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610B1 -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 Google Patents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610B1
KR102122610B1 KR1020190149947A KR20190149947A KR102122610B1 KR 102122610 B1 KR102122610 B1 KR 102122610B1 KR 1020190149947 A KR1020190149947 A KR 1020190149947A KR 20190149947 A KR20190149947 A KR 20190149947A KR 102122610 B1 KR102122610 B1 KR 102122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elastic pad
precast concrete
track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철
방인석
이찬영
한우진
임상진
권세곤
김재왕
강윤석
방춘석
장동두
이승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Priority to KR102019014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7/00Making, maintaining, renewing, or taking-up the ballastway or the track,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E01B27/00 - E01B35/0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1Elastic layers other than rail-pads, e.g. sleeper-shoes, bitu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6Height or lateral adjustment means or positioning means for slabs, sleepers o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열차운행 차단시간인 4시간 내에 20m 정도의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고, 콘크리트 슬래브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다양한 현장여건에 맞게 쉽게 조정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는 철도 레일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콘크리트 노반에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에 있어서, 탄성패드 장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Concrete track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used suitably for a rapid improvement of ballast track, and concrete slab support device and railway build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갈궤도는 열차의 하중을 레일과 체결장치, 침목, 자갈을 통해 하부 노반에 분산하여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콘크리트궤도에 비해 초기 건설비가 저렴하고 궤도틀림 시 보수가 쉽지만 열차의 운행으로 진동이 발생하여 자갈이 부서지고 위치가 바뀜에 따라 지속적인 침하가 발생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갈궤도는 시공 후 열차 운행 시 먼지, 야간보수로 인한 심야 소음공해 등 환경적 측면에서 부정적이며, 노후 자갈궤도 열차 운행 시 승차감은 콘크리트에 비해 좋지 않고 진동에 의해 자갈이 부서짐에 따라 레일에 자갈 파편이 튀어 레일 및 열차차량에 손상이 생겨 궤도 외적인 보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노후 자갈궤도에 대한 궤도구조 개량은 근본적으로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교체함으로써 궤도유지 보수업무를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열악한 작업환경(작업시간 부족, 작업공간 부족, 자갈두께 부족, 일부개소 자갈갱환 작업 불가 등)으로 기존의 궤도개량 기술로는 자갈궤도 개량이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열차를 운행 중인 기존의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개량하는 기술 중 하나인 포장궤도 공법은 자갈궤도에서 자갈을 제거한 후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콘크리트화하는 공법으로, 열차운행 종료 후부터 그 다음날 운행 개시까지의 짧은 시간동안 시공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코레일의 경우 과천선(21km)의 궤도시설 기능 저하와 노후화에 따른 열차안전운행 확보, 유지관리 효율성 제공 등 궤도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2010년 '과천선 금정~남태령 간 궤도구조개량 실시설계'를 시행하여 개량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개량공법으로 B2S 궤도(Ballasted Track To Slab Track)를 실시설계에 적용하여 개량사업을 추진하였으나, 열차운행 중지 시간(일반적으로 4시간) 내에 5m 정도 시공하는 낮은 시공속도와 다양한 현장조건 수용 불가 및 개발사 시공장비 지원 문제로 2013~2016년까지 불과 1.8km 구간개량을 시행하는데 그쳤다.
서울메트로에서 진행된 B2S 시스템은 열차 차단시간인 4시간 내에 5~10m 개량하는 기술을 갖고 있지만 급속개량에 관한 기술은 없으며, 또한 B2S 시공장비가 고가이고 국내에 1대만 있어 현장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개량화 하려는 노력이 계속 되었지만, 개량화하는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하며, 국외에서도 기존 운행선을 콘크리트궤도로 개량화하는 급속시공기술을 확보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갈궤도를 신속하게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개량할 수 있는 궤도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운행 차단시간인 4시간 내에 자갈궤도 20m를 콘크리트궤도로 교체할 수 있는 궤도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 궤도의 높낮이나 기울기를 신속하게 조정하여 시공할 수 있는 궤도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궤도시공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궤도시공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철도 부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는 철도 레일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콘크리트 노반에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에 있어서, 탄성패드 장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탄성패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받침판 표면에서 상방으로 띄워서 지지하기 위한 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심플레이트는 한 쌍의 상기 탄성패드 상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받침판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은, 체결공을 구비하고 양 측부에 제1유동방지결합부가 형성된 가이드블록;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유동방지결합부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바깥쪽에 형성된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블록 양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블록과 한 쌍의 상기 분할받침판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케미컬 앵커인 것이 좋다.
체결공을 구비하여 각각의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상에서 또는 장공을 구비하여 여러 개의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상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판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여 주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심플레이트는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심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결합홈을 남겨두고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은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와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자장리에 상기 돌출부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심플레이트는,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제1심플레이트 및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제2심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상부에 장착되는 것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하부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양 측변에 상기 상부에 장착되는 것의 두께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3심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의 가장자리에 오목홈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때에 따라, 상기 받침판은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두께가 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부설장치는 상하로 구멍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측방 및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단지지 블록;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및 상기 전단지지 블록과 상기 슬래브 지지장치를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준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준비단계; 콘크리트 노반에 탄성패드 장착홈이 형성된 받침판을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받침판 설치단계;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탄성패드를 장착하는 탄성패드 장착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탄성패드 위쪽에 탑재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띄워서 지지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전에 상기 탄성패드 상에 높이 조절용 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와 경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 설치단계는, 상기 받침판의 일부를 구성하며 양 측부에 제1유동방지결합부가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케미컬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유동방지결합부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바깥쪽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판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분할받침판을 상기 가이드블록 양쪽의 상기 제1유동방지결합부에 상기 제2유동방지결합부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받침판을 케미컬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분할받침판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할받침판 고정단계는 상기 슬래브 탑재단계 후에 각각의 상기 분할받침판의 가장자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브래킷 또는 장공을 구비하여 여러 개의 상기 분할받침판의 가장자리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개재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패드 장착단계는 상기 탄성패드 창착홈에 상기 탄성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적어도 마주보는 양 측면에 돌출부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 조정단계는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심플레이트를 장착하여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성패드 장착단계는 상기 탄성패드 창착홈에 상기 탄성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와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자장리에 돌출부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 조정단계는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제1심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제2심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상부에 장착되는 것 상에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하부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양 측변에 상기 상부에 장착되는 것의 두께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3심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 고정단계 전에 자갈궤도 상의 일정 구간의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을 제거하는 자갈궤도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탑재하고 있다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이 제거된 상기 콘크리트 노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이 설치된 제1차량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 뒤쪽의 콘크리트궤도 상에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자갈궤도 제거단계에서 제거되는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을 싣기 위한 제2차량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 앞쪽의 상기 자갈궤도 상에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판 고정단계 전에 자갈궤도 상의 일정 구간의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을 제거하는 자갈궤도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속하여 배치된 여러 개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준비단계는 상하로 구멍이 뚫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준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 고정단계는 상기 구멍에 전단지지 블록를 삽입하고 상기 전단지지 블록을 케미컬 앵커로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갈궤도를 신속하게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운행 차단시간인 4시간 내에 20m 정도의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다양한 현장여건에 맞게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탄성패드 장착홈에 탄성패드와 심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할받침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도,
도 8은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정면도,
도 9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개량하는 바람직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콘크리트 노반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는 콘크리트 노반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b)는 그 측면도,
도 14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7은 분할받침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브래킷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탄성패드 장착홈에 탄성패드와 심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분할받침판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는 철도 레일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precast concrete slab)를 콘크리트 노반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판(110)을 구비한다. 이 실시 예의 받침판(110)은 바람직하게, 중앙의 가이드블록(111)과 가이드블록(111)의 좌우 양쪽에 가이드블록(111)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받침판(115)으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판(110)으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만든 것이 좋다.
가이드블록(111)은 궤도의 횡방향 중앙부의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공(112)을 구비한다. 체결공(112)은 케미컬앵커 등의 고정기구(120)를 이용하여 가이드블록(111)을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블록(111)의 유동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 궤도의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설치되며, 2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가이드블록(111)의 양 측면에는 제1유동방지결합부(113)가 형성된다. 이 실시 예에서, 제1유동방지결합부(113)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블록(111) 양측의 한 쌍의 분할받침판(115) 각각은 상면에 형성된 탄성패드 장착홈(116)을 가진다. 탄성패드 장착홈(116)은 탄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로 된 탄성패드(1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 레일의 하부 쪽에 탄성패드를 하나씩 분리하여 배치할 수 있도록 탄성패드 장착홈(116)도 간격을 두고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예의 받침판(110)에는 2개의 탄성패드 장착홈(116)이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탄성패드 장착홈(116)의 안쪽으로 제2유동방지결합부(117)가 형성된다. 제2유동방지결합부(1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유동방지결합부(113)에 결합되어 분할받침판(115)의 안쪽 단부가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 제2유동방지결합부(117)는 안쪽으로 볼록한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패드 장착홈(116)의 바깥쪽에 케미컬앵커 등의 고정기구(120)를 통해 분할받침판(115)의 바깥쪽 단부를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118)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는 고정기구(120)를 가진다. 고정기구(120)는 복수의 체결공(112, 118)을 통해 가이드블록(111)과 한 쌍의 분할받침판(115)을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케미컬 앵커(121)와 너트(122)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23은 와셔이다.
양측의 탄성패드 장착홈(116)에는 탄성패드(130)가 각각 장착된다. 탄성패드(130)는 바람직하게, 탄성패드 장착홈(116)의 깊이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탄성패드 장착홈(116)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부는 분할받침판(115) 표면 위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탄성패드(130)의 4개변 각각에는 오목홈(131)이 형성된다. 이렇게 탄성패드(130)의 가장자리에 오목홈(131)을 형성하는 것은 각 변에서 탄성패드(130)가 탄성패드 장착홈(116)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탄성패드(130)와 탄성패드 장착홈(116)이 결합되는 상태에서 탄성패드 장착홈(116)의 가장자리에 돌출부 결합홈(G)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패드(130)는 높이조절을 위한 심플레이트(140)의 돌출부(141a, 142a)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결합홈(G)을 남겨두고 탄성패드 장착홈(116)에 장착된다. 심플레이트(140) 얇은 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돌출부(141a, 142a)는 심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일부를 하방으로 꺾어서 형성하면 된다. 심플레이트(140)가 두꺼운 경우, 돌출부(141a, 142a)는 심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에 용접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즉, 오목홈(131)은 탄성패드 장착홈(116)과 함께, 높이조절을 위한 심플레이트(140)의 돌출부(141a, 142a)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결합홈(G)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 자세하게는, 탄성패드(130)와 탄성패드 장착홈(116)은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와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자장리에 돌출부 결합홈(G)을 각각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는 심플레이트(140)를 가진다. 심플레이트(140)는 좌우 양측의 각각의 탄성패드(130) 상에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심플레이트(140)는 탄성패드(130) 상에 설치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받침판(110) 표면에서 상방으로 띄워서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심플레이트(140)는 각각의 탄성패드(130)에 장착할 수 있도록 쌍으로 구비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플레이트(140)는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꺾인 돌출부(141a, 142a)를 가진다. 돌출부(141a, 142a)는 탄성패드(130)와 탄성패드 장착홈(116)이 형성하는 돌출부 결합홈(G)에 결합되어 심플레이트(140)가 탄성패드(130) 상에서 측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심플레이트(140)로는 철도 궤도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꺾여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1a)를 가지는 제1심플레이트(141) 및 철도 궤도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42a)를 가지는 제2심플레이트(142)를 모두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심플레이트(141)가 탄성패드(130)와 접촉되게 아래에 장착되고 제1심플레이트(141) 위에 제2심플레이트(142)가 장착되거나 순서를 바꾸어 제2심플레이트(142)가 탄성패드(130)와 접촉되게 장착되고 제2심플레이트(142) 위에 제1심플레이트(141)가 장착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탄성패드(130) 상에 장착되는 제1, 제2심플레이트(141, 142)의 개수는 좌우 높이조절을 위해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심플레이트(141)와 제2심플레이트(142)에도 그 상측에 결합되는 심플레이트의 돌출부가 돌출부 결합홈(G)에 결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변에 측면홈(141b, 142b)이 형성된다. 그러나 돌출부 결합홈(G)이 형성되는 방식이나 위치에 따라 측면홈(141b, 142b)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심플레이트(141)가 먼저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탄성패드 장착홈(116)에 탄성패드(130)를 장착한 다음, 탄성패드(130) 위에 제1심플레이트(141)를 장착한다. 이 때, 제1심플레이트(141)의 양측 돌출부(141a)는 철도 궤도의 종방향 양 측변에 마주보고 형성되는 돌출부 결합홈(G)에 각각 삽입된다. 제1심플레이트(141) 위에 제2심플레이트(142)를 장착한다. 제2심플레이트(142)의 양측 돌출부(142a)는 철도 궤도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변에 형성된 돌출부 결합홈(G)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심플레이트(141)와 제2심플레이트(142)는 탄성패드(130) 상에 장착된 상태에서 측방 또는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심플레이트(140)로는 스테인리스스틸로 된 것이 바람직하고, 갈바나이징 등 부식방지처리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1심플레이트(141)는 두께가 다른 것이 구비될 수 있고, 이는 제2심플레이트(142)와 뒤에서 설명되는 제3심플레이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분할받침판(115)의 탄성패드 장착홈(116)에 탄성패드(130) 장착되고 그 위에 제1심플레이트(141)와 제2심플레이트(142)가 순차로 장착된 상태는 도 3을 보면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는 복수의 브래킷(150)을 구비한다. 브래킷(150)은 체결공(151)이 형성된 바닥부(152)와 지지벽부(154)를 구비하여 케미컬 앵커 등의 고정기구(120)에 의해 각각의 받침판(110) 또는 분할받침판(115)의 가장자리 상에서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되어 받침판(110) 또는 분할받침판(115)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여 주면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 상에 탑재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여 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는 제2심플레이트(142) 위에 장착될 수 있는 제3심플레이트(143)를 더 가질 수 있다. 제3심플레이트(143)는 제1심플레이트(141)와 제2심플레이트(142) 중 상부에 장착되는 것 상에 장착되며 제1심플레이트(141)와 제2심플레이트(142) 중 하부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양 측변에 바람직하게, 상부에 장착되는 것의 두께 정도의 높이 또는 그 미만의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143a)를 가진다. 또한, 돌출부(143a)가 없는 쪽 양 측변에는 바람직하게 측면홈(14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심플레이트(143)는 제1심플레이트(14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서로 호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도, 도 8은 도 5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는 전문생상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틀을 이용하여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폭방향 중앙부에 전단지지 블록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62)이 형성된다. 구멍(162)은 도 5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횡방향 중앙부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각단면으로 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구멍(162)에 결합되는 전단지지 블록에 의해 열차의 시, 제동 하중, 지진 발생 시 또는 주행하는 열차에 의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측방으로 작용하는 힘 또는 수평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부반력에도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방식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구멍에 현장에서 몰탈을 타설하는 방식으로 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에 타설한 소정 두께의 몰탈과 일체화 되도록 하여 높이를 맞추어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필요하여 기존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방식의 단점을 개선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전단지지 블록을 케미컬 앵커 등의 고정기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와 전단지지 블록 및 앞에서 설명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는 콘크리트 노반 상에 철도를 새로 부설하거나 기존 설치된 철도를 교체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철도 부설장치를 구성한다.
위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 상면에는 레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일 지지부(164)가 2열로 형성되어 있고, 각 레일 지지부(164)에는 레일고정기구(166)가 설치된다.
도 9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변형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때에 따라, 곡선경로나 경사지에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는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갈수록 점점 그 두께가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개량하는 바람직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콘크리트 노반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a)는 콘크리트 노반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b)는 그 측면도, 도 14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와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으로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개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콘크리트궤도로 교체하고자 하는 자갈궤도(30) 뒤쪽의 콘크리트궤도(20) 등의 궤도상에 설계된 규격으로 만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준비한다. 바람직하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탑재하고 있다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레일(R)과 침목(S) 및 자갈(B)이 제거된 콘크리트 노반(1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212)이 설치된 제1차량(210)을 콘크리트 노반(10) 뒤쪽의 콘크리트궤도(20) 상에 준비한다. 이때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를 함께 준비한다(S1).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궤도(20)로 교체하고자 하는 자갈궤도(30) 상의 일정 구간의 레일(R)과 침목(S) 및 자갈(B)을 제거하고, 콘크리트 노반(10)을 깨끗이 청소한 다음 면갈이 등의 작업을 실시한다. 바람직하게, 자갈궤도(30) 상에 그 뒤쪽에서 제거되는 레일(R)과 침목(S) 및 자갈(B)을 싣기 위한 제2차량(240)을 준비하여 제거되는 레일(R) 등을 신속하게 치울 수 있도록 한다(S2). 이때, 바람직하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를 미리 계산해둔다.
깨끗이 정리된 콘크리트 노반(10)에 바람직하게 도 12(a)와 도 12(b)의 과정으로 받침판(110)을 콘크리트 노반(10)에 설치한다. 더 자세하게는, 도 12(a)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노반(10)에 드릴링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케미컬 앵커 등의 고정기구(120)를 이용하여 가이드블록(111)을 콘크리트 노반(10)에 고정하고, 가이드블록(111)의 제1유동방지결합부(113)에 분할받침판(115)의 제2유동방지결합부(117)을 결합하여 가이드블록(111) 양측에 분할받침판(115)을 각각 조립한다(S3).
탄성패드 장착홈(116)에는 미리 계산해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에 따라 거기에 맞는 두께의 탄성패드(130)를 장착한다(S4).
탄성패드(130) 상에 심플레이트(140)를 설치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와 경사를 조정한다. 높이 조정은, 탄성패드(130) 상에 제1심플레이트(141)만 장착하거나, 제1심플레이트(141)와 제2심플레이트(142) 또는 제1심플레이트(141) 내지 제3심플레이트(143)를 함께 장착하여 조정한다. 경사조정은 양측의 탄성패드(130) 상에 장착되는 제1심플레이트(141) 내지 제3심플레이트(143) 장착 개수나 두께를 달리하여 조정한다(S5).
때에 따라, 탄성패드(130), 제1심플레이트(141) 등이 탄성패드 장착홈(116)에 미리 장착된 상태에서 받침판(110)이 콘크리트 노반(10)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를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런 다음,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 상에 도 12(c)와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과정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탑재한다. 바람직하게, 제1차량(210)에 준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제1차량(210)에 설치된 크레인(212)을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 상에 탑재한다.
바람직하게, 빠른 레일 설치를 위해 도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고정기구(166)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탑재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에 탑재한 상태에서 여러 지점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높이를 측정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가 정확한 높이로 바르게 설치되었는지 검사하여 높이와 경사가 맞으면 그대로 설치하고, 높이나 경사가 맞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크레인(212)으로 인상하여 제1심플레이트(141) 내지 제3심플레이트(143)를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높이와 경사를 맞추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하강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 상에 탑재한다(S6).
다음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에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멍(162)에 도 12(d) 내지 도 1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지지 블록(170)을 삽입하고, 바람직하게, 구멍(162)의 내면과 전단지지 블록(170) 사이에 고무판 등의 탄성재(172)를 개재한 상태로 케미컬앵커 등의 고정기구(120)를 이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콘크리트 노반(10)에 고정한다(S7).
또한, 도 12(e)와 도 1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 양 측면의 분할받침판(115)의 바깥쪽 가장자리 상에 브래킷(150)을 각각 개재한 상태로 고정기구(120)를 이용하여 브래킷(150)과 받침판(110)을 콘크리트 노반(10)에 고정한다. 이 때, 브래킷(15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좌우 양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고정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번 더 지지한다(S8). 위와 같은 과정으로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는 도 13(a)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에 의해 콘크리트 노반(10)에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열차 통과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진동은 완충 및 저감된 상태로 콘크리트 노반(10)에 전달된다.
위와 같은 과정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를 여러 개, 바람직하게, 4개를 설치한 다음, 제1차량에 탑재되어 있던 바람직하게 약 5m 길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 4개와 같은 길이, 예를 들면, 약 20m 길이의 레일(R)을 크레인(212)으로 이동시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레일고정부(164)에 탑재하고, 탑재된 레일(R)을 레일고정기구(166)로 레일고정부(164)에 각각 고정한다(S9).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과정으로 열차 운행 차단시간인 4시간 내에 자갈궤도(30) 20m를 콘크리트궤도(20)로 교체하는 급속개량작업을 할 수 있다.
하루의 작업이 마무리되면 필요한 각종 장비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 레일(R) 등을 탑재하고 있던 제1차량(210)과 제거된 레일(R), 침목(S), 자갈(B) 등을 싣고 있던 제2차량(240)은 자갈궤도(30) 등을 따라 차량 기지로 복귀하여 그 다음 날의 작업을 위한 준비를 한다.
위의 도 10 내지 도 14에서는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교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와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은 신규의 콘크리트 궤도를 설치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가이드블록(111)과 그 양측의 분할받침판(115)이 하나로 연결된 일체형의 받침판(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받침판(110)만 일체형으로 구성된 점에서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탄성패드 장착홈(116)이 4변에 바깥으로 오목한 오목홈(116a)을 가지도록 하고, 탄성패드(130)는 오목홈(116a)을 제외한 부분과 같은 평면모양으로 형성하여, 탄성패드(130)가 탄성패드 장착홈(116)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앞에서 설명한 돌출부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7은 분할받침판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때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100)가 설치되는 콘크리트 노반이 경사진 경우, 분할받침판(115)은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5에 나타낸 일체형의 받침판(11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8은 브래킷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때에 따라 브래킷(150a)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길이로 형성하되, 장공(15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바닥부(152)와 바닥부(152)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형성된 지지벽부(154)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도 13(a)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여러 개의 분할받침판(115) 또는 받침판(110)의 가장자리 상에 걸쳐진 상태로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되어 분할받침판(115) 또는 받침판(110)의 가장자리를 콘크리트 노반(10)에 고정하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6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과 2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개량하는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래된 콘크리트궤도의 교체뿐만 아니라 새로운 콘크리트궤도를 건설하는데에도 이용될 수도 있다.
10: 콘크리트 노반 20: 콘크리트궤도
30: 자갈궤도 100: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110: 받침판 111: 가이드블록
112, 118, 151: 체결공 113: 제1유동방지결합부
115: 분할받침판 116: 탄성패드 장착홈
117: 제2유동방지결합부 120: 고정기구
130: 탄성패드 131: 오목홈
140: 심플레이트 141: 제1심플레이트
141a, 142a, 143a: 돌출부 141b, 142b, 143b: 측면홈
142: 제2심플레이트 143: 제3심플레이트
150, 150a: 브래킷 16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162: 구멍 170: 전단지지 블록
210: 제1차량 212: 크레인
240: 제2차량

Claims (21)

  1. 철도 레일이 설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콘크리트 노반에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에 있어서,
    탄성패드 장착홈을 구비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패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받침판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띄워서 지지하기 위한 심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체결공을 구비하여 각각의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상에서 또는 장공을 구비하여 여러 개의 상기 받침판의 가장자리 상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되어 상기 받침판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여 주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심플레이트는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심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 결합홈을 남겨두고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심플레이트는 한 쌍의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각각 설치되도록 적어도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부가 상기 받침판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받침판은,
    체결공을 구비하고 양 측부에 제1유동방지결합부가 형성된 가이드블록;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유동방지결합부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바깥쪽에 형성된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블록 양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가이드블록과 한 쌍의 상기 분할받침판과 상기 브래킷을 각각의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케미컬 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탄성패드와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은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와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자장리에 상기 돌출부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심플레이트는,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를 가지는 제1심플레이트 및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를 가지는 제2심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상부에 장착되는 것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하부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양 측변에 상기 상부에 장착되는 것의 두께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3심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탄성패드의 가장자리에 오목홈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두께가 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10. 상하로 구멍이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측방 및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단지지 블록;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서 상방으로 이격시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 및
    상기 전단지지 블록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부설장치.
  1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준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준비단계;
    콘크리트 노반에 탄성패드 장착홈이 형성된 받침판을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받침판 설치단계;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탄성패드를 장착하는 탄성패드 장착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탄성패드의 위쪽에 탑재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띄워서 지지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전에 상기 탄성패드 상에 높이 조절용 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와 경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패드 장착단계는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상기 탄성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적어도 마주보는 양 측면에 돌출부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 조정단계는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상기 심플레이트를 장착하여 높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서, 상기 받침판 설치단계는,
    상기 받침판의 일부를 구성하며 양 측부에 제1유동방지결합부가 형성된 가이드블록을 케미컬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동방지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유동방지결합부 및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의 바깥쪽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판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하는 분할받침판을 상기 제2유동방지결합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블록 양쪽의 상기 제1유동방지결합부에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받침판을 케미컬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분할받침판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분할받침판 고정단계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후에 각각의 상기 분할받침판의 가장자리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브래킷 또는 장공을 구비하여 여러 개의 상기 분할받침판의 가장자리에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브래킷을 개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15. 삭제
  16.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준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준비단계;
    콘크리트 노반에 탄성패드 장착홈이 형성된 받침판을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받침판 설치단계;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탄성패드를 장착하는 탄성패드 장착단계;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탄성패드의 위쪽에 탑재하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띄워서 지지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탑재단계 전에 상기 탄성패드 상에 높이 조절용 제1심플레이트와 제2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높이와 경사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패드 장착단계는 상기 탄성패드 장착홈에 상기 탄성패드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와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자장리에 돌출부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높이 조정단계는 상기 철도 레일의 횡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상기 제1심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철도 레일의 종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상기 제2심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상부에 장착되는 것 상에 상기 제1심플레이트와 상기 제2심플레이트 중 하부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양 측변에 상기 상부에 장착되는 것의 두께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3심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18. 제11항, 제13항,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받침판 설치단계 전에 자갈궤도 상의 일정 구간의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을 제거하는 자갈궤도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19. 제18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탑재하고 있다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상기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이 제거된 상기 콘크리트 노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이 설치된 제1차량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 뒤쪽의 콘크리트궤도 상에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자갈궤도 제거단계에서 제거되는 상기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을 싣기 위한 제2차량을 상기 콘크리트 노반 앞쪽의 상기 자갈궤도 상에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20. 제11항, 제13항,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받침판 설치단계 전에 자갈궤도 상의 일정 구간의 레일과 침목 및 자갈을 제거하는 자갈궤도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자갈궤도를 콘크리트궤도로 급속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속하여 배치된 여러 개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을 설치하는 레일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21. 제11항, 제13항, 제14항, 제16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준비단계는 상하로 구멍이 뚫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준비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고정단계는 상기 구멍에 전단지지 블록를 삽입하고 상기 전단지지 블록을 케미컬 앵커로 상기 콘크리트 노반에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KR1020190149947A 2019-11-20 2019-11-20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102122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47A KR102122610B1 (ko) 2019-11-20 2019-11-20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47A KR102122610B1 (ko) 2019-11-20 2019-11-20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610B1 true KR102122610B1 (ko) 2020-06-12

Family

ID=7108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47A KR102122610B1 (ko) 2019-11-20 2019-11-20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57B1 (ko) * 2020-10-23 2021-02-04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01A (ja) * 1995-05-18 1996-11-26 Tokyo Fab Kogyo Kk 防振まくらぎ軌道の施工方法
KR100680161B1 (ko) * 2006-08-21 2007-02-1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교량 레일 방진시설
JP2013023871A (ja) * 2011-07-20 2013-02-04 Tobu Railway Co Ltd ラダー型マクラギを使用した車両用軌道における応急締結装置
JP2014005604A (ja) * 2012-06-21 2014-01-16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拘束治具、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の形成方法
KR101785530B1 (ko) * 2016-10-28 2017-10-18 한국철도공사 프리캐스트 부유 궤도장치 및 이를 위한 진동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01A (ja) * 1995-05-18 1996-11-26 Tokyo Fab Kogyo Kk 防振まくらぎ軌道の施工方法
KR100680161B1 (ko) * 2006-08-21 2007-02-16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철도교량 레일 방진시설
JP2013023871A (ja) * 2011-07-20 2013-02-04 Tobu Railway Co Ltd ラダー型マクラギを使用した車両用軌道における応急締結装置
JP2014005604A (ja) * 2012-06-21 2014-01-16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拘束治具、軌道スラブの拘束構造の形成方法
KR101785530B1 (ko) * 2016-10-28 2017-10-18 한국철도공사 프리캐스트 부유 궤도장치 및 이를 위한 진동 저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57B1 (ko) * 2020-10-23 2021-02-04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5541A (zh) 轨道交通用新型预制板式减振轨道结构
EP272243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three-dimensional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laying concrete tracks using concrete block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KR20110089991A (ko) 철도용 방진궤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8321B1 (ko) 레일매립궤도 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US4289273A (en) Plate and method for laying railway level crossings
KR102122610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JP4689272B2 (ja) 鉄道交通機関用の固定軌道の架設方法
KR20160117923A (ko) 철도교용 철골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CN105133493A (zh) 一种适合中小跨度桥梁的嵌入式轨道结构及施工方法
KR100948279B1 (ko) 레일조정장치를 구비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KR102276570B1 (ko) 레일매립궤도 단순하부틀분리형 거푸집장치
CZ319492A3 (en) Load-bearing structure of a permanent way and a prefabricated platform thereof
KR101262755B1 (ko) 가로보가 일체화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56255A (ko) 롤링저감을 위한 비틀림에 저항하는 강재빔을 이용한 철도용 방진궤도 시스템
KR100854479B1 (ko)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KR100708484B1 (ko) 프리캐스트 플로팅 슬래브궤도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44175B1 (ko) 자갈 도상 궤도에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와 그를이용한 콘크리트 도상 부설장치 및 부설방법
JP4858850B2 (ja) 既存軌道の防振軌道化施工方法
KR101114444B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조립식 직결궤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립식 직결궤도를 이용한 콘크리트 직결궤도 부설방법
KR101670587B1 (ko) 철도궤도용 z형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구조
JP4162291B2 (ja) 鉄道工事桁用受台、及び鉄道工事桁用受台の施工方法
KR102212757B1 (ko) 자갈궤도의 급속개량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궤도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콘크리트슬래브 지지장치와 철도 부설장치
KR101161628B1 (ko) 레일체결구가 부착된 거더 철도교량
KR101510833B1 (ko) 콘크리트가 충진된 강관 직결 궤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0964734B1 (ko) 복합탄성체에 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