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782B1 -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82B1
KR102131782B1 KR1020190099367A KR20190099367A KR102131782B1 KR 102131782 B1 KR102131782 B1 KR 102131782B1 KR 1020190099367 A KR1020190099367 A KR 1020190099367A KR 20190099367 A KR20190099367 A KR 20190099367A KR 102131782 B1 KR102131782 B1 KR 10213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ed
cargo
height adjustm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월순
Original Assignee
김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월순 filed Critical 김월순
Priority to KR1020190099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06Power actuated devices operating on ropes, cables, or chains for hauling in a mainly horizont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08Arrangements of she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1Hau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6Pulleys, sheaves, pulley blocks or their mounting
    • B66D2700/028Pulley blocks with multiple sh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이동부재,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홀에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체결부재,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 드럼의 외주연에 권취 및 권출되는 와이어, 와이어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화물을 인양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되어있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끌어당기는 반출부, 상기 반출부의 와이어를 가이드하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반출이 필요한 컨테이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경제적이며, 화물차에 탑재된 컨테이너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이동시켜, 화물이 용이하게 반출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Apparatus for Carrying out container of cargo}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에 탑재된 컨테이너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이동시켜, 화물이 용이하게 반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화물차에 탑재된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다수 개의 화물을 반출하기 위해, 작업자가 직접 컨테이너 내부에 들어가서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끌어놓고, 지게차가 이를 필요장소로 운반하였다.
작업자가 직접 인력으로 컨테이너 깊숙이 적재된 화물을 입구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이 과장에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화물을 끌고 이동시키는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960737호에는, 화물수송용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인가된 유압을 받아 작동하여 컨테이너 내의 화물을 컨테이너 외부로 밀어내는 것으로서, 컨테이너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받아들이는 연결포트와, 상기 연결포트에 이어지며 컨테이너 내부로 연장된 유압호스와, 상기 유압호스를 통해 전달된 유압를 받아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화물을 컨테이너 외부로 가압 이송시키는 가압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출장치는,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되어 화물을 반출하는 것으로, 초기비용이 많이들고, 작업장에서 널리 사용되기에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960737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컨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홀에 체결가능한 체결부재를 마련하여, 컨테이너에 안정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필요에 따라 반출이 필요한 컨테이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경제적인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이동부재,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홀에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체결부재,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 드럼의 외주연에 권취 및 권출되는 와이어, 와이어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화물을 인양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되어있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끌어당기는 반출부, 상기 반출부의 와이어를 가이드하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하부측 사이공간에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지지봉과, 상기 고정지지봉에 장착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사이공간에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높이조절되는 승하강지지봉과, 상기 승하강지지봉에 장착되는 승하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내장되되,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회전가능한 트위스트락과, 상기 트위스트락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트위스트락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반출이 필요한 컨테이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경제적이며, 화물차에 탑재된 컨테이너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이동시켜, 화물이 용이하게 반출될 수 있도록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를 포함하는 반출부를 활용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반출함으로써 안전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인출하는 와이어의 각도를 조절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본체에 상부작업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례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1000)는, 본체(100), 체결부재(200), 반출부(300), 가이드부(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화물은 반출되어질 때, 상기 컨테이너를 운반한 화물차에 안착된 상태로 반출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10)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용이하게 끌어당기기 위해, 상기 본체(100)도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본체(1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작업대(140)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부 끝단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작업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후술할 체결부재(200)가 높이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하부작업대(14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요소로,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4개의 수직프레임을 마련하였으며,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은 상기 하부작업대 및 상부작업대의 네 모서리에 각각 결합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작업대(140)는, 무게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표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작업대의 상면에는 후술할 반출부(30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이동부재(180)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의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4개의 수직프레임(120)의 저면에는 각각 이동부재(180)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쉽게 상기 본체(100)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화물 반출장치(1000)는, 상기 컨테이너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반출이 필요한 컨테이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므로, 상기 이동부재는 필수요소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도면미도시)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00)가 이동 또는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상기 컨테이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철제구조물로서, 컨테이너의 상하면의 각 네 모서리에는, 고정홀이 형성된 코너캐스팅이 용접되어있으며, 상기 코터캐스팅은,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을 위해 승하강하는데 사용되거나, 컨테이너들을 상호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이러한 고정홀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컨테이너 화물 반출장치(1000)가 상기 컨테이너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도1을 기준으로,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1000)의 좌측을 전방이라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200),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별도의 사각파이프를 결합한뒤, 상기 사각파이프에 결합되어지거나,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질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는, 몸체프레임(220)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내장되되, 헤드부가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회전가능한 트위스트락(240)과, 상기 트위스트락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트위스트락을 회전시키는 핸들(26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프레임(22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이다.
상기 몸체프레임의 공간부에는, 상기 트위스트락(240)이 결합되되, 상기 트위스트락의 헤드부(242)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상기 헤드부(242)는, 상기 컨테이너의 고정홀에 삽입되고, 상기 트위스트락이 회전되면 상기 고정홀에 고정되는 요소이다.
상기 헤드부(242)는 수평단면은, 장방형의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단면은,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상되어, 상기 트위스트락의 상부가 상기 고정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홀도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고정홀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도록 마련되되, 헤드부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고정홀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장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어야 한다.
이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핸들이 관통되도록 장공의 관통홀이 형성되어있어서, 작업자는 상기 핸들을 조작하여 상기 트위스트락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위스트락은, 작업자가 핸들을 조작하는 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탄성부재과 같은 여러 부재가 내부에 결합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미 관용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트위스트락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트위스트락의 외주연에 핸들이 결합되어있다고 하였으나, 이는 실시례에 불과하며, 상기 트위스트락을 자동/반자동으로 회동시키는 버튼 등으로 대체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본체에 하나의 체결부재를 결합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재가 결합되어 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사각파이프 또는 지지프레임의 전면에는 사각파이프 또는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도면미도시)이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레일을 따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와 레일에는 각각 등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작업자는 별도로 마련된 고정핀을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레일에 형성된 고정구를 모두 관통하여 삽입 체결함으로서 상기 체결부재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일에서 고정되거나 이동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재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본체를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화물이 용이하게 인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의 입구측으로 옮겨진 화물을 지게차가 픽업해 가는 작업을 할 경우,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지게차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게차작업이 끝난 이후, 곧바로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을 다시 입구측으로 반출하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반출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컨테이너(10) 내부에 적재되어있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출부(300)는, 구동모터(320), 드럼(340), 와이어(360), 인양고리(3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320) 및 드럼(340)은 하부작업대(14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20)는, 상기 드럼(340)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와이어(36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는 요소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에는 감속기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며, 구도모터와 감속기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드럼(340)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외주연에 와이어(360)가 권취되어있는 요소이다.
상기 드럼은 원통형상의 외주연을 가지며, 외주연에 와이어가 나란하게 감겨져, 권취 또는 권출되어 와이어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와이어(360)의 일단은, 상기 드럼(340)의 외주연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인양고리(380)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파레트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끌어당기게 된다.
상기 인양고리(380)는,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파레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파레트 상부에 적재된 화물을 상기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와이어(360)를 가이드하는 요소이다.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방측에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420)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하부측 사이공간에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지지봉(440)과, 상기 고정지지봉에 장착되는 고정롤러(442)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사이공간에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높이조절되는 승하강지지봉(460)과, 상기 승하강지지봉에 장착되는 승하강롤러(462)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42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대향되게 마련된다.
상기 높이조절프레임(420)은,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동일하게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프레임(120)보다 상부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되어진다.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의 하부측 사이공간에는 고정지지봉(44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지지봉(440)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중앙에 공회전가능하도록 고정롤러(442)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지지봉(440)은, 상기 드럼(340)의 최하단지점보다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드럼에서 권취 및 권출되어지는 와이어를 용이하게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지지봉 및 상기 승하강지지봉에 장착된 승하강롤러는,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결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의 내측 대향면에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장공(422)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하가지지봉은 상기 장공을 홀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하강지지봉의 양끝단부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레크기어(도면미도시)가 결합되고, 상기 레크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내면에는 피니언기어(도면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 및 승하강지지봉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손잡이(464)와 결합되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464)를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하강지지봉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으로부터 권취 및 권출되어지는 와이어는 1차로 고정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2차로 승하강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화물이 적재된 파레트와 결합되어, 상기 파레트를 인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승하강롤러는, 상기 승하강지지봉이 승하강가능하도록 조절됨에 따라 승하강되어지므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승하강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고정롤러와 승하강롤러는 지지프레임 사이공간에 설치되므로, 상기 상부작업대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작업대는 필수구성이 아니므로, 상기 승하강지지봉이 높낮이 조절되는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생략되어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롤러와 승하강롤러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공회전하게 마련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와이어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외부로 이탈되지않고 상기 수용홈에 안착되어 권취 및 권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상부에는 손잡이(도면미도시)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100:본체
120:수직프레임
140:하부작업대
160:상부작업대
180:이동부재
200:체결부재
220:몸체프레임
240:트위스트락
242:헤드부
260:핸들
300:반출부
320:구동모터
340:드럼
360:와이어
380:인양고리
400:가이드부
420:높이조절프레임
422:장공
440:고정지지봉
442:고정롤러
460:승하강지지봉
462:승하강롤러
464:손잡이

Claims (3)

  1.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이동성을 부여하는 이동부재;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홀에 체결 또는 분리됨으로써 상기 본체를 상기 컨테이너에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체결부재;
    상기 본체에 결합되되,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 드럼의 외주연에 권취 및 권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화물을 인양하는 인양고리를 포함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되어있던 화물을 컨테이너 입구측으로 끌어당기는 반출부; 및
    상기 반출부의 와이어를 가이드하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하부측 사이공간에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지지봉과,
    상기 고정지지봉에 장착되는 고정롤러와,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사이공간에 상기 높이조절프레임과 직교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높이조절되는 승하강지지봉과,
    상기 승하강지지봉에 장착되는 승하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프레임의 내측 대향면에는 높이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지지봉은 상기 장공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승하강지지봉의 양끝단부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길게 레크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레크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의 내부에는 피니언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레크기어 및 승하강지지봉이 승하강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레일이 결합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체결부재가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체결부재 및 레일에는 각각 등간격 이격되게 다수 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에 고정핀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가 선택적으로 상기 레일에서 고정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부재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내장되되,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회전가능한 트위스트락과, 상기 트위스트락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상기 트위스트락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KR1020190099367A 2019-08-14 2019-08-14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KR10213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67A KR102131782B1 (ko) 2019-08-14 2019-08-14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67A KR102131782B1 (ko) 2019-08-14 2019-08-14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782B1 true KR102131782B1 (ko) 2020-07-08

Family

ID=7160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367A KR102131782B1 (ko) 2019-08-14 2019-08-14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7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7678A (zh) * 2021-06-29 2021-11-02 王依如 一种多功能腿部康复训练器
WO2022061503A1 (zh) * 2020-09-22 2022-03-31 葛慰慈 一种临时吊机简易支架
CN114572710A (zh) * 2022-03-18 2022-06-03 操朋 一种机械自动化卸货***及卸货方法
CN115231178A (zh) * 2022-08-05 2022-10-25 深圳远荣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货物整形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735A (ja) * 1991-10-31 1993-05-21 Nippon Petrochem Co Ltd 荷下ろし装置
KR20110064228A (ko) * 2009-12-07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운송 장치
KR20180006774A (ko) * 2016-07-11 2018-0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윈치의 케이블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1960737B1 (ko) 2017-09-20 2019-03-2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735A (ja) * 1991-10-31 1993-05-21 Nippon Petrochem Co Ltd 荷下ろし装置
KR20110064228A (ko) * 2009-12-07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운송 장치
KR20180006774A (ko) * 2016-07-11 2018-01-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윈치의 케이블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1960737B1 (ko) 2017-09-20 2019-03-2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1503A1 (zh) * 2020-09-22 2022-03-31 葛慰慈 一种临时吊机简易支架
CN113577678A (zh) * 2021-06-29 2021-11-02 王依如 一种多功能腿部康复训练器
CN114572710A (zh) * 2022-03-18 2022-06-03 操朋 一种机械自动化卸货***及卸货方法
CN114572710B (zh) * 2022-03-18 2023-10-13 天津汇之禧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机械自动化卸货***及卸货方法
CN115231178A (zh) * 2022-08-05 2022-10-25 深圳远荣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货物整形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782B1 (ko) 컨테이너용 화물 반출장치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US8919079B2 (en) Tarp loa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1020778A (ja) 物品保管設備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CN210619925U (zh) 一种建筑施工用物料提升装置
JP4981754B2 (ja) 荷吊り装置
KR101532774B1 (ko) 유리판재 적재물 하역장치
JP2019014499A (ja) シート掛け補助装置
KR102360149B1 (ko) 슬링 재단을 위한 이송 및 리프트장치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KR200494059Y1 (ko) 지게차 부착용 화물승강장치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JP2009274863A (ja) 昇降装置及び該昇降装置を用いる貨物積替え方法
US4714273A (en) Vehicle for transporting elongated objects
KR101467108B1 (ko) 다기능 곤돌라
KR101670614B1 (ko)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JP7101098B2 (ja) 荷物の引寄せ装置及び引寄せ方法
JP3241864B2 (ja) 壁の建て起こし装置
US2671530A (en) Portable elevator
JP7446505B1 (ja) 部材運搬装置、及び部材運搬方法
JP3136114U (ja) 脱着車輌
CN215047927U (zh) 一种设备吊具
JP2849992B2 (ja) スキッド挿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