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56B1 -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56B1
KR102101056B1 KR1020160075220A KR20160075220A KR102101056B1 KR 102101056 B1 KR102101056 B1 KR 102101056B1 KR 1020160075220 A KR1020160075220 A KR 1020160075220A KR 20160075220 A KR20160075220 A KR 20160075220A KR 102101056 B1 KR102101056 B1 KR 102101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conductive heating
adhesive
pattern
heat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028A (ko
Inventor
명지은
김주연
이승헌
성지현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7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56B1/ko
Priority to US16/084,844 priority patent/US10964445B2/en
Priority to PCT/KR2016/015173 priority patent/WO2017217627A1/ko
Priority to JP2018548795A priority patent/JP6911267B2/ja
Priority to EP16905611.6A priority patent/EP3474628B1/en
Priority to CN201680084530.6A priority patent/CN108886843B/zh
Publication of KR2017014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9Heaters using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opposing surfaces of the resistive element or resistive layer
    • H05B2203/01Heaters comprising a particular structure with multiple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명세서에는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된다.
자동차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자동차 유리에 습기 또는 성에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열 유리가 사용될 수 있다. 발열 유리는 유리 표면에 열선 시트를 부착하거나 유리 표면에 직접 열선을 형성하고, 열선의 양 단자에 전기를 인가하여 열선으로부터 열을 발생시키고 이에 의하여 유리 표면의 온도를 올리는 개념을 이용한다.
특히, 자동차 앞유리에 광학적 성능이 우수하면서 발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채용하고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투명 전도성 박막을 유리 전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투명 전도성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ITO와 같은 투명 전도성 산화막을 이용하거나 금속층을 얇게 형성한 후, 금속층 상하에 투명 절연막을 이용하여 투명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광학적으로 우수한 전도성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으로 인하여 저전압에서 적절한 발열량을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 방법은 금속 패턴 또는 와이어(wire)를 이용하되, 금속 패턴 또는 와이어가 없는 영역을 극대화하여 투과도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한 대표적인 제품은 자동차 앞유리 접합에 사용되는 PVB 필름에 텅스텐선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만드는 발열유리이다. 이 방법의 경우, 사용되는 텅스텐선의 직경은 18 마이크로미터 이상으로 저전압에서 충분한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는 수준의 전도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굵은 텅스텐선으로 인하여 시야적으로 텅스텐선이 눈에 잘 보이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PET 필름 위에 프린팅 공정을 통하여 금속 패턴을 형성하거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위에 금속층을 부착시킨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하여 금속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패턴이 형성된 PET 필름을 PVB(Polyvinyl Butylal) 필름 두 장 사이에 삽입한 후 유리 접합 공정을 거쳐 발열 기능이 있는 발열 제품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PET 필름을 두 장의 PVB 필름 사이에 삽입함에 따라, PET 필름과 PVB 필름 사이의 굴절율 차이에 의하여 자동차 유리를 통해 보여지는 사물의 왜곡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099502호
본 명세서에는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명기재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접착 필름; 및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을 포함하는 발열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이 최종물에 남아 있지 않도록 최종물의 투명기재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 필름이 제거가 가능함으로써, 최종물의 2개의 투명 기재 사이에, 접착 필름 이외에 다른 필름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필름들 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한 시야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제2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제4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제5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제6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발열체의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투명기재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접착 필름을 외부에서 구입하여 준비하거나, 접착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의 양면에 이형 필름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일면만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이형 필름이 제거된 면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남겨진 이형 필름은 추후 최종물의 투명기재에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후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열 접합 공정에서 사용되는 공정 온도 이상에서 접착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접착 필름은 당 기술분야에서 발열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 접합 공정에서 투명 기판과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열 접합 공정의 압력, 온도 및 시간은 접착 필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예컨대 열 접합 공정은 50℃ 이상 100℃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 1차 접합한 후 100℃ 초과의 높은 온도에서 2차 접합하거나, 130 내지 150℃의 범위에서 선택된 온도에서 한번에 접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의 재료로는 PVB(polyvinylbutyral), EVA(ethylene vinyl acetate), PU(polyurethane), PO(Polyolefi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 필름은 열 접합 공정에서 사용되는 공정 온도 이상에서 접착성을 갖기 때문에, 추후 투명 기판과의 접합시 추가의 접착 필름이 필요하지 아니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 필름의 두께는 190㎛ 이상 2,000 ㎛ 이하이다. 상기 접착 필름의 두께가 190 ㎛ 이상인 경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안정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추후 투명 기판과의 접착력을 충분히 낼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의 두께를 2,000 ㎛ 이하로 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지지성 및 접착성을 충분히 낼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5℃ 이상 90℃ 이하이다. 상기 접착 필름이 이와 같이 낮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갖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방법에 의하여 전도성 발열 패턴 형성 공정 상에서 접착 필름의 접착성의 손상 없이, 또는 필름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 또는 손상 없이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되고,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인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점착 필름에 외부자극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을 가하기 전에 금속막 또는 금속 패턴을 지지하여 탈막 및 결점(Defect)이 없고 추후 외부자극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어 금속 패턴의 전사성이 좋아야 한다.
상기 점착 필름 상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식각공정에 의해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점착 필름은 금속막을 식각하는 식각액 및 식각보호패턴을 박리하는 박리액에 대하여 내산성 및 내염기성이 있어야 한다. 이때, 점착 필름의 내산성 및 내염기성은 점착 필름이 식각액이나 박리액에 함침된 후, 육안 관찰 결과 색변화가 없고, 용해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되지 않으며, 점착력이 초기 대비 동등 수준을 유지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에 의해 점착력이 조절되는 필름이며, 구체적으로, 외부자극에 의해 점착력이 감소하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5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으며 더 좋게는 7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초기 점착력은 20 내지 2000(180°, gf/25mm)이고, 외부 자극에 의해 점착 필름의 점착력이 1 내지 100(180°, gf/25mm)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점착 필름의 점착력 측정조건은 180° peel test 측정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180° 각도로 속도 300mm/s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 시편 제작은 점착필름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폭 25mm가 되도록 커팅한 후 금속막에서 점착필름을 박리하는 힘(gf/25mm)을 측정하였다.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상시 점착 필름의 두께가 낮아질수록 점착 효율이 저하가 발생된다. 상기 점착 필름의 두께는 5㎛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기재 상에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점착 조성물로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점착 수지, 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점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가교제 0.1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상기 점착 필름의 응집력이 부족할 수 있으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상기 점착 필름이 광경화 이전에 점착력이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다.
상기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상기 점착 수지 100중량부 대비 개시제 0.1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40만 내지 200만인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화합물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에는 또한 상용성 등의 기타 기능성 향상의 관점에서, 초산비닐, 스틸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로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300,000인 다관능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분야의 평균적 기술자는 목적하는 용도에 따른 적절한 화합물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2 이상 갖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함량은 전술한 점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4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일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후 점착력 저하가 충분하지 않아 전사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4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자외선 조사 전 점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거나, 이형 필름 등과의 박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상기의 첨가형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뿐 아니라, 점착 수지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측쇄 또는 주쇄 말단에 결합된 형태로도 사용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점착 수지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중합하기 위한 단량체,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도입하거나, 중합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추가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점착 수지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측쇄에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도입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종류는,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한 분자당 1 내지 5개,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개 포함하고, 상기 점착 수지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때 상기 점착 수지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의 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점착 수지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메트)아크릴로일옥시 이소시아네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에틸 이소시아네이트,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 이소시아네이트, m-프로페닐-α, α-디메틸벤질이소시아네이트, 메타크릴로일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알릴 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로일 모노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폴리올화합물 및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크릴로일 모노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또는
점착 수지의 카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점착 수지의 가교성 관능기의 5몰% 내지 90몰%를 치환하여 점착 수지의 측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환량이 5몰% 미만이면 자외선 조사에 의한 박리력 저하가 충분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90몰%를 초과하면 자외선 조사 전의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로진 수지, 터펜(terpene) 수지, 페놀 수지, 스티렌 수지, 지방족 석유 수지, 방향족 석유 수지 또는 지방족 방향족 공중합 석유 수지 등의 점착 부여제가 적절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을 기재 상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재 상에 직접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박리성 기재 상에 일단 점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점착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박리성 기재를 사용하여 점착 필름을 기재 상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대로, 또는 적당한 유기용제에 희석하여 콤마 코터, 그라비아 코터, 다이 코터 또는 리버스 코터등의 공지의 수단으로 도포한 후, 60내지 20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30분 동안 용제를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는 점착제의 충분한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한 에이징(aging)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는 점착 필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점착 필름이 제거될 때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재료는 점착 필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기재는 유리 기판이거나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은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olyethylene phthalate), 폴리부틸렌프탈레이트(polybuthylene 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 sulfone),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 siloxan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etherketone) 및 폴리이미드(PI; polyimi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가 플렉서블 필름인 경우, 점착 필름 또는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점착 필름을 롤투롤 공정에 사용될 수 있도록 롤에 감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20㎛ 이상 2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상기 점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점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막을 패터닝하여 형성되거나, 점착 필름 상에 패터닝된 금속 패턴을 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막은 증착, 도금, 금속포일의 라미네이트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막 상에 식각보호패턴을 포토리소그래피, 잉크젯법, 판인쇄법 또는 롤프린팅법 등으로 형성하여 식각보호패턴에 의하여 덮여 있지 않는 금속막을 식각함으로써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점착 필름 상에 직접적으로 패터닝된 금속 패턴을 전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터닝된 금속 패턴은 금속 패턴이 구비된 금속 포일의 라미네이트 또는 롤프린팅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고는 10㎛ 이하일 수 있으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고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금속 패턴의 측면에 의한 빛의 반사에 의해 금속의 인지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고는 0.3㎛ 이상 10㎛ 이하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고는 0.5㎛ 이상 5㎛ 이하의 범위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고란, 상기 점착 필름에 접하는 면으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선고의 편차는 20% 이내, 바람직하게는 10% 이내이다. 이때, 편차는 평균 선고를 기준으로 평균 선고와 개별 선고의 차이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열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금속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 패턴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 패턴 재료의 비저항 값은 1 microOhm·cm 이상 200 microOhm·cm 이하인 것이 좋다. 발열 패턴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서, 구리, 은(silver),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재료로 가격이 싸고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구리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직선, 곡선, 지그재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금속선들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규칙적인 패턴, 불규칙적인 패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전체 개구율, 즉 전도성 발열 패턴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는 기재 영역의 비율은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폭이 40 ㎛ 이하, 구체적으로 0.1 ㎛ 내지 40 ㎛ 이하이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간 간격은 50 ㎛ 내지 30 mm이다.
상기 점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 및 후 중 적어도 하나에 암색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색화 패턴은 전도성 발열 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도성 발열 패턴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전도성 발열 패턴의 상면 및 하면뿐만 아니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암색화 패턴은 전도성 발열 패턴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구비됨으로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반사도에 따른 시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암색화 패턴은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패턴화될 수는 있으나, 각각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층은 별도로 형성된다. 그러나, 전도성 발열 패턴과 암색화 패턴이 정확히 대응되는 면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전도성 패턴과 암색화 패턴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암색화 패턴과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별도의 패턴층이 적층 구조를 이루는 점에서, 흡광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전도성 발열 패턴 내에 함몰 또는 분산되어 있는 구조나 단일층의 도전층이 표면처리에 의하여 표면측 일부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형이 이루어진 구조와는 차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암색화 패턴은 추가의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상기 점착 필름 상에 또는 직접 상기 전도성 패턴 상에 구비된다.
상기 암색화 패턴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암색화 패턴은 무채색(無彩色) 계열의 색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무채색일 필요는 없으며, 색상을 지니고 있더라도 낮은 반사도를 지니는 경우라면 도입 가능하다. 이 때, 무채색 계열의 색상이라 함은 물체의 표면에 입사(入射)하는 빛이 선택 흡수되지 않고 각 성분의 파장(波長)에 대해 골고루 반사 흡수될 때에 나타나는 색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암색화 패턴은 가시광 영역(400nm ~ 800nm)에 있어서 전반사율 측정시 각 파장대별 전반사율의 표준편차가 50% 내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암색화 패턴의 재료로는 흡광성 재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전면층을 형성했을 때 전술한 물리적 특성을 지니는 블랙 염료, 블랙 안료, 금속, 금속산화물, 금속 질화물 또는 금속산질화물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암색화 패턴은 블랙 염료 또는 블랙 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포토리소그래피법, 잉크젯법, 인쇄법 또는 롤프린팅법 등으로 형성되거나, Ni, Mo, Ti, Cr 등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설정한 증착 조건 등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물막, 질화물막, 산화물-질화물막, 탄화물막, 금속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색화 패턴은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폭과 동일하거나 큰 선폭을 갖는 패턴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색화 패턴이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폭보다 더 큰 선폭을 갖는 패턴 형상을 갖는 경우, 사용자가 바라볼 때 암색화 패턴이 전도성 발열 패턴을 가려주는 효과를 더 크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전도성 패턴 자체의 광택이나 반사에 의한 효과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암색화 패턴의 선폭이 상기 전도성 패턴의 선폭과 동일하여도 본 명세서에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전도성 발열 패턴의 양단에 구비된 버스 바(bus bar)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버스 바와 연결된 전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및 전원부는 점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형성하거나, 최종물의 투명기재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버스바를 은폐하기 위하여 블랙 패턴을 최종물의 투명기재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접착 필름 상에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 필름과 점착 필름을 [접착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10] 이상, 필요에 따라 [투명 기판과의 접합 공정에서 사용하는 온도] 이하에서 진공 및 압력을 기해 라미네이션한 후 외부 자극에 의해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변화시킨 후 제거하였을 때 금속 패턴이 양호하게 접착층에 형성되는 것을 면저항 및 전류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 필름과 점착 필름을 [접착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10℃] 이상, 필요에 따라 [투명 기판과의 접합 공정에서 사용하는 온도] 이하에서 가열 롤을 통과시키는 라미네이션하였을 때 상기 접착 필름과 점착 필름의 접하는 면적은, 상기 접착 필름과 상기 점착 필름을 [접착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10℃] 미만에서 라미네이션했을 때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는 접착 필름/점착 필름의 복합필름 제조시, [접착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10℃] 이상, 필요에 따라 [투명 기판과의 접합 공정 온도] 이하, 예컨대 150℃ 이하의 가열 롤을 통과시키는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상기 접착 필름의 표면 중 상기 점착 필름과 접하는 부분이 녹기 때문이며(melting), 이에 의하여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접착 필름의 접착 면적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접착력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발열체에서는, 상기 접착 필름과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접하는 면적이 상기 접착 필름과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접착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10℃] 미만에서 라미네이션했을 때에 비하여 증가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롤 라미네이션과 Sheet 상태로 라미네이션하는 방법 모두 가능하다. 다만 롤과 Sheet 상태로 라미네이션할 때 온도 및 접촉하는 시간, 압력 등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가 접착 필름 상에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접착하는 단계인 경우, 상기 점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일면에 접착 필름을 합지할 때 즉 라미네이션할 때, 점착필름 상의 전도성 발열 패턴은 접착 필름 측으로 박힐(embedded)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 필름은 전도성 발열 패턴이 있는 영역에는 전도성 발열 패턴을 완전히 감싸고, 전도성 발열 패턴이 없는 영역에는 점착필름과 접착되어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점착필름과 접착 필름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도록, 점착필름 상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접착 필름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점착 필름에 외부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일면에 접착 필름을 접착할 때, 접착 전 또는 후에 점착 필름에 외부자극을 가하여 점착력을 감소시키고, 접착 필름에 접착한 후 점착 필름을 제거하여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만을 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자극은 열, 광조사, 압력 및 전류 중 1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자극은 광조사이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조사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조사는 200nm 내지 400nm의 범위의 자외선 파장 영역 내의 광으로 조사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의 조사량은 200mJ/cm2 이상 1200mJ/cm2 이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mJ/cm2 이상 600mJ/c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점착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점착 필름을 제거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 필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수작업으로 제거하거나, Roll 장비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일면에 접착 필름을 합지한 후, 점착 필름이 제거되어 발열 패턴만 접착 필름 상에 전사한 경우,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접착 필름 측으로 박힌(embedded) 상태로 보관,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추후 제거될 보호 필름(또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상태로 롤에 감아 보관,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를 합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투명기재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양면에 투명기재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합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는 발열체를 적용하기 위한 최종물의 투명기재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상기 투명기재는 유리기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유리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자동차 앞유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제1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제2 접착 필름과 투명기재를 합지하여 상기 제1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2 접착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른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제1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 상에 제2 접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은 서로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의 조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동일하여 점착 필름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을 접착 필름과 접착시키는 단계에서 라미네이션 조건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두 접착 필름의 조성이 같기 때문에 열에 의한 수축, 팽창 등 열적 구동 특성이 동일하여 본래의 패턴성을 유지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의 조성이 서로 상이한 경우, 다른 조성을 통해 발열 특성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음방지, IR 방지, UV 방지 등 부가적인 특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은 접착조제의 종류가 상이하거나, 첨가제의 추가여부, 첨가제의 함량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착색제, UV 흡수제, 윤활제, 정전기 방지제, 안정제 및 소음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은 각각 2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접착층은 서로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상 필요에 따라, 또는 최종 용도에의 적용 상태에 따라, 투명 기판을 부착하지 않고, 추후 제거될 보호 필름(또는 이형 필름)을 부착한 상태로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보호 필름의 종류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플라스틱 필름, 이형물질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 종이, 이형물질이 코팅된 종이 또는 표면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에 보호 필름이 구비된 발열체는 롤에 감아 보관,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이때,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거나 외측에 위치하도록 롤에 감을 수 있다.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이 외측에 위치할 경우, 구체적으로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이 롤의 최외각에 위치하도록 롤에 감는 경우에는 패턴성을 유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본 명세서는 접착 필름; 및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을 포함하는 발열체를 제공한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은 전도성 발열 패턴의 상면만이 전부 또는 일부가 노출되고 나머지는 접착 필름 측으로 박힌(embedded)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일면의 전부 또는 일부만이 접착 필름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전도성 발열 패턴의 나머지 면은 접착 필름에 의해 덮혀 있을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접착 필름 측으로 박힌(embedded) 상태로 보관,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추후 제거될 보호 필름(또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상태로 롤에 감아 보관,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은 2 이상의 접착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 필름은 제1 접착 필름 및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제2 접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접착 필름은 서로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은 각각 2 이상의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접착층은 서로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 및 전도성 발열 패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이형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이형필름; 상기 이형필름 상에 구비된 2 이상의 접착 필름; 및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제1 이형필름; 상기 제1 이형필름 상에 구비된 2 이상의 접착 필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구비된 제2 이형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에 이형 필름이 구비된 발열체는 롤에 감아 보관, 이동 또는 거래될 수 있다. 이때,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이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거나 외측에 위치하도록 롤에 감을 수 있다.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이 외측에 위치할 경우, 구체적으로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에 구비된 보호 필름이 롤의 최외각에 위치하도록 롤에 감는 경우에는 패턴성을 유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상기 이형필름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접착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투명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투명기재; 상기 투명기재 상에 구비된 2 이상의 접착 필름; 및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제1 투명기재; 상기 제1 투명기재 상에 구비된 2 이상의 접착 필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구비된 제2 투명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2 이상의 접착 필름;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구비된 투명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기재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상에 구비되고,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인 점착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2 이상의 접착 필름; 및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 및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인 점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에 의해 점착력이 조절되는 필름이며, 구체적으로, 외부자극에 의해 점착력이 감소하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 필름은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95%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점착 조성물은 점착 조성물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 수지, 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 필름은 점착 수지, 가교제 및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이 갖는 관능기 중 일부가 결합되어 막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계적 강도 유지하나, 추가의 반응이 진행될 수 있도록 관능기가 잔존해 있다.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자극을 가하는 경우, 개시제에 의해 개시되어 남아 있는 관능기가 추가의 가교를 형성함으로써, 점착 필름이 단단해져 점착력이 감소된다.
상기 점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일면의 반대면 상에 구비된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2 이상의 접착 필름; 및 상기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인 점착 필름; 및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필름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위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접착 필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암색화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색화 패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전도성 발열 패턴의 양단에 구비된 버스 바(bus ba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체는 상기 버스 바와 연결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투명 기판이 최종물에 남아 있지 않도록 최종물의 투명기재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 필름이 제거가 가능함으로써, 최종물의 2개의 투명기재 사이에, 최종물의 투명기재의 접착을 위한 접착 필름 이외에 다른 필름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필름들 간의 굴절율 차이에 의한 시야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는 발열을 위하여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발열량은 m2 당 100 내지 1000 W,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00 W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체는 저전압, 예컨대 30 V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V 이하에서도 발열성능이 우수하므로, 자동차 등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에서의 저항은 2 오옴/스퀘어 이하, 바람직하게는 1 오옴/스퀘어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오옴/스퀘어 이하이다. 이때 얻은 저항값은 면저항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유리용 발열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발열체는 자동차 앞유리용 발열체일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점착 필름 상에 형성된 구리 패턴을 PVB(Poly vinyl butyral) 필름과 함께 열합지기에 넣어 100℃ 에서 20분 동안 진공과 함께 라미네이션하여 구리패턴을 접착 필름에 접착시켰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저하시킨 후 제거하였으며 구리 패턴만 PVB에 접착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리 패턴이 전사된 접착 필름을 2장의 유리 사이에 위치시킨 후 열합지기에 넣어 140℃에서 30분 동안 유리와 접착 필름을 접착시켰다. 최종물인 발열체를 현미경으로 관찰 결과 구리 패턴이 접착 필름상에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점착 필름 상에 형성된 구리 패턴을 PVB(Poly vinyl butyral) 필름과 함께 열합지기에 넣어 100℃ 에서 20분 동안 진공과 함께 라미네이션하여 구리패턴을 접착 필름에 접착시켰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저하시킨 후 제거하였으며 구리 패턴만 PVB에 접착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리 패턴이 전사된 접착 필름을 준비한 후 조성이 동일한 접착 필름을 추가적으로 준비하여 2장의 접착 필름을 2장의 유리 사이에 위치시킨 후 열합지기에 넣어 140℃에서 30분 동안 유리와 접착 필름을 접착시켰다. 최종물인 발열체를 현미경으로 관찰 결과 구리 패턴이 접착 필름 상에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3]
점착 필름 상에 형성된 구리 패턴을 PVB(Poly vinyl butyral) 필름과 함께 열합지기에 넣어 100℃ 에서 20분 동안 진공과 함께 라미네이션하여 구리패턴을 접착 필름에 접착시켰다. 자외선 조사를 통해 점착 필름의 점착력을 저하시킨 후 제거하였으며 구리 패턴만 PVB에 접착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리 패턴이 전사된 접착 필름을 준비한 후 조성이 다른 접착 필름을 추가적으로 준비하여 2장의 접착 필름을 2장의 유리 사이에 위치시킨 후 열합지기에 넣어 140℃에서 30분 동안 유리와 접착 필름을 접착시켰다. 최종물인 발열체를 현미경으로 관찰 결과 구리 패턴이 접착 필름상에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일반 PET 기재에 구리 2㎛을 도금방식으로 제조한 기재를 사용하여 반전 오프셋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구리막 상에 노볼락 수지가 주성분인 식각보호패턴을 형성하였다. 100℃에서 5분간 추가 건조한 뒤, 식각 공정을 통하여 노출된 부분의 구리를 식각하여 일반 PET 상에 구리 패턴을 형성하였다. 구리 패턴이 형성된 PET 기재를 접착 필름 2장 사이에 위치시킨 후 유리 2장과 함께 140℃ 에서 30분간 유리와 접착필름, 접착필름과 PET 기재를 접착시켰다.
[실험예 1]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구리 패턴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실험예 2]
일반 발열 필름을 사용하여 제작한 발열체인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열체의 광학특성을 하기 표 1에서 비교했다.
Figure 112016058073532-pat00001
상기 표 1을 통해 PET 기재가 제거된 실시예 1 이 비교예 1 대비 광학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굴절률 차이에 의한 왜곡 현상 및 시인성 문제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0: 접착 필름
110: 제1 접착 필름 130: 제2 접착 필름
200: 전도성 발열 패턴
300: 투명기재
400: 점착 필름
500: 이형 필름

Claims (25)

  1. 제1 접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제2 접착 필름과 투명기재를 합지하여 상기 제1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2 접착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되고, 외부자극 전 점착력을 기준으로 외부자극에 의한 점착력의 감소율이 30% 이상인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점착 필름을 라미네이션하여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을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점착 필름에 외부자극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 필름은 서로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필름 상에 제2 접착 필름과 투명기재를 합지하여 상기 제1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상기 제2 접착 필름을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제1 접착 필름의 일면 및 상기 제2 접착 필름의 일면에 투명기재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합지하는 단계인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극은 열, 광조사, 압력 및 전류 중 1 이상인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극은 자외선조사인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은 점착 수지, 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로 제조된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기재 상에 점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발열체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점착 필름 상에 전도성 발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 및 후 중 적어도 하나에 암색화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열체의 제조방법.
  12. 제1 접착 필름; 제2 접착 필름; 및 제1 접착 필름 상에 구비된 전도성 발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 필름은 상기 제1 접착 필름의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이 구비된 제1 접착 필름의 일면 및 상기 제2 접착 필름의 일면에 구비된 투명기재를 더 포함하는 발열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필름 및 상기 제2 접착 필름은 서로 조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인 발열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 위 및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과 제1 접착 필름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암색화 패턴을 더 포함하는 발열체.
  2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패턴의 선고는 0.3㎛ 이상 10㎛ 이하인 것인 발열체.
KR1020160075220A 2016-06-16 2016-06-16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1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20A KR102101056B1 (ko) 2016-06-16 2016-06-16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6/084,844 US10964445B2 (en) 2016-06-16 2016-12-23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6/015173 WO2017217627A1 (ko) 2016-06-16 2016-12-23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548795A JP6911267B2 (ja) 2016-06-16 2016-12-23 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6905611.6A EP3474628B1 (en) 2016-06-16 2016-12-23 Heating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680084530.6A CN108886843B (zh) 2016-06-16 2016-12-23 加热元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220A KR102101056B1 (ko) 2016-06-16 2016-06-16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028A KR20170142028A (ko) 2017-12-27
KR102101056B1 true KR102101056B1 (ko) 2020-04-14

Family

ID=6066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220A KR102101056B1 (ko) 2016-06-16 2016-06-16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64445B2 (ko)
EP (1) EP3474628B1 (ko)
JP (1) JP6911267B2 (ko)
KR (1) KR102101056B1 (ko)
CN (1) CN108886843B (ko)
WO (1) WO2017217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247A1 (ja) * 2018-07-06 2020-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熱板、導電体付きフィルム、合わせ板、デフロスタ、移動体及び発熱板の製造方法
KR20200006229A (ko) * 2018-07-10 2020-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7310370B2 (ja) * 2018-08-02 2023-07-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発熱板、導電体付きフィルム及び発熱板の製造方法
CH717849B1 (fr) * 2020-09-15 2024-06-14 Graphenaton Tech Sa Dispositif de chauffage d'un bâtiment.
KR102311144B1 (ko) * 2021-02-05 2021-10-13 김경태 직접 인쇄방식에 의한 발열 커버를 제조하는 방법
CN113207203A (zh) * 2021-04-19 2021-08-03 安徽精卓光显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无基材加热膜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1751A (en) * 1980-07-24 1982-11-30 Ppg Industries, Inc. Electroconductive window having improved bus bar
DE3378099D1 (en) * 1982-06-24 198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anel heater
TW250618B (ko) * 1993-01-27 1995-07-01 Mitsui Toatsu Chemicals
JP3495211B2 (ja) * 1996-12-16 2004-02-09 京セラ株式会社 配線基板形成用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4597323B2 (ja) * 2000-07-07 2010-12-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紫外線硬化性粘着シート
DE10333618B3 (de) * 2003-07-24 2005-03-24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Substrat mit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Beschichtung und einem Kommunikationsfenster
JP4349952B2 (ja) 2004-03-24 2009-10-21 京セラ株式会社 ウェハ支持部材とその製造方法
NL1029484C2 (nl) * 2005-07-11 2007-01-12 Ferro Techniek Holding Bv Verwarmingselement voor toepassing in een inrichting voor het verwarmen van vloeistoffen.
JP2008077879A (ja) 2006-09-19 2008-04-03 Fujifilm Corp 透明フレキシブルフィルムヒー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340752B (zh) * 2007-07-04 2011-05-04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元件
KR100964028B1 (ko) 2008-02-21 2010-06-15 주식회사 케이엔더블유 접착시트 방식의 금속합지유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09116787A2 (ko) 2008-03-17 2009-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NL2001806C2 (en) * 2008-07-15 2010-01-18 Otter Controls Ltd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heating element.
DE102008034748A1 (de) * 2008-07-24 2010-01-28 Tesa Se Flexibles beheiztes Flächenelement
DE102008063849A1 (de) * 2008-12-19 2010-06-24 Tesa Se Beheiztes Flächen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Befestigung
KR101083140B1 (ko) * 2009-06-17 2011-11-11 (주)거명 아크릴계 다이싱용 점착제 조성물
CN102687586B (zh) * 2009-12-29 2016-09-21 Lg化学株式会社 加热元件及其制造方法
KR101089631B1 (ko) * 2011-06-14 2011-12-06 주식회사 이녹스 반도체 패키지용 접착필름
JP2013069835A (ja) * 2011-09-22 2013-04-18 Asahi Glass Co Ltd 連結基板の製造方法
KR20130032659A (ko) * 2011-09-23 2013-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투명발열장치
US9302452B2 (en) 2012-03-02 2016-04-05 Ppg Industries Ohio, Inc. Transparent laminates comprising inkjet printed conductive lin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JP5766335B2 (ja) 2013-07-01 2015-08-19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熱伝導シートの製造方法、熱伝導シート、及び放熱部材
TWI629914B (zh) * 2013-11-29 2018-07-1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加熱元件及其製造方法以及車輛用窗
JP6378501B2 (ja) 2014-03-05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KR101769183B1 (ko) * 2014-06-30 201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필름
KR101865441B1 (ko) * 2014-09-29 2018-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9869B1 (ko) 2014-11-27 2016-01-04 한국기계연구원 투명전극을 이용한 발열유리의 제조방법
US20160347028A1 (en) * 2015-05-26 2016-12-0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Stacked plate for windo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tacked plate for window
FR3048151B1 (fr) * 2016-02-19 2018-02-23 Gerflor Structure multicouche pour la realisation d'un revetement de sol ou de mur chauffant
WO2018097321A1 (ja) * 2016-11-28 2018-05-31 リンテック オブ アメリ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三次元成形用発熱シート、および表面発熱物品
WO2019078258A1 (ja) * 2017-10-20 2019-04-25 Agc株式会社 車両用合わせガラス
JP7173429B2 (ja) * 2018-03-23 2022-11-16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4105A1 (en) 2019-03-07
JP6911267B2 (ja) 2021-07-28
EP3474628A4 (en) 2019-11-06
WO2017217627A1 (ko) 2017-12-21
EP3474628B1 (en) 2021-10-13
JP2019514156A (ja) 2019-05-30
EP3474628A1 (en) 2019-04-24
CN108886843B (zh) 2021-05-28
CN108886843A (zh) 2018-11-23
KR20170142028A (ko) 2017-12-27
US10964445B2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056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65098B2 (en) Optical adhesive sheet
KR20160060595A (ko) 내열성 점착 시트 및 기능성 필름의 제조 방법
JP6835334B2 (ja) 発熱体
WO2020230774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JP2019065253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積層体
KR102098446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6743901B2 (ja) 発熱体の製造方法
KR102167923B1 (ko) 발열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5771970B2 (ja) 光学用粘着剤及び光学用粘着シート
KR20200006228A (ko) 발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6229A (ko) 발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287202U (zh) 一种保护膜及cop组件
JP6743900B2 (ja) インク組成物、これで製造された硬化パターン、これを含む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59821A (ja) 液晶表示装置用偏光板
JP2017155140A (ja) 両面粘着シート
KR20190040617A (ko) 전도성 패턴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155139A (ja) 両面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