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20B1 -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20B1
KR102133120B1 KR1020190034015A KR20190034015A KR102133120B1 KR 102133120 B1 KR102133120 B1 KR 102133120B1 KR 1020190034015 A KR1020190034015 A KR 1020190034015A KR 20190034015 A KR20190034015 A KR 20190034015A KR 102133120 B1 KR102133120 B1 KR 10213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pports
block
connectio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혜원
Original Assignee
정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원 filed Critical 정혜원
Priority to KR102019003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폴딩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각각의 육면체 블록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경우 연결부위에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 서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DUAL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폴딩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각각의 육면체 블록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경우 연결부위에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 서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진 휴대단말로서, 인터넷 접속능력 및 데이터 처리속도가 우수하여 이동하면서 동영상 관람 및 인터넷 서핑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보다 넓은 면적의 화면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점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커지면서 대면적화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었으나, 반면에 일반적인 음성통화를 하거나 휴대 또는 보관할 경우에는 대형화된 단말 크기가 사용에 불편을 주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폴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서로 다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서로 연결할 경우 연결부위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용되지 않아 서로 다른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서로 이어지지 않고 끊어져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6689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폴딩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각각의 육면체 블록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경우 연결부위에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 서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및 제2 블록 라인,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3 및 제4 블록 라인,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 각각의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내지 제4 지지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육면체 블록은 각각 상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체인에 마련된 톱니가 걸릴 수 있는 걸림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 각각의 중앙부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관통 홀에 탄성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 각각의 상하좌우면에는 자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체인, 상기 제3 및 제4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체인,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체인,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4 연결체인 및 상기 제3 지지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5 연결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체인에 의해, 상기 제1 블록 라인이 상기 제2 블록 라인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지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연결체인에 의해, 상기 제3 블록 라인이 상기 제4 블록 라인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4 지지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방향으로 90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제3 연결체인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이 서로 간격이 벌어지지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 각각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1단과 2단 사이에 위치되고, 제3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3단과 4단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4 및 제5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2단과 3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의 위치 순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길이를 따라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1단과 2단 사이, 2단과 3단 사이, 3단과 4단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육면체 블록은 각각 측면 모서리가 일정 각도로 만곡되도록 라운드(ROUND)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폴딩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예컨대, 스마트폰 등)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각각의 육면체 블록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경우 연결부위에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 서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표시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의 육면체 블록의 상하좌우면에 자성체가 마련됨에 따라,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펼치거나 폴딩할 경우 펼쳐진 상태라 폴딩 상태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1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1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10)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을 형성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체인(17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170a, 170b, 170c, 170d, 170e)의 연결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170a, 170b, 170c, 170d, 170e)이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 간의 회전 및 위치변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100)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100)는 크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 및 연결체인(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는 화면 출력이 가능한 일반적인 모니터 장치가 될 수도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는 폴딩된 상태를 기준으로 안쪽면에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 각각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가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111, 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는 각각 관통홀(111, 121)에 삽입되며, 후술되는 제1 및 제3 블록 라인(130, 150)과 연결되기 위한 고정축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연결체인(170)의 내측에 마련되는 톱니와 걸릴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중앙부에는 관통 홀이 형성됨에 따라 해당 관통홀에는 탄성체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되는 도 5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은 각각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10)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에는 각각 21개~23개의 육면체 블록(10)이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육면체 블록(10)의 경우 각각 상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육면체 블록(10)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1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육면체 블록(10)은 정육면체 형태를 가지되, 측면 모서리는 일정 각도로 만곡되도록 라운드(ROUND) 처리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육면체 블록(10)이 회전함에 있어 인접하는 육면체 블록과 간섭이 줄어들게 되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육면체 블록(10)의 상하좌우면에는 각각 자성체(11)가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데, 각각의 자성체(11)에 의해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의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육면체 블록(10)들이 서로 일렬로 정합될 수 있다.
또한, 육면체 블록(10)의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가 삽입됨에 따라, 하나의 지지체에는 적어도 21개 이상의 육면체 블럭(10)이 수직방향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는 도 4와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육면체 블록(10)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을 형성한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제1 블록 라인(130)은 제1 지지체(130a)에 적어도 21개 이상의 육면체 블록(10)이 수직방향으로 끼워진 하나의 라인을 의미하게 되며, 나머지 제2 내지 제4 블록 라인(140, 150, 160)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는 도 1에서 살펴본 육면체 블록(10)이 적어도 21개 이상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외측면으로는 연결체인에 마련된 톱니가 걸릴 수 있는 걸림 홈이 형성된다.
또한, 중앙부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관통 홀에는 각각 탄성체가 삽입되는데, 탄성체에 의해 후술되는 연결체인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연결체인(170)은 제1 및 제2 블록 라인(130, 140)에 각각 포함된 제1 및 제2 지지체(130a, 140a)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체인(170a)과, 제3 및 제4 블록 라인(150, 160)에 각각 포함된 제3 및 제4 지지체(150a, 160a)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체인(170b)과,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체인(170c)과, 제1 지지체(130a)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를 서로 연결하는 제4 연결체인(170d)과, 제3 지지체(150a)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20a)를 서로 연결하는 제5 연결체인(170e)를 포함한다. 이에 관해서는 도 2와 도 6을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결체인(170)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살펴보면, 제1, 제2, 제4, 제5 연결체인(170a, 170b, 170d, 170e)은 길쭉한 고리 형태를 가지며, 내측에는 톱니가 형성된다. 이러한 톱니가 상술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 120a),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 홈과 결합되게 된다.
제3 연결체인(170c)은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내측에는 톱니가 형성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170a, 170b, 170c, 170d, 170e)의 연결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제1 및 제2 블록 라인(130, 140)의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지지체(130a, 140a)에는 각각 제1 연결체인(170a)이 연결됨을 알 수 있고, 제3 및 제4 블록 라인(150, 160)의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및 제4 지지체(150a, 160a)에는 각각 제2 연결체인(170b)이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블록 라인(130)과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중앙부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지지체(130a)와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에는 제4 연결체인(170d)가 연결되고, 제3 블록 라인(150)과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중앙부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지지체(150a)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20a)에는 제5 연결체인(170e)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a, 140, 150, 160)의 중앙부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내지 제4 지지체(130a, 140a, 150a, 160a)에는 제3 연결체인(170c)가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170a, 170b, 170c, 170d, 170e)의 위치는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170a, 170b, 170d, 170d, 170e)이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살펴보면, 제1 및 제2 연결체인(170a, 170b)은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1단과 2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제4 및 제5 연결체인(170d, 170e)은 상측 2단과 3단 사이에 위치되며, 제3 연결체인(170c)은 상측 3단과 4단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기준으로 제1 및 제2 연결체인-> 제4 및 제5 연결체인-> 제3 연결체인의 순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순서는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되게 된다.
다음으로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가 폴딩된 상태에서 펼쳐질 때의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가 펼쳐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130, 140, 150, 160)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 간의 회전 및 위치변경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살펴보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를 펼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삽입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삽입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2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와 제1 연결체인(170a)을 통해 연결된 제1 지지체(130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20a)와 제2 연결체인(170b)을 통해 연결된 제3 지지체(15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블록 라인(130)에 위치하는 육면체 블록은 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하게 되고, 제3 블록 라인(150)에 위치하는 육면체 블록은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블록 라인(130) 및 제3 블록 라인(150)에 위치하는 각각의 육면체 블록(10)은 모두 측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의 화면이 끊어지지 않고 다수의 육면체 블록(10)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함께 이어지게 된다.
반대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를 폴딩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삽입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삽입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20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10a)와 제1 연결체인(170a)을 통해 연결된 제1 지지체(13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120a)와 제2 연결체인(170b)을 통해 연결된 제3 지지체(150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블록 라인(130)에 위치하는 육면체 블록은 반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하게 되고, 제3 블록 라인(150)에 위치하는 육면체 블록은 시계방향으로 모두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10, 120)의 펼쳐짐과 폴딩 동작에 따라, 제1 및 제3 블록 라인(130, 150)에 포함된 다수의 육면체 블록(10)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펼쳤을 경우 연결부위에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의 상에 표현되는 화면이 서로 끊어지지 않고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육면체 블록
11: 자성체
100: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110: 제1 디스플레이 장치
110a: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
120: 제2 디스플레이 장치
120a: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
130, 140, 150, 160: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
130a, 140a, 150a, 160a: 제1 내지 제4 지지체
170: 연결체인
170a, 170b, 170c, 170d, 170e: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

Claims (10)

  1.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제1 및 제2 블록 라인;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3 및 제4 블록 라인;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 각각의 중앙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내지 제4 지지체; 및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를 연결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블록은,
    각각 상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연결체인에 마련된 톱니가 걸릴 수 있는 걸림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와,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 각각의 중앙부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며, 각각의 관통 홀에 탄성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육면체 블록 각각의 상하좌우면에는 자성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체인;
    상기 제3 및 제4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체인;
    상기 제1 내지 제4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3 연결체인;
    상기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4 연결체인; 및
    상기 제3 지지체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지지체를 서로 연결하는 제5 연결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체인에 의해, 상기 제1 블록 라인이 상기 제2 블록 라인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2 지지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방향으로 90도 각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연결체인에 의해, 상기 제3 블록 라인이 상기 제4 블록 라인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4 지지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방향으로 90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제3 연결체인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이 서로 간격이 벌어지지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 각각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1단과 2단 사이에 위치되고,
    제3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3단과 4단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4 및 제5 연결체인은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2단과 3단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의 위치 순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길이를 따라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블록 라인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1단과 2단 사이, 2단과 3단 사이, 3단과 4단 사이에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5 연결체인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면체 블록은,
    각각 측면 모서리가 일정 각도로 만곡되도록 라운드(ROUND)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KR1020190034015A 2019-03-26 2019-03-26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KR10213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15A KR102133120B1 (ko) 2019-03-26 2019-03-26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15A KR102133120B1 (ko) 2019-03-26 2019-03-26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120B1 true KR102133120B1 (ko) 2020-07-10

Family

ID=7160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15A KR102133120B1 (ko) 2019-03-26 2019-03-26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120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191A (ko) * 2007-10-09 2009-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KR20110119411A (ko) * 2010-04-27 2011-11-02 김홍국 듀얼 힌지 소켓
KR20120001015U (ko) * 2010-08-03 2012-02-13 신두일 분리결합이 가능한 회전식 듀얼 휴대 단말기
KR20120066894A (ko) 2010-12-15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생활 정보 보호 방법
KR20120072627A (ko) * 2010-12-24 2012-07-04 이치원 듀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US20140213324A1 (en) * 2013-01-25 2014-07-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KR20160107940A (ko) * 2015-03-06 2016-09-19 (주)제이엠씨 단일면 폴딩장치
KR20160108182A (ko) * 2015-03-05 2016-09-1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KR20170000784A (ko) * 2015-06-24 2017-01-03 임경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WO2017126886A1 (ko) * 2016-01-18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70102686A (ko) * 2016-03-02 2017-09-12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6191A (ko) * 2007-10-09 2009-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KR20110119411A (ko) * 2010-04-27 2011-11-02 김홍국 듀얼 힌지 소켓
KR20120001015U (ko) * 2010-08-03 2012-02-13 신두일 분리결합이 가능한 회전식 듀얼 휴대 단말기
KR20120066894A (ko) 2010-12-15 2012-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생활 정보 보호 방법
KR20120072627A (ko) * 2010-12-24 2012-07-04 이치원 듀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단말기 및 이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US20140213324A1 (en) * 2013-01-25 2014-07-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KR20160108182A (ko) * 2015-03-05 2016-09-1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KR20160107940A (ko) * 2015-03-06 2016-09-19 (주)제이엠씨 단일면 폴딩장치
KR20170000784A (ko) * 2015-06-24 2017-01-03 임경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WO2017126886A1 (ko) * 2016-01-18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70102686A (ko) * 2016-03-02 2017-09-12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3210B2 (en) Folding device of foldable displa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601837B1 (ko) 힌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988810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908652B2 (en) Modular hinge for a computing device
US2017002706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7408362B (zh) 可弯折移动终端
JP6673368B2 (ja) ヒンジ及び電子機器
US20180329460A1 (en) Flexible hinge device having cam structure
CN102387684A (zh) 电子设备
CN105283004A (zh) 可折叠的电子装置及限位结构
TW201601304A (zh) 可撓式顯示面板
US9580948B2 (en) Connecting system of multi-sectio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at connecting system
CN108109528B (zh) 柔性显示装置
CN112599577B (zh) 一种显示屏组件以及电子装置
CN109915714B (zh) 支撑结构及显示装置
US9826647B2 (en) Connecting system of multi-sectio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at connecting system
KR102133120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구조
US20160337639A1 (en) Projection apparatus
CN211653537U (zh) 电子设备
CN113497843B (zh) 一种可折叠移动终端
Alibage et al. Nokia phones: From a total success to a total fiasco: A study on why Nokia eventually failed to connect people, and an analysis of what the new home of Nokia phones must do to succeed
JP2015050554A (ja) 携帯情報端末用カバー
CN106339189A (zh) 基于弯曲显示屏的内容加载方法、内容加载装置和用户设备
US10177801B2 (en) Flip device case
US11710936B2 (en)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