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124B1 -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 Google Patents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124B1
KR102131124B1 KR1020157014103A KR20157014103A KR102131124B1 KR 102131124 B1 KR102131124 B1 KR 102131124B1 KR 1020157014103 A KR1020157014103 A KR 1020157014103A KR 20157014103 A KR20157014103 A KR 20157014103A KR 102131124 B1 KR102131124 B1 KR 10213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film
based resin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807A (ko
Inventor
히로아키 마츠바라
가즈노리 고바시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식품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며, 이인열성(易引裂性), 고히트씰 강도, 내컬성, 외관, 휘발 성분의 흡착 억제나 라미네이트 적성이 양호한 다층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포장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A),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b)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B),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C),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d)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D)이, (A)/(B)/(C)/(D)의 순으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서, 수지(c)의 40질량% 이상이 Tg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층(C)의 두께 비율이 15∼30%, 상기 수지(d)의 80질량% 이상이 밀도가 0.90g/㎤ 이상인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층(D)의 두께 비율이 10∼25%인 다층 필름, 및 이를 사용해서 이루어지는 포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LOW-ADSORPTIVITY-LAMINATE MULTILAYER FILM, COMPOSITE FILM USING SAME, AND PACKAGING MATERIAL}
본 발명은, 식품, 약품, 공업 부품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로서 호적(好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 이인열성(易引裂性), 히트씰성, 내컬성이 우수함과 함께,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의 비흡착 등도 양호한,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및 당해 필름을 사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유니버설 디자인화 경향 중에서, 사회적 약자(고령자, 유아, 장애인 등)에 대한 배려로서, 소비자가 개봉하기 쉬운 방식, 예를 들면 이개봉성(易開封性), 이인열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개봉성, 이인열성을 향상하려고 하면, 포장재 본래의 기능인 히트씰 강도가 저하함에 따른 수송 시나 점포 앞에서의 진열 시에 있어서의 파대(破袋), 내용물의 흘러나옴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인열성을 부여한 필름으로서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에 그 밖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포장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포장 필름은, 50㎛로 얇기 때문에 인열성은 양호하며, 또한 방습성도 우수한 것이기는 하지만, 주로 래핑 필름이나 스트레치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용기나 봉투로서 성형했을 때의 강도 등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이 필름은, 단체(單體)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라미네이트용 필름으로서의 사용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마찬가지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층의 양 인접층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용 필름도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2에서 제공된 필름은, 다른 기재와 첩합해서 사용하며, 또한 씰 강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양면을 올레핀계 수지로 하여,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의 흡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층을 중간층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층 구성을 가짐에 의해, 내용물의 흡착은 중간층에 의하여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지만, 씰층 부분을 휘발 성분이 투과하는 것을 완전히 막지 못해, 장기 보존했을 경우에는 중간층(환상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층)에 도달하여, 씰층과 중간층과의 디라미네이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문헌 2의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유리전이 온도가 낮은 그레이드이며, 비흡착성의 레벨이 실용 레벨에는 도달해 있지 않고, 또한 씰층의 두께 비율이 높음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라미네이트용 필름에의 휘발분 흡착을 방지할 수 없을 개연성이 높다.
식품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최근, 내용물 시인성도 중요시되게 되어 가고 있다. 즉, 첩합하는 기재가 투명성을 가질 경우는, 라미네이트용 필름도 투명한 것이 필요하며, 또한, 표면 광택성을 갖고 있는 편이, 투명 기재와 첩합했을 때의 외관도 좋아진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용 필름은 제조되고나서 실제로 기재와 첩합할 때까지, 정치 보관되게 된다. 통상, 접착제 등과의 젖음성을 올리기 위하여, 라미네이트용 필름 표면은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통상의 올레핀계 수지를 표면층으로 할 경우에는, 다층 필름 제조 후에 행한 표면 처리도의 경시(經時) 열화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보관된 라미네이트용 필름을 기재와 첩합할 때에, 보관 기간에 따라서 접착 강도(라미네이트 강도)의 불균일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 제품 성능의 불균일의 원인으로 된다. 접착 강도의 저하는, 라미네이트용 필름과 기재간에서의 디라미네이트를 발생시키게 되기 때문에, 라미네이트용 필름의 이인열성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킬 수 없는 것으로도 이어진다.
일본국 특개2000-33489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2-11118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식품, 약품, 화장품, 새니터리 용품, 공업 부품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이인열성, 고히트씰 강도, 내컬성, 표면층 외관, 휘발 성분의 흡착 억제나 라미네이트 적성이 양호한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및 당해 필름을 사용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적어도 4층의 다층 구성을 갖는 다층 필름으로서, 특히 씰층과, 이에 인접하는 층의 두께나 사용하는 수지종을 선택해서 조합하며, 또한 표면층(라미네이트층)에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에 의해, 이들 과제를 전부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A),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b)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B),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C),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d)를 주성분으로 하는 씰층(D)이, (A)/(B)/(C)/(D)의 순으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서, 상기 중간층(C)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40질량% 이상이, 유리전이점이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중간층(C)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5∼30%이고, 상기 씰층(D)의 올레핀계 수지(d)의 80질량% 이상이, 밀도가 0.90g/㎤ 이상인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씰층(D)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및 당해 필름을 사용한 복합 필름, 당해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은, 이인열성, 고히트씰 강도, 라미네이트 특성 등의 성능 밸런스가 우수하며, 또한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의 흡착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씰층과 인접하는 중간층에 고유리전이점을 갖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시켰음에 의해, 씰층을 투과한,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의 필름에의 흡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라미네이트층)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했음에 의해, 표면 광택성이 우수함과 함께 코로나 처리 등의 표면 처리도의 경시 열화가 없으며, 또한 다층 구성을 비대칭으로 했음에 의해 컬성도 억제되고, 라미네이트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외관도 양호한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재로서 이인열성을 갖는 것을 선택해서 사용함에 의해, 노치 등의 인열 개시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모두에 이인열성을 갖는 포장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과잉한 힘을 들이지 않고, 사회적 약자도 간단히 찢을 수 있는 이개봉성을 갖는다. 또한 씰층에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했음으로써, 씰부의 수축이나 주름이 들어가기 어려운 등의 우수한 씰성, 범용의 용기 등에의 이(易)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에도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했으므로, 중량물의 포장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 필름의 굴곡 피로 등에 의한 내핀홀성 등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을 사용한 복합 필름은, 식품·과자·화장품·새니터리 용품·의약품·담배·공업 약품·잡화용 등의 포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적어도 4층의 수지층을 가지며, 그 표면층(A)측에 접착층 등을 개재하여 기재 필름과 첩합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표면층(A)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를 주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함이란, 당해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의 전 질량에 대해서, 당해 주성분으로서 규정하는 특정 수지를 65질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로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계 중합체, 비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 환상 공역(共役) 디엔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노르보르넨계 중합체로서는,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이하, 「COP」라 함),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에틸렌 등의 올레핀을 공중합한 노르보르넨계 공중합체(이하, 「COC」라 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COP 및 COC의 수소 첨가물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500,000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300,000이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와 원료로 되는 노르보르넨계 단량체는, 노르보르넨환을 갖는 지환족계 단량체이다. 이러한 노르보르넨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테트라시클로도데센,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비닐노르보르넨, 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도데센, 디시클로펜타디엔, 디메타노테트라히드로플루오렌, 페닐노르보르넨, 메톡시카르보닐노르보르넨, 메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노르보르넨계 단량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공중합체는, 상기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이며, 이러한 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등의 탄소 원자수 2∼20개를 갖는 올레핀;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등의 시클로올레핀; 1,4-헥사디엔 등의 비공역 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올레핀은, 각각 단독이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를 표면층(A)의 주성분으로 함에 의해, 다층 필름의 표면 광택성이 양호함과 함께, 당해 표면을 코로나 처리 등으로 처리했을 때의 그 처리도의 경시에 의한 저하의 정도가 낮아, 다층 필름을 장기 보관했을 경우여도, 제품 성상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면층(A)의 주성분으로서 사용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의 유리전이점(Tg)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표면 광택성, 표면 처리도의 유지, 그리고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이 가령 표면층까지 도달해버렸을 때의 추가적인 흡착 억제나, 접착층으로부터의 저분자량 화합물, 휘발 성분 등의 내용물에의 이행을 억제할 수 있는 관점 등에서, 100℃ 이상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수지 성분으로서 40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리전이점, 융점 등은 시차(示差) 주사 열량 측정(DSC)으로 측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Tg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표면층(A)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에 대한 함유율은, 4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50질량% 이상인 것이, 얻어지는 다층 필름의 이인열성, 필름 강성, 흡착 억제가 보다 우수한 다층 필름으로 되어, 더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의 Tg는, 다른 수지층과의 공압출(共壓出) 적층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한 점과, 공업적 원료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Tg를 갖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로서는,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의 함유 비율이 40∼9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60∼85질량%이다. 함유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필름의 강성, 이인열성, 라미네이트 특성이 향상한다.
한편, 고유리전이점(Tg)의 노르보르넨계 공중합체는 인장 강도가 낮아, 극단적으로 끊어지기 쉽고, 찢어지기 쉬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성막성·슬릿 시의 인취(引取)나 권취(卷取) 적성이나 라미네이트 강도와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고Tg품과 100℃ 미만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저Tg품을 블렌딩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특히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서, 수송 시의 낙하에 의해 간단히 찢어지는·파대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Tg 100℃ 미만의 COC를 배합함에 의해,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COC와 상용성이 좋은, 환상 구조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배합하는 것도 유효하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로서 사용할 수 있는 시판품으로서,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COP)로서는, 예를 들면, 니혼제온가부시키가이샤제 「제오노아(ZEONOR)」 등을 들 수 있으며, 노르보르넨계 공중합체(COC)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아펠」, 폴리플라스틱스샤제 「토파스(TOPA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표면층(A)의 두께, 그리고 전 두께에 차지하는 두께 비율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다른 수지층과의 균형으로 선택하게 되지만, 공압출 적층법으로의 제조가 용이한 관점에서, 두께로서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 비율로서는 5∼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층(A)에 인접하는 중간층(B)은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b)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 중간층(B)을 마련함에 의하여, 다층 필름의 강성, 내한성, 내충격성, 내핀홀성, 그리고 내컬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즉, 이 중간층(B)에 사용하는 올레핀계 수지(b)는, 용도에 따라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b)로서는, 상술한 표면층(A) 및 후술하는 중간층(C)과 적층했을 때의 층간 접착성이 우수한 점, 및 공업적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이인열성, 내핀홀성, 표면층(A)과 중간층(C)과의 층간 강도의 유지를 위하여, 밀도 0.900∼0.950g/㎤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밀도 0.905∼0.945g/㎤의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선상 중밀도 폴리에틸렌(L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MA)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 공중합체(E-EA-MAH),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으며, 단독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갖는 이인열성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인열성을 갖는 관점과, 다층 필름으로서의 내핀홀성 등의 관점에서 LLDPE, LMD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DPE로서는 고압 라디칼 중합법으로 얻어지는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압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에틸렌을 단독 중합한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LLDPE, LMDPE로서는, 싱글 사이트 촉매를 사용한 저압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에틸렌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해서, 이것에 코모노머로서 부텐-1, 헥센-1, 옥텐-1, 4-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이다. 코모노머 함유율로서는, 0.5∼20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1∼18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싱글 사이트 촉매로서는, 주기율표 제 Ⅳ 또는 Ⅴ족 천이 금속인 메탈로센 화합물과, 유기알루미늄 화합물 및/또는 이온성 화합물의 조합 등의 메탈로센 촉매계 등의 각종 싱글 사이트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싱글 사이트 촉매는 활성점이 균일하기 때문에, 활성점이 불균일한 멀티 사이트 촉매와 비교해서, 얻어지는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샤프해지기 때문에, 필름으로 성막했을 때에 저분자량 성분의 석출이 적어, 수지층간의 접착 강도의 안정성이 우수한 물성의 수지가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밀도는 0.900∼0.950g/㎤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0.905∼0.940g/㎤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이 범위이면, 적당한 강성을 가지며, 내핀홀성 등의 기계 강도도 우수하여, 필름 성막성, 압출 적성이 향상한다. 또한, 융점은, 일반적으로는 60∼1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70∼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융점이 이 범위이면, 가공 안정성이나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와의 공압출 가공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MFR(190℃, 21.18N)는 2∼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3∼1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이 이 범위이면, 필름의 압출 성형성이 향상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와의 상용성도 좋기 때문에, 적층했을 때의 투명성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성 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층(A)과 중간층(C)과의 층간 접착 강도도 유지할 수 있고, 유연성도 갖고 있기 때문에, 내핀홀성도 양호해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병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이며, 특히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서 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중간층(B)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필름의 내열성이 향상하여, 연화 온도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100℃ 이하의 보일, 혹은 핫 충전, 또는 100℃ 이상의 레토르트 살균 등의 증기·고압 가열 살균 특성이 우수한 포장재용의 라미네이트용 필름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MFR(230℃)이 0.5∼30.0g/10분이고, 융점이 110∼165℃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MFR(230℃)이 2.0∼15.0g/10분이고, 융점이 115∼162℃인 것이다. MFR 및 융점이 이 범위이면, 필름의 성막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B)은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그 밖의 수지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혼합해도 되며, 또한, 그 밖의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2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때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수지로서는, 상기 표면층(A)에서 사용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 공압출 적층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밖의 수지층을 적층할 경우에 있어서도, 공압출 적층법을 적용할 수 있는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중간층(C)에서 사용하는 수지는, 상기 표면층(A)에 사용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마찬가지이지만,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의 필름에의 흡착을 실용 레벨로 하기 위하여, 중간층(C)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40질량% 이상이, 유리전이점이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저흡착성과 이인열성의 관점에서, 당해 중간층(C)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을 15∼30%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Tg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100℃ 이상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도, 흡착성의 관점에서 떨어짐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중간층(C)에 고Tg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충분한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필수로 되며, 또한, 저흡착성과 이인열성과의 양립을 위하여, 두께 비율을 한정하는 것이다. 즉, 이들 규정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성능의 일부를 발현할 수 없다. Tg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도, 상기와 같은 상품명으로 시판되어 있으므로, Tg를 확인해서 선택하게 된다.
특히 성능 밸런스가 우수한 다층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중간층(C)에 사용하는 수지의 90질량% 이상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Tg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Tg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의 혼합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씰층(D)은,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d)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그 80질량% 이상이, 밀도가 0.90g/㎤ 이상인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씰층(D)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0∼25%인 것을 필수로 한다. 특히 바람직한 두께 비율은 10∼20%이다. 이러한 비교적 얇은 씰층으로 함과, 높은 밀도의 수지를 사용함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흡착하기 쉬운 것으로 여겨지는 올레핀계 수지를 씰층으로 하고 있으면서, 그 흡착을 억제하는 것이다.
내용물로부터의 휘발 성분의 흡착의 방지라는 관점에서는, 씰층에도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는 있지만, 이 경우는, 씰할 때의 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거나, 씰되는 측(예를 들면, 용기)의 표면 수지종의 선택의 폭이 좁아지거나 한다. 즉, 범용의 용기에의 뚜껑재로서 사용할 때에, 충분한 씰 강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어, 라미네이트용 필름으로서의 범용성이 결여된 것이 된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d)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여도 되고,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여도 되며, 또한, 이들의 코폴리머여도 되고,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밀도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면,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저흡착성과 씰 강도의 밸런스가 우수한 관점에서, LLDPE이다.
씰 강도를 높게 할 경우에는, 씰층(D)의 두께 비율을 높이는 것이 유효하다. 한편, 두께 비율이 높아지면, 저흡착성능이 낮아지기 때문에, 용도·사용방법에 따른 설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씰층(D)의 두께는, 3∼15㎛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다른 기재와 첩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관점에서, 사용하기 쉬움(라미네이트하기 쉬움)의 관점, 내핀홀성, 강성의 관점에서 필름의 전 두께로서는, 통상 10∼10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을 기재에 라미네이트해서 이루어지는 복합 필름에 있어서, 이인열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인, 표면층(A)과 중간층(C)의 합계의 두께의 전 두께에 대한 비율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다른 기재와 첩합해서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기재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용이하게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고강성, 고광택을 갖는 플라스틱 기재, 특히는 2축 연신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의 경우는 알루미늄박을 단독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된 수지 필름으로서는, 이인열성 등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PET), 이열성(易裂性)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PET),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2축 연신 폴리아미드(P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중심층으로 한 공압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2축 연신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을 코팅한 공압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복합화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한 각 수지층에는, 필요에 따라서, 방담제(防曇劑), 대전방지제, 열안정제, 조핵제, 산화방지제, 활제, 안티블로킹제, 이형제(離型劑), 자외선흡수제, 착색제 등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특히, 필름 성형 시의 가공 적성, 충전기의 포장 적성을 부여하기 위해, 층(A) 및 (D)의 필름 표면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는 1.5 이하, 그 중에서도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수지층(A)에는, 활제나 안티블로킹제를 적의(適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표면층(A), 중간층(B), 중간층(C), 씰층(D)에 사용하는 각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각각 별개의 압출기에서 가열 용융시키고, 공압출 다층 다이스법이나 피드 블록법 등의 방법에 의해 용융 상태에서 (A)/(B)/(C)/(D)를 적층한 후, 인플레이션이나 T다이·칠드 롤법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공압출법 후, 표면층(A)에 기재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공압출법은, 각 층의 두께의 비율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위생성이 우수하고, 코스트 퍼포먼스도 우수한 다층 필름이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와, 중간층(B)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양자간에서 융점과 Tg와의 차가 크기 때문에, 공압출 가공 시에 필름 외관이 열화하거나, 균일한 층 구성 형성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고온에서 용융 압출을 행할 수 있는 T다이·칠드 롤법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은, 상기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다층 필름에 상기 기재를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필름이며, 적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션, 웨트 라미네이션, 논솔벤트 라미네이션, 압출 라미네이션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션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감압성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부틸 고무, 이들의 혼합물을 벤젠, 톨루엔, 자일렌, 헥산과 같은 유기 용제에 용해한 고무계 점착제, 또는, 이들 고무계 점착제에 아비에틸렌산로진에스테르, 테르펜·페놀 공중합체, 테르펜·인덴 공중합체 등의 점착부여제를 배합한 것, 혹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n-부틸 공중합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유리전이점이 -20℃ 이하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유기 용제로 용해한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층(A)의 최표면은, 상술한 접착제나 점착제의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또는, 최표면에 인쇄 등을 실시한 후, 기재와 라미네이트하는 경우 등의 시에는, 접착제, 점착제, 인쇄 잉크와의 밀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층(A)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의 표면 산화 처리, 또는 샌드블라스트 등의 표면 요철 처리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이다. 본 발명의 표면층(A)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에 의해, 이러한 처리를 행한 후, 장기 보존해도, 그 처리도의 경시 열화가 없으므로, 최종 제품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로서는, 식품, 약품, 화장품, 새니터리 용품, 공업 부품, 잡화, 잡지 등의 용도에 사용하는 포장 봉투, 용기, 용기의 뚜껑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내용물에 함유되는 휘발 성분의 필름에의 수착(收着)·흡착이 적고, 씰 강도의 경시 저하도 적기 때문에, 휘발성 성분을 함유하는 의약품이나 공업 약품용 등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장 봉투는,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의 씰층(D)끼리를 겹쳐서 히트씰, 또는 씰층(D)과 기재를 중첩해서 히트씰함에 의해, 씰층(D)을 내측으로 해서 형성한 포장 봉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당해 복합 필름 2매를 원하는 포장 봉투의 크기로 잘라내어, 그들을 겹쳐서 3변을 히트씰하여 봉투 형상으로 한 후, 히트씰을 하지 않은 1변으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하고 히트씰하여 밀봉함으로써 포장 봉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 포장기에 의해 롤상의 필름을 원통(필로우)형으로 단부를 씰한 후, 상하를 씰함에 의해 포장 봉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씰층(D)과 히트씰 가능한 다른 필름, 시트, 용기와 히트씰함에 의해 포장 봉투·용기·용기의 뚜껑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때, 사용하는 다른 필름으로서는, 비교적 기계 강도가 약한 LDPE, EVA, 폴리프로필렌 등의 필름이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필름을 사용한 포장재에는, 필름 자체에 이인열성을 갖기 때문에, 인열 개시부를 마련할 필요는 없지만, 보다 초기의 인열 강도를 약화시켜, 개봉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씰부에 V노치, I노치, 점선 구멍, 미다공 등의 임의의 인열 개시부를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표면층(A)용 수지로서,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아펠 APL8008T」, MFR : 15g/10분(260℃, 21.18N), 유리전이점 : 70℃; 이하, 「COC(3)」라 함〕를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직쇄상 중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30g/㎤, 융점 125℃, MFR : 5g/10분(190℃, 21.18N); 이하, 「LMDPE」라 함〕을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아펠 APL6015T」, MFR : 10g/10분(260℃, 21.18N), 유리전이점 : 145℃; 이하, 「COC(1)」라 함〕 60질량부와, COC(3) 4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또한, 씰층(D)용 수지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20g/㎤, 융점 110℃, MFR : 5g/10분(190℃, 21.18N); 이하, 「LLDPE」라 함〕을 사용했다. 이들 수지를 각각, 표면층(A)용 압출기(구경 50㎜), 중간층(B)용 압출기(구경 50㎜), 중간층(C)용 압출기(구경 50㎜), 씰층(D)용 압출기(구경 40㎜)에 공급해서 200∼250℃에서 용융하고, 그 용융한 수지를 피드 블록을 갖는 T다이·칠드 롤법의 공압출 다층 필름 제조 장치(피드 블록 및 T다이 온도 : 250℃)에 각각 공급하여 공용융 압출을 행해서, 필름의 층 구성이 (A)/(B)/(C)/(D)인 4층 구성이며, 각 층의 두께가 6㎛/15㎛/6㎛/3㎛(합계 30㎛)인 공압출 다층 필름(1)을 얻은 후,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3.5g/㎡로 되도록 도공 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두께 12㎛)(융점 260℃, 도요보제)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1)을 얻었다.
실시예 2
표면층(A)용 수지 및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12㎛/30㎛/12㎛/6㎛(합계 6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2)을 제작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2)을 얻었다.
실시예 3
표면층(A)용 수지로서 COC(1) 60질량부와, COC(3) 4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LLDPE, 중간층(C)용 수지로서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아펠 AP6013T」, MFR : 15g/10분(260℃, 21.18N), 유리전이점 : 125℃; 이하, 「COC(2)」라 함〕 60질량부와, COC(3) 4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해서 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밀도 : 0.900g/㎤, 융점 135℃, MFR : 4g/10분(230℃, 21.18N); 이하, 「MRCP」라 함)를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6㎛/12㎛/6㎛/6㎛(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3)을 제작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3)을 얻었다.
실시예 4
표면층(A)용 수지 및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50질량부 및 COC(3) 5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또한 중간층(B)용 수지로서, LMDPE를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20g/㎤, 융점 115℃, MFR : 8g/10분(190℃, 21.18N); 이하, 「LDPE」라 함〕을 사용하여,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6㎛/12㎛/6㎛/6㎛(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4)을 제작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4)을 얻었다.
실시예 5
표면층(A)용 수지로서, COC(1) 70질량부, COC(3) 3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또한 중간층(B)용 수지로서, MRCP를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60질량부, COC(3) 4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966g/㎤, 융점 128℃, MFR : 10g/10분(190℃, 21.18N); 이하, 「HDPE」라 함〕 85질량부와, 에틸렌부텐 러버〔밀도 : 0.890g/㎤, 융점 66℃, MFR : 3g/10분(190℃, 21.18N); 이하, 「EBR」이라 함〕 15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15㎛/15㎛/15㎛/5㎛(합계 5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5)을 제작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5)을 얻었다.
실시예 6
표면층(A)용 수지, 및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50질량부 및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미쓰이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 「아펠 AP6013T」, MFR : 15g/10분(260℃, 21.18N), 유리전이점 : 125℃; 이하, 「COC(2)」라 함〕 5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LLDPE 90질량부와, COC(2) 1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LLDPE 80질량부와, EBR 2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필름의 층의 두께가 (A)/(B)/(C)/(D)=6㎛/12㎛/6㎛/6㎛(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6)을 얻은 후, 표면층(A)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6)을 얻었다.
실시예 7
표면층(A)용 수지로서, COC(1) 50질량부와, COC(3) 5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또한 중간층(B)용 수지로서, MRCP 90질량부와 COC(2) 1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60질량부와 COC(3) 4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LLDPE를 사용하여,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6㎛/12㎛/6㎛/6㎛(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7)을 제작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2g/㎡로 되도록 도공 후,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두께 20㎛)(융점 162℃, 도요보제)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7)을 얻었다.
비교예 1
표면층(A)을 마련하지 않고, 중간층(B)용 수지로서, LMDPE를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3) 50질량부와, 초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 0.880g/㎤, 융점 85℃, MFR : 5g/10분(190℃, 21.18N); 이하, 「VLLDPE」라 함〕 5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VLLDPE를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B)/(C)/(D)=21㎛/3㎛/6㎛(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을 제작하고, 표면층(B)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표면층(A)용 수지로서, COC(1)를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LMDPE를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70질량부와 COC(2) 3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LLDPE를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10㎛/10㎛/10㎛/30㎛(합계 6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을 제작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표면층(A)용 수지, 및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3)를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LMDPE를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MRCP를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6㎛/16㎛/6㎛/2㎛(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을 작성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표면층(A)용 수지로서 COC(1) 70질량부와 COC(3) 3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MRCP를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60질량부와 COC(3) 4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VLLDPE 80질량부와 EBR 20질량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30㎛/30㎛/10㎛/30㎛(합계 10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을 작성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표면층(A)용 수지로서, COC(1) 50질량부와 COC(2) 5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중간층(B)용 수지로서 LLDPE를 사용했다.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1) 20질량부와 COC(3) 8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씰층(D)용 수지로서 LLDPE 80질량부와 EBR 2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가 (A)/(B)/(C)/(D)=6㎛/15㎛/3㎛/6㎛(합계 30㎛)로 되도록,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공압출 다층 필름을 작성하고, 표면층(A)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COC(1) 50질량부와 COC(2) 50질량부와의 수지 혼합물을 사용한 표면층과, MRCP를 사용한 씰층을 적층시켜서 이루어지는 2층 필름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표면층/씰층=20㎛/20㎛(합계 40㎛)로 되도록 하고, 표면층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40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VLLDPE를 사용한 표면층과, LLDPE를 사용한 씰층을 적층시킨 2층 필름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작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표면층/씰층=15㎛/15㎛(합계 30㎛)로 되도록 하고, 표면층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38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표면층(A)에 상당하는 수지층을 적층하지 않고, 중간층(B)용 수지로서 LLDPE, 중간층(C)용 수지로서 COC(3), 씰층(D)용 수지로서 LLDPE를 사용하여, 3층의 다층 필름을 제작했다. 필름의 각 층의 두께는 , (B)/(C)/(D)=9㎛/12㎛/9㎛(합계 30㎛)로 되도록 하고, 중간층(B)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젖음 시약에 의한 표면 장력은 38dyne/㎝였다. 처리면 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복합 필름을 얻었다.
잘림성 시험
얻어진 복합 필름을, JIS K7128에 준거해서, 각각 63㎜×76㎜의 크기의 시험편으로 잘라내고, 엘멘도르프 인열 시험기(테스터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해서, 인열 강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인열 강도로부터,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잘림성을 평가했다.
○ : 인열 강도가 110 미만.
× : 인열 강도가 110 이상.
흡착성 시험
각 복합 필름을 세로 100㎜×가로 100㎜의 삼방씰 파우치를 작성 후, 질량을 측정 후, 살리실산메틸(흡착 시험 1) 및 이산화염소〔클레베린 겔(Cleverin Gel) : 다이고야쿠힝〕(흡착 시험 2)를 2g 넣고, 개구부를 히트씰에 의해 밀폐했다. 밀폐 용기 중에 25℃ 항온 조건에서 2주간 방치 후, 개봉하여 내용물을 제거하고 파우치의 질량을 측정하여, 변화율로부터 흡착율을 구했다.
○ : 수치 1% 미만
△ : 수치 1% 이상 2% 미만
× : 수치 2% 이상
라미네이트 강도
상기 흡착 시험에서 사용한 복합 필름의 전후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측정하여, 강도의 저하율을 구했다.
○ : 10% 미만
× : 10% 이상
외관
각 복합 필름을 세로 100㎜×가로 100㎜의 삼방씰 파우치를 작성 후, 살리실산메틸, 이산화염소를 2g 넣고, 개구부를 히트씰에 의해 밀폐했다. 밀폐 용기 중에 25℃ 항온 조건에서 2주간 방치 후, 접착제부의 라미네이트의 들뜸이나 디라미네이션에 의한 외관 변화를 관찰했다.
○ : 외관 변화 없음
× : 라미네이션의 들뜸 등의 외관 변화 있음
씰 강도 시험
각 복합 필름을 세로 100㎜×가로 100㎜의 삼방씰 파우치를 작성 후, 질량을 측정 후, 살리실산메틸을 2g 넣고, 개구부를 히트씰에 의해 밀폐했다. 밀폐 용기 중에 45℃ 항온 조건에서 2주간 방치 후, 씰 강도를 측정하여 강도 저하율을 구했다.
○ : 5% 미만
× : 5% 이상
컬성
각 다층 필름을, 가로세로 10㎝ 사각형으로 잘라내고, 40℃ 습도 90% 하에 24시간 보존했다. 평면에 필름을 펼쳐 양 단면이 말려 올라간 높이를 측정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 : 높이 3㎝ 미만
△ : 높이 3㎝ 이상
× : 필름 양단이 겹쳐져 완전히 둥글게 되어버림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5051250058-pct00001
[표 2]
Figure 112015051250058-pct00002
본 발명의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은, 이인열성, 고히트씰 강도, 휘발성 성분의 흡착 억제 등을 갖는다. 또한, 우수한 라미네이트 강도, 굴곡에 의한 내핀홀성, 내컬성, 외관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은, 식품, 과자, 의약품, 담배, 공업 약품, 공업 부품, 잡화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에 호적하다.

Claims (12)

  1.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A),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b)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B),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C),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d)를 주성분으로 하는 씰층(D)이,
    (A)/(B)/(C)/(D)의 순으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서,
    상기 중간층(C)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40질량% 이상이, 유리전이점이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중간층(C)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5∼30%이고,
    상기 씰층(D)의 올레핀계 수지(d)의 80질량% 이상이, 밀도가 0.90g/㎤ 이상인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씰층(D)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0∼25%이며, 또한 두께가 3∼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 및 (c)가, 노르보르넨계 중합체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b) 및 (d)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d)가 직쇄상 폴리에틸렌계 수지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전 두께가 20∼60㎛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공압출 적층법으로 제조한 것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A)과 상기 중간층(C)과의 합계 두께가, 전 두께의 40% 이상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의 표면층(A) 위에, 플라스틱 기재를 적층한 복합 필름.
  9. 제8항에 기재된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0. 제9항에 있어서,
    휘발성 성분을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공업 약품용의 포장 봉투인 포장재.
  11.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a)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A),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b)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B),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간층(C),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계 수지(d)를 주성분으로 하는 씰층(D)이,
    (A)/(B)/(C)/(D)의 순으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공압출적층법으로 제조하는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중간층(C)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c)의 40질량% 이상이, 유리전이점이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중간층(C)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5∼30%이고,
    상기 씰층(D)의 올레핀계 수지(d)의 80질량% 이상이, 밀도가 0.90g/㎤ 이상인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씰층(D)의 전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0∼25%이며, 또한 두께가 3∼10㎛의 범위인,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기재된 복합 필름의 씰층(D)끼리를 겹쳐서 히트씰, 또는 씰층(D)과 기재를 중첩해서 히트씰하는, 씰층(D)을 내측으로 해서 형성되는 포장 봉투의 제조 방법.
KR1020157014103A 2012-11-22 2013-09-10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KR102131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6247 2012-11-22
JP2012256247 2012-11-22
PCT/JP2013/074361 WO2014080679A1 (ja) 2012-11-22 2013-09-10 低吸着性ラミネート用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807A KR20150088807A (ko) 2015-08-03
KR102131124B1 true KR102131124B1 (ko) 2020-07-07

Family

ID=5077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103A KR102131124B1 (ko) 2012-11-22 2013-09-10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22956B2 (ko)
KR (1) KR102131124B1 (ko)
TW (1) TWI586535B (ko)
WO (1) WO2014080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2245B2 (ja) * 2015-02-24 2019-08-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6620438B2 (ja) * 2015-06-30 2019-12-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吸着性共押出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6702068B2 (ja) * 2015-09-08 2020-05-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半透明性延伸フィルム
WO2017094491A1 (ja) * 2015-11-30 2017-06-08 Dic株式会社 貼付剤の包装構造
JP6839924B2 (ja) * 2016-03-15 2021-03-10 Dic株式会社 蓋材
JP7395922B2 (ja) * 2019-10-03 2023-12-12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低吸着性積層体
JP6773995B2 (ja) * 2020-02-17 2020-10-21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多重袋
CN114889280B (zh) * 2022-06-17 2024-01-02 应城市恒天药业包装有限公司 一种一次性高阻隔静脉营养输液袋用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420A (ja) * 2011-01-28 2012-08-16 Dic Corp 易貫通性蓋材
JP2012196796A (ja) 2011-03-18 2012-10-18 Fujimori Kogyo Co Ltd 包装用積層構造体及び包装容器
JP2012224071A (ja) 2011-04-06 2012-11-15 Dic Corp 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890A (ja) 1999-03-24 2000-12-05 Nippon Zeon Co Ltd 包装フィルム
JP5720202B2 (ja) 2010-11-26 2015-05-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吸着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包装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420A (ja) * 2011-01-28 2012-08-16 Dic Corp 易貫通性蓋材
JP2012196796A (ja) 2011-03-18 2012-10-18 Fujimori Kogyo Co Ltd 包装用積層構造体及び包装容器
JP2012224071A (ja) 2011-04-06 2012-11-15 Dic Corp 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80679A1 (ja) 2017-01-05
JP5822956B2 (ja) 2015-11-25
TW201420345A (zh) 2014-06-01
KR20150088807A (ko) 2015-08-03
WO2014080679A1 (ja) 2014-05-30
TWI586535B (zh) 201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1124B1 (ko)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JP7140105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5459535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JP5413647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JP5713190B2 (ja) 易開封性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
JP5779866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
JP5741935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KR20160147721A (ko) 다층 실란트 필름
JP5787157B2 (ja) 易引裂き性多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該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
JP6375974B2 (ja) 易引裂性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172398B2 (ja) 多層フィルム、包装材用積層フィルム、包装袋及び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2021035771A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7140104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5716286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JP5991504B2 (ja) 易貫通性蓋材
TWI583549B (zh) 積層體及使用其的包裝材
KR20210008466A (ko) 다층 필름 및 포장재
JP5935372B2 (ja) ひねり包装用フィルム及びひねり包装体
JP6465343B2 (ja) 保香性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7207604B2 (ja) アルコール透過抑制フィルム、及びアルコール透過抑制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並びに包装体
JP5569659B1 (ja) 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材
JP6839924B2 (ja) 蓋材
JP2021102277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