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10B1 -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10B1
KR102111410B1 KR1020180080780A KR20180080780A KR102111410B1 KR 102111410 B1 KR102111410 B1 KR 102111410B1 KR 1020180080780 A KR1020180080780 A KR 1020180080780A KR 20180080780 A KR20180080780 A KR 20180080780A KR 102111410 B1 KR102111410 B1 KR 102111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connector
reinforc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876A (ko
Inventor
천희수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8008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 또는 보드 접속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에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이 보강부재가 복수의 지점에서 상호 지지되며 접촉면을 확대함으로써, 결합 하중을 분산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성에 따라,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상호 결합시 각 보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파손없이 결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보강부재가 복수의 지점에서 상호 접촉을 시작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의 결합시에 보강부재를 통해 분산 가이딩 역할을 하면서 본체를 보호하고, 반복적인 삽입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CONNECTOR APPARATUS WITH SOCKET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기판 또는 보드 접속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에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이 보강부재가 복수의 지점에서 상호 지지되며 접촉면을 확대함으로써, 결합 하중을 분산시켜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기기는 그 내부에 PCB 회로 기판을 비롯하여 각종 전기, 전자부품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기, 전자부품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은 소형화, 박형화를 위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휴대기기 내부의 다수부품 실장에 따른 공간 활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BtoB) 커넥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보드 대 보드 커넥터는 전원, 컴퓨터, 보조 하드웨어와 같은 부품들, 또는 다른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 내의 다른 전기 부품들 사이에서 전기 또는 전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드 대 보드 커넥터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로 이루어지는데,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회로기판, 보드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각 소켓본체와 플러그본체를 얼마나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견고한 지지 및 결합을 도모하기 위해,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단벽 측에는 각각 한 쌍의 금구를 이용한 보강부재를 일체화 배치하는데, 이러한 보강부재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자체 강성을 높이기도 하는 동시에 각 회로 기판에 견고하게 실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의 상호 접속 과정시 크랙을 방지하고, 접속이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커넥터 본체의 강성을 보호하고, 회로기판에도 견고히 실장될 수 있어야 하는데, 소켓커넥터의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커넥터의 플러그보강부재는 상호 접촉하며 결합될 때, 최소한의 지점에서 맞닿으며 결합시의 접촉하중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보강부재가 상하로 눌리면서 맞물리며 결합될 때, 접촉면이 작은 단일의 지점에서 맞닿으며 상호 하중을 전달하는데, 이러한 하중 집중에 의해 형상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766198호 (2017.08.23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상호 결합시 각 보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파손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보강부재가 복수의 지점에서 상호 접촉을 시작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의 결합시에 보강부재를 통해 분산 가이딩 역할을 하면서 본체를 보호하도록 하고, 반복적인 삽입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보강부재가 삼각 지점에서 회로기판에 접속, 실장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회로기판이나 보드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마주보며 결합되며 접속되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에 있어서, 소켓커넥터는 복수의 소켓단자가 일렬로 배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의 단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양 단벽을 구비하는 소켓본체; 및 상기 양 단벽 측에 배치되는 소켓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플러그커넥터는 복수의 플러그단자가 일렬로 배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의 단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양 단벽을 구비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양 단벽 측에 배치되는 플러그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보강부재는: 상기 소켓본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위치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본체안착부 상에 수평하게 안착되는 판 형태의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기 소켓본체의 단벽의 반대 방향인 상기 소켓본체의 내측을 향해 상방 절곡되어 배치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의 측방에,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기 소켓본체의 내측을 향해 상방 절곡되어 배치되는 보조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보강부재는: 상기 연결본체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상기 플러그본체의 단벽 일측에 수평하게 안착되는 판 형태의 단수평부; 상기 단수평부로부터 상기 플러그본체의 내측을 향해 하방 절곡되어 배치되는 내지지부; 및 플러그본체 측벽의 외측에 기립 배치되는 측실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소켓보강부재의 상기 보강부는 상기 플러그보강부재의 상기 내지지부와 접촉되고, 상기 소켓보강부재의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플러그보강부재의 상기 측실장부와 접촉되며 지지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방 굴곡되어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경사판부; 및 상기 경사판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수평 굴곡되는 보강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방 굴곡되어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보조경사부; 및 상기 보조경사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수평 굴곡되는 보조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지지부는: 상기 단수평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연결부; 및 상기 내연결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굴곡되는 내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실장부는: 기립 배치되는 측수직부; 및 상기 측수직부의 일측 테두리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는 지지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보강부재가 상기 소켓보강부재에 삽입될 때, 상기 내연결부 또는 상기 내굴곡부가 상기 보강상단부 또는 상기 경사판부와 접촉되면서 상호 지지하며 슬라이딩되고, 상기 보조보강부와 상기 측실장부가 맞닿게 되며 슬라이딩되고, 상기 지지경사부가 상기 보조경사부에 접촉되면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양 측벽 방향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보강부의 양 측방에 상기 경사판부가 시작되는 굴곡 지점보다 더 인입된 위치에 경계를 갖는 측내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측내입부로부터 상기 보조경사부가 상방 굴곡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보강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단벽 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소켓본체는: 상기 연결본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안착부의 양측 상기 측벽에 상방으로부터 개방되는 단벽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벽지지홈의 일측에는 경사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강부의 보조경사부의 하면이 상기 경사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경사부는: 상기 내지지부의 내굴곡부보다 단벽 측에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플러그본체는: 측벽 외측에 상방으로부터 개방되는 측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개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측수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측내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가 상호 결합시 각 보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파손없이 결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보강부재가 복수의 지점에서 상호 접촉을 시작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의 결합시에 보강부재를 통해 분산 가이딩 역할을 하면서 본체를 보호하고, 반복적인 삽입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보강부재가 삼각 지점에서 회로기판에 접속, 실장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에서 소켓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에서 플러그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보강부재가 상호 맞닿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가 결합될 때의 소켓보강부재 및 플러그보강부재의 상호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를 갖는 플러그커넥터 및 소켓커넥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는 소켓커넥터(3)와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고, 플러그커넥터(1)의 플러그본체(10)에 형성되는 2개의 측벽측에 다수의 플러그단자(20)가 배치되고, 측벽들 양단에 위치되는 2개의 단벽측에 플러그보강부재(100)가 각각 배치된다.
소켓커넥터(3)도 마찬가지로 소켓본체(30)의 2개의 측벽측에 다수의 소켓단자(40)가 배치되고, 측벽들 양단에 위치되는 2개의 단벽측에 소켓보강부재(300)가 각각 배치된다. 플러그보강부재(100)와 소켓보강부재(300)는 접속시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하로 근접되며 접촉된다. 플러그보강부재(100)와 소켓보강부재(300)는 금속 판재를 절곡, 타공하여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에서 소켓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켓보강부재(300)는 중앙 저면의 판형 연결본체부(300)를 기준으로 전후방을 향해 기립 연장되고, 양측방은 단벽커버부(33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며 기립되는 구조이며, 측벽측을 향해서는 라운드진 ㄱ형의 측벽커버부(340)가 측벽 상단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단벽측을 향해서도 엎어진 U형의 단벽커버부(330)가 단벽 상단 및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측을 향해서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기립된 보강부(320)가 소켓본체(30) 내의 끼움돌출부를 향해 연장된다.
연결본체부(310)는 수평의 판 형태이며, 소켓본체(30)의 내측 저면에 면접촉되며 배치되도록 한다. 연결본체부(310)가 저면을 수평하게 커버함에 따라 상방으로부터 하방 인입되는 플러그보강부재(100)가 소켓본체(30)에 충격을 가하거나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금속의 연결본체부(310)가 상측 외부에서 보호하게 된다.
보강부(320)는 연결본체부(310)로부터 단벽의 반대 방향, 즉 소켓본체(30)의 내측 끼움돌출부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보강부(320)는 연결본체부(310)로부터 경사지도록 상방 기립 절곡되는 경사판부(321), 경사판부(321)의 상단 부분에서 수평하게 굴곡되는 보강상단부(322), 보강상단부(322)로부터 다시 하방으로 굴곡되는 보강인입부(323)를 구비한다. 보강부(320)는 끼움돌출부(미도시)의 단벽 방향 단부 표면에 배치되는데, 보강인입부(323)는 끼움돌출부(미도시)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맞물리고, 보강상단부(322)는 상단면이 일부 노출되도록 한다. 경사판부(321)는 상측으로부터 인입되는 플러그보강부재(100)의 내연결부(121), 내굴곡부(122)와 접촉을 시작하고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데, 이 때 수직 상하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경사판부(321)를 통해 지지된다. 자칫 강한 가압력이 경사판부(321)에 집중되는 것을 막기 위해 후술할 보조보강부(350)를 양측에 한 쌍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벽커버부(330)는 연결본체부(310)로부터 단벽 방향으로 기립 연장 형성되는 역U 형태의 형상을 포함하는데, 연결본체부(310)로부터 단벽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 수직판부(331)를 이루도록 한다. 수직판부(331)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단면이 수평하도록 수평판부(332)로 굴곡 형성되고, 수평판부(332)는 다시 양측 단부가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돌출판부(334)와, 그 사이에 하방 굴곡 연장되는 수직내입부(333)가 구비된다.
측벽커버부(340)는 수직판부(331)로부터 좌우로 연장된 부분이 양쪽 측벽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대략적인 기립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측벽커버부(340)는 외측이 수직측부(343)를 이루며, 그 하단부는 수직실장부(344)가 형성되고,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단면이 수평하도록 수평상단부(342)가 굴곡 형성되며, 수평상단부(342)는 다시 하방으로 굴곡되는 수직측판부(341)를 구비한다.
소켓보강부재(300)는 한 쌍의 보조보강부(350)를 보강부(320)의 양 측에 나란히 포함한다. 보조보강부(350)는 연결본체부(310)의 양측 측내입부(312)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기립되며, 상방 경사진 보조경사부(351), 그 상단의 보조상단부(352) 및 보조인입부(352)를 구비한다.
보조보강부(350)는 보강부(320)와 동일한 연결본체부(310)의 테두리 지점의 측방에 동일한 경사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보강부(320)가 굴곡 기립되는 연결본체부(310)의 단부로부터 일부 인입된 측내입부(312)에서 굴곡 기립되어, 좀 더 단벽 또는 단벽커버부(330) 측으로 근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반대로 인입되지 않고 오히려 단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인 측연장부(미도시)로부터 굴곡 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강부(320)의 굴곡 기립 위치보다 더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보강부(320)의 위치는 커넥터의 규격에 따라 이미 정해진 플러그본체(10)의 단벽 두께에 의해 고정될 수밖에 없게 되는데, 보조보강부(350)는 단벽과 무관하게 측벽을 따라 형성되므로, 필요 역학에 따라 다양한 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보강부(320)와 나란한 동일 선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단벽 측에 더 가깝거나 또는 더 멀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보강부(350)의 위치 변동에 따라, 단벽의 두께를 변경하는 일 없이, 플러그본체(10)와 플러그보강부재(100)는 측벽에 측내입홈(15) 및 측개방부(17)를 적절한 위치와 크기로 대응시켜 형성하면 되며, 또한 측수직부(151)의 형상과 지지경사부(152)의 배치, 각도, 형상을 대응시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기존의 내지지부(120)와 보강부(320)의 지지 위치는 단벽의 두께에 종속적으로 고정될 수밖에 없었다면, 추가되는 측수직부(151) 및 지지경사부(152)와 보조보강부(350)의 지지 위치는 측벽을 활용하게 되므로, 장형의 측벽 어디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측벽을 따라 단벽으로부터 멀거나 가깝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상 보조보강부(350)는 1개 이거나 3개 이상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결본체부(310)의 양 측단부 측에 2개가 구비되며 후술할 양 측벽의 경사지지부(34)에 안착되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본체부(310)는 소켓본체(30)의 본체안착부(32)에 배치된다. 본체안착부(32)의 단벽측 상면 단벽안착홈(38)에는 수평판부(332)가 배치되고, 단벽 외측으로는 단벽돌부(37)가 형성된다. 단벽돌부(37)들의 양 외측 공간으로는 단벽지지홈(36)이 형성되어 수평돌출판부(334)가 맞물리며 배치되도록 하고, 단벽돌부(37)의 내측으로는 수직내입부(333)가 인입되며 배치되어 하단부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된다.
측벽으로도 측벽커버부(3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측벽안착홈(31)이 구비되며, 측벽의 내측으로는 내측개방부(33)의 빈 공간이 확보된 가운데 측벽을 따라 내측개방부(33)를 바라보며, 경사지지부(34)가 형성된다. 경사지지부(34)는 측벽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며, 내측개방부(33)에 의해 측벽 내입되는 경계를 의미한다. 경사지지부(34)에는 보조보강부(350)가 안착되는데, 경사지지부(34)의 경사면에 보조경사부(351)가 안착되고, 보조상단부(352)와 보조인입부(353)는 측벽의 상단에 노출되면서 인입 고정된다. 경사지지부(34)는 내측개방부(33)를 대면하는데, 내측개방부(33)로는 후술할 플러그보강부재(100) 측실장부(150)의 측수직부(151)가 안착되며, 측수직부(151)는 일 측에 경사진 지지경사부(152)를 형성함으로써, 지지경사부(152)가 보조경사부(351)에 접촉되며 슬라이딩 지지되도록 한다.
소켓보강부재(300)는 단벽 측의 수직내입부(333) 하단이 하방으로 연장 노출되어 있고, 측벽 측의 수직실장부(344)가 하방으로 연장 노출되어 있어, 단벽 측의 수직 내입부(333)와 양 측벽 측의 2개의 수직실장부(344)가 삼각형을 이루며 하방 연장되고, 이 부분이 회로기판 등에 땜납 실장되어 고정 및 연결된다. 보강부재가 3개소에서 실장되므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및 결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충격이나 마찰에도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본체부(310)는 소켓본체(30)의 내측 저면에 수평 배치되고, 단벽 측으로는 단벽커버부(330), 내측으로는 보강부(320)로 연장되며, 측벽측으로는 측벽커버부(340)가 배치된다. 측벽커버부(340)는 측벽의 단부쪽 상면을 커버하도록 하며, 단벽커버부(330)로부터 연장 연결된다.
연결본체부(310)를 중심으로 단벽커버부(330)와 보강부(320)가 굴곡 연장, 연결되므로, 얇은 선형의 연결구조가 아닌, 판재 위주의 견고한 연결 부위를 갖게 되므로 전체적인 강성이 상승하게 된다. 연결본체부(320)에는 보강부(320)의 양측방으로 측내입부(312)로부터 연장되는 보조보강부(350)가 구비되며, 보조보강부(350)의 하면부는 측벽의 경사지지부(34) 등에 안착 지지된다.
보강상단부(322)는 일부가 상방 노출되며, 그 단부는 다시 소켓본체(30)의 내측으로 다시 인입되는 보강인입부(323)가 위치된다. 보강인입부(323)가 인입 고정됨에 따라, 보강상단부(322)가 상방으로 들뜨는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측방에서 볼 때 보강부(320)와 보조보강부(350)는 위치를 달리하면서 동일한 경사각도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보강부(320)는 연결본체부(310)의 상방 개방 공간을 대면하고, 보조보강부(350)는 내측개방부(33)를 대면하고 있으며, 상방으로부터 인입되는 플러그보강부재(100)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각각 지지하면서, 하중을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 지지하게 된다. 플러그보강부재(100)는 내굴곡부(122)와 지지경사부(152)가 보강부(320)와 보조보강부(350)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복수의 지점에서 상호 접촉되고, 보강부(320)와 보조보강부(350)는 각각의 위치에서 소켓본체(30) 측으로 하중을 분산 하방 전달하게 된다. 총 2개의 소켓보강부재(300)에 총 6곳의 보강부(320)와 보조보강부(350)의 접촉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에서 플러그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보강부재(100)는 단벽의 상단을 덮는 단수평부(110)로부터 양 측벽 방향으로 측연결부(112)에 의해 연결되는 상커버부(140)가 측벽의 상단 및 내측 일부를 커버하고, 단부 측으로는 단실장부(130)가 단벽측의 일부를 커버하며 내입 결합된다.
내지지부(120)는 단벽 상단에 위치되는 단수평부(110)로부터 단벽 내측을 따라 하방 절곡되는 내연결부(121)와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내굴곡부(122)를 구비한다. 내지지부(120)는 단벽에 맞닿으며 지지되며, 외측으로는 결합시 전술한 소켓보강부재(300)의 보강부(320)와 맞닿게 된다.
단실장부(130)는 단수평부(110)로부터 단벽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벽 외측 모서리를 따라 하방 절곡되는 단굴곡부(131)와, 그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수직부(132)를 구비한다. 단수직부(132)는 단벽 외측면에 대응되며, 그 하방 및 측방은 크게 세 갈래로 분기되어, 중앙 하측으로는 수직굴곡부(133)가 하방 연장된다. 수직굴곡부(133)는 단수직부(132)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되다가 단벽 내측 방향으로 두 차례 절곡되며 꺾인 보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은 회로기판에 실장 가능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단절곡부(136)를 구비한다.
측실장부(150)는 단수평부(110)로부터 측방 및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수직부(151)를 구비하고, 측수직부(151)의 하방으로는 ㄷ형으로 2번 굴곡된 측굴곡부(153)가 구비되며, 그 하단은 측절곡부(154)가 L형태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수평 면을 통한 기판 실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측굴곡부(153)는 측내입홈(15) 하단에서 측벽측으로 삽입 관통되는 형상으로 견고하게 맞물린다. 단절곡부(136)와 양측의 측절곡부(154)의 수평부분에 의해 회로기판 등에 땜납 실장되어 고정 및 연결되는데, 플러그보강부재(100)가 3개소에서 실장되므로,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및 결합이 가능하고, 반복적인 충격이나 마찰에도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측수직부(151)는 단벽의 반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는 형상의 테두리인 지지경사부(152)를 구비한다. 지지경사부(152)는 측벽에 묻히지 않고 노출될 수 있도록 전방 측벽에 측개방부(17)가 형성되도록 하고, 지지경사부(152)는 측개방부(17)로 인입되는 소켓보강부재(300)의 보조보강부(350)의 보조경사부(351)와 맞닿으며 대응될 수 있다.
플러그본체(10)의 단벽 상단에는 단지지홈(11)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단수평부(110)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단벽 내측으로는 단지지홈(11)에서 연장되는 내측내입홈(16)이 형성되어 내지지부(120)가 안착되고, 측벽 외측으로는 측내입홈(15)이 형성되어 측수직부(151)가 외부로 노출되며 안착된다. 단벽의 외측에 형성되는 단내입홈(12)으로는 단수직부(132)가 안착되고, 그 하방으로는 돌출되는 단커버부(14)가 형성된다. 단커버부(14)의 양측으로는 연장홈(13)이 형성되어, 이 부분에 단수직연장부(134)가 연장 안착된다. 단커버부(14)의 내측으로는 단부홀(141)이 형성되고, 그 단부홀(141)은 내측에서 ㄱ형상을 포함하는 관통로를 형성하며 수직굴곡부(133)가 인입 배치된다.
플러그보강부재(100)는 단수평부(110), 내지지부(120) 및 단실장부(130)가 노출 안착되며, 단수직부(132)로부터 연장되는 단절곡부(136)가 단벽 내부로 인입되어 견고하게 맞물려 고정된다. 따라서 자체 강성의 보강은 물론, 외측의 마찰이나 충격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하며, 외부 이탈에 대한 강한 저항력을 갖게 된다.
이 때 측벽 측으로는 측내입홈(15)과 그 옆에 나란히 구비되는 측개방부(17)가 형성되며, 측내입홈(15)에 안착되는 측실장부(150)의 측수직부(151)는 그 테두리가 측개방부(17)를 바라보며 경사지게 되는 지지경사부(152)로 구성된다. 측개방부(17)는 적어도 지지경사부(152)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측내입홈(15) 보다 더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고, 그 크기는 소켓본체(30)의 경사지지부(34)와 보조경사부(351)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한다. 측개방부(17)와 측내입홈(15)의 경계는 단차가 형성되며 측개방부(17)가 더 내측으로 인입되어 있으며, 지지경사부(152)와 보조경사부(351)와 나란하게 대응되는 경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개방부(17)에 의해 플러그보강부재(100)의 폭이 더 커지지 않으면서도 플러그본체(10)의 두께 일부를 조절함으로써, 복수 지점의 지지점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경사부(152)는 다시 하측이 플러그본체(10) 내로 내입되면서, 지지경사부(154)의 상측 및 하측이 모두 고정되어 견고한 하중 전달 및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보강부재(100)에서 하중을 상호 전달하면서도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내지지부(120) 외에도 측실장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내지지부(120)의 내연결부(121) 및 내굴곡부(122)의 굴곡면이 소켓보강부재(300) 측과 접촉되는 동시에, 측실장부(150)의 측면 테두리인 지지경사부(152)를 활용하여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 내지는 순차적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지지부(120)는 지지경사부(152) 보다 좀 더 단벽으로부터 내측에 위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어서 지지경사부(152)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경사부(152)는 상측으로는 단수평부(110)가 단지지홈(11)에 안착되며 고정되고, 하측으로는 측굴곡부(153)가 측벽 내로 관통하면서 고정되므로, 상하부가 동시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보강부재와 플러그보강부재가 상호 맞닿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가 결합될 때의 소켓보강부재 및 플러그보강부재의 상호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측의 플러그보강부재(100)는 하측의 소켓보강부재(30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데, 이 때 내지지부(120)의 내연결부(121) 또는 내굴곡부(122)와의 굴곡부분부터, 보강부(320)의 상면 즉, 보강상단부(322) 또는 경사판부(321)와의 굴곡부분과 접촉되면서 상호 지지하며 슬라이딩된다.
이때 양 측방으로는 보조보강부(350)와 측실장부(150)가 맞닿게 되며 슬라이딩되는데, 지지경사부(152)가 보조보강부(350) 상단의 보조상단부(352) 또는 보조경사부(351) 와의 굴곡부분부터 접촉되면서, 접촉면을 늘려가며 하강된다.
따라서 소켓보강부재(300)와 플러그보강부재(100)는 3곳의 지점에서 동시다발적 내지는 약간의 순차적으로 접촉되어 상하로부터 가해지는 결합력을 지탱하게 된다. 기존 결합과정 중에는, 1곳에서 모든 하중에 집중되어 변형이나 파손 위험성이 컸는데, 복수의 지점에서 이러한 하중을 골고루 지지하며 최종적인 결합과정까지의 상하 압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플러그커넥터 3: 소켓커넥터
10: 플러그본체
11: 단지지홈 12: 단내입홈
13: 연장홈 14: 단커버부
141: 단부홀 15: 측내입홈
16: 내측내입홈 17: 측개방부
20: 플러그단자
30: 소켓본체
31: 측벽안착홈 32: 본체안착부
33: 내측개방부 34: 경사지지부
36: 단벽지지홈 37: 단벽돌부
38: 단벽안착홈
40: 소켓단자
100: 플러그보강부재
110: 단수평부 112: 측연결부
120: 내지지부 121: 내연결부
122: 내굴곡부 130: 단실장부
131: 단굴곡부 132: 단수직부
133: 수직굴곡부 134: 단수직연장부
135: 단연장절곡부 136: 단절곡부
140: 상커버부 142: 상연장부
144: 상수직부 150: 측실장부
151: 측수직부 152: 지지경사부
153: 측굴곡부 154: 측절곡부
300: 소켓보강부재
310: 연결본체부 312: 측내입부
320: 보강부 321: 경사판부
322: 보강상단부 323: 보강인입부
330: 단벽커버부 331: 수직판부
332: 수평판부 333: 수직내입부
334: 수평돌출판부 340: 측벽커버부
341: 수직측판부 342: 수평상단부
343: 수직측부 344: 수직실장부
350: 보조보강부 351: 보조경사부
352: 보조상단부 353: 보조인입부

Claims (14)

  1. 회로기판이나 보드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마주보며 결합되며 접속되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에 있어서,
    소켓커넥터는 복수의 소켓단자가 일렬로 배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의 단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양 단벽을 구비하는 소켓본체; 및 상기 양 단벽 측에 배치되는 소켓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플러그커넥터는 복수의 플러그단자가 일렬로 배치되는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의 단부들 사이를 연결하는 양 단벽을 구비하는 플러그본체; 및 상기 양 단벽 측에 배치되는 플러그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보강부재는:
    상기 소켓본체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위치되며 오목하게 형성되는 본체안착부 상에 수평하게 안착되는 판 형태의 연결본체부;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기 소켓본체의 단벽의 반대 방향인 상기 소켓본체의 내측을 향해 상방 절곡되어 배치되는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의 측방에,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기 소켓본체의 내측을 향해 상방 절곡되어 배치되는 보조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플러그보강부재는:
    상기 연결본체부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상기 플러그본체의 단벽 일측에 수평하게 안착되는 판 형태의 단수평부;
    상기 단수평부로부터 상기 플러그본체의 내측을 향해 하방 절곡되어 배치되는 내지지부; 및
    플러그본체 측벽의 외측에 기립 배치되는 측실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커넥터와 상기 플러그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소켓보강부재의 상기 보강부는 상기 플러그보강부재의 상기 내지지부와 접촉되고, 상기 소켓보강부재의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플러그보강부재의 상기 측실장부와 접촉되며 지지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방 굴곡되어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경사판부; 및 상기 경사판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수평 굴곡되는 보강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연결본체부로부터 상방 굴곡되어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되는 보조경사부; 및 상기 보조경사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수평 굴곡되는 보조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지지부는:
    상기 단수평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연결부; 및 상기 내연결부의 단부가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굴곡되는 내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실장부는:
    기립 배치되는 측수직부; 및 상기 측수직부의 일측 테두리가 경사형으로 형성되는 지지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보강부재가 상기 소켓보강부재에 삽입될 때, 상기 내연결부 또는 상기 내굴곡부가 상기 보강상단부 또는 상기 경사판부와 접촉되면서 상호 지지하며 슬라이딩되고, 상기 보조보강부와 상기 측실장부가 맞닿게 되며 슬라이딩되고, 상기 지지경사부가 상기 보조경사부에 접촉되면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소켓본체의 양 측벽 방향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본체부는:
    상기 보강부의 양 측방에 상기 경사판부가 시작되는 굴곡 지점보다 더 인입된 위치에 경계를 갖는 측내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측내입부로부터 상기 보조경사부가 상방 굴곡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보강부는 상기 보강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단벽 측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는:
    상기 연결본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본체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안착부의 양측 상기 측벽에 상방으로부터 개방되는 단벽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벽지지홈의 일측에는 경사지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강부의 보조경사부의 하면이 상기 경사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경사부는:
    상기 내지지부의 내굴곡부보다 단벽 측에 근접한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본체는:
    측벽 외측에 상방으로부터 개방되는 측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측개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측수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측내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14. 삭제
KR1020180080780A 2018-07-11 2018-07-11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111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80A KR102111410B1 (ko) 2018-07-11 2018-07-11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80A KR102111410B1 (ko) 2018-07-11 2018-07-11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76A KR20200006876A (ko) 2020-01-21
KR102111410B1 true KR102111410B1 (ko) 2020-05-15

Family

ID=6936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80A KR102111410B1 (ko) 2018-07-11 2018-07-11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5065A (zh) * 2020-03-13 2020-06-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
WO2023054870A1 (ko) * 2021-10-01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성이 증가된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98B1 (ko) * 2016-05-03 2017-08-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5875B2 (ja)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98B1 (ko) * 2016-05-03 2017-08-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76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9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990508B1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EP189166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ad bearing features
CN104241951A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CN101901975B (zh) 连接器组以及在该连接器组中使用的接合器
US10177481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the same
CN105633673A (zh) 电连接器组装体、插塞式连接器以及插座式连接器
CN102623841A (zh) 浮动型连接器
US2006019940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astic terminals with contacts located at the same level
CN101345361A (zh) 连接器
CN104836046A (zh) 连接器端子
US20180076548A1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KR102111410B1 (ko)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06210206A (ja)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CN101071912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204179240U (zh) 端子板和使用该端子板的照明器具
US20120045941A1 (en) Duplex profile connector assembly having retention means for assembling upper and lower connectors thereof together
TW201330389A (zh) 電連接器、使用該電連接器之電子裝置及該電連接器之組裝方法
CN102629721A (zh) 浮动型连接器
KR101942811B1 (ko)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CN101989695B (zh) 电连接器
CN209344364U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电连接器组合
CN100448113C (zh) 具有电路板固持结构的电连接器
CN111628316A (zh) 一种板对板连接器
US9033714B2 (en) Connector for mounting on a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