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568B1 - 정비성 언더커버 - Google Patents

정비성 언더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568B1
KR102158568B1 KR1020180170769A KR20180170769A KR102158568B1 KR 102158568 B1 KR102158568 B1 KR 102158568B1 KR 1020180170769 A KR1020180170769 A KR 1020180170769A KR 20180170769 A KR20180170769 A KR 20180170769A KR 102158568 B1 KR102158568 B1 KR 10215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over
cover
opening
fix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853A (ko
Inventor
이한영
김희웅
공용식
Original Assignee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5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63Floor elements for rep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 개방된 개방부를 통해 차량정비를 하기 위해 커버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해야 하는 경우 연결부를 통해 커버부와 언더커버부를 연결함으로서 작업자가 커버부를 개폐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커버부를 언더커버부의 성형후 남은 스크랩을 활용하여 생산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하며, 언더커버의 외관을 통일시켜 미감을 향상시키고 언더커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비성 언더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비성 언더커버{Maintenance Under cover}
본 발명은 정비성 언더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필터, 엔진오일 교환 등 차량정비시 커버부 개폐의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언더커버부와 동일소재인 성형후 남은스크랩을 활용하여 커버부를 생산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외관의 통일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비성 언더커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 중에는 돌멩이나 물, 각종 오염물질 등의 여러 이물질이 자동차로 튀기거나 자동차에 자주 묻게 되고, 특히 둔턱이나 겨울철의 눈이 쌓인 곳을 통과할 때에는 자동차의 하단부가 노면이나 노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 마찰될 수 있기 때문에 엔진룸내의 엔진과 변속기 및 자동차의 주요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자동차의 하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하단면에는 언더커버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언더커버는 엔진 및 변속기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자동차의 주행 중에 외부의 이물질이 자동차의 하부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차의 언더커버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 특히 엔진과 변속기 등의 소음을 흡수 내지 차단하여 소음이 자동차의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도 수행하고, 주행시 공기와의 저항을 감소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언더커버는 자동차의 하부에 멤버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언더커버는 자동차의 저부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엔진오일 배출 등 차량의 하부에 정비가 필요한 경우 정비가 필요할 때마다 언더커버를 탈부착해야만 정비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정비시간이 증대될 뿐만아니라 정비의 편의성이 저하되며, 빈번한 탈부착에 의해 언더커버가 노후하거나 언더커버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언더커버에는 엔진오일 드레인홀등 정비 용이성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다만 NVH(noise, vibration, haeshness) 성능 개선을 위해 자동차의 주행시등 평상시에는 개방부가 폐쇄될 필요도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연비향상을 위해 재질대비 중량 저감이 가능한 복합소재 를 활용하여 언더커버를 제조하는 경우가 다수 있다.
복합소재의 언더커버의 경우, 일반적으로 언더커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금형을 제작하여 언더커버를 제조하게 되고, 정비를 위해 언더커버에 개방된 개방부를 폐쇄하기 위한 커버부 또한 언더커버와 마찬가지로 커버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금형을 제작하여 커버부를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언더커버는 별도의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커버부를 언더커버부에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공구를 가지고 볼트와 너트를 해제하거나 체결해야 커버부의 개폐가 가능하고, 게다가 종래 언더커버는 체결된 볼트 전부를 해제하는 경우에만 커버부가 개방되어 작업자가 개방된 개방부를 통해 정비를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공수가 증대되고,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비작업시간이 증대되어 작업효율을 저해시키고 및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언더커버는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체결볼트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커버부를 언더커버부에 결합함에 따라 스틸소재의 추가에 따른 자동차의 중량을 증대시키고, 자동차의 연비를 낮추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언더커버는 언더커버부와 커버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뾰족하고 날카롭게 형성된 볼트의 끝단이 오일팬등을 향해 설치되므로 자동차가 주행 중에 과속 방지턱이나 울툴불퉁한 노면을 지나가게 되는 경우 가해지는 노면 충격에 의해 볼트 끝단이 오일팬과 충돌하여 누유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언더커버는 복합소재로 언더커버를 제조하는 경우 언더커버부 제조를 위한 금형형상 외에 커버부를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형상이 필요하고 별도의 커버부의 성형을 위한 금형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복합소재 재단을 위한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금형제작비용 및 복합소재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7-355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언더커버부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차량정비를 하기 위해 커버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해야 하는 경우 연결부를 통해 커버부와 언더커버부를 연결함으로서 작업자가 커버부를 개폐하는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커버부를 언더커버부의 성형후 남은 스크랩을 활용하여 생산함으로서 원가를 절감하고 언더커버의 외관을 통일시켜 미감을 향상시키고 언더커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비성 언더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부; 상기 개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언더커버부의 상기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연결부를 체결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부; 상기 개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언더커버부의 상기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를 체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부; 상기 개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언더커버부의 상기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커버부는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언더커버부의 성형시 남은 스크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언더커버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언더커버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언더커버부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함께 수용된 상기 제1 고정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언더커버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의 각면의 일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베이스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언더커버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각각의 상기 복수의 설치부와 대응하고 마주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각면의 일부에 함입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언더커버부에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대향되고 상기 커버부에 결합 설치되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착탈부 사이에 형성되는 선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선회부는 노치 또는 힌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리벳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파스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부를 중심으로 상기 결합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스토퍼부와 직교하고, 상기 연장부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결착홀과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받침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연결부가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상기 이동부의 중심, 상기 설치부의 중심, 상기 삽입부의 중심, 및상기 고정홀의 중심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커버부와 언더커버부를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고, 연결부는 커버붕와 언더커버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별도의 볼트등을 설치 또는 해제할 필요 없이 커버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자동차의 정비를 위해 편리하게 커버부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를 전부 해제할 필요 없이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가 선회하여 커버부가 개방될 정도로만 제2 고정부를 해제하고, 일부 연결부는 언더커버부에 연결되어 커버부가 언더커버부에 일부 결합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정비작업을 하는 동안 별도로 커버부를 보관할 장소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제2 고정부를 전부 해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공수도 절감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비작업시간을 최소화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종래 언더커버와 같이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체결볼트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커버부를 언더커버부에 결합할 필요 없이 연결부와 연결부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통해 자동차의 중량을 감소시켜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종래와 같이 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뾰족하고 날카롭게 형성된 볼트의 끝단이 오일팬등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 중에 과속 방지턱이나 울툴불퉁한 노면을 지나갈때 가해지는 노면 충격에 의해 볼트 끝단이 오일팬과 충돌하여 누유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언더커버부의 성형후 남은 스크랩을 활용하여 커버부를 생산함으로서 커버부를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형상이 필요없고, 별도의 커버부의 성형을 위한 금형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복합소재 재단을 위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원가 비용을 절감하고, 언더커버의 외관을 통일시켜 미감을 향상시키며, 언더커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의 언더커버부와 커버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의 언더커버부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정비성 언더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비성 언더커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고정부와 제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서 제1 고정부와 제 고정부를 제거한 상태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과 선회부가 다른구조로 형성된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선회부가 선회하는 작동원리에 나타낸 연결부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언더커버부에 연결부가 결합되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연결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연결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이동부, 삽입공간, 고정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의 언더커버부와 커버부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의 언더커버부와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정비성 언더커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비성 언더커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연결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제1 고정부와 제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서 제1 고정부와 제 고정부를 제거한 상태의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7과 선회부가 다른구조로 형성된 연결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선회부가 선회하는 작동원리에 나타낸 연결부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고, 도 12는 언더커버부에 연결부가 결합되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연결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4는 연결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이동부, 삽입공간, 고정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가로방향, 즉 도 3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높이방향, 즉 도 3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이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세로방향, 즉 도 3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상방)이란 "수직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3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하방)이란 "수직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3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부(내측)이란 자동차의 안쪽 내부를 의미하고, 외부(외측)이란 내부의 반대 부분 즉 바깥쪽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언더커버부(10), 커버부(20). 연결부(30) 및 제1 고정부(40)를 포함한다.
정비성 언더커버(1)는 자동차의 오일필터 엔진오일등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작업자가 언더커버 전체를 해체하는 대신 언더커버부(10)에 형성된 개방부(12)를 통해 정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언더커버부(10)는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언더커버부(10)는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12)를 구비한다.
커버부(20)는 개방부(12)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부(20)는 언더커버부(10)의 개방부(12)가 위치 한 부분에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정비를 하는 동안에는 커버부(20)가 개방되어 개방부(12)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고 평상시 즉 자동차의 주행이나 정차중에는 커버부(20)가 폐쇄되어 도로면에 방치된 이물질등이 자동차의 내부를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30)는 언더커버부(10)와 커버부(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부(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부(40)는 언더커버부(10)와 연결부(3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고정부(40)는 언더커버부(10)의 이동부(13), 연결부(30)의 결합부(31)에 형성된 삽입홀(3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언더커버부(10)와 연결부(30)를 체결하게 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40)는 리벳(rivet)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벳(rivet)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별도의 볼트 결합을 위한 체결작업 없이 연결부(30)가 이동부(13)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연결부(30)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커버부(20)를 개방 또는 폐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언더커버부(10), 커버부(20). 연결부(30) 및 제2 고정부(5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와 마찬가지로 언더커버부(10), 커버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제2 고정부(50)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50)는 커버부(20)와 연결부(3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고정부(50)는 연결부(30)의 착탈부(33)에 형성된 결착홀(332), 커버부(20)의 고정홀(23), 연결부(30)의 착탈부(33)에 형성된 체결홀(335)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커버부(20)와 연결부(30)를 체결하게 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6을 참조하면 제2 고정부(50)는 파스너(fastener)로 형성될 수 있다. 파스너(fastener)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용이하게 파스너를 해제하거나 체결할 수 있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연결부(30)와 커버부(20)를 해체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언더커버부(10), 커버부(20) 및 연결부(30) 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와 마찬가지로 언더커버부(10), 커버부(20) 및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커버부(20)는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언더커버부(10)의 성형시 남은 스크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는 언더커버부의 성형후 남은 스크랩을 활용하여 커버부를 생산함으로서 커버부를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금형 형상이 필요없고, 별도의 커버부의 성형을 위한 금형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복합소재 재단을 위한 면적을 최소화하여 원가 비용을 절감하고, 언더커버의 외관을 통일시켜 미감을 향상시키며, 언더커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는 연결부(30)가 개방부(20)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커버부(20)가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0)의 삽입홀(311)에 수용된 제1 고정부(40)가 이동부(13)를 따라 개방부(20)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결부가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연결부가 연결부의 착탈부가 형성된 부분의 선단이 삽입공간(221)안으로 위치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면, 수용공간(336)에 수용되어 있던 삽입부(22)가 수용공간(336)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버부(20)는 연장부(30), 스토퍼부(333) 및 받침부(334)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움직일 수 있게 됨으로서 커버부(20)와 언더커버부(10)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연결부(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방부(20)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20)와 언더커버부(1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 상태를 유지하면 커버부(20)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커버부가 개방되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인 커버부가 폐쇄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는 연결부(30)가 언더커버부(10)로 부터 커버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커버부(20)가 폐쇄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30)의 삽입홀(311)에 수용된 제1 고정부(40)가 이동부(13)를 따라 언더커버부(10)로 부터 커버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결부가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연결부가 연결부의 착탈부가 형성된 부분의 선단이 삽입공간(221)을 벗어나 수용공간(336)에 삽입부(22)를 수용하는 위치가 될 때까지 이동하게 되면, 삽입부(22)가 수용공간(336)에 수용되고, 이에 따라 커버부(20)는 연장부(30), 스토퍼부(333) 및 받침부(334)에 의해 커버부(20)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커버부가(20) 수용공간(336) 내에서 고정되며 커버부(20)와 언더커버부(10)가 연결부(3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연결부(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언더커버부(10)로부터 개방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20)와 언더커버부(1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 커버부를 폐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는 커버부와 언더커버부를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고, 연결부는 커버붕와 언더커버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별도의 볼트등을 설치 또는 해제할 필요 없이 커버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자동차의 정비를 위해 편리하게 커버부를 개폐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의 언더커버부(10)는 바디부(11), 이동부(13)를 포함한다.
바디부(11)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언더커버(1)의 외형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바디부(11)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1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40)를 수용하도록 바디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동부(13)는 연결부(30)와 함께 수용된 제1 고정부(40)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부(12)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개방부(1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부(20)는 상기 개방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방부(12)에 대응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2)는 설치부(121)를 포함한다.
설치부(121)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30)와 커버부(20)를 언더커버부(10)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
각각의 설치부(121)는 개방부(12)의 각면, 구체적으로 개방부가(121)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개방부(12)가 개방된 사각형의 각 선단의 일부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치부(121)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삽입부(22)와 함께 삽입공간(22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의 커버부(20)는 베이스부(21), 삽입부(22), 고정홀(23) 및 관통홀(24)을 포함한다.
베이스부(21)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커버부(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21)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20)를 언더커버부(10)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
삽입부(22)는 연결부(30)를 수용하도록 각각의 복수의 설치부(121)와 대응하고 마주하면서 베이스부(21)의 각면의 일부에 함입 형성된다.
삽입공간(221)은 개방부(12)에 형성되는 각각의 설치부(121)와 커버부(20)에 형성되는 삽입부(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삽입공간(221)은 삽입부(22)와 설치부(121)가 형성되는 수와 동일한 수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연결부(30)와 커버부(20)를 언더커버부(10)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다.
고정홀(23)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제2 고정부(50)가 삽입되도록 베이스부(2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관통홀(24)은 베이스부(21)에 관통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홀(24)은 베이스부(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4)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연결부(30)를 용이하게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관통홀(24)에 작업자의 손을 삽입하여 커버부(20)를 작업자의 통제하에 두고 커버부(20)를 살짝 움직이면서 연결부(30)를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커버부와 연결부를 손쉽게 해제 또는 체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의 연결부(30)는 결합부(31), 착탈부(33) 및 선회부(32)를 포함한다.
결합부(31)는 언더커버부(10)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즉 결합부(31)는 언더커버부(10)에 설치되어 연결부(30)와 언더커버부(1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31)는 삽입홀(311)을 포함하고, 삽입홀(311)은 제1 고정부(40)를 수용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착탈부(33)는 결합부(31)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커버부(20)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즉 착탈부(33)는 커버부(20)에 설치되어 연결부(30)와 커버부(2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회부(32)는 착탈부(33)가 결합부(31)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부(31)와 착탈부(33) 사이에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선회부(32)는 노치(notch) 또는 힌지(hing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는 선회부(32)에 작은 홈을 형성하는 노치(notch)또는 힌지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부를 전부 해제할 필요 없이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결부가 선회하여 커버부가 개방될 정도로만 제2 고정부를 해제하고, 일부 연결부는 언더커버부에 연결되어 커버부가 언더커버부에 일부 결합 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정비작업을 하는 동안 별도로 커버부를 보관할 장소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제2 고정부를 전부 해제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 공수도 절감되어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비작업시간을 최소화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비성 언더커버(1)의 착탈부(33)는 연장부(331), 스토퍼부(333),받침부(334) 및 수용공간(336)을 포함한다.
연장부(331)는 제2 고정부(50)가 수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332)을 구비하고, 선회부(32)를 중심으로 결합부(31)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부(333)는 연장부(331)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스토퍼부(333)는 연결부(30)가 개방부(12)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20)가 개방되는 경우에 스토퍼부(333)의 일측이 개방부(12)와 접촉됨으로서 연결부(30)가 필요이상으로 개방부(12)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연결부(30)가 언더커버부(10)로부터 커버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20)가 폐쇄되는 경우에 스토퍼부(333)는 스토퍼부(333)의 타측이 커버부(20)와 접촉됨으로서 연결부(30)가 필요이상으로 언더커버부(10)로부터 커버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부(333)는 연결부(30)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통제할 수 있게 하여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최소한의 거리로 연결부(30)를 이동시켜 정비작업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수를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며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절감할 수 있다.
받침부(334)는 스토퍼부(333)와 직교하고, 연장부(331)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31)와 받침부(334)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사이에 커버부(20)의 삽입부(22)가 삽입된다.
받침부(334)는 제2 고정부(50)가 수용되도록 연장부(331)에 형성되는 결착홀(332)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받침부(33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수용공간(336)은 연장부(331)와 스토퍼부(333)와 받침부(33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수용공간(336)에는 연결부(30)가 개방부(12)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20)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수용되는 것이 없어 자유롭게 커버부(20)가 착탈될 수 있다.
반대로, 언더커버부(10)로부터 커버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버부(20)가 폐쇄되는 경우에 수용공간(336)에는 커버부(20)에 형성된 삽입부(22)가 수용되어 커버부(20)를 수용공간(336)내에 고정시키게 되어 커버부(20)가 언더커버부(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비성 언더커버(1)는 커버부(20)를 개폐하기 위해서 이동부(13)를 따라 연결부(30)가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이동부(13)의 중심(C1), 설치부(121)의 중심, 삽입부(22)의 중심, 및 고정홀(24)의 중심(C3)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치부(121)의 중심과 삽입부(22)의 중심은 도 15에서 설치부(121)와 삽입부(22)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공간(221)의 중심(C3)으로 대체될 수 있는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이동부(13)의 중심(C1), 삽입공간(221)의 중심, 및 고정홀(24)의 중심(C3)이 동일선(X선)에 위치하게 되면 삽입공간(221)에 삽입 설치되는 연결부(30)가 개방부(12)로부터 언더커버부(10)에 인접하는 방향 또는 언더커버부(10)로부터 커버부(2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최단거리의 직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연결부(3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시 걸리는 부분 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불필요한 노력을 들일 필요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은 연결부(30)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연결부(30)를 구비함으로서 종래 언더커버와 같이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체결볼트등의 부자재를 이용하여 커버부를 언더커버부에 결합할 필요 없이 연결부와 연결부에 삽입되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통해 자동차의 중량을 감소시켜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연결부(30)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연결부(30)를 구비함으로서 종래와 같이 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뾰족하고 날카롭게 형성된 볼트의 끝단이 오일팬등을 향해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 중에 과속 방지턱이나 울툴불퉁한 노면을 지나갈때 가해지는 노면 충격에 의해 볼트 끝단이 오일팬과 충돌하여 누유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정비성 언더커버, 10 : 언더커버부,
11 : 바디부, 12 : 개방부,
121 : 설치부, 13 : 이동부.
20 : 커버부, 21 : 베이스부,
22 : 삽입부, 221 : 삽입공간,
23 : 고정홀, 24 : 관통홀,
30 : 연결부, 31 : 결합부,
311 : 삽입홀, 32 : 선회부,
33 : 착탈부, 331 : 연장부,
332 : 결착홀, 333: 스토퍼부,
334 : 받침부, 335 : 체결홀,
336 : 수용공간, 40 : 제1 고정부,
50 : 제2 고정부,

Claims (19)

  1.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부;
    상기 개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언더커버부의 상기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연결부를 체결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언더커버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2.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부;
    상기 개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언더커버부의 상기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를 체결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언더커버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3. 관통 형성되는 개방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부;
    상기 개방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언더커버부의 상기 개방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언더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언더커버부는 복합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합소재로 형성되는 언더커버부의 성형시 남은 스크랩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언더커버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언더커버부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부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함께 수용된 상기 제1 고정부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개방부에 대응하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언더커버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의 각면의 일부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베이스부;
    상기 커버부를 상기 언더커버부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각각의 상기 복수의 설치부와 대응하고 마주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의 각면의 일부에 함입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부; 및
    상기 제2 고정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를 수용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상기 언더커버부에 설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와 대향되고 상기 커버부에 결합 설치되는 착탈부; 및
    상기 착탈부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상기 착탈부 사이에 형성되는 선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노치 또는 힌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리벳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파스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을 구비하고, 상기 선회부를 중심으로 상기 결합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스토퍼부와 직교하고, 상기 연장부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형성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결착홀과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수용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받침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연결부가 이동가능하도록,
    각각의 상기 이동부의 중심, 상기 설치부의 중심, 상기 삽입부의 중심, 및상기 고정홀의 중심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성 언더커버.
KR1020180170769A 2018-12-27 2018-12-27 정비성 언더커버 KR102158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69A KR102158568B1 (ko) 2018-12-27 2018-12-27 정비성 언더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769A KR102158568B1 (ko) 2018-12-27 2018-12-27 정비성 언더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53A KR20200080853A (ko) 2020-07-07
KR102158568B1 true KR102158568B1 (ko) 2020-09-22

Family

ID=7160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769A KR102158568B1 (ko) 2018-12-27 2018-12-27 정비성 언더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5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687A (ja) * 2002-08-29 2004-03-25 Nissan Shatai Co Ltd 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520B1 (ko) 1995-12-11 2000-05-01 정몽규 연료탱크의 가스벤트장치
KR101906013B1 (ko) * 2016-12-15 2018-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언더커버 정비홀 강도 보강구조 및 정비홀 강도가 보강된 언더커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687A (ja) * 2002-08-29 2004-03-25 Nissan Shatai Co Ltd エンジンアンダー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53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3401B1 (en) Car body forepart structure
CN103802774B (zh) 前饰板或格栅支承结构及空气动力闸板组件
JP5034639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6158232B2 (ja) 自動車両の機能要素を設置するための多機能支持体
JP6333736B2 (ja) 3要素ウォーターボックスを有する自動車両用設備
CN102991583A (zh) 拖拉机中央控制台
EP1520771B1 (de) Aerodynamisch ausgebildetes Verkleidungsteil für die Unterseite eines Kraftfahrzeuges, insbesondere Personenwagens
JP4720422B2 (ja) 自動車の遮音構造
JP2007076557A (ja) トラクタの組立工法
KR102158568B1 (ko) 정비성 언더커버
JP2008037153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DE102010007217A1 (de) Montagemodul für einen Fahrzeug-Frontscheinwerfer
EP2206638A1 (de) Verfahren zum Aufbau eines Vorderwagens eines Lastkraftwagens mit Fahrerhaus und Vorderwagen eines Lastkraftwagens
EP3068681B1 (de) Multifunktionaler trittbrettträger eines motorrollers
US20070075554A1 (en) Hood strut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hood strut assembly to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hood
JP5356103B2 (ja)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DE102010056050A1 (de) Vorderwagen eines Fahrzeugs mit zumindest einem Luftleitelement sowie Lutleitelement dazu
JP6423842B2 (ja) 車両用フェンダー構造
JP5067139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4547512B2 (ja) 旋回作業車のステップ構造
JP2018043715A (ja) 車両カウル部構造
JP6035581B2 (ja) 車体前部構造
CN102975634A (zh) 具有用于车辆座椅的强制引导装置的机动车座椅装置
JP4162962B2 (ja) 車両のサンルーフ構造
KR101035444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