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881B1 - 조립식 놀이용 교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놀이용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881B1
KR102159881B1 KR1020190061821A KR20190061821A KR102159881B1 KR 102159881 B1 KR102159881 B1 KR 102159881B1 KR 1020190061821 A KR1020190061821 A KR 1020190061821A KR 20190061821 A KR20190061821 A KR 20190061821A KR 102159881 B1 KR102159881 B1 KR 10215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upport part
base
base portion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인
Original Assignee
김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인 filed Critical 김수인
Priority to KR102019006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14Drives arranged in the track, e.g. endless conveying means, magnets, driving-dis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16Control of vehicle drives by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Control of track elements b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dov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조립식 놀이용 교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베이스부;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모형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는 전방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부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며, 후면에 제1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주행용 자석이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후방 지지부;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주행용 자석에 척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일측에 적어도 제1 극성을 갖는 추진부가 구비된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놀이용 교구{TEACHING TOOLS}
본 발명은 조립식 놀이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조립을 통해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조립된 완성품으로 자석의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놀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 교구는 다양한 사물과 자연 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내용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학습 내용을 놀이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교구가 개발되어 아이들의 인지력, 창의력,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다.
학습 교구는 낱말 카드, 종이 접기, 자연 및 과학 기술을 이해하기 위한 장난감 형태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미취학 어린이의 인지력, 창의력, 집중력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집중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 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학습 교구를 이용하여 아이를 학습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학습 교구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아이들의 흥미와 의욕을 충족시키기에 한계가 있는바, 아이들은 학습 교구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중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주의력과 관찰력이 저하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학습 교구 중에서 아이들이 일반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형태는 기차나 자동차와 같이 움직여 이동하는 장난감 형태의 교구이지만, 이러한 종래의 학습 교구는 단순히 블록 형태를 갖는 몸체와, 그 몸체의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인바, 아이들이 손으로 잡고 전진 또는 후진하여 놀 수 있기 때문에 학습 교구로서의 효과보다는 놀이용 장난감으로서 사용되는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05631호(2000. 03. 2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이들의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완성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조립을 통해 완성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의 조립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들이 조립을 통해 완성품을 완성한 후에는 자석을 이용하여 완성품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놀이 과정에서 자석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된 베이스부;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모형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는 전방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부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며, 후면에 제1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주행용 자석이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후방 지지부;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 및 상기 주행용 자석에 척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일측에 적어도 제1 극성을 갖는 추진부가 구비된 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모형부, 상기 전방 지지부, 상기 후방 지지부,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형부는 동물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형부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부 및 상기 후방 지지부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용 자석은, 상기 베이스부의 좌회전을 위해 상기 후방 지지부를 후방에서 볼 때 우측에 배치되는 좌회전 자석; 상기 베이스부의 우회전을 위해 상기 후방 지지부를 후방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되는 우회전 자석; 및 상기 베이스부의 직진을 위해 상기 좌회전 자석과 상기 우회전 자석의 사이에 배치되는 직진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자력이 통과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보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하부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부재는 타측에 상기 하부 자석에 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부 자석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인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완성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조립을 통해 완성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조립 능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품을 완성한 후에는 자석을 이용하여 완성품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교육 효과를 높이는 한편 놀이 과정에서 자석의 원리를 자연스럽게 이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의 조립 전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성을 사용하여 완성한 조립식 놀이용 교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바퀴를 추가로 조립하여 완성한 조립식 놀이용 교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도 3 및 도 4의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좌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도 3 및 도 4의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우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도 3 및 도 4의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전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2의 구성을 사용하여 완성한 조립식 놀이용 교구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도 8의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보드판 위에서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는 베이스부(100), 모형부(200), 전방 지지부(300), 후방 지지부(400), 고정부(500) 및 자석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바퀴부(700) 및 보드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베이스부(100), 모형부(200), 전방 지지부(300), 후방 지지부(400), 고정부(500), 자석 부재(600), 바퀴부(700), 보드판(800)은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포장, 판매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조립식 프라 모델처럼 하나의 판(plate)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포장, 판매될 수도 있는바,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술한 다른 구성들이 조립되기 위한 기초가 되는 것으로,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른 구성들이 삽입되어 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삽입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101)은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선과 직선이 교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삽입공(101)은 베이스부(100)의 중심선 상에서 좌우 평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다른 구성들이 베이스부(100)에 조립되었을 때 무게가 어느 한 쪽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모형부(200)는 토끼나, 거북이 등과 같이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아이들이 친숙함을 느낄 수 있는 동물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자동차, 기차 등과 같은 차량 형상 등, 아이들이 선호하는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형부(200)가 토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모형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모형부(200)가 베이스부(100)에 쉽게 조립되거나 분해되도록 모형부(20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100)의 삽입공(101)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 돌기(2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201)는 베이스부(100)의 삽입공(101)의 크기와 같거나 조금 크게 형성되어 모형부(200)가 베이스부(100)에 억지 끼움을 통해 조립되고 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삽입 돌기(201)는 모형부(200)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100)와 조립되는 다른 구성에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형부(200)는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과 모형부(200)의 길이 방향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면의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지지부(300)는 베이스부(10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킨 상태로 지지하며 베이스부(100)를 지지할 때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는 베이스부(100)가 바닥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베이스부(100)의 이동시 마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부(400)는 베이스부(100)의 하면부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후방 지지부(400) 역시 베이스부(10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는데, 이때 후방 지지부(400)의 높이는 전방 지지부(30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부(1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후방 지지부(400)의 폭은 전방 지지부(300)의 폭보다 더 넓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지지부(400)에는 그 후면에 복수 개의 주행용 자석(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행용 자석(410)은 N극과 S극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인 제1 극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베이스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주행용 자석(41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용 자석(410)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500)는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가 베이스부(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전방 지지부(300)와 후방 지지부(400)를 각각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부(500)는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에 각각 끼워지도록 필요에 따라 절개홈이 일부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지지부(300)와 후방 지지부(4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부(5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는 베이스부(100)의 폭 방향(Y)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00)는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워져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X)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석 부재(600)는 상기 후방 지지부(400)에 구비된 주행용 자석(410)에 척력을 제공하여 베이스부(100) 및 모형부(200)를 자석의 힘을 이용하여 밀 수 있다.
자석 부재(600)의 일측에는 상기 주행용 자석(410)과 극성이 동일한 제1 극성을 갖는 추진부(6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극성의 추진부(610)를 제1 극성의 주행용 자석(410)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자석의 척력에 의해 주행용 자석(410)이 부착된 후방 지지부(400)가 밀리면서 베이스부(100) 및 모형부(200)가 척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바, 이에 따라 아이들은 척력에 의해 모형부(200)가 움직이는 것에 호기심과 흥미를 느끼면서 자연스럽게 자석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석 부재(600)의 타측에는 소정의 극성을 갖는 인력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인력부(620)는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 인력부(620)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행용 자석(410)은 도 1 내지 도 4에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좌회전 자석(411), 우회전 자석(412), 직진 자석(413)을 포함하여 총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좌회전 자석(411)은 자석 부재(600)가 접근할 때 베이스부(100)의 좌회전이 수행되도록 후방 지지부(400)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후방 지지부(40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우회전 자석(412)은 자석 부재(600)가 접근할 때 베이스부(100)의 우회전이 수행되도록 후방 지지부(400)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후방 지지부(40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직진 자석(413)은 자석 부재(600)가 접근할 때 베이스부(100)의 직진을 위해 좌회전 자석(411)과 우회전 자석(4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석 부재(600)의 추진부(610)를 좌회전 자석(411)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추진부(610)와 좌회전 자석(411) 간에 척력이 발생되며, 이 척력은 베이스부(100)의 우측에 편향되게 작용하여 베이스부(100)를 좌회전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추진부(610)를 우회전 자석(412)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이때 발생한 척력이 베이스부(100)의 좌측에 편향하게 작용하여 베이스부(100)를 우회전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추진부(610)를 직진 자석(413)에 가까이 접근시키면 이때 발생한 척력이 베이스부(100)의 후방 중간 부위에 작용하여 베이스부(10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앞으로 똑바로 전진할 수 있다(도 7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조립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놀이용 교구는 테이블 또는 실내의 바닥에 올려 놓고 자석 부재(600)의 추진부(610)를 주행용 자석(410)에 접근시켜 모형부(200)가 움직이도록 하여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자석의 원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는 바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700)는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부(100)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처럼 마찰에 의하여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바퀴부(70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바퀴부(700)가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에 설치되도록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에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바퀴축(7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부(700)가 전방 지지부(300) 및 후방 지지부(400)에 끼워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바퀴부(700)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는 보드판(800)과 하부 자석(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드판(800)은 베이스부(10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로 형성되며 표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진 평면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자력이 통과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보드판(800)은 자석의 인력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놀이를 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에 따른 조립식 놀이용 교구를 조립 시 베이스부(100)에 전방 지지부(300), 후방 지지부(400), 고정부(500)는 조립하지 않고 도 8에서 보듯이 베이스부(100)를 보드판(800) 위에 올려 놓는다.
이때, 베이스부(100)에는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을 가지며 베이스부(100)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하부 자석(110)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자석(110)은 다른 구성들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급적 베이스부(100)의 하부면 전체를 덮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에 하부 자석(110)이 부착된 베이스부(100)를 보드판(800) 위에서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도록 상기 자석 부재(600)의 타측에는 인력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인력부(620)는 상기 하부 자석(110)에 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부 자석(110)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자석(110)이 제1 극성을 가지면 인력부(620)는 제2 극성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자석(110)이 제2 극성을 가지면 인력부(620)는 제1 극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판(800)을 사이에 두고 그 위에는 하부 자석(110)이 구비된 베이스부(100)가 얹혀지고 그 아래에는 자석 부재(600)의 인력부(620)가 위치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보드판(800) 아래에서 자석 부재(600)를 움직이면 인력부(62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베이스부(100)가 자석의 인력에 의해 움직이게 되므로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자석의 인력의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0 : 베이스부 101 : 삽입공
110 : 하부 자석 200 : 모형부
201 : 삽입 돌기 300 : 전방 지지부
400 : 후방 지지부 410 : 주행용 자석
411 : 좌회전 자석 412 : 우회전 자석
413 : 직진 자석 500 : 고정부
600 : 자석 부재 610 : 추진부
620 : 인력부 700 : 바퀴부
800 : 보드판

Claims (3)

  1.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면에 제1 극성 또는 제2 극성을 하부 자석(110)이 부착되는 베이스부(100);
    동물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모형부(200);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부면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10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는 전방 지지부(300);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면부 후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100)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키며, 후면에 제1 극성을 갖는 복수 개의 주행용 자석(410)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후방 지지부(400);
    상기 전방 지지부(300) 및 상기 후방 지지부(400)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방 지지부(300) 및 상기 후방 지지부(400)에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베이스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500);
    상기 주행용 자석(410)에 척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측에 제1 극성을 갖는 추진부(6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자석(110)에 인력을 제공하기 위해 타측에 상기 하부 자석(110)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인력부(620)가 구비된 자석 부재(600);
    상기 전방 지지부(300) 및 상기 후방 지지부(40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100)를 이동시키는 바퀴부(700); 및
    상기 베이스부(10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자력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보드판(800);을 포함하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부(300) 및 상기 후방 지지부(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500)는 상기 전방 지지부(300) 및 상기 후방 지지부(400)에 각각 교차하는 방향으로 끼워지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 자석(41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회전을 위해 상기 후방 지지부(400)를 후방에서 볼 때 우측에 배치되는 좌회전 자석(411);
    상기 베이스부(100)의 우회전을 위해 상기 후방 지지부(400)를 후방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되는 우회전 자석(412); 및
    상기 베이스부(100)의 직진을 위해 상기 좌회전 자석(411)과 상기 우회전 자석(412)의 사이에 배치되는 직진 자석(413)을 포함하는,
    조립식 놀이용 교구.
KR1020190061821A 2019-05-27 2019-05-27 조립식 놀이용 교구 KR10215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21A KR102159881B1 (ko) 2019-05-27 2019-05-27 조립식 놀이용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821A KR102159881B1 (ko) 2019-05-27 2019-05-27 조립식 놀이용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881B1 true KR102159881B1 (ko) 2020-09-24

Family

ID=7270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821A KR102159881B1 (ko) 2019-05-27 2019-05-27 조립식 놀이용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86B1 (ko) 2022-05-12 2022-10-11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613A (en) * 1975-02-12 1976-06-29 Saunders Jack L Magnetic toy
JPH08229245A (ja) * 1995-02-28 1996-09-10 Toho Kogyo Kk 磁石により佇立回転する玩具
KR20000005631U (ko) 1998-08-04 2000-03-25 윤달중 유에프오와 요술상자
KR20030062804A (ko) * 2002-01-19 2003-07-28 하영균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놀이기구
US20090191785A1 (en) * 2001-01-24 2009-07-30 Light Wave, Ltd. Surf toy action figure and simulated surfing game
JP2016097252A (ja) * 2014-11-26 2016-05-30 ピープル株式会社 磁石式プレート玩具及びこれに用いるタイヤ部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5613A (en) * 1975-02-12 1976-06-29 Saunders Jack L Magnetic toy
JPH08229245A (ja) * 1995-02-28 1996-09-10 Toho Kogyo Kk 磁石により佇立回転する玩具
KR20000005631U (ko) 1998-08-04 2000-03-25 윤달중 유에프오와 요술상자
US20090191785A1 (en) * 2001-01-24 2009-07-30 Light Wave, Ltd. Surf toy action figure and simulated surfing game
KR20030062804A (ko) * 2002-01-19 2003-07-28 하영균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놀이기구
JP2016097252A (ja) * 2014-11-26 2016-05-30 ピープル株式会社 磁石式プレート玩具及びこれに用いるタイヤ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86B1 (ko) 2022-05-12 2022-10-11 고종택 놀이형 학습 교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llard Playful learning and Montessori education.
Johnson Children, robotics, and education
Riedo et al. A two years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using the thymio robot
KR102308463B1 (ko) 동적 입체형 교구
US4233777A (en) Floating doll, toy assembly
JPH01500248A (ja) 遊びの趣向を備えた絵本
US5035666A (en) Blocks with platform, wheel and recesses
KR102159881B1 (ko) 조립식 놀이용 교구
CA1309586C (en) Reconfigurable toy
Kahn Toontalk-steps towards ideal computer-based learning environments
KR20100076093A (ko) 유아용 자석블록
CN114173892B (zh) 具有磁吸性的积木玩具以及行走路线的设计图
Wong et al. Learning object-oriented programming with computer games: A game-based learning approach
KR20050051700A (ko) 자석 조립완구
KR10102896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JP3232319U (ja) 知育玩具
Agarwal Re-envisioning Kindergarten Learning Spaces in the US Education System
JP3133695U (ja) 知恵玩具
KR102167763B1 (ko) 이동식 화상보드와 퍼즐모듈을 연계한 어셈블리형 영유아교구
KR102453686B1 (ko) 놀이형 학습 교구
KR200305658Y1 (ko) 구슬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구
KR1011460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KR200377064Y1 (ko) 마술용구
Ross et al. Phototropic BristleBot activity for robotics and STEM engagement
KR101824381B1 (ko) 길 찾기 학습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