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468B1 -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 Google Patents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468B1
KR102117468B1 KR1020150128940A KR20150128940A KR102117468B1 KR 102117468 B1 KR102117468 B1 KR 102117468B1 KR 1020150128940 A KR1020150128940 A KR 1020150128940A KR 20150128940 A KR20150128940 A KR 20150128940A KR 102117468 B1 KR102117468 B1 KR 10211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de
acoustic resonator
cap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431A (ko
Inventor
박호수
신제식
손상욱
이영규
이문철
김덕환
김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8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468B1/ko
Priority to US15/232,116 priority patent/US10511281B2/en
Priority to CN201610811315.3A priority patent/CN106533385B/zh
Publication of KR2017003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04Holders; Supports for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3Air-ga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535Details of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66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 H03H9/0571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including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07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03H9/1014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64Mounting in enclosures for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 H03H9/1071Mounting in enclosures for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SAW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of a laminated structure of multiple piezoelectric layers with inn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2009/0019Surface acoustic wave multichi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66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 H03H9/0576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including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8Holders; Supports for surface acoustic wa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순차 적층되는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공진부가 적층되는 기판; 및 상기 공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과 접합되는 캡; 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 기판 및 상기 캡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디바이스 기판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ACOUSTIC WAVE RESONATOR AND FIL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기기, 화학 및 바이오기기 등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이러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소형 경량필터, 오실레이터(Oscillator), 공진소자(Resonant element), 음향공진 질량센서(Acoustic Resonant Mass Sensor) 등의 수요도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경량필터, 오실레이터, 공진소자, 음향공진 질량센서 등을 구현하는 수단으로는 박막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이하 "FBAR"이라 함)가 알려져 있다. FBAR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초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주요한 특성인 높은 품질 계수 (Quality Factor: Q)값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이크로주파수 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와 DCS(Digital Cordless System) 대역까지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FBAR은 기판상에 제1 전극, 압전층(Piezoelectric layer) 및 제2 전극을 차례로 적층하여 구현되는 공진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FBAR의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먼저 제1 및 2전극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여 압전층 내에 전계를 유기시키면, 이 전계는 압전층의 압전 현상을 유발시켜 공진부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다. 그 결과, 진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음향파(Bulk Acoustic Wave)가 발생하여 공진을 일으키게 된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81398호
본 발명의 과제는 서로 다른 기판 각각의 접속을 위한 복잡한 회로 패턴을 제거하고, 서로 다른 공진기 간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순차 적층되는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공진부가 적층되는 기판; 및 상기 공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과 접합되는 캡; 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 기판 및 상기 캡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디바이스 기판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 동일 평면상에 길게 배치되는 서로 다른 기판 각각의 접속을 위한 복잡한 회로 패턴의 형성을 회피할 수 있고, 부품 대비 기판 면적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을 양면으로 이용하여 공진기 간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패키지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는 체적 음향파(Bulk Acoustic Wave) 공진기이거나, 표면 음향파(Surface Acoustic Wave) 공진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는 수신(Rx) 측에 배치되는 공진기 일 수 있다.
음향 공진기(10)는 기판(110), 절연층(120), 에어 캐비티(112), 및 공진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향 공진기(10)는 기판(110), 절연층(120), 에어 캐비티(112), 및 공진부(135)를 구비한다.
기판(110)은 통상의 실리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기판(110)의 상면에는 기판(110)에 대해 공진부(135)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절연층(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120)은 이산화규소(SiO2)나 산화알루미늄(Al2O2)을 화학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 Magnetron Sputtering) 법, 또는 에바포레이션(Evaporation) 법으로 기판(110) 상에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기판(110)의 하부면에는 기판(110)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비아 홀(11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비아 홀(113)의 내부에는 접속 패턴(114)이 형성된다. 접속 패턴(114)은 비아 홀(113)의 내부면 즉 내벽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패턴(114)은 비아 홀(113)의 내부면에 도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패턴(114)은 비아 홀(113)의 내벽을 따라 금이나 구리와 같은 도전성 금속을 증착하거나 도포, 또는 충전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속 패턴(114)은 일단이 기판(110)의 하부 면 측으로 연장되고, 기판(110)의 하부 면의 접속 패턴(114) 상에는 기판용 접속 패드(115)가 마련된다. 접속 패턴(114)의 타단은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에 연결되는데, 접속 패턴(114)은 기판(110)과 멤브레인(130)을 관통하여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접속 패턴(114)은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을 기판용 접속 패드(115)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용 접속 패드(115)는 범프를 통하여 음향 공진기(10)의 하부 측, 즉 기판(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용 접속 패드(115)를 통해 제1, 2 전극(110, 120)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음향 공진기(10)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는 비아 홀(113), 접속 패턴(114) 및 기판용 접속 패드(115)가 두 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의 비아 홀(113), 접속 패턴(114) 및 기판용 접속 패드(115)를 구비할 수 있다.
절연층(120)상에는 에어 캐비티(112)가 배치된다. 에어 캐비티(112)는 공진부(135)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공진부(135)의 하부에 위치한다. 에어 캐비티(112)는 절연층(120)상에 에어 캐비티 희생층 패턴을 형성한 다음 에어 캐비티 희생층 패턴상에 멤브레인(130)을 형성한 후 에어 캐비티 희생층 패턴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절연층(120)과 에어 캐비티(112) 사이에는 식각 저지층(125)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각 저지층(125)은 식각 공정으로부터 기판(110) 및 절연층(12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식각 저지층(125) 상에 다른 여러 층이 증착되는데 필요한 기단 역할을 할 수 있다.
에어 캐비티(112)는 절연층(120)상에 에어 캐비티 희생층 패턴을 형성한 다음 에어 캐비티 희생층 패턴상에 멤브레인(130)을 형성한 후 에어 캐비티 희생층 패턴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멤브레인(130)은 산화 보호막으로 기능하거나, 기판(110)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진부(135)는 에어 캐비티(1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차례로 적층된 제1 전극(140), 압전층(150) 및 제2 전극(160)을 구비한다.
제1 전극(140)은 멤브레인(130)의 일부를 덮도록 멤브레인(1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제1 전극(140)은 금속과 같은 통상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40)은 금(Au), 티탄(Ti), 탄탈(Ta), 몰리브덴(Mo), 루테늄(Ru), 백금(Pt), 텅스텐(W), 알루미늄(Al), 또는 니켈(Ni)로 구성될 수 있다.
압전층(150)은 멤브레인(130)의 일부 및 제1 전극(140)의 일부를 덮도록 멤브레인(130) 및 제1 전극(140)의 상면에 형성된다. 압전층(150)은 전기적 에너지를 탄성파 형태의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효과를 일으키는 부분으로,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아연(ZnO), 납 지르코늄 티타늄 산화물(PZT; PbZrTiO) 등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160)은 압전층(150) 상에 형성된다. 제2 전극(160)은 제1 전극(140)과 마찬가지로, 금(Au), 티탄(Ti), 탄탈(Ta), 몰리브덴(Mo), 루테늄(Ru), 백금(Pt), 텅스텐(W), 알루미늄(Al), 또는 니켈(Ni)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공진부(135)는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공진부(135)의 활성영역은 제1 및 제2 전극(140, 160)에 RF(Radio Frequency) 신호와 같은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어 압전층(150) 내에 전계가 유기될 때 압전 현상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여 공진하는 영역으로, 에어 캐비티(112) 위쪽에서 제1 전극(140), 압전층(150) 및 제2 전극(160)이 모두 수직방향으로 중첩된 영역에 해당한다. 공진부(135)의 비활성영역은 제1 및 제2 전극(140, 160)에 전기에너지가 인가되더라도 압전 현상에 의해 공진하지 않는 영역으로, 활성 영역 외측의 영역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진부(135)는 상술한 압전층(150)의 압전(piezo electric) 효과를 이용하여 특정주파수의 무선신호를 필터링한다. 즉, 제2 전극(160)을 통해 인가되는 RF신호는 공진부(135)를 거쳐 제1 전극(140) 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진부(135)는 압전층(150)에 발생하는 진동에 따른 일정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므로, 입력된 RF 신호 중 공진부(135)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하는 신호만이 출력되게 된다.
보호층(170)은 공진부(135)의 제2 전극(160)상에 배치되어, 제2 전극(16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층(127)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물질로는 실리콘 옥사이드 계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계열 및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계열의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캡(200)은 기판(110)과 접합하여, 공진부(135)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캡(200)은 공진부(135)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커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200)은 공진부(13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앙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서 공진기와 결합할 수 있도록 테두리가 수용부에 비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는 특정 영역에서 접합제(250)를 통해 기판(110)과 직간접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기판(110) 상에 적층되는 보호층(170)과 접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뿐만 아니라, 보호층(170)을 관통하여 멤브레인(130), 식각 저지층(125), 절연층(120), 및 기판(110) 중 적어도 하나와 접합될 수 있다.
캡(200)은 웨이퍼 레벨에서 웨이퍼 본딩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즉, 단위 기판(110)이 다수 개 배치된 기판 웨이퍼와 캡(200)이 다수 개 배치된 캡 웨이퍼를 상호 접합함으로써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호 접합된 기판 웨이퍼와 캡 웨이퍼는 추후에 절단 공정을 통해 절단되어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개별 음향 공진기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캡(200)은 공융 본딩(eutectic bonding)에 의해 기판(110)에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110)과 공융 본딩이 가능한 접합제(250)를 기판(110) 상에 증착한 후, 기판 웨이퍼와 캡 웨이퍼를 가압 및 가열해서 접합할 수 있다.
접합제(250)는 구리(Cu)-주석(Sn)의 공융(eutect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솔더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20)는 체적 음향파(Bulk Acoustic Wave) 공진기이거나, 표면 음향파(Surface Acoustic Wave) 공진기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는 송신(Tx) 측에 배치되는 공진기 일 수 있다.
도 2의 음향 공진기(20)는 도 1의 음향 공진기(10)와 유사하므로, 중복되거나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20)와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10)를 비교하면,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10)에 비하여 도 2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20)의 캡(200)은 추가적으로 접속 전극(210) 및 캡용 접속 패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200)은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210)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210)은 캡(200)의 수용부를 관통하여 대략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210)은 캡(200)의 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과 접속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210)은 캡(200)의 상부 외측면에서 캡용 접속 패드(220)와 접속할 수 있다. 캡용 접속 패드(220)는 범프를 통하여 음향 공진기(20)의 상부 측, 즉 캡(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 공진기(20)는 접속 전극(210) 및 캡용 접속 패드(220)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뿐만 아니라, 접속 패턴(114) 및 기판용 접속 패드(115)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로부터 동작할 수 있다. 즉, 음향 공진기(20)의 공진부(135)는 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 및 캡(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 각각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공진기(20)는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으로부터 동작할 수 있으므로, 종래 동일 평면상에 길게 배치되는 서로 다른 기판 각각의 접속을 위한 복잡한 회로 패턴의 형성을 회피할 수 있고, 부품 대비 기판 면적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2에서 접속 전극(210)이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과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접속 전극(210)은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을 관통하여, 제1 전극(140) 및 제2 전극(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패턴(114)과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음향 공진기(20)는 상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과 하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을 상호 접속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음향 공진기(20)는 상부의 외부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캡용 접속 패드(220), 접속 전극(210), 접속 패턴(114) 및 기판용 접속 패드(115)를 통하여 하부의 외부 기판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음향 공진기(20)는 하부의 외부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기판용 접속 패드(115), 접속 패턴(114), 접속 전극(210), 캡용 접속 패드(220)를 통하여 상부의 외부 기판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공진기(20)는 상하부에 배치되는 외부 기판 사이의 신호 연결 통로로 이용되어, 상하부 기판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 패턴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패키지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패키지는 수신용 음향 공진기(10), 송신용 음향 공진기(20), 제1 디바이스 기판(30) 및 제2 디바이스 기판(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기판 접속 전극(3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용 음향 공진기(10)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에 대응되고, 송신용 음향 공진기(20)는 도 2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에 대응되므로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2 디바이스 기판(30, 40)은 인쇄 회로 기판(PCB)과 세라믹 기판(LTCC, HTC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 디바이스 기판(30, 40)에는 회로 패턴 등이 형성되어, 범프(13, 23, 26)과 접속될 수 있다. 기판 접속 전극(35)는 제1, 2 디바이스 기판(30, 40)을 상호 접속하는 핀(pin)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용 음향 공진기(10)는 범프(13)를 통하여 제1 디바이스 기판(30)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다. 수신용 음향 공진기(10)는 제1 디바이스 기판(3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송신용 음향 공진기(20)는 범프(23)를 통하여 제2 디바이스 기판(40)의 일면에 실장되어, 제2 디바이스 기판(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송신용 음향 공진기(20)는 범프(26)를 통하여 제1 디바이스 기판(30)의 타면과 접속할 수 있고, 제1 디바이스 기판(3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수신용 음향 공진기(10) 및 송신용 음향 공진기(20)는 RF 신호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기준 거리 이상 이격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을 양면으로 이용하여 공진기 간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의 필터에 채용되는 복수의 음향 공진기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에 대응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000)는 래더 타입(ladder type)의 필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1000)는 복수의 음향 공진기(1100,1200)를 포함한다.
제1 음향 공진기(1100)는 입력 신호(RFin)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단과 출력 신호(RFout)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2 음향 공진기(1200)는 상기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2000)는 래티스 타입(lattice type)의 필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2000)는 복수의 음향 공진기(2100,2200,2300,2400)를 포함하여, 밸런스드(balanced) 입력 신호(RFin+,RFin-)를 필터링하여 밸런스드 출력 신호(RFout+,RFout-)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기판
112: 에어 캐비티
113: 비아홀
114: 접속 패턴
115: 기판용 접속 패드
125: 식각 저지층
130: 멤브레인
135: 공진부
140: 제1 전극
150: 압전층
160: 제2 전극
170: 보호층
200: 캡
210: 접속 전극
220: 캡용 접속 패드
250: 접합제
1000, 2000: 필터
10, 20, 1100, 1200, 2100, 2200, 2300, 2400: 음향 공진기

Claims (11)

  1. 순차 적층되는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공진부가 적층되는 기판; 및
    상기 공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과 접합되는 캡; 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부는 상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디바이스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및 상기 캡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디바이스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 각각에 의해 동작하는 음향 공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아 홀 각각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과 접속되는 접속 패턴; 및
    상기 기판의 하부 면에서 상기 접속 패턴 상에 형성되는 기판용 접속 패드; 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기판용 접속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디바이스 기판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음향 공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각각과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 및
    상기 캡의 상부 외측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과 접속하는 캡용 접속 패드; 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캡용 접속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디바이스 기판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음향 공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속 전극은 상기 접속 패턴과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음향 공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용 접속 패드, 상기 접속 전극, 상기 접속 패턴 및 상기 기판용 접속 패드는 상기 제1 디바이스 기판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기판의 신호 연결 통로로 이용되는 음향 공진기.
  8. 순차 적층되는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공진부가 적층되는 기판 및 상기 공진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과 접합되는 캡을 각각 포함하는 수신용 음향 공진기 및 송신용 음향 공진기;
    일면에서 상기 수신용 음향 공진기의 기판의 기판용 접속 패드와 접속하는 제1 디바이스 기판; 및
    일면에서 상기 송신용 음향 공진기의 기판의 기판용 접속 패드와 접속하는 제2 디바이스 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기판은 타면에서 상기 송신용 음향 공진기의 캡에 구비되는 캡용 접속 패드와 접속하는 음향 공진기 패키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음향 공진기는 제1 디바이스 기판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음향 공진기 패키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음향 공진기는 제1 디바이스 기판 및 제2 디바이스 기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음향 공진기 패키지.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용 음향 공진기는 제1 디바이스 기판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기판의 신호 연결 통로로 이용되는 음향 공진기 패키지.
KR1020150128940A 2015-09-11 2015-09-11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KR10211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940A KR102117468B1 (ko) 2015-09-11 2015-09-11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US15/232,116 US10511281B2 (en) 2015-09-11 2016-08-09 Acoustic wave resonator and filter including the same
CN201610811315.3A CN106533385B (zh) 2015-09-11 2016-09-08 声波谐振器及包括该声波谐振器的滤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940A KR102117468B1 (ko) 2015-09-11 2015-09-11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431A KR20170031431A (ko) 2017-03-21
KR102117468B1 true KR102117468B1 (ko) 2020-06-01

Family

ID=5825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940A KR102117468B1 (ko) 2015-09-11 2015-09-11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1281B2 (ko)
KR (1) KR102117468B1 (ko)
CN (1) CN1065333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731B1 (ko) * 2017-04-10 2019-01-28 삼성전기 주식회사 필터 및 필터 모듈
KR101942734B1 (ko) * 2017-05-18 2019-01-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체적 음향 공진기
KR20190139395A (ko) * 2018-06-08 2019-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음향 공진기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07024B1 (ko) * 2018-11-22 202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음향 공진기
JP7340344B2 (ja) * 2019-03-22 2023-09-07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CN111010112B (zh) * 2019-06-04 2023-12-15 天津大学 台阶结构的空隙被部分填充的谐振器、滤波器及电子设备
CN116032246B (zh) * 2023-03-27 2023-10-31 成都频岢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双工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015A (ja) 1993-07-22 1995-02-07 Toshiba Corp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459368A (en) 1993-08-06 1995-10-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mounted module
JP2004222244A (ja) 2002-12-27 2004-08-05 Toshiba Corp 薄膜圧電共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92400B2 (en) 2004-01-30 2006-01-31 Nokia Corporation Encapsulated electronics device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KR100861454B1 (ko) * 2004-07-20 2008-10-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압전 필터
KR100831405B1 (ko) 2006-10-02 2008-05-21 (주) 파이오닉스 웨이퍼 본딩 패키징 방법
KR20080081398A (ko) 2007-03-05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110041179A (ko) * 2009-10-15 2011-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키지 구조
KR101708893B1 (ko) * 2010-09-0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체적 음향 공진기 구조 및 제조 방법
JP5786969B2 (ja) 2012-01-30 2015-09-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弾性波装置
JP5991785B2 (ja) 2012-02-27 2016-09-14 太陽誘電株式会社 弾性波デバイス
KR101514525B1 (ko) 2013-07-01 2015-04-22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11281B2 (en) 2019-12-17
US20170077898A1 (en) 2017-03-16
CN106533385B (zh) 2019-10-18
KR20170031431A (ko) 2017-03-21
CN106533385A (zh)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468B1 (ko)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CN106533384B (zh) 声波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494330B1 (ko) 체적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필터
JP5792554B2 (ja) 弾性波デバイス
CN106067780B (zh) 体声波谐振器及其制造方法
KR102653201B1 (ko) 음향파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6635908B2 (ja) 圧電薄膜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マルチプレクサ
KR101959204B1 (ko) 무선 주파수 필터 및 무선 주파수 필터의 제조방법
CN106487350B (zh) 声波装置及其制造方法
US10076035B2 (en) Miniaturized multi-part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611168B1 (ko) 음향파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10594293B2 (en) Filter including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KR20180080875A (ko)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768782B (zh) 声波装置及制造该声波装置的方法
KR101942731B1 (ko) 필터 및 필터 모듈
KR102117464B1 (ko) 체적 음향 공진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193220A (ja) バルク音響共振器を含むフィルター
KR102426210B1 (ko) 체적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필터
KR102439904B1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207282B1 (ko) 체적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필터
KR20170114433A (ko) 음향 공진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1899A (ko) 필터 패키지
KR20160130691A (ko) 체적 음향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