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444B1 -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 Google Patents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444B1
KR101035444B1 KR1020100020163A KR20100020163A KR101035444B1 KR 101035444 B1 KR101035444 B1 KR 101035444B1 KR 1020100020163 A KR1020100020163 A KR 1020100020163A KR 20100020163 A KR20100020163 A KR 20100020163A KR 101035444 B1 KR101035444 B1 KR 10103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nk
head portion
shaft hole
drainag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천
Original Assignee
홍성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천 filed Critical 홍성천
Priority to KR1020100020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5Gully gratings with elastic lock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몸체가 서로 결속되어 역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링크하면서 그 링크축을 중심으로 각 배수로 덮개가 개별적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함은 물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배수로 덮개 연결구조는, 배수로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씌워지는 배수로 덮개(10)에 있어서, 상기 배수로 방향의 각 배수로 덮개(10)의 전면 또는 후면 일측 측부에 축공(30)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 면에 상기 축공(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되어 타측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에 삽입되는 링크축(20)을 형성하며, 상기 링크축(20)단에는 상기 축공(30)의 내경보다 같거나 큰 헤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타측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에 강제로 압입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Drain cover for preventing theft}
본 발명은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 링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각 배수로 덮개 간을 일측 측부에서 연속적으로 축결합하여 도난에 의한 분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축을 중심으로 각 배수로 덮개가 독립적으로 회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수로 청소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수로 덮개는 배수로의 상측 개구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다. 이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배수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 및 오수의 배수기능 및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을 걸러내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로에 쌓인 퇴적물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로 덮개는 주로 사각테의 내부에 여러 개의 아이바('I'형태의 바)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구성한 그레이팅이 사용되는데, 그 설치는 배수로 상부 양측 가장자리로 'L-형강'을 이용한 그레이팅 받침 앵글(일명 프레임이라고도 함)을 설치하고, 이에 상기 그레이팅을 재치시켜 설치한다. 그레이팅의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편이어서 시공 및 설치가 쉽고 간편하다.
하지만, 그레이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가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는 반면 배수로에서 분리가 쉽기 때문에 도난의 표적이 된다. 특히 원자재 값이나 고철 값이 상승하게 되면 도난에 의한 분실피해가 급증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종래에는 그레이팅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도 14의 (A)와 같이 앵글(100)에 축부가 상향 되게 볼트(B)를 용접고정하고, 앵글(100)에 그레이팅을 안착시킨 후 상기 그레이팅의 'I'바(110) 사이에 새들 클립(120)을 위치시켜 그 중앙에 형성된 볼트공(122)을 상기 볼트(B)에 끼우고 너트(N)를 체결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도 14의 (B)와 같이 상기 그레이팅의 네 귀부분의 'I'바(110) 사이에 새들 클립(120)을 올려놓고, 피스(P)를 앵글(100)에 틀어박아 고정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을 활용하거나, 좀더 단순하게는 도 14의 (C)와 같이 그레이팅의 'I'바(110)을 앵글(100)에 직접 용접결합하는 방법으로 도난에 의한 분실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레이팅 고정 구조는 분명 도난으로 인한 분실을 방지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는 있을지는 모르지만, 그레이팅 설치시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배수로의 퇴적물을 수거하기 위한 유지관리 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그레이팅을 앵글로부터 해체하여 개방하는 데에도 너트(N)나 피스(P)를 일일이 풀어야하거나 또는 용접부를 제거해야하는 등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즉, 도난에 의한 그레이팅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정작 퇴적물 수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그레이팅을 분리하고 다시 고정하는 데에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할 유지관리작업을 난해하게 하는 불합리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116457호에 게재된 내용에는, 그레이팅 둘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일측 양 선단에 결합핀이 돌출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인접하는 그레이팅의 결합핀이 삽입되도록 안내홈을 가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그레이팅의 연결 구조가 제공된다.
이 구조에 의해 그레이팅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핀이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구조로 연속 연결되므로 서로간의 간섭에 의해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되고, 또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그레이팅의 분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레이팅 결합구조를 숙지하고 있는 자일 경우에는 쉽게 그레이팅을 분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분실방지 기능에 큰 기대를 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배수로를 청소할 때에는 일일이 그레이팅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6404호에 게재된 내용에는,
테두리틀의 선단프레임으로 결합편과 삽입편으로 구성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그와 대응되는 테두리틀의 타단프레임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편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편이 재치되는 턱부가 형성된 결합홈부로 구성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 측프레임으로 끝단에 걸림편이 형성된 이탈방지대가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 보다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지고 상기 타단프레임의 밑면에 틔여진 걸림턱이 형성된 이탈방지부를 구비한 그레이팅 연결구조가 있다.
이러한 그레이팅 연결구조에 의해 수개의 그레이팅을 연결부인 삽비부와 결합홈부에 의해 상호 연속적으로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연결시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탈방지부에 의하여 다수개 연결 설치된 그레이팅 중 중간에 위치한 그레이팅을 이탈시킬 수 없도록 하므로서, 그레이팅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또한, 그레이팅 연결구조를 숙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쉽게 연결 상태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으므로 도난 방지효과는 기대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배수로 청소시에는 모든 그레이팅을 분리한 후 배수로 밖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실시해야 하고, 또 청소작업 후에는 다시 배수로에 그레이팅을 씌우면서 각 그레이팅 사이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654920호에 게재된 내용에는, 그레이팅 사이에 경첩으로 절첩되게 연결 구성하고, 배수로 양측 상단의 L형 형강재에 내측홈을 형성하여 상기 그레이팅이 길이방향으로 내측홈에 삽입되어 연장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집수정이 설치되는 사이마다 접철되도록 2개의 스틸그레이팅이 결합되어 설치되므로 배수로에 대한 청소시 한쪽을 접어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레이팅의 분리가 어렵도록 하여 도난에 의한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전술한 두 개의 선출원 발명들과 마찬가지로, 그레이팅 연결 구조를 숙지한다면 쉽게 분리하여 가져 갈 수가 있는 구조이다. 또, 조립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설치 작업 및 유지관리시 연결된 그레이팅의 분리 및 개방작업이 어려워 유지관리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KR10-2006-0116457 A KR20-0306404 Y1 KR10-0654920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로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 간을 일측 측부에서 연속적으로 축결합하는 단순한 연결구조로를 통하여 서로의 몸체가 결속됨에 따라 도난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 측부에서 축으로 링크된 각각의 배수로 덮개가 링크된 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동 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로의 내부청소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는,
배수로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씌워지는 배수로 덮개에 있어서,
각 배수로 덮개의 일측 측부 전후면에 축결합수단으로 이웃하는 배수로 덮개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축결합수단은, 각 배수로 덮개의 일측 전후부에 축공을 형성하고, 이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체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축결합수단은 각 배수로 덮개의 일측 전,후부에 축과, 상기 축과 대응되는 축공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배수로 덮개 간에 서로 암수 축결합하도록 하되, 상기 축단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외주면을 갖는 헤드부를 형성하여 삽입은 용이하면서 역이탈은 방지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를 갖는 축을 상기 축의 선단부에 이중으로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축공은 이웃하는 'I'바 보강살에 나란한 축공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결합된 축의 이탈을 나란한 또 다른 이중 축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에 결합되는 링크축의 헤드부 또한 상기 축공 및 이중 축공의 간격으로 이중 헤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헤드부 중심부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 둘레에 링크축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탄성 날개를 가진 이탈방지구를 마련하고, 상기 링크축 단부 중앙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구 위치시킨 후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에 체결구를 체결하여 상기 이탈방지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는, 각 배수로 덮개의 몸체 일측 전후부를 이웃하는 배수로 덮개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함에 따라 연결된 전체 배수로 덮개를 한꺼번에 가져가지 않는 한 개별적으로 분리시켜 가져가지는 못하고, 또 분리하더라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난에 의한 분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로 덮개 사이를 연결하는 축의 선단부에 테이퍼 외주면을 갖는 헤드가 형성되어 결합시 상기 헤드부를 축공에 강제로 밀어넣어 일단 결합되면, 역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배수로 덮개의 축결합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다. 특히, 헤드가 이중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더욱더 완벽하게 역이탈이 방지되므로 도난 예방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가 링 형상으로 되어 축단의 걸림턱 사이에서 유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역 이탈방지 효과가 더욱더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축결합부가 일측 측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의 개폐가 가능하므로 배수로의 청소작업과 같은 유지관리작업을 매우 신속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3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4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구조도.
도 19a,9b는 본 발명 실시예5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5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연결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6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7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회동 개방되는 작동 상태도.
도 1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그레이팅 고정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회동 개방되는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 덮개(10)는 사각의 틀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명 'I'바라고 하는 보강살(12)들이 배열된 구조로써, 배수로 양측 안착턱의 'L'형강 일명 앵글(1)에 안착 구성된다. 상기 배수로 덮개(10)를 구성하는 보강살(12)은 각 보강살(12) 사이의 틈새로 우수 또는 오수가 배수되도록 하면서 협잡물들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상부에 차량이나 보행자들이 배수로에 빠지지 않도록 안전성을 확보해주는 기능을 겸하여 수행한다.
물론, 배수로 덮개(10)는 상술한 그레이팅 외에 주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배수로 덮개(10) 또는 트랜치 덮개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들 모두를 배수로 덮개(10)로 통칭하여 표현하기로 한다.
배수로 덮개(10)는 배수로나 집수통(집수정)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데,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배수로 덮개(10)가 연속적으로 씌워지는 길이가 긴 배수로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10)에 적용된다.
본 발명 배수로 덮개(10)의 특징은, 배수로 방향을 전후로 봤을 때, 전면 또는 후면중 어느 일측면의 우측 또는 좌측 끝 부분에 링크축(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대쪽 면에는 상기 링크축(20)이 끼워지는 축공(30)을 형성한 구조이다. 특히 상기 링크축(20)의 끝 부분에는 축공(30)의 내경보다 지름이 약간 크거나 같은 헤드부(22)가 형성되어 억지끼움식으로 상기 축공(30)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22)는 끝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뿔 형태를 이루므로 둘레에는 경사면(24)이 구비된다. 이 경사면(24)에 의해 헤드부(22)를 축공(30)에 결합시 억지 끼움에 의해 조립은 용이하지만 그 역방향으로의 이탈은 난해하게 된다. 특히 배수로 덮개(10)는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도금을 하게 되는데, 이때 축공(30)의 내경이 약간 작아질 수가 있다. 이를 위해 링크축(20)의 헤드부(22) 조립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공차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아연도금에 의해 축공(30)의 내경이 헤드부(22)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지더라도 큰 힘으로 억지끼움을 강제하게 되면 아연도금 상태 또는 금속의 축공(30) 내경의 일부가 뭉개지면서 조립은 이루어지게 되므로 축공(30)의 공차부분에 있어서는 고도의 정밀성을 요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전,후면 일측에 링크축(20)과 축공(30)을 나란하게 구성한 각 배수로 덮개(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최초 또는 최후측부에 설치되는 배수로 덮개(10)는 돌출된 링크축(20)이 불필요하다. 물론 링크축(20)과 대응되는 배수로 상단에 축공(30) 형태를 구성할 경우에는 링크축(20)이 있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조립은 링크축(20)이 없거나 제거한 배수로 덮개(10)를 배수로 일측에 안착하거나 또는 배수로 상단에 축공(30)을 형성한 경우에는 배수로 덮개(10)의 링크축(20)을 상기 축공(30)에 끼워 조립하여 안착한다.
이어서 후순으로 조립되는 배수로 덮개(10)는 도 2, 도 3a,3b와 같이 링크축(20)의 헤드부(22)를 선 안착된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에 대응시킨 후 강하게 밀어넣어 상기 링크축(20)의 헤드부(22)가 축공(30)에 억지끼움식으로 관통결합시킨다. 뿔 형태의 헤드부(22)는 둘레의 경사면(24)에 의해 상기 축공(30)에 원활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배수로 전체를 상기 배수로 덮개(10)로 연속 링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배수로 덮개(10)의 링크축(20)은 헤드부(22)가 타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으로 강제로 삽입 관통시키면, 역으로 분리시키기가 매우 난해하게 된다. 즉, 헤드부(22)가 뿔 형태이기 때문에 헤드부(22)의 하단 둘레가 축공(30)의 내경에 정확히 자리맞춤 된 상태에서 큰 힘으로 강제이탈시켜야만 역으로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헤드부(22)의 둘레 단을 축공(30)에 맞게 정확히 자리 맞춤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정도로 난해하다.
이와 같이 연속 축결합된 배수로 덮개(10)는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도난에 의한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고, 더불어 개별적으로 링크축(20)을 중심으로 회동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즉, 배수로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배수로 덮개(10)를 배수로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필요없이 도 14와 같이 일측으로 회동개폐시킨 상태에서 청소작업을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고, 청소 작업완료 후에도 개방된 덮개를 역으로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청소 마감 작업도 매우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배수로 덮개가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2의 배수로 덮개(10)는 링크축(20)과 축공(30)을 구성하는 실시예1의 배수로 덮개(10)의 전체 구성은 동일하나 실시예1과 차별되는 특징은, 링크축(20')의 헤드부(22')와 이와 대응되는 축공(30)(30')이 이중 구조를 갖는 것에 있다.
즉, 배수로 덮개(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축공(30)(30')은 내부의 인접 보강살(12)부에 나란하게 형성하여, 결국 2개의 나란한 축공(30)(30')을 연이어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링크축(20') 또한 상기 두 개의 축공(30)(30')에 관통결합될 정도의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두 축공(30)(30')에 관통결합되는 헤드부(22)(22')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배수로 덮개(10)의 링크축(20')을 배수로에 선결합된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30')에 강제 결합하게 되면 2단 결합이 이루어진다.
먼저, 링크축(20') 끝쪽의 전측 헤드부(22')가 전측 축공(30)에 대응된 상태에서 큰 힘을 가하여 강제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1단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전측 헤드부(22')가 후측 축공(30')에 대응됨과 동시에 후측 헤드부(22)는 전측 축공(30)에 대응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다시 힘을 가하여 링크축(40')을 강제로 밀어넣게 되면, 전측 해드부(22')는 후측 축공(30)(30')에 그리고 후측 헤드부(22)는 전측 축공(30)(30')에 강제 삽입 관통되어 2단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링크축(20')이 깊게 삽입되게 되면 배수로 덮개(10)의 개방시 전후부에 인접한 배수로 덮개(10)의 2중의 전,후측 축공(30)(30')에 의해 좀더 안정적으로 지지가 된다.
또한, 링크된 배수로 덮개(1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링크축(20')에 형성된 전,후측 헤드부(22)(22')를 전,후측 축공(30)(30')에 정확히 일치시킨 상태에서 역방향의 힘을 강제하여 가하게 되면 분리되는데, 현실적으로는 링크축(20')의 외경이 축공(30)(30')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결합 후 그 유격만큼 유동 된다. 이 때문에 전,후측 헤드부(22)(22')를 전,후측 축공(30)(30')에 동시에 일치시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할 정도로 난해한 작업이다. 결국, 헤드부(22)(22')를 축공(30)(30')으로부터 분리하는 데에는 절단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는 큰 소음과 함께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절도 행위시 발각될 수 있다는 엄청난 부담을 갖게 하여 애초에 절도행위를 계획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3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구조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축(40)과 헤드부(40)를 별도의 몸체로 형성하여 상기 헤드부(40)가 링크축(40) 둘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고, 또 상기 헤드부(40)는 링크축(40)상에서 서로의 유격만큼 자유롭게 유동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헤드부(40)가 설치될 링크축(40) 둘레 전후부에 걸림턱(46)(47)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40)는 링크축(40) 끝쪽에 위치한 걸림턱(46)에 압입 관통결합 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 삽입공(43)을 형성한다. 특히 전측 걸림턱(46)은 삽입공(43)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그 전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삽입공(43)은 후측이 전방 측보다 넓게 형성하여 경사면을 구성함으로 써 상기 전측 걸림턱(46)에 끼움 결합될 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좀더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후측 걸림턱(46)(47)은 링크축(40)의 끝쪽에 위치한 걸림턱(46) 보다 그 후측의 걸림턱(47)의 크기를 상기 삽입공(43)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헤드부가 후측으로 더 이상 삽입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조의 링크축(40) 및 헤드부(42)의 결합은 헤드부(42)의 삽입공(43) 후측단을 상기 링크축(40) 단에 대응시켜 강제 삽입시키면 걸림턱(46)의 경사면에 의해 헤드부(42)는 전측 걸림턱(46) 둘레를 강제로 타고 넘어가 전후 걸림턱(46)(47) 사이에 갖히게 된다. 헤드부(42)가 전방의 걸림턱(46)을 타고 넘어 통과한 후에는 역으로 이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후측의 걸림턱(47)을 통과하지는 못하게 되므로 헤드부(42)는 링크축(40)에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전후 걸림턱(46)(47) 사이에서는 링크축(40)과 헤드부(42)의 삽입공(43) 사이에 허락되는 유격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 된다.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고, 결합할 때에는 헤드부(42)가 흔들리게 되어 축공(30)(30')과 일치시키는 조작이 매우 어렵게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타측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30')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헤드부(42)는 외주면에 뿔 형태의 경사면(44)에 의해 자동 축공(30)(30')에 일부 삽입되게 되며 강제로 힘을 가하게 되면 헤드부(42)는 축공(30)(30') 내부를 관통 삽입된다.
일단 상기 헤드부(42)가 축공(30)(30')에 관통 삽입된 후에는 중력에 의해 링크축(40) 상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링크축(40) 중심과 헤드부(42)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는 링크축(40)이 축공(30)(30')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하더라도 헤드부(42)는 축공(30)(30')의 중심과 전혀 일치하지 않으므로 다시 헤드부(42)를 축공(30)(30')에 일치시키는 작업을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링크축(40)을 축공(30)(30')으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난해할 뿐만 아니라 분리를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도난 방지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4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구조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축(20')의 전,후측에 헤드부(42)(42')를 이단으로 형성하였고, 이와 대응되는 축공(30)(30')도 이단으로 형성하였다.
즉, 축공(30)을 갖는 배수로 덮개(10)의 전면 또는 후면 내측에 상기 축공(30)과 나란한 별개의 축공(30')을 형성한 보강살(12)을 더 구성하여 이중 축공(30)(30')을 구성하였고, 이와 결합되는 링크축(40')은 상기 두 축공(30)(30')에 관통결합될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한 쌍의 상기 걸림턱(46)(47)을 링크축(40') 전후부에 각각 이중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전,후측 걸림턱(46)(47) 사이에 상기 헤드부(42)(42')를 결합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링크축(40')의 두 헤드부(42)(42')를 상기 두 축공(30)(30')에 강제 삽입 관통시키면 두 헤드부(42)(42')를 상기 두 축공(30)(30')에 동시에 자리 맞춤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에 더욱더 도난에 의한 분실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5)
도 9a,9b는 본 발명 실시예5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구조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5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링크축 연결 상태도이다.
도시된 상기 헤드부(52)는, 중심부에 형성한 관통홀(54) 둘레에 링크축(50)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탄성 날개(54)를 가진 이탈방지구(53)와, 상기 이탈방지구(53)를 링크축(50)에 견고히 결합하는 체결구(56)를 구성한다. 상기 체결구(57)는 나사 또는 타격에 의해 억지끼움되는 쐐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구(53)의 전면을 지지하기 위해 보강구(57)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구(57)의 중심부에도 관통홀(58)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헤드부(52)는 상기 링크축(50) 단부에 상기 이탈방지구(53)를 위치시고, 그 전방에 상기 보강구(57)를 포개어 결합시킨 후 링크축(50) 단부의 체결공(51)과 이탈방지구(53) 및 보강구(57) 중앙의 관통홀(58)을 나란하게 위치시킨 후 체결구(57)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헤드부(52)를 축공(30)에 강제 삽입시키면 이탈방지구(53)의 탄성날개(55)들은 수축하여 삽입된 후 상기 축공(30)을 통과한 후에 다시 탄성 복귀되어 펼쳐지게 되므로, 결국 링크축(50)을 후퇴시켜도 축공(30)을 절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6)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6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링크축은, 각 배수로 덮개(10)의 일측 측부 전,후면에 축공(30)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각 배수로 사이의 축공(30)에 볼트(60)를 끼우고 너트(61)를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볼트와 너트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축공만 가공하면 되므로 매우 제조가 쉽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7)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7에 따른 배수로 덮개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 및 측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배수로 덮개의 연결구조를 트랜치 덮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 - 앵글 10 - 배수로 덮개 12 - 보강살
20,20' - 링크축 22,22' - 헤드부 24 - 경사면
30,30' - 축공 40,40' - 링크축 42,42' - 헤드부
43 - 삽입공 44 - 경사면 46,47,46',47' - 걸림턱

Claims (8)

  1. 배수로 덮개를 측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함에 있어서,
    배수로 덮개(10)의 전면 또는 후면 일측 측부에 축공(30)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 면에 상기 축공(3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되어 타측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에 삽입되는 링크축(20)을 형성하며, 상기 링크축(20)단에는 상기 축공(30)의 내경보다 같거나 큰 헤드부를 형성하여, 상기 타측 배수로 덮개(10)의 축공(30)에 강제로 압입 관통 결합하고,
    상기 헤드부는 그 둘레면이 끝쪽 방향이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경사면(2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링크축(4)을 분리 구성하여,
    상기 헤드부(42)(42')가 위치하는 링크축(40) 둘레 전후부에 걸림턱(46)(47)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42)(42')의 중심부에 상기 걸림턱(46)(47)보다 같거나 작은 삽입공(43)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46)(47) 사이에 강제 끼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00020163A 2010-03-06 2010-03-06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KR10103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63A KR101035444B1 (ko) 2010-03-06 2010-03-06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63A KR101035444B1 (ko) 2010-03-06 2010-03-06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5444B1 true KR101035444B1 (ko) 2011-05-18

Family

ID=4436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63A KR101035444B1 (ko) 2010-03-06 2010-03-06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93B1 (ko) * 2020-05-13 2021-10-22 주식회사 신평주철 무소음 트렌치
KR102322657B1 (ko) * 2020-07-17 2021-11-04 이희정 터널 공동구용 덮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998A (ja) * 1994-11-08 1996-05-28 Tadashi Ueda グレーチングの連結構造
KR20040011536A (ko) * 2001-06-13 2004-02-05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음극선관용 비용접 마스크 지지 블레이드 구조물
KR200411536Y1 (ko) * 2005-12-30 2006-03-15 이용길 조립식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4998A (ja) * 1994-11-08 1996-05-28 Tadashi Ueda グレーチングの連結構造
KR20040011536A (ko) * 2001-06-13 2004-02-05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음극선관용 비용접 마스크 지지 블레이드 구조물
KR200411536Y1 (ko) * 2005-12-30 2006-03-15 이용길 조립식 그레이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993B1 (ko) * 2020-05-13 2021-10-22 주식회사 신평주철 무소음 트렌치
KR102322657B1 (ko) * 2020-07-17 2021-11-04 이희정 터널 공동구용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3759B1 (de) Gebaute Bundlagerschale mit halbschalenförmigem Radiallagerteil und mit wenigstens einem scheibenförmigen Axiallagerteil
DE3724069C1 (de) Biegbarer Schlauch mit zueinander parallelen ringfoermigen Wellen und Axialabstuetzung
KR101035444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개별 회동 개폐식 배수로 덮개의 링크 구조
DE102012008252A1 (de) Fräsereinrichtung für eine Bodenfräsmaschine, Fräswalze für eine solche Fräseinrichtung und Bodenfräsmaschine mit einer solchen Fräseinrichtung
DE102008044531A1 (de) Schraubenanordnung für Dampfturbine und Verfahren zur Montage derselben
EP1860258A2 (de) Montage- und Reparaturgrube
DE102004043708B4 (de) Elektrischer Verbindungskasten eines Fahrzeugs und Montageverfahren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ungskasten
DE10307605A1 (de) Fahrzeugreifen
DE102010005829A1 (de) Transporthilfe für einen Kraftfahrzeugmotor, Motor mit einer Transporthilfe sowie Koppelelement für eine Hebe- und/oder Transporteinrichtung
EP0701910B1 (de) Rad
DE10160767A1 (de) Kettenschloß
CN106415038A (zh) 滚动轴承保持架和安装滚动轴承保持架的方法
DE202007004729U1 (de) Vorrichtung zum Halten wenigstens eines langgestreckten Bauteils
DE102018128331B3 (de) Mehrteiliges Rad für ein Fahrzeug
EP2354324B1 (de) Schachtanordnung
EP3170986A1 (de) Schaufelcluster mit umfangssicherung
EP2417360B1 (de) Verstärkungselement zur verwendung mit einer ventilatornabe
CN205480002U (zh) 用于保持紧固构件的组件
DE102004012396A1 (de) Elastische Wellenkupplung
DE102009049690A1 (de) Dichtungsanordnung an einem Dampfturbinengehäuse, umfassend einen justierbaren Dichtring
DE202008003139U1 (de) Arretierende Gewindehülse
KR102158568B1 (ko) 정비성 언더커버
EP1318068B1 (de) Raupenfahrzeug mit geteiltem Raupenträger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eines Raupenträgers
AT11963U1 (de) Beplankungsteil
DE102004025069B4 (de) 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Rohrabschni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