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743B1 -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의 포화 알데하이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의 포화 알데하이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743B1
KR102110743B1 KR1020157018783A KR20157018783A KR102110743B1 KR 102110743 B1 KR102110743 B1 KR 102110743B1 KR 1020157018783 A KR1020157018783 A KR 1020157018783A KR 20157018783 A KR20157018783 A KR 20157018783A KR 102110743 B1 KR102110743 B1 KR 102110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ular mesoporous
mesoporous body
alkanediol
aldehyd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946A (ko
Inventor
시게루 스기야마
유키 가토
도시야 야스카와
슈지 아키하라
와타루 니노미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토쿠시마 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토쿠시마 대학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1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3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not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 B01J29/0308Mesoporous materials not having base exchange properties, e.g. Si-MCM-4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9/00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 B01J29/03Catalysts comprising molecular sieves not having base-exchange properties
    • B01J29/035Microporous crystalline materials not having base exchange properties, such as silica polymorphs, e.g. silica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35/64Pore diameter
    • B01J35/6472-5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5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pyrolysis, rearrangement or decomposition
    • C07C45/5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pyrolysis, rearrangement or decomposition by dehydration and rearrangement involving two hydroxy groups in the same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02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hyd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atalysts (AREA)
  • Nanotechnology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존재 하,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Description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의 포화 알데하이드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SATURATED ALDEHYDE FROM 1,2-ALKANEDIOL}
본 발명은,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1,2-알케인다이올을,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에 접촉시켜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피온 알데하이드로 대표되는 포화 알데하이드류는, 용제 원료, 화성품 중간체, 의약품 중간체 제조용 용매 등으로서 이용되어, 화학 공업상 중요한 물질이다. 저급 포화 알데하이드는, 그 알데하이드가 갖는 탄소수에 따라 제조 방법이 크게 다르다. 예컨대, C2 알데하이드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에틸렌의 워커 산화에 의해 공업적으로 제조된다(비특허문헌 1). 또한, C4 알데하이드인 뷰틸 알데하이드는, 프로필렌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비특허문헌 2).
한편, C3의 알데하이드인 프로피온 알데하이드는, 에틸렌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비특허문헌 2). 또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는, 프로필렌의 아세톡실화에 의해 얻어지는 아세트산 알릴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알릴 알코올(특허문헌 1),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원료로 하여 그의 이성화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 알코올(특허문헌 2)을 원료로 하여, 그의 부분 수소화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하이드로폼일화 반응 장치의 건설에는 방대한 설비 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프로필렌의 아세톡실화에 있어서는 반응에 아세트산을 이용하기 때문에 내식성의 설비가 필요하여, 마찬가지로 방대한 설비 투자가 필요하다. 한편,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원료로서 이용하는 경우, 반응성이 높은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취급이 어렵다. 또, 알릴 알코올을 원료로 하여 부분 수소화에 의해 포화 알데하이드를 얻는 경우, 일부 카보닐 부분도 수소화되어 목적 생성물의 선택률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1-프로판올을 탈수소하여 프로피온 알데하이드를 얻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원료인 1-프로판올의 공급에 과제가 있다. 또한, 1,2-프로페인다이올을 원료로 이용하고, 헤테로폴리산 또는 헤테로폴리산-촉매 담체 복합체를 촉매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저급 포화 알데하이드인 프로피온 알데하이드를 합성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2662965호 공보 일본 특허공고 평7-11608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180156호 공보
Industrial Organic Chemistry, Wiley, 4th edition p. 165 Industrial Organic Chemistry, Wiley, 4th edition p. 131
그러나, 1,2-알케인다이올을 원료로 하여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하는 선행의 제조 방법에서는, 소정의 조건에 있어서 촉매 활성이 높지만 포화 알데하이드의 선택률이 낮아, 공업적 사용을 생각했을 때, 보다 높은 수율로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들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존재 하,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존재 하,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촉매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규칙성 메소 다공체란, 직경 2∼50nm의 세공을 갖고, 그 세공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실리카계의 물질을 나타낸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인 것은, 분말 X선 회절 장치(제품명: Rigaku RINT 2500 VHF, (주)리가쿠)를 이용하여 X선 회절 피크를 얻는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규칙성 메소 다공체로서는, 높은 산 강도를 갖는 고체 산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산 촉매로서는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규칙성 메소 다공체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비표면적에 의한 반응장(反應場)의 증가에 더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된 메소공 내부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기가 산 촉매로서 높은 성능을 갖기 때문에,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로서는,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S. Inagaki et al., J. Chem. Soc., Chem. Commun., No 8, 680-682(199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들 수 있다.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주기적으로 만곡된 실리케이트 시트가 볼록부에서 상하 결합한 구조를 갖고 있고, 그 시트 간극에는 균일하게 정렬된 세공이 무수히 존재하고 있다. 그 세공 직경은 2∼10nm이며, 어떤 일정한 직경을 중심으로 하여 좁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계면활성제로서 예컨대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을 이용한 경우, 알킬쇄 길이의 길이에 의해서 세공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헥사데실트라이메틸암모늄(C16H33N(CH3)3)을 이용하여, FSM-16을 규칙성 메소 다공체로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합성에 이용되는 층상 실리케이트로서는, 카네마이트(NaHSi2O5·3H2O), 다이규산나트륨 결정(α, β, γ, σ-Na2Si2O5), 마카타이트(Na2Si4O9·5H2O), 마이아라이트(Na2Si8O17·xH2O), 마가디아라이트(Na2Si14O29·xH2O), 케니야이트(Na2Si20O41·xH2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층상 실리케이트로서는 카네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들 층상 실리케이트는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합성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 다이메틸다이알킬암모늄, 알킬암모늄, 벤질암모늄의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또는 수산화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의 브롬화물이 바람직하다.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 다이메틸다이알킬암모늄, 알킬암모늄의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또는 수산화물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8∼18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전술한 층상 실리케이트를,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용매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매로서는 물이 바람직하지만, 물-알코올 혼합 용매나 그 밖의 용매여도 된다.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0.05∼1mol/L가 바람직하다. 층상 실리케이트의 분산량은, 0.1mol/L의 계면활성제 수용액 1000ml에 대하여, 예컨대 카네마이트 5∼200g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50∼150℃가 바람직하다. 가열 동안은, 분산 용액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 용액의 pH는, 처음의 1∼5시간은 10 이상이고, 나머지 시간은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카네마이트는 알칼리성이기 때문에, 분산 용액의 pH는 아무것도 하지 않더라도 10 이상으로 된다. pH가 10 이상으로 안 되는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를 1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그 후, 염산 등의 산을 첨가하여, 용액의 pH를 10 이하까지 낮출 수 있다. 용액의 pH를 8.5까지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pH 제어에 의해 결정성 및 내열성이 특히 높은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얻을 수 있다. 그 후, 고형 생성물을 여과하여 회수한다. 반응 시간은 1∼20시간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응 시간이란, 층상 실리케이트와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었을 때부터, 고형 생성물을 여과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 고형 생성물을 탈이온수 등으로 반복 세정하는 것에 의해, 내열성이 높은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얻을 수 있다. 이 고형 생성물을 건조한 후, 550℃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 또는 염산/에탄올 혼합 용액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결정 중에 도입된 계면활성제를 제거할 수 있어, 규칙성 메소 다공체가 얻어진다. 소성을 행하는 경우, 소성 조건으로서는, 공기, 산소, 질소 등의 분위기 하에서, 1시간 이상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산/에탄올 혼합 용액으로 처리하는 경우, 산/유기 용매의 조합이면, 염산, 에탄올 이외의 다른 산과 유기 용매를 이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주기 구조를 갖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이다. 한편, 주기 구조를 갖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인 것은, X선에 의한 구조 해석에 있어서, 2nm 이상의 d값에 최대 피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X선 회절 피크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 이외의 규칙성 메소 다공체로서는, 예컨대, MCM-41, MCM-48, SBA-15, SBA-16, HMS, KIT-16, KIT-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이용해도 된다. 이들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경우,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평균 세공 직경(이하, 세공 직경으로 나타낸다)은, 하한이 2.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3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nm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세공 직경의 상한은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n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메소공의 벽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기가, 벽면으로부터 세공의 중심을 향하여 위치하고 있어, 세공 중심부에서 하이드록실기가 고밀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특이적인 산 강도를 나타낸다고 생각되고 있다.
중심을 향해서 배열된 하이드록실기의 공간에 반응물이 도입되기 쉽게 하기 위해 세공 직경은 2.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이드록실기와 반응물의 접촉이 충분히 행해지는 범위 내에서 또한, 하이드록실기의 공간이 커서 반응물이 도입되기 쉽기 때문에 세공 직경은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산량은, 하한이 1.0mmo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mmol/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mmol/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산량의 상한은 10.0mmo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mmol/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mmol/g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산량이란 하이드록실기의 양을 의미한다. 메소공의 벽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기가 고밀도 상태로 존재하기 위해서 최저한 필요한 양이 되므로, 산량은 1.0mmo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하이드록실기가 존재하여, 산량이 높아지면 생성물도 반응시켜 버려, 선택률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산량은 10.0mmol/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산량의 측정은, 아민 적정법을 이용하여 행하여, 뷰틸아민의 적정량으로부터 산출한다. 지시약으로서, 메틸레드, 4-페닐아조-1-나프틸아민, p-다이메틸아미노아조벤젠, 및 4-페닐아조다이페닐아민의 4종을 이용하여, 각 지시약 첨가 시의 뷰틸아민의 적정량의 총합으로부터 규칙성 메소 다공체 상의 산량을 산출한다.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하는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원료인 1,2-알케인다이올의 구체예로서는, 1,2-프로페인다이올, 1,2-뷰테인다이올, 1,2-펜테인다이올, 1,2-헥세인다이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1,2-알케인다이올로서는, 바이오디젤 연료를 제조할 때의 부생물인 글리세린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1,2-프로페인다이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화 알데하이드로서는, 폼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뷰틸 알데하이드, 펜틸 알데하이드, 헥실 알데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포화 알데하이드로서는, 프로피온산 메틸 등 아크릴 모노머의 원료로도 이용되기 때문에, 프로피온 알데하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예컨대 원료인 1,2-알케인다이올을 가스화하여,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포함하는 촉매층을 통과시키는 기상 유통식으로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하는 원료 가스에 헬륨이나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공존시켜도 된다. 또한, 원료 중에 물을 포함시켜도 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행하는 경우, 촉매층의 온도, 즉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온도는 200∼8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6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0∼5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온도가 200℃ 이상인 것에 의해, 높은 촉매 활성이 얻어진다. 또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온도가 800℃ 이하인 것에 의해, 원료의 열분해 반응에 의한 목적 생성물의 선택률 저하 및 촉매 활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반응 압력은, 반응에 사용하는 1,2-알케인다이올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통상은 1MPa 이하이며, 대기압이 바람직하다. 반응은, 촉매를 충전한 반응기에 원료인 1,2-알케인다이올, 불활성 가스 등을 포함하는 혼합 가스를 유통시키는 고정상 유통식 반응 방식으로 행할 수 있다.
W/F는, 0.001∼1000g·min/ml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100g·min/m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0g·min/ml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전화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W/F는 0.001g·min/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생성물도 반응해 버려, 선택률 저하나 촉매 열화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W/F는 1000g·min/m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W는 반응관 내에 충전된 촉매 질량(g)이며, F는 촉매가 충전된 층으로 공급되는 1,2-알케인다이올의 공급 속도(ml/min)이다. 즉, W/F는 반응관 내로 공급되는 1,2-알케인다이올의 공급 속도에 대한 충전된 촉매 질량이며, 이하의 식으로 산출된다.
W/F=충전되는 촉매량(g)/반응관 내로 공급되는 1,2-알케인다이올의 공급 속도(ml/min)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주기 구조는, 분말 X선 회절 장치(제품명: Rigaku RINT 2500 VHF, (주)리가쿠)를 이용하여 X선 회절 피크를 얻는 것으로 확인했다.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세공 직경은,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을 작성하여, 그 곡선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산출된다.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이란 세공 용적(V)을 세공 직경(D)으로 미분한 값(dV/dD)을 세공 직경(D)에 대하여 플로팅한 곡선을 말한다. 세공 분포 곡선은, 가스 흡착 장치(제품명: BELSORP-max, 닛폰벨)를 이용하여, 질소 흡착 등온선을 취득하여 BJH법의 계산 방법에 의해 구했다.
포화 알데하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원료 혼합 가스 및 생성물의 분석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행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결과로부터, 1,2-알케인다이올의 전화율, 포화 알데하이드의 선택률, 및 포화 알데하이드의 수율을 하기 식으로 구했다.
1,2-알케인다이올 전화율(%)=(B/A)×100
포화 알데하이드 선택률(%)=(C/B)×100
포화 알데하이드 수율(%)=(C/A)×100
식 중, A는 공급한 1,2-알케인다이올의 몰수, B는 반응한 포화 알데하이드의 몰수, C는 제조한 포화 알데하이드의 몰수이다.
[실시예 1]
규산나트륨 5.0g을 700℃에서 6시간 소성했다. 소성한 규산나트륨을 증류수 50mL 중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고, 여과함으로써, 층상 실리케이트인 카네마이트의 페이스트를 얻었다. 얻어진 카네마이트 페이스트에 0.1mol/L의 헥사데실트라이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수용액 100ml를 가하고, 70℃에서 3시간 교반 유지했다. 그 후, 2mol/L의 염산 수용액을 이용하여, pH가 8.5가 되도록 조정하고, 계속해서 70℃에서 18시간 교반 유지했다. 그 후, 여과를 행하고, 증류수로 수회 세정을 행하고, 건조시켜, 규칙성 메소 다공체 FSM-16 전구체를 얻었다. 그리고, 해당 전구체를 550℃에서 8시간, 공기 분위기 하에서 소성하여, 규칙성 메소 다공체 FSM-16을 얻었다.
얻어진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X선에 의한 구조 해석을 행한 결과, d값이 4.0nm 이상인 위치에 회절 피크를 가져, 주기 구조를 갖는 규칙성 메소 다공체인 것이 확인되었다.
얻어진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고정상 유통식의 반응 장치에 설치된, 석영제이고 직경 9mm, 길이가 35mm인 반응관 내에 채웠다. 이 반응관을 전열로에 의해서 400℃로 유지했다. 그리고, 대기압 하에서 산소 가스를 30ml/min의 유속으로 1시간 그 반응관 내에 유통시켰다. 그 후, 질소를 30ml/min의 유속으로 유통시키고, 1,2-프로페인다이올을 0.028ml/min의 유속으로 기화시켜 질소와 함께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충전층으로 공급하여, 1,2-프로페인다이올로부터 프로피온 알데하이드로의 반응을 행했다. 한편, W/F가 10.7g·min/ml가 되도록 각 조건을 설정했다.
반응을 개시하여 15분 후의 반응관 출구 가스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여, 1,2-프로페인다이올 전화율, 프로피온 알데하이드선택률 및 프로피온 알데하이드 수율을 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W/F가 21.4g·min/ml가 되도록 각 조건을 설정하고, 반응을 개시하여 105분 후의 반응관 출구 가스를 측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의 제조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도데실트라이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33.8g을 증류수 96.2mL 중에 첨가하여, A액을 얻었다.
또한, 수산화나트륨 1.7g을 증류수 18.8mL에 용해시켜, B액을 얻었다. A액을 교반하면서, B액과 실리카 졸(상품명: 스노텍스 20, 닛산화학공업주식회사제)을 소량씩 교대로 첨가했다. 전량 첨가 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혼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액을, 오토클레이브 중 140℃에서 48시간 수열 처리했다.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세정하고, 60℃에서 24시간 건조했다.
얻어진 백색 고체를 증류수 중에 분산시켰다. 이때, 백색 고체의 질량에 대하여, 30배의 질량의 증류수를 이용했다. 그리고, pH가 6.5가 되도록, 2mol/L의 염산을 천천히 첨가했다. pH가 안정된 지점에서 80℃로 유지하여, 20시간 정치했다. 그 후, 여과, 세정하고 60℃에서 24시간 건조시켜, MCM-41을 얻었다. 얻어진 MCM-41을 고정상 유통식의 반응 장치의 반응관에 채운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의 제조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고정상 유통식의 반응 장치의 반응관에 SiO2(상품명: Cabosil, 카보트사제)를 채운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의 제조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Cabosil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메소공을 갖지 않아, 규칙성 메소 다공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비교예 2]
실리코텅스텐산 0.5g을 증류수 5g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SiO2에 첨가하고, 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인 증류수를 감압 유거(留去)하여, SiW12O40/SiO2를 얻었다. 얻어진 SiW12O40/SiO2를 고정상 유통식의 반응 장치의 반응관에 채운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프로피온 알데하이드의 제조를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얻어진 SiW12O40/SiO2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메소공을 갖지 않아, 규칙성 메소 다공체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Figure 112015067575088-pct00001
이와 같이,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이용하여,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 포화 알데하이드를 합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를 이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포화 알데하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13년 2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21299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이상,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에는,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Claims (9)

  1.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존재 하, 1,2-알케인다이올을 W/F가 0.01g·min/ml 이상 1000g·min/ml 이하가 되도록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와 접촉시켜 포화 알데하이드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층상 실리케이트에 계면활성제를 작용시켜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이고, 평균 세공 직경이 2.0nm 이상 10.0nm 이하, 산량이 1.0mmol/g 이상 10.0mmol/g 이하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는, 층상 실리케이트를, 계면활성제로서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 다이메틸다이알킬암모늄, 알킬암모늄, 벤질암모늄의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용해시킨 용매에 분산시켜 50∼150℃의 온도에서 1∼20시간 반응시켜 합성한 규칙성 메소 다공체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가 FSM-16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2-알케인다이올이 1,2-프로페인다이올인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알데하이드가 프로피온 알데하이드인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2-알케인다이올을 W/F가 40g·min/ml 이하가 되도록 규칙성 메소 다공체와 접촉시키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온도를 200℃ 이상 800℃ 이하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성 메소 다공체의 온도를 350℃ 이상 800℃ 이하로 하는 방법.
  9. 삭제
KR1020157018783A 2013-02-06 2014-02-04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의 포화 알데하이드 제조 방법 KR102110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1299 2013-02-06
JP2013021299 2013-02-06
PCT/JP2014/052485 WO2014123095A1 (ja) 2013-02-06 2014-02-04 1,2-アルカンジオールからの飽和アルデヒド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946A KR20150112946A (ko) 2015-10-07
KR102110743B1 true KR102110743B1 (ko) 2020-05-14

Family

ID=5129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83A KR102110743B1 (ko) 2013-02-06 2014-02-04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의 포화 알데하이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93554B2 (ko)
JP (1) JP6200416B2 (ko)
KR (1) KR102110743B1 (ko)
CN (1) CN104968639B (ko)
SG (1) SG11201504471TA (ko)
WO (1) WO2014123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82104B2 (ja) * 2016-05-31 2019-03-13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プロピオン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2965B2 (ja) 1988-02-04 1997-10-15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酢酸アリルおよびアリルアルコールの製造法
JPH07116083A (ja) 1993-10-21 1995-05-09 Inax Corp ハンドドライヤー
JPH10296088A (ja) * 1997-04-28 1998-11-10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固体酸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5510A (ja) * 1997-07-17 1999-02-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イソブチルアルデヒドの製造法
JP2010180156A (ja) * 2009-02-05 2010-08-19 Chiba Univ 1,2−ジオールからの低級飽和アルデヒド製造方法
JP2010227925A (ja) * 2009-03-06 2010-10-14 Daicel Chem Ind Ltd アルコール脱水素反応用触媒、及びこれを用いたアルデヒドの製造法
CN101733145A (zh) * 2009-12-02 2010-06-16 齐齐哈尔大学 介孔分子筛催化剂,其制备方法及在制备醛酮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68639B (zh) 2019-04-16
US20150343429A1 (en) 2015-12-03
JPWO2014123095A1 (ja) 2017-02-02
US9393554B2 (en) 2016-07-19
KR20150112946A (ko) 2015-10-07
CN104968639A (zh) 2015-10-07
JP6200416B2 (ja) 2017-09-20
SG11201504471TA (en) 2015-07-30
WO2014123095A1 (ja)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4963B2 (ja) 1,3−ブタジエンの製造方法
JP5820818B2 (ja) オレフィン製造用触媒及び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JP6386909B2 (ja) 異性化用銅系触媒前駆体の製造方法
JP2014532558A (ja) 過酸化水素の直接合成のための触媒
EP3604260A1 (en) Single-stage method of butadiene production
TW201441210A (zh) 用於環氧乙烷生產之方法
WO2013146370A1 (ja) 3-アルコキシ-3-メチル-1-ブタノールの製造方法
KR102110743B1 (ko) 1,2-알케인다이올로부터의 포화 알데하이드 제조 방법
US9371255B2 (en) Mixed oxid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isoolefins
JP2012236177A (ja) チタノシリケート含有触媒の製造方法
EP3310749B1 (en) Use of molybdenum and vanadium mixed oxides as catalysts for the oxidation of unsaturated alcohols into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JP5834143B2 (ja) 7−オクテナールの製造方法
JP5468324B2 (ja) N−アルキル−tert−ブチルアミンの製造方法
US10384998B2 (en) Method for producing propionaldehyde
JP6462498B2 (ja) 不飽和アルコールの製造方法及び触媒
TW201429547A (zh) 烷基三級烷基醚(atae)裂解用之含矽酸鋁觸媒的甲醇處理方法
JP6037849B2 (ja) 酸化脱水素触媒の製造方法およびアルケンの製造方法
JP2024505183A (ja) セリウム系触媒配合物上の炭酸ジメチルの合成のための連続方法
JP2012197235A (ja) N−アルキル−tert−ブチルアミンの製造法
JP5776872B2 (ja) 多価アルコールからのヒドロキシケトンの製造方法
KR100688797B1 (ko) 2차 알코올의 탈수반응에 의한 알파-올레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