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701B1 -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701B1
KR102140701B1 KR1020170174943A KR20170174943A KR102140701B1 KR 102140701 B1 KR102140701 B1 KR 102140701B1 KR 1020170174943 A KR1020170174943 A KR 1020170174943A KR 20170174943 A KR20170174943 A KR 20170174943A KR 102140701 B1 KR102140701 B1 KR 102140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ng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791A (ko
Inventor
문창식
Original Assignee
문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식 filed Critical 문창식
Priority to KR102017017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7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110);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120); 상기 회전부재(12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12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일정 위치에 홀딩하기 위한 기구로서, 설치되는 장소에 고정되는 본체 및 상기 휴대 단말기가 홀딩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휴대폰 거치대는 주로 자동차의 대시보드(dash board), 책상 주변과 같이 운전자 혹은 사용자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휴대 단말기를 홀딩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286623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다수의 각도조절홀이 형성된 각도조절부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의 거치부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다수의 각도조절홀에 대응되는 각도만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각도 조절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조절되는 각도의 한계가 있다. 또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하나의 방향으로만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110);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120); 상기 회전부재(12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12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130,4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1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136a,136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20)의 핀삽입구멍(122)과 상기 지지부재(130)의 핀삽입구멍(136a,136b)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힌지 결합하는 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가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C1)은 상기 회전부재(120)의 몸체(121)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C1)은 상기 핀(14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핀(140)의 중간을 통과하는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3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측 단부에는 절개한 형상의 절개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10)가 상기 절개부(135)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1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에 부착되는 일측면에는 접착부재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가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축(C1)과 상기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축(C2)은 어긋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30)의 길이는 가변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210,310); 상기 부착부재(210,3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220,320);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230-1,230-2,330); 상기 회전부재(220,32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220,320)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30-1,230-2,3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30-1,230-2,330)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250,3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22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222)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250)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253a,253b)과 상기 링크부재(250)의 타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254a,254b)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30-1,230-2)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237-1a,237-1b,233-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20)의 핀삽입구멍(222)과 상기 링크부재(250)의 핀삽입구멍(253a,253b)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220)와 링크부재(250)를 힌지 결합하는 제1핀(240-1)과, 상기 링크부재(250)의 핀삽입구멍(254a,254b)과 상기 지지부재(230-1,230-2)의 핀삽입구멍(237-1a,237-1b,233-2)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부재(250)와 지지부재(230-1,230-2)를 힌지 결합하는 제2핀(24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0)가 상기 부착부재(2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C3)은 상기 회전부재(220)의 측면을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220)의 회전축(C3)은 상기 제1핀(240-1)과 제2핀(240-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1핀(240-1)과 제2핀(240-2)의 중간을 통과하는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0)와 링크부재(25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250)의 일측 단부에는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1,230-2)는, 상기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제1지지부재(230-1)와, 상기 제1지지부재(230-1)의 일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된 제2지지부재(2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 및 링크부재(250)는 하나의 핀(240-2)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는 상기 지지상대물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30-2)는 상기 제1지지부재(230-1)의 일부를 절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230-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230-1)에는 절개부(23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30-1)에서 상기 링크부재(250)와 힌지 결합되는 반대측 단부는 지지몸체(231-1)를 두께 방향으로 제1지지몸체(231-1a)와 제2지지몸체(231-1b)로 분리하는 슬릿부(235-1)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235-1)는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몸체(231-1a)와 제2지지몸체(231-1b)의 탄성 변형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0)와 링크부재(25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의 제1회전축(C4)과 상기 링크부재(250)와 지지부재(230-1,230-2)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의 제2회전축(C5)은 평행하고; 상기 회전부재(220)가 상기 부착부재(2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의 제3회전축(C3)은 상기 제1회전축(C4)과 제2회전축(C5)에 대하여 어긋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10,210)와 상기 회전부재(120,2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부착부재(110,210)와 회전부재(120,220)의 상대 회전의 중심이 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부(123)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부(123)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구멍(114)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123)가 상기 삽입구멍(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부(123)가 상기 삽입구멍(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123)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a)가 상기 삽입구멍(114)의 내측을 둘러싸는 걸림단부(114a)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10,210)와 상기 회전부재(120,2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삽입구멍(114)을 둘러싸는 제1플랜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부(123)의 외측을 둘러싸되 상기 회전축부(123)와의 사이에 수용부(125)를 형성하는 제2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삽입구멍(114)을 둘러싸는 내측플랜지(112)와, 상기 내측플랜지(11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외측플랜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랜지(113)의 외측면 둘레에는 복수의 돌출부(113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123)가 상기 삽입구멍(114)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랜지가 상기 수용부(125)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113a)가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30)와 링크부재(350)는, 볼(360)과, 상기 볼(360)이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절개부(336)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각도를 용이하고,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책상, 테이블, 자동차 실내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성있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서 부착부재와 회전부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펼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다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1; 도 4)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110),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120), 상기 회전부재(12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12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폰, 태블릿 PC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110)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면이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접착수단으로는 일례로 양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부착부재(110)에서 휴대 단말기(1)가 부착되는 반대측면에 결합되도록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재(110)가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부착부재(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부재(1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C1)은 휴대 단말기(1)의 후면과 부착부재(110) 및 회전부재(120)의 각 몸체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회전축(C1)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는 도 1의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측 단부는 핀(14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핀(14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C2)이 된다.
상기 회전축(C2)이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핀(140)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통과하는 평면상에 상기 회전축(C1)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회전축(C1,C2)은 서로 평행하거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른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를 상대 회전시키면, 휴대 단말기(1)를 3차원 상에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30)가 회전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개한 형상의 절개부(1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재(110)의 크기가 절개부(135)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부재(120)가 상기 절개부(135)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부착부재(110)는 지지부재(130)의 몸체에 접촉되어 걸림된다. 따라서 부착부재(110)와 회전부재(120)를 핀(14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회전부재(120)를 절개부(135)에 삽입시키더라도 부착부재(110)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한되므로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를 접은 상태로 포장하거나 보관이 용이하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부착부재(110)와 회전부재(120) 및 지지부재(13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부착부재(110)에서 상기 회전부재(120)와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제1플랜지(112,113)가 몸체(111)로부터 회전부재(12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플랜지(112,113)는 동심원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플랜지(112)와 상기 내측플랜지(112)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플랜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플랜지(112)의 내부에는 삽입구멍(114)이 부착부재(11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플랜지(112)와 외측플랜지(113)는 플랜지 유격부(115)의 공간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외측플랜지(113)의 외측면 둘레에는 복수의 돌출부(113a)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재(110)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에 부착되는 일측면에는 접착부재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홈(116; 도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홈(116)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몸체(121)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21)에서 상기 부착부재(110)와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부착부재(110)를 향해 돌출된 원통 형상의 제2플랜지(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부에는 상기 제2플랜지(124)와 동심원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축부(123)가 원통 형상으로 부착부재(110)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경은 상기 외측플랜지(113)의 외경에 대응되고, 상기 회전축부(123)의 외경은 상기 내측플랜지(112)의 내경인 삽입구멍(114)의 직경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부(123)를 상기 삽입구멍(114)에 삽입하고, 상기 제1플랜지(112,113)를 제2플랜지(124)와 회전축부(123) 사이의 공간인 수용부(125)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재(110)와 회전부재(12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부재(120)는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부(123)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3a)가 상기 삽입구멍(114)의 내측을 둘러싸는 걸림단부(114a)에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회전축부(123)가 상기 삽입구멍(1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부(123)가 상기 삽입구멍(1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112,113)가 상기 수용부(125)에 삽입되면, 상기 외측플랜지(113)의 돌출부(113a)가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측면은 상기 부착부재(110)에 가까울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진 내측면에 상기 외측플랜지(113)가 억지끼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13a)가 외측플랜지(113)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측면에 억지끼움될 때 접촉 면적을 줄여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플랜지(113)가 상기 제2플랜지(124)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억지끼움으로 인해 외측플랜지(113)의 반경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플랜지 유격부(115)에서 흡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부착부재(110)에 삽입구멍(114)과 제1플랜지(112,113)이 형성되고, 회전부재(120)에 회전축부(123)와 제2플랜지(124)가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부착부재(110)에 회전축부(123)와 제2플랜지(124)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20)에 삽입구멍(114)과 제1플랜지(112,113)가 형성되는 것으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부재(120)의 몸체(121)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0)의 일측 단부에도 상기 핀삽입구멍(122)에 대응하도록 절개부(135) 양측의 제1지지부(131;131a,131b)에 각각 핀삽입구멍(136a,136b)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20)의 핀삽입구멍(122)과 상기 지지부재(130)의 핀삽입구멍(136a,136b)에 핀(14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는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핀(14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이 상기 회전축(C2)이 된다. 이 경우 상기 핀(140)을 둘러싸는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는 반복 회전에 따른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옥시메틸렌(POM)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재(120)와 지지부재(130) 전체를 폴리옥시메틸렌(POM)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핀(140)이 삽입된 경우 핀(140)과 접촉하는 핀삽입구멍(122)을 둘러싸는 부분과 핀삽입구멍(136a,136b)을 둘러싸는 부분만을 폴리옥시메틸렌(POM)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대략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상기 회전부재(120)와 결합되는 결합부에 가까운 위치의 제1지지부(131)와, 상기 제1지지부(131)에서 상기 결합부로부터 먼 쪽으로 연장된 제2지지부(132)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를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130)는 지지상대물인 바닥 또는 테이블 윗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핀(140)은 핀삽입구멍(122)과 핀삽입구멍(136a,136b)에 억지끼움되도록 압입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1)가 회전축(C2)을 회전 중심으로 쉽게 회전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를 가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부재(130)의 제2지지부(132) 단부만 바닥에 접촉하고, 제1지지부(131)과 제2지지부(132)의 대부분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를 사용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를 다양한 각도, 다양한 자세로 거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는,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210), 상기 부착부재(2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220),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230-1,230-2), 상기 회전부재(22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220)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30-1,230-2)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230-1,230-2)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재(210)와 회전부재(220)는 제1실시예의 부착부재(110)와 회전부재(120)와 각각 비교했을 때, 외부 형상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부착부재(210)와 회전부재(22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도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회전축부(123), 삽입구멍(114), 돌출부(123a), 걸림단부(114a), 내측플랜지(112)와 외측플랜지(113)로 이루어진 제1플랜지, 복수의 돌출부(113a), 수용부(125), 제2플랜지(124)의 구성은 제2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재(210)와 회전부재(22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부착부재(210)가 휴대 단말기(1)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220)는 상기 부착부재(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부재(2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C3)은 휴대 단말기(1)의 후면과 부착부재(210) 및 회전부재(220)의 각 몸체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회전축(C3)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재(220)와 지지부재(230-1,230-2)와 링크부재(250)는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부착부재(21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230-1,230-2)는, 지지상대물인 바닥에 접촉할 수 있는 제1지지부재(230-1)와, 상기 제1지지부재(230-1)의 일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된 제2지지부재(230-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220)의 일측 단부와 링크부재(250)의 일측 단부는 제1핀(240-1)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링크부재(250)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1지지부재(230-1)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230-2)의 일측 단부는 제2핀(240-2)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 및 링크부재(250)는 하나의 핀(240-2)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핀(240-1)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회전부재(220)와 링크부재(25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C4; 제1회전축)이 된다. 상기 제2핀(240-2)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축은 링크부재(250)와 제1지지부재(230-1) 및 제2지지부재(230-2)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C5; 제2회전축)이 된다.
상기 2개의 회전축(C4, C5)이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핀(240-1)과 제2핀(240-2)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간 부분을 절단하여 수직하도록 통과하는 평면상에 상기 회전축(C3)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2개의 회전축(C4, C5)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2개의 회전축(C4, C5)와 나머지 하나의 회전축(C3; 제3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거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회전축(C3)을 중심으로 회전부재(220)와 링크부재(250)와 제1지지부재(230-1) 및 제2지지부재(230-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른 회전축(C4, C5)을 중심으로 링크부재(250) 또는 제1,제2지지부재(230-1,230-2)를 상대 회전시키면, 휴대 단말기(1)를 3차원 상에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는 지지상대물인 바닥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바닥과 나란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제2핀(240-2)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2개의 지지부재(230-1,230-2)로 링크부재(250)의 일측과 타측에서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동시에 지지하므로 더욱 견고한 지지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20)와 상기 링크부재(250)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25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부재(2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개한 형상의 절개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의 각 구성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펼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지지부재(230-1)에는 고리홀(238-1)이 제1지지부재(230-1)의 지지몸체(231-1)를 원형으로 절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고리홀(238-1)에 손가락을 걸거나 고리형상의 다른 물품을 이용하여 손쉽게 휴대 가능하다.
상기 제2지지부재(230-2)는 제1지지부재(230-1)의 절개부(236-1)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230-2)와 제1지지부재(230-1)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 및 링크부재(250)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230-1)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가 바닥에 접촉하여 휴대 단말기(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30-1)에는 상기 고리홀(238-1)과 절개부(23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36-1)는 상기 제2지지부재(230-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제2지지부재(230-2)는 상기 제1지지부재(230-1)의 일부인 절개부(236-1) 부분을 절개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230-2)가 상기 절개부(236-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30-1)에서 상기 절개부(236-1)가 위치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250)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32-1a,23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32-1a,232-1b)에는 제2핀(240-2)이 삽입되는 핀삽입구멍(237-1a,237-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230-1)에서 상기 결합부(232-1a,232-1b)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지지몸체(231-1)를 제1지지몸체(231-1a)와 제2지지몸체(231-1b)로 두께 방향으로 분리하는 슬릿부(23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235-1)는 상기 제1지지몸체(231-1a)와 제2지지몸체(231-1b)가 서로 이격된 갭(Gap)으로서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230-2)는 지지부(232-2)와 결합부(231-2)가 T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31-2)에는 핀삽입구멍(233-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250)는 양측에 나란하게 구비된 한 쌍의 링크몸체(251a,251b)와 상기 한 쌍의 링크몸체(251a,251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몸체(252)로 이루어져, 대략 H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몸체(252)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절개부(255,2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절개부(255)가 형성된 링크몸체(251a,251b)에는 핀삽입구멍(253a,253b)이 링크몸체(251a,251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의 절개부(256)가 형성된 링크몸체(251a,251b)에도 핀삽입구멍(254a,254b)이 링크몸체(251a,251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핀(240-1)은 회전부재(220)의 핀삽입구멍(222)과 링크부재(250)의 핀삽입구멍(253a,253b)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220)와 링크부재(250)를 힌지 결합한다.
상기 제2핀(240-2)은 링크부재(250)의 핀삽입구멍(254a,254b)과 제1지지부재(230-1)의 핀삽입구멍(237-1a,237-1b) 및 제2지지부재(230-2)의 핀삽입구멍(233-2)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부재(250)와 제1지지부재(230-1) 및 제2지지부재(230-2)를 힌지 결합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를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있는 바람 통풍구의 루버(2)에 슬릿부(235-1)를 끼우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를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루버(2)는 슬릿부(235-1)에 압입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몸체(231-1a)와 제2지지몸체(231-1b)의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루버(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를 3개의 회전축(C3,C4,C5)를 중심으로 각각의 부분을 회전시키면 3차원 공간 상에서 다양한 거치 각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의 제1,제2지지부재(230-1,230-2)가 바닥에 접촉하도록 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부재(230-1)와 제2지지부재(230-2)가 링크부재(250)의 전후에서 각각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제2지지부재(230-2)는 절개부(236-1)에 삽입된 상태로 접게 되면, 제2지지부재(230-2)가 절개부(236-1)에 삽입된 상태로 제1지지부재(230-1)와 함께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를 3개의 회전축(C3,C4,C5)를 중심으로 각각의 부분을 회전시키면 3차원 공간 상에서 다양한 거치 각도, 다양한 자세로 거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1을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는, 제2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에서 제2지지부재(230-2)를 제거하고, 핀(240-2) 대신 볼(360)에 의해 지지부재(330; 제1지지부재)와 링크부재(350)를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차이점을 제외한 나머지 부착부재(310)와 회전부재(320)와 지지부재(330) 및 링크부재(350)의 세부 구성은 제2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와 동일하다.
상기 링크부재(350)에는 구 형상의 볼(3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330)에는 상기 볼(36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홈 형상의 절개부(3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는 볼(360)이 링크부재(350)에 형성되고, 지지부재(330)에 절개부(336)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볼(360)이 지지부재(330)에 형성되고 절개부(336)가 링크부재(35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볼(360)기 절개부(33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링크부재(350)의 회전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휴대 단말기(1)를 3차원 공간 상에서 다양한 거치 각도, 다양한 자세로 거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12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제1실시예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와 비교하여 지지부재(430)의 구성이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재(430)는 핀(140)이 삽입되도록 핀삽입구멍(436a,436b)이 형성된 제1지지부(431a,431b)와, 상기 제1지지부(431a,431b)에서 연장된 제2지지부(4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부(431a,431b)는 절개부(435)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1지지부(431a)는 각각 복수의 지지절편(431-1a, 431-2a, 431-3a, 431-4a; 431-1b, 431-2b, 431-3b, 431-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지지절편(431-1a, 431-2a, 431-3a, 431-4a; 431-1b, 431-2b, 431-3b, 431-4b)은 제2지지부(432)에 가까운 지지절편(431-1a, 431-1b)이 직경 또는 크기가 크고, 지지단부(433a,433b)에 가까울수록 직경 또는 크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직경 또는 크기가 작은 지지절편은 그보다 직경 또는 크기가 크고 이웃하는 지지절편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단부(433a,433b)에 가까운 지지절편(431-4a,431-4b)이 그에 이웃한 지지절편(431-3a,431-3b)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12(a)의 상태에서 도 12(b)에 나타난 상태로 제1지지부(431a,431b)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도 12(b)의 상태에서 도 12(a)의 상태로 제1지지부(431a,431b)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셀카봉과 같은 기능이 필요할 때 지지부재(43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10, 210 : 부착부재 112 : 내측 플랜지
113 : 외측 플랜지 114 : 삽입구멍
120, 220 : 회전부재 123 : 회전축부
124 : 제2플랜지 130, 230 : 지지부재
135, 236-1, 255 : 절개부 230-1 : 제1지지부재
230-2 : 제2지지부재 140, 240-1, 240-2 : 핀
250 : 링크부재

Claims (19)

  1.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부착부재와 회전부재의 상대 회전의 중심이 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삽입구멍의 내측을 둘러싸는 걸림단부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핀삽입구멍과 상기 지지부재의 핀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지지부재를 힌지 결합하는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은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를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핀의 중간을 통과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절개한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가 상기 절개부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일측면에는 접착부재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부재와 지지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축은 어긋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9.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부착부재와 회전부재의 상대 회전의 중심이 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부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삽입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상기 삽입구멍의 내측을 둘러싸는 걸림단부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 거치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과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단부를 관통하는 핀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핀삽입구멍과 상기 링크부재의 핀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링크부재를 힌지 결합하는 제1핀과,
    상기 링크부재의 핀삽입구멍과 상기 지지부재의 핀삽입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링크부재와 지지부재를 힌지 결합하는 제2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은 상기 회전부재의 측면을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은 상기 제1핀과 제2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제1핀과 제2핀의 중간을 통과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링크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절개된 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3.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힌지 결합된 제2지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 및 링크부재는 하나의 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는 상기 지지상대물에 동시에 접촉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부를 절개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는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5.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링크부재와 힌지 결합되는 반대측 단부는 지지몸체를 두께 방향으로 제1지지몸체와 제2지지몸체로 분리하는 슬릿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릿부는 슬릿(slit)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지지몸체와 제2지지몸체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 거치대
  16.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와 링크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의 제1회전축과 상기 링크부재와 지지부재가 상대 회전하는 경우의 제2회전축은 평행하고;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경우의 제3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에 대하여 어긋나도록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 거치대
  17. 삭제
  18.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와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삽입구멍을 둘러싸는 제1플랜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측을 둘러싸되 상기 회전축부와의 사이에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2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삽입구멍을 둘러싸는 내측플랜지와, 상기 내측플랜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외측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플랜지의 외측면 둘레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랜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제2플랜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19. 휴대 단말기의 후면에 일측면이 부착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부재;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상대물에 접촉하는 지지부재;
    상기 회전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타측단이 힌지 결합된 링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링크부재는, 볼과, 상기 볼이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절개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0170174943A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140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43A KR102140701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43A KR102140701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91A KR20190073791A (ko) 2019-06-27
KR102140701B1 true KR102140701B1 (ko) 2020-08-03

Family

ID=67056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43A KR102140701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7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536B2 (ja) * 1990-03-30 2000-08-2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の振動防止構造
JP2008208993A (ja) * 2006-12-28 2008-09-11 Belkin Internatl Inc スタンドとして使用できる回転式及び軸回転式ベルト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9536U (ko) * 1989-12-06 1991-08-14
JP3079536U (ja) * 2000-11-29 2001-08-24 まり子 本田 携帯電話機起立保持具
KR101146719B1 (ko) * 2010-02-17 2012-05-17 정헌주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536B2 (ja) * 1990-03-30 2000-08-21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の振動防止構造
JP2008208993A (ja) * 2006-12-28 2008-09-11 Belkin Internatl Inc スタンドとして使用できる回転式及び軸回転式ベルトクリップ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79536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91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0880B2 (en) Hinge module for a foldable type device
US10581480B1 (en) Rotatable mobile phone shell
US7480961B2 (en) Miniature hinge
US10784914B1 (en) Smart mobile phone shell
US6317927B1 (en) Hinge device
KR20070038883A (ko) 세미모노코크 구조의 흡착판 및 컬럼을 구비한 장치 거치대
US11218791B2 (en) Headphone
WO2015194240A1 (ja) ヘッドホン
JP3789415B2 (ja) 着脱式アンテナ装置
TWM488833U (zh) 具有usb接頭之數位產品
TW201306717A (zh) 電子裝置
KR102140701B1 (ko) 휴대 단말기 거치대
TWI270233B (en) Movable antenna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30160243A1 (en) Hinge mechanism
JP3897796B2 (ja) 車両用アンテナの取付構造
JP6900353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JP2007318207A (ja) 伸縮式アンテナ
KR20070023987A (ko)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장치
KR20200103448A (ko)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CN219437050U (zh) 磁吸支架保护壳
JP3845628B2 (ja) 車両用可倒式アンテナ
CN210225676U (zh) 一种折叠装置及头戴式耳机
JP3100131U (ja) ヒンジ
KR102559103B1 (ko) 휴대폰 보호용 스탠드 케이스
JP4226000B2 (ja) 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