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995B1 -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995B1
KR102137995B1 KR1020180125135A KR20180125135A KR102137995B1 KR 102137995 B1 KR102137995 B1 KR 102137995B1 KR 1020180125135 A KR1020180125135 A KR 1020180125135A KR 20180125135 A KR20180125135 A KR 20180125135A KR 102137995 B1 KR102137995 B1 KR 102137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ging
ring
pipe
outer diame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58A (ko
Inventor
홍현국
조웅희
제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Publication of KR20200002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6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an axially moveable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파이프 연결 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파이프 연결 장치는, 파이프 단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된 파이프 삽입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장착 파트를 갖는 아우터 바디; 및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접촉 및 가압하는 스웨지 링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는, 제1 내측 돌출부가 형성된 제1 스웨징부, 제2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웨징부로부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스웨징부, 상기 제1 스웨징부와 상기 제2 스웨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웨징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웨지 링은, 전단이 상기 파이프 단부의 외경보다 큰 제1 링 내경을 갖는 제1 링부, 상기 제1 링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단이 상기 제1 링 내경보다 큰 제2 링 내경을 갖는 제2 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1 스웨징 두께는, 상기 제2 스웨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2 스웨징 두께보다 작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장치{PIPE CONNECTION APPARATUS}
본원은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pipe)은 생산의 용이성과 구조적 장점으로 인해 유체 등의 누설 없는 이송을 위한 배관, 또는 구조물의 일부로 널리 사용된다. 관의 결합 방법에는 기계적 이음 방식 또는 용접/융착 방식이 있다.
이중에서 기계적 이음 방식은 분해(분리) 가능한 결합 방식과 영구적 결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나사 접합 및 플랜지를 사용한 볼팅 접합 등은 전자의 분해 가능한 결합을 제공하며, 프레스 접합이나 스웨징 등은 후자의 영구적 결합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의 스웨징(swaging)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스웨징 원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종래의 장치는 파이프(1510, 220)의 단부로부터 일정 영역을 원통형으로 둘러싸는 바디(330)와, 바디(330)의 중앙부를 향해 종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면서 바디의 외경을 줄어들게 가이드하는 스웨지 링(swage ring)(310, 320)을 포함한다.
스웨지 링(310, 320)의 이동으로 인해 바디(330)의 외경이 줄어들면서, 바디(330)의 내면과 파이프(1510, 220) 외면 사이의 틈이 제거되어 유체의 유출이 방지됨과 동시에 파이프(1520)가 바디(330)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스웨징 방식의 결합은 다른 기계적 이음 방식 대비 높은 신뢰성과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용접/융착 방식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품질 관리가 용이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6553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스웨징 방식의 파이프(관) 연결 장치가 갖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종래의 파이프(관) 연결 장치 대비 기계적인 결합력을 높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무게와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는, 파이프 단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된 파이프 삽입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장착 파트를 갖는 아우터 바디; 및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접촉 및 가압하는 스웨지 링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는, 제1 내측 돌출부가 형성된 제1 스웨징부, 제2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웨징부로부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스웨징부, 상기 제1 스웨징부와 상기 제2 스웨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웨징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웨지 링은, 전단이 상기 파이프 단부의 외경보다 큰 제1 링 내경을 갖는 제1 링부, 상기 제1 링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단이 상기 제1 링 내경보다 큰 제2 링 내경을 갖는 제2 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1 스웨징 두께는, 상기 제2 스웨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2 스웨징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2 링부의 내주면이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조립 완료 상태에서 파이프를 삽입하고 제2 링부의 내주면이 제2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스웨지 링을 이동시키면 아우터 바디에 대한 스웨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스웨징을 위해 스웨지 링이 이동해야하는 거리가 종래 대비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종래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구현될 수 있고, 스웨징을 위한 체결 공구의 무게 및 크기가 절감되며 용이하게 스웨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다르게, 스웨지 링의 제2 링부의 내주면을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조립 과정에서 아우터 바디의 연결부의 외면에 스웨지 링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 접촉 형태로 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스웨지 링의 제2 링부의 내주면이 제2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스웨지 링을 전방으로 추가 이동시키는 스웨징이 종래 대비 적은 힘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공구에서 소모되는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고, 공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공구의 구조적인 강성을 줄일 수 있어 공구의 무게 역시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다르게 아우터 바디가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구조(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스웨징이 이루어지는 내측 돌출부에 대응하는 외주면이 볼록하게 돌출 가공되는 구조 등) 없이 구비됨으로써, 아우터 바디의 외면과 스웨지 링의 내면이 밀착될 수 있어, 파이프에 대한 체결 완료 후 파이프의 내/외부에 가해지는 힘이 아우터 바디의 외면을 통해 스웨지 링의 내면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계적 강성이 향상되고, 파이프 연결에 있어 진동 및 충격 등의 외부 힘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가질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다르게 아우터 바디가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구조(예를 들면, 체결 공구의 장착을 위한 돌출 구조)나 외측 돌기 없이 구비됨으로써, 아우터 바디가 파이프 형태의 원자재를 가능한 한 적은 가공만 하여도 제작할 수 있는 형태가 되어, 제조 단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웨징에 의해 아우터 바디의 중간부는 외경이 감소되고 아우터 바디의 전방 단부는 중간부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커질 수 있어, 아우터 바디의 중간부의 외주를 가압하며 둘러싸는 스웨지 링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한 턱이 별도의 구성 부가 없이도 스웨징에 의해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웨지 링의 아우터 바디의 중간부로의 전방 이동만 있으면 두 개의 파이프 각각의 단부가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스웨징 되어 상호 연결되므로 시공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의 스웨징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조립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 파이프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스웨징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립 전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스웨지 링과 아우터 바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파이프가 삽입되지 않은 조립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조립 전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전단면 하부가 사면 형태로 형성된 스웨지 링과 외측 돌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바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전단면 하부가 사면 형태로 형성된 스웨지 링과 외측 돌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며 스웨징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 및 체결 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체결 공구와 함께 도시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엘보 타입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유니온 티 타입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체결 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체결 공구와 함께 도시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파이프의 종 방향(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3시 방향(우측 방향)이 전방, 9시 방향(좌측 방향)이 후방일 수 있다. 다만, 파이프의 종 방향이 파이프의 실제 배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만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파이프는 전후 방향뿐만 아니라, 파이프 배치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예를 들면, 상하 방향, 비스듬한 방향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이하 '본 파이프 연결 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조립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 파이프가 삽입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스웨징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조립 전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스웨지 링과 아우터 바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파이프가 삽입되지 않은 조립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본원의 도면들에서 스웨징에 의한 소성 변형 중 적어도 일부는 그 도시가 간략화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본원의 설명을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아우터 바디(11)를 포함한다. 아우터 바디(11)는 파이프(210)의 단부가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방(도 2 기준 9시 방향)으로 개구된 파이프 삽입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장착 파트(111)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우터 바디(11)는 제1 스웨징부(111a), 제2 스웨징부(111b), 연결부(111c) 및 연장부(111d)가 파이프(210)의 단부(전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아우터 바디(11)의 파이프 장착 파트(111)는 종 방향(도 2 기준 3시-9시 방향)을 따라 제1 내측 돌출부(112)가 형성된 제1 스웨징부(111a), 제2 내측 돌출부(113)가 형성되고 제1 스웨징부(111a)로부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스웨징부(111b), 제1 스웨징부(111a)와 제2 스웨징부(111b)를 연결하는 연결부(111c) 및 제2 스웨징부(111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11d)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11c)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111d)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구간은 스웨지 링(15)의 조립 이전에는 내경 및 외경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111d)의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구간은 스웨지 링(15)의 스웨징에 의해 스웨지 링(15)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진 사면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웨징부(111a)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내측 돌출부(112)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1 스웨징 두께는 제2 스웨징부(111b)의 외주면으로부터 제2 내측 돌출부(113)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2 스웨징 두께보다 작다.
아우터 바디(11)는 후술하는 스웨지 링(15)에 의해 가압되어 적어도 일부(제1 스웨징부(111a) 및 제2 스웨징부(111b))가 아우터 바디(11)의 내부에 위치하는 파이프(210)의 외주면에 밀착(접촉)되는 구성으로서, 파이프(210) 내부의 물질의 누설 및 파이프(210)의 체결 분리(이탈)을 방지하며 기계적으로 파이프(210)를 다른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우터 바디(11)는 파이프(210)와 동등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스웨지 링(15)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은 제1 스웨징부(111a)로부터 도입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며 아우터 바디(11)의 적어도 일부를 스웨징(swaging)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은 전단이 파이프 단부의 외경보다 큰 제1링 내경을 갖는 제1 링부(15a), 제1 링부(15a)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단이 제1 링 내경보다 큰 제2 링 내경을 갖는 제2 링부(15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웨지 링(15)의 내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양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아우터 바디의 외면이 스웨지 링(15)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따른 스웨징에 의해 아우터 바디(11)는 후방을 향할수록 외경이 줄어들도록 스웨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은 파이프 장착 파트(11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접촉 및 가압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와 도 5를 비교하여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은 제1 스웨징부(111a)로부터 도입되어 전방으로 이동(스웨지 링(15)과 아우터 바디(11)의 부속간 조립 과정)되며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라 함은, 제2 링부(15b)의 내주면이 제1 스웨징부(111a)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이 아우터 바디(11)에 조립되기 이전인 조립 이전 상태에서, 제1 스웨징부(111a) 및 연결부(111c)의 최대 외경은 제2 링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웨지 링(15)과 아우터 바디(11)의 부속간 조립 과정에서 제2 링부(15b)는 제1 스웨징부(111b) 및 연결부(111b)의 적어도 일부를 소성 변형시킬 수 있고,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에서, 스웨지 링(15)의 아우터 바디(11)에 대한 접촉 및 가압은 제1 스웨징부(111a) 및 연결부(111b)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스웨징부(111a) 및 연결부(111b)의 적어도 일부는 외경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부속간 조립 과정에서 스웨지 링(15)의 적어도 일부(제2 링부(15b) 및 후술할 제2 테이퍼부(15d))의 내면과 아우터 바디(11)의 적어도 일부(연결부(111c) 및 제1 스웨징부(111a)의 적어도 일부)의 외면 사이에 접촉 응력이 발생하여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에서 스웨지 링(15)과 아우터 바디(11)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도 5를 참조하면,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에서, 파이프 단부가 파이프 삽입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2 내측 돌출부(113)의 돌출 끝단의 제2 돌출 내경(제2 내측 돌출부(113)의 내면에 의한 최대 내경) 및 제2 링 내경을 제1 스웨징 두께의 2배만큼 축소한 내경(제2 링부(15b)의 내주면이 제1 스웨징부(111a)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일 때, 제1 내측 돌출부(112)의 내면에 의한 최대 내경)은 파이프 단부의 외경(파이프 단부의 최대 허용 외경)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를 참조하면,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일 때, 파이프 단부는 스웨지 링(15) 및 아우터 바디(11) 내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참고로, 도 4를 참조하면, 제2 테이퍼부(15d)의 전단의 제2 테이퍼 시작 내경은 파이프 장착 파트(11)의 최대 외경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웨지 링(15)의 아우터 바디(11)로의 인입(다시 말해, 부속간 조립의 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로부터 스웨지 링(15)이 전방으로 추가 이동(스웨징 과정)되어 스웨징 완료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스웨징 완료 상태라 함은, 제1 링부(15a)의 내주면이 제1 스웨징부(111a)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제2 링부(15b)의 내주면이 제2 스웨징부(111b)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스웨징 과정에서 제2링부(15b)는 제2 스웨징부(111b) 및 연장부(111d)의 적어도 일부를 소성 변형시킬 수 있고,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스웨지 링(15)의 아우터 바디(11)에 대한 접촉 및 가압은 제1 스웨징부(111a)의 적어도 일부, 연결부(111b), 제2 스웨징부(111b) 및 연장부(111d)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웨징부(111b)는 외경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웨지 링(15)의 전단의 내경과 스웨지 링(15)의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제2 스웨징부(111b)의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의 내경 차이만큼 외경이 감소되며 파이프(21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과정에서 외경이 감소된 제1 스웨징부(111b)는 외경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링부(15a)(제1 링부(15a)의 후단)와 제2 링부(15b)(제2 링부(15b)의 후단)의 내경 차이만큼 외경이 감소되며 파이프(2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스웨징부(111a) 및 연결부(111c)의 적어도 일부는 조립 과정에서 제2 링부(15b) 및 후술할 제2 테이퍼부(15d)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1차적으로 외경 축소(일정량의 외경 축소)될 수 있고, 스웨징 과정에서 제1 링부(15a) 및 후술할 제1 테이퍼부(15c)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최종적으로 외경이 축소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제1 링부(15a)의 내주면이 제1 스웨징부(111a)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제2 링부(15b)의 내주면이 제2 스웨징부(111b)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제1 스웨징부(111a)와 제2 스웨징부(111b) 사이의 간격은, 제1 링부(15a)의 내주면이 제1 스웨징부(111a)의 외주면에 접촉될 때 제2 링부(15b)의 내주면이 제2 스웨징부(111b)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스웨징 과정에서, 스웨지 링(15)의 적어도 일부(제2 링부(15b)와 후술할 제2 테이퍼부(15d))의 내면과 아우터 바디(11)의 적어도 일부(제2 스웨징부(111b)와 연장부(111d))의 외면 사이에 접촉 응력이 발생하고 스웨지 링(15)의 다른 일부(제1 링부(15a)와 후술할 제1 테이퍼부(15c))의 내면과 아우터 바디(11)의 다른 일부(제1 스웨징부(111a)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부(111c))의 외면 사이에 접촉 응력이 발생하여,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에서 스웨지 링(15)과 아우터 바디(11)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제1 내측 돌출부(112) 및 제2 내측 돌출부(113)가 파이프 단부의 외주면을 접촉 및 가압 가능하도록, 제1 링부(15a)의 제1 링 내경을 제1 스웨징 두께의 2배만큼 축소한 내경 및 제2 링부(15b)의 제2 링 내경을 제2 스웨징 두께의 2배만큼 축소한 내경은 파이프 단부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웨징부(111b)는 제2링부(15b)에 의한 스웨징에 의해 외경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파이프 단부를 접촉 및 가압할 수 있고, 제1 스웨징부(111a)는 제1 링부(15a)에 의한 스웨징에 의해 외경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파이프 단부를 접촉 및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제1 링부(15a)와 제2 링부(15b)를 연결하는 제1 테이퍼부(15c) 및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제2 링부(15b)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테이퍼부(1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연결부(111c)는 스웨지 링(15)의 제2 테이퍼부(15d) 및 제2 링부(15b)의 내면 형태에 대응하여 소성 변형됨으로써 완만한 사면 형태로 소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의 소성 변형에 의해, 연결부(111c)는 스웨징 과정에서 제2 링부(15b)의 제2 스웨징부(111b)의 스웨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스웨징 과정에서, 연장부(111d)는 제2 테이퍼부(15d)와 제2 링부(15b)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 형태에 대응하여 소성 변형될 수 있고, 연결부(111c)는 제1 테이퍼부(15c) 및 제1 링부(15a)의 내면 형태에 대응하여 소성 변형될 수 있는데, 제1 링부(15a), 제1 테이퍼부(15c), 제2 링부(15b) 및 제2 테이퍼부(15d)는 아우터 바디(11)의 외면과 스웨지 링(15)의 내면이 밀착되도록, 최적화된 스플라인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내면은 스웨지 링(15)의 내면의 기울기 변화가 2개 이상으로 확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이 아우터 바디(11)에 조립되기 이전인 조립 이전 상태에서, 제1 스웨징부(111a)와 연결부(111c)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 일정 외경 구간(111e)이 형성될 수 있다. 일정 외경 구간(111e)의 일정한 외경은 제1 스웨징부(111a) 및 연결부(111c)의 최대 외경일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파이프 장착 파트(111)의 연장부(111d)에는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제2 테이퍼부(15d)에 의한 가압이 일정 외경 구간(111e)의 일정한 외경과 동일한 외경일 때보다 저감되도록, 상기 일정한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함몰된 그루브부(114)가 제2 테이퍼부(15d)의 가압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제1 스웨징부(111a)와 제2 스웨징부(111b)의 파이프(210)에 대한 가압만으로도 본 파이프 연결 구조체와 파이프(21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웨징 과정에서 스웨지 링(15)의 연장부(111d)에 대한 큰 외력 작용은 불필요할 수 있는데, 그루브부(114)는 일정 외경 구간(111e)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함몰 형성됨으로써, 연장부(111d)에 대한 스웨지 링(15)의 과도한 외력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그루브부(114)는 스웨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스웨지 링(제2 링부(15b) 및 제2 테이퍼부(15d)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한 불필요한 아우터 바디(11)에 대한 외력 작용 및 불필요한 아우터 바디(11)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그루브부(114)에 의한 효과가 보다 증가되도록, 필요에 따라, 그루브부(114)는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그루브부(114)의 적어도 일부가 제2 링부(15b)의 가압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부(114)의 함몰 형상은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그루브부(114)가 제2 테이퍼부(15d)와 적어도 일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루브부(15)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스웨징 완료 후 그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스웨지 링(15)의 내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되도록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따르면, 아우터 바디(11)의 제1 스웨징부(111a) 및 제2 스웨징부(111b)의 외경은, 스웨징 완료 후 파이프에 대한 적절한 기계적 결합(체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1 스웨징부(111a) 및 제2 스웨징부(111b)의 두께에 의해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웨지 링(15)의 두께는 아우터 바디(11)와 파이프(210)의 접촉 응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스웨지 링(15)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아우터 바디(11)의 전방 단부의 내면에는 아우터 바디(1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파이프(210)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도면부호 미부여)가 아우터 바디(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조립 전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전단면 하부가 사면 형태로 형성된 스웨지 링과 외측 돌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바디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전단면 하부가 사면 형태로 형성된 스웨지 링과 외측 돌출부가 형성된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며 스웨징 완료 상태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웨지 링(15)은 내주면과 연결되는 전단면 하부(151)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장착 파트(111)의 연장부(111d)에는,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에 접촉되는 후단면을 갖는 외측 돌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돌출부(115)의 후단면은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의 외경을 감소시키거나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의 외경 증가를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외측 돌출부(115)에는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홈과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의 적어도 일부의 맞물림을 통해 외측 돌출부(115)는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웨지 링(15)의 적어도 일부는 스웨징에 의한 변형 발생시 탄성 영역에서 변형되고, 스웨징 완료 후 탄성 영역에서 변형된 적어도 일부는 외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회복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종래의 스웨징에 따르면, 스웨지 링이 아우터 바디 및 파이프의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스웨지 링이 외경 방향으로 커지는 힘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스웨지 링과 아우터 바디의 접촉 응력이 감소하여 아우터 바디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돌출부와 파이프의 외면간의 접촉 응력을 감소시켜 기밀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발생할 수 있었다. 반면에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사면 형태인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와 외측 돌출부(115)를 조합하여, 외측 돌출부(115)가 스웨지 링(15)의 전단면 하부(151)에 접촉하여 스웨지 링(15)이 외경이 감소하는 방향 또는 외경이 증가하는 것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스웨지 링(15)과 아우터 바디(11) 외면의 접촉 응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아우터 바디(11)의 제1 내측 돌출부(112) 및 제2 내측 돌출부(113) 각각의 내면과 파이프(210)의 외면의 접촉 응력을 증가시켜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측 돌출부(115)의 두께(최소 두께)는 스웨지 링(15)의 외측 돌출부(115)와 접촉되는 전단면 하부에 충분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 및 체결 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체결 공구와 함께 도시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엘보 타입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유니온 티 타입의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체결 공구를 설명하기 위해 체결 공구와 함께 도시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아우터 바디(11)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다른 파이프(220, 230)의 단부가 삽입되는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는 다른 파이프(220, 23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파이프 삽입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파이프(220)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경우,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의 파이프 삽입 공간은 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도 9를 참조하면, 엘보 타입으로 형성되어 파이프(210)를 파이프(210)와 90˚ 각도를 두고 배치되는 다른 파이프(220)를 연결하거나,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유니온 티 타입으로 형성되어 파이프(210)를 2 개의 파이프(220, 230)와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의 파이프 삽입 공간은 다른 파이프(220, 2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는 전술한 파이프 장착 파트(111)와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아우터 바디(11)는 파이프(210) 연결에 있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형성,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아우터 바디(110)가 상술한 엘보(도-엘보) 타입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파이프(210)와 다른 파이프(220)를 90˚ 각도로 체결할 수 있고, 아우터 바디(11)가 유니온 티(도-유니온 티) 타입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경우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직렬 연결된 파이프(210)와 다른 파이프(220)에 분기관(230)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다른 파이프 장착 파트에 대해 구비되는 다른 스웨지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스웨지 링은 전술한 스웨지 링(15)과 동일 내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스웨지 링(15)의 이동은 체결 공구(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체결 공구(2)는 스웨지 링(15)의 후단면에 접촉되는 후방 지지 유닛(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체결 공구(2)는 스웨지 링(15)이 아우터 바디(11)의 후방으로부터 아우터 바디(11)의 적어도일부를 둘러싸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후방 지지 유닛(21)을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과 구동력에 의한 축 방향 압축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아우터 바디(11)의 연장부(111d)의 전방의 외주면에는 구동 유닛(23)이 배치되는 구동 유닛 배치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 배치부(117)는 구동 유닛(23)의 하부와 맞물리게 형성되되, 구동 유닛(23)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아우터 바디(파이프 장착 파트(111))(11)의 외면에 소정의 지지부 역할을 하는 구동 유닛 배치부(117)가 형성되어 체결 공구(2)는 스웨지 링(15)의 후방과 아우터 바디(11)의 외면의 구동 유닛 배치부(117)를 지지하며 스웨지 링(15)을 아우터 바디(11)에 대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체결 공구(2)는 다른 스웨지 링의 전단면에 접촉되는 전방 지지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지지 유닛(22)은 후방 지지 유닛(21)과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파이프 연결은 상술한 체결 공구(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파이프 연결 장치는, 가공 형태와 관련하여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종래의 스웨징 방식의 관 연결 장치에 따르면, 아우터 바디의 외면에 사면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해 아우터 바디의 외면의 나머지 부분을 절삭 가공해야 했지만,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조립 과정에서의 소성 변형에 의해 스웨징을 유도하는(돕는) 사면 형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아우터 바디(11)의 외면 가공이 최소한으로 줄어들어, 제조에 있어 원자재 소모 및 가공비가 크게 절감 될 수 있다.
또한,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아우터 바디(11)의 외면이 단순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절삭 가공 방식에서 벗어나, 전조 또는 단조 등의 형태로 아우터 바디(11) 외면부의 제조가 가능해질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가공비 절감 효과가 발휘 될 수 있으며, 전조 또는 단조 등의 가공 방식의 적용으로 제품의 강도 등의 기계적인 성능 향상도 발휘 될 수 있다.
또한, 스웨징 측면과 관련하여서도, 본원의 발명자의 기존 출원(제10-2017-0028909호)에 개시된 파이프 연결 장치는 아우터 바디의 제1 스웨지 영역과 제2 스웨지 영역이 순차적으로 관 외부와 접촉이 형성되는 구조로 스웨징을 위하여 필요한 스웨지 링의 이동 거리가 제1 스웨지 영역에서 제2 스웨지 영역까지의 거리만큼 필요한다. 반면에,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스웨지 링(15)과 아우터 바디(11)의 조립이 완료된 시점에서 스웨지 링(15)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스웨징부(111b)의 진입 직전의 위치(제2 스웨징부(111b)의 가까운 후방 부분)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스웨징에 필요한 스웨지 링(15)의 이동거리를 제2 스웨징부(111b)에 해당하는 길이(제2 스웨징부(111b) 영역)로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웨징 전의 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길이도 줄일 수 있어, 스웨징을 위한 공구의 무게 및 크기를 절감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일례로,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작업자는 조립 완료 상태인 본 파이프 연결 장치를 구매하여 아우터 바디(11)에 파이프(210)를 인입하고, 제2 스웨징부(111b)의 진입 직전에 위치하는 스웨지 링(15) 이동시킴으로써 스웨징할 수 있으므로, 스웨징을 위한 체결 공구의 무게 및 크기를 절감하며 용이하게 스웨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아우터 바디(11)의 외면의 사면이 조립 과정에서 형성되며 스웨지 링(15)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 접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스웨징 과정에서 아우터 바디 외면을 선 형태로 접촉하는 종래의 스웨징 방식의 관 연결 장치에 비하여 적은 힘으로 스웨징을 수행 할 수 있어 공구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 할 수 있고 스웨징 과정에서 공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공구의 구조적인 강성을 줄일 수 있어 공구의 무게 역시 절감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웨징 방식의 관 연결 장치는 스웨징 완료 상태에 외면의 사면 형태의 돌출부에 의해 아우터 바디 외면부와 스웨지 링 내면부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었다. 반면에, 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하면, 스웨징 완료 상태에 아우터 바디(11)의 외면(외면부)이 스웨지 링(15)의 내면(내면부)에 밀착하게 될 수 있어, 체결 완료(파이프 연결(체결) 완료) 후 파이프(210)의 내/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아우터 바디(11)의 외면을 통해 스웨지 링(15)의 내면으로 균일하게(고르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기계적 강성이 향상될 수 있어 파이프 연결에 있어 진동 및 충격 등의 외부 힘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아우터 바디(outer body)
111: 파이프 장착 파트
111a: 제1 스웨징부
111b: 제2 스웨징부
111c: 연결부
111d: 연장부
112: 제1 내측 돌출부
113: 제2 내측 돌출부
114: 그루브부
115: 외측 돌출부
117: 구동 유닛 배치부
15: 스웨지 링
15a: 제1 링부
15b: 제2 링부
15c: 제1 테이퍼부
15d: 제2 테이퍼부
151: 스웨지 링의 전단면 하부
210: 파이프
220: 다른 파이프
230: 다른 파이프
2: 체결 공구
21: 후방 지지 유닛
22: 전방 지지 유닛
23: 구동 유닛

Claims (9)

  1.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단부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된 파이프 삽입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 장착 파트를 갖는 아우터 바디; 및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접촉 및 가압하는 스웨지 링을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는, 제1 내측 돌출부가 형성된 제1 스웨징부, 제2 내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웨징부로부터 전방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스웨징부, 상기 제1 스웨징부와 상기 제2 스웨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웨징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웨지 링은, 전단이 상기 파이프 단부의 외경보다 큰 제1 링 내경을 갖는 제1 링부, 상기 제1 링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전단이 상기 제1 링 내경보다 큰 제2 링 내경을 갖는 제2 링부를 포함하며, 내주면과 연결되는 전단면 하부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사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1 스웨징 두께는, 상기 제2 스웨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까지의 두께인 제2 스웨징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의 연장부에는,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상기 스웨지 링의 전단면 하부에 접촉되는 후단면을 갖는 외측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돌출부의 후단면은, 상기 스웨지 링의 전단면 하부의 외경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스웨지 링의 전단면 하부의 외경 증가를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부의 내주면이 상기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링부의 내주면이 상기 제2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측 돌출부 및 상기 제2 내측 돌출부가 상기 파이프 단부의 외주면을 접촉 및 가압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링 내경을 상기 제1 스웨징 두께의 2배만큼 축소한 내경 및 상기 제2 링 내경을 상기 제2 스웨징 두께의 2배만큼 축소한 내경은, 상기 파이프 단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부의 내주면이 상기 제1 스웨징부의 외주면에 접촉된 부속간 조립 완료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 단부가 상기 파이프 삽입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내측 돌출부의 돌출 끝단의 제2 돌출 내경 및 상기 제2 링 내경을 상기 제1 스웨징 두께의 2배만큼 축소한 내경은, 상기 파이프 단부의 외경 이상인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지 링은,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 링부와 상기 제2 링부를 연결하는 제1 테이퍼부 및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2 링부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퍼부의 전단의 제2 테이퍼 시작 내경은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의 최대 외경 이상인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웨지 링이 상기 아우터 바디에 조립되기 이전인 조립 이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웨징부 및 상기 연결부의 최대 외경은 상기 제2 링 내경보다 큰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이전 상태에서, 상기 제1 스웨징부와 상기 연결부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정한 외경을 갖는 일정 외경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일정한 외경이 상기 제1 스웨징부 및 상기 연결부의 최대 외경인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장착 파트의 연장부에는, 상기 스웨징 완료 상태에서 상기 제2 테이퍼부에 의한 가압이 상기 일정한 외경과 동일한 외경일 때보다 저감되도록, 상기 일정한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함몰된 그루브부가 상기 제2 테이퍼부의 가압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인, 파이프 연결 장치.
  9. 삭제
KR1020180125135A 2018-06-29 2018-10-19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137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5259 2018-06-29
KR1020180075259 2018-06-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758A Division KR20200088261A (ko) 2018-06-29 2020-07-14 파이프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58A KR20200002558A (ko) 2020-01-08
KR102137995B1 true KR102137995B1 (ko) 2020-07-27

Family

ID=6915469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135A KR102137995B1 (ko) 2018-06-29 2018-10-19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0200086758A KR20200088261A (ko) 2018-06-29 2020-07-14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0210056522A KR102260611B1 (ko) 2018-06-29 2021-04-30 파이프 연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758A KR20200088261A (ko) 2018-06-29 2020-07-14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0210056522A KR102260611B1 (ko) 2018-06-29 2021-04-30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137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10A1 (ko) 2020-10-12 2022-04-21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파이프 연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39B1 (ko) * 2005-10-11 2014-02-20 록링 테크놀로지 엘엘씨 상보적인 피팅 재료로 구성된 개선된 피팅 조립체 및 이를이용한 누수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0163A (en) * 1990-03-22 1992-05-05 Lokring Corporation Pipe fitting with improved coupling body
GB2451454B (en) * 2007-07-30 2009-07-29 Cold Work Technology Ltd Axial swage connec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39B1 (ko) * 2005-10-11 2014-02-20 록링 테크놀로지 엘엘씨 상보적인 피팅 재료로 구성된 개선된 피팅 조립체 및 이를이용한 누수방지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10A1 (ko) 2020-10-12 2022-04-21 주식회사 메가조인트 파이프 연결 장치
US11898663B2 (en) 2020-10-12 2024-02-13 Megajoint. Co., Ltd. Pipe connection apparatus
EP4227565A4 (en) * 2020-10-12 2024-04-10 Megajoint. Co., Ltd. PIPE CONN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261A (ko) 2020-07-22
KR20200002558A (ko) 2020-01-08
KR102260611B1 (ko) 2021-06-04
KR20210052427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9055C2 (ru) Фитинг с внутренним обжатием
EP0480478B1 (en) Tube coupling
JP5429671B2 (ja) 摩擦溶接接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摩擦溶接による接合の設計
US6408826B2 (en) Common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46085B2 (ja) 接合ロッドおよ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
US2850303A (en) Double sealed compression fitting
US20100140920A1 (en) Pipe joint including a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a joint section of a pipe joint
KR102137995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JP4600407B2 (ja) 鋼管の継手構造
KR101967642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1315119B1 (ko) 고압 호스용 금구 및 그의 제작 방법
JP4000930B2 (ja) 鋼管の継手構造
KR101652637B1 (ko) 중공형 봉상물과 플레이트형 링크 브라켓트의 결합 방법
JP4264637B2 (ja) 重合管の結合方法及びその張出カシメ用工具
CN113226588B (zh) 元件接头及其制造方法
US11898663B2 (en) Pipe connection apparatus
KR101937860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US3493250A (en) Coupling for thermoplastic tube
KR101937862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JP5583490B2 (ja) 鍛造加工用パンチ
WO2015029995A1 (ja) 継手および継手付き管体の製造方法
KR102194367B1 (ko) 폴리에틸렌 수도용 파이프 이음장치
WO2019138669A1 (ja) 接合体及びその接合体の製造方法
JPS6116874B2 (ko)
JP2020146736A (ja) プレス用金型、プレス用金型セット、プレス加工機及び金型結合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