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594B1 -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594B1
KR102131594B1 KR1020190111407A KR20190111407A KR102131594B1 KR 102131594 B1 KR102131594 B1 KR 102131594B1 KR 1020190111407 A KR1020190111407 A KR 1020190111407A KR 20190111407 A KR20190111407 A KR 20190111407A KR 102131594 B1 KR102131594 B1 KR 10213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foam
mold
buffer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남건
이성구
서춘교
김민수
김철성
김경근
이준경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19011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7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upholstery or upholstery 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다층 이경도(異硬度) 완충체에 관한 것으로, 완충체 본체를 형성하는 발포체(10) 상부에, 한쌍의 표층망(61) 사이에 다수의 지지사(62)가 구성되는 다중망(60)이 적층되어, 발포체(10)와 다중망(60)이 각각 경질부와 연질부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자동차 시트용 다층 이경도 완충체에 고도의 통기성 및 복원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자동차 시트의 쾌적성 및 안락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MESH LAYERED CAR SEAT CUSHION HAVING DIFFERENT HARDNESSES}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사용되는 다층 이경도(異硬度) 완충체에 관한 것으로, 완충체 본체를 형성하는 발포체(10) 상부에, 한쌍의 표층망(61) 사이에 다수의 지지사(62)가 구성되는 다중망(60)이 적층되어, 발포체(10)와 다중망(60)이 각각 경질부와 연질부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다층 이경도 완충체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경도(硬度)가 상이한 발포합성수지 성형물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완충체로서, 주로 자동차 좌석용 완충체 등에 적용되며, 완충체의 기반 및 외곽 골조 등을 형성하는 경질부 상면에 연질부를 적층함으로써, 완충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착석시 체중이 집중되는 좌석 상면 중앙부는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다층 이경도 완충체는 하층의 경질부와 상층의 연질부를 각각 별도로 성형한 후, 접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발포합성수지의 특성상 표면 접착이 어려울 뿐 아니라, 사용 과정에서 경도가 상이한 양 층이 변형 및 복원을 반복함에 따라 접착면 조직이 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흡수성이 우수한 다공체인 발포합성수지의 특성상 도포 즉시 접착제가 흡수되면서 접착력이 상실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량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다량의 접착제를 흡수한 발포합성수지 조직이 경화되면서 고유의 신축성을 상실할 수 있고, 설령 완충체의 연질부 및 경질부 층간 접착면이 형성된다 하여도 탄성계수가 상이한 양 층이 반복 변형되는 과정에서 접착면 및 주변 발포합성수지 조직이 와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경질부와 연질부를 각각 별도의 금형으로 성형하는 방식은 공정 및 품질관리를 복잡화하고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는데 특히, 자동차 시트용 완충체를 비롯한 합성수지 발포성형 제품은 다수의 금형이 컨베이어(conveyor)에 의하여 순환 이송되고 다수의 주입장치, 오븐(oven) 및 취출장치 등을 통과하면서 원료 주입, 발포, 경화 및 탈형에 이르는 전체 공정이 연속 수행되는 연속 발포 성형 설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경질부와 연질부의 개별 제작 및 조립 방식은 단순히 금형의 추가만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별도의 연속 발포 성형 설비를 추가로 증설함으로써 적용 가능한 것이므로, 막대한 시설비용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
이에, 금형 내부 공간을 상, 하로 분할하는 부직포를 금형 내부에 삽입한 후 부직포 상측 및 하부 공간에 각각 연질부용 원료와 경질부용 원료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공개특허 제2013-27799호가 개발되었으며, 이로써 발포합성수지의 성형과 동시에 부직포를 매개로 하는 층간 부착이 진행됨에 따라 전술한 접착체 도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2013-27799호를 비롯한 부직포 삽입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우선, 원료의 투입, 합형, 가열 및 발포에 이르는 합성수지 발포성형의 전과정에 걸쳐 금형내 부직포의 위치와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완제품의 정밀도 확보 및 긴밀한 층간 접착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합성수지의 발포성형과정에서 액상의 합성수지가 부직포에 함침되어 과도하게 경화되거나, 성형의 완료 즉, 발포성형 합성수지가 팽창하여 부직포에 도달한 후에도 통기성 소재인 부직포의 특성상 경질부와 연질부간 발포가스의 불필요한 교환 현상이 발생되어 성형물의 부분 함몰 또는 과팽창 등의 불량이 빈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포성형의 전과정에서 금형 내부에 부직포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지지핀 또는 지지 클립 등 부직포 고정을 위한 다양한 고정수단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들 고정수단은 완충체에 매입될 수 밖에 없으므로, 촉감 및 탄력성 등 완성된 완충체의 기본적 성능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완충체를 구성하는 경질부와 연질부를 단일 금형으로 성형하되, 금형내 공간을 상, 하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좌, 우로 분할하여, 분할된 양측 공간에 각각 경질부 및 연질부를 성형하고, 분할된 양측 공간 사이의 연결부에서 양측 발포합성수지가 긴밀하게 혼합되면서 연결되도록 하여, 일단 전개 상태의 단일 완충체를 성형한 후, 이들 단일 완충체를 절첩함으로써 비로소 하층의 경질부와 상층의 연질부가 중첩된 다층 이경도 완충체를 완성하는 공개특허 제2015-64813호가 개발되었으며, 이로써 층간 도포되는 접착제는 물론 부직포 등의 삽입물 없이도 다층 이경도 완충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2015-64813호의 좌, 우 분할 금형 적용 이경도 다층 완충체는 경질층은 물론 연질층 역시 발포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바, 통기성이 부족한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다.
즉,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접촉되는 상층의 연질부에도 통기성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발포합성수지가 적용되는 바, 착석시 상층부를 통한 통풍 내지 통기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었으며, 이는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피로감을 가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5-64813호의 좌, 우 분할 금형 적용 이경도 다층 완충체는 하층의 경질부와 상층의 연질부간 접합에 있어서 접착제 및 부직포 등이 배제되는 대신 결합용 돌출부(突出部) 및 요입부(凹入部)가 상호 결속되는 방식이 도입되었으며, 이로써 접착면의 와해 또는 부직포로 인한 경직 등의 문제는 해결할 수 있게 되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도출되었다.
우선, 경질부와 연질부간 접합에 있어서 돌출부와 요입부간 체결을 활용하는 방식은 완충체의 소재인 발포합성수지의 물성상 체결 작업의 수행 및 체결 강도의 유지 등 측면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시트용 완충체의 소재인 발포합성수지는 신축성 및 복원성 등이 우수하여 본연의 기능인 충격 완화는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신축성 등의 물성이 기계적 결합에 있어서는 심각한 단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즉, 경질부와 연질부에 형성되는 돌출부 또는 요입부는 경질부와 연질부를 절첩한 상태에서 압박함으로써 돌출부가 요입부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때 소재 자체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돌출부가 자체 압축 변형되면서 요입부에 충분히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완충체의 사용과정에서 외력 또는 충격이 반복 작용함에 따라 경질부 또는 연질부 역시 변형 및 복원을 반복하면서 요입부에 결합되었던 돌출부가 인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차 시트용 다층 이경도 완충체를 단일 금형을 통하여 성형하면서도, 상층의 연질부에 고도의 통기성 및 복원성을 부여하고, 전체 완충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 안락감을 배가하며, 상층부와 하층부간 견고한 결속 또한 가능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자동차 시트용 이경도 완충체에 있어서, 하층의 경질부인 발포체(10) 상면에 상층의 연질부인 다중망(60)이 밀착 적층되어 완충체가 구성되되, 다중망(60)은 상호 이격된 한쌍의 표층망(61)에 다수의 지지사(62)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다중망(60)의 일측 단부는 발포체(10)의 전단부에 매입 고정되고, 다중망(60)의 타측 단부는 발포체(10)의 후단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이다.
또한, 상기 발포체(10)의 후단부에는 발포체(10)를 상, 하로 관통하는 체결공(17)이 절개 형성되되, 체결공(17)은 평면상 발포체(1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발포체(10) 매입부 타측의 다중망(60) 말단부가 상기 체결공(17)에 삽입 고정되되, 다중망(60) 말단부는 체결공(17)을 통과하여 발포체(10) 저면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이다.
또한, 상기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금형은 하형(30) 상부에 상형(40)이 결합되는 합형식 금형으로 구성되고, 상형(40)의 전단부와 하형(30)의 전단부에 각각 조합삽입구(26)가 형성되어,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이들 조합삽입구(26)가 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에 다중망(6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제조용 금형이다.
또한, 상기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제조용 금형에 있어서, 금형은 하형(30) 상부에 상형(40)이 결합되는 합형식 금형으로 구성되고, 상형(40)의 전단부 벽체를 관통하는 상형삽입구(46)가 형성되어,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상형삽입구(46)에 다중망(60)이 결합되거나, 또는 하형(30)의 전단부를 관통하는 하형삽입구(36)가 형성되어,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하형삽입구(36)에 다중망(6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제조용 금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자동차 시트용 다층 이경도 완충체에 고도의 통기성 및 복원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자동차 시트의 쾌적성 및 안락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층의 발포체(10)와 상층의 다중망(60)간의 견고한 층간 결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부착면 주변 조직의 와해를 방지할 수 있어, 완충체의 성능 및 내구성을 제고할 수 있다.
특히, 층간 접합에 있어서 일체의 접착 또는 융착이 배제되는 바, 완충체로서 이종 소재가 복합됨에도 불구하고 폐기시 용이한 소재별 분리 폐기가 가능하고, 따라서 재활용 또는 재사용에 유리하며,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완충체의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완충체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완충체의 다중망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완충체 제조용 금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완충체의 성형 방식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완충체의 적층 방식 설명도
도 7은 상형삽입구가 적용된 본 발명 완충체 제조 방식 설명도
도 8은 하형삽입구가 적용된 본 발명 완충체 제조 방식 설명도
도 9는 체결공이 적용된 본 발명 완충체 제조 방식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60) 적층 이경도 완충체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완충체는 자동차의 시트 즉, 좌석에 내장되며, 하층의 경질부(硬質部)인 발포체(10)와 상층의 연질부(軟質部)인 다중망(60)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또한, 시트 완충체 양 측단부의 경질 발포체(10)에는 탑승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볼스터(bolster)(18)가 시트의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이경도 완충체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의 경질부인 발포체(10) 상면에 상층의 연질부인 다중망(60)이 밀착 적층되어 완충체가 구성되되, 다중망(60)의 일측 단부는 발포체(10)의 전단부(前端部)에 매입(埋入) 고정되고, 다중망(60)의 타측 단부는 발포체(10)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즉, 완충체를 구성하는 하층 발포체(10)의 양측 볼스터(18) 사이 상면에 다중망(60)이 적층되어 다층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층부를 형성하는 다중망(6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호 이격된 한쌍의 표층망(61)에 다수의 지지사(62)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중망(60)은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망목(網目)이 단일 평면상에 배열된 단순 망체網體)가 아니라, 망목이 입체를 이루면서 상당한 두께를 형성하는 다중의 망체로서, 다중망(60)이 발포체(10) 상측 표면에 밀착 적층됨으로써, 다중망(60) 특유의 신축성 및 복원성을 통한 안락감 향상 효과와 더불어, 다중망(60)의 우수한 통기성을 바탕으로 쾌적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망(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표층망(61)이 상호 이격되되, 이들 표층망(61)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사(支持絲)(62)가 구성되는 것으로, 지지사(62)의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한쌍의 표층망(61)이 지지사(62)의 탄력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표층망(61)간 이격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사(62)는 도 3에서와 같이, 표층망(61)이 형성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며, 그 양단이 각각 양측 표층망(61)에 결속 내지 접합되되, 표층망(61)을 구성하는 망체의 망목(網目) 당 수개 이상의 다열을 형성하면서 표층망(61)을 이격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지지사(62)는 자체 경도가 유지되는 경질체는 아니며, 유연성이 충분한 섬유로 구성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지지사(62)가 조밀하게 구성됨으로 인하여, 표층망(61)간 이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들 다수의 지지사(62)가 집단 발현하는 탄성에 의하여 표층망(61) 및 지지사(62)가 조합되는 본 발명의 다중망(60)에 복원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중망(60)은 도 3에서와 같이, 편물 형태로 편성되어 표층망(61) 및 다수의 지지사(62)가 상호 결속되는 방식의 조직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느 일방의 표층망(61)에 지지사(62)의 일단부가 결속되도록 편성한 후, 타측 표층망(61)을 융착 등의 방식으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60) 적층 이경도 완충체를 성형하는 금형을 예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금형은 하형(30) 상부에 상형(40)이 결합되는 합형식 금형으로 구성되고, 상형(40)의 전단부와 하형(30)의 전단부에 각각 조합삽입구(26)가 형성되어, 도 5에서와 같이,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이들 조합삽입구(26)가 조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에 다중망(60)이 결합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합형되는 금형에 다중망(60)이 결합된 상태에서, 금형내 주입된 발포합성수지가 발포 성형되는 것으로, 발포체(10)의 성형과 동시에 다중망(60)의 일측 단부가 발포체(10)에 매입되며, 상형(40)과 하형(30)이 탈형되고 성형된 발포체(10)가 취출되면 도 6의 상단부에서와 같은 형태의 성형물이 완성된다.
이후, 취출된 성형물을 구성하는 발포체(10) 상면으로 다중망(60)을 밀착 적층시킴으로써 전술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은 이경도 완충체가 완성되며, 도 6의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체(10) 상면에 다중망(60)을 견고하게 결착시키기 위하여 다중망(60) 말단부와 발포체(10)를 재봉할 수 있으며, 도면상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중망(60) 말단부와 발포체(10)를 상호 결속하는 후크 등의 결속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예시된 금형에서는 다중망(60)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하형(30) 전단부 상면과 상형(40) 전단부 저면 각각에 조합삽입구(26)로서 형성되고 있으며, 이로써 도 6에서와 같이, 발포체(10) 전면(前面) 중앙부에 다중망(60)이 매입되고 있으나, 이 밖에도 금형에 다중망(60)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다양하게 형성함에 따라, 다중망(60)의 매입 지점 및 전체적인 적층 내지 피복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우선, 도 7은 다중망(60)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상형(40)에 형성한 것으로, 상형(40)의 전단부 벽체를 관통하는 상형삽입구(46)가 형성되며, 동 도면의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망(60)이 발포체(10) 전면의 상측 부위에 매입되고 있다.
즉, 도 7의 중앙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상형(40)에만 형성된 상형삽입구(46)에 다중망(60)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양측 금형 사이에 다중망(60)을 정확하게 삽입하여야 하는 도 4 및 도 5 실시예에 비하여 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발포체(10) 전면 일부만을 다중망(60)이 피복하게 되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다중망(60)이 삽입되는 개구부를 상형(40)이 아닌 하형(30)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8에서와 같이, 하형(30)의 전단부를 관통하는 하형삽입구(36)가 형성되어,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하형삽입구(36)에 다중망(6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망(60)을 하형(30)에 삽입하여, 발포체(10) 전면(前面)을 충분히 피복할 수 있으며, 특히, 동 도면상 예시된 바와 같이 하형삽입구(36)를 하형(30)의 전단부 저면에 형성함으로써, 다중망(60)의 매입부가 발포체(10) 전단부 저면에 형성되어 일층 견고한 매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완성된 완충체 전면부(前面部) 전체에 연질 통기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바, 쾌적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종래의 다층 이경도 완충제는 주로 완충체 상면에 국한하여 연질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은 통기성은 전혀 기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완충체의 전단부가 주로 경질체로 구성되는 바, 장시간 착석시 슬괵부의 압박에 따른 탑승자 불편이 초래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운전석의 경우 완충체의 중앙부 및 후단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이 확보될 뿐 아니라 주로 둔부가 정지상태로 접촉되는 바 운전자가 체감하는 불편감이 크지 않은 반면, 완충체의 전단부는 상대적으로 접촉 면적이 협소할 뿐 아니라 접촉부의 형상 또한 예리하며 페달 조작에 따라 예리한 전단부에 민감한 슬괵부가 반복적으로 압박될 수 밖에 없어 운전자가 체감하는 불편감이 클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완충체의 전면부 전체가 도 8에서와 같이 유연성, 복원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다중망(60)으로 피복되는 본 발명을 통하여, 탑승자 안락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석시에도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다중망(60)을 발포체(10)에 결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발포체(10)의 후단부에 발포체(10)를 상, 하로 관통하는 체결공(17)을 절개 형성한 것으로, 발포체(10) 매입부 타측의 다중망(60) 말단부가 상기 체결공(1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공(17)은 평면상 발포체(1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도 9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다중망(60) 말단부는 체결공(17)을 통과하여 발포체(10) 저면으로 노출된다.
또한, 체결공(17) 형성 발포체(10)를 성형함에 있어서, 합형식 금형을 구성하는 상형(40)에는 체결공성형부(47)가 형성되는데, 도 9에서와 같이, 체결공성형부(47)는 상형(40) 후단부 내측 표면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형(40)과 하형(30)의 합형시 체결공성형부(47)의 하단은 하형(30) 후단부 내측 표면에 밀착된다.
이로써, 발포체(10)의 후단부에는 평면상 다중망(60)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가지는 장공인 체결공(17)이 절개 형성되고, 이 체결공(17)에 다중망(60)의 말단부가 압입되는 것으로, 이렇듯 다중망(60) 말단부가 체결공(17)에 결합됨으로써, 경질부인 발포체(10)와 연질부인 다중망(60)간 견고한 결속이 가능함은 물론, 유연성 발포합성수지의 물성상 종래기술에서는 달성 불가능하였던 긴밀한 체결 구조 구축이 가능하다.
즉, 양측 결합 대상물을 단순 압박하여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발포체(10)를 완전 관통 절개하는 체결공(17)에, 다중망(60)의 말단부를 삽입한 후, 다중망(60)의 말단이 체결공(17)을 통과하여 발포체(10) 하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도 9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다중망(60) 말단부를 잡아 당김으로써, 다중망(60)과 발포체(10)간의 일층 견고하고 충분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발포체(10) 하측으로 노출된 다중망(60) 말단부와 발포체(10)의 저면부를 재봉하거나 결속구를 체결하는 등의 추가 처리를 통하여, 연질부와 다중망(60)을 접착 또는 융착하는 등의 조치 없이도, 다중망(6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재봉선 또는 결속구가 상측으로 일체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들 재봉선 또는 결속구의 완충체 상측 노출로 인한 이물감 및 외관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다중망(60)의 비접착 내지 비융착 고정은 사용 연한이 경과된 본 발명 적용 완충체를 폐기함에 있어서도, 발포체(10)를 구성하는 발포합성수지와, 이종 재료인 다중망(60)을 간편하고 깨끗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바, 재활용 또는 재생에 있어서 유리하며,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 역시 경감할 수 있다.
10 : 발포체
17 : 체결공
18 : 볼스터
26 : 조합삽입구
30 : 하형
36 : 하형삽입구
40 : 상형
46 : 상형삽입구
47 : 체결공성형부
60 : 다중망
61 : 표층망
62 : 지지사

Claims (1)

  1. 자동차 시트용 이경도 완충체에 있어서,
    하층의 경질부인 발포체(10) 상면에 상층의 연질부인 다중망(60)이 밀착 적층되어 완충체가 구성되되;
    다중망(60)은 상호 이격된 한쌍의 표층망(61)에 다수의 지지사(62)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다중망(60)의 일측 단부는 발포체(10)의 전단부 저면에 매입 고정되고, 다중망(60)의 타측 단부는 발포체(10)의 후단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KR1020190111407A 2019-09-09 2019-09-09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KR10213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07A KR102131594B1 (ko) 2019-09-09 2019-09-09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07A KR102131594B1 (ko) 2019-09-09 2019-09-09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233A Division KR102071847B1 (ko) 2019-08-05 2019-08-05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및 그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594B1 true KR102131594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407A KR102131594B1 (ko) 2019-09-09 2019-09-09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89A (ko) * 1995-09-29 1997-04-28 김태구 자동차의 시트쿠션
KR20010039610A (ko) * 1999-05-18 2001-05-15 후지타 히토시 시트
KR20150064813A (ko) * 2013-12-04 2015-06-12 (주)현대공업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89A (ko) * 1995-09-29 1997-04-28 김태구 자동차의 시트쿠션
KR20010039610A (ko) * 1999-05-18 2001-05-15 후지타 히토시 시트
KR20150064813A (ko) * 2013-12-04 2015-06-12 (주)현대공업 중첩형 다층 이경도 완충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4090A (ko)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의 제조 방법
JP5504265B2 (ja) クッション部材、特に自動車用で、異なる硬度領域のあるシートクッション部材または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部材、並びに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車両シートおよび/またはヘッドレストの製造方法。
EP284570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tegrated foam-molded product and integrated foam-molded product
KR101961718B1 (ko) 커버를 가지는 엘리먼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엘리먼트
JP6345833B2 (ja) 表皮材及び構造体並びに表皮材の製造方法
US9956706B2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eat pad
JP6425988B2 (ja) シートパッドおよび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6771857B2 (ja) 車両用シート
US9259038B2 (en) Bra cup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50158213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seat pad
CN104870251B (zh) 头枕
US20030098113A1 (en) Method for forming a foamed product integral with trim cover assembly
KR101102529B1 (ko) 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1594B1 (ko)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JP6650360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KR102071847B1 (ko) 자동차 시트용 다중망 적층 이경도 완충체 및 그 제조용 금형
CN108521765A (zh) 盖罩以及制造盖罩的方法
JP2015164833A (ja) 自転車用サドルとその製造方法
JP7027107B2 (ja) 乗物用シートのシートカバー
JP5399363B2 (ja) クッション体
JP6650361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
JP2019188973A (ja) 乗物用シート構成部材の製造方法
KR102634842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 및 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용 기재 그리고 그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기재의 제조방법
JPH04332590A (ja) クッション体とその製造方法
JPH10248685A (ja) シートメイン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