004-02-24 2004-08-05 안 뉴 인더스트리얼 캄퍼니 리미티드 전동 스쿠터
KR101290343B1 (ko) 2010-07-01 2013-08-20 제너럴로터(주) 접이식 핸들바
US20150375821A1 (en) * 2015-09-04 2015-12-31 Anita Wu Folding kick sco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078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4925B2 (en) Folding stroller
KR102227172B1 (ko) 유아 푸시 체어 프레임과, 유아 푸시 체어
CN107284507B (zh) 车架收合关节及具有车架收合关节的婴儿车
CA3010736C (en) Foldable child's tricycle and folding method thereof
US8297643B2 (en) Stroller
RU2750757C2 (ru) Складное персон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KR101840583B1 (ko) 가변형 접이식 전기 스쿠터
US10501141B2 (en) Folding tricycle
EP2014536B1 (en) Foldable toy stroller
US20080143082A1 (en) Frame assembly for double-seat baby stroller
CN211731697U (zh) 滑板车结构
WO2007071141A1 (fr) Poussette pour enfant en bas age
US6315307B1 (en) Collapsible scooter
KR102160930B1 (ko) 고정해제가 가능한 고정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접힘가능한 킥보드
CN113212625A (zh) 折叠电动车
CN107776641B (zh) 推车车架
WO2000029277A1 (en) Foldable bicycle
TWM584760U (zh) 收折式推車車架
TWM519105U (zh) 安裝於二輪載具上的安全座椅裝置
CN210063246U (zh) 可折叠的儿童车
KR102516072B1 (ko) 접이식 유아차
CN216102581U (zh) 折叠电动车
CN221114036U (zh) 一种儿童载具
US12049281B2 (en) Foldable stroller
KR20180019461A (ko) 이동수단용 폴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