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538B1 -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538B1
KR102119538B1 KR1020130036569A KR20130036569A KR102119538B1 KR 102119538 B1 KR102119538 B1 KR 102119538B1 KR 1020130036569 A KR1020130036569 A KR 1020130036569A KR 20130036569 A KR20130036569 A KR 20130036569A KR 102119538 B1 KR102119538 B1 KR 10211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clothes dryer
delete delete
coupled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003A (ko
Inventor
이태현
옥성민
김도행
장용준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538B1/ko
Priority to EP14163304.0A priority patent/EP2787117B1/en
Priority to CN201811520894.1A priority patent/CN109338685B/zh
Priority to CN201410133717.3A priority patent/CN104099765B/zh
Priority to US14/244,561 priority patent/US9702080B2/en
Publication of KR2014012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드럼,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베이스에 위치하는 제1물통, 제1물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배수관을 포함하며, 복수의 배수관과 제1물통간의 결합위치 변경을 위해 제1물통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제1물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유닛의 구조 개선으로 인해 배수유닛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 총수를 감소하여 재료비를 줄이고, 조립성 개선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배수 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건조기의 배수 유닛의 구조를 개선한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는 세탁되어 젖어 있는 빨래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써 건조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동력원에 따라 가스식 건조기와 전기식 건조기로 분류되며, 건조대상물로부터 흡수한 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된다.
배기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를 길게 연장된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를 열교환 장치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다시 드럼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공기의 흐름이 폐루프를 형성하므로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 어렵고 전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지비용이 많이 들지만, 공기가 드럼 내의 건조 대상물과 열교환 장치 사이를 순환하므로 배기덕트가 필요 없어서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의류건조기의 제습유닛에서 습한 공기의 수분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응축수는 의류건조기의 베이스에 모이게 되고, 응축수가 소정의 양만큼 모이게 되면 펌프를 통해서 베이스에서 제거된다.
의류건조기의 응축수 배수방법은 회수용 물통을 이용해 배수하는 방법과, 응축수가 베이스에서 의류건조기 외부로 직접 배수되는 방식이 있다. 종래에는 소비자가 배수 방식을 선택하기 위하여 배수유닛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고, 재료비가 비싸졌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류건조기의 배수유닛의 구조를 개선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배수유닛의 조립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응축수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물통, 상기 제1물통의 일측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복수의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관과 상기 제1물통간의 결합위치 변경을 위해 상기 제1물통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상기 제1물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물통 내측의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1물통에 결합되는 제1물통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통은 상기 제1물통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관이 결합되어 응축수가 이동하는 배수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물통 커버는 상기 배수홀이 외측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상기 제1물통 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통 커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물통에서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2물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통에서 상기 제2물통으로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제1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통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물통의 응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해 상기 제1배수관이 결합되는 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물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1물통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물통과 상기 제2물통을 연결하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통의 응축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홀에 결합되는 제3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이 결합되는 상기 제2물통의 일측에는 상기 제1배수관을 통해 이동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2물통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연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물통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통홀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마련되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의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1리브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상기 연통홀의 외측으로 튀지 않도록 상기 제1리브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제1리브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물통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연통홀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2물통의 내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물통의 표면에 대해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응축수를 수집하고 배수시키는 배수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유닛은 응축수를 수집하는 제1물통, 상기 제1물통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배수하는 복수의 배수관, 상기 제1물통의 일측에 위치하는 전장품을 보호하며 상기 복수의 배수관 중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물통에 결합되는 제1물통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건조대상물의 건조로 인해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는 제1물통, 상기 제1물통에 수집된 응축수를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하여 배수하기 위한 제2물통, 상기 제1물통 내의 응축수가 상기 제2물통으로 배수되거나 상기 본체 외측으로 배수되도록 배수관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배수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배수홀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제1물통에서 배수되는 응축수의 배수유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건조대상물의 건조로 인해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용되는 제1물통, 상기 제1물통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제2물통, 상기 제1물통의 응축수를 상기 제2물통으로 이동시키는 제1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2물통은 상기 제1배수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제2물통의 표면에 마련되는 연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물통의 표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연통홀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연통홀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마련되는 제1리브와, 상기 제1리브의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브의 높이는 상기 제1리브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상기 연통홀의 외측으로 튀지 않도록 상기 제1리브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제1리브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물통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연통홀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2물통의 내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홀이 마련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물통의 표면에 대해 상기 오버플로우홀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물통의 표면에는 응축수를 상기 연통홀과 상기 오버플로우홀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기 위한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물통에서 오버플로우 되는 응축수를 상기 제1물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배수관과, 응축수를 상기 제1물통의 외측으로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1물통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3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를 수용하는 제1물통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제1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는 배수홀과, 상기 배수관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며 상기 배수홀이 외측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상기 제1물통에 결합되는 제1물통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유닛의 구조 개선으로 인해 배수유닛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 총수를 감소하여 재료비를 줄이고, 조립성 개선으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유닛의 구조 개선으로 인해 소비자가 배수 방식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물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물통의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물통을 이용해 응축수를 배수할 때의 배수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본체 외측으로 배수할 때의 배수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물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물통의 제2물통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물통의 배수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수홀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1)는 본체(10), 드럼(20), 구동유닛(30), 제습유닛(80), 배수유닛(50, 6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프레임(12)과, 프레임(12)의 상부를 덮는 탑커버(11)와, 프레임(12)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제1물통(60)과 제2물통(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물통(60)은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받이통이며, 제2물통(50)은 사용자가 본체(10)로부터 착탈하여 내측의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는 착탈식물통이다. 제1물통(60)은 본체(10)의 하측에 위치하며, 건조대상물의 건조로 인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용한다. 제2물통(50)은 본체(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물통(60)의 응축수는 제2물통(50)으로 배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2물통(50)을 본체(10)에서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제1물통(60)의 응축수는 본체(10) 외측으로 직접 배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면패널(13)에는 제2물통(50)의 손잡이부(52)가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2물통(50)을 인출하여 제2물통(50)에 수용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다. 제2물통(50)의 전면에는 표시창(51)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창(51)은 투명하게 마련되어 제2물통(50) 내측에 응축수의 양을 사용자가 판단할 수 있다. 제2물통(5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면패널(13)에는 의류건조기(2)의 제어를 위한 각종 버튼과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15)이 위치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건조대상물을 드럼(20)에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6)가 형성되고, 투입구(16)의 전방에는 투입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4)가 힌지 결합된다.
본체(10)의 후면에는 배수유닛(50, 60) 중 제1물통(60)이 위치한다. 제1물통(60)은 본체 후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물통(60)은 제1물통 바디(61)와 제1물통 커버(70)를 포함하며, 제1물통 바디(61)와 제1물통 커버(70)의 결합관계로 인해 사용자는 제1물통 커버(70)를 착탈할 필요 없이 응축수가 본체(10) 외부로 배수될지, 제2물통(50)으로 배수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후면에는 유입덕트(41)가 결합되어 유입덕트(41)의 내측에서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드럼(20)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건조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은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20)의 내부에는 드럼(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터(21)가 배치된다. 리프터(21)는 건조 대상물을 상승, 낙하시켜 건조대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한다.
드럼(20)은 구동유닛(3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유닛(30)은 베이스(90)에 장착되는 구동모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90)에는 구동모터(9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풀리(32)와, 풀리(32)와 드럼(20)을 연결하여 구동모터(90)의 동력을 드럼(20)으로 전달하는 벨트(3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의 전면은 건조대상물의 투입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도어(14)에 의해 폐쇄된다. 드럼(20)의 후면에는 열풍유입구(22)가 형성되며, 제습유닛(8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열풍유입구(22)를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드럼(2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이 건조될 수 있다. 드럼(20) 내부에서 배출되는 습한 공기는 배출덕트(42)를 따라 제습유닛(80)으로 유입된다. 제습유닛(80)을 통과한 후 건조해진 공기는 다시 유입덕트(41)를 따라 드럼(20) 내부로 순환된다.
유입덕트(41)의 하측에 설치된 송풍팬(43)에 의해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흐름이 일어난다.
배출덕트(42)는 드럼(20)의 전방에 배치되어 드럼(20)의 내부를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한다. 배출덕트(42)에는 린트(lint)와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도록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유입덕트(41)는 드럼(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드럼(20)에 형성된 열풍유입구(22)를 통해 드럼(20)의 내부와 연통된다.
유입덕트(41)의 내부에는 송풍팬(43)이 배치된다. 송풍팬(43)은 제습유닛(80)을 통과한 고온건조한 공기를 흡입하여 유입덕트(41)의 내부로 배출함으로써 드럼(20)을 경유하는 순환기류를 발생시킨다. 송풍팬(41)은 드럼(2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1)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의 하부에는 베이스(90)가 장착된다. 베이스(90)는 베이스 바디(91)가 그 외형을 형성한다. 베이스 바디(91)의 후방에는 송풍팬(43)이 장착되고, 후술할 제1물통(60)이 형성된 리어 바디(92)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90)에는 상술한 제습유닛(80), 구동유닛(30), 송풍팬(43), 배수유닛(50, 60) 중 제1물통(60)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바디(92)에 제습유닛(80)과 구동유닛(30)이 장착되고, 리어 바디(92)에 송풍팬(43)과 제1물통(60)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바디(92)에 있어서 송풍팬(43)이 장착된 부분에는 배출덕트(42)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92)에 있어서 제1물통(60)이 형성된 부분에는 물받이통(60) 내측의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한 제1물통 커버(70)가 별도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습유닛(80)과 구동유닛(30)을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 커버(미도시)가 베이스 바디(92)의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습유닛(80)은 증발기(81)와, 응축기(82)와 압축기(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않으나, 팽창 밸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드럼(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제습유닛(80)으로 유입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먼저 제습유닛(80)의 증발기(81)를 관통하게 된다. 증발기(81)의 내부에는 압력 강하에 의해 팽창하여 열을 흡수하는 냉매가 관통한다. 냉매는 증발기(81)에서 증발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반면 고온 다습한 공기는 냉각되면서 수분을 잃고 저온 건조한 공기가 된다. 즉, 드럼(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81)를 지나면서 저온 건조한 공기로 변하게 된다.
증발기(81)를 지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82)를 관통하게 된다. 응축기(82)의 내부에는 압축기(83)에 의해 압축되어 과열된 냉매가 관통한다. 과열된 냉매는 응축기(82)를 관통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반면 저온 건조한 공기는 가열되면서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된다. 즉, 증발기(81)에서 배출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82)를 지나면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하게 된다.
응축기(82)를 지난 고온 건조한 공기는 가이드덕트(84)를 따라 유입덕트(41)로 가이드 된다. 유입덕트(41)로 가이드 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송풍팬(43)에 의해 유입덕트(41)를 따라 드럼(20)을 향해 유입된다.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구동모터(31)가 동작하고, 이에 의해 드럼(20)과 송풍팬(43)이 작동한다. 송풍팬(43)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공기는 증발기(81)와 응축기(82)를 지나면서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하여 드럼(20)으로 유입된다. 드럼(20)으로 유입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드럼(20)의 내부에 투입된 건조 대상물로부터 수분을 빼앗아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킨다. 동시에 공기는 고온 다습한 공기로 변하게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배출덕트(42)를 따라, 다시 제습유닛(80)으로 투입되어 고온 건조한 공기로 변한다. 이러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다시 드럼(20)으로 투입된다.
드럼(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81)에서 냉각되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는 베이스(90)에 장착되는 제1물통(60)에 수집된다. 수집된 응축수는 제2물통(50)으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제2물통(50)을 인출하여 응축수를 배수하거나, 제1물통(60)에서 본체(10)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응축수가 제1물통(60)에 위치하는 상태를 제1상태로 정의하고, 응축수가 펌핑되어 제2물통(50)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제2상태로 정의한다. 또한, 응축수가 펌핑되어 본체(10) 외부로 배수되는 상태를 제3상태로 정의한다. 또한, 제2물통(50) 내측의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제1물통(60)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제4상태로 정의한다. 사용자는, 배수관과 제1물통(60)간의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응축수가 제2상태일지 제3상태일지의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물통(60)에서 배수되는 응축수의 배수유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물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물통의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물통(60)은 리어 바디(92)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바디(92)의 일부가 함몰되고, 함몰된 부분에 제1물통(60)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리어 바디(92)와는 별개로 제1물통(60)이 형성되어 리어 바디(92)에 제1물통(60)이 장착되는 구조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제1물통(60)은 제1물통 바디(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물통(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관(85, 86, 87)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물통(60)에서 제2물통(50)으로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배수관을 제1배수관(85)으로 정의하고, 제2물통(50)에서 제1물통(60)으로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배수관을 제2배수관(86)으로 정의하고, 제1물통(60)에서 본체(10) 외측으로 응축수를 이동시키는 배수관을 제3배수관(87)으로 정의한다.
제1물통(6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홀(62, 64)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배수관(85) 또는 제3배수관(87) 중 하나가 결합되는 제1배수홀(62)과, 제2배수관(86)이 결합되는 제2배수홀(64)이 마련될 수 있다. 제3배수관(87)의 경우, 제2상태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제3상태의 경우 제1배수홀(62)에 추가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3배수관(87)은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제3상태에서 제1배수관(85)이 배수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제1배수관(85)이 결합되는 보스(63)는 제1배수홀(62)에 근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홀(62, 64)의 안측에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전장품이 위치할 수 있다. 전장품으로는 응축수를 펌핑하여 배수시키는 배수펌프(65)와,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66)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펌프(65)가 응축수를 펌핑하여 응축수는 제2물통(50)이나 본체(10) 외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제1물통 바디(61)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물통 커버(7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물통 커버(70)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62, 64)이 외측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제1물통 바디(6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물통 커버(70)는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마련되는 함몰부(71)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62, 64)이 외측으로 드러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함몰부(71)에 의해, 제1배수홀(62)과 보스(63)가 외측으로 드러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물통 커버(70)는 배수관(85, 86, 87)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7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72)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72a, 72b)에 적어도 하나의 배수관(85, 86, 87)이 끼워져 배수관(85, 86, 87)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72)는 배수관이 두개 끼워질 수 있는 공간(72a, 72b)을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용 물통을 이용해 응축수를 배수할 때의 배수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본체 외측으로 배수할 때의 배수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배수 상태에 따른 배수관의 연결구조를 설명한다.
도 7은 제2물통(50)을 이용하여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제2상태에서의 배수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배수관(86)은 제2배수홀(64)에 결합되어 제2물통(5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를 물받이통(60)으로 이동시키는 제4상태에서 사용된다. 제1배수홀(62)에 제1배수관(85)이 결합되어 제1물통(60)에 수집된 응축수를 제2물통(59)으로 이동시킨다. 홀더(72)에 제1배수관(85)이 끼워져 제1배수관(85)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1물통(60)에서 본체(10)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제2상태에서의 배수관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배수관(86)은 제2배수홀(64)에 결합되어 제2물통(5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를 제1물통(60)으로 이동시킨다. 다만, 제1배수홀(62)에는 제3배수관(87)이 결합되어 제1물통(60)의 응축수를 본체(10) 외측으로 배수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1배수관(85)은 응축수의 배수에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보스(63)에 결합된다.
즉, 제1상태에서 응축수는 제1물통(60)에 수용된다. 제2상태에서 제1물통(60)에 수용된 응축수는 제1배수홀(62)에 결합된 제1배수관(85)을 통해 제2물통(50)으로 이동한다. 제3상태는 사용자가 제1배수관(85)을 보스(63)에 결합시키고, 제3배수관(87)을 제1배수홀(62)에 결합시켜 응축수가 본체(10) 외측으로 배수되는 상태이다. 제4상태는 제2배수홀(64)에 제2배수관(86)이 결합되어 제2물통(50)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가 제1물통(60)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제2배수관(86)의 결합구조를 변경시키지 않는 한, 제1상태, 제2상태, 제3상태인 경우에도 동시에 응축수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물통 커버(70)가 제1배수홀(62)이 외측에 드러나도록 제1물통 바디(61)에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물통 커버(70)를 제거할 필요 없이, 원하는 배수 방식에 따라 제1배수관(85) 또는 제3배수관(87)을 제1배수홀(62)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물통 커버(70)가 배수관(85, 86, 87)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72)를 포함하기 때문에, 배수유닛(50, 60)의 제작에 있어서 필요한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물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물통의 제2물통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물통(50)은 제2물통 바디(55)와, 제2물통 커버(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물통(50)은 의류건조기(1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회수용 물통(50)을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는 손잡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물통 바디(55)의 상면의 일부분에는 제2물통 커버(54)가 결합될 수 있다. 제2물통 커버(54)에는 일측은 제1물통(60)에 결합되는 제1배수관(85)이 결합될 수 있다. 제1배수관(85)은 제2물통 커버(54)의 유입관(54a)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물통 커버(54)는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2물통(50)을 인출하는 경우에 제2물통 커버(54)는 함께 인출되지 않고 제2물통 바디(55)만 인출된다. 제2물통 바디(55)가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제2물통 바디(55)의 후면과 제2물통 커버(54)의 내측이 접촉한다.
제2물통 바디(55)의 상면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제2물통(50)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연통홀(56)이 마련될 수 있다. 연통홀(56)은 제1배수관(85) 내측의 응축수가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통홀(56)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물통 바디(55)의 상면의 다른 일측에는 연통홀(56)로 유입되지 않고 오버플로우된 응축수가 제2물통(50)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홀(57)이 마련될 수 있다. 응축수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제2물통 바디(55)의 상면에는 유로(58)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물통 바디(55)의 상면에 대해 연통홀(56)이 오버플로우홀(57)보다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연통홀(56)로부터 넘쳐흐르는 응축수가 오버플로우홀(57)로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용 물통의 배수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홀(56)은 연통홀(56)의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56a, 56b, 56c)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홀(56)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며, 이는 응축수를 제2물통(50) 내측으로 가이드 하기 위함이다.
연통홀(56)의 내측에는 연통홀(56)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제1리브(56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리브(56a)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리브(56b, 56c)가 마련될 수 있다. 제2리브(56b, 56c)는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2개의 제2리브(56b, 56c)가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리브(56b, 56c) 중 외측에 위치한 제2리브를 외측 제2리브(56b)로 정의하고, 내측에 위치한 제2리브를 내측 제2리브(56c)로 정의한다.
제1리브(56a)는 제2리브(56b, 56c)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연통홀(56)의 내측으로 갈수록 리브(56a, 56b, 56c)는 경사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외측 제2리브(56b)는 내측 제2리브(56c)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리브(56a)와 외측 제2리브(56b) 사이에는 d1이라는 높이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제2리브(56b)와 내측 제2리브(56c) 사이에는 d2라는 높이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1리브(56a)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제1리브(56a)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돌출부(56d)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돌출부(56d)는 제1리브(56a)에 두개 마련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56d)는 제2물통 바디(55)의 상면보다 낮게 돌출되며, 이에 따라, 제2물통(50)에 수용된 응축수가 제2물통 바디(55)의 바깥쪽으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통홀(56) 주위의 제2물통 바디(55)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방지턱(56a)이 마련되어 제2물통(50) 내측으로부터 응축수가 튀어오르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커버(12a)에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드럼(20)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풍유입구(22a, 22b, 22c)가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열풍유입구(22)는 3개로, 제1열풍유입구(22a), 제2열풍유입구(22b), 제3열풍유입구(22c)를 포함한다.
제3열풍유입구(22c)의 경우, 송풍팬(43)이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공기가 제1열풍유입구(22a)와, 제2열풍유입구(22b)에 비해 적게 유입되었다. 이에 고온다습한 공기가 드럼(20) 내측으로 균일하게 유입되지 않아 건조효율이 떨어졌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열풍유입구(22c)의 하측은 함몰되도록 마련되는 리어커버 함몰부(41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열풍유입구(22c)의 상측은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리어커버 돌출부(41b)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열풍유입구(22c)의 주변에 높이의 차이가 생기게 하여 제3열풍유입구(22c)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하여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서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방지부재가 의류건조기의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건조기(100)는 일측은 드럼 전면부(20a)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후면 프레임(12a)에 결합되는 변형방지부재(17)를 포함할 수있다.
변형방지부재(17)는 전면 결합부(17a, 17b)와 후면 결합부(17c, 17d, 17e)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결합부(17a, 17b)는 제1절곡부(17a)와, 제1절곡부(17a)로부터 연장된 제2절곡부(1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절곡부(17b)는 제1절곡부(17a)에 대해 직각에 근접하도록 절곡되어 전면 드럼(23)에 결합될 수 있다. 전면 드럼(23)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변형방지부재 결합부(23a)가 마련될 수 있다. 전면 결합부(17a, 17b)는 변형방지부재 결합부(23a)에 안착될 수 있다.
후면 결합부(17c, 17d, 17e)는 제3절곡부(17c)와, 제3절곡부(17c)에서 연장된 제4절곡부(17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절곡부(17d)에서 연장된 결합부(17e)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7e)는 후면 프레임(12a)의 결합홈(12c)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제4절곡부(17d)는 후면 프레임의 상면(12d)에 안착된다.
전면 결합부(17a, 17b)와 전면 드럼(23)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절곡부(17b)는 체결홈(17f)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형방지부재 결합부(23a)에도 체결홈(23b)이 마련되어,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드럼(23)의 양 측에는 프레임 결합부(23c, 23d, 23e, 23f)가 마련되어 양 측면 프레임(12b)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23c, 23d, 23e, 23f)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측면 프레임(12b)과 전면 드럼(23)을 결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 결합부(23c, 23d, 23e, 23f)는 전면 드럼(23)의 양 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 결합부(23c, 23d, 23e, 23f)는 양측에 각각 두개씩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결합부를 제1프레임 결합부(23c)와 제2프레임 결합부(23e)로 정의하고, 하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결합부를 제3프레임 결합부(23d)와 제4프레임 결합부(23f)로 정의한다.
전면 드럼(23)에 변형방지부재(17)가 안착된 후, 변형방지부재 결합부(23a)의 상측에는 별도의 탑커버(11)를 구성하는 상면 프레임이(18) 결합될 수 있다.
전면 드럼(23)은 제1프레임 결합부(23c)와 제2프레임 결합부(23e)에 의해 양 측에서 측면 프레임(12b)과 결합되고, 변형방지부재(17)에 의해 후면 프레임(12a)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전면 드럼(23)은 3개의 점에 의해 지지되는 3점지지구조를 가진다. 전면 드럼(23)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의류건조기(100)는 건조대상물의 건조를 위해 열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면 드럼(23)이 열로 인해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전면 드럼(23)이 프레임(12)과 3점지지구조를 가지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전면 드럼(23)의 처짐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방지부재(17)로 인해 의류건조기(100)의 기밀을 방지하여 열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재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의류건조기 10: 본체
20: 드럼 30: 구동유닛
50: 제2물통 56: 연통홀
58:오버플로우홀 60: 제1물통
61: 제1물통 바디 70: 제1물통 커버
72: 홀더 80: 제습유닛
85: 제1배수관 86: 제2배수관
87: 제3배수관 90: 베이스

Claims (25)

  1. 후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함몰부와, 상기 제1함몰부에 마련되는 제1물통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응축시키는 제습유닛;
    상기 제습유닛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1물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고, 상기 제1함몰부에 마련되는 배수펌프;
    상기 제1물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배수홀;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함몰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제2함몰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물통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물통 커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배수홀은 상기 제2함몰부에 수용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1물통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제1함몰부에 마련되는 상기 배수펌프가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홀의 상기 노출된 부분에 결합되는 제1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통 커버에는 상기 제1배수관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더가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수펌프로부터 배출된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제2물통을 더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통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상기 제1물통으로 이동시키는 제2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에 결합되며, 상기 제1물통 커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제1물통 커버에 의해 숨겨지는 제2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제2물통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2물통의 상면에 형성되는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제2물통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의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리브와,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리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30036569A 2013-04-03 2013-04-03 의류건조기 KR10211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69A KR102119538B1 (ko) 2013-04-03 2013-04-03 의류건조기
EP14163304.0A EP2787117B1 (en) 2013-04-03 2014-04-03 Clothing dryer
CN201811520894.1A CN109338685B (zh) 2013-04-03 2014-04-03 衣物烘干机
CN201410133717.3A CN104099765B (zh) 2013-04-03 2014-04-03 衣物烘干机
US14/244,561 US9702080B2 (en) 2013-04-03 2014-04-03 Clothing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69A KR102119538B1 (ko) 2013-04-03 2013-04-03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03A KR20140121003A (ko) 2014-10-15
KR102119538B1 true KR102119538B1 (ko) 2020-06-08

Family

ID=5044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569A KR102119538B1 (ko) 2013-04-03 2013-04-03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2080B2 (ko)
EP (1) EP2787117B1 (ko)
KR (1) KR102119538B1 (ko)
CN (2) CN1093386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20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94665T3 (es) * 2013-12-03 2018-12-26 Arçelik Anonim Sirketi Secadora con bomba de calor
EP3029194B1 (en) * 2014-12-05 2020-07-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CN106192309A (zh) * 2015-04-30 2016-12-0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干衣机用水盒组件及洗/干衣机
CN104894824B (zh) * 2015-06-26 2017-05-10 王招杰 一种吸水式微热风干衣机及干燥衣物的方法
KR102374853B1 (ko) 2015-07-02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10329709B2 (en) 2015-07-0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Dryer
KR102407647B1 (ko) 2015-08-1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9671052B2 (en) 2015-10-27 2017-06-06 Whirlpool Corporation Collet securing device for joining two fluid lines and providing lateral support at the connection of the two fluid lines
US10557469B2 (en) 2016-03-22 2020-02-11 Whirlpool Corporation Multi-outlet fluid flow system for an appliance incorporating a bi-directional motor
KR102627696B1 (ko) * 2016-07-22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10655266B2 (en) 2016-11-30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Lint processing fluid pump for a laundry appliance
US10480117B2 (en) 2017-02-27 2019-11-19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sump cover
US10662574B2 (en) 2017-02-27 2020-05-26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heater exchanger plate
US10619289B2 (en) 2017-02-27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diverter valve
US10634412B2 (en) 2017-04-10 2020-04-28 Whirlpool Corporation Concealed upstream air tower guide vanes
US10697700B2 (en) 2018-01-17 2020-06-3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water dispensing system
KR20210080039A (ko) * 2019-12-20 202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CN113802346B (zh) * 2020-06-15 2022-10-28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干衣机
KR20220051596A (ko) 2020-10-19 2022-04-2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양극산화 기반 다공성의 탄탈륨 질화물을 포함하는 광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물 분해 소자
WO2022169322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3207B3 (de) * 2005-07-13 2006-07-20 Miele & Cie. Kg Kondensatsammelbehälter für einen Wäschetrockner
WO2007007089A1 (en) * 2005-07-13 2007-01-18 Indesit Company Uk Ltd Pumping system for a tumble dry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2765A (ko) * 1968-11-21 1970-05-19
DE8123335U1 (de) * 1981-08-08 1983-01-20 G. Bauknecht Gmbh, 7000 Stuttgart "waeschetrockner mit kondensationseinrichtung und umstelleinrichtung auf kondensatsammelbehaelter oder abwasserschlauch"
DE4300694C2 (de) 1993-01-13 2000-02-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schetrockner mit einer Kondensationseinrichtung
DE19524578C2 (de) 1995-07-06 1998-02-26 Miele & Cie Wäschetrockner mit einer Kondensationseinrichtung
DE10044030B4 (de) 2000-09-06 2004-01-29 Miele & Cie. Kg Wäschetrockner mit einer Kondensationseinrichtung
KR20040105862A (ko) * 2002-04-10 2004-12-16 피셔 앤 페이켈 어플라이언스 리미티드 세탁기
KR20050063118A (ko) * 2003-12-22 2005-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응축수 배관구조
CN1724795A (zh) 2004-07-19 2006-01-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干衣机的冷凝水移动结构
US7523564B2 (en) * 2005-05-23 2009-04-28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drum supporting apparatus thereof
EP1923499B1 (en) * 2006-11-15 2018-02-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Nozzle and additive supply arrangement for a textiles treatment apparatus
EP1936022A1 (en) * 2006-12-22 2008-06-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tumble dryer
DE102007052835A1 (de) 2007-11-06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sowie Wasch- oder Wäschetrockner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08016483A1 (de) * 2008-03-31 2009-10-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standgerät
EP2199453B1 (en) 2008-12-17 2011-07-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household appliance
DE102010030161A1 (de) * 2010-06-16 2011-12-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behälter für ein Kondensationswäschetrocknungsgerät, Kondensationswäschetrocknung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ndensationswäschetrocknungsgerä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3207B3 (de) * 2005-07-13 2006-07-20 Miele & Cie. Kg Kondensatsammelbehälter für einen Wäschetrockner
WO2007007089A1 (en) * 2005-07-13 2007-01-18 Indesit Company Uk Ltd Pumping system for a tumble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20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03A (ko) 2014-10-15
EP2787117A3 (en) 2015-07-15
CN109338685B (zh) 2021-09-14
CN104099765A (zh) 2014-10-15
CN109338685A (zh) 2019-02-15
EP2787117B1 (en) 2021-11-24
US9702080B2 (en) 2017-07-11
EP2787117A2 (en) 2014-10-08
CN104099765B (zh) 2019-01-04
US20140298671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538B1 (ko) 의류건조기
US10544540B2 (en) Drying machine
EP3045582B1 (en) Drying machine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JP4271208B2 (ja) 衣類乾燥装置
US20190024299A1 (en) Clothes dryer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AU2016287241B2 (en) Dryer
AU2016285094B2 (en) Dryer
EP3112528A1 (en) Dryer
US20180112348A1 (en) Clothes dryer
KR101128810B1 (ko) 세탁장치
KR10212979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84362B1 (ko) 의류 건조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77252B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2016214460A (ja)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EP2719817A1 (en) Improved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140104309A (ko) 드럼 세탁기
JP2013118946A (ja) 洗濯乾燥機
JP2014140438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