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278B1 -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278B1
KR102138278B1 KR1020180164819A KR20180164819A KR102138278B1 KR 102138278 B1 KR102138278 B1 KR 102138278B1 KR 1020180164819 A KR1020180164819 A KR 1020180164819A KR 20180164819 A KR20180164819 A KR 20180164819A KR 102138278 B1 KR102138278 B1 KR 10213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fine powder
zinc
composition
liqu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771A (ko
Inventor
이훈상
오정훈
서장호
박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8016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2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64Alumin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28Silic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642Zin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액상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은 소정의 pH에서 금속염을 첨가함에 따라서 분산성이 안정화되므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Red Ginseng Fine Powder}
본 발명은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의 분산 안정성, 응집 등을 측정하는 항목으로 제타 전위(zeta potential)가 있다. 용액 중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는 (+)나 (-)로 하전되어 있고, 입자의 주변에는 이들 전하를 중화시키기 위해 반대 부호의 이온이 모여 전기적 이중층을 형성한다. 전기적 이중층 중에서 안쪽의 층을 고정층(stern layer)라고 하며, 입자가 띠고 있는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가진 이온들이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전기적 이중층 중에서 바깥쪽 층을 확산층(diffuse layer)이라고 하며 입자가 띠고 있는 전하와 반대이거나, 동일한 전하의 이온들이 약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확산층에서의 전위를 제타 전위라고 한다. 즉, 전장을 걸면 입자는 하전과 역방향으로 영동하는데 이때의 전위를 제타 전위라 하고, 입자와 매질의 전기 이중층 계면에서의 전위차를 의미한다.
제타 전위는 mV 단위로 측정이 되며 절대값이 커지면 정전기적 반발력이 커지므로 분산성은 좋게 되고, 제타 전위가 0에 가까워지면 불안정하게 되어 물과의 친화력이 낮아 나노 입자가 부유하거나 침강하는 등 응집하기가 쉬워진다. 제타 전위가 0 ~ ±5 mV이면 빠르게 응집하여 불안정해진다. 제타 전위가 ±30 ~ ±60 mV일 때, 용매인 물과 친화력이 좋아 분산이 잘 되고 입자가 안정한 상태가 유지되며 ±61 mV 이상이면 매우 안정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었다. 인삼의 사포닌은 항암 작용, 항산화 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 간기능 개선, 항피로, 항스트레스 작용, 노화 방지, 두뇌 활동 촉진, 항염 활성, 알레르기성 질환 치료 및 단백질 합성 능력의 촉진 등의 생리 활성이 있으며, 고려 홍삼은 항산화, 혈압 강하, 알코올성 고지혈증 개선, 혈당 강하 작용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일반적으로 가공 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으로 구분되며, 백삼은 밭에서 채굴한 가공되지 아니한 인삼 즉, 수삼을 그대로 건조한 것을 지칭하며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건조 가공한 것으로 제조과정에서 사포닌 변형과 아미노산 변화 등 여러 화학적인 변화가 수반된다. 홍삼은 제조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 등의 사포닌 성분이 생성되며, 홍삼 특유의 유효 성분은 암 예방 작용, 암세포 성장억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뇌신경세포 보호 및 학습 능력 개선 작용, 항혈전 작용, 항산화 작용 등이 우수하여 탁월한 약리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최근 홍삼의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관련 제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홍삼의 유효성분이 포함된 액상의 홍삼 추출물 제품은 정제수에 홍삼농축액 및 기타 원료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를 바로 제품화하는 방식으로 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홍삼 제품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낮거나, 또는 홍삼의 풍미를 그대로 살릴 수가 없어 관능성 및 제품성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었으나 홍삼 내의 유효 성분을 온전하게 추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추출 원료로서 사용된 홍삼 내에는 필연적으로 유효 성분이 남아있게 되어 비용 또는 효과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에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홍삼 전체를 온전하게 취식할 수 있는 분말 분산액 형태의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분말 분산액은 홍삼 전체를 미세한 크기로 분쇄하여 홍삼 입자를 액체 내에 현탁시킨 것으로, 홍삼 전체를 섭취할 수 있으므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취식이 용이한 형태이므로 제품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홍삼 분말 분산액은 홍삼 입자가 액체 속에서 현탁되어 있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입자가 침전되거나 응집되어 식감 또는 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식감 및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입자를 더욱 미세화하는 경우에는 응집성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홍삼 분말 분산액의 분산성을 개선하고자, 유화제 등 다양한 첨가제를 도입하기도 하였으나 첨가제는 수요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하여 제품성을 저하시키거나 효과적으로 홍삼 입자를 분산시키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었으므로,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홍삼 분말 분산액 제품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원료의 분산성을 개선시키는 예로서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기술이 있다(특허문헌 1).
본 발명자들은 홍삼 분말이 분산된 용액의 분산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물성이 개선된 홍삼 분말을 제조하며, 이 홍삼 분말이 분산된 용액의 pH를 조절하고, 금속 이온을 첨가함으로써 홍삼 분산액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5-0142724호
본 발명의 과제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높고, 분산성이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에 적용 가능한 홍삼 미세 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로서, pH가 5 내지 9인 범위 내에서 상기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30mV 이상인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은 소정의 pH에서 금속염을 첨가함에 따라서 분산성이 안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홍삼 조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다.
도 2는 홍삼 미세 분말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다.
도 3은 홍삼 조분쇄물과 홍삼 미세 분말의 SEM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로서, pH가 5 내지 9인 범위 내에서 상기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30mV 이상인 액상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pH는 5.2 내지 8.8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4 내지 8.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6 내지 8.4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8 내지 8.2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H는 바람직하게는 6.4 내지 7.6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6 내지 7.4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7.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pH가 하한값 미만이거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타 전위의 절대값이 낮아져서 분산성이 개선되지 않는다.
pH를 산성으로 하는 경우, pH 조절제로서는 염산(HCl), 아세트산(CH3COOH), 황산(H2SO4), 구연산, 및 사과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pH를 염기성으로 하는 경우, pH 조절제로서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및 구연산삼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pH를 조절하여, 용액을 산성 또는 염기성으로 만드는 물질이면 제한없이 pH 조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 전위의 절대값은 30mV 내지 200mV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mV 내지 100mV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mV 내지 61mV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mV 내지 50mV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mV 내지 40mV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mV 내지 35mV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1mV 내지 35mV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2mV 내지 35m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 전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 분산성 불안정 초기에 해당하여 상용화에 적합하지 않다.
상기 홍삼 미세 분말은 홍삼 분말을 균질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홍삼 분말의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분포측에 의한 누적 50% 입자 크기(D50)는 1㎛ 내지 15㎛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입자 크기 D50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홍삼 분말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가공 처리 공정에서 유실되는 양이 많아진다. 입자 크기 D50이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홍삼 분말이 침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홍삼 분말은 초고압 균질기로 균질화 되며, 균질화시 압력은 1000 Bar 내지 2000 Bar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0 Bar 내지 1800 Bar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 Bar 내지 1500 Ba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균질화시 압력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수득한 홍삼 미세 분말의 입자 크기가 커서 제타 전위가 감소하여 분산성이 낮아진다. 균질화시 압력이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가 더 이상 부서지지 않으며 생산성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홍삼 분말은 초고압 균질기로 균질화 되며, 균질화시 균질화 횟수는 2회 내지 10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8회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6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균질화시 균질화 횟수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수득한 홍삼 미세 분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커서 제타 전위가 감소하여 분산성이 낮아진다. 균질화시 균질화 횟수가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평균 입자의 크기는 작아지나 생산성에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홍삼 미세 분말의 BET 비표면적은 1 m2/g 내지 7 m2/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m2/g 내지 6 m2/g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2/g 내지 5 m2/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분산 입자의 BET 비표면적은 응집과 같이 입자의 기계적 성질과 관련된 현상을 조절하며 비표면적이 넓을수록 분산성이 우수하다. 홍삼 미세 분말의 BET 비표면적이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분산성이 낮아져 응집되는 홍삼 미세 분말의 양이 많아진다. 홍삼 미세 분말의 BET 비표면적이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입자가 너무 작아 흡습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홍삼 미세 분말의 유체역학적 직경(Hydrodynamic diameter)은 150nm 내지 1200nm 또는 150nm 내지 1150n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70nm 내지 1130n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90nm 내지 1110n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유체역학적 직경이 하한값 미만이거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타 전위 값이 낮아진다.
상기 액상형 조성물은 금속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홍삼 미세분말 1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염은 상기 액상형 조성물에 0.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염의 첨가량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제타 전위 값이 감소되므로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금속염의 첨가량이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에는 제타 전위 값이 감소되므로 분산성이 떨어진다.
상기 금속염은 이온화 경향이 강하여 용해시 전위차가 큰 화합물일 수 있다. 용해시 전위차가 큰 금속염일수록, 이 금속염이 용해된 용액에 존재하는 입자의 제타 전위 값이 증가하므로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시 전위차가 큰 금속염이라면 본 발명에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아연, 알루미늄 및 규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연을 포함하는 염일 수 있다. 아연을 포함하는 염은 글루콘산아연, 산화아연, 황산아연, 염화아연, 아세트산아연, 탄산아연, 올레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프로피온산아연, 살리실산아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염은 초산알루미늄, 탄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칼륨, 글리신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젖산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차초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살리실산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암모늄, 인산알루미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규소를 포함하는 염은 이산화규소, 규산염일 수 있다.
상기 액상형 조성물은 금속염 첨가 후에 pH가 조정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입도 분포 곡선에서의 입자 크기 D50이 3.45㎛인 홍삼 분말을 물에 1중량%로 포함시키고 균질화하였다. 균질화시에 균질화 압력은 1200 Bar 이상으로, 균질화 횟수 3회로 설정하였다. 수득한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글루콘산아연 0.07중량%를 첨가하고, pH 조절제(탄산수소나트륨)를 첨가하여 pH를 6 내지 8로 조절하였을 때, 홍삼 미세 분말의 표면의 제타 전위가 -32.63mV인 것을 확인하였다.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 전위가 높아짐에 따라 분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액상형 조성물은 분산성이 우수하므로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등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상기 액상형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식품 조성물에는 액상형 조성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식품 조성물에는 식품 제조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쏘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액상형 조성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천연 추출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액상형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 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 기능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상형 조성물은 분산성이 우수하므로침전물 발생이 감소되어 특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와 같이 액상형 제품에 적용시에 유리하다.
상기 액상형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액상형 조성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6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내지 5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내지 4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3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내지 30중량%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화장품의 제형 또는 용도에 따라서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홍삼 미세 분말의 함량이 하한값 미만이면 홍삼 미세 분말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효과들이 크게 감소되고,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입자 크기가 3.45㎛인 홍삼 분말을 물에 2중량%로 포함시키고, 균질화하였다. 균질화시에, 균질화 압력은 1200Bar 이상으로, 균질화 횟수가 3회 이상인 조건에서 균질화하여 홍삼 미세 분말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홍삼 미세 분말액에 금속염으로서 글루콘산아연을 0.14중량%로 처리한 후, pH를 6 내지 8로 조정하면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 전위의 절대값이 30mV 이상인 액상형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 액상형 조성물에 화장품 제조에 필요한 성분들을 추가하여 화장품을 제조하고, 제조한 화장품에 대해 발림성 시험을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입자 크기가 117.5㎛인 홍삼 조분쇄물을 이용하였다. 홍삼 미세 분말액을 원료로 하는 경우 발림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홍삼 조분쇄물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거칠어 발림성이 낮았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나노사이즈의 입자를 갖는 홍삼 분말의 제조
6년된 홍삼 원료에서 불순물 등을 선별한 후 90~100℃의 증기 온도에서 습윤 살균을 3분 동안 실시하여 열풍 순환 건조하였다. 함수율 13%로 건조된 홍삼 원료를 분쇄기 호퍼에 투입하여, 분쇄 과정을 거쳐 입자 크기 120# 이상으로 1차 분말화하여 '홍삼 조분쇄물'을 얻었다. 이때 홍삼 조분말의 입도를 분석하였을 때 D50은 117㎛로 다소 크기가 컸다. 입도 분포에서 10%, 50%, 90%에 해당하는 크기(size)값을 각각 D10, D50, D90이라고 한다.
1차 분쇄물을 APM 분쇄기를 이용하여 2차 분쇄하였으며, 분쇄 결과물의 D50은 45㎛였다. 2차 분쇄물을 제트 밀로 3차 분쇄하여 D50 3.5㎛인 조분말을 얻었으며, D90은 7㎛였다. 3차 분쇄하여 얻은 D50 3.5㎛인 3차 분쇄물을 초고압균질기(씨엠코퍼레이션에이티 Bertoli)를 이용하여 파쇄하고 균질화를 수행하여 '홍삼 미세 분말액'을 얻었다. 초고압균질화에 사용한 3차 분쇄물의 함량은 1중량%이며, 3차 분쇄물 100g을 포함하는 수용액 10L를 균질화 시료로 이용하였다. 균질화 조건은 압력: 600~1500Bar, 온도: 60~70℃ 냉각: 30~40℃ 조건, 균질화 횟수(recycle) 1~5회이며, 하기 제타 전위 측정용 시료 제조시, 및 물성 평가시에는 1200 Bar, 균질화 횟수 3회의 조건으로 균질화된 홍삼 미세 분말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홍삼 미세 분말의 물성 평가
제조예 1에서 수득한 3차 분쇄물, 홍삼 미세 분말의 물성을 평가하였으며, 비교예로는 제조예 1에서 수득한 홍삼 조분쇄물을 사용하였다.
1-1. 입자 사이즈 측정
홍삼 조분쇄물과, 3차 분쇄물의 입자 크기를 Bettersizer S3 Plus(케이원나노(주))로 측정하였다.
홍삼 조분쇄물의 D50은 117.5㎛이었고(도 1 참조), 3차 분쇄물의 D50은 3.45㎛(도 2 참조)이었으며, 균질화에 사용된 3차 분쇄물은 홍삼 조분쇄물을 이루는 입자들보다 크기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로부터 분쇄 공정을 통해 홍삼 분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입자 크기 감소에 따라 입자의 운동성이 증대되어 제타 전위 값이 증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2. 입자 형태 분석
홍삼 조분쇄물과, 홍삼 미세 분말의 입자 형태를 SEM((주)아이에스피 IM-60 SEM)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홍삼 조분쇄물은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입자 표면의 갈색도가 높았다. 반면에 홍삼 미세 분말은 입자 크기가 균일하고 표면의 갈색도가 낮았다.
위 결과로부터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홍삼 고유의 갈색을 나타내며,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백색에 가까운 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입자의 크기는 입자의 비표면적과 관련이 있으며, 입자의 비표면적이 클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져 제타 전위 값이 증가되므로 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1-3. 성분 분석
홍삼 조분쇄물과, 홍삼 미세 분말의 영양 성분, 무기 성분,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하였다. 영양 성분의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고, 무기 성분의 분석 결과를 표 2에 나타내며,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표 3에 나타낸다.
영양 성분 단위 홍삼 조분쇄물 홍삼 미세 분말
칼로리 Kcal/100g 368.90 373.10
탄수화물 % 76.60 77.42
단백질 % 14.50 14.64
지방 % 0.50 0.54
수분 % 4.46 3.34(25.1%↓)
회분 % 3.94 4.06
Galactose % 불검출 불검출
Glucose % 13.51 2.40
Fructose % 0.24 0.26
Sucrose % 6.46 6.46
Lactose % 0.39 0.37
Maltose % 8.31 8.29
Crude Saponin mg/g 61.95 75.27(21.5% ↑)
무기 성분 단위 홍삼 조분쇄물 홍삼 미세 분말
Mg mg/100g 150.0 149.5
Na mg/100g 62.3 58.7
Fe mg/100g 5.9 8.4(42.4% ↑)
진세노사이드 단위 홍삼 조분쇄물 홍삼 미세 분말
진세노사이드 Rg1 mg/g 3.24 3.23
진세노사이드 Re mg/g 2.10 2.26
진세노사이드 Rf mg/g 0.86 0.89
진세노사이드 Rg2s mg/g 0.22 0.24
진세노사이드 Rb1 mg/g 5.91 6.67(12.9% ↑)
진세노사이드 Rc mg/g 2.61 2.70
진세노사이드 Rb2 mg/g 2.06 2.16
진세노사이드 Rd mg/g 0.42 0.47
진세노사이드 Rg3s mg/g 0.20 0.19
진세노사이드 Rg3r mg/g 0.06 0.07
진세노사이드 Rh1 mg/g 0.21 0.22
총 진세노사이드 mg/g 17.89 19.1(6.7% ↑)
진세노사이드
Rg1+Rb1+Rg3s의 합
mg/g 9.35 10.09(7.9% ↑)
홍삼 미세 분말은 영양 성분에 있어서, 홍삼 조분쇄물에 비해 조사포닌 함량이 높았고, 무기 성분에 있어서 철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1-4. 입자 BET 비표면적 측정
입자의 비표면적은 N2를 이용한 수증기압 흡착 방법을 이용하고, Dynamic Vapor Sorption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비표면적은 입자의 단위 질량 또는 단위 부피당 전표면적을 의미하며, 입자의 비표면적은 양이온 교환 및 보유, 소성, 응집 등 입자의 기계적 성질과 관련된 현상을 조절하며 비표면적이 넓을수록 분산성이 우수하다. 하기 표 4에 결과를 나타낸다.
단위 홍삼 조분쇄물 홍삼 미세 분말
BET Surface Area m2/g 0.5886 ± 0.0219 3.4209 ± 0.0383
Slope g/cm2 7.110829 ± 0.265070 1.270400 ± 0.013770
Y-intercept g/cm2 0.285119 ± 0.072830 0.002146 ± 0.003722
C(constant) 25.939856 592.849445
Qm(Quadratic mean) cm2/g 0.1352 0.7858
Correlation Coefficeint 0.9979221 0.9998238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홍삼 미세 분말의 비표면적은 홍삼 조분쇄물의 비표면적에 비해 6배 이상이었다. 위 결과로부터, 홍삼 미세 분말의 비표면적 값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뛰어난 분산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5.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 및 보유력(oil holding capacity) 측정
보수력이 높을 경우 분말끼리 뭉치는 현상이 있어 분산성에 영향을 주며, 입자 크기가 미세할수록 보수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홍삼 조분쇄물과 홍삼 미세 분말의 보수력을 측정하였다. 보수력 측정은 홍삼 조분쇄물 및 홍삼 미세 분말을 2g씩 증류수 40g에 넣고, 500rpm으로 6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에 5000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층을 분리하였다. 보유력 측정은 보수력 측정 방법에서 증류수 대신에 MCT 오일을 넣고, 교반 조건을 1000rpm, 60분 동안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였다. 보수력과 보유력은 하기 수식에 따라서 얻었다. 하기 수식에서 홍삼 분말은 홍삼 조분쇄물 또는 홍삼 미세 분말을 나타낸다.
보수력(또는 보유력) = {물 또는 오일 흡수량/홍삼 분말 무게} * 100
단위 보수력 보유력
홍삼 조분쇄물 % 621.88 328.62
홍삼 미세 분말 % 491.84 331.36
상기 실시예 1-1의 결과에서는 홍삼 미세 분말은 홍삼 조분쇄물보다 입자 크기가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두 분말의 보수력을 평가하였을 때 홍삼 미세 분말은 입자 크기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보수력은 현저히 낮았다.
실시예 2. 홍삼 미세 분말의 균질 압력, 균질화 횟수에 따른 물성 평가
균질화 횟수별 유체역학적 직경(hydrodynamic diameter)과, 제타 전위를 표 6에 나타낸다. 하기 표 6의 시료 종류는 '균질 압력, 균질화 횟수, 알파벳'으로 나타내며, 알파벳은 시료명을 나타낸다. 아울러, 제타 전위에 따른 안정성 특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시료 I는 균질화 후에 pH를 7.0으로 조정한 시료이고, 시료 J는 시료 I를 85℃에서 1시간 동안 살균한 시료이다.
유체역학적
직경(nm)
전기영동 이동도
(Electrophoretic mobility)
(㎛*cm/Vs)
제타 전위(mV) 전도성
(Conductivity)
(mS/cm)
무균질(0 Bar, Recycle 0, A) 2519.65 -1.3146 -16.85 0.052
균질(1000 Bar, Recycle 1, B) 237.85 -1.6652 -21.35 0.073
균질(1000 Bar, Recycle 3, C) 1014.42 -2.2160 -28.40 0.055
균질(1000 Bar, Recycle 5, D) 390.18 -2.1266 -27.25 0.060
균질(600 Bar, Recycle 1, E) 1071.04 -1.5565 -19.95 0.050
균질(900 Bar, Recycle 1, F) 342.58 -1.8081 -23.20 0.061
균질(1200 Bar, Recycle 1, G) 405.53 -1.9960 -26.15 0.049
균질(1500 Bar, Recycle 1, H) 532.84 -2.0635 -26.50 0.048
균질(1000 Bar, Recycle 5, I, 살균 전 pH 7.0) 516.02 -2.3393 -30.00 0.093
균질(1000 Bar, Recycle 5, J, 살균 후 pH 7.0) 599.03 -2.2351 -28.70 0.109
제타 전위(mV) 안정성 특성
±61 이상 안정성 훌륭함
±40 ~ ±60 안정성 우수함
±30 ~ ±40 안정성 보통
±10 ~ ±30 불안정 초기
0 ~ ±5 빠른 응집 또는 응결
균질화시에 압력을 증가시킴에 따라 제타 전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질화시 압력은 최소 1200 Bar 이상이어야 최소 -25mV 이상의 제타 전위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균질화 횟수가 증가할수록 제타 전위가 증가하였고, 균질화 횟수가 3회 이상이 되어야 홍삼 미세 분말의 유동 속도 증가(표 6의 전기영동 이동도 결과 참고)와 제타 전위의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균질화시 압력이 1200 Bar 이상이고, 균질화 횟수가 3회 이상일 때 유체역학적 직경(Hydrodynamic diameter)은 600±400nm이었다.
아울러, pH를 7.0으로 조정한 시료 I, 시료 J는, 동일한 조건으로 균질화하고 pH는 조정하지 않은 시료인 시료 D에 비해서 제타 전위가 높았다.
위 결과로부터, 홍삼 미세 분말의 분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균질화시 압력은 1200 Bar 이상으로 설정하고, 균질화 횟수는 3회 이상으로 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pH 조정을 통해서 제타 전위값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금속염을 처리하여 분산성 개선
실시예 2에서 분산성 개선에 적합한 조건으로 확인된 균질 압력 1200 Bar, 균질화 횟수 3회로 균질화된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pH 7.0으로 조정한 시료를 사용하고, 홍삼 미세 분말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염류를 첨가하였다. 염류의 첨가량은 제조예 1에서 균질화시에 사용한 3차 분쇄물의 함량에 따라 조정하였다. 균질화시에 유실되는 홍삼 분말이 없으므로 균질화시에 사용한 3차 분쇄물의 양은 균질화가 완료된 홍삼 미세 분말의 양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조예 1에서는 3차 분쇄물을 1중량% 함량으로 균질화에 이용하였고, 금속염은 3차 분쇄물이 1중량%로 포함된 수용액에 금속염 종류별로 0.07중량%, 0.14중량%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따라서, 금속염은 균질화된 홍삼 미세 분말 1중량% 기준으로 0.07중량% 또는 0.14중량%으로 처리된다. 대조군으로는 염류를 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사용하였다(하기 표 8의 시료 M). 염류별 전위차는 하기와 같다: Ca2+(+0.134V) < Fe2+(-0.44V) < Mg2+(-0.63V) < Zn2+(-0.76V). Zn의 첨가량에 따른 제타 전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입자 주위의 이온 환경, pH, 입자의 성질이 있다. 아연은 정상적인 면역 기능을 돕고 세포 분열에 필요한 성분이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처방 및 제조 방법 유체역학적 직경(nm) 전기영동 이동도
(㎛*cm/Vs)
제타 전위
(mV)
전도성
(mS/cm)
균질(1200 Bar, Recycle 3, pH 7.0, M) 462.1 -2.4149 -30.95 0.032
균질(1200 Bar, Recycle 3, pH 7.0, N) + 젖산칼슘(Calcuim lactate) 0.07중량% 621.5 -1.9537 -25.05 0.039
균질(1200 Bar, Recycle 3, pH 7.0, O) + 젖산칼슘(Calcuim lactate) 0.14중량% 888.4 -1.7294 -22.20 0.048
균질(1200 Bar, Recycle 3, pH 7.0, P) + 글루콘산아연(Zinc gluconate) 0.07중량% 858.4 -2.5072 -32.20 0.036
균질(1200 Bar, Recycle 3, pH 7.0, Q) + 글루콘산아연(Zinc gluconate) 0.14중량% 978.2 -2.3759 -30.50 0.031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첨가된 아연 이온에 의한 고정층(stern layer)의 전기적 안정성이 증가됨에 따라 유체역학적 직경이 증가하였으나, 확산층(diffusion layer)의 전기적 중립성을 개선함에 따라 제타 전위가 개선되었다. 칼슘 이온 처리시에는 제타 전위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칼슘 이온의 첨가보다는 아연 이온의 첨가가 확산층의 전기적 중립성 안정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로부터 염류를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처리하여도 금속 이온의 종류에 따라서 제타 전위를 증가시키는 정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고,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홍삼 미세 분말의 제타 전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금속 이온 중에서도 아연 이온을 처리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홍삼 미세 분말 글루콘산아연을 첨가한 경우 0.07중량%에서는 제타 전위 값이 증가하였지만, 0.14중량%에서는 제타 전위가 오히려 감소하였으므로,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글루콘산아연을 소정의 함량으로 포함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pH 조정을 통한 분산성 개선
입자의 표면 제타 전위 변화는 Anton parr사의 LiteSizer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실시예 2에서 홍삼 미세 분말 1중량% 대비 글루콘산아연을 0.07중량%를 첨가하여서 제타 전위가 증가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비교예로는 제조예 1-1에서 수득한 홍삼 조분쇄물을 이용하였다. 각각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을 3번 반복하였다. pH 변화에 따른 제타 전위는 LiteSizer 500으로 측정하였다. pH는 0.1M HCl, 0.1M NaOH를 활용하여 pH 2, 4, 6, 8, 10으로 조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pH 단위 2 4 6 8 10
홍삼 조분쇄물 mV 0.18 -6.82 -7.81 -0.96 -6.90
홍삼 미세 분말 mV -1.29 -10.61 -32.63 -32.39 -9.18
pH를 조정한 결과, 실시예 2에서 글루콘산아연을 첨가함으로써 제타 전위가 증가한 시료의 경우 pH를 6 내지 8의 범위로 조정하였을 때 다른 pH로 조정한 경우에 비해서 제타 전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홍삼 조분쇄물의 경우 pH를 조정하더라도 제타 전위가 증가하지 않았다.
위 결과로부터,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pH를 조정함에 따라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 전위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분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의 정리:
홍삼 미세 분말은 홍삼 조분쇄물 대비 조사포닌 함량, 비표면적이 높으며, 보수력이 낮았다. 또한, 홍삼 미세 분말 제조시의 균질 압력, 균질화 횟수, 염 처리, pH 조정 등의 조건이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 전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조사포닌 함량도 높고, 분산성이 우수하므로,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3. 건강식품의 제조
3-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3-2.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0.1 ~ 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3-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3-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1~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3-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3-6.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7.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8.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1중량%로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화장품 제형의 제조
4-1. 에센스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표 10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2
글리세린 4
부틸렌글리콜 2
홍삼 미세 분말 1.5
밀납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스쿠알렌 4
정제수 적량
4-2. 유연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11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홍삼 미세 분말 1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4-3. 영양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12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렌 3.8
홍삼 미세 분말 1.5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4-4. 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홍삼 미세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13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PEG-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초산토코페롤 0.4
1,3-부틸렌글리콜 4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홍삼 미세 분말 1.0
알란토인 0.1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정제수 적량

Claims (14)

  1. 홍삼 미세 분말; 및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염;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로서,
    상기 액상형 조성물은 pH가 5 내지 9인 범위 내에서 상기 홍삼 미세 분말 표면의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30mV 이상인 액상형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 미세 분말은 홍삼 분말을 균질화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홍삼 분말의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분포측정에 의한 누적 50% 입자 크기(D50)가 1㎛ 내지 15㎛인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균질화시 압력은 1000 Bar 내지 2000 Bar인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균질화 횟수는 2회 내지 10회인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홍삼 미세 분말의 BET 비표면적은 1 m2/g 내지 7 m2/g인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 미세 분말의 유체역학적 직경(Hydrodynamic diameter)은 150nm 내지 1200nm인 조성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홍삼 미세 분말 1중량%에 대하여, 상기 금속염은 0.001중량% 내지 0.1중량%로 포함되는 조성물.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글루콘산아연, 산화아연, 황산아연, 염화아연, 아세트산아연, 탄산아연, 올레산아연, 스테아르산아연, 프로피온산아연, 살리실산아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조성물.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상형 조성물은 금속염 첨가 후에 pH가 조정되는 조성물.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청구항 9,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청구항 9,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의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64819A 2018-12-19 2018-12-19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KR10213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19A KR102138278B1 (ko) 2018-12-19 2018-12-19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19A KR102138278B1 (ko) 2018-12-19 2018-12-19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71A KR20200076771A (ko) 2020-06-30
KR102138278B1 true KR102138278B1 (ko) 2020-07-28

Family

ID=7112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819A KR102138278B1 (ko) 2018-12-19 2018-12-19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25709A1 (en) * 2020-10-28 2022-04-28 Amorepacific Corporation Ginseng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299279B1 (ko) * 2020-10-28 2021-09-08 (주)아모레퍼시픽 나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96B1 (ko) 2008-01-16 2008-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미크론 이하 크기의 홍삼 나노분말의 제조방법과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나노분말
KR101825064B1 (ko) * 2016-01-06 2018-02-02 헬스밸런스 주식회사 물리적 초미세분쇄로 홍삼 전체의 섭취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 극대화를 위한 통홍삼 분말 및 통홍삼 분말 농축액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772B1 (ko) * 2004-01-20 2006-12-15 씨제이 주식회사 초미세 인삼 분말을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08913B1 (ko) * 2008-08-05 2011-01-1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층분리가 방지된 인삼 또는 홍삼 분말-함유 음료 조성물
KR20150142724A (ko) 2014-06-11 2015-12-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용화 나노칼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20180102873A (ko) * 2017-03-08 2018-09-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커피 유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96B1 (ko) 2008-01-16 2008-05-3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미크론 이하 크기의 홍삼 나노분말의 제조방법과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나노분말
KR101825064B1 (ko) * 2016-01-06 2018-02-02 헬스밸런스 주식회사 물리적 초미세분쇄로 홍삼 전체의 섭취가 가능하며, 유효성분의 소화 흡수 극대화를 위한 통홍삼 분말 및 통홍삼 분말 농축액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상훈, 인삼의 생체이용률 증진 Pickering 에멀젼 조제기술 개발 및 특성 평가,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771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932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tyndallized lactobacillus dead cells as active ingredient, for skin moisturizing or wrinkle improvement
KR101814999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EP2087903A1 (en) Extract powder of indigo-containing plan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KR101106200B1 (ko) 쌀을 포함하는 쌀두유의 제조방법
KR102138278B1 (ko) 홍삼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EP0593774A1 (en) Food composition which inhibits formation of intestinal putrefaction product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263279A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TWI523655B (zh) 金屬離子奈米簇組合物
KR101252107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2998269B (zh) 一种口服美容组合物及其应用
WO2008116391A1 (fr) Promoteur de la prolifération de neuroblaste et promoteur de l&#39;excroissance de neurite
KR20150019680A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160134375A (ko) 인삼 씨 오일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
KR101882849B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4573611B2 (ja) アウレオバシジウム培養物
JP3827581B2 (ja) 皮膚化粧料及び美容用飲食品
KR101897868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4202638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阻害剤、コラゲナーゼ阻害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化粧料
KR102283096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6379B1 (ko) 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액상형 조성물
JP6454266B2 (ja) 白色度の高いローズマリー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25628B1 (ko) 로즈힙을 함유하는 연골손상방지 내지 재생용 조성물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20210006192A (ko) 색도가 감소된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