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794B1 -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794B1
KR102096794B1 KR1020190148106A KR20190148106A KR102096794B1 KR 102096794 B1 KR102096794 B1 KR 102096794B1 KR 1020190148106 A KR1020190148106 A KR 1020190148106A KR 20190148106 A KR20190148106 A KR 20190148106A KR 102096794 B1 KR102096794 B1 KR 10209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opper
hook
cover portion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동석
Original Assignee
채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동석 filed Critical 채동석
Priority to KR1020190148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794B1/ko
Priority to JP2022528999A priority patent/JP7409600B2/ja
Priority to US17/771,110 priority patent/US11780655B2/en
Priority to PCT/KR2020/015115 priority patent/WO20211011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65D41/18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3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 B65D45/32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radial or radial and axial pressure, e.g. contractible bands encircling closure member the clamping device being an annular member moved axially to clamp the closure by using radi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원터치 개폐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개선하여 성형성 및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밀폐 시에는 용기의 내압 혹은 외력에 의해 스스로 열리는 것을 신뢰성 높게 방지하며, 개봉 시에는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개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구(110)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20)을 포함하는 용기(100)와; 상기 걸림턱(120)에 대응하는 후크부재(211)가 형성되어 상승에 따라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를 개방시키고 하강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가 상기 걸림턱(120)에 걸쳐져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를 폐쇄시키는 밀폐부(210)와, 상기 밀폐부(2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통 형상체로 이루어진 커버부(220)를 포함하는 마개(200)로 구성되어,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여부 또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One-touch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topper and container}
본 발명은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원터치 개폐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개선하여 성형성 및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밀폐 시에는 용기의 내압 혹은 외력에 의해 스스로 열리는 것을 신뢰성 높게 방지하며, 개봉 시에는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개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여부 또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를 비롯하여 다양한 액체류를 보관 또는 운반하거나 유통시키기 위하여 용기와 마개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용기와 마개의 개폐 구조는 크게 나사 방식과, 푸시 및 풀 타입(push & pull type)의 원터치 방식으로 구분된다.
우선, 나사 방식의 개폐 구조는 용기 및 마개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한 손으로 용기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마개를 돌림으로써, 마개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나사 방식의 개폐 구조는 높은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용기로부터 마개를 여러 번 회전시켜야 하므로 소정의 조립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지고, 특히 노약자나 환자 등 손의 악력이 부족한 경우 마개를 쉽게 열기 어렵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푸시 및 풀 타입의 원터치 방식은 마개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용기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구조로서, 통상 한 손으로는 용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마개를 누르거나 당겨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원터치 방식은 짧은 시간 내에 마개의 개폐가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밀봉 능력에 한계가 있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유출될 우려가 상존하는 것이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원터치 방식의 개폐 구조에 대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마개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개와 용기 상호간의 체결력을 향상시켜 국내 등록특허 제10-0757795호 및 국내 등록특허 제10-1121860호 등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가 비교적 복잡한 구조이어서 사출에 의한 대량 생산 시 제조 공차에 의해 각 구성요소가 소망하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할 우려가 잔존하고 있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57795호 공보 국내 등록특허 제10-11218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여부 또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입구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용기와;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후크부재가 형성되어 상승에 따라 상기 용기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하강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 상기 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통 형상체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포함하는 마개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최대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내주면을 가진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 보다 큰 내주면을 가진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마개는 상기 밀폐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성형되되, 접힘 변형 가능한 박육 변형부재와 상기 박육 변형부재 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 절환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최대 변위를 상기 밀폐부와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한하기 위한 요홈 및 레일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밀폐부의 후크부재는, 외팔보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 후크와, 한 쌍의 상기 날개 후크를 연결하는 가교와, 상기 가교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앙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지지부재는, 상기 날개 후크에 대응하는 한 쌍의 잠김레일과, 한 쌍의 상기 잠김레일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후크에 대응하는 지지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잠김레일에는 상기 날개 후크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잠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일에는 상기 중앙 후크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뿐 아니라, 상기 중앙 후크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요홈에 대응하여 소성 변형 가능한 중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게다가, 상기 밀폐부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의 입구 내외에 접촉하도록 각각 기밀 립 및 기밀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 외주연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날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의 상단 모서리에는 계단형 단면의 상부 단턱이 일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상부 단턱에 대응하여 밀폐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걸림턱 하측에는 외주면을 일주하여 서포트 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포트 링에 대응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여부 또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커버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 A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B-B선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있어서 C-C선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에 있어서 D-D선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중앙 후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날개 후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커버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 A부분의 확대도이다.
게다가, 도 8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9는 도 8에 있어서 B-B선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있어서 C-C선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있어서 D-D선의 단면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중앙 후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날개 후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여부 또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110)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20)을 포함하는 용기(100)와; 상기 걸림턱(120)에 대응하는 후크부재(211)가 형성되어 상승에 따라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를 개방시키고 하강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가 상기 걸림턱(120)에 걸쳐져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를 폐쇄시키는 밀폐부(210)와, 상기 밀폐부(210)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통 형상체로 이루어진 커버부(220)를 포함하는 마개(2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기본적으로 용기(100)와 마개(200)를 포함한다.
우선, 용기(100)는 음료나 다양한 액체류를 보관 또는 운반하거나 유통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100)는 기본적으로 내용물의 내압 변화에 따라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유리를 포함한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용기(100)에는 통상 액체 내용물의 주입 및 배출을 위한 입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110)는 원형을 기본으로 하여 이하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정사각형 또는 정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형상에 제한은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용기(100)의 입구(110) 인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구(110)로부터 하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외주면에 도 1과 같이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20)의 단면 형상은 도 3과 같이 두 경사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입구(110)에 인접한 측에 완만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대략 수직면 또는 수직면에 가깝도록 급한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120)의 경사면 각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로는, 마개(200)에 의한 용기(100)의 밀봉은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반면, 마개(200)의 개봉은 그 보다 큰 작용력이 요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걸림턱(120)은 상기 용기(100)의 외주면을 일주하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필요에 따라 둘 이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를 개폐시키기 위한 마개(200)는 기능적으로 밀폐부(210)와 커버부(220)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 또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마개(200)의 제조 시에는 상기 밀폐부(210)와 커버부(22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가 일체로 성형되는 예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하고, 우선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가 분할 형성된 예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용기(100)의 입구(110)는 비교적 높은 강성을 유지하여 변형이 거의 발생치 않는 반면, 상기 마개(200)는 기본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큰 하중에 의해 소성 변형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개(200)가 소망하는 적절한 물성치를 보유하도록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재료를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선, 상기 마개(200)에 있어서 밀폐부(210)는 대략 수평한 면을 포함하여 도면상 대략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그 저면이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를 실질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즉,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용기(100)를 기준으로 상승하면, 상기 밀폐부(210)의 저면이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입구(110)를 개방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용기(100)를 기준으로 하강하면, 상기 밀폐부(210)의 저면이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입구(1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부(210)의 하단 외주연에는 도면상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고리 형상의 후크부재(2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밀폐부(210)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가 상술한 용기(100)의 걸림턱(120)에 선택적으로 걸쳐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기(100)에 있어서 입구(110)로부터 상기 걸림턱(120)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기 밀폐부(210)의 후크부재(211)가 성형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6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하나의 밀폐부(210)에 총 6개의 후크부재(211)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6개 미만 혹은 6개를 초과하는 후크부재(211)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후크부재(211)는 하나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수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고리를 포함하는 후크부재(211)는 이후에 설명할 커버부(220)에 대하여 소망하는 형상으로의 적절한 변형을 유도하게 되어, 후크부재(211)가 걸림턱(120)으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고 높은 기밀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마개(200)에 있어서 커버부(220)는 중공 파이프 형태의 통 형상체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부(210)를 안쪽으로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마개(200)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 상호 간에는 상대적인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마개(200)가 상기 용기(100)를 밀봉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마개(200)가 상기 용기(100)로부터 개봉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용기(100)에 마개(200)를 조립함에 따라 상기 밀폐부(210)의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 안쪽으로 들어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마개(200)에 있어서 밀폐부(210)의 외주면 직경 보다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 직경이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의 외측에 상기 커버부(22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밀폐부(210)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만이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220)는 상기 후크부재(2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제한할 것이다.
반대로, 상기 후크부재(211)의 외측에 상기 커버부(220)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후크부재(2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밀폐부(210) 및 커버부(220)의 구성에 따라, 도 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200)로 용기(100)의 입구(110)를 밀폐시키면, 밀폐부(210)의 후크부재(211)가 용기(100)의 걸림턱(120)에 걸쳐져 고정된다.
이후,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부(210)를 하강시켜 후크부재(21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크부재(211)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 다시 말해 상기 후크부재(211)의 일부가 들어가 걸쳐져 위치할 수 있는 요홈을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에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가 걸림턱(120)으로부터 빠져 나오려 하는 것을 상기 커버부(220)가 보다 확실하게 제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마개(200)의 개봉 시에는 도 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마개(200)의 상측면을 하향 지지하는 상태에서, 검지 및 중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커버부(220)의 하단을 상향 이동시킨다.
그 결과, 상기 커버부(220)가 상기 밀폐부(210)를 기준으로 분리되며, 밀폐부(210)의 후크부재(211)가 용기(100)의 걸림턱(120)으로부터 빠져나와 마개(200)가 개봉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개(200)로 용기(100)의 입구(110)를 손쉽게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기본적인 구성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기능을 부가하는 것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마개(200)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220)는 상기 후크부재(2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최대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내주면을 가진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 보다 큰 내주면을 가진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소경부와 상기 대경부 사이에는 계단형 이음매가 형성될 것이며, 이 계단형 이음매가 형성되는 상하방향 위치는 상술한 후크부재(211)의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커버부(220)의 소경부 내측에 상기 후크부재(211)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후크부재(2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제한할 것이며, 상기 커버부(220)의 대경부 내측에 상기 후크부재(211)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후크부재(2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220)에 소경부 및 대경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부(220)의 전체 높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220)의 하부, 즉 대경부 안쪽에 다양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부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220)에 형성되는 대경부 내에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이 스토퍼가 용기(100)의 성형 시 걸림턱(120) 아래에 형성되는 서포트 링에 걸쳐져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밀폐부(210)와 커버부(220)가 일체로 성형된 마개(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다른 변형예의 마개(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를 연결하여 일체로 성형되되, 접힘 변형 가능한 박육 변형부재(231)와 상기 박육 변형부재(231) 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 절환부재(232)로 이루어진 연결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3 및 도 1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200)의 제조 이후 용기(100)를 밀봉하기 이전까지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커버부(2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마개(200)가 용기(100)를 밀봉시켰을 때에는 도 13 및 도 14의 (d)와 같이 상기 밀폐부(210)가 상기 커버부(220)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마개(200)의 개봉 시에는, 도 13 및 도 1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220)가 상기 밀폐부(210)를 기준으로 상승하게 될 것이다.
상기 마개(200)에 있어서 연결부(230)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밀폐부(210)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커버부(220)에 연결되도록 비교적 얇은 두께의 띠 형상체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상기 연결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부(210)가 커버부(220) 내측에 위치함에 따라, 도 12의 (c)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간극 내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 사이의 미세한 간극 내에서 대략 S자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며,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의 상대적인 높이 변화에 따라 대략 S자 형상을 유지하여 부드럽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는 단순히 상술한 밀폐부(210)와 커버부(220)를 연결하는 구성에 그치지 않고, 마개(200)의 개봉 시 상기 커버부(220)가 상기 밀폐부(210)를 기준으로 상승하는 것을 적절하게 제한하는 기능을 보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부(230)가 전체 길이에 걸쳐 비교적 얇은 균일 두께를 유지하여 형성되지 않고, 도 9 및 도 12와 같이 두께 차이에 따라 두 가지 구성으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연결부(230)는 접힘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박육 변형부재(231)와, 상기 박육 변형부재(231) 보다 두께가 두꺼워 접힘 변형 시 큰 작용력이 요구되는 후육 절환부재(232)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우선, 상기 박육 변형부재(231)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를 연결하여 부드럽게 변형 가능한 구성이다.
이에 반해, 상기 후육 절환부재(232)는 상기 박육 변형부재(231)의 두께 보다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접힘 변형에 큰 작용력이 요구되는 구성인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230)의 후육 절환부재(232)는 적절한 위치에 성형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도 12에는 후육 절환부재(232)가 커버부(220)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230)에 있어서 박육 변형부재(231)는 마개(200)의 밀봉 시,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를 연결하여, 도 12의 (c)와 같이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의 사이 공간에 대략 S자형 단면을 이루어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 상호간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박육 변형부재(231)는 부드럽게 변형될 것이다.
하지만, 마개(200)의 개봉 시에는, 상기 연결부(230)에 있어서 후육 절환부재(232)는 접힘 변형 시 큰 작용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200)의 커버부(220)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후육 절환부재(232)가 접힘 변형하려 할 때,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을 바깥쪽으로 밀어내 탄성 변형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개(200)가 용기(100)를 밀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마개(200)를 개봉하고자 하여 밀폐부(210)를 기준으로 커버부(220)를 점차적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도 12의 (d)에 나타낸 상태 이전까지는 박육 변형부재(231)가 부드럽게 변형한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이 후육 절환부재(232)에서 발생하려 할 때, 상기 후육 절환부재(232)의 변형에 큰 작용력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다 큰 작용력을 가하면 상기 후육 절환부재(23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을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시키게 되며, 후육 절환부재(232)는 큰 작용력 하에서만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후육 절환부재(232)의 변형에 요구되는 큰 작용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도 1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육 절환부재(232)가 안쪽으로 꺽여 접힘 변형되면서 커버부(220)의 상승이 허용된다.
그 결과 그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던 후크부재(211)가 용기(100)의 걸림턱(120)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는 공간이 대경부에 의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후육 절환부재(232)의 접힘 변형에 요구되는 큰 작용력이 외부로부터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마개(200)의 개봉은 이루어지지 않게 될 것이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한 기존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에 있어서는 마개(200)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후크부재(211)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돌기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부재(211)의 제어를 위한 돌기 없이 연결부(230)의 두께를 적절한 위치에서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마개(200)가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밀폐부(210)가 하강하여 상기 커버부(220)의 내측으로 들어갈 때, 상기 연결부(230)에 있어서 박육 변형부재(231)가 상기 밀폐부(210)와 상기 커버부(220) 사이에 접혀지면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30)의 변형 방향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육 변형부재(231)의 중간에 두께가 매우 얇아 변형을 유도할 수 있는 절입홈(23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폐부(210)의 하강 시, 도 12의 (b)와 같이 연결부(230)가 커버부(220)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용기(100) 내의 내용물이 탄산음료나 발효 음료의 경우에는 상기 용기(100) 내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후크부재(211)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20)는 상기 후크부재(2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최대 변위를 상기 밀폐부(210)와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한하기 위한 요홈 및 레일이 형성된 지지부재(221)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지지부재(221)는 도 6과 같이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레일은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220)의 상하방향 위치에 따라 적절한 반경방향 높이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지부재(221)의 레일 상에는 적절한 위치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후크부재(211)가 걸림턱(120)에 걸쳐져 있을 때, 상기 후크부재(211)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적절한 위치에서 제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레일과 요홈의 조합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21)는 후크부재(211)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밀폐부(210)의 후크부재(211)와 상술한 커버부(220)의 지지부재(221)를 보다 개선하여, 용기(100)에 대한 마개(200)의 정확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도 7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210)의 후크부재(211)는, 외팔보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 후크(211a)와, 한 쌍의 상기 날개 후크(211a)를 연결하는 가교(211b)와, 상기 가교(211b)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앙 후크(211c)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220)의 지지부재(221)는, 상기 날개 후크(211a)에 대응하는 한 쌍의 잠김레일(221a)과, 한 쌍의 상기 잠김레일(221a)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후크(211c)에 대응하는 지지레일(221b)을 포함하되, 상기 잠김레일(221a)에는 상기 날개 후크(211a)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잠김요홈(221a-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일(221b)에는 상기 중앙 후크(211c)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요홈(221b-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211)는 하나의 중앙 후크(211c)를 기준으로 양측에 날개 후크(211a)가 형성된 3개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221)는 하나의 지지레일(221b)을 기준으로 양측에 잠김레일(221a)이 형성된 3개의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재(211) 및 지지부재(221)는 하나의 마개(200)에 서로 짝을 이루어 다수 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있어서는 6개의 후크부재(211) 및 지지부재(221)가 서로 짝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후크부재(211)의 중앙 후크(211c) 및 날개 후크(211a)는 모두 반경방향 내측을 지향하는 고리 형상으로 성형된 후크로서, 상기 밀폐부(210)의 외주연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후크부재(211)의 반경방향 변형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후크(211c)는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날개 후크(211a)를 연결하고 있는 가교(211b)에 의해 지지되어, 보다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 후크(211c) 및 상기 날개 후크(211a)의 반경방향 내측은 상기 용기(100)의 걸림턱(120)에 선택적으로 걸쳐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 후크(211c) 및 날개 후크(211a)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지지부재(221)로서 나란하게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레일(221b) 및 잠김레일(2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21)의 잠김레일(221a)은 상기 후크부재(211)의 날개 후크(211a)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상기 잠김레일(221a)의 형상에 따라 상기 날개 후크(211a)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적절한 높이로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21)의 지지레일(221b) 또한 상기 후크부재(211)의 중앙 후크(211c)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레일(221b)의 형상에 따라 상기 중앙 후크(211c)에 대한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을 적절한 높이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잠김레일(221a)에는 상기 날개 후크(211a)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잠김요홈(221a-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잠김요홈(221a-1) 내에 상기 날개 후크(211a)의 말단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잠김요홈(221a-1)는 상기 날개 후크(211a)가 용기(100)의 걸림턱(120)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날개 후크(211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날개 후크(211a)가 걸림턱(120)으로부터 해제되어 마개(200)가 개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레일(221b)에도 상기 중앙 후크(211c)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요홈(221b-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요홈(221b-1) 내에 상기 중앙 후크(211c)의 말단 모서리가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요홈(221b-1)은 상기 중앙 후크(211c)가 용기(100)의 걸림턱(120)에 걸쳐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중앙 후크(211c)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제한하여, 중앙 후크(211c)가 걸림턱(120)으로부터 해제되어 마개(200)가 개봉되는 것 또한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중앙 후크(211c)와 날개 후크(211a)의 단면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상술한 지지레일(221b)과 잠김레일(221a)의 단면 형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마개(200)와 용기(100)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중앙 후크(211c)에 대한 반경방향의 최대 돌출 높이는 상기 날개 후크(211a)에 대한 반경방향의 최대 돌출 높이 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중앙 후크(211c)에 있어서는 고리 부분의 상측에 볼록한 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 후크(211a)에 있어서는 고리 부분의 상측에 오목한 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마개(200)가 용기(100)로부터 개봉되려 하는 경우 도 1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후크(211c)가 걸림턱(120)에 걸쳐져 가교(211b)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그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부(220)의 내주면을 바깥쪽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 후크(211c)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커버부(220)의 부위가 외측으로 늘어나게 되면, 이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부(220)에 있어서 날개 후크(211a)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는 도 14의 (d)와 같이 안쪽으로 변형이 유도되는 것이다.
그 결과, 마개(200)가 용기(100)의 입구(110)를 밀봉하고 있을 때, 도 8과 같이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커버부(220)가 대략 다각형의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날개 후크(211a)와 걸림턱(120) 상호간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이, 상술한 가교(211b)에 있어서 중앙 후크(211c)와 날개 후크(211a)를 연결하는 상측은 비교적 좁은 폭을 유지하도록 상기 날개 후크(211a)의 원주방향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중앙 후크(211c)와 날개 후크(211a)를 연결하는 하측은 비교적 넓은 폭을 유지하도록 상기 날개 후크(211a)의 원주방향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상술한 후크부재(211)에 있어서 중앙 후크(211c)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남에 따라, 날개 후크(211a)가 중앙 후크(211c)를 향하여 모아지도록 변형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높은 결합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추가적으로, 상기 날개 후크(211a)의 고리 선단부의 형상을 상기 중앙 후크(211c)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 가공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날개 후크(211a)의 변형을 소망하는 형태로 보다 원활하게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날개 후크(211a)를 반경방향 외측에서 지지하는 잠김레일(221a)에 대하여 원주방향 양측에 위치하도록 편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날개 후크(211a)가 중앙 후크(211c)를 향하여 모아지듯이 변형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유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존에 비해 용기(100)에 대한 마개(200)의 보다 높은 밀봉 결합력을 보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앙 후크(211c)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요홈(221b-1)에 대응하여 소성 변형 가능한 중앙돌기(211c-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중앙돌기(211c-1)는 상기 중앙 후크(211c)의 하단에 비교적 얇은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 중앙돌기(211c-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지지레일(221b)의 지지요홈(221b-1) 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돌기(211c-1)가 먼저 접촉하여 소성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중앙 후크(211c)가 지지레일(221b)의 지지요홈(221b-1) 내에 들어갈 때, 보다 부드럽게 들어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중앙 후크(211c)가 지지요홈(221b-1)으로부터 빠져 나오는데 요구되는 작용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돌기(211c-1)의 높이가 높고 두께를 얇게 형성하면 그만큼 소성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다 부드럽게 마개(200)의 밀봉 및 개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중앙돌기(211c-1)의 높이가 낮고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면, 상기 중앙돌기(211c-1)의 소성 변형에 큰 작용력이 요구되므로 마개(200)의 밀봉 및 개봉에 보다 큰 작용력을 필요로 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중앙돌기(211c-1)를 통해 소망하는 작용력으로 마개(200)를 용기(100)로부터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210)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 내외에 접촉하도록 각각 기밀 립(212) 및 기밀 레일(213)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220)의 하부 외주연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날개 손잡이(2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우선, 상기 밀폐부(210)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기밀 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립(212)은 비교적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용기(100)의 입구(110)와 밀폐부(210)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며, 추가적으로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밀폐부(210)를 탄성 지지하게 됨으로써, 후크부재(211)가 걸림턱(120)에 정확하게 걸쳐져 있을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210)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100)의 입구(110)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기밀 레일(213)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밀 레일(213)은 대략 반원형 단면을 가지고 소정 길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용기(100)의 입구(110)와 상술한 기밀 립(212) 상호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커버부(220)의 하부 외주연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날개 손잡이(2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날개 손잡이(222)는 여러 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하나의 커버부(220)에 2개의 날개 손잡이(22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13 및 도 1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상술한 밀폐부(210)를 하향 지지하는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으로 두 개의 날개 손잡이(222)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마개(200)를 개봉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용기(100)에 밀봉되어 있는 마개(200)를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210)의 상단 모서리에는 계단형 단면의 상부 단턱(214)이 일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220)에는 상기 상부 단턱(214)에 대응하여 밀폐후크(223)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100)의 걸림턱(120) 하측에는 외주면을 일주하여 서포트 링(1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포트 링(130)에 대응하는 스토퍼(22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선, 상기 밀폐부(210)의 상단 모서리에는 대략 계단 형상의 단면을 가진 상부 단턱(214)이 일주하여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버부(220)에는 상기 상부 단턱(214)에 걸쳐져 고정될 수 있는 밀폐후크(223)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후크(223)는 도면상 6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총 6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상기 밀폐후크(223)는 상기 밀폐부(210)의 후크부재(211)가 상기 용기(100)의 걸림턱(120)에 걸쳐져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마개(200)가 용기(100)의 입구(110)를 밀봉하였을 때, 밀폐후크(223)가 상부 단턱(214)에 걸쳐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의 걸림턱(120) 하측에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외주면을 일주하여 서포트 링(130)가 돌출 형성되며, 이는 용기(100)의 사출 성형 시 필수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포트 링(130)에 대응하는 스토퍼(22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224)는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이 스토퍼(224)의 하단이 상기 서포트 링(130)에 맞닿았을 때, 상기 커버부(220)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스토퍼(224)와는 별도로 상기 커버부(220)의 하단 외주연에 추가적인 계단형 단면의 하부 단턱(225)을 추가하여, 이 하부 단턱(225)이 상기 서포트 링(130)를 감싸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부(220)의 하강을 소망하는 높이에서 확실하게 제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0)의 중간에는 커터(23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30)와 상기 커버부(220) 사이에는 개봉 여부 확인용 트레이스(234)가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220)의 상승 시 상기 트레이스(234)가 상기 커터(231)에 의해 절단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커터(231) 및 트레이스(234)는 마개(200)의 최초 개봉 여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커터(231)는 마개(200)의 제조 시 연결부(230)의 중간에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트레이스(234)는 상기 연결부(230)와 상기 밀폐후크(223)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 트레이스(234)의 양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외력에 손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가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트레이스(234)는 마개(200)의 제조 시 상기 커터(231) 보다 하측에 위치하지만, 밀폐부(210)가 커버부(220) 내측으로 들어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커터(231)는 역상되어 트레이스(23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커터(231)는 마개(200)의 개봉 시, 밀폐부(210)를 기준으로 커버부(220)가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게 됨으로써, 최초에 연결되어 있던 상태의 트레이스(234)의 양단 중 어느 일 측을 절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스(234)의 연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마개(200)의 밀봉이 해제되었었는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크게 밀폐부(210), 커버부(220), 그리고 연결부(230)가 일체로 이루어진 마개(200)를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봉하고자 하는 용기(100)의 입구(110) 상에 도 13 및 도 14의 (a)와 같이 마개(200)를 올려놓게 된다.
이때, 커버부(220)의 하단 외주연에 형성된 계단형 단면의 하부 단턱(225)과 상기 커버부(2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224)가 용기(100)의 사출 시 성형된 서포트 링(130)의 위에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폐부(210)의 상단을 누르면, 도 13 및 도 14의 (b)와 같이 밀폐부(210)가 하강하여 커버부(220)의 내측으로 삽입되기 시작하며, 이에 따라, 연결부(230)는 도 12의 (b)와 같이 접혀지면서 밀폐부(210)의 외주면과 커버부(220)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으로 도 12의 (c)와 같이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30)의 커터(231)는 트레이스(234)와의 간섭 없이 트레이스(23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후크부재(211)의 중앙 후크(211c) 및 2개의 날개 후크(211a)가 용기(100)에 형성된 걸림턱(120)에 닿으면 도 13 및 도 14의 (c)와 같이 중앙 후크(211c) 및 날개 후크(211a)는 걸림턱(120)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중앙 후크(211c) 및 날개 후크(211a)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부(220)는 일시적으로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며,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가 걸림턱(120)에 걸쳐져 도 13 및 도 14의 (d)와 같이 마개(200)의 밀봉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후크부재(211)에 있어서 중앙 후크(211c)는 지지레일(221b)에 의해 지지되되, 중앙돌기(211c-1)가 지지레일(221b) 중간에 형성된 지지요홈(221b-1)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중앙돌기(211c-1)가 걸림턱(12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뿐 아니라, 상기 후크부재(211)에 있어서 날개 후크(211a) 또한 잠김레일(221a)에 의해 지지되되, 날개 후크(211a)의 하단 모서리가 잠김레일(221a) 중간에 형성된 잠김요홈(221a-1) 내에 위치함으로써, 날개 후크(211a)가 걸림턱(12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추가적으로 커버부(220)에 형성된 밀폐후크(223) 또한 밀폐부(210)에 형성된 상부 단턱(214)에 걸쳐지게 되어 보다 높은 체결력을 보유하게 된다.
이후, 용기(100)의 입구(110)로부터 마개(200)를 개봉하고자 할 때에는, 도 13 및 도 14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상술한 밀폐부(210)를 하향 지지하는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으로 두 개의 날개 손잡이(222)를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마개(200)를 개봉시키기 시작한다.
이러한 개봉 초기에는 후크부재(211)가 걸림턱(120)으로부터 빠져 나오지는 못하며, 다만, 커버부(220)가 밀폐부(210)를 기준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부(230)에 있어서 박육 변형부재(231)는 도 12의 (d)와 같이 부드럽게 접힘 변형되지만, 후육 절환부재(232)는 접힘 변형에 큰 작용력을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개(200)가 사용자에 의하지 않고 보관이나 유통 단계에서 스스로 개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후육 절환부재(232)가 도 12의 (e)와 같이 접힘 변형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던 밀폐부(210) 및 커버부(220)는 복원되는 한편, 커버부(220)가 상승하여 후크부재(211)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커버부(220)의 대경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211)에 있어서 중앙 후크(211c) 및 날개 후크(211a)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함으로써, 중앙 후크(211c) 및 날개 후크(211a)는 용기(100)의 걸림턱(120)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그 결과, 마개(200)를 용기(100)로부터 분리시켜 개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때, 연결부(230)에 있어서 트레이스(234)의 하측에 위치하던 커터(231)가 상승하게 되면서 트레이스(234)를 지지하던 양단 중 어느 하나를 절단시키게 됨으로써, 트레이스(234)가 끊어지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마개(200)의 최초 개봉 여부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밀폐부(210)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으로 마개(200)를 용기(100)의 입구(110)에 재밀봉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술한 수순을 반복하여 마개(200)를 재개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는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마개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밀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한 손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최초 개봉 여부 또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용기 110 : 입구
120 : 걸림턱 130 : 서포트 링
200 : 마개 210 : 밀폐부
211 : 후크부재 211a : 날개 후크
211b : 가교 211c : 중앙 후크
211c-1 : 중앙돌기 212 : 기밀 립
213 : 기밀 레일 214 : 상부 단턱
220 : 커버부 221 : 지지부재
221a : 잠김레일 221a-1 : 잠김요홈
221b : 지지레일 221b-1 : 지지요홈
222 : 날개 손잡이 223 : 밀폐후크
224 : 스토퍼 225 : 하부 단턱
230 : 연결부 231 : 박육 변형부재
231a : 절입홈 232 : 후육 절환부재
233 : 커터 234 : 트레이스

Claims (8)

  1. 입구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용기와;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는 후크부재가 형성되어 상승에 따라 상기 용기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하강에 따라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걸림턱에 걸쳐져 상기 용기의 입구를 폐쇄시키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내측으로 수용하기 위한 통 형상체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포함하는 마개로 구성되되;
    상기 마개는 상기 밀폐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여 일체로 성형되되, 접힘 변형 가능한 박육 변형부재와 상기 박육 변형부재 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육 절환부재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육 절환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마개의 개봉 시 상기 커버부를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시키며;
    상기 박육 변형부재에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커버부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변형을 유도하는 절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최대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내주면을 가진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 보다 큰 내주면을 가진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후크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변형에 대한 최대 변위를 상기 밀폐부와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한하기 위한 요홈 및 레일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후크부재는, 외팔보 형태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 후크와, 한 쌍의 상기 날개 후크를 연결하는 가교와, 상기 가교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앙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지지부재는, 상기 날개 후크에 대응하는 한 쌍의 잠김레일과, 한 쌍의 상기 잠김레일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후크에 대응하는 지지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잠김레일에는 상기 날개 후크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잠김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레일에는 상기 중앙 후크의 말단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후크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요홈에 대응하여 소성 변형 가능한 중앙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의 입구 내외에 접촉하도록 각각 기밀 립 및 기밀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 외주연에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위한 날개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의 상단 모서리에는 계단형 단면의 상부 단턱이 일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상부 단턱에 대응하여 밀폐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의 걸림턱 하측에는 외주면을 일주하여 서포트 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서포트 링에 대응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KR1020190148106A 2019-11-18 2019-11-18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KR10209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06A KR102096794B1 (ko) 2019-11-18 2019-11-18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JP2022528999A JP7409600B2 (ja) 2019-11-18 2020-11-02 栓と容器とのワンタッチ開閉構造
US17/771,110 US11780655B2 (en) 2019-11-18 2020-11-02 Structure for one-touch opening/closing of cap and container
PCT/KR2020/015115 WO2021101122A1 (ko) 2019-11-18 2020-11-02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106A KR102096794B1 (ko) 2019-11-18 2019-11-18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794B1 true KR102096794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106A KR102096794B1 (ko) 2019-11-18 2019-11-18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80655B2 (ko)
JP (1) JP7409600B2 (ko)
KR (1) KR102096794B1 (ko)
WO (1) WO20211011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22A1 (ko) * 2019-11-18 2021-05-27 채동석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497Y1 (ko) * 2005-03-11 2005-05-27 채동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KR100757795B1 (ko) 2006-06-21 2007-09-11 채동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KR101121860B1 (ko) 2009-06-22 2012-03-20 채동석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0650A5 (ko) * 1977-08-16 1980-12-15 Bruno J Segmueller
CH643201A5 (de) * 1979-11-07 1984-05-30 Createchnic Patent Ag Verschlusskapp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4314923C2 (de) * 1993-05-06 1998-08-27 West Company Deutschland Gmbh Verschlußkappe zum Verschließen einer Flasche
TWI267478B (en) * 2003-07-25 2006-12-01 Dong-Seuk Chae One touch-type stopper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JP6322446B2 (ja) * 2014-03-04 2018-05-09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6468793B2 (ja) * 2014-10-21 2019-02-13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6503215B2 (ja) 2015-03-31 2019-04-1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容器蓋を容器の口頸部に装着する方法及び装置
ES2566202B1 (es) * 2015-10-30 2017-01-24 Enotop Closures Sl Conjunto de tapón y de anillo de retención para tiraje de vinos espumosos
JP7307529B2 (ja) 2017-04-28 2023-07-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KR102096794B1 (ko) * 2019-11-18 2020-04-03 채동석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497Y1 (ko) * 2005-03-11 2005-05-27 채동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KR100757795B1 (ko) 2006-06-21 2007-09-11 채동석 마개 및 이 마개가 구비된 용기
KR101121860B1 (ko) 2009-06-22 2012-03-20 채동석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22A1 (ko) * 2019-11-18 2021-05-27 채동석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US20220371791A1 (en) * 2019-11-18 2022-11-24 Dong Seuk CHAE Structure for one-touch opening/closing of cap and container
US11780655B2 (en) 2019-11-18 2023-10-10 Dong Seuk CHAE Structure for one-touch opening/closing of cap and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71791A1 (en) 2022-11-24
JP7409600B2 (ja) 2024-01-09
WO2021101122A1 (ko) 2021-05-27
US11780655B2 (en) 2023-10-10
JP2023503422A (ja)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2455B1 (en)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US9108774B2 (en) Stopper for packaging container
US8695822B2 (en) Container for preventing loss of stopper and idle rotation thereof
US5472120A (en) Bottle with two-stage opening
EP2447180B1 (en) Stopper and container having stopper
EP3081505B1 (en) Tamper-evident closure and assembly of tamper-evident closure and container assembly
PL200210B1 (pl) Zamknięcie dozujące otwierane przez przekręcanie posiadające opcjonalną przekłuwaną wkładkę
EP1799573A1 (en) Closure
KR200463676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7407067B2 (en) Pourer
KR102096794B1 (ko) 마개와 용기의 원터치 개폐 구조
KR20170038022A (ko) 컨테이너와 클로저 및 그것의 제조
CN109153479B (zh) 包括显窃启装置的容器盖
CN107000903B (zh) 用于容器的盖子和包括此类盖子的包装
WO2014103574A1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JP5090021B2 (ja) キャップおよび閉止装置ならびに飲料入り閉止装置
US3690520A (en) Push-pull container and cap assembly
CN114555484A (zh) 容器盖及结合该容器盖的容器
US10370161B2 (en) Child resistant tip closure assembly with diaphragm
US20240034523A1 (en) Container closure
CN118019695A (zh) 用于容器的封闭盖
JP5900870B2 (ja) ヒンジキャップ
CN216333978U (zh) 一种具有内容物的饮料瓶盖
KR200384798Y1 (ko) 걸림편을 형성한 밀폐용기
CN116723988A (zh) 合成树脂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