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529B1 -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529B1
KR102148529B1 KR1020190023568A KR20190023568A KR102148529B1 KR 102148529 B1 KR102148529 B1 KR 102148529B1 KR 1020190023568 A KR1020190023568 A KR 1020190023568A KR 20190023568 A KR20190023568 A KR 20190023568A KR 102148529 B1 KR102148529 B1 KR 10214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opening
receiving
columnar body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빅스타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빅스타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빅스타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2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부에 힌지결합 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TEMPALES AND SPECTACLES FRAM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불완전한 시력을 조정하거나 바람, 먼지, 센 빛 따위를 막아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에 쓰는 물건의 총칭이다. 구체적인 안경의 종류로는, 시력을 돋우기 위한 것에는 근시에 쓰는 졸보기안경, 원시에 쓰는 돋보기안경, 난시, 등에 사용하는 특수안경이 있으며, 적외선이나 자외선 그리고 바람이나 먼지, 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용안경 등이 있다.
안경은 렌즈 및 안경테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착용자의 눈 앞에 위치하여 광의 굴절을 조절한다. 안경테는 렌즈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림(rim)과 템플(temple)을 포함할 수 있다. 림과 템플은 볼트 결합되고, 템플은 림에 대해 접힐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볼트 결합의 결합력은 볼트의 마모 및 손상, 또는 그 외의 이유로 쉽게 약화되고,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착용자가 수시로 볼트를 조여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19-0016652 (공개일: 2019.02.19)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 결합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부에 힌지결합 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안경다리가 제공된다.
상기 다리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축고정되는 힌지볼(hinge bal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공간;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힌지볼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의 폭은 상기 힌지볼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기둥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기둥형 본체 내부에 상기 기둥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타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개구와 연결된 제3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3 개구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한 쌍으로 형성되는 림(rim); 및 상기 림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부에 힌지결합 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안경테가 제공된다.
상기 다리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 축고정되는 힌지볼(hinge bal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공간;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힌지볼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의 폭은 상기 힌지볼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기둥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기둥형 본체 내부에 상기 기둥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타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개구와 연결된 제3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3 개구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결합이 없이 안경다리가 접힐 수 있고, 안경테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프론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가 접힌 안경테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프론트(front)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가 접힌 안경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한 쌍의 림(rim)(10), 브릿지(bridge)(20), 노우즈(nose)부(30) 및 안경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림(10)은 렌즈를 둘러싸는 한 쌍의 프레임이며, 렌즈 수용부(200)(11)를 구비한다. 림(10)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림(10)은 베타 티타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림(10)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림(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닫힌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렌즈를 일부만 둘러싸도록 열린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린 선형의 림(10)을 포함하는 안경테는 '반무(無)테'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에서 림(10)은 삭제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무(無)테'의 안경테가 구현될 수 있다.
브릿지(20)는 한 쌍의 렌즈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구조물로, 착용자의 콧대 위에 위치한다. 안경테가 림(10)을 포함하는 경우, 브릿지(20)는 한 쌍의 림(10) 사이에 위치하도록 림(10)에 결합될 수 있다. 안경테가 림(1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브릿지(20)는 렌즈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브릿지(20)는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림(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노우즈부(30)는 착용자의 콧대에 안착되어 렌즈의 높이, 렌즈와 착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구조물이며, 안경테가 림(10)을 포함하는 경우, 노우즈부(30)는 림(10)에 결합될 수 있다. 노우즈부(30)는 림(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림(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안경테가 림(1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노우즈부(30)는 렌즈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노우즈부(30)는 노우즈 패드(pad) 및 노우즈 암(arm)을 포함할 수 있다. 노우즈 패드는 착용자의 콧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금속,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노우즈 암은 노우즈 패드를 고정하는 부분으로, 노우즈 패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노우즈 암은 변형이 가능한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경다리는 템플(temple)이라 칭해지며, 렌즈와 결합되어 착용자 얼굴 측면부를 가로질러 착용자의 귀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안경다리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으로 접힘(폴딩, folding)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에서는, 안경다리가 폴딩될 때, 볼트 결합 구조의 힌지가 이용되지 않는다. 이하, 안경다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의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는, 연결부(100), 수용부(200), 다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00), 수용부(200), 다리부(300)는 모두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베타 티타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00)는 안경다리가 렌즈에 결합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연결부(100)의 일단이 렌즈와 결합되며, 렌즈가 림(10)을 포함하는 경우 림(10)에 결합된다. 연결부(100)는 림(10)에 부착될 수 있고, 이음매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00)는 굴곡부(110), 걸림부(120), 삽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110)는 일단이 림(10)(또는 렌즈)과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며,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굴곡부(110)는 한 쌍의 림(10)이 이루는 직선 방향(도 2의 프론트에서 가로 방향)을 x축, 착용자의 눈에서 귀까지 이르는 직선 방향을 y축이라 할 때, 굴곡부(110)는 x축과 y축을 커버하며 약 90도만큼 구부러질 수 있다. 굴곡부(110) 중 x축을 커버하는 영역은, 안경의 프론트에서 보인다. 도 5 등에서 굴곡부(110)의 단면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부(120)는 굴곡부(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삽입부(130)의 삽입에 대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걸림부(120)의 폭은 굴곡부(110)의 폭보다 클 수 있고, 걸림부(120)의 폭은 굴곡부(110)에서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삽입부(130)는 수용부(200)에 삽입되는 부분 걸림부(12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폭이 큰 원기둥과 폭이 작은 원기둥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폭이 큰 원기둥이 폭이 작은 원기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연결부(100)의 단부를 수용한다.
수용부(200)는 기둥형 본체(210)를 포함하며, 기둥형 본체(210)는 원기둥, 다각기둥(예를 들어, 육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형 본체(210)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S1)과 타면(S2), 그리고 일면(S1)과 타면(S2)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S3)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공간은 기둥형 본체(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기둥형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둥형 본체(210)의 일면(S1) 및 타면(S2)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기둥형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수용공간에 의하면, 수용부(200)가 막혀있는 경우보다 수용부(200)의 무게가 감소되므로, 안경테가 가벼워질 수 있다.
수용공간은 제1 공간(211), 제2 공간(212) 그리고 라운드부(R)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공간(211)은 기둥형 본체(210)의 일면(S1)으로 개방되는 영역이며, 제2 공간(212)은 기둥형 본체(210)의 타면(S2)으로 개방되는 영역이다. 제1 공간(211)은 폭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212)은 폭이 일정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211)의 폭과 제2 공간(212)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공간(211)과 제2 공간(212)을 사이에는 라운드부(R)가 개재되며, 라운드부(R)는 구의 일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굴곡질 수 있다. 라운드부(R)의 폭은 제1 공간(2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특히, 라운드부(R)와 제1 공간(211)이 만나는 지점에서, 라운드부(R)의 폭이 제1 공간(2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본체(210)의 일면(S1)에는 제1 개구(220)가 형성되고, 타면(S2)에는 제2 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220)는 수용공간의 제1 공간(211)과 연결되고, 제2 개구(230)는 수용공간의 제2 공간(212)과 연결된다. 제1 개구(22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개구(23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개구(230)의 크기는 제2 공간(21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구(230)의 크기는, 연결부(100)의 삽입부(130) 중, 폭이 작은 원기둥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공간(212)의 크기는 연결부(100)의 삽입부(130) 중, 폭이 큰 원기둥의 단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연결부(100)의 삽입부(130)가 제2 개구(230)를 통과함에 있어, 수용부(200) 및 연결부(100)의 탄성에 의해, 폭이 큰 원기둥이 제2 개구(230)를 통과할 수는 있으나, 통과한 이후에는, 제2 개구(230)가 폭이 작은 원기둥에 대응되고, 폭이 큰 원기둥이 제2 개구(230)에 걸리므로, 삽입부(130)가 수용부(200) 외부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기둥형 본체(210)의 측면(S3)에는 제3 개구(240)가 형성되고, 제3 개구(240)는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동시에 제2 개구(230)와도 연결될 수 있다. 제3 개구(240)는 제2 개구(23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3 개구(240)는 수용공간의 제2 공간(212) 및 라운드부(R)를 기둥형 본체(210)의 측면(S3)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제3 개구(240)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00)의 단부(삽입부(130))는 제1 개구(220)를 통과하여 제1 공간(2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00)의 삽입부(130)는 제1 공간(211)에 끼움결합될 수 있고, 억지끼움 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100)의 걸림부(120)는 제1 개구(220)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 개구(220)를 통과할 수 없고, 스토퍼 역할을 하면서 기둥형 본체(210)의 타면(S2)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00)의 삽입부(130)는 수용부(200)의 탄성에 의해 제1 개구(220)를 통과하지만, 통과한 이후에는 삽입부(130)가 제1 개구(220)에 걸리기 때문에 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다리부(300)는 수용부(200)에 힌지결합되도록 단부가 수용부(200)의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즉, 다리부(300)의 단부가 수용공간 내에서 축고정되며, 다리부(300)는 수용부(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다리부(300)는 수용공간 내의 축을 기준으로 폴딩이 된다.
다리부(300)는 연장부와 힌지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는 수용부(200)로부터 착용자 귀까지 연장되는 부분이며, 연장부의 단부는 수용부(20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의 대부분은 직선에 가깝게 형성되나, 귀에 걸리는 부분에 대해서는 굴곡질 수 있다. 연장부 중 착용자 귀에 걸리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꺼우며, 이 부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추가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추가부재(400)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볼(330)은 연장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수용부(200) 내부(수용공간)에 축고정되는 구성이다. 힌지볼(330)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용공간의 라운드부(R)에 수용된다.
연장부는 두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영역(310)은 귀에 걸리는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이고, 제2 영역(320)은 상기 제1 영역(310)과 힌지볼(330) 사이에 개재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320)은 납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320)은 가로(x축) 폭이 세로(y축) 폭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310)의 가로 폭은 제2 영역(320)의 가로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연장부의 제2 영역(320)과 힌지볼(330)은 수용부(200)의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제2 영역(320)은 수용공간의 제2 공간(212)에 위치하고, 제2 영역(320)의 형상과 제2 공간(212)의 형상은 서로 대응(동일)할 수 있다. 또한, 힌지볼(330)은 수용공간의 라운드부(R)에 위치하고, 힌지볼(330)의 형상과 라운드부(R)의 형상은 서로 대응(동일)하여, 힌지볼(330)이 라운드부(R)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힌지볼(330)의 크기(폭)가 제1 공간(211)의 크기(폭)보다 크기 때문에, 힌지볼(330)은 제1 공간(211)으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힌지볼(330)은 수용공간의 라운드부(R) 내에서 축고정될 수 있다. 특히, 힌지볼(330)은 z축으로 고정되어, xy 평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리부(300)는 수용부(200)의 기둥형 본체(210)의 제2 개구(230)와 제3 개구(240)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특히, 연장부(제2 영역(320))가 수용부(200)의 기둥형 본체(210)의 제2 개구(230)와 제3 개구(240)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의 제2 영역(320)의 두께가 제2 및 제3 개구(230, 240) 두께(높이)와 동일하고, 수용공간의 제2 공간(212)의 저면이 xy 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연장부는 xy 평면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및 제3 개구(230, 240) 사이를 왕복할 수 있다.
한편, 연장부의 제1 영역(310)은 수용공간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안경다리의 연결부(100), 수용부(200), 다리부(3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는 도 3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6(b)와 6(c)는 보는 각도를 달리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결합된 상태와 결합 전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연결부(100)와 수용부(200)의 결합을 살펴보면, 연결부(100)의 삽입부(130)는 수용부(200)의 제1 개구(220)를 통과하여 수용공간의 제1 공간(211)에 끼워진다. 이때, 삽입부(130)는 제1 공간(211)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1 개구(220)의 폭이 삽입부(130)의 최대폭보다 작을 수 있고, 수용부(200)에 일단 삽입된 삽입부(130)는 역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다리부(300)와 수용부(200)의 결합을 살펴보면, 다리부(300)의 연장부와 힌지볼(330)은 제2 개구(230) 또는 제3 개구(240)를 통과하여 수용부(200)의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볼(330)은 라운드부(R)에 위치하고, 연장부의 제2 영역(320)은 제2 공간(212)에 위치하게 되며, 삽입된 연장부와 힌지볼(330)이 수용공간으로부터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힌지볼(330)은 라운드부(R) 내에서 축고정되고, 연장부의 제2 영역(320)은 힌지볼(330)의 축을 기준으로 xy 평면에서 회전하여 제2 개구(230) 및 제3 개구(240)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다리부(300)가 힌지볼(330)의 축을 기준으로 xy 평면에서 회전하여 제2 개구(230) 및 제3 개구(240)를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다리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될 때는 도 10(a)와 같이, 수용부(200)와 다리부(300)가 직선이 되도록 펼쳐진다. 또한, 안경이 보관되는 경우와 같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지 않을 때는, 도 10(b)와 같이, 다리부(300)가 xy평면에서 회전하여, 접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림
20: 브릿지
30: 노우즈부
100: 연결부
110: 굴곡부
120: 걸림부
130: 삽입부
200: 수용부
210: 기둥형 본체
211: 제1 공간
212: 제2 공간
R: 라운드부
220: 제1 개구
230: 제2 개구
240: 제3 개구
300: 다리부
310, 320: 연장부
330: 힌지볼
400: 추가부재

Claims (12)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부에 힌지결합 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볼(hinge ball)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공간;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힌지볼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상기 라운드부 및 상기 제2 공간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공간의 폭은 상기 힌지볼의 폭보다 작은, 안경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제1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안경다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다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폭은 상기 굴곡부에서 상기 삽입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안경다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기둥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기둥형 본체 내부에 상기 기둥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타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개구와 연결된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안경다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3 개구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안경다리.
  7. 한 쌍으로 형성되는 림(rim); 및
    상기 림에 결합되는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안경다리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수용부에 힌지결합 되도록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힌지볼(hinge ball)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공간;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는 제2 공간; 및
    상기 힌지볼이 위치하도록,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상기 라운드부 및 상기 제2 공간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공간의 폭은 상기 힌지볼의 폭보다 작은, 안경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제1 공간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안경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굴곡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폭은 상기 굴곡부에서 상기 삽입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안경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기둥형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기둥형 본체 내부에 상기 기둥형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타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형 본체의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개구와 연결된 제3 개구가 형성되는, 안경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제3 개구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안경테.
KR1020190023568A 2019-02-28 2019-02-28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KR10214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68A KR102148529B1 (ko) 2019-02-28 2019-02-28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68A KR102148529B1 (ko) 2019-02-28 2019-02-28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529B1 true KR102148529B1 (ko) 2020-08-26

Family

ID=7224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568A KR102148529B1 (ko) 2019-02-28 2019-02-28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5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626U (ja) * 1994-10-27 1995-05-02 長谷川眼鏡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の丁番機構
US20050270480A1 (en) * 2004-06-02 2005-12-08 Bacou-Dalloz Eye & Face Protection Temple bar with ball and socket hing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00122047A (ko) * 2009-12-30 2010-11-19 김사준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KR20190016652A (ko) 2017-08-09 2019-02-19 서주연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626U (ja) * 1994-10-27 1995-05-02 長谷川眼鏡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の丁番機構
US20050270480A1 (en) * 2004-06-02 2005-12-08 Bacou-Dalloz Eye & Face Protection Temple bar with ball and socket hing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00122047A (ko) * 2009-12-30 2010-11-19 김사준 안경다리 연결 및 회전장치
KR20190016652A (ko) 2017-08-09 2019-02-19 서주연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6372B2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US20160091731A1 (en) Foldable eyeglasses
US9588355B2 (en) Pair of glasses with secondary lenses
US20180217398A1 (en) Nose-separation earpiece unit, eyeglass frame having the same, and eyeglasses having the same
US11042043B1 (en) Foldable reading glasses
CN205404982U (zh) 一种眼镜架铰链结构及眼镜架
US5640218A (en) Foldable spectacles with temple members having deformable earpieces for fitting into compact case
KR20180091081A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KR102148529B1 (ko) 안경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테
JP6792854B2 (ja) デバイスを取付けることが出来るメガネフレーム
WO2018207962A1 (ko) 안경테 구조
US6412943B2 (en) Spectacle frame having rotatable temples
US9052532B2 (en) Eyeglass frame
US8992008B2 (en) Foldable eyewear
CN110383146B (zh) 眼镜
WO2012026563A1 (ja) 保護眼鏡
US9116362B2 (en) Eyeglass frame
KR101979461B1 (ko) 안경 프레임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US6224206B1 (en) Fashion eyeglasses and sunglasses
KR102478658B1 (ko) 안경다리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가 맞춤형 안경
JP5190533B2 (ja) 眼鏡フレーム
US1842377A (en) Ophthalmic mounting
JP7201331B2 (ja) 折り畳み可能な眼鏡フレーム
US8777404B1 (en) Temporary eyeglass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