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251B1 - 매립형 도어록 - Google Patents

매립형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251B1
KR102125251B1 KR1020200053918A KR20200053918A KR102125251B1 KR 102125251 B1 KR102125251 B1 KR 102125251B1 KR 1020200053918 A KR1020200053918 A KR 1020200053918A KR 20200053918 A KR20200053918 A KR 20200053918A KR 102125251 B1 KR102125251 B1 KR 10212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andle
latch
unlock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빈
Original Assignee
임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효빈 filed Critical 임효빈
Priority to KR102020005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6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essentially defining a completely closed surface together with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여닫이 문에 장착되는 도어록에서, 문의 일면에 장착된 제1몸체, 제1몸체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 제1수용홈과, 제1수용홈의 개방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수용되어 외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손잡이를 갖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한 제1몸체부; 문의 타면에 장착되어 제1몸체와 체결되는 제2몸체, 제2몸체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 제2수용홈과, 제2수용홈의 개방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수용되어 외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손잡이를 갖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한 제2몸체부;와, 제1손잡이부 또는 제2손잡이부의 축회전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랫치와, 랫치의 일부위가 이동하면서 돌출 및 삽입되는 문의 문틀측 일면에 장착된 랫치케이스를 포함한 랫치부; 상기 제1몸체부의 잠금부수용부재에 장착되며 잠금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단부를 눌러 잠금상태와 잠금해제 상태를 만들어주는 누름부재, 누름부재의 작동으로 잠금핀이 렛치부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원위치하여 잠금상태와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해 주는 잠금부재,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강제로 잠금을 해제하여 주는 잠금해제부재를 포함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매립형 도어록{Buried type door lock}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문에 설치된 도어록의 손잡이가 평상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립형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 문에는 문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록이 설치된다. 이 도어록은 손잡이가 통상적으로 문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 손잡이는 대체적으로 성인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허리 높이 정도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도어록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0629호(발명의 명칭:도어락용 모티스 장치)에서와 같이 많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므로 제조 원가가 높고, 이러한 많은 수의 부품에 의하여 고장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으며, 다소 높은 비용의 부품 교체 및 수리가 요구될 수 있다.
또한, 도어록의 돌출된 손잡이는 출입문의 개폐시에 인접한 벽에 부딪히면서 벽의 벽지가 손상될 수 있고, 이때의 충격에 의하여 도어록이 손상되어 수명이 반감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록은 설치된 위치가 대략 어린아이들의 머리나 어깨의 부위와 거의 일치하는 높이에 위치하므로, 돌출된 손잡이에 어린아이나 아동들이 머리가 부딪히거나 신체의 일부가 부딪혀서 상해를 입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도어록으로 특허등록 제10-1691323호가 등록된 바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글 때에는 손으로 눌렀다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에는 손으로 잡아 빼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062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91323호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록의 손잡이가 본체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제작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낮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립형 도어록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어록 잠금장치를 사용을 좀 더 편리하게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은,여닫이 문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있어서,상기 문의 일면에 장착된 제1몸체(110), 제1몸체(110)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 제1수용홈(112), 제1수용홈(112)의 개방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수용되어 외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손잡이(121)를 갖는 제1손잡이부(120), 제1수용홈(112)의 렛치부(400)측 일부에 가공된 제1장착홀(113), 제1장착홀(113) 측 내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돌기(115)를 구비하고, 제1장착홀에 잠금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부수용부재(114)를 포함하는 제1몸체부(100);
상기 문의 타면에 장착되어 제1몸체(110)와 체결되는 제2몸체(210), 제2몸체(210)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 제2수용홈, 제2수용홈의 개방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수용되어 외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손잡이(221)를 갖는 제2손잡이부(220), 제2수용홈의 렛치부(400) 측 일부에 가공된 제2장착홀(213), 제2장착홀(213) 측 내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돌기(214)를 포함하는 제2몸체부(200);
상기 제1손잡이부(120) 또는 제2손잡이부(220)의 축회전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렛치(430), 상기 렛치(430)의 일부위가 이동하면서 돌출 및 삽입되는 문의 문틀측 일면에 장착된 렛치케이스(410)를 포함한 렛치부(400);
상기 제1몸체부의 잠금부수용부재(114)에 장착되며 단부를 눌러 잠금상태와 잠금해제 상태를 만들어주는 누름부재(510), 누름부재의 작동으로 잠금핀(521)이 렛치부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원위치하여 잠금상태나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해 주는 잠금부재(520), 상기 누름부재(510)와 잠금부재(520)를 수용하는 하우징(530)을 포함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부(110)의 제1손잡이부(120)가 제1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120)는 제1몸체의 제1장착홀(113)을 통과하여 제1고정돌기(115) 근처에 위치하도록 제1손잡이(121)의 후면에 가공된 제1-1결합돌기(122), 제1장착홀(113)을 통과하면서 제1-1결합돌기(122)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제1손잡이(121)의 후면에 가공된 제1-2결합돌기(123)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제2몸체부(120)의 제2손잡이부(220)와 제2몸체(2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220)는 제2몸체의 제2장착홀(213)을 통과하여 제2고정돌기(215) 근처에 위치하도록 제2손잡이(221)의 후면에 가공된 제2-1결합돌기(222), 제2장착홀(213)을 통과하면서 제2-1결합돌기(122)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제2손잡이(221)의 후면에 가공된 제2-2결합돌기(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손잡이부의 상기 제1-2결합돌기(123)는 제1회전축(311)과 결합하는 관통홀과 제1회전레버(312)와 결합하는 관통홀을 함께 구비하고,
상기 제2-2결합돌기(223)는 제2회전축(321)과 결합하는 관통홀과 제2회전레버(322)와 결합하는 관통홀을 함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손잡이부(220)는 제2손잡이(221) 일정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2손잡이(221) 내측으로 중공의 통이 결합된 잠금해제가이드(224)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220)의 제2수용홈에 잠금해제가이드(224)와 동심선상에 위치하는 잠금해제관통홀(21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310)는 상기 제1몸체부(100)에 체결되며 제1손잡이(121)의 축회전을 위한 축으로 제1몸체부(100)의 제1고정돌기(115)와 제1손잡이부(121)의 제1-1결합돌기(122) 및 제1-2결합돌기(123)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회전축(311), 제1회전축(311) 및 제1-2결합돌기(123)와 결합하여 렛치부(400)를 이동시켜 문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제1회전레버(312), 제1손잡이와 함께 제1회전레버(312)가 축회전하면 압축되어 복원력이 발생하였다가 제1손잡이의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되면서 제1손잡이와 제1회전레버를 원위치로 복귀 시켜주는 제1회전스프링(313)을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부(200)에 체결되며 제2손잡이(221)의 축회전을 위한 축으로 제2몸체부(200)의 제2고정돌기(214)와 제2손잡이부(220)의 제2-1결합돌기(222) 및 제2-2결합돌기(223)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회전축(321), 제2회전축 및 제2-2결합돌기(223)와 결합여어 렛치부(400)를 이동시켜 문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제2회전레버(322), 제2손잡이(221)와 함께 제2회전레버(322)가 축회전하면 압축되어 복원력이 발생하였다가 제2손잡이의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되면서 제2손잡이와 제2회전레버를 원위치로 복귀 시켜주는 제2회전스프링(32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렛치부(400)는 렛치케이스(410)의 원통부위에 수용되면서 랫치(430)의 후부가 관통하여 배치된 랫치스프링(420), 랫치스프링(420)에 의한 랫치(430) 전부의 돌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랫치케이스(410)의 원통부위에 위치하여 내면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랫치(430)에 돌출 가공된 랫치돌기(431), 랫치(430)의 후부에 고정된 렛치이동부재(440)를 구비하고,
상기 렛치이동부재(440)가 이동하면 렛치케이스(410)와 렛치(430)에 의해 랫치스프링(420)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500)는 막대형상의 잠금해제몸체(541)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누르는 면을 제공하는 잠금해제버튼(542)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잠금해제버튼(542)을 누르면 강제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재(5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500)의 누름부재(510)는 산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재산(511), 누름부재(510)의 일정 위치에 상기 잠금해제부재(520)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재 수용홀(513)과 누름부재(510)가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5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520)는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렛치부 후방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잠금핀(521), 상기 잠금핀을 둘러싸는 잠금스프링(522)과 잠금부재산(523) 외면에 잠금돌기(5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돌기(524)는 잠금부재산(523)의 외측면에 잠금부재산(523)의 산과 산 사이 폭의 절반 미만으로 돌출되고 일측의 꼭지점이 예각으로 형성되되, 예각으로 형성되는 잠금돌기(524)의 꼭지점은 잠금부재산(523)의 경사도 와 동일한 경사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돌기(524)는 꼭지점이 잠금부재산(523) 꼭지점 보다 높은 위치에서 좌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30)은 잠금핀(521)의 헤드가 하우징(530) 밖으로 돌출되는 잠금핀관통홀(531), 상기 잠금해제부재(540)가 축결합 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재 결합홀(532) 및 상기 잠금부재(520)의 잠금돌기(524)가 걸려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 내측으로 돌출된 잠금걸림턱(53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걸림턱(533)은 상기 잠금부재산(513)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가 몸체에 매립되므로, 문 개폐시 손잡이가 인접한 벽에 충돌하여 도어록, 벽 또는 벽지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에 부딪혀 아이들이 상해를 입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를 축회전하도록 제작하어 간단하면서도 제작비을이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도어록의 잠금장치를 잠금이나 잠금해제시 모두 잠금부를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잠금장치의 작동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매립형 도어록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2는 제1몸체와 제2몸체, 회전부, 렛치부 및 잠금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3은 제1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4는 제2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5는 렛치부, 회전부와 잠금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6은 잠금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잠금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잠금부의 잠금가이드홈과 잠금걸림턱과을 펼친상태를 도시하여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매립형 도어록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2는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렛치부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3은 제1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4는 제2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5는 렛치부, 회전부와 잠금수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6은 잠금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잠금부의 작동원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잠금부의 잠금가이드홈과 잠금걸림턱과을 펼친상태를 도시하여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도어록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 제1몸체부(100)와 체결되는 제2몸체부(200),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각각 체결된 한 쌍의 회전부(300), 회전부(300)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된 렛치부(400)와, 렛치부(400)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된 잠금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회전부(300)는 상호 동일한 구성요소가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각각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나를 설명하면서 다른 하나의 설명을 갈음하고자 한다. 또한, 통상의 도어록과 마찬가지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는 여닫이 문(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상호 체결되고, 렛치부(400)는 문의 문틀(미도시)측 일면에 장착된다.
제1몸체부(100)는 도 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와 제1손잡이부(1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몸체(110)는 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부재로, 제1손잡이(121)가 체결되는 일정 크기로 제작된다. 이 제1몸체(110)는 제1체결돌기(111), 제1수용홈(112), 제1장착홀(113), 잠금부 수용부재(114), 제1고정돌기(115)를 구비한다.
제1체결돌기(111)는 제2몸체(210)와의 체결을 위해 내면에서 돌출된다. 자세하게는, 제1체결돌기(111)는 후술된 제2몸체(210)의 제2체결돌기(211)와 동심을 이룬 상태에서 나사 등을 통해 상호 체결함으로써,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를 체결할 수 있다. 물론, 제1체결돌기(111)는 제2체결돌기(211)에 상응하는 개수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제1수용홈(112)은 제1손잡이(1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몸체(110)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다. 이 제1수용홈(112)은 개방된 상면 일부를 제1손잡이(121)가 덮을 수 있도록 수용하고, 나머지 상면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와 제1손잡이(121)를 파지하여 축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깊이로 가공된다.
제1장착홀(113)은 제1몸체(110)의 외측에 위치한 제1손잡이(121)의 일측부와 제1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한 회전부(30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수용홈(112)의 일측을 관통하여 가공된다. 이 제1장착홀(113)은 제1수용홈(112)에서 렛치부(400)측에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부 수용부재(114)는 잠금부(500)를 수용하도록 제1장착홀(113)을 가로질러 제1몸체(110)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가공된다. 잠금부 수용부재(114)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면은 잠금부를 수용하면서 잠금부의 일부가 제1손잡이(120)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네 측면 중 일측면은 벽이 형성되어 잠금부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며, 다른 일측면은 잠금부의 잠금해제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115)는 제1몸체(110)의 내면이면서 제1장착홀(113) 근처에 1개 이상 가공된다. 이 제1고정돌기(115)는 후술된 제1회전부(310)의 제1회전축(311)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일례로 2개가 일정 길이만큼 떨어져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제1손잡이부(120)는 제1손잡이(121), 제1-1결합돌기(122), 제1-2결합돌기(123)와, 잠금부돌출홀(12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손잡이(121)는 제1수용홈(112)의 개방된 상면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된다. 이 제1손잡이(121)는 파지하기 용이하게 제1수용홈(112)의 일정 부위에 사각형상으로 제작 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제1-1결합돌기(122)는 제1손잡이(121)의 내면에 돌출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며 ㄱ자로 꺾인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회전부와 결합 할 수 있도록 일정 부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1-1결합돌기(122)는 제1몸체(110)와 제1손잡이(121)가 결합될 때 제1장착홀(113)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제1-2결합돌기(123)는 제1손잡이(121)의 내면에 돌출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며 ㄱ자로 꺾인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회전부와 결합 할 수 있도록 일정 부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점은 제1-1결합돌기와 동일하나, 후술하는 회전부의 제1회전레버와 결합하는 관통홀이 하나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제1-2결합돌기(123) 역시 제1몸체(110)와 제1손잡이(121)가 결합될 때 제1장착홀(113)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잠금부돌출홀(124)은 후술된 잠금부(50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손잡이(121)에 설치된다.
제2몸체부(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10)와 제2손잡이부(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의 잠금부수용부재(114)가 제외되고, 제2손잡이(220)에 잠금해제 가이드(214)와 잠금해제관통홀(215)이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기타 구성요소는 거의 유사하며, 상호 대칭으로 위치한다.
여기서, 제2몸체(210)는 제1몸체(110)의 반대측인 문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부재로, 제2손잡이(221)가 체결되는 일정 크기로 제작된다. 이 제2몸체(210)는 제2체결돌기(211), 제2수용홈(미도시), 제2장착홀(213), 제2고정돌기(214)와 잠금해제관통홀(215)을 구비한다.
먼저, 제2체결돌기(211)는 제1몸체(110)의 제1체결돌기(111)와 동심을 이룬 상태에서 나사 등을 통해 상호 체결되도록 가공된다. 이들 제2체결돌기(211)와 제1체결돌기(111)의 체결로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가 체결된다.
또한, 제2수용홈은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수용홈(112)과 그 형태 및 모양이 동일하고, 제2손잡이(2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몸체(210)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다. 이 제2수용홈은 개방된 상면 일부를 제2손잡이(221)가 덮을 수 있도록 수용하고, 나머지 상면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와 제2손잡이(221)를 파지하여 축회전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와 깊이로 가공된다.
그리고 제2장착홀(213)은 제2몸체(210)의 외측에 위치한 제2손잡이(221)의 일측부와 제2몸체(210)의 내측에 위치한 회전부(30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제2수용홈의 일측에 관통하여 가공된다. 이 제2장착홀(213)은 제2수용홈에서 렛치부(400)측에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돌기(214)는 제2몸체(210)의 내면이면서 제2장착홀(213) 근처에 적어도 1개가 가공된다. 이 제2고정돌기(214)는 제2회전부(320)의 제2회전축(321)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일례로 2개가 일정 길이만큼 떨어져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관통홀(215)은 잠금부가 잠금상태일 때 외부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하고자 할 때, 별도의 부재가 후술하는 손잡이부의 잠금해제가이드(224)를 통과한 후 제2몸체(210)를 통과하여 잠금부에 도달 할 수 있게 하는 관통홀로서 잠금해제 가이드(224)와 동심 선상에 마련된다.
한편, 제2손잡이부(220)는 제2손잡이(221), 제2-1회전돌기(222), 제2-2회전돌기(223), 잠금해제가이드(2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손잡이(221)는 제2수용홈의 개방된 상면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된다. 이 제2손잡이(221)는 사각형일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여기서, 제2손잡이(221)는 제2수용홈(212)의 개방된 상면 중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된다. 이 제2손잡이(221)는 파지하기 용이하게 제2수용홈의 중앙부위에 사각형상으로 제작 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제2-1결합돌기(222)는 제2손잡이(221)의 내면에 돌출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며 ㄱ자로 꺾인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회전부와 결합 할 수 있도록 일정 부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다. 제2-1결합돌기(222)는 제2몸체(210)와 제2손잡이(221)가 결합될 때 제2장착홀(213)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제2-2결합돌기(223)는 제2손잡이(221)의 내면에 돌출되어 일정 높이를 가지며 ㄱ자로 꺾인 형태로 가공될 수 있고, 회전부와 결합 할 수 있도록 일정 부위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는 점은 제2-1결합돌기와 동일하나, 회전부의 제2회전레버(322)와 결합하는 관통홀이 하나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제2-2결합돌기(222)는 제2몸체(210)와 제2손잡이(221)가 결합될 때 제2장착홀(213)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잠금해제가이드(224)는 제2손잡이(221)의 일정 위치에서 중공의 원통 형태로 가공되어 제2손잡이(221)의 후면에 위치하며,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잠금을 해제할 때 별도의 부재가 후술하는 잠금해제 버튼(542)에 도달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해제가이드(224)와 잠금해제관통홀(215), 잠금해제 버튼(542)는 동심선상에 위치한다.
회전부(300)는 도2와 도5에서 보듯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각각 체결되는 제1회전부(310)와 제2회전부(320)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구성요소는 동일하며, 단지 대칭으로 배치되어 체결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회전부(310)를 자세히 설명하고, 제2회전부(320)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회전부(310)는 제1회전축(311), 제1회전레버(312)와 제1회전스프링(313), 제1걸림핀(31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회전축(311)은 제1손잡이(121)의 축회전을 위한 축으로, 제1몸체부의 일측의 제1고정돌기(115)와 제1손잡이부의 제1-1결합돌기(122) 및 제1-2결합돌기(123), 그리고 몸체부의 타측의 제1고정돌기(115)를 차례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축(311)은 제1손잡이(121)가 제1몸체(110)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체결된다. 이 제1회전축(321)은 일측은 헤드를 구비하고 타측은 제1고정돌기에 체결 후 제1회전축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1걸림핀(3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레버(312)는 제1회전축(311)이 관통하는 대략 중공의 판 형상의 몸통에 제1-1결합홀(312a)과 제1-2결합홀(312b)가 구성되어 있고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회전레버(312)는 제1-1결합홀(312a)에 회전축이 통과하고 제1-2결합홀(312b)에는 제1-2결합돌기(123)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1손잡이(121)가 축회전하면 제1회전레버(322)가 후술하는 렛치부의 걸림부재(440)을 잡아당겨 렛치부(400)의 렛치(430)가 최초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문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스프링(313)은 축회전된 제1회전레버(3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부재이다. 이 제1회전스프링(313)은 제1회전축에 감기는 코일스프링으로 일측부가 제1회전레버(312)의 돌기부분에 지지되고 타측부가 제1몸체(110)의 내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1회전스프링(313)은 제1손잡이(121)와 함께 제1회전레버(312)가 축회전하면 코일스프링의 감긴 방향을 따라 복원력이 발생하였다가 제1손잡이(121)의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되면서 제1회전레버(312)와 제1손잡이(1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물론, 제1회전스프링(313)은 제1손잡이(121)의 축회전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탄성부재일 수 있고, 이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을 포함한 통상의 스프링 또는, 탄성을 갖는 모든 부재일 수 있다.
한편, 제2회전부(320)는 제2회전축(321), 제2회전레버(322)와 제2회전스프링(313)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2회전축(321)은 제2손잡이(221)의 축회전을 위한 축으로, 제2몸체부 일측의 제2고정돌기(215)와 제2손잡이부의 제2-1결합돌기(222) 및 제2-2결합돌기(223), 그리고 몸체부 타측의 제2고정돌기(215)를 차례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 제2회전축(321)은 일측은 헤드를 구비하고 타측은 제2고정돌기에 체결 후 제2회전축이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2걸림핀(3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레버(322)는 제2회전축(321)이 관통하는 대략 중공의 판 형상의 몸통에 제2-1결합홀(322a)과 제2-2결합홀(322b)이 구성되어 있고 몸통으로부터 연장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2회전레버(322)는 제2-1결합홀(322a)에 회전축이 통과하고 제2-2결합홀(322b)에는 제2-2결합돌기(223)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제2회전스프링(323)은 축회전된 제2회전레버(3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부재이다. 이 제2회전스프링(323)은 코일스프링이면서 일측부가 제1회전레버(322)에 지지되고 타측부가 제1몸체(210)의 내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2회전스프링(323)은 제2손잡이(221)과 함께 제2회전레버(322)가 축회전하면 압축되어 복원력이 발생하였다가 제2손잡이(221)의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되면서 제2회전레버(322)와 제2손잡이(2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물론, 제2회전스프링(323)은 제2손잡이(221)의 축회전에 따라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탄성부재일 수 있고, 이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을 포함한 통상의 스프링 또는, 탄성을 갖는 모든 부재일 수 있다. 제2회전부는 제1회전부와 형태, 결합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고, 대칭으로 배치된다.
렛치부(400)는 도2와 도5에서 보듯이, 렛치케이스(410), 렛치스프링(420), 렛치(430), 렛치이동부재(4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렛치케이스(410)는 대략 "T"자 형상이고, 판 형상의 일측부가 문의 문틀측 일면에 고정되고, 원통형상의 타측부가 문에 삽입되면서 렛치(43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렛치케이스(410)의 원통부에는 렛치스프링(420)이 삽입되고 렛치이동부재(440)와 결합되는 쪽은 관통홀이 형성되어 렛치(430)와 렛치이동부재(440)가 결합하는 통로가 되는 동시에 렛치스프링(420)의 일측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렛치스프링(420)은 렛치케이스의 원통부에 삽입되면서 렛치(430)의 뒷부분이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렛치스프링(420)은 렛치케이스(410)가 문에 고정된 상태에서 렛치(430)가 외력에 의해 후방 이동하면 압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렛치(43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배치된다.
또, 렛치(430)는 통상의 형태이고, 렛치케이스(4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렛치(430)는 지름이 큰 앞부분이 렛치케이스(410)에서 인출 및 삽입되고, 지름이 작은 뒷부분이 렛치스프링(420)을 관통하며 렛치이동부재(440)와 결합한다. 이 렛치(430)에는 앞부분에 렛치돌기(431)를 구비한다. 이 렛치돌기(431)는 렛치케이스(410)의 원통부에 위치하면서 판 형상부위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이를 통해 렛치(430)의 앞부분이 렛치스프링(420)에 의해 과도하게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렛치이동부재(440)는 렛치(430)에 결합되며, 렛치와 결합되는 반대쪽 단부에 판이 구비되어 제1손잡이부(120) 또는 제2손잡이부의 축회전에 의하여 같이 축회전하는 회전부(300)의 제1회전레버(312) 또는 제2회전레버(322)에 걸려 렛치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잠금부(500)는 문을 닫은 후 잠금부가 설치된 몸체부의 반대쪽에서는 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이 잠금부(500)는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누름부재(510), 잠금부재(520), 잠금해제부재(530), 하우징(540)으로 구성된다. 이 잠금부(500)는 제1몸체부(1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잠금부(500)는 잠금부 수용부재(114)에 수용되어 제1몸체부에 장착되고, 누름부재(510)의 일부가 제1손잡이(121)에 가공된 잠금부돌출홀(124)을 통하여 돌출되면서 잠금 또는 잠금해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잠금부의 누름부재(510)는 잠금부(500)를 작동시키는 부재로서 누름부재산(511), 걸림돌기(512), 잠금해제부재 수용홀(513)로 구성된다. 누름부재산(511)은 누름부재(5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산으로서 후술하는 잠금부재산(523) 및 잠금돌기(524)와 맞닿아 있다.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부재산(523)과 잠금돌기(524)를 밀어내면서 잠금부재(510)가 이동하여 잠금상태나 잠금해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걸림돌기(512)는 누름부재(510)의 일정부위에 위치하는 돌기로서 누름부재(510)가 하우징 내에서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하고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해준다.
잠금해제부재 수용홀(513)은 누름부재(510)의 일정부위에 형성되는 홀로서 후술하는 잠금해제부재(540)의 잠금해제몸체(541)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잠금부재(520)는 잠금부(500)가 잠금상태나 잠금해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잠금핀(521), 잠금스프링(522), 잠금부재산(523), 잠금돌기(524)로 구성된다.
잠금핀(521)은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렛치이동부재(440)의 후부에 위치하여, 누름부재(510)가 잠금부재(520)를 누르면 렛치이동부재(440) 바로 뒤로 이동함에 따라 렛치이동부재(44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여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누름부재를 한번 더 누르면 잠금핀(521)이 원위치하여 렛치이동부재(440)가 후방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잠금스프링은 잠금핀(521)을 감싸는 코일스프링으로서 잠금부재산(523)과 후술하는 잠금핀관통홀(531) 사이에 위치하여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압축되었다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부재(520)를 원위치 시킴으로써 잠금상태와 잠금해제 상태를 번갈아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잠금부재산(523)은 잠금부재(520)의 단부에 형성되는 산으로 누름부재산(511)과 맞닿아 있다. 누름부재(510)가 잠금부재(520)을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부재산(523) 및 잠금돌기(524)를 밀어내 잠금부재(520)가 후술하는 잠금가이드홈(533) 또는 잠금걸림턱(534)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누름부재산(511)의 경사면을 타고 오르면서 잠금부재(520)가 일정거리만큼 회전하게 한다.
잠금돌기(524)는 도6의 원안의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잠금부재산(523)의 외측면에 돌출되는 돌기로서 잠금부재산(523)의 산과 산 사이 폭의 절반 미만으로 형성되고, 잠금돌기(524)의 길이방향 일면은 잠금부재산(523)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겹치면서 한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으며, 잠금돌기(524)의 가로방향 일면은 잠금부재산(523)과 같은 방향의 경사면을 가지며 잠금부재산(523) 꼭지점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돌출된다. 따라서 잠금부재산(523)은 누름부재산(511)의 꼭지점과 맞닿아 있고 잠금돌기(524)는 누름부재산(511)의 꼭지점이 잠금돌기(524) 경사면의 일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잠금돌기(524)는 잠금부재산(523) 하나 건너 하나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과 도9 첫번째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돌기(524)는 잠금해제 상태일 때에는 후술하는 잠금가이드홈(533)에 위치하다가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돌기(524)와 잠금부재산(523)을 누르면서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되고 잠금핀(511)은 렛치이동부재 뒤에 위치하여 렛치이동부자(44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잠금상태에서는 누름부재산(511)의 꼭지점이 잠금돌기(524)의 경사로에 위치하는 것은 동일하나 잠금돌기(524)는 잠금걸림턱(534)에 위치한다. 잠금상태에서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돌기(524)와 잠금부재산(523)을 누르면서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되고 누름부재산(511)은 잠금돌기(524) 경사면의 일지점을 누르고 있으므로 잠금돌기(524)는 잠금걸림턱(533)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스프링(5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걸림턱(534)의 슬로프를 타고 이동하여 잠금가이드홈(533)으로 원위치한다. 이와 동시에 잠금핀(511)이 원위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하우징(530)은 잠금부(500)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잠금핀관통홀(531), 잠금해제부재결합홀(532), 잠금가이드홈(533), 잠금걸림턱(534)으로 구성된다.
잠금핀관통홀(531)은 하우징(530)의 일면에 구성되는 관통홀로서 잠금핀(521)의 헤드 부분이 하우징(530) 외부로 돌출되는 관통홀이다. 또한 잠금핀관통홀(531)이 구비되어 있는 면은 잠금스프링(522)의 일측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잠금해제부재결합홀(532)은 잠금해제부재(540가)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홀로서 잠금해제부재(540)에 있는 돌기가 하우징에 축결합 할 수 있게 해준다.
잠금가이드홈(533)은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잠금돌기(524)의 이동을 안내해 주고, 잠금걸림턱(533)은 하우징(530) 내측면에 돌출되어 잠금돌기(524)가 걸리는 걸림턱으로서 슬로프를 형성하여 구비된다.
잠금해제 상태에서 누름부재산(511)의 꼭지점이 잠금돌기(524)의 경사로에 위치하고 잠금돌기(524)는 잠금가이드홈(533)에 위치한다. 잠금동작을 위해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돌기(524)와 잠금부재산(523)을 누르면서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되고 잠금핀(511)은 렛치이동부재 뒤에 위치한다. 한편 누름부재산(511)은 잠금돌기(524) 경사면의 일지점을 누르고 있으므로 잠금돌기(524)는 잠금가이드홈(533)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스프링(5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누름부재산(511)의 경사로를 타고 올라가는 방향으로 잠금부재(520)가 회전하면서 잠금돌기(524)는 후술하는 잠금걸림턱(534)의 슬로프를 타고 이동하여 잠금걸림턱(534)에 걸려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잠금상태에서는 누름부재산(511)의 꼭지점이 잠금돌기(524)의 경사로에 위치하는 것은 동일하나 잠금돌기(524)는 잠금걸림턱(534)에 위치한다. 잠금상태에서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돌기(524)와 잠금부재산(523)을 누르면서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되고 누름부재산(511)은 잠금돌기(524) 경사면의 일지점을 누르고 있으므로 잠금돌기(524)는 잠금걸림턱(533)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스프링(5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걸림턱(534)의 슬로프를 타고 이동하여 잠금가이드홈(533)으로 원위치한다. 이와 동시에 잠금핀(511)이 원위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잠금해제부재(540)는 잠금해제몸체(541)와 잠금해제버튼(542)으로 구성된다. 잠금해제몸체(541)는 막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잠금해제부재 수용홀(513)에 수용된다. 잠금해제버튼(542)은 잠금해제몸체에 결합되는 버튼으로서 몸체부 외부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때 별도의 부재가 잠금해제부재(540)를 눌러 작동 할 수 있게 하는 버튼이다. 잠금해제몸체(541)와 잠금해제버튼(542)는 일자로 형성되거나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 중간위치에는 하우징(530)과 결합하여 축회전 할 수 있는 돌기가 구비되어 있다. 잠금해제부재(540)는 도어록이 잠금상태일 때 도어록의 외부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제2손잡이(221)의 잠금해제가이드(224)와 제2몸체부(210)의 잠금해제관통홀(215)을 통과하여 잠금해제버튼(542)을 누르면 누름부재(510)의 잠금해제부재 수용홀(513)에 수용되어 있는 잠금해제몸체(541)가 버튼은 누르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누름부재(510)를 누르게 된다. 이 때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돌기(524)와 잠금부재산(523)을 누르면서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되고 누름부재산(511)은 잠금돌기(524) 경사면의 일지점을 누르고 있으므로 잠금돌기(524)는 잠금걸림턱(533)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잠금스프링(5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가이드홈(533)과 접해있는 잠금걸림턱(534)의 슬로프를 타고 이동하여 잠금가이드홈(533)으로 원위치한다. 이와 동시에 잠금핀(511)이 원위치하여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작동>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립형 도어록의 작동에 대해 도1, 도2, 도5,도7,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2손잡이부(220)측에서 문을 열기 위해 도어록의 닫힘상태를 해제하는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문이 닫힌 상태에서 제2수용홈(미도시)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파지한 제2손잡이(221)를 축회전시키면 제2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제2회전부(320)가 회전한다. 제2손잡이(221)가 축회전하면 제2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제2회전레버(322)가 축회전 하면서 렛치이동부재(440)의 걸림판을 당겨 렛치이동부재(44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 렛치스프링(420)이 압축되면서 렛치이동부재(440)와 결합한 렛치(430)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어서 제2손잡이(221)에 제공된 외력을 제거하면, 렛치스프링(420)의 복원력에 의해 렛치(430) 및 렛치이동부재(440)가 원위치로 복귀하고, 제2회전스프링(323)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회전회전돌기(322) 및 제2회전부가 축회전하면서 이와 결합된 제2손잡이(221)가 원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제1손잡이부(120)측에서 문을 열기 위한 작동 역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문을 잠그기 위한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문이 닫힌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120)의 잠금부돌출홀(124)에 돌출된 잠금부(500)의 누름부재(510)을 누르면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돌기(524) 및 잠금부재산(523)을 누른다. 이 누름동작으로 인하여 잠금돌기(524)는 잠금가이드홈(533)을 따라 이동하고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된다. 이어서 잠금돌기(524)가 잠금가이드홈(533)에서 빠져나오면 잠금부재(520)가 회전하면서 잠금스프링(5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돌기(524)가 잠금걸림턱(534)의 슬로프를 따라 이동하여 잠금걸림턱(534)에 걸려 잠금부재(520)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이 때 잠금부재(520)의 잠금핀(521)이 하우징(530)에서 돌출되어 렛치이동부재(440)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제1손잡이(121) 또는 제2손잡이(221)를 작동하더라도 렛치이동부재(440)가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어록이 잠겨있는 상태에서 잠금부(500)의 누름부재(510)를 한번 더 누르면 처음과 마찬가지로 누름부재산(511)이 잠금부재산(523)을 누른다. 이 누름동작으로 인하여 잠금돌기(524)는 잠금걸림턱(534)에서 빠져나오고 잠금스프링(522)이 압축된다. 이어서 잠금부재(520)가 회전하면서 잠금스프링(52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잠금돌기(524)가 이동하여 잠금가이드홈(534)에 들어감과 동시에 잠금부재(520)의 잠금핀(521)이 원위치하면서 렛치이동부재(440)가 작동가능하게 되므로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으로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때 잠금부(500)가 돌출되어 있는 제1몸체부(110)쪽에서는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되지만 반대쪽에서는 잠금부(500)가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잠금상태를 강제해제 시키기 위해서는 기다란 핀 등 별도의 부재를 제2손잡이(221)의 잠금해제가이드(224)로 밀어 넣으면 해당 부재는 동심선상에 있는 잠금해제가이드(224)와 잠금해제 관통홀(214)를 통과하여 잠금해제부재(540)의 잠금해제버튼(542) 눌러주게 된다. 잠금해제버튼(542)이 눌리면 잠금해제부재수용홀(523)에 수용되어 있는 잠금해제몸체(541)가 버튼이 눌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누름부재(510)을 눌러주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하여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몸체부 110 : 제1몸체
111 : 제1체결돌기 112 : 제1수용홈
113 : 제1장착홀 114 : 잠금부 수용부재
115 : 제1고정돌기 120 : 제1손잡이부
121 : 제1손잡이 122 : 제1-1결합돌기
123 : 제1-2결합돌기 124 : 제1관통홀
200 : 제2몸체부 210 : 제2몸체
211 : 제2체결돌기 212 : 제2수용홈
213 : 제2장착홀 214 : 제2고정돌기
220 : 제2손잡이부 221 : 제2손잡이
222 : 제2-1결합돌기 223 : 제2-2결합돌기
224 : 잠금해제가이드 300 : 회전부
310 : 제1회전부 311 : 제1회전축
312 : 제1회전레버 312a : 제1-1결합홀
312b : 제1-2결합홀 313 : 제1회전스프링
314 : 제1걸림핀 320 : 제2회전부
321 : 제2회전축 322 : 제2회전레버
322a : 제2-1결합홀 322b : 제2-2결합홀
323 : 제2회전스프링 324 : 제2걸림핀
400 : 렛치부 410 : 렛치케이스
420 : 렛치스프링 430 : 렛치
431 : 렛치돌기 440 : 렛치이동부재
500 : 잠금부 510 : 누름부재
511 : 누름부재산 512 : 걸림돌기
513 : 잠금해제부재 수용홀 520 : 잠금부재
521 : 잠금핀 522 : 잠금스프링
523 : 잠금부재산 524 : 잠금돌기
530 : 하우징 531 : 잠금핀관통홀
532 : 잠금해제부재 결합홀 533 : 잠금가이드홈
534 : 잠금걸림턱 540 : 잠금해제부재
541 : 잠금해제몸체 542 : 잠금해제버튼

Claims (12)

  1. 여닫이 문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문의 일면에 장착된 제1몸체(110), 제1몸체(110)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 제1수용홈(112), 제1수용홈(112)의 개방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수용되어 외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1손잡이(121)를 갖는 제1손잡이부(120), 제1수용홈(112)의 렛치부(400)측 일부에 가공된 제1장착홀(113), 제1장착홀(113) 측 내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돌기(115)를 구비하고, 제1장착홀에 잠금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부수용부재(114)를 포함하는 제1몸체부(100);
    상기 문의 타면에 장착되어 제1몸체(110)와 체결되는 제2몸체(210), 제2몸체(210)의 외면에 오목하게 가공된 제2수용홈, 제2수용홈의 개방면의 일부를 덮으면서 수용되어 외향 축회전하도록 설치된 제2손잡이(221)를 갖는 제2손잡이부(220), 제2수용홈의 렛치부(400) 측 일부에 가공된 제2장착홀(213), 제2장착홀(213) 측 내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돌기(214)를 포함하는 제2몸체부(200);
    상기 제1손잡이부(120) 또는 제2손잡이부(220)의 축회전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치된 렛치(430), 상기 렛치(430)의 일부위가 이동하면서 돌출 및 삽입되는 문의 문틀측 일면에 장착된 렛치케이스(410)를 포함한 렛치부(400);
    상기 제1몸체부의 잠금부수용부재(114)에 장착되며 단부를 눌러 잠금상태와 잠금해제 상태를 만들어주는 누름부재(510), 누름부재의 작동으로 잠금핀(521)이 렛치부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원위치하여 잠금상태나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해 주는 잠금부재(520), 잠금상태를 강제로 해제하여 주는 잠금해제부재(540) 및 상기 누름부재(510), 잠금부재(520) 및 잠금해제부재(540)를 수용하는 하우징(530)을 포함하는 잠금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500)의 누름부재(510)는 단부에 산이 형성되어 있는 누름부재산(511), 누름부재(510)의 일정 위치에 상기 잠금해제부재(540)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재 수용홀(513)과 누름부재(510)가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5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2. 제1항에서,
    상기 제1몸체부(100)의 제1손잡이부(120)가 제1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120)는 제1몸체의 제1장착홀(113)을 통과하여 제1고정돌기(115) 근처에 위치하도록 제1손잡이(121)의 후면에 가공된 제1-1결합돌기(122), 제1장착홀(113)을 통과하면서 제1-1결합돌기(122)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제1손잡이(121)의 후면에 가공된 제1-2결합돌기(123)를 더 구비하거나,
    상기 제2몸체부(200)의 제2손잡이부(220)와 제2몸체(2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220)는 제2몸체의 제2장착홀(213)을 통과하여 제2고정돌기(215) 근처에 위치하도록 제2손잡이(221)의 후면에 가공된 제2-1결합돌기(222), 제2장착홀(213)을 통과하면서 제2-1결합돌기(122)와 일정 거리를 두고 제2손잡이(221)의 후면에 가공된 제2-2결합돌기(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제2손잡이부(220)는 제2손잡이(221) 일정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제2손잡이(221) 내측으로 중공의 통이 결합된 잠금해제가이드(224)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부(200)의 제2수용홈에 잠금해제가이드(224)와 동심선상에 위치하는 잠금해제관통홀(21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5. 제1항에서,
    상기 제1몸체부(100)에 체결되며 제1손잡이(121)의 축회전을 위한 축으로 제1몸체부(100)의 제1고정돌기(115)와 제1손잡이부(121)의 제1-1결합돌기(122) 및 제1-2결합돌기(123)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회전축(311), 제1회전축(311) 및 제1-2결합돌기(123)와 결합하여 렛치부(400)를 이동시켜 문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제1회전레버(312), 제1손잡이와 함께 제1회전레버(312)가 축회전하면 압축되어 복원력이 발생하였다가 제1손잡이의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되면서 제1손잡이와 제1회전레버를 원위치로 복귀 시켜주는 제1회전스프링(313)을 구비하는 제1회전부(310)와
    상기 제2몸체부(200)에 체결되며 제2손잡이(221)의 축회전을 위한 축으로 제2몸체부(200)의 제2고정돌기(214)와 제2손잡이부(220)의 제2-1결합돌기(222) 및 제2-2결합돌기(223)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회전축(321), 제2회전축 및 제2-2결합돌기(223)와 결합하여 렛치부(400)를 이동시켜 문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제2회전레버(322), 제2손잡이(221)와 함께 제2회전레버(322)가 축회전하면 압축되어 복원력이 발생하였다가 제2손잡이의 외력을 제거하면 복원되면서 제2손잡이와 제2회전레버를 원위치로 복귀 시켜주는 제2회전스프링(323)을 구비하는 제2회전부(320)로 구성된 회전부(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6. 제1항에서,
    상기 렛치부(400)는 렛치케이스(410)의 원통부위에 수용되면서 랫치(430)의 후부가 관통하여 배치된 랫치스프링(420), 랫치스프링(420)에 의한 랫치(430) 전부의 돌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랫치케이스(410)의 원통부위에 위치하여 내면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랫치(430)에 돌출 가공된 랫치돌기(431), 랫치(430)의 후부에 고정된 렛치이동부재(440)를 구비하고,
    상기 렛치이동부재(440)가 이동하면 렛치케이스(410)와 렛치(430)에 의해 랫치스프링(420)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7. 제1항에서,
    상기 잠금해제부재(540)는 막대형상의 잠금해제몸체(541)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누르는 면을 제공하는 잠금해제버튼(542)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잠금해제버튼(542)을 누르면 강제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잠금부재(520)는 누름부재(510)를 누르면 렛치부 후방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를 유지하거나 원위치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켜주는 잠금핀(521), 상기 잠금핀을 둘러싸는 잠금스프링(522), 단부에 산이 형성된 잠금부재산(523)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산(523) 외면에는 잠금돌기(5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10. 제9항에서,
    상기 잠금돌기(524)는 잠금부재산(523)의 산과 산 사이 폭의 절반 미만으로 잠금부재산(523)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잠금돌기(524)의 길이방향 일면이 잠금부재산(523)의 길이방향 중심선과 겹치며 잠금돌기(524)의 가로방향 일면은 잠금부재산(523)과 같은 방향의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11. 제10항에서,
    상기 잠금돌기(524)는 잠금부재산(523)과 같은 방향의 경사면을 가지는 것 가로방향의 일면이 잠금부재산(523) 꼭지점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12.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530)은 잠금핀(521)의 헤드가 하우징(530) 밖으로 돌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잠금핀관통홀(531), 상기 잠금해제부재(540)가 축결합 할 수 있는 잠금해제부재 결합홀(532), 하우징 내측으로 잠금부재산(523) 외면에 구비된 잠금돌기(524)의 동작을 안내하는 잠금가이드홈(533) 및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잠금돌기(524)가 걸리면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잠금걸림턱(53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도어록.

KR1020200053918A 2020-05-06 2020-05-06 매립형 도어록 KR10212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18A KR102125251B1 (ko) 2020-05-06 2020-05-06 매립형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18A KR102125251B1 (ko) 2020-05-06 2020-05-06 매립형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251B1 true KR102125251B1 (ko) 2020-06-22

Family

ID=7114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18A KR102125251B1 (ko) 2020-05-06 2020-05-06 매립형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2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937A (ko) * 2006-11-06 2008-05-09 남동우 창문 잠금장치
KR20130080629A (ko) 2012-01-05 2013-07-15 주식회사 시큐챌린지 도어락용 모티스 장치
KR101691323B1 (ko) 2016-01-05 2017-01-09 임효빈 매립형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937A (ko) * 2006-11-06 2008-05-09 남동우 창문 잠금장치
KR20130080629A (ko) 2012-01-05 2013-07-15 주식회사 시큐챌린지 도어락용 모티스 장치
KR101691323B1 (ko) 2016-01-05 2017-01-09 임효빈 매립형 도어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3227B2 (ja) 押釦式平面ハンドル装置
US9556644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ntrance
JP2000218572A (ja) 動力工具
KR20100129753A (ko) 캠락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KR102125251B1 (ko) 매립형 도어록
CN114183022B (zh) 一种锁具及具有其的箱包
KR101691323B1 (ko) 매립형 도어록
KR200469307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2008133656A (ja) 電気錠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100683201B1 (ko) 푸쉬형 듀얼 락 로드 글로브 박스
KR101990693B1 (ko) 방범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834810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갖는 기계식 도어 로크 장치
KR20020023614A (ko) 도어 잠금장치
KR20210155538A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101481324B1 (ko) 데드볼트를 구비한 문잠금장치
KR102290788B1 (ko) 누름 방식으로 개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CN217380083U (zh) 按键复位机构及锁具
KR200380743Y1 (ko) 도어의 잠금장치
JP4438105B2 (ja) 本締り錠における防犯装置
KR200331148Y1 (ko) 도어용 자물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