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295B1 -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295B1
KR102100295B1 KR1020190087413A KR20190087413A KR102100295B1 KR 102100295 B1 KR102100295 B1 KR 102100295B1 KR 1020190087413 A KR1020190087413 A KR 1020190087413A KR 20190087413 A KR20190087413 A KR 20190087413A KR 102100295 B1 KR102100295 B1 KR 10210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soybean
alleviating
germinated fermented
present
soybea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944A (ko
Inventor
이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바이오
Publication of KR2019008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메스테롤을 함유하는 발아발효콩 추출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아발효콩 추출물은 간독성에 대하여 in vitro 항산화활성과 세포생존율 그리고 동물모델의 혈액학적 검사, MDA, GST, GSH, SOD, CAT등의 측정을 통해 간세포 보호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골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켜 골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해면골의 두께와 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Germinated Fermented Soybean Extract Having Effect of Protecting Liver Cells and Increasing Bone Density Containing Coumesterol,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본 발명은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식품 중에서 체내 지질 및 갱년기 장애 개선효과가 있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하여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나는 간독성에 대하여 in vitro 항산화활성과 세포생존율 그리고 동물모델의 혈액학적 검사, MDA(malone dialdehyde), GST(glutathione S-transferase), GSH(환원형글루타치온), SOD(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등의 측정을 통해 간세포 보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해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의 개선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혈중 칼슘과 인의 농도, 골 형성 지표인 ALP 활성, 골량(Bone mineral content)을 확인하였고, 해면골의 다양한 지표를 Micro-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발효발아콩 추출물은 혈중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므로 인해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고, in vitroin vivo 실험에서 간세포 보호 효과와, 골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켜 골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해면골의 두께와 수가 증가한다.
콩류의 이소플라본 중의 다이드제인(didzein)에 쿠메스테롤 성분이 들어 있으며 여성 호르몬 균형 및 함량을 조절하여 유방암과 자궁암을 예방해 주며 폐경기를 늦추거나 이와 관련된 여러 증상을 완화시킨다.
인구의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 진전속도가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 진행속도가 매우 빨라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경제성장에 따른 건강 증진의 결과로 인한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수명의 연장과 지적 수준의 향상 등으로 여성의 폐경기와 폐경 후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 또한 점점 고조되고 있다. 폐경의 주요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불안증, 우울, 신경과민.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및 기억력 감퇴 등의 증상이 대표적이며 이러한 증상의 원인은 에스트로겐의 생산과 분비가 중단되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의 예방책으로 호르몬 대체요법(estrogen replacement therapy)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법, 용량, 안전성 등에 대한 결과는 없다.
천연 식품 중의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생식 호르몬 유사물질로 폐경기 증상 및 골다공증 예방 가능성이 주목 받기 시작하면서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 estrogen 대체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많이 연구, 보고되고 있다. 현재 폐경기 증상 치료에 합성 estrogen 대체 요법이 이용되면서, 대부분의 여성들은 재 월경 현상, 유방의 연화 및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고, 천연 식품 속에서의 식물성 estrogen 유사물질을 가진 식품섭취를 통한 폐경기 증상 완화는 부작용 해소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이소플라본과 리그난을 포함하며, 콩, 과일, 채소, 땅콩, 곡물 등의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화합물이다. 이소플라본은 체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약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생리 효과를 가지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일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콩에서 추출한 이소플라본은 식물 내에서는 주로 glycoside로 존재하며, 인체 내로 흡수되면서 glycosidase에 의해 아글리콘 형태의 제니스테인과 다이드제인으로 변화되어 estrogenic property를 갖게 된다.
여성의 건강과 관련하여 이소플라본의 섭취는 기존의 에스트로겐 치료제와 달리 부작용 없이 폐경기 증상을 완화시키고, 혈청 지질 농도 및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보이는 여성에서 심혈관계 위험도와 혈중 지질과 산화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3471(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등에 대한 조성물에 관한 세포실험(in vitro)의 실험 결과이며, 본원발명에서 상기의 세포실험을 확인하고자 동물실험(in-vivo)을 통해 갱년기 증상 개선 및 간세포 보호 효과 등을 확인하고자 개량 및 개선된 발아발효콩 추출물로 진보된 방법과 결과를 얻고자 하는 목적입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4-0053471
1. Starzec, J,J, and D.F. Berger, Effects of stress and ovariectomy on the plasma cholesterol, serum triglyceride, and aortic cholesterol levels of female rats, Physiol Behav. 1986.37(1): p.99-104. 2. Ettinger, B., Overview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 historical perspective. Proc Soc Exp Biol Med. 217(1): p.2-5. 3. Baker, M.E.,K.L. Medlock, and D.M. Sheehan, Flavonoids inhibit estrogen binding to rat alpha-fetoprotein. Proc Soc Exp Biol Med. 1998. 217(3): p.317-21. 4. Boker, L.K., et al., Intake of Dietary Phytoestrogens by Dutch women. J Nutr. 2002. 132(6): p.1319-28. 5. Morito, K., et al., Interaction of Phytoestrogens with estrogen receptors alpha and beta, Biol Pharm Bull. 2001. 24(4); p.6-11. 6. Albertazzi, P., et al., The effect of dietary soy supplementation on hot flushes, Obstet Gynecol. 1988. 91(3): p.389-94. 7. Han, K,K., et al., Benefits of soy isoflavone therapeutic regimen on menopausal symptoms, Obstet Gynecol. 2002. 99(3): p.389-94. 8. Petri Nahas, E., et al., Benefits of soy germ isoflavone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contraindication for convention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aturitas. 2004. 48(4): p.372-80. 9. Kaari, C., ey al.,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conjugated equine estrogens and isoflavones in postmenopausal women: a pilot study, Maturitus. 2006. 53(1): p.49-58. 10. Cheng, G., et al., Isoflavone treatment for acute menopausal symptoms, Menopause. 2007.14(3Pt1): p.468-73. DJ., et al., Effect of soy protein foods on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nd ex vivo sex hormone receptor activity - - a controlled crossover trial. Metabolism. 2000.49(4): p.537-43. 12. Kotsopoulos, D., et al., The effects of soy protein containing phytoesterolemic and mildly hypercholesterolemic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2001.55(21): p.8589-95. 13. Wangen, K.E., et al., Soy Isoflavones improve plasma lipids in normocholesterolemic and mildly hypercholesterolemic postmenopausal women. Am J Clin Nutr. 2001.73(2): p.225-31. 14. Feng, S., et al., Fungal-stressed germination of black soybeans leads to generation of oxooctadecadienoic acids in addition to glyceollins, J Agric Food Chem. 2007.55(21): p.8589-95. 15. Rosalki, S.B. and A.Y.Foo. Two new methods for seperating and quantifying bone and liver alkaline phosphatase isoenzymes in plasma, Cli Chem. 1984. 30(7): p.1182-6.
본 발명은 발효발아콩 추출물을 이용하여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고, 간세포 보호 효과와, 골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경제성장에 따른 건강 증진의 결과로 인한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수명의 연장과 지적 수준의 향상 등으로 여성의 폐경기와 폐경 후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 또한 점점 고조되고 있다. 폐경의 주요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불안증, 우울, 신경과민.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및 기억력 감퇴 등의 증상이 대표적이며 이러한 증상의 원인은 에스트로겐의 생산과 분비가 중단되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의 예방책으로 호르몬 대체요법(estrogen replacement therapy)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법, 용량, 안전성 등에 대한 결과는 없다. 더욱이 폐경기의 여성에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마땅한 약품이나 건강식품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폐경기의 여성에 간세포 보호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쿠메스테롤을 함유한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하여 폐경기의 여성에 간세포 보호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in vivo 실험을 통해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날 수 있는 골 손실 개선 및 폐경기의 여성에 간세포 보호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혈중 칼슘과 인의 농도, 골 형성 지표인 ALP 활성, 골량(Bone mineral content)을 확인하였고, 해면골의 다양한 지표를 Micro-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의 isoflavone이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갱년기 증상이 완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증가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갱년기 장애 시 나타나는 간독성에 대하여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세포생존율 그리고 동물모델의 혈액학적 검사, MDA, GST, GSH, SOD, CAT등의 측정을 통해 간세포 보호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투여가 골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골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해면골의 두께와 수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의 isoflavone이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갱년기 증상이 완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혈액 내 중성지방의 농도와 포도당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의 투여가 갱년기 비만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고농도의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투여가 에스트로겐 투여와 비슷한 수준으로 골다공증의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인간의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생체의 산화적 손상은 catalase, SOD, GSH, GST와 같은 항산화 효소들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위적 간 손상을 가진 동물모델을 가지고 간효소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SOD, GSH, GST, MDA등 t-BHP만 투여한 간손상 모델에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 및 증가를 나타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에스트로겐을 투여한 군의 체중 증가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혈청 지질, 콜레스테롤 및 포도당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호르몬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골대사 지표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골염량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골 미세 구조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Micro-CT를 이용하여 촬영한 2D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의 sep-pak을 이용한 분리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발아발효콩 추출물(대조시료)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시험시료)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발아발효콩 추출물(대조시료)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시험시료)의 t-BHP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발아발효콩 추출물(대조시료)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시험시료)의 ROS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동물모델 혈액학적검사 AST(GOT), ALT(GPT)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재료 및 방법
1.1.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발아발효콩은 휴바이오로부터 제공받았다. 제주 농업기술원(Jeju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으로부터 얻은 대두를 선행연구에 따라 발아시키고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는다. 수세, 정선 및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 과정을 거친 뒤, 건조 하여 실험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시료의 제조
대두는 수세, 정선, 발아 및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한 발효과정을 거쳐 여과한 뒤 60 ℃에서 건조하였다. 건조시료 10 g에 80 %(v/v) 에탄올을 7 mL/g으로 가하여 분해한 뒤, 초음파를 이용한 열수추출을 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을 이용하여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얻었고, 이를 PTFE membrane으로 여과한 뒤, 건조하여 시료를 얻었다. 위 시료를 3차 증류수에 녹여 동물실험에 사용하였다.
1.3.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8주령의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를 대한바이오링크(대전)로부터 구입하여 본 실험실에서 고형사료(Purina)로 사육하였고, 실험 시작 전 2주일 동안 대조군 식이로 적응시킨 후 동물의 체중에 따라 각 군의 평균 체중을 289.72±0.86 g이 되도록 7마리씩 6군[난소절제 대조군(Negative control), 비 난소절제 대조군(Sham), 에스트로겐 투여군(OVX-estrogen),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0.5 g/kg 투여군(OVX-0.5),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1.0 g/kg 투여군(OVX-1.0)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 투여군(OVX-2.0)]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사육케이지(20×26×13 cm)를 이용해 실험실 온도 22-24℃, 습도 60±5%가 유지되며 밤낮 주기(12 시간 light/ 12 시간 dark)가 자동 조절 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고려대학교 동물실에서 사육하며 고려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 '실험동물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지침(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 NRC)'에 맞추어 관리하면서 실시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 공급하였고, 실험 시료는 3차 증류수에 용해하여 매일 3 ml씩 경구 투여 하였고, 대조군(Negative-control, sham)은 동일용량의 3차 증류수를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1.4. 난소 절제 시술
2주일 동안 주위환경에 적응시켜 체중에 따라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에 의해 군을 나누어 난소절제 시술을 하였다. 수술은 isoflurane으로 마취 후 심마취기에 이르면 등쪽 옆구리를 절개하여 난소를 제거하고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비 난소절제 대조군(Sham)의 경우, 같은 방법으로 난소 옆의 지방을 제거하고 절개부위를 봉합하였다. 시료는 수술 후 2주간의 회복기를 가진 후에 경구 투여하였다.
1.5. 혈청 지질 농도 및 효소 활성 분석
분리한 혈청의 중성지방(TG), 총 콜레스테롤(TCHO),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 포도당(GLU)은 FUJI DRI-CHEM 35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GOT), Glutamate pyruvate transmaminase(GPT) 활성 또한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6. 호르몬 측정
혈장 내 estradiol, testosterone의 양은 ELISA법을 이용하여 각각 rat estradiol Elisa kit(Enzo life science, NY, USA)과 rat testosterone Elisa kit(Enzo life science, NY, USA) 로 측정하였다.
1.7. 골대사 지표 측정
골형성 지표로 혈장 칼슘과 인의 농도, 혈장 alkaline phosphatase(ALP)의 농도는 FUJI DRI-CHEM 3500로 측정하였으며 BONE-alkaline phosphatase(BONE-ALP)은 선행 연구에 따라 측정하였다. 대퇴골을 건조, 제지방 과정을 거쳐 회화하였고, 그 후 대퇴골의 골염량을 측정하였다.
1.8. 골조직 형태 측정: Micro-CT 촬영
희생 쥐의 경골 중 성장판으로부터 1mm 떨어진 부위를 2mm 높이 부분을 Micro-CT(Skyscan1072, SKYSCAN, Antwerpen, Belgium)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촬영 관전압은 50 kVp, 관전류는 500 μA, 0.5 mm 알루미늄 여과를 이용하였고, 촬영시간은 210 ms이었으며, 화소 크기(pixel size)는 18 μm였다. 개개의 영상에서 골소주와 골수강을 분리하기 위해 역치값(threshold value)을 58로 고정하였으며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Micro-CT로 촬영된 영상들로부터 SkyscanTM CT-analyzersoftware가 사용되어 골 미세 구조 지표들이 분석되었다. 이용 분석된 지표들은 Percent bone volume(BV/TV(%)), trabecular number(Tb.N(㎜-1)), trabecular thickness(Tb.Th(μm)), trabecular separation(Tb.Sp(μm)), trabecular pattern factor(Tb.pf(㎜-1)), and structure model index(SMI) 이었다.
1.9. 통계처리
연구결과 얻어진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집단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Negative-control 군에 대한 T-test를 실시하였다. 측정값은 평균 표준오차로 표기하였으며, p<0.05, p<0.01, p<0.001 은 각각 *, **, *** 로 표기되었다.
<실시예 1> 실험결과
2.1. 체중 변화 및 식이섭취량
6 주간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비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난소절제술로 갱년기를 유도한 모든 군에서 체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했다(도 1). 비 난소절제 대조군의 체중 증가량은 20.4 ± 3.3 g 이고, 이에 비해 난소절제 대조군,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0.5 g/kg, 1.0 g/kg, 2.0 g/kg로 투여한 군의 체중 증가량은 각각 39.8 ± 11.1 g, 42.2 ± 4.5 g, 34.0 ± 5.6 g, 36.8 ± 4.3 g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스트로겐을 투여한 군의 체중 증가량은 12.1 ± 8.7g 으로, 비교적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식이섭취량 변화에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소절제 대조군, 비 난소절제 대조군, 에스토로겐 투여군은 각 Neg.C, Sham, Estradiol로 표기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0.5g/kg, 1.0g/kg, 2.0g/kg 투여군은 각각 0.5, 1.0, 2.0으로 표기하였다. 수치는 평균 ± 표준오차로 표기하였다.
2.2. 혈청 지질 농도 및 효소 활성 분석
여성 갱년기와 마찬가지로, 난소절제를 실시한 그룹에서는 에스트로겐 분비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때 신체는 감소한 에스트로겐 분비를 보강하기 위하여 에스트로겐을 생산할 수 있는 지방 세포를 많이 축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갱년기 비만이 유도된다. 갱년기 비만의 지표로 혈액 내의 지질, 콜레스테롤, 포도당 농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0.5 g/kg, 1.0 g/kg, 2.0 g/kg로 투여한 군의 중성 지방 수치는 각각 62.5 ± 21.3 mg/dl, 59.0 ± 8.5 mg/dl, 55.8 ± 8.8 mg/dl으로, 비 난소절제 대조군 66.8 ± 12.6 mg/dl과 유사한 수치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1.0 g/kg, 2.0 g/kg로 투여한 경우 각각 139.5 ± 9.6 mg/dl, 136.7 ± 6.5 mg/dl으로 수치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cholesterol pool이 커져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도 2를 살펴보면, 혈중 포도당의 농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군에서 98.3 ± 16.1 mg/dl, 123.3 ± 14.4 mg/dl, 112.8 ± 6.6 mg/dl으로 난소절제 대조군의 혈중 포도당 농도인 162.7 ±18.6 mg/dl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액 내 중성지방의 농도와 포도당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보아, 발아발효콩의 투여가 갱년기 비만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GOT, GPT는 간에서 만들어지는 정상 효소이다. 간이 손상 받을 경우 간세포가 깨지면서 이 효소들이 혈액으로 유리되어 정상보다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은 대표적인 간 독성의 지표로 사용된다. 하기 표 1을 살펴보면 혈청 GOT, GPT 활성 분석은 그룹 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시료의 처리가 간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Toxicity Sham Neg.C Estradiol 0.5 1.0 2.0
GOT(U/L) 92.00±10.42 76.57±7.28 63.71±5.89 62.71±6.35 74.00±3.91 69.14±5.11
GPT(U/L) 28.43±3.90 23.86±1.58 31.00±3.72 22.00±6.25 23.86±0.59 26.43±5.42
2.3. 호르몬 측정다양한 갱년기 증상의 원인은 난소의 노화로 인한 에스트로겐 생산과 분비의 감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의 투여의 갱년기 증상을 완화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증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3.1. 에스트로겐
비 난소절제 대조군의 에스트로겐 농도 1020.0 ± 63.6 pg/ml와 비교하여 난소절제 대조군의 에스트로겐 농도가 500.3 ± 27.8 pg/ml인 것으로 보아, 난소절제를 통해 에스트로겐 농도가 유의적으로(p < 0.001)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투여군의 경우, 비 난소절제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인 1134.1 ± 205.8 pg/ml로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본 발명의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투여한 세 군 모두 난소절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1577.1 ± 341.6 pg/ml, 2358.6 ± 191.8 pg/ml, 938.5 ± 51.2 pg/ml 유의적으로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하였다(도 3).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이 에스트로겐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갱년기 증상이 완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2.3.2. 테스토스테론
테스토스테론은 대표적인 동화 호르몬(Anabolic hormone)으로, 근육대사와 지방대사에 관여한다. 이 호르몬의 수치가 낮아질 경우, 체내 근육량이 감소하여 기초대사량이 낮아지고 비만을 쉽게 야기하게 된다. 또한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인 피부 각질화를 유도하게 된다. 도 3을 살펴보면, 난소절제를 실시한 모든 군에서 비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 중 에스트로겐 투여군과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1.0 g/kg로 투여한 군에서는 각각 2797.8 ± 517.3 pg/ml, 1969.8 ± 164.2 pg/ml의 테스트스토스테론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그룹들의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난소절제 대조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증가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2.4. 골대사 지표 측정
도 4를 보면, 혈중 칼슘 농도는 그룹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인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1.0 g/kg를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 < 0.05)).
Alkaline phosphatase(ALP)는 골대사에 관여하는 조 골세포의 biomarker이다. 골다공증과 같이 골대사가 급격히 증가하는 질병이 있을 경우, ALP의 수치 또한 증가하게 된다. 난소절제 대조군의 혈중 ALP 수치는 454.0 ± 69.9 U/L으로 비 난소절제 대조군의 혈중 ALP 수치 340.2 ± 33.31 U/L에 비해 증가하였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0.5 g/kg를 투여한 군에서 260.0 ± 646.9 U/L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ALP 활성을 보였다(p < 0.05). 또한,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0.5 g/kg를 투여한 군에서 Bone-ALP의 수치가 140.8 ± 58.5 U/L로 나타나, 유의적으로(p < 0.05) 낮 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를 살펴보면, 6주간의 경구투여를 실시한 뒤, 난소절제 대 조군에서 비 난소절제 대조군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p < 0.05) 골염량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1.0 g/kg, 2.0 g/kg로 투여한 군에서 각각의 골염량은 61.3 ± 0.36%, 60.8 ± 0.31%으로 나타났다. 이는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골염량이 증가한 수치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투여가 골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 골조직 형태 측정: Micro-CT 촬영
난소절제를 한 모든 군에서 비 난소절제 군에 비해 percent bone volume(BV/TV(%)), trabecular number(Tb.N(mm-1)), trabecular thickness(Tb.Th(μm))의 수치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스트로겐 투여군과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 투여한 군에서 난소절제 대 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그 수치들이 증가하였다. BV/TV 의 경우, 난소절제 대조군에서 13.7 ± 1.3%로 감소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를 투여한 군의 BV/TV 가 23.3 ± 1.3%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 < 0.01)(도 6). Tb.N 의 경우, 난소절제 대조군에서 1.17 ± 0.09 mm-1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를 투여한 군에서 1.69 ± 0.15 mm-1로 에스트로겐 투여군과 유사한 수치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Tb.Th의 경우, 난소절제 대조군에서 0.12 ± 0.00 mm-1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에스트로겐 및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농도에서 Tb.Th 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6).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투여한 쥐에서 골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했고, 해면골의 두께와 수가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을 보면, Trabecular separation(Tb .Sp(μm)), trabecular pattern factor(Tb.pf(㎜-1))와 structure model index(SMI)의 경우 난소절제를 한 모든 군에서 비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그 수치들이 증가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 투여한 군에서 Tb.Sp 수치는 0.70 ± 0.10 으로 나타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이 결과를 통해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골다공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면골의 분산도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Tb.pf의 경우, 에스트로겐 투여군과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 투여한 군에서 난소절 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1, p < 0.05) 감소했다. 그 수치는 각각 0.76 ± 0.48 ㎜-1, 0.63 ± 1.25 ㎜-1 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tructure model index(SMI)의 경우, 에스트로겐 투여군과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 투여한 군에서 각각 1.54 ± 0.07 , 1.53 ± 0.10 으로, 난소절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1) 감소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 2.0 g/kg 투여가 에스트로겐 투여와 비슷한 수준으로 골다공증을 예방효과가 있음으로 예상한다.
3. 간 독성 모델의 항산화 효과
3.1. In vitro 항산화 활성(DPPH, ABTS, Polyphenol)측정 결과
하기 표 2를 살펴보면 각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상화 활성은 휴바이오에서 제공한 발아발효콩 추출물(대조시료)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아발효콩 추출물(시험시료)의 항산화 활성 및 Polyphenol함량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In vitro 항산화 활성(DPPH, ABTS, Polyphenol) 측정결과
IC50 Valued ABTS(㎎/㎖) DPPH(㎎/㎖) Polyphenol(μg/ml)
GFS 추출물(대조시료) 4.2936±0.03 2.4272±0.04 324.09±9.43
에탄올 분해 GFS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시험시료) 2.522±0.01 0.7366±0.19 684.61±8.94
아스콜빈산(IC50,㎍/㎖) 68.2545±0.95 30.6857±1.87 -
3.2 실험 재료(Germinated Fermented and Soybeans : GFS)의 분리 및 정제도 8을 살펴보면, 항산화 활성이 높게 측정된 에탄올 분해 GFS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Sep-pak을 이용하여 물질 분리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Metanol 30%와 70%에서 높은 Polyphenol 함량을 보여주었다. 또한, 하기 표 3을 살펴보면 항산화 활성 측정 방법인 ABTS 결과 Methanol 70%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은 In vitro 항산화 활성(ABTS IC50 value, Polyphenol)측정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EtOH 분해 GFS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분획 1 분획 2 분획 3 분획 4 분획 5 분획 6
ABTS(㎎/㎖) 2.96±0.07 1.16±0.01 1.09±0.03 0.68±0.01 5.62±0.07 1.09±0.09
Polyphenol(㎍/㎖) 383.1396±7.61 256.7509±1.63 298.9451±2.65 261.6921±1.73 92.8187±1.55 988.1484±9.67
(Ascorbic acid(IC50 ug/ml): 2.13±0.06)3.3. HepG2 cell을 이용한 t-BHP로 인한 손상으로부터의 시료의 보호 활성 측정3.3.1. 세포생존율
MTT assay는 노란색의 가용성 tetraz olium 염이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succina dehydrogenase에 의해 파란색의 불용성 formazan 생성물로 환원되는 원리는 이용한 실험 방법으로 formazan의 흡광도는 540 nm의 파장에서 최대가 된다.
이 파장에서 측정된 흡광도는 살아있고 대사적으로 왕성한 세포의 농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미토콘드리아 활성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MTT는 세포 독성도 조사로 시험물질에 어느 정도 독성을 나타내는지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시험물질이 독성이 있어 미토콘드리아가 파괴되면 흡광도 값이 낮게 나타난다.
도 9A를 보면, HepG2 cell에 발아발효콩 추출물(대조시료)만 처리한 경우에는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100%) 비교하였을 때, 발아발효콩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0.0312(98.52 ± 3.64), 0.0625(97.08 ± 2.93), 0.125(94.44 ± 1.72), 0.25(96.46 ± 2.86), 0.5(96.19 ± 3.03)㎎/㎖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약간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9B를 보면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시험시료)을 이용하여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의 세포생존율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도 10의 A를 보면, HepG2 cell을 이용하여 발아발효콩 추출물(대조시료)과 t-BHP를 처리한 경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t-BHP만 처리한 세포의 경우에는 약 60% 정도 낮게 나왔으며 t-BHP만 처리한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발아발효콩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는 t-BHP만 처리한 세포와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하지만, 도 10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시험시료)을 t-BHP만 처리한 세포(64.67 ± 0.7 8%)와 비교하였을 때는 농도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0.0625( 80.11 ± 0.90%), 0.125(82.67 ± 0.84%), 0.25(83.52 ±1.98%), 0.5(82.54 ± 2.58%)㎎/㎖.
3.4. HepG2 cell을 이용한 ROS(reactive oxygen species) 측정
DCFH-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는 세포내의 활성산소(ROS)와 반응하여 강한 형광물질인 DCF(dichlorofluorescein)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DCF에 의한 형광도를 측정함으로써 ROS의 상대적인 량을 추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시험시료)에 대한 ROS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로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t-BHP 1mM을 1시간 동안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여기에 25 μM의 DCFH-DA를 60분 동안 넣은 후에 DCF의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과 같다. 도 11을 살펴보면, Normal(100 ± 1.00%)에 비해 t-BHP 처리에 의해(267.62 ± 2.68%)로 형광도가 증가 하였고,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전처리에 의해서 0.5㎎/㎖(195.24 ± 1.95%), 0.25㎎/㎖(195.24 ± 1.95%), 0.125㎎/㎖(240 ± 2.41%), 0.0625㎎/㎖(252.80 ± 2.53%)로 가장 높은 농도부터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어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3.5. 동물모델을 이용한 혈액학적 검사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고 t-BHP투여한 군의 혈액 생화학적 검사결과는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Total Cholestrol, LDH, Total Bilirubin, ALP, ALT 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표 4)가 나타났다. LDH는 해당계 효소로서 체내의 각 조직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심장, 간장, 신장 및 근육에 존재하는 혈 청중 LDH는 심질환, 간질환 악성종양 및 백혈병 등에서 증가하나 특이성이 낮다. 급성간염에서는 AST, ALT와 동일하게 간세포로부터 빠져나와서 급성간염초기에 증가되며 만성간염 및 간경변증에서는 정상이거나 경도로 증가한다. 간장애를 나타내는 지표 중의 하나인 AST와 ALT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ALT와 AST는 간세포 누출효소로 간세포의 괴사와 간 조직의 파괴가 진행됨에 따라 효소가 혈중으로 유리되어 나타나므로 간독성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도 12는 AST(GOT)와 ALT(GPT) 활성을 측정한 결과다. AST는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0.5 g/kg(83.20 ± 2.86 U/L), 1g/kg(81.80 ± 6.72U/L)로 농도 유의적 변화는 없었지만, 시료 처리군에서 t-BHP만 처리한 군(94.25 ± 7.37 U/L)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ALT는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0.5g/kg(33.71 ± 5.59 U/L), 1g/kg(38.17 ± 4.49 U/L)로 농도 유의적 변화는 없었지만, 시료 처리군에서 t-BHP만 처리한 군(48.25 ± 16.19 U/L)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Treatment TCHO(mg/dl) LDH(U/Liter) TBIL(mg/dl)
Normal 80.00±7.81abc 123.33±21.83b 0.48±0.05ab
t-BHP Control 85.25±3.77a 227.0±46.66a 0.60±0.22a
Silymarin 80.8±6.87ab 141.33±24.34b 0.54±0.05ab
GFS(시험시료) 0.5g/kg+t-BHP 66.29±9.89bc 127.0±27.38b 0.49±0.07bc
GFS(시험시료) 1g/kg+t-BHP 64.63±7.89c 102.20±16.83b 0.41±0.04c
3.6. 동물모델을 이용한 MDA 측정결과지질 과산화는 생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superoxide anion radical로부터 유래하는 각종의 free radical에 의해 세포막의 다가 불포화지방산이 과산화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불포화지방산은 과산화 과정을 통해 분해되어 MDA를 생성하므로 이를 지질과산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삼는다. 간조직의 경우,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후 t-BHP를 투여한 군은 시료 투여농도 0.5g/kg(34.25 ± 5.80), 1g/kg(32.68 ± 12.57)에서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t-BHP만 투여한 군(44.66 ± 1.94)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7. 동물모델을 이용한 GST 측정결과
GST는 신체의 거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고 간의 해독작용 뿐만 아니라 많은 신진대사에 관여 하는 효소이다. 특히 GST는 전자친화성 기질을 GSH에 결합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GST측정 결과,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후 t-BHP를 투여한 군 0.5g/kg, 1g/kg, t-BHP만 투여한 군(25.68 ± 4.28)과 비교하였을 때, 시료 투여농도 0.5g/kg(33.65 ± 12.97), 1g/kg(48.43 ± 8.90)에서 시료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t-BHP투여한 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는 1g/kg에서만 나타났다.
3.8. 동물모델을 이용한 GSH 측정결과
GSH는 체내에서 해독기능, 면역기능, 항산화 기능등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체에서는 매우 중요한 해독제이며 강력한 항산화제이다. GSH 측정 결과,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후 t-BHP를 투여한 군(0.5g/kg, 1g/kg)과, t-BHP만 투여한 군(21.07 ± 8.33)을 비교하였을 때, 시료 투여농도 0.5g/kg(25.12 ± 2.44), 1g/kg(24.40 ± 2.52)에서 시료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 증가는 없었다. 또한 t-BHP투여한 군과 시료를 투여한 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약간의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9. 동물모델을 이용한 SOD 측정결과
SOD는 superoxide anion(O2)를 H2O2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하는 효소로서, cytosol과 mitochondria에 존재한다. Cytosol에는 Cu/Zn-SOD만이 존재하나 mitochondria의 matrix에는 Mn-SOD가, 내막과 외막 사이에는 Cu/Zn-SOD가 소량 존재 한다. SOD측정 결과,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후 t-BHP를 투여한 군(0.5g/kg, 1g/kg)과, t-BHP만 투여한 군(23.11 ± 1.71)을 비교하였을 때, 시료 투여농도 0.5g/kg(27.35 ± 3.32), 1g/kg(25 .67 ± 0.02)에서 시료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 증가는 없었다. 또한 t-BHP 투여한 군과 시료를 투여한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있다. 다만,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3.10. 동물모델을 이용한 CAT 측정결과
Catalase는 SOD의 작용이나 O2의 환원으로 생성된 H2O2를 무독성의 H2O로 환원시켜 산소의 독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효소로서 대부분 peroxisome에 존재하고 mitochondria에도 소량 존재한다. CAT측정 결과, 본 발명의 EtOH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후 t-BHP를 투여한 군 0.5g/kg, 1g/kg, t-BHP만 투여한 군(182.24 ± 19.29)과 비교하였을 때 시료 투여농도 0.5g/kg(204.49 ± 41.51), 1g/kg(293.19 ± 61.02) 에서 시료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의적 증가하였다. 또한 t-BHP투여한 군과 시료를 투여한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있으며, 시료를 투여한 군에서 농도의존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적용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이외에 약리학적, 건강기능식품법, 식품위생법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안정제, 유화제, 첨가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경고제, 과립제, 산제, 정제, 또는 캡슐제 등의 경구용으로 만들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량은 해당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용도, 사용목적, 환자의 상태, 나이, 성별, 체중, 처방약, 질병)에 따라 조절해야 한다.
<적용예 1>; 제제
제제는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에 약사법에서 허용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섞어 제제로서 산제, 정제, 캡슐제, 환, 과립을 제조하였다.
<산제>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2 g 및 유당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캡슐제>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제조하였다.
<환>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을 혼합한 후, 4 g 크기로 환을 제조하였다.
<과립>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을 프리믹스한 후, 30% 에탄올용액 100 ㎎을 첨가하여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적용예 2>; 식품
식품은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에 식품위생법 또는 건강기능식품법에서 허용하는 부형제 또는 담체를 섞어 건강식품 및 음료를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1g, 초산비타민 A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를 섞어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적용예에서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에 비타민 및 미네랄을 혼합하는 비율은 제형이나 수요자층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음료>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 1%, 액상과당 0.5%, 올리고당 2%, 설탕 2%, 식염 0.5% 및 잔부의 정제수와 부재료를 배합하여 살균한 후 포장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적용예에서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에 당류, 식이섬유, 비타민 및 미네랄을 혼합하는 비율은 제형이나 수요자층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에탄올 분해 발아발효콩 초음파 이용 열수 추출물은 혈중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고, 골의 미네랄 함량을 증가시켜 골의 밀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며, 해면골의 두께와 수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1)

  1. 쿠메스테롤을 함유하는 발아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경감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쿠메스테롤을 함유하는 발아 발효콩 추출물은 대두 발아를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물을 80 %(v/v) 이상의 농도를 갖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분해한 뒤, 초음파를 이용한 열수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경감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갱년기 장애로 유발되는 간세포 손상을 완화 및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경감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갱년기 장애로 유발되는 골밀도 감소를 완화 및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경감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약사법에서 허용하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경감용 약학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제, 과립제, 환제, 및 캡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경감용 약학 조성물.
  7. 쿠메스테롤을 함유하는 발아 발효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쿠메스테롤을 함유하는 발아 발효콩 추출물은 대두 발아를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물을 80 %(v/v) 이상의 농도를 갖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분해한 뒤, 초음파를 이용한 열수추출로 얻은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갱년기 장애로 유발되는 간세포 손상, 골밀도 감소, 또는 상기 간세포 손상 및 골밀도 감소 둘 모두를 완화 및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법에서 허용하는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 7항, 제 8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제, 과립제, 환제, 및 캡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의 완화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90087413A 2014-10-31 2019-07-19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0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0143 2014-10-31
KR1020140150143 2014-10-31
KR20140160906 2014-11-18
KR1020140160906 2014-11-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674A Division KR102003755B1 (ko) 2014-10-31 2018-10-05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944A KR20190088944A (ko) 2019-07-29
KR102100295B1 true KR102100295B1 (ko) 2020-04-14

Family

ID=5602628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027A KR20160051658A (ko) 2014-10-31 2015-10-30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 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80118674A KR102003755B1 (ko) 2014-10-31 2018-10-05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90087413A KR102100295B1 (ko) 2014-10-31 2019-07-19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027A KR20160051658A (ko) 2014-10-31 2015-10-30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 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80118674A KR102003755B1 (ko) 2014-10-31 2018-10-05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600516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8702A (zh) * 2015-10-30 2022-08-05 株式会社Hubio 含有香豆雌酚的发芽发酵豆提取物及包含其的组合物
KR102047756B1 (ko) * 2017-11-30 2019-11-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간보호를 위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3686A2 (ko) * 2010-01-29 2011-08-04 (주)아모레퍼시픽 쿠메스트롤 생산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산된 쿠메스트롤
KR101402374B1 (ko) 2012-10-26 2014-06-03 문희숙 통풍 상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39권, 페이지 1305~1307 (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658A (ko) 2016-05-11
KR102003755B1 (ko) 2019-07-26
KR20180114870A (ko) 2018-10-19
KR20190088944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owska et al.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and their products as a possible mea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unfavorable health effects due to exposure to xenobiotics
JP6873517B2 (ja) 成年女性、高齢者及び亜健康状態の人々に適用できる健康保持製品組成物
KR101640258B1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100295B1 (ko) 간세포 보호 효과 및 골 밀도 증가 효과를 갖는 쿠메스테롤 함유 발아발효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9855308B2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peri- and post-menopausal symptoms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49440B1 (ko) 호장근과 계심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증상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06083151A (ja) 骨粗鬆症予防、改善用組成物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1917363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ho et al. Effects of a safflower tea supplement on antioxidative status and bone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KR101160088B1 (ko) 알코올성 지방간과 고지혈증 억제 및 숙취 억제 조성물
KR101511364B1 (ko) 복합 생약재를 이용한 비만 및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N102100810A (zh) 一种具有抗氧化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895972B1 (ko) 번행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8928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0293890B1 (ko) 동아녹즙및그잔사를사용하여제조된체중및혈당조절용식품조성물및그제조방법
KR100679290B1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8430486B (zh) 含有香豆雌酚的发芽发酵豆提取物及包含其的组合物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7913B1 (ko) 혈당 조절용 조성물
KR20040006823A (ko) 항산화 기능성 건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48366A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91574B1 (ko) 흑미 호분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