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747B1 - 다용도 세정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세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747B1
KR102109747B1 KR1020130162981A KR20130162981A KR102109747B1 KR 102109747 B1 KR102109747 B1 KR 102109747B1 KR 1020130162981 A KR1020130162981 A KR 1020130162981A KR 20130162981 A KR20130162981 A KR 20130162981A KR 102109747 B1 KR102109747 B1 KR 10210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te
washing
cov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830A (ko
Inventor
서민아
김자연
오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62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74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6542728A priority patent/JP6400711B2/ja
Priority to RU2016130046A priority patent/RU2643137C1/ru
Priority to CN201380081872.9A priority patent/CN105849330B/zh
Priority to US15/107,744 priority patent/US20160319475A1/en
Priority to PCT/KR2013/012196 priority patent/WO2015099228A1/ko
Priority to BR112016014753-7A priority patent/BR112016014753B1/pt
Priority to AU2013408947A priority patent/AU2013408947B2/en
Priority to EP13900269.5A priority patent/EP3091111B1/en
Priority to MX2016008316A priority patent/MX355701B/es
Publication of KR20150074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830A/ko
Priority to US16/514,318 priority patent/US201903384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공간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개구영역을 덮어 상기 제2 바디에 물이 고이는 제1 상태 및 상기 개구영역이 노출되어 상기 물과 상기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제2 상태로 구현되는 커버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및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세정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세정기구{MULTIFUNCTIONAL CLEANER UNIT}
본 발명은 의류를 세탁하는 세정기구로 모드에 따라 세면기능을 수행하는 다용도 세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가정 내에서 급수가 필요한 공간에 설치된다. 다만 혼자 사는 1인 주택이 증가하면서, 생활가전을 배치할 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소용량의 가전제품과, 간편하고 신속하게 기능이 완료되는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다양한 기능과 개성적인 형상을 갖는 제품들이 생산됨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제품을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배치하기 곤란한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과제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세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세정기구는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공간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개구영역을 덮어 상기 제2 바디에 물이 고이는 제1 상태 및 상기 개구영역이 노출되어 상기 물과 상기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제2 상태로 구현되는 커버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및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제2 바디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진동을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이격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위한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결합이 해지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를 향한 가압에 의하여 제2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세탁 공간을 이루는 회전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면과 상기 회전조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배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조를 덮고, 상기 배수공간으로 물이 흐르도록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의 활성화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바디가 상기 세탁모드의 건조단계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세탁모드를 일시적으로 비활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물의 재생가능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재생가능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의 급수단계에서 상기 커버부를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불투명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세탁모드에 연관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에 물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용됨이 감지되면,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물을 상기 제2 바디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기 세탁모드가 비활성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급수부의 물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 및 상기 홀에 삽입 및 해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홀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마개의 삽입 및 해지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공간에 세정 또는 세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며, 적은 양의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세정기구의 모드에 따라 사용된 물의 재사용여부가 결정되므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세정기구의 분해도.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각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다기능 세정기구의 구동모드에 근거하여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는 세탁조의 구동상태에 따른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b는 커버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제1 바디부의 구동상태에 근거한 제1 및 제2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세정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용도 세정기구는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 및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바디(200)는 상기 제1 바디(100) 상에 상기 결합부(300)를 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100, 200)는 독립적인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부(300)에 의하여 연결되지만,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는 분리되지 아니한다.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는 상기 제2 바디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30)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23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급수부(230)는 서로 다른 영역에 장착된 복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급수부(230)는 상기 제2 바디부(200)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에 모두 물을 공급하는 제1 급수구조 및 상기 제2 바디부(200)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바디부(200)에만 물을 공급하는 제2 급수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100)는 내부에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공간(101)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세탁공간(101)에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의류 등을 세탁하는 세탁조가 수납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200)는 물이 고이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201)과 상기 세탁공간(101)은 연통되는 구조로서, 물이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200)는 상기 수용공간(201)에 물이 고이도록 형성되는 커버부(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에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물의 이동상태가 서로 다른 제1 상태 및 제2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상태는 상기 세탁공간(101)과 상기 수용공간(201)이 연통되는 구조로서, 물이 상기 수용공간(201)으로부터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는 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를 제1 및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상태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제2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세탁공간(101)과 상기 수용공간(201)을 분리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급수부(203)에서 유출되는 물이 상기 커버부(210) 및 상기 제2 바디부(200)에 고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203)는 상기 제2 바디부(200) 상에서 상기 커버부(210)가 형성된 위치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2 바디부(200)에 물을 제공하고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바디부(100)에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상기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표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탁공간(101)과 상기 수용공간(201)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의 외주면은 상기 수용공간(201)을 이루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패킹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가 이동한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고였던 물은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유출된다. 또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203)에 의하여 유출되는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200)는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인가받는 제어장치(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를 이루는 제어부는 상기 급수부(203), 상기 커버브(210), 상기 제1 바디부(100)에 형성되는 세탁조를 제어하거나,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용도 세탁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를 조립하기 위한 결합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제1 바디부(100)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결합부재(310), 상기 제1 결합부재(310)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320) 및 상기 제1 결합부재(310)에 형성되는 완충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330)는 상기 제1 결합부재(310)가 상기 제2 결합부재(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결합부재(33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30)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완충부(33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330)는 상기 제1 바디부(100) 내의 세탁조가 구동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때 회전에 충격(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제2 바디부(200)에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a의 (a) 및 (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210)의 이동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이동블록(2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바디부(200)는 내주면에 형성도고, 상기 이동블록(221)의 일 영역과 고정되어 상기 커버부(210)의 회전(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록(221) 및 가이드부(22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블록(221) 및 상기 가이드부(222)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210)는 내면이 상기 제2 바디부(200)의 내주면을 스치듯이 이동하여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210)에 고였던 물이 상기 수요공간(201)을 지나,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구체적인 예들을 설명한다.
도 3a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일 영역에 형성된 홀과 상기 홀을 막도록 형성되는 마개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부(211)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부(211)는 상기 홀을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개부(21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홀을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하여 유출되는 물의 유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홀을 열어 상기 물을 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마개부(211)는 상기 커버부(2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개부(211)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압력 또는 상기 제어장치(202)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이동되고, 상기 다시 복귀되어 상기 제1 및 제2 상태로 상호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에 고인 물은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상기 세탁영역(101)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커버부(2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210)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마개부(211)가 상기 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210)의 중앙으로 모인 물이 중력에 의하여 모두 제1 바디부(100)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도 3a의 (a)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나 상기 세탁공간(101)으로의 이동은 차단된 제3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는 중력방향(즉, 물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상기 세탁공간(101)은 세탁조가 수납되고, 상기 세탁공간(101)은 상기 세탁조의 내부공간과 구분되는 배수공간(1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210)는 상기 세탁조를 막으면서 상기 수용공간(201)이 상기 배수공간(102)와 연통하도록 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세탁공간(101)에는 상기 세탁조를 막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210)가 걸쳐지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거나, 상기 세탁조는 상기 커버부(210)가 안착되는 안착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203)으로부터 제공된 물은 상기 세탁조로 이동하지 못하고 배수공간(102)을 통하여 별도로 배수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수용공간(201) 및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된 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사용자는 물을 배수하거나, 사용된 물 또는 급수부에 의하여 급수된 물을 이용하여 세탁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3 상태에서 배수된 물이 세탁조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재사용을 방지하고 물을 배수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의 구조 및 상태전환을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조립부재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210)를 이루는 조립부재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립부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에 근거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분리되었다가 다시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부재들은 틈을 형성하지 아니하여 상기 급수부(203)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3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사용자에 의한 가압 또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서로 맞닿았던 가장자리가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다만,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들의 각 일 가장자리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들은 상기 제2 바디부(200)와 접한 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이동 하며, 상기 조립부재들의 회전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210)의 중심부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영역이 형성되도록 전환된다.
또는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들은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21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각 조립부재들이 변형되고, 서로 맞닿아있던 가장자리가 벌어지면서 상기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가압이 해지되면 각 조립부재가 서로 맞닿는 상태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되었던 물이 상기 세탁공간(101)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3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는 복수의 조립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중심부가 각각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면서 개구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200)의 가장자리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상태 또는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10)를 둘러싸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이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상태로 전환된다. 반면, 상기 커버부(210)를 둘러싸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일 영역이 좁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3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된 물을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의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데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세정기구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310) 및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310)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커버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310)의 외면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형성되는 세탁조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는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상기 중력방향과 수직한 방향(지면과 평행)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의 일 단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는 상기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세탁조가 개폐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는 사용자의 가압 또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가 상기 내부공간을 분할한 상태를 상기 제1 상태, 상기 커버부(320)에 의하여 상기 세탁조가 노출된 상태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20)는 슬라이딩 형태로 상기 세탁조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2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320)의 일 영역을 휜상태로 상기 바디부(310)의 일 영역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바디부(3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급수부(340)는 상기 바디부(310)의 상기 커버부(320) 상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310)는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320) 및 상기 세탁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각 실시예에 따른 상태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물의 재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에 구비된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된 제어명령 또는 상기 다용도 세정기구의 구동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어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되어 있는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어 있음이 감지되면, 상기 제1 바디부(상기 제1 바디부에 수납된 세탁조)가 세탁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여기에서 상기 세탁모드는 상기 세탁조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탁중인 상태, 즉 상기 세탁조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세정모드는 상기 커버부(210)에 상기 급수부(203)에 의하여 제공되고 있는 물이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수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인 경우 상기 물의 수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한다(S31). 또한, 상기 세탁모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커버부(S32)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물이 배수되는 상태는 상기 물이 상기 세탁조에 유입되지 아니하고 배수부를 통하여 버려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모드인 경우, 상기 물의 재사용여부를 판단한다(S40). 여기에서 상기 물의 재사용여부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에 근거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에 근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가 물의 재사용이 결정되면,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커버부를 전환하여 상기 물을 세탁공간(101)으로 유출시킨다(S51). 즉, 상기 사용되고 난 후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고여있던 물이 상기 세탁조로 유출되어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물이 세탁조로 이동된 후에 상기 세탁조가 구동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세탁조가 배수단계를 거치는 경우, 상기 물은 재사용되지 않고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이 재사용되지 않도록 결정되면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S32)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한다.
이하, 다기능 세정기구의 구동상태에 따라 물의 재사용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세탁조가 세탁모드인 경우,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를 판단한다(S21). 여기에서 상기 구동단계는, 급수단계, 세제투입단계, 세정단계, 헹굼단계, 탈수단계, 건조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모드가 급수단계인 경우, 상기 수용된 물의 상태를 판단한다(S41). 여기에서 상기 수용된 물은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유동되지 못하고 수용된 상태의 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다기능 세정기구는 상기 커버부(210)에 수용된 물의 오염상태를 파악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부(210) 또는 상기 제2 바디부(200)의 이 수용되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물의 오염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물에 녹아있는 물질을 검출하여 수질을 판단하거나, 상기 물이 오염된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는 옷감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 물에 녹아있는 지 여부, 물에 섞인 불순물의 양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오염상태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오염된 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염상태가 기 설정된 범위 이하로 양호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세탁모드의 세탁레벨을 확인한다(S42).
여기에서 세탁레벨은 세탁되는 세탁물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세탁조의 구동레벨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손상되기 쉬운 옷감의 세탁레벨(예를 들어, 변형되기 쉬운 옷감), 소독강도를 높게 설정한 세탁레벨(예를 들어, 아기옷) 등에 해당되는 경우 서로 다른 세탁레벨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구동중인 세탁조의 세탁레벨이 기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수용된 물을 세탁공간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S52).
이에 따라, 다기능 세정기구는 경우에 따라 적합한 환경에서 물을 재사용함으로써,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다기능 세정기구의 구동모드에 근거하여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급수부에 의하여 물이 공금되면(S11), 상기 제어부는 세탁모드인지 새정모드인지 판단한다(S20).
상기 제어부는 세탁모드인 경우,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전환한다(S53). 이에 따라, 세탁모드 인 경우, 일차적으로 상기 물의 흐름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모드의 각 구동단계에서 상기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상태를 제3 상태로 전환한다(S54). 즉 사용자는 사용된 물을 배수하도록 상기 커버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기능 세정기구는 세탁모드 인 경우 세탁조에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세탁조의 구동이 방해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를 제1 내지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다(S55). 즉, 사용자는 세정모드 인 경우 커버부를 조정하여 사용된 물을 세탁조에 유입시켜 재사용하거나, 배수 또는 수용할 수 있다.
도 7a는 세탁조의 구동상태에 따른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바디부(100)에 수납되는 세탁조의 구동상태를 확인한다(S22). 상기 세탁조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를 제1 상태로 유지한다(S61).
즉, 상기 물은 상기 커버부(210)에 의하여 상기 세탁조에 유입되지 못하므로, 세탁조에 흘러들어간 물에 의하여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차단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62).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210)는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세탁공간(101)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투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세탁조가 구동중인 경우에, 상기 세탁조가 구동되는 모습을 사용자가 감지하지 못하도록 차단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차단모드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불투명한 색채를 갖도록, 불투명 이미지를 출력하는 상태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세탁공간(101)을 감지할 수 없는 바, 상기 커버부(210)를 이용하여 물을 수용하는 경우 제1 바디부(100)의 구동과 독립적인 상태로 세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2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치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커버부(210)에 물이 수용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이를 수신하여 상기 세탁조를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2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210)는 제1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세탁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투명재질의 커버부를 이용하여 제1 상태에서 세탁공간(101)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출력되는 불투명한 이미지에 의하여 세탁조의 구동과 독립적으로 세정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커버부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제1 상태에서 세탁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제1 바디부의 구동상태에 근거한 제1 및 제2 바디부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탁조의 구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바디부(100)가 진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가 상기 결합부(300)에 의하여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디부(100)의 진동은 제2 바디부(200)에 까지 전달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가 서로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바디부(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탁조의 구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부(200)는 중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다기능 세정장치를 제어한다. 즉, 상기 다기능 세정장치는 상기 제2 바디부(200)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100, 20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330)가 상기 제2 바디부(200)를 지지하면, 상기 세탁조의 구동에 의한 진동이 상기 완충부(330)에 의하여 완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다기능 세정기구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공간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상기 세탁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과 상기 물이 상기 세탁공간으로 흐르도록 형성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개구영역을 덮어 상기 제2 바디에 물이 고이는 제1 상태 및 상기 개구영역이 노출되어 상기 물과 상기 세탁물이 통과 가능한 제2 상태로 구현되는 커버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 및 커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이동을 위한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 영역에는 상기 이동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커버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상호 전환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부 측을 대향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커버부 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제2 바디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의 진동을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이격 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조립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의 결합이 해지되며,
    상기 복수의 조립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를 향한 가압에 의하여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세탁 공간을 이루는 회전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의 내부면과 상기 회전조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물이 외부로 방출되는 배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회전조를 덮고, 상기 배수공간으로 물이 흐르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홀 및 상기 홀에 삽입 및 해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홀에 삽입되거나 삽입이 해지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물이 세탁되는 세탁모드가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세탁모드의 구동단계에 근거하여 상기 마개의 삽입 및 해지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세정기구.
  20. 삭제
KR1020130162981A 2013-12-24 2013-12-24 다용도 세정기구 KR10210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81A KR102109747B1 (ko) 2013-12-24 2013-12-24 다용도 세정기구
RU2016130046A RU2643137C1 (ru) 2013-12-24 2013-12-26 Многоцел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CN201380081872.9A CN105849330B (zh) 2013-12-24 2013-12-26 多用途清洗装置
US15/107,744 US20160319475A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JP2016542728A JP6400711B2 (ja) 2013-12-24 2013-12-26 多用途洗浄器具
PCT/KR2013/012196 WO2015099228A1 (ko) 2013-12-24 2013-12-26 다용도 세정기구
BR112016014753-7A BR112016014753B1 (pt) 2013-12-24 2013-12-26 Dispositivo de limpeza multiuso
AU2013408947A AU2013408947B2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EP13900269.5A EP3091111B1 (en) 2013-12-24 2013-12-26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MX2016008316A MX355701B (es) 2013-12-24 2013-12-26 Dispositivo de limpieza multiusos.
US16/514,318 US20190338454A1 (en) 2013-12-24 2019-07-17 Multi-purpose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981A KR102109747B1 (ko) 2013-12-24 2013-12-24 다용도 세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830A KR20150074830A (ko) 2015-07-02
KR102109747B1 true KR102109747B1 (ko) 2020-05-12

Family

ID=5347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981A KR102109747B1 (ko) 2013-12-24 2013-12-24 다용도 세정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160319475A1 (ko)
EP (1) EP3091111B1 (ko)
JP (1) JP6400711B2 (ko)
KR (1) KR102109747B1 (ko)
CN (1) CN105849330B (ko)
AU (1) AU2013408947B2 (ko)
BR (1) BR112016014753B1 (ko)
MX (1) MX355701B (ko)
RU (1) RU2643137C1 (ko)
WO (1) WO201509922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43Y1 (ko) 2004-06-17 2004-08-30 오광철 절수형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039284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Mounting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039286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Drain overflow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FR1496590A (fr) * 1966-10-07 1967-09-29 Intefi Trust Reg Machine à laver le linge, à évier incorporé
US3575020A (en) * 1969-01-14 1971-04-13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JPS5074773U (ko) * 1973-11-07 1975-06-30
JPS57153690A (en) * 1981-03-19 1982-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 machine with washstand
US4531387A (en) * 1983-12-27 1985-07-30 The Maytag Company Combination appliance with sliding door
JPS6376285U (ko) * 1985-08-20 1988-05-20
US5253493A (en) * 1992-02-18 1993-10-19 Shigeo Ohashi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JPH0652787U (ja) * 1993-12-22 1994-07-19 重雄 大橋 洗濯機兼用洗槽
JPH1023987A (ja) * 1996-07-12 1998-01-27 Noda Corp 流し台
KR100220751B1 (ko) * 1997-08-12 1999-09-1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JP3739293B2 (ja) *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US8763619B2 (en) * 2003-09-09 2014-07-01 Heritage-Crystal Clean, Llc Combination agitating parts washer and sink washer
US7484515B1 (en) * 2003-09-09 2009-02-03 Bluestone Ronald H Combination parts jet washer and sink washer
US7296443B2 (en) * 2003-09-15 2007-11-20 Haier America Trading, Llc Top-load sink/laundry combo
EP1681383A1 (en) * 2005-01-14 2006-07-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US8220471B2 (en) * 2007-03-02 2012-07-17 Safety-Kleen Systems, Inc. Multipurpose aqueous parts washer
US8225804B2 (en) * 2007-03-02 2012-07-24 Safety-Kleen Systems, Inc. Multipurpose aqueous parts washer
KR20100120049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20120044569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동감소형 세탁기
CN202000137U (zh) * 2011-03-12 2011-10-05 俞威 节约空间的洗衣机
EP2500814B1 (en) * 2011-03-13 2019-05-08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500815B1 (en) * 2011-03-13 2018-02-28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43Y1 (ko) 2004-06-17 2004-08-30 오광철 절수형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43137C1 (ru) 2018-01-30
EP3091111A1 (en) 2016-11-09
CN105849330B (zh) 2017-12-08
US20190338454A1 (en) 2019-11-07
US20160319475A1 (en) 2016-11-03
EP3091111A4 (en) 2017-08-30
JP6400711B2 (ja) 2018-10-03
CN105849330A (zh) 2016-08-10
MX355701B (es) 2018-04-27
AU2013408947A1 (en) 2016-07-21
KR20150074830A (ko) 2015-07-02
JP2017500953A (ja) 2017-01-12
WO2015099228A1 (ko) 2015-07-02
EP3091111B1 (en) 2018-11-28
BR112016014753B1 (pt) 2021-07-27
BR112016014753A2 (ko) 2017-08-08
AU2013408947B2 (en) 2019-02-28
MX2016008316A (es)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872B1 (ko) 세탁기
KR2024005806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92911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KR101568914B1 (ko) 세탁기
KR10259782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4374A (ko) 의류처리장치
US20120103028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WO2009142355A1 (en) Dispenser and washing machine
KR102295086B1 (ko) 세탁기
US989679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static tub and a water trap vapor seal
KR20150073517A (ko) 세탁기
KR101622010B1 (ko) 세탁기
WO2019184712A1 (en) Clothes pre-wash compartment for an appliance
JP4998130B2 (ja) 洗濯機
JP2020099544A (ja) 超音波洗浄装置および洗濯機
US20120056517A1 (en) Washing machine
KR102109747B1 (ko) 다용도 세정기구
US20180171524A1 (en) Washing machine having separate washing arrangements
KR10171615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786680B1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03715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5443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50102929A (ko) 세탁기의 플로트 스위치
JP2018117889A (ja) 衣類処理装置
KR102229351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