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64B1 -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 Google Patents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64B1
KR102150664B1 KR1020180013400A KR20180013400A KR102150664B1 KR 102150664 B1 KR102150664 B1 KR 102150664B1 KR 1020180013400 A KR1020180013400 A KR 1020180013400A KR 20180013400 A KR20180013400 A KR 20180013400A KR 102150664 B1 KR102150664 B1 KR 10215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uxiliary
air
flo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943A (ko
Inventor
박국재
Original Assignee
바다야놀자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다야놀자협동조합 filed Critical 바다야놀자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8001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2Floating swimming 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6Safety devices; Coverings for baths
    • E04H4/065Floors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수용공간의 수심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고 부력체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부와, 상기 부유부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다수 설치된 수직측면부와, 상기 수직측면부의 하부에서 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부유부에 대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승하강시켜 상기 수면에서 상기 바닥부까지의 수심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수심조절부와; 상기 수심조절부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이 승하강될 시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보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Seawater swimming pool floated on the sea}
본 발명은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수용공간의 수심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야외활동이 증가하며 강이나 바다 또는 저수지 등에서 수영을 즐기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소 대부분은 별도의 수영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영시설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수영 영역을 경계하기 위한 로프(rope)만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안전에 취약하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2156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1092호에 수상 인공 수영장과 해양레포츠용 해양구조물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수상 인공 수영장은 사용자가 물놀이를 즐기는 수용공간의 수심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용공간의 깊이보다 수심이 얕은 곳엔 설치가 어렵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바다의 수심에 대응하지 못해 활용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해양구조물은 설치시 수심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었으나 설치 후 수심조절시 마다 해양구조물을 지상으로 옮긴 뒤 수용공간의 바닥부를 분리하고 재조립 해야 하므로 수심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2156호 (특허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10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부와 바닥부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하여 수용공간의 수심을 조절할 수 있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용장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고 부력체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부와, 상기 부유부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다수 설치된 수직측면부와, 상기 수직측면부의 하부에서 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부유부에 대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승하강시켜 상기 수면에서 상기 바닥부까지의 수심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수심조절부와; 상기 수심조절부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이 승하강될 시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보조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심조절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렉기어와,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렉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보조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별도의 내부공간을 갖는 충진체와, 상기 충진체의 일측에서 수면 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1에어공급로가 형성된 제1에어관과, 상기 충진체에 부력을 부가하는 부력모드에서는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의 물이 상기 충진체의 제1물입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에어공급로를 통해 에어가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고, 상기 충진체에 침강력을 부가하는 침강모드에서는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의 에어가 제1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충진체의 제1물입출구를 통해 물이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는 제1수중구동부;를 구비한다.
또는, 상기 바닥부는 내부공간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에 의해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보조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서 수면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제2에어공급로가 형성된 제2에어관과; 상기 바닥부에 부력을 부가하는 부력모드에서는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의 물이 상기 바닥부의 제2물입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에어공급로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고, 상기 바닥부의 침강력을 부가하는 침강모드에서는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의 에어가 제2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되고 물이 상기 바닥부의 제2물입출구를 통해 충진되게 가동되는 제2수중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닥면과 나란한 보조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보조바닥부와, 상기 보조바닥부가 상기 가이드대를 따라 수중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는 서브승강부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보조바닥부는 내부공간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승강부는 상기 보조바닥부의 일측에서 수면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보조에어공급로가 형성된 보조에어관과, 상기 보조바닥부에 부력을 부가하는 부력모드에서는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의 물이 상기 보조바닥부의 물입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보조에어공급로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고, 상기 보조바닥부의 침강력을 부가하는 침강모드에서는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의 에어가 보조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되고 물이 상기 보조바닥부의 물입출구를 통해 충진되게 가동되는 보조수중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은 수심조절부의 수직프레임을 승하강 시켜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부와 바닥부의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의 승하강 시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수심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용공간의 수심조절 작동을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의 바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100)은 본체(10), 수심조절부(50), 승강보조부(70)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바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주위의 해수를 이용하여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4)을 형성하는 부유부(11)와, 수용공간(14)의 측면을 형성하는 수직측면부(20)와, 수용공간(14)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30)를 구비한다.
부유부(11)는 상부프레임(15)과 부유판체(13)로 되어있다. 상부프레임(15)은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4)을 형성하며, 부유판체(13)에 의해 수면에 부유된다. 상부프레임(15)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14)은 사용자들이 수영을 할 수 있는 수영구역이다. 도면에서는 상부프레임(15)이 수용공간(14)을 사각의 형태로 구획하였으나 이와 달리, 원형, 삼각형등 다양한 형태로 수면을 구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프레임(15)은 사용자가 수용공간(14)의 내부로 들어가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출입사다리와 다이빙대 등이 설치된다.
부유판체(13)는 평평한 판형으로 하면에 부력체(17)가 다수 설치되어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된다. 부유판체(13)는 상부프레임(15)의 적어도 일측에서 결합되어 상부프레임(15)이 수면에 부유하도록 지지한다. 부유판체(13)의 일측에는 사용자들이 물놀이를 준비하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구역(12)을 제공하며 휴식구역(12)에는 파라솔, 샤워장, 탈의실, 화장실 등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된다. 또한, 상부프레임(15)이 구획한 수용공간(14)과는 별도로 유아들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낮은 수심을 갖는 해수 유아풀장(16)이 형성된다.
수직측면부(20)는 상부프레임(15)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1)과, 수용공간(14)의 내부에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이격된 수직프레임(21) 사이공간에 설치된 그물(23)을 구비한다.
수직프레임(21)은 직선형의 봉 또는 관부재로 도면에는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환봉, 사각봉, 원형관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프레임(21)은 상부프레임(15)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부프레임(15)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하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일부가 수중에 잠긴다. 그리고, 수직프레임(21)은 상부프레임(15)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수심조절부(50)에 의해 부유부(11)에 대하여 수직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된다.
그물(23)은 수직프레임(21)이 수심조절부(50)에 의해 승하강될 시, 상부프레임과 바닥부의 사이에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상부프레임과 바닥부의 사이에 테두리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물(23)은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직측면부(20)는 그물(23)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물(23) 이외에 로프 또는 통공이 형성된 섬유소재등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되 사용자가 안전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이격된 수직프레임(21)의 사이공간에서 측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적용이 가능하다.
바닥부(30)는 수직측면부(20)의 하부에서 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용공간(14)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평평한 판부재로 형성된다. 바닥부(30)는 수직프레임(21)이 승하강 함에 따라 수중에서 수면방향으로 상승되거나 수면에서 수중으로 하강된다. 바닥부(30)는 수면에 대해 수중으로 하강되거나 상승할 시 물의 저항력을 줄일 수 있도록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판부재가 아닌 금속소재의 메쉬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수심조절부(50)는 수직프레임(21)을 부유부(11)에 대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키도록 수직프레임(21)에 형성되는 렉기어(51)와, 렉기어(51)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53)를 포함하는 구동부(55), 구동부(55)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57)를 구비한다.
렉기어(51)는 상부프레임(15)이 형성한 수영 영역의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된 수직프레임(21)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프레임(21)의 일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부프레임의 모서리 사이의 변 부분에 설치된 수직프레임(21)에도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55)는 렉기어(51)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1)과 인접한 부유부(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메인동력원인 감속모터(52)와, 감속모터(52)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렉기어(51)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3)를 구비한다. 메인제어부(57)에 의해 감속모터(52)가 작동하면 감속모터(52)의 회전축에 구비된 피니언기어(53)가 회전하고, 피니언기어(53)와 맞물리는 렉기어(51)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1)이 피니언기어(53)의 회전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된다. 또한, 구동부(55)는 렉기어(51)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1)의 일측과 반대되는 수직프레임(21)의 타측과 접촉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보조롤러(54)를 구비한다. 보조롤러(54)는 렉기어(51)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1)이 피니언기어(53)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될 시 수직으로 승하강 되도록 보조한다.
메인제어부(57)는 부력모드로 설정되면 감속모터(52)를 렉기어(51)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1)이 승강되게 작동시키고, 침강모드로 설정되면 감속모터(52)를 렉기어(51)가 형성된 수직프레임(21)이 하강되게 작동시킨다. 수직프레임(21)이 부유부(11)에 대하여 승하강 되면, 수직프레임(21)의 하부에 설치된 바닥부(30)가 수면방향으로 상승되거나 수중으로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수면과 바닥면과의 거리로 형성되는 수심의 깊이가 조절된다. 또한, 메인제어부(57)는 부력 또는 침강모드에 따라 후술할 제1수중구동부(75)를 작동시킨다.
승강보조부(70)는 수심조절부(50)에 의해 수직프레임(21)이 승하강될 시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진체(71)와, 제1에어관(73), 제1수중구동부(75)를 구비한다.
충진체(71)는 물 또는 에어가 충진되게 내부공간을 갖는 것으로, 바닥부(30)의 하면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달리 바닥부(30)의 측면이나 수직프레임(21)의 하부등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충진체(71)는 하부에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1물출입구(71a)가 형성되어 있다. 충진체(71)는 에어가 충진되어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또한, 외측에 방수기능을 할 수 있도록 방수코팅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에어관(73)은 충진체(71)의 일측에서 수면 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충진체(7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1에어공급로(73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에어관(73)은 일단이 수면 밖으로 노출되어 노출된 일단을 통해 외부에어가 제1에어공급로(73a)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제1에어관(73)은 수직프레임(21)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수직프레임(21)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부유부(11)에 대해 승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면 위의 외부 에어를 충진체(7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제1수중구동부(75)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작동되며, 부력모드에서는 충진체(71)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게 하며, 침강모드에서는 충진체(71) 내부에 물이 충진되게 작동한다.
제1수중구동부(75)는 제1수중펌프(76), 제1,2밸브(77)(78), 제1에어밸브(74)를 구비한다. 제1수중펌프(76)는 충진체(71)의 제1물출입구(71a)와 연통된 제1물입출관(79)에 설치되어 제1물출입구(71a)를 통해 충진체(71)의 내부의 물이 충진체(7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1밸브(77)는 제1수중펌프(76)와 제1물입출관(79)의 종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1밸브(77)는 제1수중펌프(76)가 가동될 때에는 물이 제1물입출관(7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제1수중펌프(76)가 미작동될 때에는 물이 제1물입출관(79)을 통해 충진체(71)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체크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밸브(78)는 제1수중펌프(76)와 제1밸브(77)와 제1물출입관(79)이 형성하는 유로와 별도로 제1물출입관(79)과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1서브물출입관(79a)에 설치되는 밸브이다. 제2밸브(78)는 개방시 외부의 물이 내부로 인입되게 한다. 제1에어밸브(74)는 제1에어관(73)의 제1에어공급로(73a)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제2밸브 및 제1에어밸브(74)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제1수중구동부(75)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제어부(57)에 부력모드가 설정되면, 제1수중구동부(75)는 충진체(71)의 내부공간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에어를 충진체(71)의 내부공간으로 충진시킨다.
메인제어부(57)에 의해 제1수중펌프(76)는 충진체(71)의 내부공간에 충진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한다. 이때, 제1밸브(77)는 물의 흐름에 따라 개방되고, 제2밸브(78)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폐쇄되도록 작동한다. 이에, 충진체(71) 내부공간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되 충진체(7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없다. 제1에어밸브(74)는 개방되어 충진체(71)의 내부공간에서 물이 배출됨에 따라 에어공급로(73a)를 통해 에어가 충진체(71)의 내부로 충진되도록 한다.
이처럼, 메인제어부(57)에 부력모드가 설정되어 수직프레임(21)이 승강될 시, 제1수중구동부(75)는 충진체(71)의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어 본체(10)의 하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승강이 용이하도록 한다.
부력모드의 해제시에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제1수중구동부(75)는 수중펌프(76)의 구동을 멈추고 제2밸브와 제1에어밸브가 폐쇄하게 제어된다.
침강모드가 설정되면, 메인제어부(57)에 의해 제1수중구동부(75)는 충진체(71)의 내부공간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물을 충진체(71)의 내부공간으로 충진시킨다.
이때, 제1수중펌프(76)는 작동하지 않고, 제2밸브(78)가 개방된다. 개방된 제2밸브(78)에 의해 제1물출입관(79)을 통해 충진체(71)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제1에어밸브(74)는 개방되어 충진체(71)의 내부공간에서 물이 충진됨에 따라 에어공급로(73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메인제어부(57)에 침강모드가 설정되어 수직프레임(21)이 하강될 시, 제1수중구동부(75)는 충진체(71)의 내부에 물이 충진되어 본체(10)의 하부에서 침강력을 제공하여 하강이 용이하도록 한다.
부력모드의 해제시에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제1수중구동부(75)는 제2밸브(78)와 제1에어밸브(74)를 폐쇄하게 제어된다.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의 본체(10)는 안전지지부(9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안전지지부(90)는 사용자가 물놀이 도중 수용공간(14) 내부에서 숨이 차거나, 수심이 깊다고 판단되는 등 안전을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할 시 사용자가 올라서서 숨을 쉴 수 있도록 주위 수심보다 얕은 수심을 형성하도록 한다. 안전지지부(90)는 가이드대(93), 보조바닥부(91), 서브승강부(95)를 구비한다.
가이드대(9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봉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원형관 사각관, 사각봉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대(93)는 바닥부(30)에서 수직프레임(21)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보조바닥부(91)가 수중에서 승하강 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대(93)의 일단은 바닥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부프레임(15)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어 수직프레임(21)의 승하강시 함께 부유부(11)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하여 수직프레임(21)의 승하강을 방해 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보조바닥부(91)는 바닥부(30)와 나란한 보조바닥면을 형성하는 판부재로, 위급사황이 발생시 상면에 형성된 보조바닥면에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다. 보조바닥부(91)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구비된다. 보조바닥부(91)는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91b)에 가이드대(93)가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대(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바닥부(91)는 서브승강부(95)에 의해 가이드대(93)을 따라 수중에서 수면방향으로 승강되거나 바닥부(30) 방향으로 하강된다. 보조바닥부(91)는 내부공간에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서브물출입구(91a)가 형성된다.
서브승강부(95)는 보조바닥부(91)가 수중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조에어관(94), 보조수중구동부(99)를 구비한다.
보조에어관(94)은 보조바닥부(91)의 일측에서 수면위로 연장된 것으로,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보조에어공급로(94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에어관(94)은 수면에 일단이 노출되어 노출된 일단을 통해 외부에어가 보조에어공급로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에어관(94)은 제1에어관(73)과 일부 유로를 공동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에어관(73)에서 분기되어 보조바닥부(91)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면 위의 외부에어를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보조에어관(94)은 보조바닥부(91)의 승하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유연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수중구동부(99)는 물출입밸브(98), 에어출입밸브(97), 컴프레셔(96), 서브제어부(60)를 구비한다.
물출입밸브(98)는 보조바닥부(91)의 서브물출입구(91a)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며, 에어출입밸브(97)는 보조에어관(94)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컴프레셔(96)는 보조에어관(94)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작동시 보조에어관(94)을 통해 외부에어를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으로 충진시킨다. 물출입밸브(98)와 에어출입밸브(97)는 서브제어부(60)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비된다.
서브제어부(60)는 보조부력모드로 설정되면 보조바닥부(91)가 가이드대(93)를 따라 승강 되고, 보조침강모드로 설정되면 보조바닥부(91)가 가이드대(93)를 따라 하강되도록 물출입밸브(98), 에어출입밸브(97)를 개폐하고 컴프레셔(96)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종료시킨다.
보조수중구동부(99) 역시, 도 2를 참조하여,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브제어부(60)가 보조부력모드로 설정되면, 서브제어부(60)는 물출입밸브(98)와 에어출입밸브(97)를 개방시키고 컴프레셔(96)를 작동시킨다. 작동한 컴프레셔(96)에 의해 외부에어는 보조에어관(94)을 통해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으로 충진되고 충진되는 에어의 압력에 의해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에 충진되었던 물은 서브물출입구(91a)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보조바닥부(91)에 에어가 충진되어 부력으로 인해 가이드대(93)를 따라 수면방향으로 승강된다.
보조부력모드가 해제되면, 서브제어부(60)는 에어출입밸브(97)와 물출입밸브(98)는 폐쇄하고, 컴프레셔(96)의 작동을 종료시켜 보조부력체의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채로 유지되도록 한다.
서브제어부(60)가 보조침강모드가 설정되면, 서브제어부(60)는 물출입밸브(98)와 에어출입밸브(97)를 개방시키되 컴프레셔(96)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개방된 서브물출입구(91a)를 통해 물이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고, 충진되는 물에 의해 보조바닥부(91)의 내부에 있던 에어는 보조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된다. 이로 인해 보조바닥부(91)의 내부공간에 물이 충진되어 침강력으로 인해 가이드대(93)를 따라 바닥부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보조침강모드가 해제되면, 서브제어부(60)는 에어출입밸브(97)와 물출입밸브(98)를 폐쇄하여 보조부력체의 내부에 물이 충진된채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보조바닥부(91)를 가이드대(93)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시켜 바닥부에 대한 보조바닥부(9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수면과 보조바닥부(9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수심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수면과 보조바닥부(91)가 형성하는 수심은 바닥부와 수면이 이루는 수심보다 얕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은 수직프레임을 승,하강 시켜 수면과 수용공간의 바닥부의 거리, 즉, 수심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의 승,하강시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전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물놀이를 즐기는 중 긴급상황이 발생하였을때, 안전지지부의 보조바닥부에 올라가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닥부(40)는 내부공간을 갖는 판형부재로 수직프레임(21)의 하부에 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바닥부(40)는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는 보조부력체(41)에 의해 충진공간(42)이 형성된다. 보조부력체(41)는 바닥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보조부력체(41)는 부력을 갖도록 스티로폼등과 같은 발포수지나 별도의 내부공간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보조부력체(41)는 충진공간(42)에 충진되는 물에 파손되지 않도록 발수코팅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부(40)는 충진공간(42)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제2물출입구(40a)가 형성되어 있다.
충진공간(42)의 내부에는 물 또는 에어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부에 부력 도는 침강력을 제공한다.
승강보조부(80)는 제2에어관(83)과 제2수중구동부(89)를 구비한다. 제2에어관(83)은 바닥부(40)의 일측에서 수면 위로 연장되고 내부에 바닥부(40)의 충진공간(42)과 연통되는 제2에어공급로(83a)가 형성된다. 제2에어관(83)은 수면에 일단이 노출되어 노출된 일단을 통해 외부에어가 제2에어공급로(83a)의 내부로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제2수중구동부(89)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작동되며, 부력모드에서는 충진공간(42)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게 하며, 침강모드에서는 충진공간(42) 내부에 물이 충진되게 작동한다.
제2수중구동부(89)는 제2수중펌프(86), 제3,4밸브(87)(88), 제2에어밸브(84)를 구비한다. 제2수중펌프(86)는 바닥부(40)의 제2물출입구(40a)와 연통된 제2물입출관(81)에 설치되어 제2물출입구(40a)를 통해 충진공간(42)의 내부의 물이 충진공간(4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3밸브(87)는 제2수중펌프(86)와 제2물입출관(81)의 종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3밸브(87)는 제2수중펌프(86)가 가동될 때에는 물이 제2물입출관(8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제2수중펌프(86)가 미작동될 때에는 물이 제2물입출관(81)을 통해 충진체(71)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체크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밸브(88)는 제3밸브(87)와 제2물출입관(89)이 형성하는 유로와 별도로 제2물출입관(81)과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2서브물출입관(81a)에 설치되는 밸브이다. 제4밸브(88)는 개방시 외부의 물이 내부로 인입되게 한다. 제2에어밸브(84)는 제2에어관(83)의 제2에어공급로(83a)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제3밸브 및 제2에어밸브(84)는 메인제어부(57)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에어관과, 제2수중구동부(89)의 제2수중펌프(86), 제3,4밸브(87)(88), 제2에어밸브(44)는 상기한 일 실시예의 제1에어관, 제1수중구동부(75)의 제1수중펌프(76), 제1,2밸브(77)(78), 제1에어밸브와 각각 대응되며 구조 및 작동원리가 동일 하다. 이와 같은 제2수중구동부에 의해 충진공간(42)은 메인제어부(57)에 부력모드가 설정되면 에어가 충진되어 바닥부(40)에 부력을 제공하고, 메인제어부(57)에 침강모드가 설정되면 물이 충진되어 바닥부(40)에 침강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은 수직프레임 의해 바닥부가 부유부에 대하여 승하강 시 충진공간에 물 또는 에어가 충진되어 바닥부의 승하강을 보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충진체가 마련되지 않고 바닥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충진체의 이탈 및 파손등에 의한 충진체의 보수작업을 하지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부유부
20 : 수직측면부 30 : 바닥부
50 : 수심조절부 70 : 승강보조부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고 부력체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부와, 상기 부유부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이 다수 설치된 수직측면부와, 상기 수직측면부의 하부에서 수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부유부에 대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승하강시켜 상기 수면에서 상기 바닥부까지의 수심을 조절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수심조절부와;
    상기 수심조절부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이 승하강될 시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여 승강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보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대와, 상기 가이드대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닥면과 나란한 보조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보조바닥부와, 상기 보조바닥부가 상기 가이드대를 따라 수중에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부력 또는 침강력을 제공하는 서브승강부를 구비하는 안전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심조절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렉기어와,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렉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보조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별도의 내부공간을 갖는 충진체와,
    상기 충진체의 일측에서 수면 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1에어공급로가 형성된 제1에어관과,
    상기 충진체에 부력을 부가하는 부력모드에서는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의 물이 상기 충진체의 제1물입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에어공급로를 통해 에어가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고, 상기 충진체에 침강력을 부가하는 침강모드에서는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의 에어가 제1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충진체의 제1물입출구를 통해 물이 상기 충진체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는 제1수중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내부공간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부력체에 의해 충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보조부는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서 수면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과 연통되는 제2에어공급로가 형성된 제2에어관과;
    상기 바닥부에 부력을 부가하는 부력모드에서는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의 물이 상기 바닥부의 제2물입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에어공급로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고, 상기 바닥부의 침강력을 부가하는 침강모드에서는 상기 바닥부의 충진공간의 에어가 제2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되고 물이 상기 바닥부의 제2물입출구를 통해 충진되게 가동되는 제2수중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닥부는 내부공간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승강부는 상기 보조바닥부의 일측에서 수면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보조에어공급로가 형성된 보조에어관과,
    상기 보조바닥부에 부력을 부가하는 부력모드에서는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의 물이 상기 보조바닥부의 물입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보조에어공급로를 통해 공급된 에어가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에 충진되게 가동되고, 상기 보조바닥부의 침강력을 부가하는 침강모드에서는 상기 보조바닥부의 내부공간의 에어가 보조에어공급로를 통해 배출되고 물이 상기 보조바닥부의 물입출구를 통해 충진되게 가동되는 보조수중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KR1020180013400A 2018-02-02 2018-02-02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KR10215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00A KR102150664B1 (ko) 2018-02-02 2018-02-02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00A KR102150664B1 (ko) 2018-02-02 2018-02-02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43A KR20190093943A (ko) 2019-08-12
KR102150664B1 true KR102150664B1 (ko) 2020-09-01

Family

ID=6762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00A KR102150664B1 (ko) 2018-02-02 2018-02-02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140B1 (ko) 2020-05-04 2022-05-25 (사) 한국해양안전협회 해양레포츠 또는 생존체험수영 공간을 포함하는 부유식 수영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098A (ja) * 2003-09-18 2005-04-07 Molten Corp 水上プール
CN106351477B (zh) * 2016-09-27 2018-09-28 熊生银 水深可调的游泳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092A (ko) 2004-05-25 2005-10-20 강석수 해양레포츠용 해양구조물
KR101282156B1 (ko) 2011-04-29 2013-07-04 (주)에어박스 수상 인공 수영장
KR20160004036A (ko) * 2014-07-02 2016-01-12 최성원 해수욕장이 구비된 인공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0098A (ja) * 2003-09-18 2005-04-07 Molten Corp 水上プール
CN106351477B (zh) * 2016-09-27 2018-09-28 熊生银 水深可调的游泳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43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0309C (en) Aquaculture cage with variable buoyancy spars
US4271542A (en) Swimming pool platform and components
US9289664B2 (en) Apparatus for underwater activities
JP6449652B2 (ja) 水域用の昇降床
US96471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 and controlled elevation of a raisable floor for pools
EP2920052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underwater activities
KR102150664B1 (ko) 해양 부유식 해수 수영장
US3081600A (en) Submergible barge structure for off-shore operations
CA2330712C (en) Aquatic raisable floor apparatus
AU618082B2 (en) Arrangement including a moveable tower
AU2006260754A1 (en) Floating station for aquatic exercises
JP6514917B2 (ja) シェルター
KR101058393B1 (ko) 도크 겸용 작업선
CN107090991A (zh) 一种利用气压调节泳池水深的升降装置
KR101550453B1 (ko) 잠수식 부잔교를 구비하는 도교
CN108482598A (zh) 一种可下潜房屋结构及其潜浮方法
CN108466680A (zh) 一种可潜水房屋结构及其潜浮方法
KR20200125315A (ko)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
KR830000090B1 (ko) 해상의 자립(自立) 플렛포옴(platfrom)
CA1215202A (en) Swimming pool platform and components
JPH0577806B2 (ko)
KR20230087757A (ko) 해양생물 차단 구조물이 설치된 수중 침하식 부교
JP2002154481A (ja) 水中ドーム艇
GB2602352A (en) Apparatus for use in a liquid pool
PL224208B1 (pl) Pomieszczenie podwodno-nadwodne, zwłaszcza do celów mieszkaln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