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278B1 -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278B1
KR102108278B1 KR1020140014936A KR20140014936A KR102108278B1 KR 102108278 B1 KR102108278 B1 KR 102108278B1 KR 1020140014936 A KR1020140014936 A KR 1020140014936A KR 20140014936 A KR20140014936 A KR 20140014936A KR 102108278 B1 KR102108278 B1 KR 10210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formula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088A (ko
Inventor
임진혁
양호석
김윤희
박영삼
황희연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278B1/ko
Priority to US14/616,598 priority patent/US10236532B2/en
Publication of KR2015009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32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27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6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4 및 n은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ADDITIVE FOR ELECTROLYTE AN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내부에 들어 있는 화학 물질의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 반응시 발생하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전지 내부의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면 폐기하여야 하는 일차 전지와 여러 번 충전할 수 있는 이차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이차 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 변환을 이용하여 여러 번 충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최근 첨단 전자산업의 발달로 전자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 전지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리튬 이차 전지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리튬을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과 리튬을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을 포함하는 전지 셀에 전해액을 주입하여 사용된다.
전해액은 리튬염이 용해된 유기 용매를 사용하고 있으며,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정성 및 성능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일 구현예는 고전압에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전해액 첨가제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키닐기, C1 내지 C12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플루오로알킬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할로아릴기, -NR5R6(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옥사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R5 및 R6는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7-C(O)-, R7-O-C(O)-, R7-C(O)-O-, R7-O-C(O)-CH2- (R7은 알킬기, 아릴기, 플루오로알킬기, 할로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OR'(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 및 -R''C(O)-OR'''(R''은 C1 내지 C4 알킬기이고, 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일 예로써,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일 예로써,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3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리튬 염, 비수성 유기 용매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을 제공한다.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상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그리고 상술한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상기 양극 표면에 위치하는 패시베이션 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4.35V 이상의 전압 영역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전해액 첨가제에 의해 양극 표면에서 안정한 패시베이션 막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전지에 대해 전해액의 반응 개시 전압을 측정한 LSV(Linear Sweep Voltammetry) 그래프이다.
도 3는 실시예 4에 따른 전지에 대해 전해액의 반응 개시 전압을 측정한 LSV(Linear Sweep Voltammetry)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전지의 CV(cyclic voltammery)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4 에 따른 전지의 CV(cyclic voltammery)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의 리튬 이차 전지의 사이클에 따른 용량 유지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Cl, Br 또는 I), 히드록시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도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보닐기, 카르바밀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 내지 C2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기, C7 내지 C30 아릴알킬기, C1 내지 C20 알콕시기, C1 내지 C20 헤테로알킬기, C3 내지 C20 헤테로아릴알킬기, C3 내지 C30 사이클로알킬기, C3 내지 C15 사이클로알케닐기, C6 내지 C15 사이클로알키닐기,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헤테로'란, N, O, S 및 P에서 선택된 헤테로원자를 1개 내지 3개 함유한 것을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전해액 첨가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전해액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키닐기, C1 내지 C12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플루오로알킬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할로아릴기, -NR5R6(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옥사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R5 및 R6는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7-C(O)-, R7-O-C(O)-, R7-C(O)-O-, R7-O-C(O)-CH2- (R7은 알킬기, 아릴기, 플루오로알킬기, 할로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OR'(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 및 -R''C(O)-OR'''(R''은 C1 내지 C4 알킬기이고, 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6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에 첨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전해액의 난연성을 개선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극 표면에서 분해 반응을 일으켜 안정적인 패시베이션 막(passivation film)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지의 수명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을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은 리튬 염, 비수성 유기 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리튬 염은 전지 내에서 리튬 이온의 공급원으로 작용하여 기본적인 리튬 이차 전지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의 이동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리튬 염의 대표적인 예로는 LiPF6, LiBF4, LiSbF6, LiAsF6, LiN(SO2C2F5)2, Li(CF3SO2)2N, LiN(SO3C2F5)2, LiCF3SO3, LiC4F9SO3, LiClO4, LiAlO2, LiAlCl4, LiC(CF3SO2)3, LiN(CxF2x +1SO2)(CyF2y +1SO2)(여기서, x 및 y는 자연수임), LiCl 및 LiI 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염의 농도는 0.1M 내지 2.0M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리튬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 전해액의 전도도 및 점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우수한 전해액 성능을 나타낼 수 있고, 리튬 이온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에 관여하는 이온들이 이동할 수 있는 매질 역할을 한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로는 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또는 비양성자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스테르계 용매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n-프로필 아세테이트, 디메틸아세테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부티레이트, 감마-부티로락톤, 데카놀라이드(decanolide), 감마-발레로락톤, 메발로노락톤(mevalonolactone),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테르계 용매로는 디부틸 에테르,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톡시에탄, 2-메틸테트라히드로퓨란,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케톤계 용매로는 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코올계 용매로는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비양성자성 용매로는 R-CN(여기서, R은 C2 내지 C20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 구조의 탄화수소기이며, 이중결합 방향 환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등의 니트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1,3-디옥솔란 등의 디옥솔란류 설포란(sulfolane)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 비율은 목적하는 전지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널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의 경우 환형(cyclic) 카보네이트와 사슬형(chain) 카보네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환형 카보네이트와 사슬형 카보네이트는 약 1:1 내지 약 1:9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전해액의 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용매는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에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계 용매와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는 약 1:1 내지 약 30:1의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계 유기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젠, 플루오로벤젠, 1,2-디플루오로벤젠, 1,3-디플루오로벤젠, 1,4-디플루오로벤젠, 1,2,3-트리플루오로벤젠, 1,2,4-트리플루오로벤젠, 클로로벤젠, 1,2-디클로로벤젠, 1,3-디클로로벤젠, 1,4-디클로로벤젠, 1,2,3-트리클로로벤젠, 1,2,4-트리클로로벤젠, 아이오도벤젠, 1,2-디아이오도벤젠, 1,3-디아이오도벤젠, 1,4-디아이오도벤젠, 1,2,3-트리아이오도벤젠, 1,2,4-트리아이오도벤젠, 톨루엔, 플루오로톨루엔, 2,3-디플루오로톨루엔, 2,4-디플루오로톨루엔, 2,5-디플루오로톨루엔, 2,3,4-트리플루오로톨루엔, 2,3,5-트리플루오로톨루엔, 클로로톨루엔, 2,3-디클로로톨루엔, 2,4-디클로로톨루엔, 2,5-디클로로톨루엔, 2,3,4-트리클로로톨루엔, 2,3,5-트리클로로톨루엔, 아이오도톨루엔, 2,3-디아이오도톨루엔, 2,4-디아이오도톨루엔, 2,5-디아이오도톨루엔, 2,3,4-트리아이오도톨루엔, 2,3,5-트리아이오도톨루엔, 자일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키닐기, C1 내지 C12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플루오로알킬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할로아릴기, -NR5R6(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옥사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R5 및 R6는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7-C(O)-, R7-O-C(O)-, R7-C(O)-O-, R7-O-C(O)-CH2- (R7은 알킬기, 아릴기, 플루오로알킬기, 할로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OR'(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 및 -R''C(O)-OR'''(R''은 C1 내지 C4 알킬기이고, 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제1 첨가제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4012821609-pat00009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전해액의 난연성을 개선하여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양극 표면에서 분해 반응을 일으켜 안정적인 패시베이션 막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전압에서 전해액의 산화분해를 억제해 전지의 수명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상기 전해액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난연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전극 표면에서 분해되어 안정적인 패시베이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100)는 음극(112), 음극(112)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양극(114), 음극(112)과 양극(1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세퍼레이터(113) 및 음극(112), 양극(114) 및 세퍼레이터(113)를 함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전지 셀과, 상기 전지 셀을 담고 있는 전지 용기(120) 및 상기 전지 용기(120)를 밀봉하는 봉입 부재(140)를 포함한다.
리튬 이차 전지(100)는 음극(112), 세퍼레이터(113) 및 양극(114)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스피럴 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전지 용기(120)에 수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음극(112)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위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집전체로는 구리 박, 니켈 박, 스테인레스강 박, 티타늄 박, 니켈 발포체(foam), 구리 발포체, 전도성 금속이 코팅된 폴리머 기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 리튬 금속, 리튬 금속의 합금,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전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온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할 수 있는 물질로는 탄소 물질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정질 탄소의 예로는 무정형, 판상, 린편상(flake), 구형 또는 섬유형의 천연 흑연 또는 인조 흑연과 같은 흑연을 들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탄소의 예로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저온 소성 탄소) 또는 하드 카본(hard carbon), 메조페이스 피치 탄화물, 소성된 코크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 금속의 합금으로는 리튬과 Na, K, Rb, Cs, Fr, Be, Mg, Ca, Sr, Si, Sb, Pb, In, Zn, Ba, Ra, Ge, Al 또는 Sn의 금속과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을 도프 및 탈도프할 수 있는 물질로는 Si, SiOx(0 < x < 2), Si-C 복합체, Si-Q 합금(상기 Q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Si은 아님), Sn, SnO2, Sn-C 복합체, Sn-R8(상기 R8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13족 내지 16족 원소, 전이금속,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Sn은 아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Q 및 R8의 구체적인 원소로는, Mg, Ca, Sr, Ba, Ra, Sc, Y, Ti, Zr, Hf, Rf, V, Nb, Ta, Db, Cr, Mo, W, Sg, Tc, Re, Bh, Fe, Pb, Ru, Os, Hs, Rh, Ir, Pd, Pt, Cu, Ag, Au, Zn, Cd, B, Al, Ga, Sn, In, Ti, Ge, P, As, Sb, Bi, S, Se, Te, Po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 산화물로는 바나듐 산화물, 리튬 바나듐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음극 활물질 입자들을 서로 잘 부착시키고, 또한 음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 재료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며, 그 예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등의 탄소계 물질;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또는 금속 섬유 등의 금속계 물질;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양극(114)은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위에 형성되는 양극 활물질 층을 포함한다.
상기 집전체로는 Al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 활물질 층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의 가역적인 인터칼레이션 및 디인터칼레이션이 가능한 화합물(리티에이티드 인터칼레이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발트, 망간,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의 금속과 리튬과의 복합 산화물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LiaA1 - bRbD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 ≤ b ≤ 0.5이다); LiaE1 - bRbO2 - cDc(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및 0 ≤ c ≤ 0.05이다); LiE2 - bRbO4 - cDc(상기 식에서, 0 ≤ b ≤ 0.5, 0 ≤ c ≤ 0.05이다); LiaNi1 -b- cCobRcD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CobRcO2 Z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CobRcO2 Z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b-cMnbRcD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MnbRcO2 Zα(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1 -b- cMnbRcO2 Z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5, 0 ≤ c ≤ 0.05 및 0 < α < 2이다); LiaNibEcGd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9, 0 ≤ c ≤ 0.5 및 0.001 ≤ d ≤ 0.1이다.); LiaNibCocMndGe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0 ≤ b ≤ 0.9, 0 ≤ c ≤ 0.5, 0 ≤ d ≤0.5 및 0.001 ≤ e ≤ 0.1이다.); LiaNi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LiaCo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LiaMnGbO2(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LiaMn2GbO4(상기 식에서, 0.90 ≤ a ≤ 1.8 및 0.001 ≤ b ≤ 0.1이다.); QO2; QS2; LiQS2; V2O5; LiV2O5; LiTO2; LiNiVO4; Li(3-f)J2(PO4)3(0 ≤ f ≤ 2); Li(3-f)Fe2(PO4)3(0 ≤ f ≤ 2); 및 LiFePO4.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A는 Ni, Co, Mn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은 Al, Ni, Co, Mn, Cr, Fe, Mg, Sr, V, 희토류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D는 O, F, S, P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E는 Co, Mn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Z는 F, S, P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G는 Al, Cr, Mn, Fe, Mg, La, Ce, Sr, V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Q는 Ti, Mo, Mn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T는 Cr, V, Fe, Sc, Y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J는 V, Cr, Mn, Co, Ni, Cu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물론 이 화합물 표면에 코팅층을 갖는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화합물과 코팅층을 갖는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 원소 화합물로서, 코팅 원소의 옥사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하이드록사이드, 코팅 원소의 옥시카보네이트 또는 코팅 원소의 하이드록시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을 이루는 화합물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코팅 원소로는 Mg, Al, Co, K, Na, Ca, Si, Ti, V, Sn, Ge, Ga, B, As, Z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코팅층 형성 공정은 상기 화합물에 이러한 원소들을 사용하여 양극 활물질의 물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예를 들어 스프레이 코팅, 침지법 등으로 코팅할 수 있으면 어떠한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에 대하여는 당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잘 이해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을 서로 잘 부착시키고, 또한 양극 활물질을 전류 집전체에 잘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디아세틸셀룰로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르복실화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아크릴레이티드 스티렌-부타디엔 러버, 에폭시 수지,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에 도전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 재료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가능하며, 그 예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탄소섬유, 구리, 니켈, 알루미늄, 은 등의 금속 분말, 금속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재료를 1종 또는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은 각각 활물질, 바인더,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전재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여 활물질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활물질 조성물을 각 집전체 위에 도포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N-메틸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전극 제조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내용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세퍼레이터(113)는 음극(112)과 양극(114)을 분리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리튬 전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즉, 전해질의 이온 이동에 대하여 저저항이면서 전해액 함습 능력이 우수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섬유, 폴리에스테르, 테프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직포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리튬이온전지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세퍼레이터가 주로 사용되고, 내열성 또는 기계적 강도 확보를 위해 세라믹 성분 또는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사용하는 세퍼레이터와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코인형, 파우치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사이즈에 따라 벌크 타입과 박막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전지의 구조와 제조방법은 이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해액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는 4.35V 이상의 고전압 영역에서 작동하는 경우, 전지의 수명 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측면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전해액 제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의 전해액
1.4M의 LiPF6을 에틸렌 카보네이트(E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MC)을 2/2/6(v/v/v)으로 혼합한 혼합 용매에 첨가하고,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첨가하여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에틸렌 카보네이트
(부피%)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부피%)
디메틸카보네이트
(부피%)
LiPF6
(M)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량부)
실시예 1 20 20 60 1.4 0.1
실시예 2 20 20 60 1.4 0.2
실시예 3 20 20 60 1.4 0.5
실시예 4 20 20 60 1.4 1.0
비교예 1 20 20 60 1.4 -
참고예 1 20 20 60 1.4 2.0
참고예 2 20 20 60 1.4 5.0
참고예 3 20 20 60 1.4 10.0
(리튬 이차 전지의 제작)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
LiCoO2,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및 Acetylene black을 96: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양극 활물질 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활물질 층 조성물을 두께 20 ㎛의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하여 건조 및 압연 후 양극을 제조하였다.
Graphite 및 바인더 스테렌-부타디엔 러버(SBR)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를 98: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순수에 분산시켜 음극 활물질 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 층 조성물을 두께 15 ㎛의 구리 호일에 코팅하여 건조 및 압연 후 음극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양극 및 음극과 두께 25 ㎛의 폴리에틸렌 재질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권취 및 압축하여 18650 원형(2800mA) 캔에 삽입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해액으로는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평가 : 전해액 분해반응 개시 전압 평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참고예 1 내지 3에 따른 반쪽 전지를 1mV/s의 scan rate로 LSV(Linear Sweep Voltammetry)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2 및 도3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전지에서 전해액의 반응 개시 전압을 측정한 LSV(Linear Sweep Voltammetry)이고, 도 4 및 도 5는 CV(cyclic voltammetry)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실시예 4의 전해액에서는 산화 개시 전압이 약 3.7 V 정도인 반면, 비교예 1의 비수 전해액에서는 산화 개시 전압이 약 3.9 V 정도임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비수 전해액 내 첨가제의 산화 분해가 비교예에 따른 개시 전압보다 더 낮은 전압에서 발생하여 양극에서의 패시베이션 피막을 형성함을 알 수 있으며 음극 전위에 대한 영향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실시예 4에 따른 전지는 비교예 1에 따른 전지보다 산화/환원 반응의 가역성, 지속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잇다.
평가 : 수명 특성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에 따른 원형 18650 셀의 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명 특성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참고예 1 내지 3에 따른 원형 18650 셀을 하기 조건 하에서 평가하였다.
 ① Charge : CC/CV 1.0C, 4.38V, 0.02C Cut-off, Rest 10min.
 ② Discharge : CC 1.0C 3V Cut-off, Rest 10min.
 ③ 25℃ 환경에서 300cycle이상 반복.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도 6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에 따른 원형 18650 셀의 사이클에 따른 용량 유지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원형 18650 셀은 각각 비교예 1 및 참고예 1 내지 3에 따른 원형 18650 셀과 비교하여 사이클에 따른 용량 유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리튬 이차 전지
112: 음극
113: 세퍼레이터
114: 양극
120: 전지 용기
140: 봉입 부재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
    [화학식 1]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키닐기, C1 내지 C12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플루오로알킬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할로아릴기, -NR5R6(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옥사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R5 및 R6는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7-C(O)-, R7-O-C(O)-, R7-C(O)-O-, R7-O-C(O)-CH2- (R7은 알킬기, 아릴기, 플루오로알킬기, 할로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OR'(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 및 -R''C(O)-OR'''(R''은 C1 내지 C4 알킬기이고, 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
    [화학식 2]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1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전해액 첨가제:
    [화학식 3]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2

  4. 리튬 염;
    비수성 유기 용매;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액 첨가제
    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화학식 1]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알키닐기, C1 내지 C12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12 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12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옥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2 플루오로알킬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할로아릴기, -NR5R6(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및 옥사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R5 및 R6는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R7-C(O)-, R7-O-C(O)-, R7-C(O)-O-, R7-O-C(O)-CH2- (R7은 알킬기, 아릴기, 플루오로알킬기, 할로아릴기 및 헤테로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OR'(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 및 -R''C(O)-OR'''(R''은 C1 내지 C4 알킬기이고, R'''은 C1 내지 C12 알킬기이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화학식 2]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4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화학식 3]
    Figure 112014012821609-pat00015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첨가제는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8.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해액
    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표면에 위치하는 패시베이션 막을 더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4.35V 이상의 전압 영역에서 작동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140014936A 2014-02-10 2014-02-10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2108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936A KR102108278B1 (ko) 2014-02-10 2014-02-10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US14/616,598 US10236532B2 (en) 2014-02-10 2015-02-06 Additive for electrolyte and electrolyt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936A KR102108278B1 (ko) 2014-02-10 2014-02-10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088A KR20150094088A (ko) 2015-08-19
KR102108278B1 true KR102108278B1 (ko) 2020-05-07

Family

ID=5377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936A KR102108278B1 (ko) 2014-02-10 2014-02-10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36532B2 (ko)
KR (1) KR102108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897B1 (ko) 2015-11-03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수 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CN114678592B (zh) * 2022-05-30 2022-09-13 深圳澳睿新能源科技有限公司 含氰基环状胺化合物的非水电解液、锂离子电池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7076A1 (en) 2010-09-23 2012-03-29 Uchicago Argonne, Llc Heteroaromatic-based electrolytes for lithium and lithium-ion batteri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6232B2 (ja) * 1996-01-17 2006-03-15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322450B1 (ko) 1999-05-03 2002-03-18 김순택 전도성 고분자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6593487B1 (en) 2001-12-19 2003-07-1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N-cyanoethylated ortho and meta toluenediamine compounds
CA2756270A1 (en) * 2009-03-17 2010-09-23 George Matai Non-conductive lid for transformers
KR101565533B1 (ko) 2011-03-15 2015-1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KR101837036B1 (ko) * 2011-03-30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US8916283B2 (en) 2011-04-05 2014-12-23 Shin-Etsu Chemical Co., Ltd. Binder for separator of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comprising 2-cyanoethyl group-containing polymer and separator and batter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7076A1 (en) 2010-09-23 2012-03-29 Uchicago Argonne, Llc Heteroaromatic-based electrolytes for lithium and lithium-ion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29003A1 (en) 2015-08-13
US10236532B2 (en) 2019-03-19
KR20150094088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99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리튬 이차 전지
KR10173373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8307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201323583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30122471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3012228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5230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72271B1 (ko) 리튬 이차 전지
JP6526375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質およ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4010876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20101970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24673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20120100439A1 (en) Electrolyte solution for secondary lithium battery and secondary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lyte solution
KR102211175B1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8745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40064607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0581079B2 (en) Positive active material composition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KR1022968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5230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1005200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784738B1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210041382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108278B1 (ko) 전해액 첨가제,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KR10170298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343230B1 (ko)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