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278B1 -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 Google Patents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278B1
KR102099278B1 KR1020190127587A KR20190127587A KR102099278B1 KR 102099278 B1 KR102099278 B1 KR 102099278B1 KR 1020190127587 A KR1020190127587 A KR 1020190127587A KR 20190127587 A KR20190127587 A KR 20190127587A KR 102099278 B1 KR102099278 B1 KR 102099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base plate
safety fence
suppor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토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토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토탈
Priority to KR102019012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지주와, 지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지주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주 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평 가드프레임 및 수직 가드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가드부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하면에 구비되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면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벽부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펜스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SAFETY FENCE WITH BUFFER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전펜스의 지주부에 완충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안전펜스에 작용되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 등이 운행하는 도로에는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중앙분리대, 난간, 가드레일 등의 안전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시설물이 위치함으로 인해, 운행자의 차량이 도로 상으로 운행되는 것이 유도될 수 있어, 차량이 도로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시설물은 차량 등과의 충돌이 발생할 경우, 차량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강재 난간, 알루미늄 난간 등으로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안전시설물이 강재 난간으로 형성될 경우, 차량 등의 충돌로부터 안전시설물 자체가 파손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충돌에 의한 반발력이 차량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 차량 이용자들이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난간으로 구비될 경우,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력은 알루미늄 난간으로 인해 감소되어 차량 이용자들에게 전달되는 반발력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알루미늄 자체의 강도가 떨어질 경우, 차량이 난간을 파손시키면서 도로 밖으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전시설물 자체는 강성있는 소재로 형성하되, 안전시설물에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기능을 하는 장치가 부가되었다. 차량 등이 충돌할 경우,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안전시설물의 하부에 용수철 등이 구비되었다.
하지만, 용수철과 같은 장치는 충돌에 의해 안전펜스가 휘어지는 변위의 차이가 커서, 차량 등의 충돌로부터 차량의 이용자를 보호하는데 미흡하며, 강한 바람에도 안전펜스가 쉽게 휘어질 수 있고, 빈번하게 휘어짐에 의해 용수철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293619호(2013.07.31.등록)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55877호(2004.07.01.등록)
본 발명은 지주부, 가드부, 완충부, 장식벽부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지주부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재가 구비된 완충부를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후방, 상방 또는 하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탄성체, 탄성유닛 등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지주부 등이 지면에서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장식벽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전펜스에 광고 기능이 부가된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와, 지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지주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주 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평 가드프레임 및 수직 가드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가드부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하면에 구비되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면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벽부를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주부는,f 상기 지주베이스의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드턱과, 상기 지주베이스가 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지주베이스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 가드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드프레임은 상기 수평 가드프레임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상기 가드부 및 상기 장식벽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1 상부 탄성층과, 상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1 하부 탄성층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상부 탄성층의 하단면에 변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 탄성층의 상단면에 변위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상기 가드부 및 상기 장식벽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2 상부 탄성층과, 상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2 하부 탄성층이 결합되되, 상기 제 2 상부 탄성층의 하단면 또는 상기 제 2 하부 탄성층의 상단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내부가 중공된 입체 탄성유닛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상기 가드부 및 상기 장식벽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3 상부 탄성층과, 상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3 하부 탄성층이 결합되되, 상기 제 3 상부 탄성층 하단면의 전면에서 상기 제 3 하부 탄성층 상단면의 후면으로 이어져서 형성되는 제 1 탄성유닛과, 상기 제 3 상부 탄성층 하단면의 후면에서 상기 제 3 하부 탄성층 하단면의 전면으로 이어져서 형성되는 제 2 탄성유닛이 상호 교차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주부, 상기 가드부 및 상기 장식벽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완충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 후방, 상방 또는 하방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에 대해 완충부에 탄성력, 복원력 등이 내재된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지주부 등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부의 상부에 장식벽부를 구비하고, 장식벽부에 광고 또는 예술작품 등을 게시함으로써,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광고 기능, 심미적 기능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벽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벽부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는 지주부(110), 가드부(120), 완충부(130), 장식벽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110)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의 본체로서, 지주(111), 지주베이스(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111)는 지주부(110)의 몸체로서, 상부에 장식벽부(140)가 결합되고, 하부에 가드부(120)가 결합되는 것으로, 가드부(120), 완충부(130), 장식벽부(14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지주베이스(112)는 지면에 결합되며, 지주(111)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2c)이 형성되어 지주(111)를 지지하는 것으로, 결합홀(112a), 가드턱(112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주베이스(112)는 원형 또는 다격형의 플레이트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주베이스(112)의 중앙부에 지주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삽입홀(112c)이 구비되어, 지주가 삽입홀(112c)에 끼움 방식 등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지주(111)가 삽입된 삽입홀(112c)과 지주(111) 사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게 지주(111)가 삽입된 삽입홀(112c)과 지주(111)의 사이에 유격이 최소화되도록 삽입홀(112c)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2a)은 지주베이스(112)가 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지주베이스(112)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주로 볼트 등의 체결 유닛이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지주(111) 등에 진동이 전달될 경우, 지면에 대한 볼트의 결합력에 의해 지주(111)에 전달된 진동을 해야 하므로, 볼트는 일측이 절곡된 형태인 앵커볼트가 사용됨으로써, 지면(111)과 지주베이스(112)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가드턱(112b)은 지주베이스(112)의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지주베이스(112)와 지주(111)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지주(111)는 플레이트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주베이스(112)의 삽입홀(112c)에 끼움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지주(111)가 지주베이스(112)로 삽입되는 깊이가 지주베이스(112)가 지주(111)를 지지하는데 충분히 깊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단순히 끼움 방식 등으로 지주(111)와 지주베이스(112)가 결합될 경우, 지주베이스(112)에 의해 지주(111)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드턱(112b)은 삽입홀(112c)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지주(111)가 지주베이스(112)에 삽입되는 깊이를 더욱 깊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가드턱(112b)의 측면에 체결 유닛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홀(도면 미도시)이 형성되고, 지주의 하단부의 측면에 체결 유닛이 삽입될 수 있는 홀(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체결 유닛이 가드턱(112b)의 홀(도면 미도시)을 관통하여 지주 하단부의 측면에 형성된 홀(도면 미도시)에 결합됨으로써, 지주(111)와 지주베이스(112b)간의 결합이 더욱 안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가드부(120)는 지주부를 보호하도록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 가드프레임(121), 수직 가드프레임(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된 안전펜스에 차량 등에 의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주로 안전펜스의 하부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바, 지주부(110)의 하부에 가드부(120)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지주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는 도로 등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지주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가드부(120)는 다른 지주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차량 등이 도로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 가드프레임(121)은 지주(111)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일정 간격에 위치하는 타 지주(111)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력으로부터 지주부(110) 등을 보호하고, 복수의 지주부(110) 사이로 차량 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 가드프레임(121)은 차량 등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가드프레임(121)은 전방으로 돌출된'ㄷ'자의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며, 수평 가드프레임(121)의 양단부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가드프레임(122)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수평 가드프레임(121)은 동일한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층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가드프레임(122)은 수평 가드프레임(121)에 수직으로 교차하며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 가드프레임(121)과 마찬가지로, 외력으로부터 지주부(110) 등을 보호하고 복수의 지주부(110) 사이로 차량 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 가드프레임(122)은, 수평 가드프레임(121)이 전방으로 돌출된 'ㄷ'자의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경우, 수평 가드프레임(121)의 양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수평 가드프레임(121)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 가드프레임(122)의 상단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 층으로 형성된 수평 가드프레임(121) 중 최상위에 위치하는 수평 가드프레임(121)에 걸림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고, 수직 가드프레임(122)의 하단부는 상단부와 형태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복수 층의 수평 가드프레임(12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수평 가드프레임(121)에 걸림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130)는 지주(111)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지주부(110), 가드부(120), 장식벽부(140) 등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 완충부재(133), 완충가이드(1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는 지주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단면에 완충부재(133) 등이 결합될 수 있고,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는 지면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면에 완충부재(133)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재(133)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 사이에 구비되어, 지주부(110), 가드부(120), 장식벽부(140) 등에 작용되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가 외력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로 등에 설치되는 안전펜스는, 안전펜스의 전방, 후방 등에 작용되는 차량 에 의한 충격뿐만 아니라, 지진 등에 의해 상방, 하방 등으로 작용되는 외부의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안전펜스가 지면에 결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안전펜스가 외부의 충격을 그대로 받을 경우, 지면과의 결합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어 안전펜스가 외력을 그대로 흡수할 경우, 안전펜스가 파손되거나 지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형성되는 완충부재(133)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외력을 완화시켜, 안전펜스에 작용되는 외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바, 이러한 완충부재(133)는 후술하는 예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완충부재(133)는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지주부(110), 가드부(120), 장식벽부(140) 등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탄성체(211)는 고무 등과 같이 압축성, 탄성 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지만, 탄성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탄성체(221)가 적층되는 형태으로,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와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부재(133)에 탄성체(221)가 적층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완충부재(133)가 구비된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전방으로부터 차량 등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완충부재(133)가 충격을 흡수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주부(110) 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이 상하 방향 등으로 작용되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완충부재(133)가 압축됨으로써, 외력을 흡수하여 지주부(1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완충부재(133)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221)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1 상부 탄성층(222)과,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223)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221)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1 하부 탄성층(223)을 구비하되, 제 1 상부 탄성층(222)의 하단면에 변위돌기(224)가 형성되고, 제 1 하부 탄성층(223)의 상단면에 변위가이드(225)가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 1 상부 탄성층(222)이 일정 변위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지주부(110), 가드부(120), 장식벽부(140) 등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외부로부터 충격 등이 전달될 경우, 적층된 형태의 탄성체(221)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지만, 탄성체(221)에 탄성력의 한계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탄성체(221) 자체가 파손되거나, 적층된 탄성체(221)가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 탄성층(222)에 변위돌기(224)가 형성되고, 제 1 하부 탄성층(223)에 변위가이드(225)가 형성되고, 완충부재(133)에 탄성체(221)의 한계 탄성력 이하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체(221)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이 흡수될 수 있고, 한계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 1 상부 탄성층(222)의 변위돌기(224)가 제 1 하부 탄성층(223)의 변위가이드(225)를 따라 일정 범위로 이동될 수 있어, 한계 탄성력 이상의 외력에 적층된 탄성체(221)가 저항하지 않고, 일정 범위의 변위로 제 1 상부 탄성층(222)이 이동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으므로, 한계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탄성층(22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위돌기(224) 및 변위가이드(225)도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221)로 형성되므로, 변위돌기(224)와 변위가이드(225)의 접촉면에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한계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상부 탄성층(222)이 일정 변위로 이동되더라도, 마찰력에 의해 그 변위의 크기는 미세하게 되어, 제 1 상부 탄성층(222)이 제 1 하부 탄성층(223)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c를 참조하면, 완충부재(133)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231)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2 상부 탄성층(132)과,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231)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2 하부 탄성층(233)이 결합되되, 제 2 상부 탄성층(233)의 하단면 또는 상기 제 2 하부 탄성층(233)의 상단면에 사다리꼴 형태의 내부가 중공된 입체 탄성유닛(234)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일정 변위로 이동이 허용되고, 외부의 충격이 소멸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형성되어, 지주부(110), 가드부(120), 장식벽부(140)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적층된 탄성체(231)가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지만, 탄성체(231)에 한계 탄성력의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탄성체(231) 자체가 파손되어, 지주(111) 등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제 2 상부 탄성층(232) 또는 제 2 하부 탄성층(233)에 중공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입체 탄성유닛(234)이 구비될 경우, 탄성체(231)에 한계 탄성력 이상의 힘이 작용되더라도, 지주(111) 등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지주(111)의 중량에 의해 입체 탄성유닛(234)의 중공된 공간이 압착된 상태로, 지주(111)가 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탄성체(231)의 한계 탄성력 이상의 힘이 작용할 경우, 입체 탄성유닛(234)은 소정 범위의 변위로 신장되고, 외부의 힘을 입체 탄성유닛(234)의 신장에 소모시킴으로써 지주(111)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을 상쇄시킬 수 있다.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는 주로 도로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 등에 의한 충돌이 주로 발생할 수 있어, 지주부(110)의 전방으로부터 작용되는 힘이 주로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부터 힘이 작용될 경우, 입체 탄성유닛(234)도 전, 후방으로 신장되면서 외부의 힘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이 상,하방으로 작용되는 외부의 힘이 가해질 경우, 중공된 사다리꼴 형상의 입체 탄성유닛(234)이 상, 하방으로 신장되거나 압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d를 참조하면, 완충부재(133)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241)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3 상부 탄성층(242)과,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241)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3 하부 탄성층(243)이 결합되되, 제 3 상부 탄성층(242) 하단면의 전면에서 제 3 하부 탄성층(243) 상단면의 후면으로 이어져서 형성되는 제 1 탄성유닛(244), 제 3 상부 탄성층(242) 하단면의 후면에서 제 3 하부 탄성층(243) 하단면의 전면으로 이어져서 형성되는 제 2 탄성유닛(245)과, 상호 교차되도록 구비되어, 지주부(110), 가드부(120), 장식벽부(140) 등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41)에 한계 탄성력의 이상의 힘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경우, 탄성체(241) 자체가 파손되어, 지주가 지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유닛(244), 제 2 탄성유닛(24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교차되어 형성된 제 1 탄성유닛(244), 제 2 탄성유닛(245)이 지주에 중량에 의해 압착되어 탄성층의 형태로 지주(111)를 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지만,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탄성체(241)의 한계 탄성력 이상의 힘이 작용될 경우, 제 1 탄성유닛(244) 또는 제 2 탄성유닛(245)은 소정 범위의 변위로 신장되고, 외부의 힘을 제 1 탄성유닛(244) 또는 제 2 탄성유닛(245)의 신장에 소모시킴으로써 지주(111)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을 상쇄시킬 수 있다.
차량 등의 충돌에 의해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제 1 탄성유닛(244) 또는 제 2 탄성유닛(245)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신장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부의 힘이 가해질 경우, 제 1 탄성유닛(244) 또는 제 2 탄성유닛(245)이 신장되거나 압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완충부재(133)가 구비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힘의 일부를 완충부재(133)가 흡수하여, 외력 전체가 외주부(110) 등으로 전달됨에 따라 안전펜스가 지면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가이드(134)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1)에 결합되어, 완충부재(133)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외주부(110) 등에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완충부재(133)의 탄성력과 복원력 등에 의해 외주부(110) 등이 지지될 수 있지만, 완충부재(133)의 외측으로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완충가이드(134)가 형성될 경우, 완충부재(133)의 복원력 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완충가이드(134)는 탄성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양단부가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131)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132)에 각각 결합되며, 완충부재(133)의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실린더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식벽부(140)는 지주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지주부(110) 사이에 광고판이나 심미감을 주는 장식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펜스는 차량 등이 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있지만, 차량 이용자들의 주의 또는 시선이 집중되므로, 차량 등의 충돌이 빈번하지 않은 펜스의 상부측에는 광고나 미술작품 등이 배치되는 전시 기능도 있다. 이와 같은 전시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 복수 개의 지주부(110)의 상부에 장식벽부(140)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이용자들에게 심미적 효과를 줄 수 있고, 또한, 광고의 게시 등으로 인한 부가적인 수입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의 내부식성 등을 강화시키기 위해 내부식성 강화 코팅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식성 강화 코팅 조성물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개질된 알루미늄 페이스트 5 내지 15 중량부, 방청안료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25 내지 35 중량부 및 유기용매 7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목적하는 내식, 방청 및 코팅 등의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에폭시 수지와 아크릴산계 화합물을 반응시킨 부분 에스테르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관능 에폭시 수지와 아크릴산계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다관능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1 당량에 대하여 반응시키는 아크릴산계 화합물은 30 내지 70 당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당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철재에 대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기를 2개 이상 함유한 것으로, 구체적인 일 예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류, 디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 스피로글리콜 또는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지방족 다가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 비스페놀 F 또는 비스페놀 AD 등의 방향족 디올류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다가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 아디프산, 이타콘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진 지방족 다가 글리시딜에스테르 화합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피로멜리트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다가 글리시딜에스테르 화합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아닐린, 메타크실릴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아민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방향족 다가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및 노볼락형 다가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상기 아크릴산계 화합물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일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아크릴이 코팅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제조된 페이스트이다. 상기 아크릴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본 기술 분야에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용 내부식성 도료 조성물에 아크릴로 표면개질된 알루미늄 페이스트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약품성(산, 알칼리)에 대한 변색, 부풀음, 박리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도료의 점도 상승, 색상의 어두워짐(휘도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방청안료는 징크 메탈 파우다, 징크 포스페이트와 징크 알루미늄 오르소포스페이트 하이드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청안료의 평균 입자경이 3∼5마이크론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식성 부식 강화 코팅 조성물에 방청안료가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염수분무성이 떨어지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도료의 자체의 첩착력 및 방청안료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시로 디시안디아마이드계, 히드라지드계, 방향족 아민계, 산무수물계 및 이미다졸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시안디아마이드계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용 내부식성 도료 조성물에 경화제가 2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에폭시 조성물의 경화속도가 저하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3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응집이 발생하여 균일한 접착성능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예에 있어, 상기 유기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성 내부식성 강화 코팅 조성물이 균질하게 혼합되고, 코팅막 형성 시에 용이하게 휘발되며, 경화 저해 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용매의 함량은 에폭시 조성물의 점도 및 작업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25 내지 35 중량부 일수 있다.
구체적인 유기용매는 헥산,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셀루솔부, 부틸 셀루솔부 등의 에테르류;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터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및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지주부 111 : 지주
112 : 지주베이스 120 : 가드부
121 : 수평 가드프레임 122 : 수직 가드프레임
130 : 완충부 131 : 상부베이스 플레이트
132 : 하부베이스 플레이트 133 : 완충부재
134 : 완충가이드 140 : 장식벽부
211, 221, 231, 241 : 탄성체 222 : 제 1 상부 탄성층
223 : 제 1 하부 탄성층 224 : 변위돌기
225 : 변위가이드 231 : 탄성체
232 : 제 2 상부 탄성층 233 : 제 2 하부 탄성층
234 : 입체 탄성유닛 241 : 탄성체
242 : 제 3 상부 탄성층 243 : 제 3 하부 탄성층
244 : 제 1 탄성유닛 245 : 제 2 탄성유닛

Claims (8)

  1. 지주와, 지면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지주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주 베이스를 포함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평 가드프레임 및 수직 가드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가드부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하면에 구비되는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면의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 및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완충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식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1 상부 탄성층과, 상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탄성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제 1 하부 탄성층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상부 탄성층의 하단면에 변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 탄성층의 상단면에 "+"형상의 변위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상기 가드부 및 상기 장식벽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고,
    안전펜스의 내부식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내부식성 강화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되,
    상기 내부식성 강화 코팅 조성물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개질된 알루미늄 페이스트 5 내지 15 중량부, 방청안료 5 내지 10 중량부, 경화제 25 내지 35 중량부 및 유기용매 7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다관능 에폭시 수지와 아크릴산계 화합물을 반응시킨 부분 에스테르화 에폭시 수지이고,
    상기 표면개질된 알루미늄 페이스트는 아크릴이 코팅된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제조된 페이스트
    를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지주베이스의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드턱과,
    상기 지주베이스가 지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지주베이스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결합홀
    을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드프레임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 지주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드프레임은 상기 수평 가드프레임에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복수 개의 탄성체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상기 가드부 및 상기 장식벽부에 작용되는 외력을 완충시키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복원력을 증가시키는 완충가이드
    를 더 포함하는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20190127587A 2019-10-15 2019-10-15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2099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587A KR102099278B1 (ko) 2019-10-15 2019-10-15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587A KR102099278B1 (ko) 2019-10-15 2019-10-15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278B1 true KR102099278B1 (ko) 2020-04-08

Family

ID=7027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587A KR102099278B1 (ko) 2019-10-15 2019-10-15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57B1 (ko) 2021-02-03 2021-10-07 정광희 충격을 흡수하는 휀스 구조물
CN117702663A (zh) * 2024-02-05 2024-03-15 河南鼎诚公路养护设备有限公司 一种道路安全防撞护栏及其使用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05A (ja) * 2002-06-21 2004-01-29 Taisei Corp 構造体の衝突緩衝構造
KR200355877Y1 (ko) 2004-04-14 2004-07-09 (주)터보테크건설 도로용 안전펜스
JP2008133662A (ja) * 2006-11-28 2008-06-12 Toyota Motor Corp 建物の耐震構造
KR101009538B1 (ko) * 2010-08-05 2011-01-18 서용수 충격흡수 안전휀스
KR20110003383U (ko) * 2009-09-29 2011-04-06 효원건설 주식회사 가드 레일용 충격 완충부재
KR101293619B1 (ko) 2013-06-04 2013-08-13 (주) 천진엔지니어링 전개형 안전펜스를 갖는 도로용 가이드레일
KR20180063603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대경산전 펜듈럼형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KR101887006B1 (ko) * 2018-01-26 2018-08-09 (주)대호철망휀스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05A (ja) * 2002-06-21 2004-01-29 Taisei Corp 構造体の衝突緩衝構造
KR200355877Y1 (ko) 2004-04-14 2004-07-09 (주)터보테크건설 도로용 안전펜스
JP2008133662A (ja) * 2006-11-28 2008-06-12 Toyota Motor Corp 建物の耐震構造
KR20110003383U (ko) * 2009-09-29 2011-04-06 효원건설 주식회사 가드 레일용 충격 완충부재
KR101009538B1 (ko) * 2010-08-05 2011-01-18 서용수 충격흡수 안전휀스
KR101293619B1 (ko) 2013-06-04 2013-08-13 (주) 천진엔지니어링 전개형 안전펜스를 갖는 도로용 가이드레일
KR20180063603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대경산전 펜듈럼형 완충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KR101887006B1 (ko) * 2018-01-26 2018-08-09 (주)대호철망휀스 H형 지주를 갖는 휀스 및 상기 휀스의 내식성 및 내충격성을 가진 이중막 에폭시 분체도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457B1 (ko) 2021-02-03 2021-10-07 정광희 충격을 흡수하는 휀스 구조물
CN117702663A (zh) * 2024-02-05 2024-03-15 河南鼎诚公路养护设备有限公司 一种道路安全防撞护栏及其使用方法
CN117702663B (zh) * 2024-02-05 2024-04-30 河南鼎诚公路养护设备有限公司 一种道路安全防撞护栏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278B1 (ko) 완충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US20130270754A1 (en) Safety protection apparatus of elastic-plastic steel structure
KR101009538B1 (ko) 충격흡수 안전휀스
DE102010009814A1 (de) Umschließende Schutzeinrichtung für Stützen und Wände
JP2696460B2 (ja) 耐震鉄骨構造物
CN211036695U (zh) 一种道路桥梁防撞保护栏
CN1307345C (zh) 复合材料公路护栏
US20160040377A1 (en) Device to Protect Vehicles in Event of Collision with Obstacles
KR100844210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EA031844B1 (ru) Уличный столб
KR100907304B1 (ko) 탄성볼라드
CN209323434U (zh) 一种道路交通安全护栏
JP6929727B2 (ja) 多段樹脂製マウントブロック及び車線区分柵
KR101451930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을 구비한 방음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JP5945237B2 (ja) 衝撃吸収用防護パット
US20040194400A1 (en) Pole anchor footing system
CN111719460A (zh) 内外组合式公路防撞桶
KR20110105106A (ko) 차량의 종류별 충돌위치 및 충격량을 고려한 복합소재 방호울타리
CN220301210U (zh) 一种新式框架门形限高架
CN215758740U (zh) 一种装配式防撞柱
CN104790318B (zh) 一种公路护栏
JP3237356U (ja) タイヤを利用した衝撃緩和材
CN2771291Y (zh) 复合材料公路护栏
US20190063100A1 (en) Utility Pole with Energy Absorbing Layer
JP2003301425A (ja) 視線誘導標識柱と反射体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