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216B1 -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216B1
KR102154216B1 KR1020170119788A KR20170119788A KR102154216B1 KR 102154216 B1 KR102154216 B1 KR 102154216B1 KR 1020170119788 A KR1020170119788 A KR 1020170119788A KR 20170119788 A KR20170119788 A KR 20170119788A KR 102154216 B1 KR102154216 B1 KR 10215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thin film
film deposition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837A (ko
Inventor
단성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70119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4216B1/ko
Priority to CN201880060323.6A priority patent/CN111095176A/zh
Priority to PCT/KR2018/010773 priority patent/WO2019054780A1/ko
Priority to US16/646,924 priority patent/US20200264730A1/en
Publication of KR2019003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41Exposure; Apparatus therefor in the presence of a fluid, e.g. immersion; using fluid cooling means
    • G03F7/2043Exposure; Apparatus therefor in the presence of a fluid, e.g. immersion; using fluid cooling means with the production of a chemical active agent from a fluid, e.g. an etching agent; with meterial deposition from the fluid phase, e.g. contamination res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투명 기재의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을 형성하고, 전기 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여 미세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은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투명 기재의 센싱 영역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기재의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SUBSTRATE FOR TOUCH SCREEN PANEL, TOUCH SCREEN PANEL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실장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젤리스(Bezeless) 구현을 위해 베젤 영역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의 선폭을 최소화하여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대형 화면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센싱 영역 및 베젤(Bezel) 영역을 포함한다.
터치 센싱 영역은 터치 감지를 위한 터치 회로가 형성된다. 터치 센싱 영역은 터치를 감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베젤 영역은 터치 센싱 영역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 패턴이 형성된다. 신호 라인 패턴은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베젤 영역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부(외주)를 차단한다.
이에, 휴대 단말기는 사이즈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화면 사이즈를 최대화하기 위해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한 터치 스크린 패널(즉, 베젤리스(Bezeless))이 적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7076호(명칭: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투명 기재의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을 형성하고, 전기 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여 미세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을 이용해 미세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하여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하도록 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은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투명 기재의 센싱 영역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기재의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은 센싱 영역 및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 센싱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층, 베젤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박막 증착층 및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층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은 센싱 영역에 투명 전극층이 형성되고,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투명 전극층 및 박막 증착층을 식각하여 신호 라인 패턴 및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를 준비하고,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제1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제1 마스크를 장벽으로 박막 증착층을 식각하여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베이스 기재의 센싱 영역에 제2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마스크를 장벽으로 투명 전극층을 식각하여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투명 전극층 및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포토레지스트층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를 준비하고,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마스크를 장벽으로 투명 전극층을 식각하여 센싱 영역에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마스크를 장벽으로 박막 증착층을 식각하여 베젤 영역에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신호 라인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센싱 영역 및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 센싱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 및 베젤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신호 라인 패턴을 포함한다. 신호 라인 패턴은 베젤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 접착층의 상면에 형성된 금속층 및 금속층의 상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신호 라인 패턴의 선폭은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투명 기재의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을 형성하고, 전기 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에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함으로써, 미세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을 이용해 미세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터치 스크린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투명 기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박막 증착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포토레지스트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10)은 터치를 센싱하는 센싱 영역(12) 및 베젤 영역(14)으로 구분된다.
센싱 영역(12)은 터치를 감지하면서 투광성을 제공하기 위해 투명 전극(16; 즉,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투명 전극(16)은 ITO 등의 투명 재질인 것을 일례로 한다.
베젤 영역(14)은 센싱 영역(12)의 외주에 배치된 영역이다. 베젤 영역(14)은 투명 전극(16)에서 감지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 패턴(18)이 형성된다. 신호 라인 패턴(18)은 은 페이스트(Ag paste) 인쇄 공정 및 노광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라인 패턴(18)은 레이저 패터닝(Laser patterning)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신호 라인 패턴(18)은 베젤리스 구조의 터치 스크린 패널(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략 10㎛ 이하의 선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패널(10)에서 신호 라인 패턴(18)은 페이스트 인쇄 및 노광 또는 레이저 패터닝 공정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대략 20㎛ 내지 30㎛ 정도의 선폭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0㎛ 이하의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은 투명 기재(120), 투명 전극층(140), 박막 증착층(160) 및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120)는 판상 기판 또는 필름으로 형성된다. 투명 기재(120)는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 기재(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주로 사용되는 COP 또는 PET인 것을 일례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기재(120)는 센싱 영역(122)을 포함한다. 센싱 영역(122)은 터치 감지를 위한 투명 전극들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투명 기재(120)는 센싱 영역(122)의 외곽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124)을 더 포함한다. 베젤 영역(124)은 센싱 영역(122)의 투명 전극들에서 감지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투명 전극층(140)은 투명 기재(12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투명 전극층(140)은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에 형성된다. 투명 전극층(140)은 투명 전극(즉,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층으로, ITO인 것을 일례로 한다.
박막 증착층(160)은 투명 기재(12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박막 증착층(160)은 투명 전극층(140)과 동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박막 증착층(160)은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통해 투명 기재(120)의 베젤 영역(124)에 형성된다. 박막 증착층(160)은 대략 200㎜ 내지 300㎜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박막 증착층(160)은 접착층(162), 금속층(164) 및 보호층(166)이 적층된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접착층(162)은 투명 기재(120)의 표면에 형성된다. 접착층(162)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투명 기재(120)의 베젤 영역(124)에 형성된다. 접착층(162)은 니켈-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
금속층(164)은 접착층(162)의 상면에 형성된다. 금속층(164)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접착층(162)의 상면에 형성된다. 금속층(164)은 구리(Cu)인 것을 일례로 한다.
보호층(166)은 금속층(164)의 상면에 형성된다. 보호층(166)은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금속층(164)의 상면에 형성된다. 보호층(166)은 니켈-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대략 3㎛ 내지 5㎛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포토레지스트액(감광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대략 3㎛ 내지 5㎛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포토레지스트층(180)을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코팅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마이크로 코팅, 캐스팅,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다이 코딩 중 하나의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액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층(180)은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 및 베젤 영역(124)에 형성된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센싱 영역(122)에서 투명 전극층(140)의 표면에 형성되고, 베젤 영역(124)에서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은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20), 투명 전극층 형성 단계(S140),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 및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를 포함한다.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20)에서는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기재(120)를 준비한다.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20)에서는 판상 기판 또는 필름 형태의 투명 기재(120)를 준비한다.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20)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주로 사용되는 COF 또는 PET 재질의 판상 기판 또는 필름을 투명 기재(120)로 준비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20)에서는 센싱 영역(122) 및 베젤 영역(124)을 포함하는 투명 기재(120)를 준비한다. 센싱 영역(122)은 터치 감지를 위한 투명 전극들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베젤 영역(124)은 센싱 영역(122)의 외곽에 위치한다.
투명 기재 준비 단계(S120)에서는 센싱 영역(122)에 투명 전극층(140)이 형성된 적층 기판 또는 적층 필름을 투명 기재(120)로 준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할 투명 전극층 형성 단계(S140)는 생략될 수 있다.
투명 전극층 형성 단계(S140)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투명 전극층(140)을 형성한다. 투명 전극층(140)은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에 형성된다. 투명 전극층(140)은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층으로, ITO 인것을 일례로 한다.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에서는 투명 기재(120)에 박막 증착층(160)을 형성한다.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박막 증착층(160)을 형성한다.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에서는 투명 전극층(140)과 동일면에 박막 증착층(160)을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에서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통해 투명 기재(120)의 베젤 영역(124)에 박막 증착층(160)을 형성한다.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에서는 대략 200㎜ 내지 3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 증착층(160)을 형성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박막 증착층 형성 단계(S160)는 접착층 형성 단계(S162), 금속층 형성 단계(S164) 및 보호층 형성 단계(S16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 형성 단계(S162)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표면에 접착층(162)을 형성한다. 접착층 형성 단계(S162)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베젤 영역(124)에 접착층(162)을 형성한다.
접착층 형성 단계(S162)에서는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투명 기재(120)의 표면에 접착층(162)을 형성한다. 접착층 형성 단계(S162)에서는 니켈-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의 재질인 접착층(162)을 투명 기재(120)에 형성한다.
금속층 형성 단계(S164)에서는 접착층(162)의 상면에 금속층(164)을 형성한다. 금속층 형성 단계(S164)에서는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접착층(162)의 상면에 금속층(164)을 형성한다. 금속층 형성 단계(S164)에서는 구리(Cu) 재질의 금속층(164)을 접착층(162)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보호층 형성 단계(S166)에서는 금속층(164)의 상면에 보호층(166)을 형성한다. 보호층 형성 단계(S166)에서는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금속층(164)의 상면에 보호층(166)을 형성한다. 보호층 형성 단계(S166)에서는 니켈-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의 재질인 보호층(166)을 금속층(164)에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대략 3㎛ 내지 5㎛ 정도의 두께로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포토레지스트액(감광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대략 3㎛ 내지 5㎛ 정도의 두께를 갖는 포토레지스트층(180)을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코팅 공정을 통해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코팅 공정은 마이크로 코팅, 캐스팅, 스핀 코팅, 슬릿 코팅, 다이 코딩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에 포토레지스트층(180)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포토레지스트층 형성 단계(S180)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 및 베젤 영역(124)에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형성할 수 있다. 포토레지스트층(180)은 센싱 영역(122)에서 투명 전극층(140)의 표면에 형성되고, 베젤 영역(124)에서 박막 증착층(160)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200)은 투명 기재(120),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 및 신호 라인 패턴(240)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120)는 판상 기판 또는 필름으로 형성된다. 투명 기재(120)는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해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 기재(120)는 터치 스크린 패널(200)에 주로 사용되는 COP 또는 PET인 것을 일례로 한다.
투명 기재(120)는 센싱 영역(122) 및 베젤 영역(124)을 포함한다. 센싱 영역(122)은 터치 감지를 위한 투명 전극들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베젤 영역(124)은 센싱 영역(122)의 투명 전극들에서 감지한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 패턴(240)이 형성되는 영역이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은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에 형성된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은 복수의 X축 센싱 회로 패턴 및 복수의 Y축 센싱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은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투명 전극층(140)을 에칭하여 형성된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은 에칭 공정을 통해 신호 라인 패턴(24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은 포토레지스트층(180)을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은 신호 라인 패턴(240) 형성 전후에 별도의 에칭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투명 기재(120)의 베젤 영역(124)에 형성된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대략 200㎜ 내지 300㎜ 정도의 두께를 갖고, 대략 10㎛ 이하의 선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X축 센싱 회로 패턴의 신호를 전송하는 X축 신호 라인 패턴(240) 및 Y축 센싱 회로 패턴의 신호를 전송하는 Y축 신호 라인 패턴(240)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에서 생성한 터치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감지 신호를 휴대 단말기의 메인 회로 기판으로 전송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박막 증착층(160) 및 포토레지스트층(180)을 에칭하여 형성된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에칭 공정을 통해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 형성 전후에 별도의 에칭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신호 라인 패턴(240)은 접착층(162), 금속층(164) 및 보호층(166)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162)은 투명 기재(120)의 표면에 형성되고, 니켈-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 금속층(164)은 접착층(162)의 상면에 형성되고, 구리(Cu)인 것을 일례로 한다. 보호층(166)은 금속층(164)의 상면에 형성되고, 니켈-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인 것을 일례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200) 제조 방법은 베이스 기재 준비 단계(S211), 제1 마스크 형성 단계(S213), 신호 라인 패턴 형성 단계(S215), 제2 마스크 형성 단계(S217) 및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 형성 단계(S219)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 준비 단계(S211)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을 베이스 기재로 준비한다. 베이스 기재 준비 단계(S211)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베젤 영역(124)에만 박막 증착층(160) 및 포토레지스트층(180)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을 베이스 기재로 준비한다.
제1 마스크 형성 단계(S213)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포토레지스트층(180)을 노광 및 현상하여 제1 마스크(320)를 형성한다. 제1 마스크 형성 단계(S213)에서는 신호 라인 패턴(24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마스크(320)를 형성한다.
신호 라인 패턴 형성 단계(S215)에서는 박막 증착층(160)을 식각하여 미세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240)을 형성한다. 신호 라인 패턴 형성 단계(S215)에서는 제1 마스크(320)를 장벽으로 하여 박막 증착층(160)을 식각한다. 신호 라인 패턴 형성 단계(S215)에서는 대략 10㎛ 이사의 선폭을 갖는 신호 라인 패턴(240)을 형성한다.
제2 마스크 형성 단계(S217)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투명 전극층(140)의 상면에 제2 마스크(340)를 형성한다. 제2 마스크 형성 단계(S217)에서는 전기방사 공정 또는 코팅 공정을 통해 투명 전극층(140)의 상면에 포토레지스트액을 도포한다. 제2 마스크 형성 단계(S217)에서는 포토레지스트액을 노광 및 현상하여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마스크(340)를 형성한다. 제2 마스크 형성 단계(S217)에서는 드라이 필름을 투명 전극층(140)의 상면에 접착하여 제2 마스크(3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 형성 단계(S219)에서는 투명 전극층(140)을 식각하여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을 형성한다.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 형성 단계(S219)에서는 제2 마스크(340)를 장벽으로 하여 투명 전극층(140)을 식각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200) 제조 방법은 베이스 기재 준비 단계(S222), 마스크 형성 단계(S224) 및 회로 패턴 형성 단계(S226)(S226)를 포함한다.
베이스 기재 준비 단계(S222)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을 베이스 기재로 준비한다. 베이스 기재 준비 단계(S222)에서는 투명 기재(120)의 센싱 영역(122) 및 베젤 영역(124)에 포토레지스트층(180)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을 베이스 기재로 준비한다.
마스크 형성 단계(S224)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포토레지스트층(180)을 노광 및 현상하여 마스크(300)를 형성한다. 마스크 형성 단계(S224)에서는 신호 라인 패턴(240) 및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스크(300)를 형성한다. 마스크 형성 단계(S224)에서는 센싱 영역(122)의 포토레지스트층(180)에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스크(300)를 형성한다. 마스크 형성 단계(S224)에서는 베젤 영역(124)의 포토레지스트층(180)에 신호 라인 패턴(240)에 대응되는 형상의 마스크(300)를 형성한다.
회로 패턴 형성 단계(S226)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을 식각하여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 및 신호 라인 패턴(240)을 형성한다. 회로 패턴 형성 단계(S226)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투명 전극층(140)을 식각하여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220)을 형성한다. 회로 패턴 형성 단계(S226)에서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100)의 박막 증착층(160)을 식각하여 신호 라인 패턴(240)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120: 투명 기재
122: 센싱 영역 124: 베젤 영역
140: 투명 전극층 160: 박막 증착층
162: 접착층 64: 금속층
166: 보호층 180: 포토레지스트층
200: 터치 스크린 패널 220: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
240: 신호 라인 패턴 300: 마스크
320: 제1 마스크 40: 제2 마스크

Claims (18)

  1.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재의 상기 센싱 영역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재의 상기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젤 영역의 상면에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의 상면에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보호층은 니켈 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이고, 상기 금속층은 구리(Cu)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COP 또는 PET 재질이고, 상기 투명 전극층은 ITO 재질인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투명 전극층의 상면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더 형성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재의 상기 센싱 영역에 투명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재의 상기 베젤 영역에 박막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극층 및 상기 박막 증착층의 상면에 전기방사 공정을 통해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투명 전극층 및 상기 박막 증착층을 식각하여 신호 라인 패턴 및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포함하는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젤 영역의 상면에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금속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층의 상면에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보호층은 니켈 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이고, 상기 금속층은 구리(Cu)인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제1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마스크를 장벽으로 상기 박막 증착층을 식각하여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기재의 센싱 영역에 제2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마스크를 장벽으로 상기 투명 전극층을 식각하여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을 노광 및 현상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를 장벽으로 상기 투명 전극층을 식각하여 상기 센싱 영역에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를 장벽으로 상기 박막 증착층을 식각하여 상기 베젤 영역에 신호 라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 라인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16. 제10항, 제12항, 제14항 및 제15항 중 한 항에 기재된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로,
    센싱 영역 및 상기 센싱 영역의 외주에 위치한 베젤 영역을 가지는 판상의 투명 기재;
    상기 센싱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터치 감지용 회로 패턴; 및
    상기 베젤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신호 라인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라인 패턴은,
    상기 베젤 영역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상면에 형성된 금속층; 및
    상기 금속층의 상면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및 상기 보호층은 니켈 구리(Ni-Cu) 및 티타늄(Ti) 중 하나이고, 상기 금속층은 구리(Cu)이며,
    상기 신호 라인 패턴의 선폭은 10㎛ 이하인 터치 스크린 패널.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19788A 2017-09-18 2017-09-18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4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88A KR102154216B1 (ko) 2017-09-18 2017-09-18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880060323.6A CN111095176A (zh) 2017-09-18 2018-09-13 用于触摸屏面板的衬底、具有该衬底的触摸屏面板及其制造方法
PCT/KR2018/010773 WO2019054780A1 (ko) 2017-09-18 2018-09-13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6/646,924 US20200264730A1 (en) 2017-09-18 2018-09-13 Substrate for touch screen panel, touch screen panel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88A KR102154216B1 (ko) 2017-09-18 2017-09-18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837A KR20190031837A (ko) 2019-03-27
KR102154216B1 true KR102154216B1 (ko) 2020-09-09

Family

ID=6572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88A KR102154216B1 (ko) 2017-09-18 2017-09-18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64730A1 (ko)
KR (1) KR102154216B1 (ko)
CN (1) CN111095176A (ko)
WO (1) WO2019054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0771B (zh) * 2020-06-16 2023-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102490505B1 (ko) * 2022-05-13 2023-01-19 주식회사 루미디아 투명 유리 디스플레이 기판, 투명 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6362A (ja) * 2015-01-23 2016-07-2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積層体基板、配線基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3135A1 (en) * 2010-04-02 2011-10-06 Intel Corporation Charge storage device, method of making same,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 for same, mobi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nd microelectronic device containing same
KR101155462B1 (ko) * 2010-10-26 2012-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제조방법
CN102691039A (zh) * 2011-03-25 2012-09-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抗菌镀膜件及其制备方法
KR101919781B1 (ko) * 2012-03-16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CN103376958A (zh) * 2012-04-19 2013-10-30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感应组件、其制备方法及使用电容感应组件的触控屏
KR101397682B1 (ko) * 2012-06-26 2014-05-26 (주)네패스디스플레이 투명 전극 구조물을 가지는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N105359069B (zh) * 2013-07-03 2019-12-10 阿莫善斯有限公司 用于触屏板的触摸感应器、其制造方法及由其构成的触屏板
KR20150043997A (ko) * 2013-10-14 2015-04-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
EP2908227B1 (en) * 2013-10-30 2020-03-25 LG Chem, Ltd. Conductive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KR101725075B1 (ko) * 2013-11-11 2017-04-11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 스크린 패널용 터치 센서와 그 제조방법
US20160270242A1 (en) * 2013-11-14 2016-09-15 Amogreentech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50077076A (ko) 2013-12-27 2015-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5261834A (zh) * 2014-08-15 2022-11-01 德国艾托特克公司 用于减少铜和铜合金电路的光学反射率的方法和触摸屏装置
KR101625584B1 (ko) * 2014-08-29 2016-05-31 한국과학기술원 레이저 직접 패터닝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WO2016036201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 스크린 패널용 터치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676120B1 (ko) * 2014-12-01 2016-1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50179A (ko) * 2015-06-18 2016-12-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자펜용 전원 코일패턴을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터치센서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503154B1 (ko) * 2015-12-31 2023-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6332460A (zh) * 2016-08-15 2017-01-11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高精度电路及其制备方法
CN106654013B (zh) * 2016-12-22 2019-01-15 华中科技大学 一种薄膜晶体管精细掩模板的制备方法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36362A (ja) * 2015-01-23 2016-07-2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積層体基板、配線基板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780A1 (ko) 2019-03-21
KR20190031837A (ko) 2019-03-27
US20200264730A1 (en) 2020-08-20
CN111095176A (zh) 202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23B1 (ko) 도전 시트 및 터치 패널
JP4601710B1 (ja) 狭額縁タッチ入力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EP2737390B1 (en) Capacitive touch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72507B2 (en) Touch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313028B1 (ko) 커버 유리 일체형 센서
KR101307296B1 (ko) 방청성이 우수한 협소 프레임 터치 입력 시트와 그 제조 방법
JP5892419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
KR101641760B1 (ko) 도전 시트 및 터치 패널
KR20120116920A (ko) 도전 시트, 도전 시트의 사용 방법 및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CN105579932A (zh) 静电电容方式触摸面板用电极片
EP3285153B1 (en) Capacitive touch screen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nd touch display panel
KR20090024451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0104A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방법
CN107608562B (zh) 触控面板、触控面板的制造方法及使用触控面板的电子设备
JP5375692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CN106681559B (zh) 触控面板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装置
US20200150804A1 (en) Touch substrate and method of fabracating the same, touch display device
JP5850967B2 (ja) タッチパネル用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1021542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143042A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製造するための積層体
JP5707949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CN107710128B (zh) 透光性导电材料
JP2013127657A (ja) 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KR20200128647A (ko) Fpc 일체형 정전 용량 스위치 및 그 제조 방법
TWI592849B (zh) 觸控面板以及其製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