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168B1 -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168B1
KR102157168B1 KR1020190029798A KR20190029798A KR102157168B1 KR 102157168 B1 KR102157168 B1 KR 102157168B1 KR 1020190029798 A KR1020190029798 A KR 1020190029798A KR 20190029798 A KR20190029798 A KR 20190029798A KR 102157168 B1 KR102157168 B1 KR 102157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wired drone
supply cable
pair
cra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2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1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2Tether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4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for retaining a power supply cable in a wired drone, which keeps flying by supplying power from the ground to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wired drone using the power supply cable. The apparatus for retaining a power supply cable in a wired drone comprises: a pair of holders for separat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wer supply cable from components located between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and a central connection member commonly coupled to the pair of holders to maintain a connected state of the pair of holders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able.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holders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landing gear among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holders has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which is fitted thereto in common so as to be connected thereto.

Description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본 발명은 지상으로부터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비행 상태를 유지하는 유선 드론과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선 드론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와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d dron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ground and maintains a flying state,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red drone.

일반적으로 드론은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여 비행을 하는 방식으로서, 대형 드론의 경우, 여러 개의 충전식 배터리(예컨대, 6개)를 이용하여 충전한 후 비행을 하게 된다. 하지만, 기술적 한계로 인해 여러 개의 배터리를 이용하더라도, 비행시간이 15분 이상을 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짧은 비행시간을 위해서도 장시간 충전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general, drones fly using rechargeable batteries, and in the case of large drones, they are charged using several rechargeable batteries (eg, six) and then fly. However,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it is common that the flight time does not exceed 15 minutes, even if several batteries are used.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charging for a long time even for such a short flight time.

이러한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드론 측에 전원 장치를 탑재하고, 지상에서 전원 공급 케이블을 이용하는 유선 방식의 드론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의 드론은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전원 공급 케이블(즉, 유선)이 있으므로 유선 드론으로 일컬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using such a rechargeable battery, a power supply device is mounted on the drone side, and a wired drone using a power supply cable on the ground is sometimes used. This type of drone is referred to as a wired drone because it has a power supply cable (i.e. wired) compared to using a rechargeable battery.

전원 공급 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드론 측에 탑재된 전원 공급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케이블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전원선 조절장치가 이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using a power supply cable, it is important not to loosen the power supply cab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drone side, and for this purpose, a power line control device is used.

한편, 드론은 드론 본체와 랜딩 기어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이 탑재된다. 도 1은 드론 본체와 랜딩 기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모션 제어 기구(MC)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제어 기구(MC)는 짐벌(2)과 마운트(3)를 포함한다. 짐벌(2)은 회전시킬 수 있는 3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마운트(3)를 3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마운트(3)에는 카메라(5)와 전파 수신에 용이하도록 배향되는 안테나(4)가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모션 제어 기구(MC) 이외에도 유선 드론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6)가 더 배치된다.Meanwhile, in the drone, various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drone body and the landing gear. 1 shows an example of a motion control mechanism (MC)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 drone body and a landing gear. As shown in FIG. 1,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MC includes a gimbal 2 and a mount 3. The gimbal 2 can freely rotate the mount 3 in the three-axis direction using three rotatable motors, and the mount 3 has a camera 5 and an antenna 4 that is oriented to facilitate radio wave reception. ) Is combined. In addition to the motion control mechanism MC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a wired drone, a power supply 6 is further disposed as shown in FIG. 2.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본체와 랜딩 기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로 인해, 특히, 유선 드론의 경우에는 비행시 이들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에 물리적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즉, 유선 드론의 경우, 안테나 또는 카메라의 회전시 전원 공급 케이블과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크기를 크게 하고자 하여도 랜딩 기어와 드론 본체 사이의 공간적 제약 및 전원 공급 케이블과의 간섭 배제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므로 유선 드론의 비행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1 and 2, due to the various component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drone body and the landing gea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ired drone,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se components and the power supply cable is frequent during flight. Occurs. That is, in the case of a wired drone, interference with the power supply cable occurs when the antenna or camera rotates. In addition, even if the size of the antenna is to be increased, space constraints between the landing gear and the drone body and interference with the power supply cable must all be considered, so there are many difficulties when flying a wired drone.

또한, 유선 드론의 비행시의 상기 문제점 뿐만 아니라, 랜딩시에도 유선 드론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에 발생하는 물리적 간섭이 있으므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the wired drone and the power supply cable during landing as well as the above problems in flight of the wired drone, a method for solving these various problems is required in the art. Has beco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선 드론에 있어서, 비행시 유선 드론 본체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for minimizing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a wired drone body and a power supply cable during flight in a wired dron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선 드론의 비행시 뿐만 아니라 랜딩시 유선 드론 본체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랜딩을 가능케 하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that enables smooth landing by minimizing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the wired drone body and power supply cables during landing as well as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To provid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안테나의 지향점 조정을 위해 방향을 조정하거나 더 큰 싸이즈의 안테나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안테나와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that can minimize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and the power supply cable even when adjusting the direction to adjust the antenna's orientation point or mounting an antenna of a larger size. To provide a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전원 공급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유선 드론에 장착된 전원공급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을 지속하는 유선 드론에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사이에 위치하는 컴포넌트들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한 쌍의 거치대들과,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이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에 공통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에 연결되는 중앙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중 대응되는 랜딩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중앙 연결부재가 공통으로 끼워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in a wired drone that continues flying by supplying power from the ground to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a wired drone using a power supply cable, the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a pair of cradles for separating the power supply cable from the components located between the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pair of cradles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are connected It is commonly coupled to the pair of cradles to maintain a state, and includes a central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able, and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corresponds to one of the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It is connected to the landing gea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is commonly fitted and connec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일단과 상기 랜딩기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이드 연결부재들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side connecting memb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cradles for connecting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and the landing gear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둔각을 유지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ir of cradles maintain an obtuse angle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이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보다 더 아래로 내려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a portion of the pair of cradles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may descend further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시,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이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올라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ir of cradles may be raised such that a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is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when landing the wired dro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플라스틱, ABS(Acrylonitrile Butadiend Styrene) 및 PLA(Poly Lactic Acid)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ir of cradles may be formed of any one of plastic, Acrylonitrile Butadiend Styrene (ABS), and Poly Lactic Acid (PLA).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라, 전원 공급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유선 드론에 장착된 전원공급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을 지속하는 유선 드론에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사이에 위치하는 컴포넌트들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평부와, 일단은 상기 랜딩기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부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in a wired drone that continues flight by supplying power from the ground to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a wired drone using a power supply cable,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a horizontal part for maintaining the power supply cable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omponents located between the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e end coupled to the landing gear and the other end of the It includes a pair of vertical portion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평부는,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시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보다 높게 위치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rizontal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when landing the wired drone.

본 발명은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선 드론의 비행시, 또는 랜딩시 유선 드론 본체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비행 또는 랜딩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지향점 조정을 위해 방향을 조정하거나 더 큰 싸이즈의 안테나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안테나와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thereby minimizing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a wired drone body and a power supply cable during flight or landing of a wired drone, thereby enabling smooth flight or landing. Hav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inimizing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an antenna and a power supply cable even when a direction is adjusted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or a larger sized antenna is to be mounted.

도 1은 종래의 드론과 랜딩 기어 사이에 위치하는 모션 제어 기구(MC)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유선 드론의 일반적인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유선 드론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면서 일정한 싸이즈 이하의 작은 안테나의 경우에 적용가능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유선 드론의 비행시, 랜딩시, 그리고 큰 싸이즈의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에도 드론 본체 측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거치대(200a, 200b)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유선 드론의 비행시 도 4에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유선 드론의 랜딩시 도 4에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를 적용한 유선 드론의 랜딩시(a) 및 비행시(b)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1 shows an example of a motion control mechanism (MC) located between a conventional drone and a landing gear,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form of a conventional wired drone,
3 is a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applicable to a small antenna of a certain size or less while consid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ired drone,
FIG. 4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the drone body side and power supply cables even when a wired drone is flying, landed, and even when a large-sized antenna is applied. Is the drawing shown,
5 is a view showing the features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in FIG. 4,
6 is a view briefly showing the state of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in FIG. 4 when the wired drone is in flight,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in FIG. 4 when landing of the wired drone,
8 is a photograph showing a landing (a) and flight (b) state of a wired drone to which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simplified and illustrat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은 유선 드론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면서 일정한 싸이즈 이하의 작은 안테나의 경우에 적용가능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First,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applicable to a small antenna of a certain size or less while consid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ired drone.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 케이블(116)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유선 드론(1)에 장착된 전원공급부(16)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을 지속하는 유선 드론(1)에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수평부(100a)와 한 쌍의 수직부들(100b, 100c)을 포함한다. 수평부(100a)는 유선 드론(1)의 비행 중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7; 도 2 참조) 사이에 위치하는 컴포넌트들로부터 전원 공급 케이블(116)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상기 컴포넌트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안테나(14) 및 카메라(15) 등이다. 그리고, 수직부들(100b, 100c)은 각각의 일단이 랜딩기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은 수평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수평부(100a)는, 유선 드론(1)의 랜딩시 원활한 랜딩을 위해 랜딩기어(7)의 최하단보다 높게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ower supply cable is maintained in the wired drone 1 that continues flight by supplying power from the ground to the power supply unit 16 mounted on the wired drone 1 using a power supply cable 116. The device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00a and a pair of vertical portions 100b and 100c. The horizontal part 100a maintains the power supply cable 11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components located between the landing gears 7 of the wired drone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1; give. The components are, as previously mentioned, the antenna 14 and the camera 15, and the like. In addition, each of the vertical portions 100b and 100c has one end coupled to and fixed to the landing gear, and each oth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In particular, the horizontal part 100a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7 for smooth landing when landing the wired drone 1.

이러한 방식의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유선 드론(1)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유선 드론(1)의 랜딩기어 양측에 장착되고, 유선 드론(1)의 비행시 지상측에서 전원선 조절 장치(126)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전원 공급 케이블(116)과 카메라(15)나 안테나(14) 등과의 물리적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의 물리적 간섭은 비행시 전원 공급 케이블(116)이 안테나(14)나 카메라(15)에 닿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원활한 신호 수신을 위해 안테나(14)의 방향 조정시 전원 공급 케이블(116)과의 물리적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이러한 물리적 간섭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s type of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anding gear of the wired drone 1 in consider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ired drone 1, and the power line control device ( The power supply cable 116 and the camera 15 or antenna 14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while preventing the cable from loosening. Physical interference her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16 contacts the antenna 14 or the camera 15 during flight, and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cable 116 when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14 for smooth signal reception. Physical interference with the device frequently occurs, and the power supply cable h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occurrence of such physical interference.

다만, 이와 같이 일자형으로 고정되는 형태(수평부(100a)가 일자형으로 이뤄짐)의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에 있어서는, 그 장치를 유선 드론에 장착할 시, 유선 드론(1)의 랜딩도 함께 고려하여야 하므로, 원활한 랜딩을 위해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수평부(100a)의 하단이 랜딩기어의 최하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랜딩기어 사이 공간의 이와 같은 제약으로 인해, 안테나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 조정 공간이 부족하게 되고, 특히 더 큰 싸이즈의 지향성 안테나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of the form that is fixed in a straight shape (horizontal portion 100a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vice is mounted on a wired drone, landing of the wired drone 1 is also included. Since it should be considered,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100a of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must be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end of the landing gear for smooth landing. Therefore, due to such a limita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landing gears, when the antenna is to be adjusted, the adjustment space is insufficient, and in particular, when a directional antenna of a larger size is to be mounted, there is another difficulty.

도 4는 유선 드론의 비행시, 랜딩시, 그리고 큰 싸이즈의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에도 드론 본체 측의 여러 가지 컴포넌트들과 전원 공급 케이블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shows the features of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the drone body side and power supply cables even when a wired drone is flying, landed, and even when a large-sized antenna is applied. It is a figure shown.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케이(116)블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유선 드론(1)에 장착된 전원공급부(16)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을 지속하는 유선 드론에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과 중앙 연결부재(200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 각각을 대응되는 랜딩기어들에 연결하기 위한 사이드 연결부재들(200c, 200d)을 포함한다.4, a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in a wired drone that continues flying by supplying power from the ground to the power supply unit 16 mounted on the wired drone 1 using a power supply cable 116 , It includes a pair of cradles (200a, 200b) and a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includes side connecting members 200c and 200d for connecting each of the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to corresponding landing gears.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은 유선 드론(1)의 비행 중 유선 드론(1)의 랜딩기어들 사이에 위치하는 컴포넌트들, 즉 안테나(14) 및 카메라(15) 등으로부터 전원 공급 케이블(116)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즉, 유선 드론(1)의 비행 중에, 지상에서 전원선 조절장치(126)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 케이블(116)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조절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케이블(116)과 안테나(14) 및 카메라(15) 등과의 물리적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are components located between the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1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1, that is, a power supply cable from the antenna 14 and the camera 15 (116)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1, the power supply cable 116 is adjusted in real time so that the power supply cable 116 is not loosened using the power line control device 126 on the ground, which may occu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ysical interference with the antenna 14 and the camera 15 and the like.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의 일 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거치대들(200a, 200b) 각각의 길이는 L1이며, 양쪽 끝 부근에 형성된 홀들(C1, C2)을 통해 유선 드론(1)의 랜딩기어 측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 연결부재(200e)를 통해 서로 간에 연결된 경우,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이 최종적으로 연결된 길이가 유선 드론(1)의 랜딩기어들 사이의 간격(d0)보다 더 길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은 중앙 연결부재(200e)에 의해 공통으로 연결되고 중앙 연결부재(200e)에 전원 공급 케이블(116)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일직선이 아니라 항상 180°보다 작은 각도(θ)를 유지하게 된다. 거치대들(200a, 200b)의 길이(L1)를 지나치게 길게 하여 유선 드론(1)에 장착하게 되면, 유선 드론(1)의 비행시 케이블 조절장치(126)를 통해 텐션을 유지시, 상기 각도(θ)가 작아지게 되어 중앙 연결부재(200e)가 연결된 부분이 아래로 많이 쳐지게 되어(도 6 참조), 전원 공급 케이블(116)과 안테나(14) 또는 카메라(15) 등과의 간섭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드론의 랜딩시, 랜딩기어를 통한 원활한 랜딩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각도(θ)가 둔각(90<θ<180) 정도를 유지하도록 거치대들(200a, 200b)의 길이(L1)길이를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xample of a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i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the length of each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is L1, and is fixed to the landing gear side of the wired drone 1 through holes C1 and C2 formed near both ends. , When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e), the length of the pair of cradles (200a, 200b) finally connected should be longer than the distance (d0) between the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1). Therefore, in this case, the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in common by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200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16 is connected to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200e, it is always 180° instead of a straight line. It maintains a smaller angle θ. When the length (L1)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is too long to be mounted on the wired drone 1, when the wired drone 1 is in flight, when the tens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cable adjustment device 126, the angle ( As θ) becomes smaller, the portion to which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e is connected is struck down a lot (see FIG. 6),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power supply cable 116 and the antenna 14 or the camera 15 may be caused. In addition, since the landing of the drone may hinder smooth landing through the landing gear, the length (L1)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so that the angle θ maintains an obtuse angle (90<θ<180). It is desirable to form the length appropriately.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은 안테나(14)의 전파 신호를 방해하지 않도록 플라스틱,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LA(Poly Lactic Acid)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PLA는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로서, 일반적인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성을 가지며, 폐기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이므로,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은 PLA 재질의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D 프린터로 성형될 수 있다.The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are made of any one of plastic,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and Poly Lactic Acid (PL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adio signal of the antenna 14. In particular, PLA is an eco-friendly resin made from raw materials extracted from corn starch,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general plastic, and is a material that is 100% biodegradable by microorganisms when discarded, so the pair of cradles (200a, 200b) is made of PLA. It can be molded into a 3D printer using filaments.

또한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의 길이(L1), 두께(D1) 그리고 너비(W1)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보면, 예컨대, 거치대들(200a, 200b)의 길이(L1)가 50cm인 경우, 두께(D1)는 5mm이고, 너비(W1)는 5c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랜딩기어들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을 연결한 상태에서 180도 보다 작으면서 대체로 둔각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원 공급 케이블(116)의 장력 확보시 거치대들(200a, 200b)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수진 이상의 폭(W1)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L1), thickness (D1) and width (W1) of the pair of cradles (200a, 200b), for example, the length (L1) of the cradles (200a, 200b) is 50cm. In this case, the thickness D1 may be 5mm, and the width W1 may be formed to be 5cm. As mention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spacing between the landing gears, a length that can maintain an obtuse angle while being smaller than 180 degrees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radles 200a and 200b when the tension of the power supply cable 116 is secured, it must be formed to have a width W1 of a certain number or more.

중앙 연결부재(200e)는 유선 드론(1)의 비행 중 한 쌍의 거치대들(200a, 200b)이 서로 연결되어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거치대들(200a, 200b) 각각에 연결된 홀에 공통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 부분에 전원 공급 케이블(116)이 연결된다. 전원 공급 케이블(116)과 중앙 연결부재(200e) 간의 연결은 또 다른 연결고리(미도시)를 통해서 이뤄진다. 중앙 연결부재(200e)의 형상이나 재료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거치대들(200a, 200b)을 공통으로 연결하면서 전원 공급 케이블(116)이 더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면 충분하다.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e is common to a hole connected to each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in order to keep the pair of cradles 200a and 200b connected to each other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1 As being coupled, a power supply cable 116 is connected to this pa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cable 116 and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e is made through another connection ring (not show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e. However,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supply cable 116 can be further connected while connecting the cradles 200a and 200b in common is sufficient.

사이드 연결부재들(200c, 200d)은 거치대들(200a, 200b) 각각의 일단과 랜딩기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5에 도시된 홀들(C1, C2) 중 C1이 중앙 연결부재(200c)를 통해 다른 거치대와 연결되는 홀이라면, C2는 사이드 연결부재가 관통하여 대응되는 랜딩기어에 연결되기 위한 홀이다. 예컨대, 도 4에서 거치대 200b인 경우 우측 랜딩기어 측에 사이드 연결부재 200d를 통해 연결되고, 거치대 200a인 경우 좌측 랜딩기어 측에 사이드 연결부재 200c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사이드 연결부재들(200c, 200d)은, 거치대들(200a, 200b)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유선 드론(1)의 비행 중 거치대들(200a, 200b)이 전방(도 6에서 좌측)으로 향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들(200a, 200b)의 유동을 적절히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connecting members 200c and 200d are components for connecting one end of each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to the landing gears. If C1 among the holes C1 and C2 shown in FIG. 5 is a hole connected to another cradle through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200c, C2 is a hole through which the side connection member penetrates and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landing gear. For example, in FIG. 4, in the case of the cradle 200b, the side connection member 200d is connected to the right landing gear side, and in the case of the cradle 200a, the side connecting member 200c is connected to the left landing gear side. These side connecting members 200c and 200d are not formed so that the cradles 200a and 200b can freely flow, but the cradles 200a and 200b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1 are in front (Fig. 6).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appropriately limit the flow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so that the state toward the left) can be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는 유선 드론의 비행시, 짐벌 모션을 고려하여 지향점을 향해 안테나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랜딩시에도 랜딩기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랜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sufficient space to be secured so that the antenna can move smoothly toward the pointing point in consideration of the gimbal motion when flying the wired drone, but also landing when landing.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gear, you can safely land.

도 6은 유선 드론(1)의 비행시 도 4에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유선 드론(1)의 랜딩시 도 4에서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의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를 적용한 유선 드론의 랜딩시(a) 및 비행시(b)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6 is a view briefly showing the state of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in FIG. 4 when the wired drone 1 is in flight, and FIG. 7 is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maintained in FIG. 4 when landing the wired drone 1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device, and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tate of landing (a) and flight (b) of a wired drone to which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유선 드론(1)의 비행 중, 전원 공급 케이블(116)이 전원선 조절 장치(126; 도 4 참조)에 의해 장력이 조절된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측면에서 볼 때, 랜딩기어(17)와 거치대(200b)의 관계를 살펴보면, 거치대들(200a, 200b)의 중앙 부분, 즉 중앙 연결부재(200e)에 의해 연결된 부분이 아랫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이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보다 더 아래로 내려오도록 유지함으로써, 안테나(14) 또는 카메라(15)와 전원 공급 케이블(116) 간의 물리적 간섭을 피하고, 특히 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6, a view brief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of the power supply cable 116 is adjusted by the power line adjustment device 126 (see FIG. 4)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1, from the side In view,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ing gear 17 and the cradle 200b, the central portion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that is, the portion connected by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200e, can be maintained in a downward-facing state. have. That is,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by maintaining the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to be lower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physically between the antenna 14 or the camera 15 and the power supply cable 116 It is possible to secure enough space to avoid interference and, in particular,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도 7을 참조하면, 유선 드론(1)의 랜딩시에는 랜딩기어(17)가 지면에 안착하여 랜딩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치대들(200a, 200b)이 사이드 연결부재(200c, 200d)를 기준으로 윗 방향으로 회전하여, 거치대들(200a, 200b)이 연결된 중앙 부분, 즉 중앙 연결부재(200e)에 결합된 부분이 랜딩기어(17)의 최하단과 대체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올라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거치대들(200a, 200b)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의 길이가 랜딩기어 사이의 간격(도 4의 d0)보다 더 길어 대체로 예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유선 드론(1)의 랜딩시(도 7) 또는 비행시(도 6), 후방(도 7의 X1 참조)으로 거치대들(200a, 200b)이 이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이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보다 더 아래로 내려오도록 유지함으로써, 안테나(14) 또는 카메라(15)와 전원 공급 케이블(116) 간의 물리적 간섭을 피하고, 특히 안테나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랜딩시 안전한 랜딩을 도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landing of the wired drone 1, in order to ensure that the landing gear 17 is sea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landing proceeds smoothly, the holders 200a and 200b are provided with side connecting members 200c and 200d. By rotating in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so that the central portion to which the cradles 200a and 200b are connected, that is, the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200e, can be raised to be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17. Is composed. Since the length of the cradles 200a and 200b connected to each other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anding gears (d0 in Fig. 4) and generally maintains an acute angle, the landing of the wired drone 1 (Fig. 7) or flying Since the cradles 200a and 200b do not move toward the city (Fig. 6) and rearward (see X1 in Fig. 7), the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is more than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By keeping it down,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antenna 14 or the camera 15 and the power supply cable 116 is avoided, and in particular, a spac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is sufficiently secured, while safe landing can be achieved during landing. have.

1 : 유선 드론
14 : 안테나
15 : 카메라
16 : 전원 공급 장치
116 : 전원 공급부
126 : 전원선 조절 장치
100(100a, 100b, 100c) :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200(200a, 200b, 200c, 200d, 200e):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1: wired drone
14: antenna
15: camera
16: power supply
116: power supply
126: power line adjustment device
100 (100a, 100b, 100c):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retention device
200 (200a, 200b, 200c, 200d, 200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retention device

Claims (8)

전원 공급 케이블을 이용하여 지상으로부터 유선 드론에 장착된 전원공급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비행을 지속하는 유선 드론에서의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로서,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사이에 위치하는 컴포넌트들로부터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한 쌍의 거치대들; 및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이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에 공통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에 연결되는 중앙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중 대응되는 랜딩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중앙 연결부재가 공통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너비(W1)가 두께(D1)보다 더 긴 스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길이(L1)는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사이의 간격(d0)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이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의 전체 길이는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기어들 사이의 간격(d0)보다 더 길고,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항상 둔각을 유지하며,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은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에 의해 상기 유선 드론의 직하영역이 아닌 바깥 영역으로 이격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As a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in a wired drone that continues flying by supplying power from the ground to the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wired drone using a power supply cable,
A pair of cradles for separating the power supply cable from components positioned between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central connection member commonly coupled to the pair of cradles to maintain a connected state during flight of the wired drone, and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able,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is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landing gear among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is connected with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in common,
The pair of cradles are formed in a stick shape having a width W1 longer than the thickness D1, and the length L1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is a distance d0 between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It is formed shorter, and the total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cradles are connected by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is longer than the distance (d0) between the landing gears of the wired drone, and the pair of cradles is the wired drone Maintains an obtuse angle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the power supply cable is maintain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area outside the wired drone by the pair of crad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의 일단과 상기 랜딩기어들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거치대들 각각에 대응되는 사이드 연결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side connecting memb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air of cradles for connecting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radles and the landing gear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상기 유선 드론의 비행 중,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이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보다 더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cradles,
The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d drone, a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descends further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상기 유선 드론의 랜딩시, 상기 중앙 연결부재에 결합된 부분이 상기 랜딩기어의 최하단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ir of cradles,
When landing the wired drone, a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coupled to the central connection member rises to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most end of the landing g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치대들은,
플라스틱,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및 PLA(Poly Lactic Acid)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 드론 전원 공급 케이블 유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cradles,
Wired drone power supply cabl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plastic,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PLA (Poly Lactic Aci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29798A 2019-03-15 2019-03-15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KR102157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98A KR102157168B1 (en) 2019-03-15 2019-03-15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798A KR102157168B1 (en) 2019-03-15 2019-03-15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168B1 true KR102157168B1 (en) 2020-09-17

Family

ID=7270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798A KR102157168B1 (en) 2019-03-15 2019-03-15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1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4B1 (en) * 2021-09-24 2022-02-14 주식회사 순돌이드론 Drone for wired and wireless combined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1169A (en) * 2015-09-17 2018-10-25 ロベルト ベロッツィ ヘレス Yield strength composite panels, materials,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1169A (en) * 2015-09-17 2018-10-25 ロベルト ベロッツィ ヘレス Yield strength composite panels, materials, product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264B1 (en) * 2021-09-24 2022-02-14 주식회사 순돌이드론 Drone for wired and wireless combined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861B2 (en) Tetra-propeller aircraft
KR102157168B1 (en) Apparatus for retaining power supply cable for use in wired drone
CN204141179U (en) Three axle The Cloud Terrace capture apparatus
US2016012999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for extended flight
US8272593B2 (en) Rotational bottom blade type flight vehicle
CN106586006B (en) Land-air amphibious rotor craft capable of rolling omnidirectionally on ground and mountin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4176254A (en) Onboard device suitable for sowing job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owing method
KR102295789B1 (en) Drone capable of adjusting propulsion direction
EP2989895B1 (en) Fish collecting device
CN112770210A (en) Charging box
US20210217318A1 (en) Autonomous aerial vehicle system
JP3222004U (en) Biting prevention point head device and smart pet companion robot having the biting prevention point head device
WO2018120001A1 (en) Power device, power ki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212243807U (en) High-stability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4531940A (en) Radio frequency control aircraft
KR101907649B1 (en) Electric Fan Using Detachable Wing Drone
JP7185498B2 (en) Rotorcraft and method of controlling rotorcraft
CN204141180U (en) The Cloud Terrace capture apparatus
KR102331941B1 (en) Drone with longer aviation ability
KR20190027109A (en) Drone having long flying time
KR102134746B1 (en) Removable Coaxial Reversal Drones
CN101355993A (en) Propeller plane toy
WO2017114244A1 (en) Single-shaft aerial vehicle
CN209967586U (en) Flying disc
CN107352023A (en)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