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266B1 -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 Google Patents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266B1
KR102100266B1 KR1020180130778A KR20180130778A KR102100266B1 KR 102100266 B1 KR102100266 B1 KR 102100266B1 KR 1020180130778 A KR1020180130778 A KR 1020180130778A KR 20180130778 A KR20180130778 A KR 20180130778A KR 102100266 B1 KR102100266 B1 KR 102100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erous
substance
dangerous substance
cleaner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우
Original Assignee
이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우 filed Critical 이관우
Priority to KR102018013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47L9/104Means for intercepting smal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G06K9/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 방법은 로봇 청소기 또는 진공청소기에서 유리, 바늘과 같은 위험물질의 존재와 특성을 미리 인식하여 위험물질을 빠르게 제거하도록 청소 모드를 자동 변환함으로써 청소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위험물질 흡입통로와 보관통로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위험물질이 흡입되는 통로 및 보관통로에는 안전 레이어를 구비하여 위험물질로 인한 청소기 부품 훼손을 막는다.

Description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CLEANERS FOR RECOGNIZING HAZARDOUS MATERIALS AND METHOD FOR CLEANING HAZARDOUS MATERIALS}
위험물질을 인식하고 제거하는 청소기 및 청소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유리, 철, 바늘 등의 위험물질을 청소기가 미리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를 빠르게 제거하는 청소기 및 청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 모터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 본체 내부에서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주위를 청소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이물질을 흡입하는 기능 외에도 뜨거운 수증기를 분사하여 물청소까지 가능하도록 하는 스팀 청소기 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경우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먼지 많이 흡입되는 것이 아니라 깨진 유리 조각이나 파편, 애완 동물의 털(毛)과 같은 여러 가지의 이물질이 함께 흡입될 수 있는데, 바늘, 압정, 유리조각, 철사 등 조심해야 하는 위험물질들은 청소기로 흡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청소기로 위험물질을 흡입하는 경우, 유리 조각이나 바늘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종이필터가 찢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물질들은 진공에 의해 고속으로 본체 내부로 흡입되기 때문에 흡입되는 통로의 연결관이나 연장관, 기타 본체를 이루는 부품들을 파손시키게 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에 있어, 먼지가 아닌 보다 큰 이물질에 대해서는 종래 청소기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0627907호(2006.09.18) 2. 한국 특허등록 제10-1542567호(2015.07.31)
청소기에 장착된 카메라 또는 센서로 유리, 철, 바늘 등의 위험물질을 인식하고, 인식된 위험물질의 종류에 따라 청소기의 흡입 모드를 자동제어 하여 위험물질을 빠르고 안전하게 청소하도록 하는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을 인식하는 청소기는 유리, 철, 압정,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이미지와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 청소기 근방에 존재하는 위험물질 및 위험물질의 특성을 인식하는 인식모듈;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흡입세기, 흡입세기유지시간을 포함하는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모듈;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청소방법은 (A) 데이터베이스에 유리, 철, 압정,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이미지와 특성정보 및 위험물질 별 위험도를 저장하는 단계; (B) 인식모듈은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 청소기 근방에 존재하는 위험물질 및 상기 위험물질의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 및 (C) 모드설정모듈은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 방법은 로봇 청소기 또는 진공청소기에서 유리, 바늘과 같은 위험물질의 존재와 특성을 미리 인식하여 위험물질을 빠르게 제거하도록 청소 모드를 자동 변환함으로써 청소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위험물질이 흡입되는 통로 및 보관통로에는 안전 레이어를 구비하여 압정, 유리 등 위험물질로 인한 청소기 부품 훼손을 막는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의 데이터 처리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의 위험물질 보관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의 흡입 통로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자력생성모듈(170)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c는 위험물질을 인식한 로봇청소기의 청소모드에 따른 주행경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청소기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의 데이터 처리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는 데이터베이스(110), 인식모듈(130), 모드변환모듈(150) 및 자력생성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위험물질 및 위험물질의 특성 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철사, 압정, 핀, 바늘, 칼날, 유리 등 경도가 일정수준 이상이거나 부주의한 경우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있는 물질들의 이미지와 특성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는 위험물질 종류 각각의 개별이미지가 저장되어, 청소기의 센서에서 물질을 인식하면, 기 저장된 위험물질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율이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위험을 인식시키고 위험물질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흡수 하도록 하는 청소 모드로 변환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인식모듈(130)은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 청소기 근방에 존재하는 위험물질을 인식하고, 위험물질이 감지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위험물질 이미지와 인식된 물질을 비교하여 인식된 물질의 종류와 위험도를 파악한다. 실시예에서 위험도는 위험물질 별로 다르게 설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모드변환모듈(150)은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변환한다. 예컨대, 위험물질이 바늘로 인식되는 경우, 청소기의 흡입강도를 일정수준 이상 유지하도록 하고, 청소기의 흡입구와 위험물질 흡입관이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실시예에서 위험물질 인식 및 흡입 기능이 로봇 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로봇청소기의 경로 제어를 통해 위험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경로 제어는 청소 모드에 포함되어 로봇청소기에서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영역을 집중적으로 청소하는 모드를 실행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물질을 인식한 로봇 청소기는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영역의 경계부터 중심까지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 형태 등 특정 영역 내부 만 반복하여 청소하기 위한 경로로 주행하며 위험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자력생성모듈(170)은 청소기 흡입구에 구비되고, 인식된 위험물질이 쇠, 철, 등의 자성체로 감지되는 경우 청소기 흡입구에 설치된 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기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력생성모듈(170)은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의 도움을 받아 자성체로 인식된 위험물질을 안전하고 빠르게 제거 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자력생성모듈(170)은 생성된 전자기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자성체를 고정시키고, 자력생성모듈에서 전자기력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떨어져나가도록 하는 자성체 흡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10)는 청소기 본체에 설치되고 인식모듈(130)은 복수개의 카메라 및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먼지와 위험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모듈 하부 측에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는 위험물질흡입관(122) 및 위험물질 보관통(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험물질 흡입관(122)은 인식모듈(130)에서 유리,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인식하는 경우, 청소기 흡입구와 연결되어 위험물질이 청소기 흡입관을 훼손하지 않고 보관통으로 수집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물질 흡입관(121)은 바늘과 같은 뾰족한 부분이 빠른 속도로 흡입되면서 흡입관 외벽을 훼손 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플라스틱 등 흡입관 외벽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물질로 구성하거나, 보호 레이어(122)를 구성하여 위험물질에 의한 흡입관 손상, 훼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의 위험물질 보관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보관통(145)은 빠른 속도록 흡입되는 위험물질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PVC, 폴리에스테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위험물질 보관통 내부 또는 외부에 보호레이어(143)를 구성하여 위험물질 보관통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의 흡입 통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청소기 흡입통로는 자력생성모듈(170) 및 자성체 흡착부(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력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전자기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자성체를 고정시키고, 자력생성모듈(170)에서 전자기력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떨어져나가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자성체 흡착부(s)는 자성체인 위험물질이 인식되는 경우 전자기력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가 흡착 면에 붙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변환모듈은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자성체 흡착부에 청소기가 동작하는 동안 흡착되도록 하고, 인식된 위험물질의 무게, 경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특성정보에 따라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청소기에서 위험물질을 인식하면 인식된 위험물질의 종류, 위험물질이 놓인 범위, 경도 및 무게에 따라 위험물질을 흡입할 수 있은 흡입력으로 조정하고, 위험물질 흡입 이후에는 다시 일반 모드로 청소기의 흡입력이 자동 제어 되도록 한다.
또한, 모드변환모듈(150)은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자성체의 흡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기력 생성 여부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압정 등 자성체가 위험물질로 인식된 경우, 자력생성모듈(170)에 의해 전자기력이 생성되고, 자성체가 흡입된다. 이때, 흡입된 자성체는 청소기 흡입부의 흡착 면에 붙게 될 수 있고, 사용자가 청소기 전원을 끄거나 스위칭부를 조정하면 전자기력이 없어지면서 흡착 면의 자성체가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자력생성모듈(170)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정, 바늘 등의 위험물질은 청소기 흡입구 바닥면에 수직인 a 방향으로 흡입되게 된다. 실시예에서 자력생성모듈(170)에 구성된 전선(171)은 바닥 면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압정, 바늘 등 자성체인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흡입구 전선(171)으로 전류를 흐르기 시작한다. 또한, 자력 생성모듈에 구비된 전선(171)양 끝단에는 N극과 S극의 자성체를 구비하여 전선(171)에 전류가 흐르면 위험물질이 흡입되는 a방향과 같은 방향(b)으로 전자기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자성체인 위험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전선과 전극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으로 위험물질을 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청소기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410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위험물질정보를 저장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에는 압정, 바늘, 못, 유리조각 등 가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위험물질이미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고, 철, 쇠 등 자성체의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는 청소기의 인식모듈에서 위험물질을 감지하고, S450 단계에서는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물질의 종류와 분포 영역에 따라 위험도를 연산한다. 실시예에서 위험도는 바늘, 압정, 못, 유리 등 뾰족한 부분으로 사용자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위험물질의 위험도를 미리 저장하여 특정 위험물질이 감지된 경우 이를 미리 알릴 수 있고, 위험물질이 분포된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위험도를 연산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는 위험물질의 종류와 위험도에 따라 청소기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실시예에서는 위험물질의 무게 및 종류에 따라 흡입강도를 다르게 설정하거나, 위험물질이 자성체인 경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자성체인 위험물질의 흡입이 빠르고 안전하게 진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470 단계에서는 위험물질의 종류와 위험도에 따라 청소기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자력생성모듈에서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위험물질 흡입을 위한 전자기력을 생성한다. 이후, 위험물질흡입관에서 유리,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흡입하는 경우, 위험물질을 먼지와 함께 흡입하고, 보관통에서 위험물질 흡입관과 연결되어, 바늘, 유리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일반 먼지와 보관하는 단계; 및 자성체 흡착부에서 자력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전자기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자성체를 고정시키고, 자력생성모듈에서 전자기력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떨어져나가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S470 모드변환모듈에서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는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자성체 흡착부에 청소기가 동작하는 동안 흡착되도록 하고, 인식된 위험물질의 무게, 경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특성정보에 따라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위험물질의 무게, 경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특성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정하는 단계에서는 스위칭부로 상기 자성체의 흡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기력 생성 여부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청소방법에서는 인식한 위험물질과 이에 따라 변환된 흡입력에 따라 위험물질이 제거 속도를 파악하고, 이를 청소기의 머신 러닝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머신 러닝 데이터가 누적되면 실시예에서는 누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물질 인식 후 인식된 위험물질 제거에 보다 최적화된 흡입력으로 청소기의 흡입력을 자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 방법은 로봇 청소기 또는 진공청소기에서 유리, 바늘과 같은 위험물질의 존재와 특성을 미리 인식하여 위험물질을 빠르게 제거하도록 청소 모드를 자동 변환함으로써 청소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위험물질 흡입통로와 보관통로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위험물질이 흡입되는 통로 및 보관통로에는 안전 레이어를 구비하여 위험물질로 인한 청소기 훼손을 막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4)

  1. 위험물질을 인식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유리, 철, 압정,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이미지와 특성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 청소기 근방에 존재하는 위험물질 및 상기 위험물질의 특성을 인식하고 위험물질의 특성정보, 종류, 양 및 위험물질이 분포된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위험도를 연산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흡입세기, 흡입세기유지시간을 포함하는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환모듈은
    상기 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위험물질이 유리, 압정, 바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청소기의 흡입세기가 일정수준이상으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하고,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흡입구와 위험물질흡입관을 연결시키고, 위험물질이 상기 위험물질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위험물질 보관통에 수집되도록 하고,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영역의 경계부터 중심까지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 형태로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영역 내부만 반복하여 청소하는 경로로 주행하며 위험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모드변환모듈은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자성체 흡착부에 청소기가 동작하는 동안 흡착되도록 하고, 인식된 위험물질의 무게, 경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특성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는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위험물질 흡입을 위한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자력생성모듈;
    유리,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흡입하는 경우, 상기 위험물질을 먼지와 함께 흡입하는 위험물질흡입관;
    상기 위험물질 흡입관과 연결되어, 바늘, 유리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일반 먼지와 보관하는 위험물질 보관통; 및
    상기 자력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전자기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자성체를 고정시키고, 상기 자력생성모듈에서 전자기력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떨어져나가도록 하는 자성체 흡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물질 흡입관과 위험물질 보관통은
    위험물질의 바늘, 모서리 부분에 의해 위험물질의 흡입 또는 보관 중 흡입관 이나 보관통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특수재질로 형성된 보호레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모듈은
    상기 자성체의 흡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기력 생성 여부를 조정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변환모듈은
    상기 인식된 위험물질이 모두 흡입완료 되고, 더 이상의 위험물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흡입력을 일반 흡입 세기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위험물질 청소방법에 있어서,
    (A) 데이터베이스에 유리, 철, 압정,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이미지와 특성정보 및 위험물질 별 위험도를 저장하는 단계;
    (B) 인식모듈은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 청소기 근방에 존재하는 위험물질 및 상기 위험물질의 특성을 감지하고, 위험물질의 특성정보, 종류, 양 및 위험물질이 분포된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위험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C) 모드변환모듈은 상기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 는
    상기 모드변환모듈에서
    상기 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위험물질이 유리, 압정, 바늘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상기 청소기의 흡입세기가 일정수준이상으로 설정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하고,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흡입구와 위험물질흡입관을 연결시키고, 위험물질이 상기 위험물질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위험물질 보관통에 수집하는 단계;
    위험물질이 인식되면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영역의 경계부터 중심까지 지그재그 또는 소용돌이 형태로 위험물질이 존재하는 영역 내부만 반복하여 청소하는 경로로 주행하며 위험물질을 흡입하는 단계; 및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전자기력을 생성하여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자성체 흡착부에 청소기가 동작하는 동안 흡착되도록 하고, 인식된 위험물질의 무게, 경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특성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 모드변환모듈은 상기 인식된 위험물질의 특성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는
    자력생성모듈에서 위험물질이 자성체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위험물질 흡입을 위한 전자기력을 생성하는 단계;
    위험물질흡입관에서 유리, 바늘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흡입하는 경우, 상기 위험물질을 먼지와 함께 흡입하는 단계;
    보관통에서 상기 위험물질 흡입관과 연결되어, 바늘, 유리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을 일반 먼지와 보관하는 단계; 및
    자성체 흡착부에서 상기 자력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전자기력으로 인력을 발생시켜 자성체를 고정시키고, 상기 자력생성모듈에서 전자기력이 생성되지 않는 경우, 위험물질인 자성체가 떨어져나가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물질 흡입관과 위험물질 보관통은
    위험물질의 바늘, 모서리 부분에 의해 위험물질의 흡입 또는 보관 중 흡입관 이나 보관통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특수재질로 형성된 보호레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위험물질의 무게, 경도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특성정보에 따라 상기 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정하는 단계; 는
    스위칭부에서 상기 자성체의 흡착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자기력 생성 여부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방법.
KR1020180130778A 2018-10-30 2018-10-30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KR102100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778A KR102100266B1 (ko) 2018-10-30 2018-10-30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778A KR102100266B1 (ko) 2018-10-30 2018-10-30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266B1 true KR102100266B1 (ko) 2020-05-26

Family

ID=7091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778A KR102100266B1 (ko) 2018-10-30 2018-10-30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2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508B1 (ko) * 2021-11-03 2022-01-12 리텍 주식회사 청소성능 향상을 위한 터보 부스터 기능 및 이물질 부양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 노면청소차
KR102375108B1 (ko) * 2022-01-05 2022-03-16 리텍 주식회사 흡입성능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농도와 차량속도에 따른 흡입력 자동제어장치가 적용된 수소전기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865A (ja) * 1994-02-24 1995-09-05 Oyo Keisoku Kenkyusho:Kk 真空掃除装置
KR960005005B1 (ko) * 1990-12-28 199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제어장치
JPH09478A (ja) * 1995-06-16 1997-01-07 Tigers Polymer Corp 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100627907B1 (ko) 2005-05-10 2006-09-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 흡입구
KR20140005545U (ko) * 2013-04-16 2014-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쇳가루 회수 기능을 갖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장치
KR101542567B1 (ko) 2014-12-15 2015-08-06 한솔테크닉스(주) 금속 탐지기와 이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JP2015195881A (ja) * 2014-03-31 2015-11-09 日立工機株式会社 携帯型集塵機
KR20160031836A (ko) * 2014-09-15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그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083905B2 (ja) * 2013-06-03 2017-02-22 みこらった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05B1 (ko) * 1990-12-28 1996-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제어장치
JPH07231865A (ja) * 1994-02-24 1995-09-05 Oyo Keisoku Kenkyusho:Kk 真空掃除装置
JPH09478A (ja) * 1995-06-16 1997-01-07 Tigers Polymer Corp 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100627907B1 (ko) 2005-05-10 2006-09-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일체형 보조 흡입구
KR20140005545U (ko) * 2013-04-16 2014-10-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쇳가루 회수 기능을 갖는 진공 청소기용 흡입장치
JP6083905B2 (ja) * 2013-06-03 2017-02-22 みこらった株式会社 電気掃除装置
JP2015195881A (ja) * 2014-03-31 2015-11-09 日立工機株式会社 携帯型集塵機
KR20160031836A (ko) * 2014-09-15 2016-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그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542567B1 (ko) 2014-12-15 2015-08-06 한솔테크닉스(주) 금속 탐지기와 이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508B1 (ko) * 2021-11-03 2022-01-12 리텍 주식회사 청소성능 향상을 위한 터보 부스터 기능 및 이물질 부양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 노면청소차
KR102375108B1 (ko) * 2022-01-05 2022-03-16 리텍 주식회사 흡입성능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농도와 차량속도에 따른 흡입력 자동제어장치가 적용된 수소전기 도로분진 흡입청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266B1 (ko) 위험물질 인식 청소기 및 위험물질 청소방법
JP7098113B2 (ja) 排出ステーション
AU2022263513A1 (en) Cleaning apparatus
JP6850107B2 (ja) 自律型電気掃除装置
TWI621419B (zh) 集塵裝置及集塵系統
KR102070067B1 (ko) 장애물을 학습하는 인공지능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NL2009138C2 (nl) Afzuigsysteem, afzuigkap en keuken voorzien daarvan, en werkwijze voor het afzuigen van lucht.
JP2013052238A (ja) ロボット掃除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11605244B2 (en) Robot for automatically following a person
US20180169558A1 (en) Dust collector capable of recollecting particulate dust in the filter barrel
CN106132264A (zh) 吸液式清洁装置以及方法
CN107105957A (zh) 电池供电的真空吸尘器
JP2022522053A (ja) 乾湿両用真空掃除機
KR20120017847A (ko) 청소기
EP2301401A1 (en) Vacuum cleaner with remote control
CN107898394A (zh) 一种可变形扫地机器人及其控制方法
US8332991B2 (en) Robotic vacuum cleaner having a disposable debris bag
US7765640B2 (en) Vacuum cleaner cord management system
US8099829B2 (en) Wet type suction cleaners
KR102346218B1 (ko) 학습형 실내 미세먼지 순차적 저감시스템
KR102014760B1 (ko) 진공청소부 분리형 복합 청소기
JP7030007B2 (ja) 自律型電気掃除機
US20200022542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3323843B2 (ja) 洗浄装置
US7299518B1 (en) Vacuum cleaner with magnetic flux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