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470B1 -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 - Google Patents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470B1
KR102131470B1 KR1020157000006A KR20157000006A KR102131470B1 KR 102131470 B1 KR102131470 B1 KR 102131470B1 KR 1020157000006 A KR1020157000006 A KR 1020157000006A KR 20157000006 A KR20157000006 A KR 20157000006A KR 102131470 B1 KR102131470 B1 KR 10213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member
guide lens
lens
insertion mechanis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982A (ko
Inventor
겐요 미도리카와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pushable plu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62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 A61F2/1678Instruments for inserting intraocular lenses into the eye with a separate cartridge or other lens setting part for storage of a lens, e.g. preloadable for sh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 렌즈 삽입 기구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를 제거할 때에, 안내 렌즈나 삽입 기구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활하게 안내 렌즈의 위치 및 자세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대략 통상의 노즐 본체 (10)과, 노즐 본체 (10)에 형성되어 안내 렌즈를 수납하는 스테이지부와, 스테이지부에 수납된 안내 렌즈를 선단에서 가압함으로써, 안내 렌즈를 안구 내로 방출하는 플런저와, 스테이지부에 외측으로부터 장착됨으로써 안내 렌즈의 초기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부재 (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스테이지부의 외주에는, 노즐 본체 (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리브부 (12g)를 형성하고, 위치 결정 부재 (60)에는 리브부 (12g, 12g)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측벽부 (51,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59)를 형성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 (60)의 스테이지부에 대한 회전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AND POSITIONING MEMBER PROVIDED IN INTRAOCULAR LENS INSERTION TOOL}
본 발명은, 안내 렌즈를 환자의 안구 내에 삽입하기 위한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백내장 등의 수술에 있어서는, 안구에 있어서의 각막(공막)이나 수정체 전낭 부분 등의 눈 조직에 절개창을 형성하고, 이 절개창을 통해 낭내의 수정체를 적출, 제거하고, 그 후에 수정체를 대체하는 안내 렌즈를 상기 절개창으로부터 안내에 삽입하여 낭내에 배치시키는 처치가 행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 있어서는, 안내 렌즈를 절개창으로부터 안구 내에 삽입할 때에,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삽입 기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즉, 기구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통부의 선단 개구를 절개창을 통해 안구 내에 삽입함과 함께, 안내 렌즈를 기구 본체 내에서 작게 변형시킨 상태로 삽입통부의 선단 개구로부터 막대상의 플런저(plunger)에 의해 압출함으로써, 안내 렌즈를 안구 내에 삽입한다. 이러한 삽입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수정체의 적출 제거를 위해 형성한 절개창을 이용하여 안내 렌즈를 간단하게 안구 내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수술 후의 난시의 발생이나 감염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서는, 삽입 기구 내에서 안내 렌즈의 위치나 자세를 규제하면서 유지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 전의 상태에서 이 위치 결정 부재를 사용하여 안내 렌즈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서는, 사용시에는 위치 결정 부재를 제거함으로써 안내 렌즈의 위치나 자세의 규제를 해제하고, 플런저에 의해 안내 렌즈를 압출 가능한 상태로 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경우, 위치 결정 부재의 제거 방법에 따라서는,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에서 안내 렌즈의 렌즈 본체나 지지부를 끼워 넣는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정상적으로 안내 렌즈의 위치나 자세의 규제를 해제할 수 없어, 원활하게 안내 렌즈의 삽입 작업을 행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616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7398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그의 목적은 안내 렌즈 삽입 기구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를 제거할 때에, 안내 렌즈나 삽입 기구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활하게 안내 렌즈의 위치 및 자세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략 통상의 기구 본체와, 기구 본체에 형성되어 안내 렌즈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안내 렌즈를 선단에서 가압함으로써, 안내 렌즈를 삽입통부로부터 안구 내로 방출하는 플런저와, 수납부에 외측으로부터 장착됨으로써 안내 렌즈의 초기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위치 결정 부재를 수납부로부터 제거한 후 사용하는 타입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로서,
수납부의 외주 또는 위치 결정 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기구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벽부인 평판부를 형성하고, 수납부의 외주 또는 위치 결정 부재의 다른쪽에는, 평판부를 양측으로부터 평행하게 끼우도록 배치된 벽면을 형성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의 수납부에 대한 전후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을 최대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안구 조직에 형성된 절개창구에 삽입되는 삽입통부와 안내 렌즈를 수납하고 배치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대략 통상으로 형성된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에 압입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안내 렌즈를 선단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안내 렌즈를 상기 기구 본체 내에서 이동시켜 상기 삽입통부로부터 안구 내로 방출하는 플런저와,
상기 수납부에 외측으로부터 장착됨으로써 상기 안내 렌즈의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수납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안내 렌즈의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있어서의 위치 및 자세의 규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플런저에 의한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및 안구 내로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로서,
상기 수납부의 외주 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평판상의 벽부인 평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외주 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중 다른쪽에는, 상기 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벽면을, 해당 평판부에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해당 위치 결정 부재의 상기 수납부에 대한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수납부의 외주 또는 위치 결정 부재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평판부에 대하여, 수납부의 외주 또는 위치 결정 부재의 다른쪽에 해당 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벽면을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평판부를 2개의 벽면에 끼우는 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1개의 벽면을 평판부에 편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회전을 억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위치 결정 부재의 수납부에 대한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벽면을 해당 평판부에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킨다는 것은, 2개의 벽면을 간극을 가지면서 평판부에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키는 경우와, 2개의 벽면을 평판부에 양측으로부터 간극 없이 대향시키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이 간극의 유무 또는 간극의 크기는, 위치 결정 부재에 허용되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억제 가능한 회전 방향은, 주로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플런저의 축 방향 또는 기구 본체의 축 방향) 주위의 회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납부의 외주란, 기구 본체에 있어서의 수납부의 외표면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수납부의 외표면이며 위치 결정 부재가 형성되어야 할 방향의 면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평판부는 상기 수납부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억제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원래, 수납부의 외주에는 수납부의 강도 확보를 위한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부에 원래 형성되어 있는 리브를 그대로 평판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평판부 및 상기 회전 억제 수단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안내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양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하면,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축의 주위의 2개소에 형성된 평판부에 대하여, 각각 2개의 벽면을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킬 수 있으며, 더욱 확실하게 위치 결정 부재의 수납부에 대한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안내 렌즈의 위치 규제를 하기 위한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렌즈가 적재되는 면인 적재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에 상기 복수개의 볼록부가 삽입되며, 해당 볼록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상기 적재면의 단부면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부재가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에서 회전함으로써, 볼록부가 안내 렌즈의 렌즈 본체나 지지부를 끼워 넣거나, 수납부를 손상시키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러한 타입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적용함으로써,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 렌즈는 렌즈 본체, 및 렌즈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수염 형상(whisker-like)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볼록부 중 일부는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홈부를 갖고,
해당 홈부는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 결정 부재가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에서 회전하면, 볼록부와 수납부의 간섭에 의해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홈부가 변형되어, 안내 렌즈의 지지부를 끼워 넣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러한 타입의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적용함으로써, 안내 렌즈의 지지부의 상기 홈부로의 끼워 넣기를 억제할 수 있으며, 발명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해당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수납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거할 때에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 파지부를 파지함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를 수납부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구조상, 위치 결정 부재는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과 수직 방향의 축 주위에서 회전하기 쉬워지고, 그러한 축 주위에서 위치 결정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수납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의 회전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 부재의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따르면, 위치 결정 부재를 수납부에 장착할 때에,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장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억제 수단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에 대향하는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장착하고자 했을 때에, 상기 수납부의 소정 부분과 간섭함으로써 장착을 금지하는 오장착 방지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더욱 확실하게, 위치 결정 부재를 수납부에 장착할 때에,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장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는, 제조 공정에서 미리 상기 수납부에 안내 렌즈가 수납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부에 안내 렌즈가 수납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장착된 상태로 유통되는 프리셋형(preset type) 삽입 기구일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 상술한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프리셋형 삽입 기구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임의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가능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렌즈 삽입 기구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를 제거할 때에, 안내 렌즈나 삽입 기구 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원활하게 안내 렌즈의 위치 및 자세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안내 렌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노즐 본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위치 결정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플런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부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부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의 외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의 외관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는, 종래의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이하, 간단히 삽입 기구 (1)이라고도 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삽입 기구 (1)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편측은 크게 개구되고(이하, 크게 개구된 측을 후단부 (10b)라 함), 다른 편측 단부에는 가늘게 조여진 삽입통부로서의 노즐부 (15) 및 비스듬히 개구된 선단부 (10a)를 구비하는 기구 본체로서의 노즐 본체 (10)과, 노즐 본체 (10)에 삽입되어 왕복 운동 가능한 플런저 (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노즐 본체 (10)의 선단부 (10a)로부터 후단부 (10b)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의 역방향(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전후 방향, 도 1(a)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방향을 상하 방향, 도 1(b)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한다.
노즐 본체 (10)의 후단부 (10b) 부근에는 판상으로 밀어올려, 사용자가 플런저 (30)을 노즐 본체 (10)의 선단부측에 압입할 때에 손가락을 거는 홀드부 (1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본체 (10)에 있어서의 노즐부 (15)의 후단부측에는, 안내 렌즈 (2)를 세팅하는 수납부로서의 스테이지부 (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지부 (12)는, 스테이지 덮개부 (13)을 덮개 개방함으로써 노즐 본체 (10)의 상측(도 1(a)에 있어서의 지면 수직 전방측)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부 (12)에는, 노즐 본체 (10)의 하측(도 1(a)에 있어서의 지면 수직 내측)으로부터 위치 결정 부재 (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부재 (50)에 의해, 사용 전(수송 중)에 스테이지부 (12) 내에서 안내 렌즈 (2)의 위치 및 자세가 규제되어, 안내 렌즈 (2)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즉, 삽입 기구 (1)에 있어서는, 제조시에 스테이지 덮개부 (13)이 덮개 개방하여 위치 결정 부재 (50)이 스테이지부 (12)에 설치된 상태로, 안내 렌즈 (2)가 스테이지부 (12)에 세팅된다. 그리고, 스테이지 덮개부 (13)을 덮개 폐쇄시킨 후 출하, 판매된다. 또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스테이지 덮개부 (13)을 덮개 폐쇄한 채로 위치 결정 부재 (50)을 제거하고, 그 후 플런저 (30)을 노즐 본체 (10)의 선단부측에 압입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 (30)에 의해 안내 렌즈 (2)를 가압하고, 선단부 (10a)로부터 안내 렌즈 (2)를 압출한다. 또한, 삽입 기구 (1)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 (10), 플런저 (30), 위치 결정 부재 (50)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의 소재로 형성된다. 폴리프로필렌은 의료용 기기에 있어서 실적이 있으며, 내약품성 등의 신뢰성도 높은 소재이다.
도 2는, 안내 렌즈 (2)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안내 렌즈 (2)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 본체 (2a)와, 렌즈 본체 (2a)에 형성되며, 렌즈 본체 (2a)를 안구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수염 형상의 2개의 지지부 (2b, 2b)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2b, 2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 유지부에 상당한다. 렌즈 본체 (2a)는 가요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노즐 본체 (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본체 (10)에 있어서는, 안내 렌즈 (2)는 스테이지부 (12)에 세팅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플런저 (30)에 의해 가압되어 선단부 (10a)로부터 안내 렌즈 (2)가 압출된다. 또한, 노즐 본체 (10)의 내부에는 노즐 본체 (10)의 외형의 변화에 따라 단면 형상이 변화되는 관통 구멍 (1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렌즈 (2)가 압출될 때에는, 안내 렌즈 (2)는 노즐 본체 (10) 내의 관통 구멍 (10c)의 단면 형상의 변화에 따라 변형되고, 환자의 안구에 형성된 절개창에 들어가기 쉬운 형태로 변형된 후 압출되게 된다.
스테이지부 (12)에는,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스테이지 홈 (12a)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지 홈 (12a)의 전후 방향의 치수는, 안내 렌즈 (2)의 양측에 연장되는 지지부 (2b, 2b)를 포함하는 최대 폭 치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 홈 (12a)의 저면에 의해 세팅면 (12b)가 형성되어 있다. 세팅면 (12b)의 상하 방향 위치(도 3의 지면에 수직 방향의 위치)는, 노즐 본체 (10)의 관통 구멍 (10c)의 저면의 높이 위치보다도 위쪽(도 3의 지면에 수직 방향 전방측)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세팅면 (12b)와 관통 구멍 (10c)의 저면과는 저부 경사면 (10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세팅면 (12b)에는, 플런저 (30)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원기둥부 (31a)를 가이드하기 위한 2개의 가이드부 (10f, 10f)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지부 (12)와 스테이지 덮개부 (13)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지 덮개부 (13)은 스테이지부 (12)와 동등한 전후 방향의 치수를 갖고 있다. 스테이지 덮개부 (13)은, 스테이지부 (12)의 측면이 스테이지 덮개부 (13)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박판상의 연결부 (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 (14)는 중앙부에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테이지 덮개부 (13)은 연결부 (14)를 굴곡 시킴으로써 스테이지부 (12)에 상측으로부터 겹쳐서 덮개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지 덮개부 (13)에 있어서, 덮개 폐쇄시에 세팅면 (12b)와 대향하는 면에는 스테이지 덮개부 (13)을 보강하고, 안내 렌즈 (2)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리브 (13a) 및 (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런저 (30)의 상측의 가이드로서 안내 돌기 (13c)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지부 (12)의 세팅면 (12b)의 하측에는, 위치 결정 부재 (50)이 제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위치 결정 부재 (5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4(a)는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 결정 부재 (50)은 노즐 본체 (10)과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평판상의 연결부 (52)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측벽부 (51, 51)이 연결부 (52)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각각의 측벽부 (51)의 하단부로부터는, 파지부로서의 유지부 (53, 53)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 (52)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대각 위치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적재부 (54, 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적재부 (54)의 외주측의 부분에는, 제1 위치 결정부 (55, 55)가 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부 (55)의 내벽은 원호상을 하고 있으며, 당해 내벽끼리의 거리는 안내 렌즈 (1)의 렌즈 본체 (2a)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위치 결정부 (55, 55)에는, 안내 렌즈 (2)를 적재했을 때에 지지부 (2b, 2b)를 수용하는 홈부로서의 지지부용 홈 (55a, 5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 (52)에 있어서의 제1 적재부 (54, 54)와는 반대의 대각 위치에는, 한 쌍의 제2 적재부 (56, 5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적재부 (56)의 상면의 높이는, 제1 적재부 (54)의 상면의 높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적재부 (56, 56)의 상면에 있어서의 외측의 부분에는, 상측으로 더 돌출된 제2 위치 결정부 (57, 5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위치 결정부 (57)의 내벽도 원호상을 하고 있으며, 당해 내벽끼리의 거리는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적재부 (56, 56)에 있어서의 연결부 (52) 중심측의 단부에는, 약간 돌출된 걸림 지지 갈고리 (58, 5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위치 결정 부재 (50)이 노즐 본체 (10)의 세팅면 (12b)의 하측으로부터 부착된다. 노즐 본체 (10)의 세팅면 (12b)에는, 두께 방향으로 세팅면 (12b)를 관통하는 세팅면 관통 구멍 (12c)가 형성되어 있다.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외형은, 위치 결정 부재 (50)의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을 상측으로부터 본 형상에 대하여 약간 큰 대략 상사형상(相似形狀)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 (50)이 노즐 본체 (10)에 설치될 때에는, 제1 적재부 (54, 54) 및 제2 적재부 (56, 56)이 세팅면 (12b)의 하측으로부터 세팅면 관통 구멍 (12c)에 삽입되어, 세팅면 (12b)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2 위치 결정부 (57, 57)에 형성된 걸림 지지 갈고리 (58, 58)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를 통해 세팅면 (12b)로 돌출되고, 세팅면 (12b)의 상면에 걸림 지지된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 (50)이 노즐 본체 (10)의 하측으로부터 부착되고, 제1 적재부 (54, 54) 및 제2 적재부 (56, 56)이 세팅면 (12b)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안내 렌즈 (2)가 세팅면 (12b)에 세팅될 때에는, 렌즈 본체 (2a)의 외주부 저면이 제1 적재부 (54, 54) 및 제2 적재부 (56, 56)의 상면에 적재된다. 또한, 렌즈 본체 (2a)는 제1 위치 결정부 (55, 55) 및 제2 위치 결정부 (57, 57)에 의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위치 규제된다. 또한 이때, 지지부 (2b, 2b)의 근원 부근이 지지부용 홈 (55a, 55a)를 통과하도록 지지되어, 안내 렌즈 (2)의 광축 주위의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적재부 (54), 제2 적재부 (56), 제1 위치 결정부 (55) 및 제2 위치 결정부 (57)은 볼록부에 상당한다.
도 5에는 플런저 (3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플런저 (30)은, 노즐 본체 (10)보다도 약간 큰 전후 방향 길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원기둥 형상을 기본으로 한 선단부측의 작용부 (31)과, 직사각형 로드 형상을 기본으로 한 후단부측의 삽입 관통부 (32)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작용부 (31)은 원기둥 형상으로 된 원기둥부 (31a)와, 원기둥부 (31a)의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박판상의 편평부 (3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용부 (31)의 선단 부분에는, 절결부 (3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 (31c)는,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용부 (31)의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결부 (31c)의 선단부측의 홈벽은 작용부 (31)의 선단부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위쪽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삽입 관통부 (32)는 전체적으로 개략 H자상의 단면을 갖고 있으며, 그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치수는, 노즐 본체 (10)의 관통 구멍 (10c)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삽입 관통부 (32)의 후단부에는, 상하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원판상의 가압판부 (33)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부 (32)의 전후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선단부측의 부분에는, 삽입 관통부 (32)의 상측을 향해 돌출되고, 플런저 (30)의 소재의 탄성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갈고리부 (3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 (30)이 노즐 본체 (10)에 삽입되었을 때에는, 노즐 본체 (10)의 상면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도 3에 도시하는 걸림 지지 구멍 (10e)와 갈고리부 (32a)가 걸림 결합하고, 이에 따라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 (10)과 플런저 (30)의 상대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갈고리부 (32a)와 걸림 지지 구멍 (10e)의 형성 위치는,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작용부 (31)의 선단이, 스테이지부 (12)에 세팅된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의 후방에 위치하고, 렌즈 본체 (2a)의 후방의 지지부 (2b)를 절결부 (31c)가 아래쪽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장소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삽입 기구 (1)의 사용 전에 있어서는, 플런저 (30)이 노즐 본체 (10)에 삽입되어 초기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 (5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세팅면 (12b)의 아래쪽으로부터 노즐 본체 (10)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 (50)의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세팅면 (12b)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가 지지부 (2b, 2b)를 노즐 본체 (10)의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로,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의 상면에 적재되어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안내 렌즈 (2)는 렌즈 본체 (2a)의 외주 부분이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중앙 부분은 비부하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안내 렌즈 (2)의 지지부 (2b)는 지지부용 홈 (55a, 55a) 이외에, 플런저 (30)의 절결부 (31c)의 저면에 의해서도 지지되어 있다.
삽입 기구 (1)을 사용하여 안내 렌즈 (2)를 안구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는, 우선, 위치 결정 부재 (50)을 노즐 본체 (10)으로부터 제거한다. 이에 따라,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를 지지하고 있었던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세팅면 (12b)로부터 후퇴하고, 안내 렌즈 (2)가 세팅면 (12b) 상에 이동 가능하게 적재되어, 안내 렌즈 (2)의 위치 및 자세의 규제가 해제된다.
이어서, 눈 조직에 형성한 절개창에, 노즐 본체 (10)의 노즐부 (15)에 있어서의 선단부 (10a)를 삽입한다. 여기서, 선단부 (10a)는 비스듬한 개구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개창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창에 노즐부 (15)를 삽입한 후에, 이 상태로 플런저 (30)의 가압판부 (33)을 노즐 본체 (10)의 선단부측에 압입한다. 이에 따라, 세팅면 (12a)에 세팅된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 외주에 플런저 (30)의 작용부 (31)의 선단이 접촉하고, 플런저 (30)의 전진에 따라 안내 렌즈 (2)가 선단부 (10a)를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플런저 (30)에 의해 안내 렌즈 (2)가 가압되어 노즐 본체 (10) 내를 전방으로 이동하면, 관통 구멍 (10c)의 단면 형상의 변화에 따라 안내 렌즈 (2)는 변형되고, 변형된 상태로 안내 렌즈 (2)가 노즐 본체 (10)의 선단부 (10a)로부터 안구 내에 압출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안내 렌즈 (2)의 삽입 작업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 (50)을 노즐 본체 (10)으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위치 결정 부재 (50)을 안내 렌즈 (2)의 광축 방향으로 똑바로 제거한 경우에는 특별히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삽입 기구 (1)의 전후 방향의 축(안내 렌즈 (2)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비틀어서 제거한 경우에는,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단부면과 간섭함으로써 노즐 본체 (10) 또는 위치 결정 부재 (50)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나 지지부 (2b)를 끼워 넣을 우려가 있다.
특히, 제1 적재부 (54, 54)의 제1 위치 결정부 (55, 55)의 좌우 외벽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단부면과 간섭함으로써 변형된 경우에는, 지지부용 홈 (55a, 55a)가 무너져 개구부가 폐쇄되어, 지지부 (2b, 2b)를 지지부용 홈 (55a, 55a)에 끼워 넣는 경우가 있었다. 그에 따라, 위치 결정 부재 (50)을 스테이지부 (12)로부터 제거했을 때에, 세팅면 관통 구멍 (12c)로부터 안내 렌즈 (2)의 지지부 (2b, 2b)가 튀어나오는 등의 사태가 되어, 안내 렌즈 (2)를 손상시켜, 안내 렌즈 (2)의 삽입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 (50)에, 제거시의 안내 렌즈 (2)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의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방지 벽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60)에 대하여 나타낸다. 위치 결정 부재 (60)과 도 4에 도시한 위치 결정 부재 (50)의 상이점은, 각각의 측벽부 (51, 51)의 외측에 회전 방지 벽부 (59, 59)가 형성된 점이다. 이 회전 방지 벽부 (59, 59)는, 측벽부 (51, 51)과 평행하게, 위치 결정 부재 (60)의 전후 방향의 전역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부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 (10)의 스테이지부 (12)에 있어서의 리브부 (12g)를 수납하는 리브 홈부 (61, 61)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60)을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에 적용한 경우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1과는 달리, 회전 방지 벽부 (59)가 스테이지부 (12)의 좌우 외측에 노출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60)을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에 적용한 경우의 위치 결정 부재 (60) 부근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하는 것은 측면도, 도 8(b)는 그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8(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 (10)의 스테이지부 (12)에 있어서의 세팅면 (12b)의 좌우 하측에는, 평판부로서의 리브부 (12g, 12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부 (12g)는 측면으로부터 보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측은 테이퍼상으로 높이가 증가되어 가고, 그의 후방측에 있어서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60)은, 하측으로부터 스테이지부 (12)에 설치된 경우에, 각 측벽부 (51, 51)과 각 회전 방지 벽부 (59, 59) 사이에 각 리브부 (12g)를 수납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측벽부 (51, 51)과 각 회전 방지 벽부 (59, 59) 사이의 거리는 각 리브부 (12g, 12g)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의 사용자가 위치 결정 부재 (60)을 노즐 본체 (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도 8(b)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 (10)의 전후 방향의 축(안내 렌즈 (2)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에서 회전시키고자 하였다고 해도, 위치 결정 부재 (60)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벽부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사이의 리브 홈부 (61)에 리브부 (12g)를 수납하는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벽면을 평판부에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에 상당한다.
이에 따르면,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단부면과 간섭함으로써 노즐 본체 (10) 또는 위치 결정 부재 (60)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나 지지부 (2b)를 끼워 넣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원활 또는 확실하게 안내 렌즈의 삽입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적재부 (54, 54)의 제1 위치 결정부 (55, 55)의 좌우 외벽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단부면과 간섭함으로써 변형되고, 지지부용 홈 (55a, 55a)가 무너져 개구부가 폐쇄되어, 안내 렌즈 (2)의 지지부 (2b, 2b)를 끼워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결정 부재 (50)을 제거했을 때에, 세팅면 관통 구멍 (12c)로부터 안내 렌즈 (2)의 지지부 (2b, 2b)가 돌출되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억제 수단은, 측벽부 (51,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59)와 리브 홈부 (61, 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측벽부 (51,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59)와 리브 홈부 (61, 61)은 안내 렌즈 중심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전 억제 수단은, 안내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도 9를 사용하여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노즐 본체 (10)의 스테이지부 (12)에 있어서의 세팅면 (12b)의 좌우 하측에는 리브부 (12g, 12g)가 형성되고, 위치 결정 부재 (60)에는 각각의 측벽부 (51, 51)의 외측에 회전 방지 벽부 (59, 59)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 (60)은, 하측으로부터 스테이지부 (12)에 설치된 경우에, 각 측벽부 (51, 51)과 각 회전 방지 벽부 (59, 59) 사이에 각 리브부 (12g, 12g)를 수납하는 상태로 고정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본체 (10)의 스테이지부 (12)에 있어서의 세팅면 (12b)의 좌우 하측에는, 리브부 (12g, 12g)에 더하여, 리브부 (12g, 12g)의 내측에 회전 방지 리브부 (12h, 12h)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 (65)에는 회전 방지 벽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위치 결정 부재 (65)가 하측으로부터 스테이지부 (12)에 설치된 경우에, 각 리브부 (12g, 12g)와 각 회전 방지 리브부 (12h, 12h) 사이의 측벽 홈부 (12k, 12k)에 각 측벽부 (51, 51)을 수납하는 상태로 고정하기로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의 사용자가 위치 결정 부재 (65)를 노즐 본체 (10)으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 도 9(b)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본체 (10)의 전후 방향의 축(안내 렌즈 (2)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에서 회전시키고자 하였다고 해도, 위치 결정 부재 (65)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브부 (12g)와 회전 방지 리브부 (12h) 사이의 측벽 홈부 (12k)에 측벽부 (51)을 수납하는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부에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벽면을 평판부에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에 상당한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해서도,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단부면과 간섭함으로써 노즐 본체 (10) 또는 위치 결정 부재 (65)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적재부 (54) 및 제2 적재부 (56)이 안내 렌즈 (2)의 렌즈 본체 (2a)나 지지부 (2b)를 끼워 넣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원활 또는 확실하게 안내 렌즈의 삽입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적재부 (54, 54)의 제1 위치 결정부 (55, 55)의 좌우 외벽이 세팅면 관통 구멍 (12c)의 단부면과 간섭함으로써 변형되고, 지지부용 홈 (55a, 55a)가 무너져 개구부가 폐쇄되어, 안내 렌즈 (2)의 지지부 (2b, 2b)를 끼워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결정 부재 (65)를 제거했을 때에, 세팅면 관통 구멍 (12c)로부터 안내 렌즈 (2)의 지지부 (2b, 2b)가 돌출되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억제 수단은, 리브부 (12g, 12g)와 회전 방지 리브부 (12h, 12h)와 측벽 홈부 (12k, 12k)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시예 3〕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에 있어서 유지부를 부재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 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노즐 본체 (10)의 전후 방향(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축 주위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노즐 본체 (10)의 좌우 방향의 축 주위의 회전은 허용하여, 위치 결정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게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7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a)는 평면도, 도 10(b)는 측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는 위치 결정 부재 (7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a)는, 상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1(b)는 하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위치 결정 부재 (70)과 도 6에서 설명한 위치 결정 부재 (60)의 상이점은, 위치 결정 부재 (70)에 있어서는, 파지부로서의 유지부 (63, 63)이 위치 결정 부재 (70)의 전후 방향 중심보다 후방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도 12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70)을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에 적용한 경우의 전체도를 나타낸다. 위치 결정 부재 (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부 (57, 57)에 형성된 걸림 지지 갈고리 (58, 58)이 세팅면 (12b)의 상면에 걸림 지지됨으로써 노즐 본체 (1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부 (63)이 위치 결정 부재 (70)에 있어서의 노즐 본체 (10)과의 결합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유지부 (63)을 유지하여 하측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도, 도 12(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향(노즐 본체 (10)의 좌우 방향의 축 주위)으로 위치 결정 부재 (70)을 회전시키면서 제거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위치 결정 부재 (70)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 본체 (10)의 좌우 방향의 축 주위에서 유지부 (63)을 회전시켜 제거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재촉하여, 노즐 본체 (10)의 전후 방향의 축 주위에서 위치 결정 부재 (70)을 회전시켜 제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노즐 본체 (10)의 좌우 방향의 축 주위에서 위치 결정 부재 (70)을 회전시켜 제거한 경우에는, 지지부용 홈 (55a)가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지지부용 홈 (55a)가 무너져 지지부 (2b)를 끼워 넣는다는 위험성이 대폭 낮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확실 또는 원활하게 안내 렌즈 (2)의 삽입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위치 결정 부재 (70)의 회전 방지 벽부 (59, 59)에 있어서는, 오목부 (59a, 5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부 (59a)의 전후 방향 길이는 오목부 (59b)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 (13)의 노즐 스냅 피트 (13e)를 오목부 (59a)에서는 빠져나오게 할 수 있지만, 오목부 (59b)에서는 빠져나올 수 없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부재 (70)을 올바른 방향으로 장착하고자 한 경우에는 회전 방지 벽부 (59)와 노즐 스냅 피트 (13e)가 간섭하지 않아, 장착 가능해진다. 한편, 위치 결정 부재 (70)을 잘못된 방향으로 장착하고자 한 경우에는 회전 방지 벽부 (59)와 노즐 스냅 피트 (13e)가 간섭하여 장착이 금지된다. 이에 따라, 안내 렌즈 삽입 기구 (1)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위치 결정 부재 (70)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 (59a, 59b)는 오장착 방지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이외에, 유지부 (63)이 위치 결정 부재 (70)의 전후 방향 중심보다 후방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부 (63)의 위치를 육안 관찰함으로써도 보다 용이하게 위치 결정 부재 (70)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부재 (70)의 육면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는 정면도, (d)는 배면도, (e)는 좌측면도, (f)는 우측면도, (g)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에는, 위치 결정 부재 (70)의 외관 도면을 특징적인 부분(부분 의장)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파선으로 나타낸다. 물론, 상기 특징적인 부분과 파선으로 구성되는 전체 형상도 신규 부분이지만,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도 14에 있어서도,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는 정면도, (d)는 배면도, (e)는 좌측면도, (f)는 우측면도, (g)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회전 억제 수단은, 측벽부 (51,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59)와 리브 홈부 (61, 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측벽부 (51, 51)과 회전 방지 벽부 (59, 59)와 리브 홈부 (61, 61)은 안내 렌즈 중심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전 억제 수단은, 안내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삽입하는 안내 렌즈로서 렌즈 본체(광학부)와 지지부가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소위 쓰리피스형을 사용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렌즈 본체(광학부)와 지지부가 일체 성형되는, 소위 원피스형 안내 렌즈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부재의 형상은,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한 실시예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납부의 외주 또는 위치 결정 부재 중 한쪽에 형성된 평판부에, 수납부의 외주 또는 위치 결정 부재 중 다른쪽에 형성된 2개의 벽면을 양측으로부터 대향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부재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면, 다른 형상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방지 벽부의 전후 방향 길이는 위치 결정 부재의 전역에 걸치지 않을 수도 있고, 회전 방지 벽부가 1개만 형성되어 있는 형태여도 상관없다. 또한, 회전 방지 벽부와 측벽부 사이의 간극이 리브부 두께보다 작고, 리브부를 2개의 벽면에 간극 없이 끼워 넣는 형태여도 상관없다.
또한, 회전 방지 리브부의 전후 방향 길이는 리브부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회전 방지 리브부는 전후 방향으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방지 리브부가 1개만 형성되어 있는 형태여도 상관없다. 또한, 회전 방지 리브부와 리브부 사이의 간극이 측벽부 두께보다 작고, 측벽부를 2개의 벽면에 간극 없이 끼워 넣는 형태여도 상관없다.
1…삽입 기구
2…안내 렌즈
10…노즐 본체
10a…선단부
10b…후단부
10f…가이드부
10g…접촉부
12…스테이지부
12b…세팅면
12g…리브부
12h…회전 방지 리브부
12k…측벽 홈부
13…스테이지 덮개부
13a…리브
13b…리브
13c…안내 돌기
15…삽입통부
30…플런저
31…작용부
31a…원기둥부
31b…편평부
50, 60, 70…위치 결정 부재
51…측벽부
53, 63…유지부
59…회전 방지 벽부
61…리브 홈부

Claims (9)

  1. 안구 조직에 형성된 절개창구에 삽입되는 삽입통부와 안내 렌즈를 수납하고 배치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통상으로 형성된 기구 본체와,
    상기 기구 본체에 압입되어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안내 렌즈를 선단에서 가압함으로써, 상기 안내 렌즈를 상기 기구 본체 내에서 이동시켜 상기 삽입통부로부터 안구 내로 방출하는 플런저(plunger)와,
    상기 수납부에 외측으로부터 장착됨으로써 상기 안내 렌즈의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있어서의 초기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며,
    사용시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수납부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안내 렌즈의 상기 기구 본체 내에 있어서의 위치 및 자세의 규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플런저에 의한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및 안구 내로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로서,
    상기 수납부의 외주 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 및 상기 안내 렌즈의 광축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평판상의 벽부인 1개 또는 복수개의 평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외주 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 중 다른쪽에는, 상기 평판부의 1개와 평행하게 제1 벽면 및 제2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벽면을, 해당 평판부의 제1 평면에 대향시키고, 상기 제2 벽면을 상기 평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평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평면에 대향시킴으로써 해당 위치 결정 부재의 상기 수납부에 대한 회전을 억제하는 회전 억제 수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는 상기 수납부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억제 수단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 및 상기 회전 억제 수단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안내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부터 보아,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의 중심축에 대하여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안내 렌즈의 위치 규제를 하기 위한 복수개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렌즈가 적재되는 면인 적재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에 상기 복수개의 볼록부가 삽입되며, 해당 볼록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구멍을 형성하는 상기 적재면의 단부면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렌즈는 렌즈 본체, 및 렌즈 본체의 외주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수염 형상(whisker-like)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볼록부 중 일부는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기 위한 홈부를 갖고,
    해당 홈부는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해당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수납부에 장착하거나 또는 제거할 때에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 중심으로부터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억제 수단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에 대향하는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상기 안내 렌즈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로 장착하고자 했을 때에, 상기 수납부의 소정 부분과 간섭함으로써 장착을 금지하는 오장착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렌즈 삽입 기구는, 제조 공정에서 미리 상기 수납부에 안내 렌즈가 수납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부에 안내 렌즈가 수납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장착된 상태로 유통되는 프리셋형(preset type) 삽입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삽입 기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
KR1020157000006A 2012-06-29 2013-06-28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 KR102131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7692 2012-06-29
JP2012147692 2012-06-29
PCT/JP2013/067933 WO2014003186A1 (ja) 2012-06-29 2013-06-28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及び、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に備えられる位置決め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982A KR20150035982A (ko) 2015-04-07
KR102131470B1 true KR102131470B1 (ko) 2020-07-07

Family

ID=4978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006A KR102131470B1 (ko) 2012-06-29 2013-06-28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01759B2 (ko)
EP (1) EP2868295B1 (ko)
JP (1) JP6254080B2 (ko)
KR (1) KR102131470B1 (ko)
CN (1) CN104411270B (ko)
ES (1) ES2829610T3 (ko)
HK (1) HK1207280A1 (ko)
WO (1) WO2014003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9795A1 (ja) 2007-05-30 2008-12-11 Hoya Corporation 眼内レンズ挿入器具
ES2751489T3 (es) * 2013-11-15 2020-03-31 Medicel Ag Dispositivo para el alojamiento de una lente interocular
WO2018003853A1 (ja) * 2016-06-28 2018-01-04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器
US20180200105A1 (en) * 2017-01-14 2018-07-19 Rxsight, Inc. Intraocular lens inserter cartridge with a trailing haptic protection structure
US11083568B2 (en) 2017-02-07 2021-08-10 Rxsight, Inc. Intraocular lens inserter cartridge with an IOL-guiding structure
US11013593B2 (en) 2018-12-02 2021-05-25 Rxsight, Inc. Light adjustable lens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1344406B2 (en) * 2018-12-20 2022-05-31 Alcon Inc. Cam-actuated optic lockout mechanism
KR102630856B1 (ko) 2023-08-25 2024-01-30 최원석 안구 내 렌즈 삽입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2419A1 (en) 2004-02-02 2005-08-18 George Tsai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 system
JP2009160138A (ja) * 2007-12-28 2009-07-23 Menicon Co Ltd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WO2011061791A1 (ja) 2009-11-17 2011-05-26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挿入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6442B2 (ja) 2004-12-28 2011-09-07 Hoya株式会社 眼内レンズ挿入用器具
JP4908977B2 (ja) * 2006-09-05 2012-04-04 興和株式会社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5501658B2 (ja) 2009-05-29 2014-05-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挿入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2419A1 (en) 2004-02-02 2005-08-18 George Tsai Injector for intraocular lens system
JP2009160138A (ja) * 2007-12-28 2009-07-23 Menicon Co Ltd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WO2011061791A1 (ja) 2009-11-17 2011-05-26 株式会社メニコン 眼内レンズ挿入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03186A1 (ja) 2016-06-02
EP2868295A1 (en) 2015-05-06
HK1207280A1 (en) 2016-01-29
KR20150035982A (ko) 2015-04-07
WO2014003186A1 (ja) 2014-01-03
EP2868295A4 (en) 2016-03-30
US20150157500A1 (en) 2015-06-11
JP6254080B2 (ja) 2017-12-27
CN104411270A (zh) 2015-03-11
EP2868295B1 (en) 2020-10-21
CN104411270B (zh) 2018-01-30
ES2829610T3 (es) 2021-06-01
US9801759B2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470B1 (ko) 안내 렌즈 삽입 기구, 및 안내 렌즈 삽입 기구에 구비되는 위치 결정 부재
US11617643B2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KR102202985B1 (ko) 안내 렌즈의 삽입 기구
EP3025678A1 (en) Intraocular lens-inserting instrument
JP6379421B2 (ja) 眼内レンズ用インジェクタ
JP5697962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WO2016195095A1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5658992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6057749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6027536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JP6627267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6524588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WO2016080497A1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JP6575761B2 (ja) 眼内レンズの挿入器具
CN111050698A (zh) 眼内透镜***器具
JP6601945B2 (ja) 眼内レンズ挿入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