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966B1 -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 Google Patents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966B1
KR102139966B1 KR1020147033425A KR20147033425A KR102139966B1 KR 102139966 B1 KR102139966 B1 KR 102139966B1 KR 1020147033425 A KR1020147033425 A KR 1020147033425A KR 20147033425 A KR20147033425 A KR 20147033425A KR 102139966 B1 KR102139966 B1 KR 10213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injector
outer cylinder
fluid
microneedle devic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745A (ko
Inventor
도모야 스미다
유미꼬 야마다
마사끼 고노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61B17/205Vaccinating by means of needles or other punct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7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the body; Automatic needle inser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로 피내 주사하는 경우, 용이하고 확실하게 단시간에 원하는 양의 유체를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는 간이한 구성이며 저렴한 조작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기구(54)는: 외통(56)의 수용 공간(56c) 안에서 상기 주입기(52)를, 상기 디바이스 본체(50b)의 니들(50c)이 상기 공간의 일단부 개구 안으로 끌려들어간 초기 위치, 상기 개구로부터 제1 거리까지 외부 돌출된 제1 위치,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까지 외부 돌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기구(58);를 구비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주입기로부터 상기 니들을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고, 상기 기구는, 외통과 상기 주입기 사이에서 자력에 의해 상기 주입기를 초기 위치로 가압하는 유닛(58a), 외통의 외주벽에 출몰 가능한 제1 및 제2 스토퍼(58b, 58c), 상기 주입기의 외주벽에서 이들 스토퍼와 선택 걸림 결합하고 상기 주입기를 상기 3개의 위치에 선택 배치하는 걸림 결합부(58d)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MANIPULATION TOOL FOR FLUID INJECTOR USING MULTI-MICRONEEDLE DEVICE}
본 발명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조작 기구에 관한 것이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로 알려져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의 이러한 유체 주입기는 주사기로 알려져 있다.
유체 주입기는, 소정량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약액)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늘고 긴 유체 유지 공간과,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유체 유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가 유출 가능한 유체 유출구와, 그리고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갖는 유체 유지통(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는 또한, 유체 유지통의 유체 유지 공간에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통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피스톤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져 있는 1개의 주사 바늘 대신에, 종래의 주사기의 주사통의 유체 유출구에 설치되어 피내 주사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주사통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유체 유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출구 설치구와,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의 가압에 의해 주사통의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출구 설치구로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체 유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는 또한, 본체에 있어서 유출구 설치구와는 유체 유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평면 상에 복수 배치된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의 상기 평면은 피부 접촉 표면으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의 각각은 상기 평면 상의 기단과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선단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갖고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 사이의 길이(즉, 개개의 마이크로니들의 높이)는 사용 대상으로 되는 피부 조직을 갖는 생물(예를 들어 모든 사람)의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의 범위 내로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출원공개공보 WO2009/130926A1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100783호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사기에 의해 피내 주사를 놓는 경우에는, 미리 주사기의 주사통 안에 주사통의 유체 유출구를 통해서 피내 주사에 사용하는 유체(예를 들어, 약액)를 넣어 둔다. 이어서, 주사통의 유체 유출구에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출구 설치구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 후,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를 조금 눌러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각각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 안의 공기를 주사통으로부터의 유체로 외부 공간으로 밀어내고,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각각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 안을 유체로 채워 둔다.
이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에 꽉 누른다. 이 꽉 누름에 의해 피부 접촉 표면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푹 찔러진다. 그리고 다음으로 주사기의 피스톤을 누르면, 주사통으로부터의 유체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복수의 마이크로니들 각각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통해서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 안으로 주입된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사기에 의해 피내 주사를 놓는 경우에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에 꽉 누른 채 주사기의 피스톤 부재를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에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으로부터의 압력에 더하여 주사기의 피스톤을 누르는 힘이 부하되어, 상기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이 압축되고, 어느 정도 탄력성을 상실한다. 이에 의해,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주사기에 의해 피내 주사를 놓는 경우에 상기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복수의 마이크로니들로부터의 유체(예를 들어, 약액) 모두를 주입할 수 없으며, 상기 원하는 개소의 피부의 표면에 상기 유체가 누출되어 버리거나, 또는 원하는 양의 유체 모두를 상기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하는 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걸렸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 하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유체 주입기에 의해,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피내 주사를 놓는 경우에, 누구나 용이하게 확실하게 단시간에 유체 주입기 안의 원하는 양의 유체 모두를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고, 게다가 구성이 간이하고 저렴한 조작 기구, 즉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개념에 따른,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조작 기구는: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 사이를 연장하여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를 유체 주입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을 갖는 외통과;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에서 유체 주입기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으로 집어넣은 초기 위치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
를 구비하고 있고,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부터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서 유체가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과 유체 주입기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에 의해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유닛과,
외통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와,
외통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부터 내측으로 제1 위치보다도 소정의 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토퍼와,
유체 주입기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외주벽을 향해 돌출한 걸림 결합부
를 구비하고 있고,
외통의 외주벽의 제1 및 제2 스토퍼가 물러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는 제1 및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하지 않고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1 스토퍼에 걸림 결합해서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에 유지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물러남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제2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해서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2 돌출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하나의 개념에 따른,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에 있어서는:
외통의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에, 유체 주입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를,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으로 집어넣은 초기 위치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고,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부터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서 유체가 유출된다.
제1 돌출 위치에서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상기 원하는 위치의 피부 조직에 대하여 충분히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을 생물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충분히 꽉 누를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생물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를 가압하는 힘이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의 탄력성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이 경향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이 생물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히 꽉 눌러짐으로써 더욱 높아진다.
이어서, 제2 돌출 위치에서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이 생물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를 가압하는 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의 피부 조직의 탄력성이 회복된다. 그리고, 이 경향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본체의 피부 접촉 표면이 전술한 바와 같이 생물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 강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부터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서 유체가 유출됨으로써, 복수의 마이크로니들로부터 유출된 유체는 생물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의 피부 조직 안으로 빠르게 주입될 수 있다.
게다가, 외통에 대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초기 위치로부터 제1 돌출 위치로의 이동 및 제 1 돌출 위치로부터 제2 돌출 위치로의 이동은, 선택 이동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누구나 용이하게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예를 들어 주사기와 같은, 유체 주입기에 의해,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피내 주사를 놓는 경우에, 누구나 용이하게 확실하게 단시간에 유체 주입기 안의 원하는 양의 유체 모두를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과 유체 주입기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에 의해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유닛과,
외통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와,
외통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부터 내측으로 제1 위치보다도 소정의 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토퍼와,
유체 주입기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외주벽을 향해 돌출한 걸림 결합부
를 구비하고 있고,
외통의 외주벽의 제1 및 제2 스토퍼가 물러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는 제1 및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하지 않고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1 스토퍼에 걸림 결합해서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에 유지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물러남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제2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해서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선택 이동 기구는, 구성이 간이하고 저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안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안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제1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안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제2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제1 변형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안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를 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의 제2 변형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여기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기구의 외통 안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는 선택 이동 기구에 의해 제1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52)를 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조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에 의해 조작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한 유체 주입기(52)는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 있어서 주사기로 사용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유체 주입기(52)는 소정량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예를 들어 약액)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늘고 긴 유체 유지 공간과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유체 유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가 유출 가능한 유체 유출구(52a)와 유체 유지 공간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배치된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갖는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을 구비하고 있다. 유체 주입기(52)는 또한, 유체 유지통(52b)의 유체 유지 공간에 유체 유지 공간 입구 개구를 통해 상기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조합된 피스톤 부재(52c)를 구비하고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는, 의료 분야에 있어서 잘 알려져 있는 1개의 주사 바늘 대신에, 종래의 주사기의 주사통의 유체 유출구에 설치되어 피내 주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는,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유체 유출구(52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출구 설치구(50a)와 유체 주입기(52)의 피스톤 부재(52c)의 가압에 의해 유체 유지통(52b)의 유체 유출구(52a)로부터 유출구 설치구(50a)로 유출된 유체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유체 유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50b)와, 본체(50b)에 있어서 유출구 설치구(50a)와는 유체 유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표면(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 위에 복수 배치된 마이크로니들(50c)을 구비하고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는,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에 공지된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한 에칭 가공을 적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실리콘제의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원판으로 해서, 전주법에 의해 반전 형상의 복제판을 제작하고, 복제판으로부터 수지제의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제작할 수도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는, 적어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이 생체 적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 전체가 생체 적합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생체 적합성 재료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티타늄, 망간 등을 포함하는 금속, 예를 들어 의료용 실리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수지, 그리고 예를 들어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생체 적합성 수지 재료는, 사출 성형, 임프린트, 핫 엠보스, 캐스팅 등의 공지된 성형 기술에 의해,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적어도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 또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 전체에 가공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각각은 상기 평면 상의 기단과 상기 평면으로부터 이격된 선단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갖고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기단과 상기 선단 사이의 길이, 즉 개개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높이는, 사용 대상으로 되는 피부 조직을 갖는 생물(예를 들어 모든 사람)의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신경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피부 조직의 두께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니들(50c)의 높이는 100 내지 2000㎛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각각의 전체 형상은, 원추 및 각추를 포함하는 추체 형상, 또는 원추 형상 또는 각추 형상의 선단부를 수반한 원주 또는 각주이면 된다.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각각에 대한 미소한 유체 유출로의 형성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드릴, 레이저 광선 등을 사용한 공지된 미소 펀칭 가공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본체(50b)의 상기 평면 상에 있어서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배열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격자 형상, 동심원 형상, 랜덤 형상 등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는 일단부 개구(56a)와, 타단부 개구(56b)와, 일단부 개구(56a)와 타단부 개구(56b) 사이를 연장하여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52)를 유체 주입기(52)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을 갖는 외통(5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는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안에서 유체 주입기(52)를, 초기 위치와, 제1 돌출 위치와,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58)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안에서 유체 주입기(52)를, 제2 돌출 위치의 다음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기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안으로 끌려들어간다.
제1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상술한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에서는,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로부터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통해서 유체가 유출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는 외통(56)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부벽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정의 직경의 개구이며,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외표면은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외통(56)과 유체 주입기(52)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에 의해 유체 주입기(52)를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유닛(58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외통(56)의 외주벽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내측을 향해 소정 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58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토퍼(58b)는 외통(56)의 외주벽의 제1 위치에, 예를 들어 공지된 미끄럼 이동 기구 또는 공지된 회전 기구에 의해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외통(56)의 외주벽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내측으로 제1 위치보다도 소정 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토퍼(58c)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스토퍼(58c)는 외통(56)의 외주벽의 제2 위치에, 예를 들어 공지된 미끄럼 이동 기구 또는 공지된 회전 기구에 의해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선택 이동 기구(58)는 또한,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56)의 외주벽을 향해 돌출한 걸림 결합부(58d)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 이동 기구(58)는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를 갖고 있고 외통(56)의 외주벽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수반한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외주벽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통 형상의 중간 부재(58e)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부재(58e)의 일단부 개구에는 유체 주입기(52)의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의 외주면이 고정되어 있고, 중간 부재(58e)의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 사이를 연장하고 있는 기둥 형상 공간 안에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52)가 수용되어 있다. 중간 부재(58e)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수반한 유체 주입기(52)와 함께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안에서 외통(56)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중간 부재(58e)의 외주벽에 걸림 결합부(58d)가 고정되어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와 중간 부재(58e)는 서로 별도로 형성된 후에 예를 들어 접착제, 스냅 걸림 결합, 고정 나사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구조에 의해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를 중간 부재(58e)에 고정해도 되고, 또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와 중간 부재(58e)는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중간 부재(58e)와 걸림 결합부(58d)도 서로 별도로 형성된 후에 예를 들어 접착제, 스냅 걸림 결합, 고정 나사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도 되고, 또는 중간 부재(58e)와 걸림 결합부(58d)는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즉, 이 실시 형태의 걸림 결합부(58d)는 중간 부재(58e) 및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통해서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으로부터 외통(56)의 외주벽을 향해 돌출해 있다.
가압 유닛(58a)은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의 걸림 결합부(58d)에 설치된 제1 자력 유지체(FM)와, 외통(56)에 제1 자력 유지체(FM)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제2 자력 유지체(SM)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자력 유지체(FM) 및 제2 자력 유지체(SM)의 각각은 자석일 수 있고, 자력을 유지하도록 가공된 자성체일 수 있고, 자석 또는 자력을 유지하도록 가공된 자성체의 세편 또는 세립이 섞여 들어간 유자성 재료일 수 있다.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의 걸림 결합부(58d)는 전체가 제1 자력 유지체(FM)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걸림 결합부(58d)의 일부가 제1 자력 유지체(FM)면 된다.
걸림 결합부(58d)는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의 적어도 1개소에 있으면 되고, 상기 외주벽 위에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소에 있어도 되고, 전체가 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자력 유지체(SM)는, 외통(56)의 적어도 1개소에 있으면 되고, 상기 외통 위에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소에 있어도 되고, 전체가 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자력 유지체(SM)는, 환 형상을 하고 있고, 외통(56)의 내주면 상에서 일단부 개구(56a) 주위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의 걸림 결합부(58d)와 대향하도록 예를 들어 접착제, 스냅 걸림 결합, 고정 나사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가 외통(56)으로부터 끌려들어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52)는 가압 유닛(58a)의 자력에 의한 반발력(가압력)에 의해 중간 부재(58e)와 함께 전술한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의 걸림 결합부(58d)는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에 대하여 외통(56)의 외주벽의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 부재(58e)의 외주벽에 있어서 타단부 개구를 갖는 타단부 부위는, 유체 주입기(52)가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외통(56)의 타단부 개구(56b)로부터 외부 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간 부재(58e)의 외주벽의 타단부 부위에는, 사용자가 중간 부재(58e)를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내에서 외통(56)에 대하여 외통(56)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도움으로 되는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58f)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58e)의 타단부 개구로부터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에 접속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타단부 부위 및 피스톤 부재(52c)가 외부 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외통(56), 중간 부재(58e), 그리고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주사기에서는 주사통)의 각각은, 유체 유지통(52b)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의료 분야에서는 약액)의 양을 외통(56)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56) 및 중간 부재(58e)의 각각은, 각각의 외주벽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에 대응한 부위만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에 의해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52)를 조작해서 생물(이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가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개소의 피부 조직에 유체 주입기(52)가 유지되어 있는 유체(예를 들어, 약액)를 주입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최초에, 전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사용자는, 선택 이동 기구(58)의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가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러남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수반한 중간 부재(58e)가 가압 유닛(58a)의 자력에 의한 반발력(가압력)에 의해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의 유체 유출구(52a)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유출구 설치구(5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안으로 끌려들어간다.
또한, 생물(예를 들어, 사람)의 피부 조직에 주입하기 위한 유체(예를 들어, 약액)가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에 이미 채워져 있고, 피스톤 부재(52c)를 조금 누름으로써 유체 유지통(52b)이 유지하고 있는 유체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의 유체 유지 공간 및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에 유입시키고, 이들을 상기 유체로 채운다.
이 후, 사용자는 외통(56)의 외주면을, 선택 이동 기구(58)의 전술한 물러남 위치에 있는 제1 스토퍼(58b) 및 제2 스토퍼(58c)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서 쥐고, 이어서 생물(예를 들어, 사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에,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통(56)의 일단부의 단부벽의 단부면 외표면의 피부 접촉 표면(56d)을 꽉 누른다.
이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원하는 위치는,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에 의해 피부(SK)의 내측으로 눌려진다.
이어서, 중간 부재(58e)의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58f)를 눌러서, 중간 부재(58e)를 가압 유닛(58a)의 자력의 반발력(가압력)에 저항하여,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을 향하여,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물러남 위치의 제2 스토퍼(58c) 및 제1 스토퍼(58b)를 통과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제2 스토퍼(58c) 및 제1 스토퍼(58b)를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중간 부재(58e)의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58f)에 대한 누름을 해제한다. 이 결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자력의 반발력(가압력)에 의해 도 1 중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지만,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돌출 위치의 제1 스토퍼(58b)에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하므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가압 유닛(58a)의 자력의 반발력(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에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 중에 도시되어 있는 초기 위치로부터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외부로 제1 소정 거리를 돌출한다. 이때,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에서 눌려 있는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일단부 개구(56a)로 둘러싸인 영역에,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확실하게 푹 찔러진다.
이 때,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의 탄력성은 어느 정도 상실되고 있다.
이어서, 선택 이동 기구(18)의 제1 스토퍼(58b)를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러남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자력의 반발력(가압력)에 의해 도 1 중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려고 하지만,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돌출 위치의 제2 스토퍼(58c)에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걸림 결합하므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가압 유닛(58a)의 자력의 반발력(가압력)에 저항해서 제2 돌출 위치에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돌출 위치로부터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제2 소정 거리를 돌출한다.
제2 돌출 위치로 이동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한 가압력을 약화시키지만 상기 영역의 탄력성이 회복함으로써 상기 영역이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에 추종하고, 그 결과로서,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영역에 대한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푹 찌른 상태도 유지되고 있다.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사용자는 유체 주입기(52)의 피스톤 부재(52c)를 가압한다. 이 결과,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의 유체 유지 공간, 그리고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에 전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채워져 있던 유체를, 상기 가압의 거리에 따라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의 미소한 유체 주입로를 통해서,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전술한 바와 같이 탄력성이 회복되고 있는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 안으로, 도 3 중에 복수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SK) 밖으로 새게 하지 않고 용이하고 빠르게 주입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피스톤 부재(52c)의 가압에 의해,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이 유체 유지통(52b) 및 중간 부재(58e)와 함께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돌출 위치로부터 도 2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돌출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서, 중간 부재(58e)의 타단부 부위 또는 유체 유지통(52b)의 타단부 부위를 유지하거나, 또는 제1 스토퍼(58b)를 다시 돌출 위치로 이동시켜 둘 수 있다.
조작 기구(54)의 외통(56), 중간 부재(58e), 그리고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이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유체의 주입량을 조작 기구(54)의 외통(56), 중간 부재(58e), 그리고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을 통해서 시인함으로써,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유체 주입기(52)로부터의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통한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 안으로의 상기 유체의 주입이 종료된 후에는, 조작 기구(54)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의 상기 영역의 피부 조직으로부터 뽑힌다.
또한, 조작 기구(54)가 피부(SK)의 노출되어 있는 전술한 원하는 위치로부터 분리되기 전 또는 분리된 후에, 제2 스토퍼(58c)를 물러남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는 가압 유닛(58a)의 자력의 반발력(가압력)에 의해 도 1 중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이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유체 주입기(52)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피스톤 부재(52c)를 가압하였다. 그러나, 이 때 피스톤 부재(52c)를 가압하는 것을,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60)에 의해 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60)은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에 있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와는 반대의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부재(52c)의 외부 노출 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피스톤 부재(52c)의 외부 노출 단부에 접촉시킨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와, 이 구동 부재에 피스톤 부재(52c)의 외부 노출 단부를 향하는 가압력을 발휘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과,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에 의한 가압력의 발생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하는 스위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으로서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 또는 탄성 재료 또는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압축 가스의 공급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기구로서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를 도시하지 않은 가압력 발생원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이동을 정지시켜 두는 공지된 걸림쇠 기구 또는 걸쇠식 걸림 결합 해제 기구 또는 누름쇠식 걸림 결합 해제 기구, 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에 대한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압축 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압축 가스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수동 또는 전자 구동 온-오프 밸브일 수 있다.
[제1 변형예]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의 대부분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4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들 구성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와 다른 것은,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내에 있어서의 가압 유닛(58'a)의 배치이다. 제1 변형예에 있어서는, 가압 유닛(58'a)의 제2 자력 유지체(SM)가, 외통(56)에 있어서 일단부 개구(56a)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피부 접촉 표면(56d)을 제공하고 있는 상기 단부벽을 구성하고 있다.
[제2 변형예]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의 대부분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5 중에 도시되어 있는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 중에 도시되어 있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이들 구성 부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작 기구(54)와 다른 것은, 외통(56)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56c) 내에 있어서의 가압 유닛(58"a)의 배치와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일단부 개구(56'a)의 치수이다.
제2 변형예의 가압 유닛(58"a)은, 외통(56)의 외주벽에 설치된 외통 자력 유지체(OM)와, 유체 주입기(52)의 외주벽에 외통 자력 유지체(OM)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반발력 및 흡인력 중 어느 한쪽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를 구비하고 있다.
외통 자력 유지체(OM) 및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의 각각은 자석일 수 있고, 자력을 유지하도록 가공된 자성체일 수 있고, 자석 또는 자력을 유지하도록 가공된 자성체의 세편 또는 세립이 섞여 들어간 유자성 재료일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는 유체 주입기(52)를 위한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에 있어서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제1 및 제2 스토퍼(58b, 58c)보다도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는, 유체 주입기(52)를 위한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에, 예를 들어 접착제, 고정 나사, 감합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는 유체 주입기(52)를 위한 중간 부재(58e)의 외주면의 적어도 1개소에 있으면 되고, 상기 외주벽 위에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소에 있어도 되고, 전체가 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제2 변형예에 있어서, 외통 자력 유지체(OM)는, 외통(56)의 외주벽의 내표면에 있어서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보다도 내측, 즉 외통(56)의 타단부 개구(56b)에 가까운 위치에, 예를 들어 접착제, 고정 나사, 감합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외통 자력 유지체(OM)는, 외통(56)의 외주벽의 내표면의 적어도 1개소에 있으면 되고, 외통(56)의 외주벽의 내표면 위에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 개소에 있어도 되고, 전체가 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는, 도 5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를, 외통 자력 유지체(OM)보다도 외통(56)의 외주벽의 내표면에 있어서 외통(56)의 일단부 개구(56'a)로부터 먼 위치, 즉 외통(56)의 타단부 개구(56b)에 가까운 위치에, 예를 들어 접착제, 고정 나사, 감합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하고, 외통 자력 유지체(OM)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일단부 개구(56'a)에 있어서의 외통(56)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에 있어서의 외통(56)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부터의 외통(56)의 외주벽에 있어서의 제1 스토퍼(58b)까지의 거리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으로부터의 외통(56)의 외주벽에 있어서의 제1 스토퍼(58b)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로서, 제2 변형예에 있어서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가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의 걸림 결합부(58d)가 외통(56)의 외주벽에 있어서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스토퍼(58b)에 걸림 결합하고, 가압 유닛(58"a)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 및 반발력 중 어느 한쪽(가압력)에 저항해서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50c)을, 도 5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돌출 위치에 유지했을 때,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의 본체(50b)가 조작 기구(54")의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일단부 개구(56'a) 안으로 돌입하여, 본체(50b)의 외측 단부면이 조작 기구(54")의 외통(56)의 상기 단부벽의 피부 접촉 표면(56d)과 실질적으로 면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전술한 일 실시 형태의 조작 기구(54), 도 4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제1 변형예의 조작 기구(54'),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제2 변형예의 조작 기구(54")의 각각에 있어서는, 선택 이동 기구(58)의 걸림 결합부(58d) 및 가압 유닛(58a, 58'a), 그리고 참조 부호 58"a의 제1 자력 유지체(FM) 또는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 또는 RM')가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의 외주벽에 직접 형성 또는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체 유지통(52b)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50)를 통해서 유체 유지통(52b)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 부재(58e)의 외표면에 형성 또는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중간 부재(58e)를 생략하고, 선택 이동 기구(58)의 걸림 결합부(58d) 및 가압 유닛(58a, 58'a), 그리고 참조 부호 58"a의 제1 자력 유지체(FM) 또는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RM 또는 RM')를 유체 주입기(52)의 유체 유지통(52b)의 외주벽에 직접 형성 또는 직접 고정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50 :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50a : 유출구 설치구
50b : 본체
50c : 마이크로니들
52 : 유체 주입기
52a : 유체 유출구
52b : 유체 유지통
52c : 피스톤 부재
54 : 조작 기구
56 : 외통
56a : 일단부 개구
56b : 타단부 개구
56c :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56d : 피부 접촉 표면
58 : 선택 이동 기구
58a : 가압 유닛
FM : 제1 자력 유지체(First Magmetic force holding body)
SM : 제2 자력 유지체(Second Magnetic force holding body)
58b : 제1 스토퍼
58c : 제2 스토퍼
58d : 걸림 결합부
58e : 중간 부재
58f : 중간 부재 조작 돌출부
60 :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
SK : 피부(SKin)
54' : 조작 기구
58'a : 가압 유닛
RM :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fluid-injectoR Magnetic force holding body)
OM : 외통 자력 유지체(Outer-cylinder Magnetic force holding body)
54" : 조작 기구
56'a : 일단부 개구
58"a : 가압 유닛
RM' :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

Claims (6)

  1.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의 조작 기구이며: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와, 일단부 개구와 타단부 개구 사이를 연장하여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유체 주입기를 유체 주입기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을 갖는 외통과;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에서 유체 주입기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안으로 집어넣은 초기 위치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1 돌출 위치와,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제2 소정 거리까지 외부 공간으로 돌출시킨 제2 돌출 위치 사이에서 순차 이동시키는 선택 이동 기구;
    를 구비하고 있고,
    제2 돌출 위치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로부터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의 복수의 마이크로니들을 통해서 유체가 유출되고,
    선택 이동 기구는,
    외통과 유체 주입기 사이에 개재되어, 자력에 의해 유체 주입기를 초기 위치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 유닛과,
    외통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 떨어진 제1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스토퍼와,
    외통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일단부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제1 위치보다도 소정의 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외통의 유체 주입기 수용 공간 내에 선택적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제2 스토퍼와,
    유체 주입기의 외주벽에 있어서 외통의 외주벽을 향해 돌출한 걸림 결합부
    를 구비하고 있고,
    외통의 외주벽의 제1 및 제2 스토퍼가 물러남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는 제1 및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하지 않고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위치에 배치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1 스토퍼에 걸림 결합해서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에 유지되고,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1 돌출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1 스토퍼가 물러남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제2 스토퍼가 돌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유체 주입기의 걸림 결합부가 제2 스토퍼에 걸림 결합해서 유체 주입기가 가압 유닛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2 돌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가압 유닛이 유체 주입기의 외주벽의 걸림 결합부에 설치된 제1 자력 유지체와, 외통에 제1 자력 유지체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제2 자력 유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자력 유지체 및 제2 자력 유지체의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가압 유닛이 외통의 외주벽에 설치된 외통 자력 유지체와, 유체 주입기의 외주벽에 외통 자력 유지체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반발력 및 흡인력 중 어느 한쪽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외통 자력 유지체 및 유체 주입기 자력 유지체의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주입기를 선택적으로 구동해서 유체 주입기가 유지하고 있는 유체를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를 통해서 유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유체 주입기 선택 구동 유닛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KR1020147033425A 2012-07-25 2013-07-24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KR10213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4703 2012-07-25
JPJP-P-2012-164703 2012-07-25
PCT/JP2013/070108 WO2014017561A1 (ja) 2012-07-25 2013-07-24 マルチマイクロニードルデバイス使用流体注入器操作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45A KR20150037745A (ko) 2015-04-08
KR102139966B1 true KR102139966B1 (ko) 2020-08-03

Family

ID=4999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425A KR102139966B1 (ko) 2012-07-25 2013-07-24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89285B2 (ko)
EP (1) EP2878329B1 (ko)
JP (1) JP6183366B2 (ko)
KR (1) KR102139966B1 (ko)
CN (1) CN104334227B (ko)
WO (1) WO2014017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328B1 (ko) 2012-10-17 2020-10-22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마이크로 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JP6477678B2 (ja) 2014-02-24 2019-03-06 凸版印刷株式会社 中空型針状体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型針状体
EP3127578B1 (en) * 2014-04-03 2021-08-25 Toppan Printing Co., Ltd. Puncture injection instrument
JP6478270B2 (ja) * 2015-03-24 2019-03-06 国立研究開発法人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液剤投与装置
CN104689466B (zh) * 2015-03-31 2018-02-16 苏州纳通生物纳米技术有限公司 一种通道型纳米美容仪及其使用方法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S2912537T3 (es) 2016-12-16 2022-05-26 Sorrento Therapeutics Inc Banda de sujeción para un aparato de administración de fluidos y método de utilización
US11213666B2 (en) 2016-12-16 2022-01-04 Sorrento Therapeutics, Inc. Method for administering a medicament suitable for treating a migraine or cluster headache
US11577023B2 (en) 2016-12-16 2023-02-14 Sorrento Therapeutics, Inc. Application device for a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14681787A (zh) 2016-12-16 2022-07-01 索伦托治疗有限公司 具有控制器组件的流体递送装置及其使用方法
US10603478B2 (en) * 2016-12-16 2020-03-31 Sorrento Therapeutics,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AU2017378018B2 (en) 2016-12-16 2023-06-22 Vivasor,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having a gas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6806986B (zh) * 2017-03-27 2023-12-29 深圳市纬安共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档位的微针种植手具
CN109091728A (zh) * 2017-08-01 2018-12-28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微量液体注射器及对薄壁组织进行注射的方法
US10945759B2 (en) 2017-12-28 2021-03-16 Refine Usa, Llc Microneedle device
US11395878B2 (en) 2019-03-15 2022-07-26 Daphne Lodge Inj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1939454A (zh) * 2019-05-16 2020-11-17 (株)我丽美业有限公司 一种用于诱导药物吸收的皮肤刺激仪
KR20220095522A (ko) 2020-12-30 2022-07-07 이홍대 약물 정량 주입장치
CN113499537A (zh) * 2021-09-03 2021-10-15 河南佳普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微针透皮给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951A (ja) 2007-02-22 2010-06-03 エブオン 医療用小型注入装置
JP2010184102A (ja) 2008-04-22 2010-08-26 Nanbu Plastics Co Ltd 経皮投薬装置及びその装置に使用するニードル形成体
EP2460553A1 (fr) 2010-12-02 2012-06-06 Debiotech S.A. Dispositif pour l'insertion d'aiguill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51699A1 (en) * 2003-06-04 2005-01-0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Drilling microneedle device
US20070038181A1 (en) * 2005-08-09 2007-02-15 Alexander Melamud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livering a substance to tissue
US20080200863A1 (en) * 2005-12-02 2008-08-21 Cabochon Aesthet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lysing cells
US9247898B2 (en) * 2007-08-10 2016-02-02 Dynamic Magnetics, Llc Magnetic lancet device
JP5448097B2 (ja) * 2008-02-29 2014-03-19 株式会社 メドレックス マイクロニードルの皮膚内への挿入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補助器具
JP2012100783A (ja) * 2010-11-08 2012-05-31 Nanbu Plastics Co Ltd 薬液供給装置
EP2660919B1 (en) 2011-03-03 2018-06-13 LG Chem, Ltd. Integrate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JP5900177B2 (ja) * 2012-06-15 2016-04-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色素増感光電変換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951A (ja) 2007-02-22 2010-06-03 エブオン 医療用小型注入装置
JP2010184102A (ja) 2008-04-22 2010-08-26 Nanbu Plastics Co Ltd 経皮投薬装置及びその装置に使用するニードル形成体
EP2460553A1 (fr) 2010-12-02 2012-06-06 Debiotech S.A. Dispositif pour l'insertion d'aiguil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8329A4 (en) 2016-03-30
EP2878329B1 (en) 2019-09-04
KR20150037745A (ko) 2015-04-08
US9889285B2 (en) 2018-02-13
EP2878329A1 (en) 2015-06-03
WO2014017561A1 (ja) 2014-01-30
CN104334227B (zh) 2017-05-03
US20150133866A1 (en) 2015-05-14
CN104334227A (zh) 2015-02-04
JP6183366B2 (ja) 2017-08-23
JPWO2014017561A1 (ja)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966B1 (ko) 멀티 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US10926072B2 (en) Operation tool for fluid injector using multi microneedle device
KR102076570B1 (ko) 멀티-마이크로니들 디바이스 사용 유체 주입기 조작 기구
US10661067B2 (en) Injection instrument
US10814116B2 (en) Hollow needle device
KR101758587B1 (ko) 경피적 약물 전달 장치 및 방법의 카트리지 부분
KR20090037471A (ko) 삽입장치
US10369342B2 (en) Drug solution injection device
JP5954011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刺し込み量規制器具
JP2019170870A (ja) マイクロニー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