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658B1 - 완구 블록 - Google Patents

완구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658B1
KR102136658B1 KR1020190011505A KR20190011505A KR102136658B1 KR 102136658 B1 KR102136658 B1 KR 102136658B1 KR 1020190011505 A KR1020190011505 A KR 1020190011505A KR 20190011505 A KR20190011505 A KR 20190011505A KR 102136658 B1 KR102136658 B1 KR 102136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d magnetic
toy block
magnetic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영
서규진
이주성
이창문
이기호
차윤수
고나영
강소이
이조은
Original Assignee
(주)짐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짐월드 filed Critical (주)짐월드
Priority to KR102019001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658B1/ko
Priority to US16/436,751 priority patent/US10722809B1/en
Priority to JP2019108401A priority patent/JP6759419B2/ja
Priority to CN201910538261.1A priority patent/CN111481947B/zh
Priority to CN201920934957.1U priority patent/CN210205893U/zh
Priority to EP19185458.7A priority patent/EP36894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4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comprising magnetic interaction means, e.g. holding together by magnetic attrac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구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완구 블록은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내의 수납 공간에 위치되고, 극성이 서로 상이한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판형 자성체 및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 자성체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완구 블록 {TOY BLOCK}
본 발명은 완구 블록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조립품에 적용이 가능한 완구 블록에 관한 것이다.
완구 블록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서로 체결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블록으로서, 아이들의 창의력과 공간 지각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완구이다.
일반적인 완구 블록은 다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상부면과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결합 홈을 구비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일 완구 블록의 상부면 돌기가 다른 완구 블록의 하부면 결합 홈에 체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완구 블록은 일정한 형태의 돌기부와 결합 홈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므로, 블록의 모양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으며, 구형의 블록은 구조물 조립에 사용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상술한 완구 블록 이외에 블록 외부 또는 내부에 자성체를 배치하여 완구 블록들이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속되는 방식의 완구 블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자성체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들은 자성체의 극성이 서로 같은 경우, 완구 블록이 서로 결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자성체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완구 블록들이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공개특허문헌 00001) 일본공개특허 제2018-183679호 “조립식 완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립이 용이하고, 블록의 형상을 다양화할 수 있게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성체의 움직임을 가이드함으로써, 결합시 완구 블록이 서로 어긋나는 문제를 최소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완구 블록은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내의 수납 공간에 위치되고, 극성이 서로 상이한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판형 자성체 및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 자성체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판형 자성체의 회전시 상기 판형 자성체의 측면의 회전 곡면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메인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면이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측면과 평행한 서브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면은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원형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완구 블록은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하고, 베이스면 및 상기 베이스면을 기준으로 아치형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 가이드를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양면의 극성이 서로 상이한 판형 자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가이드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면이 상기 메인 가이드의 연장면과 연결되는 서브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양면은 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형 자성체는 결합 상대 완구 블록이 접근시 상기 결합 상대 완구 블록의 베이스면에 안착된 상대 판형 자성체의 일면과 극성이 상이한 면이 상기 베이스면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 가이드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완구 블록 간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체결 부재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완구 블록의 형상이 다양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판형 자성체의 회전이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판형 자성체가 베이스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완구 블록의 결합시 완구 블록이 서로 어긋나는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 1의 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 1의 II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완구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완구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 또는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도 1의 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3은 도 1의 III-III'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00)은 자력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조립 완구의 구성 각편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00)은 메인바디(110), 판형 자성체(120a, 120b) 및 가이드부(130a, 130b)를 포함한다.
메인바디(110)는 완구 블록(100)의 외형을 구성하며, 판형 자성체(120a, 120b)가 안착되는 베이스면(111, 11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바디(110)는 원통형, 육면체, 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둥 형태가 아닌 굴곡된 형태, 도넛 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메인바디(110)는 성형이 용이하고, 판형 자성체(120a, 120b)에 의해 자화되지 않는 비자성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바디(110)는 플라스틱, 비자성 금속, 원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바디(110)의 베이스면(111, 112)은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이 안착되는 면이며,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판형 자성체(120a, 120b)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인 경우, 베이스면(111, 112)은 원형의 면을 갖는다.
또한, 베이스면(111, 112)은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베이스면(111, 112)은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는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의 외주변보다 0.5mm 이내의 범위에서 큰 외주변을 갖는 형태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가 기둥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베이스면(111, 112)은 메인바디(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베이스면(111, 112)을 기준으로 판형 자성체(120a, 120b)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S1, SS2)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일측 베이스면(111)을 기준으로 일측 베이스면(111)을 포위하도록 제1 수납 공간(SS1)이 형성되고, 제1 판형 자성체(120a)가 제1 수납 공간(SS1)에 배치된다. 또한, 타측 베이스면(112)을 기준으로 타측 베이스면(112)을 포위하도록 제2 수납 공간(SS2)이 형성되고, 제2 판형 자성체(120b)가 제2 수납 공간(SS2)에 배치된다. 수납 공간(SS1, SS2)은 판형 자성체(120a, 120b)가 수납되고, 판형 자성체(120a, 120b)가 회전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수납 공간(SS1, SS2)의 모양 및 배치는 완구 블록(100)의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판형 자성체(120a, 120b)는 완구 블록(100)의 결합을 위한 자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완구 블록(100)은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자력에 기초하여 다른 블록과 결합될 수 있다. 판형 자성체(120a, 120b)는 영구적으로 자력을 갖는 영구 자석 또는 전류에 의해 유도 자력을 갖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판형 자성체(120a, 120b)는 수납 공간(SS1, SS2)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판형 자성체(120a)는 제1 수납 공간(SS1) 내에 배치되고, 제2 판형 자성체(120b)는 제2 수납 공간(SS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납 공간(SS1)과 제2 수납 공간(SS2)은 충분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판형 자성체(120a)와 제2 판형 자성체(120b) 사이의 자력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판형 자성체(120a, 120b) 각각은 제1 면(121a) 및 제2 면(122a)을 갖는다.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및 제2 면(122a)은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면(121a)은 N극 제2 면(122a)은 S극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및 제2 면(122a)은 원형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제1 면(121a) 및 제2 면(122a)은 다각형, 사다리꼴, 부채꼴,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a, 130b)는 메인바디(110)의 수납 공간(SS1, SS2)에 배치되고,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부(130a, 130b)는 메인 가이드(131a, 131b) 및 서브 가이드(132a, 132b)를 포함한다. 메인 가이드(131a, 131b) 및 서브 가이드(132a, 132b)는 수납 공간(SS1, SS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일측 베이스면(111)을 포위하도록 제1 수납 공간(SS1)이 형성되고, 제1 수납 공간(SS1)의 내측면을 따라 제1 메인 가이드(131a) 및 제1 서브 가이드(132a)가 연장된다. 또한, 타측 베이스면(112)을 포위하도록 제2 수납 공간(SS2)이 형성되고, 제2 수납 공간(SS2)의 내측면을 따라 제2 메인 가이드(131b) 및 제2 서브 가이드(132b)가 연장된다. 제1 가이드부(130a) 및 제2 가이드부(130b)는 배치 위치만 상이할 뿐, 동일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제1 가이드부(130a)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가이드부(130a)의 제1 메인 가이드(131a)는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시 판형 자성체(120a)의 측면이 형성하는 회전 곡면에 대응되도록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부(130a)의 하부 메인 가이드(131a)는 하부 베이스면(111)을 기준으로 아치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메인 가이드(131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납 공간(SS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날(131a, 133a, 134a)들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판형 자성체(120a)의 제1 면(121a) 및 제2 면(122a)의 형태가 원형이 아닌 경우,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시 측면이 형성하는 회전 곡면은 상이해질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제1 메인 가이드(131a)의 형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가이드(132a)는 제1 메인 가이드(131a)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판형 자성체(120a)의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가이드(132a)의 연장 방향과 제1 메인 가이드(131a)의 연장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제1 서브 가이드(132a)의 연장면은 제1 메인 가이드(131a)의 연장면과 연결된다. 이에, 제1 메인 가이드(131a) 및 제1 서브 가이드(132a)는 단차 없이 서로 연결되며, 판형 자성체(120a)는 제1 메인 가이드(131a) 및 제1 서브 가이드(132a)의 연장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00)은 수납 공간(SS1, SS2)을 포함하고, 수납 공간(SS1, SS2) 내에 배치되는 판형 자성체(120a, 120b)를 포함한다. 판형 자성체(120a, 120b)는 서로 극성이 다른 제1 면(121a) 및 제2 면(122a)을 포함하고,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은 베이스면(111, 112)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판형 자성체(120a, 120b)의 자력은 베이스면(111, 112)을 통과해 메인바디(110)의 외부로 전달되므로, 다른 완구 블록과 자력에 의한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을 위해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완구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완구 블록(100)은 인접하는 제2 완구 블록(20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완구 블록(100)의 일측 수납 공간에 배치된 판형 자성체(120a)와 제2 완구 블록(200)의 타측 수납 공간에 배치된 판형 자성체(220a) 사이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제1 완구 블록(100)이 제2 완구 블록(200)과 결합될 수 있다. 만약,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제1 면(121a)의 극성과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의 극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제1면(121a)과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작용한다. 특히, 이 경우,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제1 면(121a)과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은 베이스면에 밀착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게 되므로, 판형 자성체(120a, 220a)를 통과하는 자력선은 극대화될 수 있고, 판형 자성체(120a, 220a)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에, 제1 완구 블록(100)의 상부와 제2 완구 블록(200)의 하부가 서로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완구 블록(10)의 판형 자성체(120)의 제1 면(121a)의 극성과 제2 완구 블록(20)의 판형 자성체(220)의 제2 면(222a)의 극성이 서로 동일한 경우, 제1 완구 블록(10)의 판형 자성체(120)의 제1 면(121a)과 제2 완구 블록(20)의 판형 자성체(220)의 제2 면(222a) 사이에는 자기적 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 및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 또는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가 수납 공간 내에서 회전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구 블록(100)의 일측 수납 공간내의 판형 자성체(120a)가 회전되어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이 베이스면(111)에 접하게될 수 있다.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은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과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지므로, 제1 완구 블록(100)의 일단과 제2 완구 블록(200)의 일단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며, 제1 완구 블록(100)과 제2 완구 블록(20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시 제1 완구 블록(100)의 수납 공간내에 형성된 가이드부에 따라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이 가이드되며, 판형 자성체(120a)의 제1 면(121a) 또는 제2 면(122a)이 베이스면(1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메인 가이드(131a)는 판형 자성체(120a) 측면의 회전 곡면에 대응되도록 베이스면(111)을 기준으로 아치형으로 연장되므로, 판형 자성체(120a)는 메인 가이드(13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정해진 공간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이 베이스면(1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5에서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 모습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부(130a)의 서브 가이드(132a)는 판형 자성체(120a)의 측면과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시 판형 자성체(120a)가 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이 더욱 안정적으로 베이스면(111)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완구 블록(200)의 타측 수납 공간내의 판형 자성체(220a)는 제2면(222a)이 베이스면(211)에 안착되도록 회전된다. 즉, 중력에 의해 기울어져 있던 판형 자성체(220a)가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와의 자기적 인력으로 인해 회전된다. 도 5에서 판형 자성체(220a)의 회전 모습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완구 블록(200)의 메인 가이드(231a) 및 서브 가이드(232a)가 판형 자성체(220a)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이에,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은 제2 완구 블록(200)의 베이스면(2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결과적으로, 제1 완구 블록(100) 및 제2 완구 블록(200)이 서로 근접함에 따라, 제1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이 베이스면(111)에 안착되며,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이 베이스면(211)에 안착된다. 이 경우,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의 제2면(122a)은 제2 완구 블록(200) 판형 자성체(220a)의 제2 면(222a)과 평행하게 마주보게 되며, 제1 완구 블록(100)의 판형 자성체(120a)와 제2 완구 블록(200)의 판형 자성체(220a) 사이의 자기적 인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완구 블록(100)의 일측과 제2 완구 블록(200)의 타측이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가이드(131a) 및 서브 가이드(132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판형 자성체(120a)의 회전이 가이드될 수 없으므로,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이 안정적으로 베이스면(111)에 안착되지 못할 수 있고, 판형 자성체(120a)의 제2 면(122a)이 베이스면(111)에 어긋나도록 배치되거나, 베이스면(1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을 위해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완구 블록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완구 블록(300) 및 제2 완구 블록(400)은 메인 가이드 및 서브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1 완구 블록(300)의 판형 자성체(320a)의 제2 면(322a)이 제2 완구 블록(400)의 판형 자성체(420a)의 제2면(422a)의 극성과 상이한 극성을 갖는 경우, 제1 완구 블록(300)과 제2 완구 블록(400)이 근접함에 따라 제1 완구 블록(300)의 판형 자성체(320a)의 제2 면(322a)과 제2 완구 블록(400)의 판형 자성체(420a)의 제2 면(422a) 사이에는 자기적 인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제1 완구 블록(300) 및 제2 완구 블록(400)은 판형 자성체(320a, 420a)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메인 가이드 및 서브 가이드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자성체(320a, 420a)는 완전하게 회전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완구 블록(300)의 판형 자성체(320a)의 제2 면(322a)과 제2 완구 블록(400)의 판형 자성체(420a)의 제2 면(422a)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지 못할 수 있으며, 판형 자성체(320a, 420a) 사이의 자기적 인력이 극대화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제1 완구 블록(300)과 제2 완구 블록(400)은 서로 약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판형 자성체(320a, 420a)는 베이스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므로, 제1 완구 블록(300)과 제2 완구 블록(400)이 서로 어긋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00, 200)은 판형 자성체(120a, 220a)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므로, 판형 자성체(120a, 220a)의 제1 면(121a, 221a) 또는 제2 면(122a, 222a)은 베이스면(111, 2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판형 자성체(120a, 220a)의 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바라보게될 수 있다. 이에, 판형 자성체(120a, 220a) 사이의 자력이 극대화되고, 완구 블록(100, 200)의 결합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00, 200)의 베이스면(111, 211)은 판형 자성체(120a, 220a)의 제1면(121a, 221a) 또는 제2 면(122a, 222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므로, 제1 면(121a, 221a) 또는 제2 면(122a, 222a)은 베이스면(111, 211)을 실질적으로 모두 덮을 수 있으며, 판형 자성체(120a, 220a)의 자력선이 베이스면(111, 211)에 더욱 집중될 수 있다. 이에, 완구 블록(100, 200)이 서로 어긋나게 결합되는 문제가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 블록(100)은 다양한 형태의 다른 완구 블록(500)과도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완구 블록(500)은 자기장에 의해 자력을 갖게되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영구 자석으로 구성된 판형 자성체(120a)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100)이 다른 완구 블록(500)에 근접함에 따라 다른 완구 블록(500)은 자성을 띄게되며, 다른 완구 블록(500)의 표면에는 판형 자성체(120a)의 극성과 상이한 극성이 유도되어 다른 완구 블록(500)과 완구 블록(1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완구 블록(100)과 다른 완구 블록(50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자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완구 블록(100)의 외형이 다양화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다른 완구 블록(500)과 기둥형의 완구 블록(100)이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에, 완구 블록(100)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창의력 향상에 큰 도움이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완구 블록 110, 210: 메인바디
111, 112, 211: 베이스면 120a, 120b, 220a: 판형 자성체
121a, 221a: 판형 자성체의 제1 면
122a, 222a: 판형 자성체의 제2 면
130a, 130b: 가이드부
131a, 131b, 133a, 134a, 231a: 메인 가이드
132a, 132b, 232b: 서브 가이드
500: 다른 완구 블록 SS1, SS2: 수납 공간

Claims (10)

  1.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 내의 수납 공간에 위치되고, 극성이 서로 상이한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판형 자성체; 및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 자성체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이 안착되는 베이스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판형 자성체의 회전시 상기 판형 자성체의 측면의 회전 곡면에 대응되도록 아치형으로 연장된 메인 가이드; 및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면이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측면과 평행한 서브 가이드를 포함하는, 완구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 및 상기 서브 가이드는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완구 블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면은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완구 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자성체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원형인, 완구 블록.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의 연장면은 상기 서브 가이드의 연장면과 연결되는, 완구 블록.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11505A 2019-01-29 2019-01-29 완구 블록 KR102136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05A KR102136658B1 (ko) 2019-01-29 2019-01-29 완구 블록
US16/436,751 US10722809B1 (en) 2019-01-29 2019-06-10 Toy block
JP2019108401A JP6759419B2 (ja) 2019-01-29 2019-06-11 玩具ブロック
CN201910538261.1A CN111481947B (zh) 2019-01-29 2019-06-20 玩具积木
CN201920934957.1U CN210205893U (zh) 2019-01-29 2019-06-20 玩具积木
EP19185458.7A EP3689430B1 (en) 2019-01-29 2019-07-10 Toy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505A KR102136658B1 (ko) 2019-01-29 2019-01-29 완구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658B1 true KR102136658B1 (ko) 2020-07-22

Family

ID=6722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505A KR102136658B1 (ko) 2019-01-29 2019-01-29 완구 블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22809B1 (ko)
EP (1) EP3689430B1 (ko)
JP (1) JP6759419B2 (ko)
KR (1) KR102136658B1 (ko)
CN (2) CN1114819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2321S1 (en) * 2019-01-29 2020-11-17 Gymworld Inc. Toy block
KR102136658B1 (ko) * 2019-01-29 2020-07-22 (주)짐월드 완구 블록
US11224821B2 (en) * 2019-06-24 2022-01-18 LaRose Industries, LLC Shell-within-a-shell magnetic toy construction block
US11207609B2 (en) * 2019-06-27 2021-12-28 LaRose Industries, LLC Magnetic toy construction block with ring-type magnet
CN111370200A (zh) * 2020-04-15 2020-07-03 杭州思创磁性器件有限公司 一种全维度自由吸合磁路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B2 (ko) 1982-05-11 1988-01-05 Iseki Agricult Mach
JPH081387U (ja) * 1991-09-19 1996-09-13 宗之 齊藤 反転磁石内蔵式結合体
KR101168139B1 (ko) * 2012-01-13 2012-07-24 한광식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KR20180044593A (ko) * 2016-10-24 2018-05-03 채상택 자석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9207A (ja) * 1986-06-28 1988-05-23 Masami Yokoyama 物体取付磁力面のn.s反転方法
US5362271A (en) * 1991-10-24 1994-11-08 Butt Sandra L Magnetic playthings
JP3069505U (ja) * 1999-12-08 2000-06-23 株式会社誠文社 教材用磁石入りブロック
SE514023C2 (sv) * 1999-12-21 2000-12-11 Brio Ab Magnetkopplingsanordning på ett leksaksfordon
US6749480B1 (en) * 2002-11-27 2004-06-15 Larry Dean Hunts Device for connecting plural multi-shaped bodies utilizing magnets
NZ541034A (en) * 2003-01-14 2007-06-29 Orda Korea Co Joining apparatus with rotatable magnet therein and built-up type toy with the same
US7413493B2 (en) * 2004-01-27 2008-08-19 Rc2 Brands, Inc. Magnetic building block
FR2866933B1 (fr) * 2004-02-27 2008-10-03 Jean Pierre Hardouin Procede d'accouplement magnetique et dispositifs le mettant en oeuvre
US7985116B2 (en) * 2006-09-13 2011-07-26 Edtoy Co., Ltd. Piece with magnets for building a toy
ITMI20061958A1 (it) 2006-10-12 2007-01-11 Claudio Vicentelli Set di blocchi per la costruzione di giochi
KR101027913B1 (ko) * 2009-03-30 2011-04-12 주식회사 에드토이 장난감 조립용 블록
KR101147394B1 (ko) * 2009-12-18 2012-05-22 주식회사 오르다코리아 자석장착용 부품 및 자석완구
KR20120094760A (ko) * 2011-02-17 2012-08-27 이재원 종이상자로 감싸는 스티로폼블럭에 자석을 내장한 블럭완구
HK1161511A2 (en) * 2011-06-03 2012-07-27 Hop Lee Cheong Ind Company Ltd Magnetic toy block
KR101168142B1 (ko) * 2012-01-13 2012-07-24 한광식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KR101421585B1 (ko) * 2012-08-09 2014-07-22 김태석 자석 연결부재를 구비한 조립식 완구
KR101384081B1 (ko) * 2013-02-15 2014-04-09 정 석 윤 자석 블록 완구
IT201600110762A1 (it) * 2016-11-03 2018-05-03 Geomagworld S A Blocco magnetico per la composizione di assiemi per giochi
CN208176978U (zh) * 2018-01-19 2018-12-04 漳州市安莉高分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磁性的多功能积木
JP2018183679A (ja) 2018-08-30 2018-11-22 株式会社バンダイ 組み立て式玩具
KR102136658B1 (ko) * 2019-01-29 2020-07-22 (주)짐월드 완구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B2 (ko) 1982-05-11 1988-01-05 Iseki Agricult Mach
JPH081387U (ja) * 1991-09-19 1996-09-13 宗之 齊藤 反転磁石内蔵式結合体
KR101168139B1 (ko) * 2012-01-13 2012-07-24 한광식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KR20180044593A (ko) * 2016-10-24 2018-05-03 채상택 자석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38189A1 (en) 2020-07-30
JP6759419B2 (ja) 2020-09-23
EP3689430A1 (en) 2020-08-05
US10722809B1 (en) 2020-07-28
CN111481947B (zh) 2022-07-19
EP3689430B1 (en) 2021-12-01
JP2020121098A (ja) 2020-08-13
CN210205893U (zh) 2020-03-31
CN111481947A (zh)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658B1 (ko) 완구 블록
US8424162B2 (en) Multi-position magnetic detents
EP2759324B1 (en) Sawtooth structure and toy block comprising the structure
US20100248586A1 (en) Hobby vehicle track system
KR101468130B1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블럭 완구
KR101339200B1 (ko) 조립식 완구의 자석 장착구조
JP2014090574A (ja) 永久磁石を位置決めするための突起を有する回転子及びそのような回転子を備える電動機
KR20110126909A (ko) 이중 착자 자석이 내장된 조립완구 유닛
KR101334775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JP6369983B2 (ja) 操作感触可変式操作装置
JP2017077495A (ja) 一種のマグネットブロック
KR20160150441A (ko) 조립식 완구
KR101275716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석완구
KR102018601B1 (ko) 조립형 교구 블록
KR101168142B1 (ko)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KR20150055731A (ko) 모터의 로터
KR101168139B1 (ko) 자석회전시스템을 가진 자석완구용 하우징
JP740622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2040950B1 (ko) 삼각기둥형 매직큐브
JP2005147203A (ja) 案内装置
KR20240033801A (ko) 자석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자석 완구
TWM458651U (zh) 燈管插座之導電片限位結構
CN111083251B (zh) 滑动助力装置
JP6634341B2 (ja) 直動電動機
JP2598613B2 (ja) 有極電磁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