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028B1 - 좌석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좌석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028B1
KR102153028B1 KR1020180140895A KR20180140895A KR102153028B1 KR 102153028 B1 KR102153028 B1 KR 102153028B1 KR 1020180140895 A KR1020180140895 A KR 1020180140895A KR 20180140895 A KR20180140895 A KR 20180140895A KR 102153028 B1 KR102153028 B1 KR 10215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cking
locking groove
rotation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786A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좌석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석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좌석에 고정되되 고정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브래킷의 타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외면에는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링크, 고정브래킷의 타단에서 제1 방향 혹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걸림부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걸림홈에 걸림부가 결합되어, 좌석은 고정되며, 조절부에 외력이 전달될 시, 조절부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부는 걸림홈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좌석 회전장치{Seat rotation device}
본 발명은 좌석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다수인의 승객을 수송하는 차량으로서, 그 내부에는 복수개의 좌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 측면에는 사고에 대비하여 승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문이 설치된다.
차량의 사고 발생시 버스에 탑승한 다수의 승객들은 앞문과 뒷문을 통해 탈출하는데, 비상문을 열게 되면 급박한 상황에서 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탈출 할 수 있게 된다.
차량의 사고로 인해 전복되어 앞문과 뒷문측이 지면에 닫는 경우에나, 고장 등의 이유로 인해 앞문과 뒷문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상문을 통해 승객이 대피할 수 있게 구성된다.
비상문은 평상시에 잠겨 있으나, 긴급할 경우, 비상문 측에 설치된 좌석의 등받이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좌석을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핀을 잡아당겨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좌석의 하중에 의하여 핀이 탈거되지 않아 비상문을 통하여 승객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좌석을 고정한 핀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좌석을 젖힐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적은 힘으로도 좌석을 고정한 핀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좌석을 젖힐 수 있는 좌석 회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체에 좌석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석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좌석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외면에는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링크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 혹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제1 걸림홈, 상기 제1 걸림홈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걸림홈 및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2 걸림홈 사이에 배치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제1 걸림홈에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어, 상기 좌석은 고정되며, 상기 조절부에 외력이 가해질 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홈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에 가해진 상기 외력이 제거될 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좌석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곡면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곡면부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된 후에, 상기 좌석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곡면부에 접촉된 채로 상기 제2 걸림홈을 향해 미끄러져, 상기 제2 걸림홈에 결합되게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좌석을 고정한 핀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좌석을 젖힐 수 있게 됨으로써, 비상 탈출시 신속하게 승객을 대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 회전장치의 걸림부가 제1 걸림홈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걸림부가 제1 걸림홈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걸림부가 제2 걸림홈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좌석의 양단에 결합된 좌석 회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 회전장치가 버스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 회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 회전장치의 걸림부가 제1 걸림홈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및 4는 걸림부가 제1 걸림홈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걸림부가 제2 걸림홈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좌석의 양단에 결합된 좌석 회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좌석 회전장치가 버스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석 회전장치(100)는, 차체로부터 좌석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비상 시, 비상문 입구의 면적을 보다 넓힐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브래킷(10)과, 회전링크(20), 조절부(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은 차체(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회전링크(20)는 좌석(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회전링크(20)는 고정브래킷(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링크(20)는 고정브래킷(10)의 타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외면에는 걸림부(2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조절부(30)는 고정브래킷(10)의 타단에서 제1 방향 혹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조절부(30)에는 걸림부(22)에 대응되는 걸림홈(32)이 형성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걸림홈(32)에 걸림부(22)가 결합되어 좌석(2)은 차체(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조절부(30)에 외력이 전달될 시, 조절부(30)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걸림부(22)는 걸림홈(32)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어, 차체(1)에 고정된 좌석(2)의 구속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걸림부(22)는 회전링크(20)에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과 수직하게 수평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32)은 걸림부(22)를 향하는 제1 걸림홈(321)과, 제1 걸림홈(321)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걸림홈(3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가 제1 걸림홈(321)에 걸릴 시, 좌석(2)은 회전되지 않은 본래의 제1 위치 상태(P1)로 유지될 수 있으며,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가 제2 걸림홈(322)에 걸릴 시, 좌석(2)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제2 위치 상태(P2)로 유지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부(22)에 제1 걸림홈(321), 제2 걸림홈(322)이 2개 형성된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의 복수 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구조로도 적용 가능하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좌석 회전장치(100)는 제1 회전바(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바(40)는 조절부(30)를 제1 방향 혹은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바(40)는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과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조절부(3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10)의 타단에는 제1 회전바(40)가 관통되도록 제1 관통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관통홀(12)의 내측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제1 회전바(4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석 회전장치(100)는 인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가부(50)는 제1 회전바(40)에 외력이 전달되도록, 제1 회전바(40)에 고정된 고정단(51)와,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52)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가부(50)의 고정단(51)은 제1 회전바(40)를 감싸며, 자유단(52)은 조절부(30)보다 제2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52)에 외력이 작용하게 될 시, 고정단(51)에 고정된 제1 회전바(40)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바(4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걸림부(22)가 제1 걸림홈(321)에 걸려 좌석(2)이 회전되지 않은 본래의 제1 위치 상태(P1)로부터, 도 3에 도시된, 걸림부(22)가 제1 걸림홈(321)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면서, 회전링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2)가 제2 걸림홈(322)에 걸릴 시, 좌석(2)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제2 위치 상태(P2)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위치 상태(P1)라 함은, 좌석(2)이 회전되지 않으며, 좌석이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위치 상태(P2)라 함은, 차체(1)로부터 좌석(2)을 젖혀 고정시킨 상태일 수 있다.
일예로, 자유단(52)은 조절부(30)보다 제2 방향으로 더 돌출되며, 차체(1)에 연결된 고정브래킷(10)에 연결됨으로써, 승객이 통행하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좌석을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핀을 잡아당겨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좌석의 하중에 의하여 핀이 탈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좌석 회전장치(100)의 자유단(52)은 승객의 발로 밟아, 승객의 하중을 실을 시, 조절부(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승객이 비상구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래킷(10)의 일단에는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과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바(6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10)의 일단에는 제2 회전바(60)가 관통되도록 제2 관통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바(60)를 매개로 고정브래킷(10)과 회전링크(20)는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바(60)를 매개로 회전링크(20)와 연결된 좌석(2)은 차체(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조절부(30)를 통해 좌석의 제1 위치상태(P1) 및 제2 위치상태(P2)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석 회전장치(100)는 탄성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3)는 제2 회전바(60)가 제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제2 회전바(60)에 복원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63)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일예로, 판 스프링의 일단은 고정브래킷(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판 스프링의 타단은 회전링크(20)에 고정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복원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판 스프링에 의하여, 회전링크(20)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크(20)의 하측에는 고정브래킷(10)에 형성된 가이드홀(18)에 삽입되기 위하여 안내부(28)가 구비될 수 있다.
조절부(30)를 통해 좌석의 제1 위치상태(P1)가 위치될 시, 가이드홀(18)에 안내부(28)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2)의 전방을 지지하는 회전링크(20)의 일측은 제2 회전바(6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좌석(2)의 후방을 지지하는 회전링크(20)의 타측은 걸림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10)은 차체(1)의 길이방향에 대응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차체(1)로부터 좌석(2)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석(2)이 젖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좌석 회전장치(100)는 버스의 후방 측면에 설치된 비상문(5)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비상 시, 좌석(2)을 신속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비상문(5) 입구의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은 힘으로도 좌석을 고정한 핀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좌석을 젖힐 수 있게 됨으로써, 비상 탈출시 신속하게 승객을 대피시킬 수 있다.
도 8에 버스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좌석(2)을 젖히는 형태이면 모든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회전링크(20)에 좌석(2)이 연결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수하물을 실은 지지부(미도시)에 회전링크(20)가 고정되어 수하물을 적재시켜 고정한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체 2: 좌석
10: 고정브래킷 20: 회전링크
22: 걸림부 30: 조절부
32: 걸림홈 321: 제1 걸림홈
322: 제2 걸림홈 40: 제1 회전바
50: 인가부 51: 고정단
52: 자유단 60: 제2 회전바
63: 탄성부재 100: 좌석 회전장치

Claims (7)

  1. 차체에 좌석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좌석 회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좌석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외면에는 걸림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링크;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 혹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걸림부를 향하는 제1 걸림홈;
    상기 제1 걸림홈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걸림홈; 및
    상기 제1 걸림홈과 상기 제2 걸림홈 사이에 배치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제1 걸림홈에 상기 걸림부가 결합되어, 상기 좌석은 고정되며, 상기 조절부에 외력이 가해질 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홈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에 가해진 상기 외력이 제거될 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좌석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곡면부에 접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곡면부에 상기 걸림부가 안착된 후에, 상기 좌석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곡면부에 접촉된 채로 상기 제2 걸림홈을 향해 미끄러져, 상기 제2 걸림홈에 결합되게 구비되는 좌석 회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제1 걸림홈에 걸릴 시, 상기 좌석은 회전되지 않은 본래의 제1 위치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걸림부가 제2 걸림홈에 걸릴 시, 상기 좌석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제2 위치 상태로 유지되는 좌석 회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를 상기 제1 방향 혹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회전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바는 상기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과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기 조절부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에는 상기 제1 회전바가 관통되도록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좌석 회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바에 외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 회전바에 고정된 고정단과,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을 포함하는 인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가부의 일단에 마련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회전바를 감싸며, 상기 인가부의 타단에 마련된 상기 자유단은, 상기 조절부보다 상기 제2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되는 좌석 회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에는 상기 제1 방향 혹은 제2 방향과 수직하게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바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단에는 상기 제2 회전바가 관통되도록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바를 매개로 상기 고정브래킷과 상기 회전링크가 연결되는 좌석 회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바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제2 회전바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좌석 회전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전방을 지지하는 상기 회전링크의 일측은 상기 제2 회전바에 연결되며, 상기 좌석의 후방을 지지하는 상기 회전링크의 타측은 상기 걸림부가 배치되는 좌석 회전장치.
KR1020180140895A 2018-11-15 2018-11-15 좌석 회전장치 KR10215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95A KR102153028B1 (ko) 2018-11-15 2018-11-15 좌석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895A KR102153028B1 (ko) 2018-11-15 2018-11-15 좌석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86A KR20200056786A (ko) 2020-05-25
KR102153028B1 true KR102153028B1 (ko) 2020-09-07

Family

ID=7091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895A KR102153028B1 (ko) 2018-11-15 2018-11-15 좌석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501A (ja) * 2000-07-10 2002-01-23 Tenryu Ind Co Ltd 非常用転倒座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501A (ja) * 2000-07-10 2002-01-23 Tenryu Ind Co Ltd 非常用転倒座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786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877B1 (ko) 차량 시트용 잠금 부재
CN107089173B (zh) 带有安全带的儿童座椅及其制造方法
US5788325A (en) Locking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and a seat including such a mechanism
US9062477B2 (en)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inertial secondary catch position
US8066330B2 (en) Motor-vehicle headrest
US8408630B2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US9022463B2 (en) Rear-seat armrest locking apparatus
US4720145A (en) Motor vehicle seat hinge
US3973288A (en) Seat recliner
KR20060117991A (ko) 머리받침 장치
EP3225457A1 (en) Seat with armrest, and armrest unlocking device for use therewith
US20120062015A1 (en) Vehicle seat lock device
DE102016108649A1 (de) Verriegelungsstruktur für eine Armlehne
KR102153028B1 (ko) 좌석 회전장치
US9469225B1 (en) Center armrest inertial lock
KR102235026B1 (ko) 자동 폴딩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US4405155A (en) Seat belt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207150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2017197075A (ja) 車両用シート
US10081284B2 (en) Armrest release mechanism
KR102402994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20200002311A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0716627B1 (ko) 버스의 탈출용 좌석 회전장치
KR20170041938A (ko)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047403B1 (ko) 상용버스용 회전식 락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